KR20160029390A -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390A
KR20160029390A KR1020140118854A KR20140118854A KR20160029390A KR 20160029390 A KR20160029390 A KR 20160029390A KR 1020140118854 A KR1020140118854 A KR 1020140118854A KR 20140118854 A KR20140118854 A KR 20140118854A KR 20160029390 A KR20160029390 A KR 20160029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projector
gesture
hous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정수
서봉교
정희연
김중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8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9390A/ko
Priority to US14/820,091 priority patent/US20160073073A1/en
Priority to PCT/KR2015/008240 priority patent/WO2016036017A1/en
Priority to CN201580059918.6A priority patent/CN107148757A/zh
Publication of KR20160029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3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based on proj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3Arrangements for projecting a virtual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G06F3/042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tracking fingers with respect to a virtual keyboard projected or printed on the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5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belt or har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대상체에 UI를 투영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제 1 UI와 상이한 제 2 UI를 대상체에 투영하는 프로젝터; 를 포함하고, 프로젝터는,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통해 제 2 UI를 표시하는 광원; 및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을 포커싱(Focusing)하여 대상체에 투영하는 렌즈;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사용자가 휴대하여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통화나 단문 메시지 전송과 같은 다른 사용자와의 통신 기능이나, 인터넷, 모바일 뱅킹, 멀티미디어 파일 전송과 같은 데이터 통신 기능, 게임이나 음악, 동영상 재생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능, 게임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전자 수첩 기능 등 각각의 기능으로 특화된 기기가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전기/전자 기술과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만으로도 다양한 기능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예로서 스마트 폰, 노트북, PDA, 태블릿 컴퓨터 등이 있으며, 이 밖에도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되어 휴대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대표적인 예로, 스마트 워치(Smart Watch)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사용자는 스마트 워치에 마련된 터치스크린 또는 별도의 입력부를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대상체에 UI를 투영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제 1 UI와 상이한 제 2 UI를 대상체에 투영하는 프로젝터; 를 포함하고, 프로젝터는,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통해 제 2 UI를 표시하는 광원; 및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을 포커싱(Focusing)하여 대상체에 투영하는 렌즈; 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하우징;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는, 하우징의 상면에 접하는 일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렌즈는,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곡률이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로젝터가 2개이면, 2개의 프로젝터 각각은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면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은, 프로젝터를 상면의 상부로 상승시키는 리프팅 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 부재에 의해 상승된 프로젝터는, 하우징의 상면과의 거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UI를 투영할 수 있다.
하우징은,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 및 프로젝터가 설치되고, 하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 을 포함할 수 있다.
일 단이 하우징과 연결되고, 하우징의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대상체와 접촉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밴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의 투영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는 거치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는,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렌즈로 전달하는 반사 거울;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는,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이 반사 거울에 입사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UI를 투영할 수 있다.
제 2 UI를 대상체에 투영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프로젝터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제 2 UI를 대상체에 투영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에 투영되는 UI에 대한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Gesture) 센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제스쳐 센서에서 미리 정해진 제스쳐를 감지하면, 제 2 UI 또는 제 2 UI와 상이한 제 3 UI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젝터는, 제스쳐 센서에서 미리 정해진 제스쳐를 감지하면, 제 1 UI 또는 제 1 UI와 상이한 제 3 UI를 대상체에 투영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UI를 대상체에 투영하는 프로젝터; 제 1 UI에 대한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Gesture) 센서;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제 2 UI를 대상체에 투영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는,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통해 제 1 UI 또는 제 2 UI를 표시하는 광원; 및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을 포커싱(Focusing)하여 대상체에 투영하는 렌즈; 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는, 미리 정해진 방향을 따라 곡률이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로젝터는,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렌즈로 전달하는 반사 거울;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는,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이 반사 거울에 입사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UI 또는 제 2 UI를 투영할 수 있다.
