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740A - 홈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홈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740A
KR20160028740A KR1020140117659A KR20140117659A KR20160028740A KR 20160028740 A KR20160028740 A KR 20160028740A KR 1020140117659 A KR1020140117659 A KR 1020140117659A KR 20140117659 A KR20140117659 A KR 20140117659A KR 20160028740 A KR20160028740 A KR 20160028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smart
home appliance
are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나
이윤철
최윤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8740A/ko
Publication of KR2016002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홈 게이트웨이가 개시된다. 본 홈 게이트웨이는, 스마트 홈 시스템 내의 제1 가전기기와 IP 주소를 이용하지 않는 제1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이동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제1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제1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제1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입력받은 제어 명령이 제1 가전기기에 전송되도록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홈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 방법{HOME GATEWAY AND MEHT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홈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기기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스마트 홈 시스템 내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홈 게이트웨이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HAS : Home Automation System)이라고하는 가정 자동화 시스템은 가정 내의 각종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최근 들어,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기능에 추가되고 있는데, 홈 네트워크 기능도 이들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홈 네트워크 기능이란 세대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에도, 인터넷 망을 통하여 자신의 집 안에 있는 각종 가전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스마트 홈 시스템 내에서는 외부 통신망과 가전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게이트웨이는 가전기기와 외부 통신망에 위치하는 이동기기를 연결해 줄 뿐, 직접 가전기기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직접 가전기기로 이동하여 제어하거나, 이동기기를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외부에서는 이동기기를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지만, 가전 내에서 사용자는 이동기기를 휴대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스마트 램프와 같은 가전기기는 직접 가전기기에서 동작 상태를 변경할 수 없다는 점에서, 가전기기의 설정 변경을 위하여 이동기기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기기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스마트 홈 시스템 내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홈 게이트웨이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는, 스마트 홈 시스템 내의 제1 가전기기와 IP 주소를 이용하지 않는 제1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이동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1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받은 제어 명령이 상기 제1 가전기기에 전송되도록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Zigbee, Zwave, 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일 수 있다.
한편, 제1 가전기기는, 스마트 램프, 스마트 도어락, 스모크 알람, 스마트 플러그, 모션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스마트 홈 시스템 내의 제2 가전기기와 IP 주소를 이용하는 제2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가전기기로부터 에러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가 가변하는 제어 명령이 송신되도록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 가전기기는, 방송수신장치, 에어컨, 세탁기, 냉장고, 전자레인지, 로봇 청소기 및 IP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기기로부터 상기 제1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 명령이 상기 제1 가전기기에 송신되도록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가전 기기에 대해서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작 상태는, 스마트 램프의 온/오프 여부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스마트 램프는 배치되는 공간 영역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을 선택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받은 그룹 내의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을 선택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선택받은 그룹 내의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 각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홈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1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벽에 매립된 스위치 박스에 장착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상기 스위치 박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받는 물리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물리 스위치에 매핑된 제1 가전기기의 전원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무선 통신방식으로 수신된 상기 제1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가전기기로 직접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스마트 램프는 배치되는 공간 영역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 내의 스마트 램프 각각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10은 도 2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홈 시스템(200)은 복수의 가전기기(10, 20, 30), 이동기기(50) 및 홈 게이트웨이(1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홈 시스템(200)은 자동화를 지원하는 개인 주택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텔리전트 빌딩의 온도 제어, 문과 창 제어, 보안 시스템 등)은 가정 자동화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스마트 홈 시스템은 안방 조명 제어, 자동으로 효율적인 에어컨, 방범 시스템, 의료 시스템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복수의 가전기기(10, 20, 30)는 세대 내의 각종 전력 소모 장치(즉, 가전기기)이다. 이러한 복수의 가전기기(10, 20, 30)는 자신의 상태 정보를 홈 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홈 게이트웨이(1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전기기(10, 20, 30)는 통신 방식에 따라 제1 가전기기(20, 30)와 제2 가전기기(10)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가전기기(20, 30)는 IP 주소를 이용하지 않는 제1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 램프, 스마트 도어락, 스모크 알람, 스마트 플러그, 모션 센서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램프는 사용자의 제어 또는 자동으로 밝기 및 색을 가변할 수 있는 전기 램프이다. 그리고 스마트 도어락(또는 디지털 도어락)은 문의 잠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스마트 플러그(20)는 특정 전력 소모 장치의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스마트 플러그(20)는 홈 게이트웨이(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장치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가 선풍기의 플러그에 결합하여 콘센트에 연결되면, 홈 게이트웨이(100)는 선풍기의 동작 여부 및 선풍기 유입되는 전력 소비량을 알 수 있으며, 선풍기에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모크 알람은 연기를 감지하고, 연기가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모션 센서는 특정 공간 내의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센서의 예로 스모크 알람 및 모션 센서만을 예시로 들었지만, 구현시에는 상술한 센서 이외에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IP 주소 기반으로 동작하지 않는 Zigbee, Zwave, Bluetooth일 수 있다. 여기서, 지그비(Zigbee)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이다. 그리고 Zwave는 가정 자동화와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저전력과 저 대역폭을 요구하는 장치를 위해 설계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다. 그리고 Bluetooth는 개인용컴퓨터ㆍ프린터ㆍ전화ㆍ팩스ㆍ휴대전화 등의 정보통신기기는 물론 텔레비전ㆍ냉장고 등 가전제품도 10~100m 정도의 거리에서 무선으로 연결해 주는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제2 가전기기(10)는 IP 주소를 이용하는 제2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가전기기이다. 여기서,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WiFi 방식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전기기는 방송수신장치(예를 들어, TV, 셋탑 박스, 오디오 등), 에어컨, 세탁기, 냉장고, 전자레인지, 로봇 청소기, IP 카메라 등일 수 있다.
이동기기(50)는 휴대 가능한 단말장치로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동기기(50)는 인터넷 또는 제2 무선 통신 방식으로 홈 게이트웨이(100)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기기(50)는 복수의 가전기기(10, 20, 3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가전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기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통신망(40)을 통하여 세대 밖에서 동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홈 게이트웨이(100)와 제2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세대 내에서도 동작할 수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외부 통신망(40)은 이동통신망 예를 들어, 3G망, LTE 망, WIBRO등의 무선 인터넷망을 포함할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100)는 스마트 홈 시스템 내의 가전기기(10, 20, 30)와 연결되면, 가전기기(10, 20, 3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를 표시하거나, 이동기기(5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홈 게이트웨이(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가전기기(10, 20, 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명령은 이동기기(50)를 통하여 수신한 것일 수 있으며, 홈 게이트웨이(100)에 위치하는 입력부를 통하여 직접 입력받은 것일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100)는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직접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직접 입력받을 수 있는바, 세대 내에서는 이동기기의 사용 없이도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동기기(50)가 외부 통신망(40)을 통하여 홈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기기(50)는 내부 통신망을 통하여 홈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2 가전기기(10)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제2 가전기기(10)는 IP 기반의 유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2 가전기기(10)가 직접 홈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무선 공유기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스마트 홈 시스템(200) 내의 하나의 홈 게이트웨이(100)가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스마트 홈 시스템(200)은 복수의 홈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홈 게이트웨이 각각은 서로 다른 방의 스위치 