프로젝터를 대상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팅 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 부재에 의해 이동된 프로젝터는, 대상체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UI 또는 제 2 UI를 투영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에 제 1 UI를 투영하는 단계; 제 1 UI에 대한 제스쳐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제 2 UI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제 2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제 2 UI를 대상체에 투영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제 2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제 2 UI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보다 넓은 면적의 UI 를 투영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와는 다른 UI를 투영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및 제스쳐 센서가 마련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용 UI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6c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중 메모 용 UI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d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에 투영되는 여러가지 UI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13)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의해 HUD로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을 회전하여 UI를 투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14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라 쿼티 키보드를 투영하는 방법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표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관도이며, 16b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I 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휴대용 단말기(1)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8은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9는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1)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휴대용 단말기(1)는 휴대가 가능하고, 전자기기, 서버, 다른 휴대용 단말기(1) 등과 음성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는 휴대폰, 스마트 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 PMP, 카메라, 네비게이션, 태블릿 컴퓨터, E-Book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휴대용 단말기(1)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를 전제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대상체(Ob)는 사용자의 손목을 포함하는 손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의 일부의 실시예에서 대상체(Ob)는 테이블(D) 또는 차량의 윈드쉴드 글라스(W) 일 수도 있다. 다만, 이는 대상체(Ob)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대상체(Ob)는 UI가 투영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인 스마트 워치의 외관을 예시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1) 중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현재의 시간 정보의 표시, 사물에 대한 정보 표시, 사물에 대한 제어 및 기타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의 휴대용 단말기(1)는 하우징(10);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고,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00); 일 단이 하우징과 연결되고, 하우징의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대상체(Ob)와 접촉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밴드(20); 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300); 및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대상체(Ob), 구체적으로 자신의 손목에 하우징(10)의 하면을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을 유지한 채 밴드(20)를 손목에 감싸도록 하여 하우징(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10)의 위치가 고정되면, 하우징(10)의 상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400)의 위치 역시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는 휴대용 단말기(1)의 기능을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거나,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400)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형광성 유기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400) 패널,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이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수광형 디스플레이(400) 패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400)에 표시된 UI를 확인하고, 입력부(110)를 통해 원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부(110)는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400)가 디스플레이(400) 패널 뿐만 아니라 터치 패널을 포함하도록 구현되어 디스플레이(4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상술한 두 가지 실시예가 함께 공존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400)가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도 1에서 디스플레이(400)가 표시하는 UI는 사용자에게 날짜와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400)는 카메라(300) 촬영을 위한 UI, 저장된 멀티미디어를 표시하는 UI, 다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와의 통신을 위한 UI, 심박수 등의 사용자 바이오 정보를 제공하는 UI, 인터넷을 위한 UI, 또는 휴대용 단말기(1)의 환경설정을 위한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휴대용 단말기(1)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0);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는 마이크(120);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300); 멀티미디어 또는 휴대용 단말기(1)의 제어를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310);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00);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320); 및 휴대용 단말기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기기와 직,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외부기기는 통신이 가능한 카메라, 휴대폰, TV, 노트북, 스마트 워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통신부는 외부기기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통신부가 외부기기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 통신부는 유선으로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통신부가 외부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경우, 통신부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와이 파이(Wireless Fidelity, Wi-Fi)(예를 들어,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g 및/또는 IEEE802.11n),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및/또는 단문 문자 서비스(SMS)용 프로토콜 또는 기타 다른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을 채용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할 디스플레이(40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마이크(120)는 휴대용 단말기 주위의 음파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파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마이크(120)는 변환한 소리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마이크(120)는 휴대용 단말기(1)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고,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카메라(300)는 휴대용 단말기(1) 주위의 피사체에 대한 정적 영상 또는 동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 결과, 카메라(300)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이렇게 획득된 영상은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에서 카메라(300)는 하우징(10)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밴드(20)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하우징 또는 밴드(2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저장부(31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UI, 멀티미디어가 저장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의 제어를 위한 참조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310)는 롬(ROM),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10)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SDHC(Secure Digital High Capacity) 메모리 카드, mini SD 메모리 카드, mini SDHC 메모리 카드, TF(Trans Flach) 메모리 카드, micro SD 메모리 카드, micro SDHC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 CF(Compact Flach), MMC(Multi-Media Card), MMC micro, XD(eXtreme Digital)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10)는 네트워크(700)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네트워크 부착형(attached)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휴대용 단말기(1)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상 통화를 하고자 할 때, 제어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휴대용 단말기(1)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는 입력부(110)로부터 화상 통화 수행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10)에 화상 통화 수행 명령을 입력한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화상 통화를 위한 UI를 불러와 디스플레이(4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가 화상 통화를 하고자 하는 외부기기에 접속할 수 있다. 외부기기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제어부는 마이크(120)가 획득한 소리와 카메라(300)가 획득한 영상을 전달받고, 이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소리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200)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소리 데이터에 기초한 소리를 출력하도록 스피커(3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제어부(200)는 음성 통화,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음성 녹음, 인터넷 접속, 멀티미디어 출력,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1)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하는 UI 크기가 함께 작아지는 것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를 조작하는데 어려움을 제공할 수 있어 문제 된다.