박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홈 게이트웨이 각각은 마스터 디바이스 또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에 배치되는 홈 게이트웨이는 다른 홈 게이트웨이를 제어할 수 있는 마스터 디바이스로 동작할 수 있으며, 각 방에 배치되는 홈 게이트웨이는 마스터 디바이스에 자신이 제어할 수 있는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홈 게이트웨이(10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입력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 게이트웨이(100)는 벽에 매립된 스위치 박스에 장착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100)의 형태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홈 게이트웨이(100)를 제1 가전기기(20, 30)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IP 주소를 이용하지 않는 제1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1 가전기기(20, 3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1 가전기기(20, 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제1 가전기기(20, 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IP 주소 기반으로 동작하지 않는 Zigbee, Zwave, Bluetooth일 수 있으며, Non IP 통신 방식이라 지칭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 제1 가전기기(20, 30) 들이 하나의 제1 무선 통신 방식만을 이용한다면,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하나의 제1 무선 통신 방식만을 지원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가전기기(20, 30) 중 하나는 Zigbee로 동작하고, 다른 것들은 Zwave로 동작한다면,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복수의 제1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홈 게이트웨이(100)를 제2 가전기기(10)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IP 주소를 이용하는 제2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2 가전기기(1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2 가전기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제2 가전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IP 주소 기반으로 동작하는 WiFi 일수 있으며, IP 통신 방식이라 지칭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홈 게이트웨이(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이동기기)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상술한 제2 무선 통신(예를 들어, GSM, UMTS, LTE, WiBRO, WiFi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이동기기(50)에 가전기기(10, 20, 30)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거나, 각 가전기기(10, 20, 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홈 게이트웨이(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30)는 홈 게이트웨이(100)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CRT, 유기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등과 같은 모니터일 수 있으며, 후술할 입력부(14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는 홈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되는 각종 가전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30)는 복수의 가전 기기를 종류별로 구별하고, 구별된 종류별로 가전기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류는 가전 기기의 종류뿐만 아니라, 가전 기기가 배치되는 공간에 의해서도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종류의 가전기기가 홈 게이트웨이(100) 내의 복수개 위치하는 경우, 스마트 램프가 위치하는 공간별로 복수의 스마트 램프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그룹별로 스마트 램프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게이트웨이(100)에 복수의 스마트 램프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복수의 스마트 램프 각각의 동작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스마트 램프는 배치되는 공간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부(130)는 구분된 그룹별로 각 그룹에 속한 스마트 램프 각각의 동작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하나의 스마트 램프에 대한 동작 여부 및 휘도 값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30)는 홈 게이트웨이(100)의 동작 모드를 설정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모드는 하나의 가전에 대한 기설정된 제어 상태 또는 복수의 가전에 대한 기설정된 제어 상태이다. 예를 들어, 집안에 있는 모든 램프를 오프하고, 라디오를 온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하나의 동작 모드(ex 모닝 모드)로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복수의 동작 모드 중 모닝 모드를 선택하면, 홈 게이트웨이(100)는 모닝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가전기기에 대한 복수의 제어 동작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30)에서 표시될 수 있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창의 예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입력부(140)는 가전기기(10, 20, 3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40)는 홈 게이트웨이(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입력부(140)는 복수의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3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입력부(140)는 홈 게이트웨이(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물리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리 스위치는 기 매핑된 제1 가전기기(예를 들어, 스마트 램프)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매핑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할 수 있으며, 홈 게이트웨이(100)가 자동으로 가장 인접한 스마트 램프 또는 홈 게이트웨이(100)가 위치하는 공간 내의 천장에 배치되는 스마트 램프를 매핑해 놓을 수 있다.
저장부(150)는 홈 게이트웨이(1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홈 게이트웨이(100) 내의 저장매체(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HDD), SDD 등) 및 외부 저장매체(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호스트(Host)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50)는 각 가전기기들의 이력 정보(전기 사용량, 가전기기의 제어 이력(사용자가 입력한 조작 명령과 조작 명령이 입력된 시간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홈 게이트웨이(100) 내의 각 장치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기설정된 시간 단위 또는 기설정된 이벤트 상황인 경우에 스마트 홈 시스템(200) 내의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취득된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하거나, 취득된 상태 정보가 이동기기(40)에 제공되도록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태 정보의 이동기기로의 제공은 인증된 이동기기(40)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제어 명령에 해당하는 가전기기에 입력된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의 제1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부(140)를 수신하면, 제어부(160)는 수신된 제어 명령을 제1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직접 해당 제1 가전기기(20, 30)에 전송되도록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제2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이동기기(40)를 통하여 수신하면, 제어부(160)는 수신된 제어 명령을 제2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2 가전기기에 전송되도록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하나의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제어 명령은 복수의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60)는 복수의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제1 가전기기(20, 30) 또는 제2 가전기기(1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태 정보로서 에러를 수신하면, 제1 가전기기(20, 30)의 동작 상태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모크 알람으로부터 스모크를 감지하였다는 정보를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하면, 제어부(160)는 스마트 홈 시스템 내의 모든 스마트 램프 또는 일부 스마트 램프가 깜박이거나 색상이 변경되도록 가변할 수 있다. 또는 냉장고로부터 냉장고 문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열려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160)는 스마트 홈 시스템 내의 일부 스마트 램프(예를 들어, 켜져 있는 램프(사용자가 있을 가능성이 큰 공간의 램프)의 색상이 변경되도록 가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각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조작 패턴에 따라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저녁 10시에 잠자리에 들면서 모든 방에 램프를 점멸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저녁 10시에 모든 램프에 대한 오프 명령을 해당 사용자에 대한 조작 패턴으로 생성하고, 사용자의 별도의 명령이 없더라도 저녁 10시가 되면 모든 램프가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100)는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및 입력부를 구비하는바, 세대 내에서는 이동기기의 사용 없이도 가전기기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홈 게이트웨이(100)는 벽에 매립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게이트웨이(100)는 벽에 매립된 스위치 박스에 장착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게이트웨이(100)는 1 구 내지 3구 스위치와 같은 크기(외형 72.4mm*120mm)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홈 게이트웨이(100)의 일 면(벽에 매립되지 않는 면)에는 디스플레이부(130) 및 물리 스위치(141)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 스위치(141)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물리 스위치(14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의 가정 기기의 전원 온/오프에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물리 스위치(141)를 이용하여 손쉽게 가전기기의 전원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게이트웨이(100)가 거실에 위치한 경우, 홈 게이트웨이(100)의 물리 버튼은 거실의 천정에 위치하는 스마트 램프에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일반적인 램프 제어 방식과 동일하게 스위치를 가변하여 스마트 램프를 제어할 수 있는바,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이질감 없이 손쉽게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30)는 홈 화면(300)을 표시한다. 여기서, 홈 화면(300)은 복수의 메뉴 영역(310, 320, 330, 304)을 포함한다.
제1 메뉴 영역(310)은 동작 모드를 선택받거나 생성 또는 편집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제1 메뉴 영역(310)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4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메뉴 영역(320)은 스마트 홈 시스템(200) 내의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를 확인 및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제2 메뉴 영역(320)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8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제3 메뉴 영역(330)은 스마트 홈 시스템(200) 내의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 상태를 확인 및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제3 메뉴 영역(330)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복수의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 상태 및 각 스마트 플러그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소비 전력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4 메뉴 영역(340)은 홈 게이트웨이(100)의 동작 상태를 설정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메뉴이다. 사용자는 제4 메뉴 영역(340)을 선택하여 홈 게이트웨이(100)가 연결할 AP를 선택하거나, 새로운 가전기기가 있는 경우 신규 가전기기가 속할 그룹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홈 화면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홈 화면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홈 게이트웨이(100)를 통하여 처음 만나는 화면은 도 3의 화면이 아니라, 도 8과 같은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는 복수의 메뉴만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가전기기에서 이벤트가 발생하고, 발생한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알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홈 화면(300) 또는 이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상단에 알림 메시지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세탁기의 동작 완료, 세탁기가 동작 중인 경우 세탁 완료까지 남은 시간, 에어컨이 동작 중인 경우 에어컨 설정 온도 또는 현재 온도 등일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복수의 메뉴에 제2 가전기기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가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구현시에는 제2 가전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메뉴가 상술한 메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에 대응되는 메뉴 영역이 상술한 복수의 메뉴 영역(310, 320, 330, 304)에 추가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은 도 2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3의 제1 메뉴 영역(310)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00)은 메뉴 표시 영역(410), 동작 모드 선택 영역(420), 편집 영역(430), 메뉴 위치 영역(440)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 표시 영역(410)은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서 표시하는 메뉴의 종류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00)을 좌측 스크롤 또는 우측 스크롤하여, 상위 메뉴를 경유하지 않더라도 다른 메뉴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00) 상에서 우에서 좌측으로 플리크(flick) 상호작용을 수행한다면, 디스플레이부(130)는 제1 메뉴 영역(310)의 다음에 해당하는 제2 메뉴 영역(320)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예를 들어, 도 8)을 표시할 수 있다.