따라서, 도 2 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Ob)에 UI를 투영하는 프로젝터(50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젝터(500)가 투영하는 UI는 디스플레이(400)에 표시되는 UI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500)는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가 2차원으로 배열되는 광원; 및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을 포커싱하여 대상체(Ob)에 투영하는 렌즈; 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은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통해 투영하고자 하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즉,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 각각이 투영하고자 하는 UI의 각각의 픽셀(Pixel)을 표시할 수 있다.
렌즈는 이렇게 생성된 광을 포커싱 할 수 있다. 특히, 대상체(Ob)에 투영되는 UI를 확대하기 위해 볼록 렌즈가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렌즈에 의해 대상체(Ob)에 투영되는 광의 경로가 대상체에 투영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의 입사면 중 대상체(Ob)와 인접한 쪽, 즉 하우징(10)의 하면에 가까운 곳으로 입사하는 광은 대상체로부터 먼 쪽, 즉 하우징(10)의 상면에 가까운 곳으로 입사하는 광보다 대상체(Ob)에 투영되는 경로가 짧다. 그 결과, 대상체에 투영되는 UI 중 렌즈와 가까운 쪽이 렌즈와 먼 쪽에 비해 작게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렌즈는 하우징(10)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곡률이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렌즈의 입사면 중 대상체(Ob)로부터 먼 쪽으로 입사되는 광은 대상체로부터 가까운 쪽으로 입사되는 광보다 더 크게 굴절되어, 렌즈와의 거리와 무관하게 일정한 크기의 UI가 대상체(Ob)에 투영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젝트는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렌즈로 전달하는 반사 거울;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젝터(500)는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이 반사 거울에 입사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UI를 투영할 수 있다.
광원은 소형화 된 휴대용 단말기(1)에 설치되야 하므로, UI가 투영되는 대상체 영역이 제한적일 수 있다. 그러나, 반사 거울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광의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UI가 투영되는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2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는, 대상체(Ob)에 투영된 UI에 대한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Gesture) 센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센서(600)는 프로젝터(500)가 설치되는 하우징의 일 면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프로젝터(500)에 의해 투영된 UI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제스쳐 센서(600)는 이렇게 감지된 제스쳐를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스쳐 센서(600)는 적외선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센서는 미리 정해진 영역에 적외선을 조사하고, 이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신할 수 있다. 적외선이 조사되는 영역에 움직임이 발생하면 수신되는 적외선의 변화가 감지될 수 있으므로, 적외선 센서는 이와 같은 변화를 기초로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스쳐 센서(600)가 초음파 센서로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즉, 초음파를 실시간으로 조사하고 에코 초음파를 수신하면서, 에코 초음파의 변화를 기초로 제스쳐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스쳐 센서(600)가 제스쳐를 감지하면, 제어부(200)는 감지된 제스쳐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스쳐 센서(600)에서 미리 정해진 제스쳐를 감지하면,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400)가 표시하는 UI를 제어하거나, 프로젝터(500)가 투영하는 UI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및 제스쳐 센서가 마련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4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젝터(500)는 하우징(10)의 상면에 접하는 일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면에 제스쳐 센서(600)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하우징(10)의 측면 중 밴드(20)가 연결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 어느 하나, 구체적으로 우측 면에 프로젝터(500) 및 제스쳐 센서(600)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하우징(10)의 좌측 면에 프로젝터 및 제스쳐 센서(60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대상체,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왼 손목에 휴대용 단말기(1)가 고정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1)의 우 측면에 설치된 프로젝터(500)는 대상체(Ob),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왼 손등에 UI를 투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표시되는 UI와는 별개로, 손등에 투영되는 UI를 더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손등에 투영되는 UI에 대한 제스쳐를 발생시키면, 프로젝터와 같은 방향에 마련되는 제스쳐 센서(600)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이렇게 감지된 제스쳐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젝터(500)를 통해 UI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5b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용 UI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의 디스플레이(400)는 외부의 휴대용 단말기(1)로부터 통화 요청이 온 경우의 UI를 표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통화를 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드래그(Drag)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의 휴대용 단말기(1) 사용자와 화상 통화가 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400)와 프로젝터는 사용자에게 화상 통화 용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와 같이, 사용자의 손등에 상대방의 영상이 투영될 수 있고, 카메라(300)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400)에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의 손등에 자신의 영상이 투영되고, 디스플레이(400)에 상대방의 영상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손등에 사용자 또는 상대방의 영상이 투영됨으로써, 디스플레이(400)만으로 제공하는 것보다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c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중 메모 용 UI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화상 통화의 상대방 영상이 손등에 투영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6a에서는 디스플레이(400)가 UI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영상을 표시하거나, 이와 다른 UI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대방의 통화 중에 메모를 해야 할 경우, 사용자는 상대방 영상이 투영되는 영역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의 제스쳐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스쳐는 제스쳐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화상 통화 중 메모 용 UI를 손등에 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와 같이, 손등에 투영 중이던 상대방의 영상은 디스플레이(40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손등에는 메모 용 UI가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상대방의 영상을 계속하여 제공받으면서, 메모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모 용 UI에 대하여 숫자 입력의 제스쳐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발생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메모 결과가 손등에 함께 투영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c와 같이, 프로젝터(500) 및 제스쳐 센서(600)를 이용하면, 화상 통화의 중단 없이 사용자에게 메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a 내지 7d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에 투영되는 여러가지 UI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전화번호 입력 용 UI를 투영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500)는 전화번호 입력 용 UI를 손등에 투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등에 투영된 UI에 대하여 원하는 번호를 입력하는 제스쳐를 발생시키면, 제스쳐 센서(600)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는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및 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항목이 함께 포함되는 UI가 표시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의 크기에 의존적인 디스플레이(400)는 표시하는 UI의 크기에 제한이 있다. 디스플레이(400)의 크기가 작으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제공받는 UI의 크기도 작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400)의 터치패널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하는데도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도 7a와 같이, 디스플레이(400)와는 별개의 UI를 손등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도 7b는 문자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UI를 투영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500)는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손등에 투영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400)는 문자 메시지의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미리 저장된 발신자 이름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7b의 휴대용 단말기(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 뿐만 아니라 프로젝터(500)를 통해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제공할 수 있는 정보의 절대 양이 증가함은 물론이고, 더 확대된 크기의 UI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도 7c는 영상 촬영 용 UI를 투영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7d는 이렇게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UI를 투영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는 카메라(3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00)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 도 7c와 같이, 프로젝터(500)는 카메라(300)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영상이 손등에 투영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400)는 영상 촬영을 위한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등에 원하는 영상이 포착되면, 디스플레이(400)를 터치하여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영상 촬영이 종료된 후,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에 저장된 영상을 확인하고자 하면, 도 7d와 같이, 프로젝터(500)는 촬영된 영상을 손등에 투영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400)는 투영된 영상에 대한 설정항목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프로젝터(500)와 디스플레이(400)가 제공하는 UI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를 통해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8a 및 8b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13)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용 단말기(1)의 하우징(10)은 프로젝터(500)를 상면의 상부로 상승시키는 리프팅 부재(13);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a와 같이, 프로젝터(500)는 하우징(10)의 일 측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도 8b와 같이, 리프팅 부재(13)는 프로젝터(500)가 상승하도록 프로젝터(500)의 하면을 지지하며 상승할 수 있다. 즉, 리프팅 부재(13)는 대상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프로젝터(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UI가 대상체(Ob)에 투영되는 영역이 휴대용 단말기(1)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500)와 하우징(10) 상면과의 거리 또는 대상체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UI가 투영될 수 있다.
이처럼, 리프팅 부재(13)를 통해 프로젝터(500)가 상승되면, UI의 투영 가능한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
도 8a 및 8b에서는 리프팅 부재(1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미리 정해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프로젝터(500)가 하우징(10) 상면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대상체(Ob)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대상체(Ob)를 사용자의 손등을 전제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손등 이외의 영역에 UI를 투영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9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용 단말기(1)는 프로젝터(500)의 투영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거치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는 거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 홈은 휴대용 단말기 하우징(10)의 두께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거치 홈은 휴대용 단말기(1) 하우징(10)과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는 밴드(20)에 의해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치대에 의해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대에 고정하여 차량의 HUD(Head Up Display)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의해 HUD로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과 같이,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 위에 거치대를 위치시키고, 거치대에 하우징(10)을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10)이 거치대에 의해 고정되면, 프로젝터(500) 역시 고정된 영역에 UI를 안정적으로 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500)는 차량의 윈드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W)에 UI를 투영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젝터(500)가 네비게이션 UI를 투영하면, 휴대용 단말기(1)는 차량의 HUD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1은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우징(10)은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12); 및 프로젝터(500)가 설치되고, 하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11); 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2)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11)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0) 및 프로젝터(500)가 설치된 상부 하우징(11)은 화살표 방향, 즉 반시계 방향을 회전 가능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로젝터(500)에 의해 투영되는 UI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2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을 회전하여 UI를 투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를 밴드(20)를 통해 손목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1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부 하우징(11)이 회전되기 전에는, 프로젝터(500)는 사용자의 손등에 UI를 투영할 수 있다. 그러나, 상부 하우징(11)이 회전함에 따라, 상부 하우징(11)에 설치된 프로젝트 역시 회전하여 UI의 투영 영역이 변화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부 하우징(11)이 90도 회전된 휴대용 단말기(1)를 착용한 채 테이블(D)에 자신의 손을 위치시키면, 도 12와 같이 테이블(D) 상에 UI가 투영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젝터(500)가 투영하는 UI의 크기가 더 확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하우징(11)을 회전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에 따라 UI의 투영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대상체(Ob)가 테이블(D)인 경우, 프로젝터(500)는 확장된 UI를 투영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용이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3 및 14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라 쿼티 키보드를 투영하는 방법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과 같이, 테이블(D) 상에 위치된 휴대용 단말기(1)의 프로젝터(500)는 쿼티 키보드(QWERTY Keyboard) 용 UI를 테이블(D) 상에 투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400)는 메모 용 UI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를 손목에 고정시키지 않았으므로, 양 손을 이용하여 쿼티 키보드 상에 제스쳐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스쳐 센서(600)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고, 제어부(200)는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프로젝터(500)가 쿼티 키보드 용 UI를 투영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 입력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4는 휴대용 단말기가 프로젝터(500)를 2개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프로젝터(500) 각각은 하우징(10)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면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와 같이, 2개의 프로젝터(500) 각각이 우측면과 좌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프로젝터(500)에서 투영하는 UI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측면에 설치된 프로젝터(500)에서, 도 13과 동일하게, 쿼티 키보드를 투영할 수 있다. 또한, 타 측면에 설치된 프로젝터(500)에서는 PC 모니터 용 UI를 투영할 수 있다.
이처럼, 2개의 프로젝터(500)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1)를 사용자의 손목이 아닌 테이블(D)에 위치시킬 경우, 테이블(D) 상에 서로 다른 2개의 UI를 투영시킬 수 있고, 특히 PC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휴대용 단말기(1)는 부피가 최소화 되고 휴대가 간편한 PC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표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는 프로젝터(500)와 동일한 방향에 설치되는 제스쳐 센서(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스쳐 센서(600)는 휴대용 단말기(1)가 착용되지 않은 쪽의 손의 제스쳐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를 착용한 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5와 같이, 제스쳐 센서(600)가 A위치에서 B위치로 손이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프로젝터(500)는 슬라이드의 다음 장을 투영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스쳐 센서(600)가 B위치에서 A 위치로 손이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프로젝터(500)는 슬라이드의 이전 장을 투영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스쳐 센서(600)가 감지한 제스쳐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가 외부기기의 슬라이드 표시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가 외부의 노트북과 연결된 경우, 제스쳐 센서(600)의 감지에 따라, 제어부(200)는 통신부를 통해 슬라이드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외부의 노트북에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노트북은 슬라이드의 이전 또는 다음 장을 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프로젝터(500)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400)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1)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프로젝터(500)만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a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관도이며, 16b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I 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UI를 대상체(Ob)에 투영하는 프로젝터(500); UI에 대한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 센서(600); 및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UI를 대상체(Ob)에 투영하도록 프로젝터(5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a의 구성인 프로젝터(500), 제스쳐 센서(600), 및 제어부(200)는 모두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a와 같이 디스플레이(400)를 생략하면, 휴대용 단말기(1)의 부피를 더욱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의 휴대가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를 테이블(D) 상에 위치시키면, 프로젝터(500)는 테이블(D) 상에 UI를 투영할 수 있다. 테이블(D) 상에 UI를 투영하면, 사용자에게 확장된 U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a 및 16b는 바(Bar) 형상의 휴대용 단말기(1)를 예시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스마트 워치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7은 휴대용 단말기(1)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7은 프로젝터(500)가 UI를 투영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디스플레이에 제 1 UI를 표시할 수 있다.(700) 이 때, 제 1 UI란 휴대용 단말기(1)의 정보, 휴대용 단말기(1)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항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UI를 통해 미리 정해진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710) 이 때, 미리 정해진 명령이란 프로젝터(500)를 통해 제 2 UI를 투영하는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미리 정해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400)의 터치 패널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4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미리 정해진 명령의 일 실시예로 도 5a의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리 정해진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면, 반복하여 명령의 입력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입력된 명령에 대응되는 제 2 UI를 대상체에 투영할 수 있다.(720) 미리 정해진 명령이 도 5a의 터치 입력과 동일하다면, 프로젝터(500)는 도 5b와 같은 영상을 대상체(Ob)에 투영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UI란 제 1 UI와는 상이한 UI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7과는 달리 프로젝터(500)가 디스플레이(400)와 동일한 제 1UI 를 대상체(Ob)에 투영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8은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8은 투영된 제 2 UI에 대한 제스쳐에 따라 디스플레이(400)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대상체에 제 2 UI를 투영할 수 있다.(800) 이를 위해, 프로젝터(500)가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제 2 UI를 투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UI를 통해 미리 정해진 제스쳐가 감지되었는지 확인한다.(810) 이 때, 미리 정해진 제스쳐란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제 3 UI를 표시하는 명령에 대응되는 제스쳐 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스쳐를 감지하기 위해, 제스쳐 센서(600)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제스쳐 센서(600)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스쳐의 일 실시예로 도 6a의 제스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리 정해진 제스쳐가 감지되지 않았다면, 반복하여 제스쳐의 감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스쳐가 감지되었다면,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제 3 UI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820) 미리 정해진 제스쳐가 도 6a의 제스쳐와 동일하다면, 디스플레이(400)는 도 6b와 같은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3 UI란 제 2 UI와는 상이한 UI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8과는 달리 디스플레이(400)가 프로젝터(500)와 동일한 제 2 UI 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9는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9는 투영된 제 2 UI에 대한 제스쳐에 따라 투영하는 UI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대상체에 제 2 UI를 투영할 수 있다.(900)
다음으로, 제 2 UI를 통해 미리 정해진 제스쳐가 감지되었는지 확인한다.(910) 이 때, 미리 정해진 제스쳐란 프로젝터(500)를 통해 제 3 UI를 투영하는 명령에 대응되는 제스쳐 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스쳐를 감지하기 위해, 제스쳐 센서(600)를 이용할 수 있음은 도 18과 같다.
미리 정해진 제스쳐의 일 실시예로 도 6a의 제스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리 정해진 제스쳐가 감지되지 않았다면, 반복하여 제스쳐의 감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스쳐가 감지되었다면,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제 3 UI를 대상체에 투영할 수 있다.(920) 미리 정해진 제스쳐가 도 6a의 제스쳐와 동일하다면, 프로젝터(500)는 도 6b와 같은 영상을 대상체(Ob)에 투영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3 UI란 제 2 UI와는 상이한 UI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디스플레이(400)가 프로젝터(500)와 동일한 제 2 UI 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1: 휴대용 단말기
10: 하우징
200: 제어부
400: 디스플레이
500: 프로젝터
600: 제스쳐 센서

Claims (26)

  1. 제 1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1 UI와 상이한 제 2 UI를 대상체에 투영하는 프로젝터;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통해 상기 제 2 UI를 표시하는 광원; 및
    상기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을 포커싱(Focusing)하여 상기 대상체에 투영하는 렌즈;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하우징; 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접하는 일 측면에 설치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곡률이 감소하도록 마련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가 2개이면,
    상기 2개의 프로젝터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면 각각에 설치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프로젝터를 상기 상면의 상부로 상승시키는 리프팅 부재;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부재에 의해 상승된 프로젝터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의 거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2 UI를 투영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프로젝터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 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일 단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상기 대상체와 접촉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밴드;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의 투영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거치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렌즈로 전달하는 반사 거울; 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이 상기 반사 거울에 입사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2 UI를 투영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UI를 상기 대상체에 투영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제 2 UI를 상기 대상체에 투영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에 투영되는 UI에 대한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Gesture) 센서;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스쳐 센서에서 미리 정해진 제스쳐를 감지하면, 상기 제 2 UI 또는 상기 제 2 UI와 상이한 제 3 UI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제스쳐 센서에서 미리 정해진 제스쳐를 감지하면, 상기 제 1 UI 또는 상기 제 1 UI와 상이한 제 3 UI를 상기 대상체에 투영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 1 UI를 대상체에 투영하는 프로젝터;
    상기 제 1 UI에 대한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Gesture) 센서;
    상기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제 2 UI를 상기 대상체에 투영하도록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통해 상기 제 1 UI 또는 상기 제 2 UI를 표시하는 광원; 및
    상기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을 포커싱(Focusing)하여 상기 대상체에 투영하는 렌즈;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미리 정해진 방향을 따라 곡률이 감소하도록 마련되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렌즈로 전달하는 반사 거울; 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이 상기 반사 거울에 입사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UI 또는 상기 제 2 UI를 투영하는 휴대용 단말기.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를 상기 대상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팅 부재;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부재에 의해 이동된 프로젝터는,
    상기 대상체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UI 또는 상기 제 2 UI를 투영하는 휴대용 단말기.
  24. 대상체에 제 1 UI를 투영하는 단계;
    상기 제 1 UI에 대한 제스쳐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제 2 UI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제 2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제 2 UI를 상기 대상체에 투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제 2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제 2 UI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40118854A 2014-09-05 2014-09-05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9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854A KR20160029390A (ko) 2014-09-05 2014-09-05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4/820,091 US20160073073A1 (en) 2014-09-05 2015-08-06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5/008240 WO2016036017A1 (en) 2014-09-05 2015-08-06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580059918.6A CN107148757A (zh) 2014-09-05 2015-08-06 便携式终端和控制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854A KR20160029390A (ko) 2014-09-05 2014-09-05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390A true KR20160029390A (ko) 2016-03-15

Family

ID=5543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854A KR20160029390A (ko) 2014-09-05 2014-09-05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73073A1 (ko)
KR (1) KR20160029390A (ko)
CN (1) CN107148757A (ko)
WO (1) WO20160360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0091B2 (en) 2020-07-02 2022-05-10 Dylan Appel-Oudenaar Apparatus with handheld form factor and transparent display with virtual content render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577A (ko) 2014-11-10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TWD169770S (zh) * 2014-12-08 2015-08-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智慧型手錶
CN106610781B (zh) * 2015-12-31 2023-09-26 北京一数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
CN106610559B (zh) * 2016-05-25 2019-03-15 北京一数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式腕投
EP3496608A4 (en) * 2016-08-15 2020-03-18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101811613B1 (ko) * 2016-08-18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56543B1 (ko) * 2017-02-10 2023-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8874030A (zh) * 2018-04-27 2018-11-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穿戴设备操作方法、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757072A (zh) * 2019-03-27 2020-10-0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投影方法及可穿戴设备
CN112019660B (zh) * 2019-05-31 2021-07-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CN111093066A (zh) * 2019-12-03 2020-05-01 耀灵人工智能(浙江)有限公司 一种动态平面投影方法及系统
WO2021206691A1 (en) * 2020-04-07 2021-10-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nsor input detection
US20220113807A1 (en) * 2020-10-14 2022-04-14 Aksor Interactive Contactless Ordering Terminal
CN112351143B (zh) * 2020-10-30 2022-03-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其控制方法及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CN112911259B (zh) * 2021-01-28 2023-04-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投影设备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3855A1 (en) * 2000-11-29 2002-05-30 Williams John W. Digital projection system for 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JP4538598B2 (ja) * 2003-01-08 2010-09-08 ジーイーオー セミコンダク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軸外れ投影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173777B1 (en) * 2006-02-14 2007-0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jection lens and display device for multimedia and other systems
US20070112444A1 (en) * 2005-11-14 2007-05-17 Alberth William P Jr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HUD projector, systems and methods
KR20090061179A (ko) * 2007-12-11 2009-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JP5277703B2 (ja) * 2008-04-21 2013-08-28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
KR101559778B1 (ko) * 2008-12-01 201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8777427B2 (en) * 2008-12-10 2014-07-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hort throw projection lens with a dome
US8356907B2 (en) * 2009-07-25 2013-01-22 Giga-Byte Technology Co., Ltd. Host computer with a projector
KR20110096372A (ko) * 2010-02-22 2011-08-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프로젝트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196760B1 (ko) * 2010-03-03 2012-11-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US8432362B2 (en) * 2010-03-07 2013-04-30 Ice Computer, Inc. Keyboards and methods thereof
US10061387B2 (en) * 2011-03-31 2018-08-2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s
US8851372B2 (en) * 2011-07-18 2014-10-07 Tiger T G Zhou Wearable personal digital device with changeable bendable battery and expandable display used as standalone electronic payment card
KR101999958B1 (ko) * 2013-05-22 201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8725842B1 (en) * 2013-07-11 2014-05-13 Khalid Al-Nasser Smart wa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0091B2 (en) 2020-07-02 2022-05-10 Dylan Appel-Oudenaar Apparatus with handheld form factor and transparent display with virtual content rendering
US11729303B2 (en) 2020-07-02 2023-08-15 Dylan Appel-Oudenaar Display with virtual content rend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6017A1 (en) 2016-03-10
CN107148757A (zh) 2017-09-08
US20160073073A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9390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692953B2 (en) Camera-lens automatic pop-up assembly
US826036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creen scrolling method thereof for projecting display information
US81112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touch screen functionality
KR102223282B1 (ko) 스마트 줄자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물체 길이 측정 방법
US2017005256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60876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146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2017012882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58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1390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094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91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541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4462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18395B1 (ko) 스마트 레이저 폰
KR201500916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413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124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10286839B (zh) 消息发送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6006626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502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527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186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46947A (ko)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