동작 모드 선택 영역(420)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동작 모드를 표시하고, 그중 하나를 선택받는 영역이다. 여기서 동작 모드란, 기설정된 동작 상태를 갖도록 하나의 가전기기의 상태를 가변하거나, 복수의 가전기기의 상태를 가변하는 일련의 제어 명령 세트이다. 이러한 동작 모드는 제조사에서 미리 만들어 놓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등록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1 동작 모드 내지 제4 동작 모드(421, 422, 423, 424)는 제조사에서 미리 만들어 놓은 제어 명령 세트이다.
예를 들어, 제1 동작 모드(421)는 아침에 수행될 수 있는 복수의 램프에 대한 턴-온 명령 및 오디오에 대한 턴-온 명령의 세트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동작 모드(421)를 선택하면, 홈 게이트웨이(100)는 복수의 스마트 램프에 대해서 턴-온 명령을 전송하고, 오디오에 턴-온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동작 모드(422)는 저녁 식사 시간에 수행될 수 있는 부엌 내의 특정 램프에 대한 턴-온, TV에 대한 턴-오프 명령의 세트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동작 모드(422)를 선택하면, 홈 게이트웨이(100)는 특정 스마트 램프에 대한 턴-온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TV에 턴-오프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동작 모드(423)는 사용자가 외출시에 설정해 놓을 수 있는 모션 센서에 대한 동작 온, 창문 감지 센서에 대한 동작 온, 모든 램프에 대한 턴-오프 명령의 세트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3 동작 모드(423)를 선택하면, 홈 게이트웨이(100)는 각종 센서에 대한 턴-온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모든 스마트 램프에 대한 턴-오프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동작 모드(424)는 잠자리 들기 전에 설정해 놓을 수 있는 복수의 창문 감지 센서에 대한 동작 온 및 거실 내의 모든 등의 전원 오프 명령의 세트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4 동작 모드(424)를 선택하면, 홈 게이트웨이(100)는 제4 동작 모드(424)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편집 영역(430)은 상술한 동작 모드의 제어 명령을 편집하거나 새로운 동작 모드를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편집 영역(430)을 선택하면 도 5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메뉴 위치 영역(440)은 복수의 메뉴 중 현재 메뉴의 위치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두 개의 메뉴가 더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화면을 스크롤하여 다른 메뉴로 접근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편집 영역(430)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500)은 메뉴 표시 영역(510), 모드 생성 영역(520), 모드 편집 영역(520) 및 완료 영역(5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 표시 영역(510)은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서 표시하는 메뉴의 종류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모드 생성 영역(520)은 새로운 동작 모드의 생성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이다. 사용자는 모드 생성 영역(520)을 선택하면, 새로운 동작 모드의 이름 및 해당 동작 모드에서 수행할 일련의 제어 명령의 세트를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새로운 동작 모드가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동작 모드는 하나의 모드 편지 영역(520)에 추가되며, 도 4의 동작 모드 선택 영역(420)에 추가될 수 있다.
모드 편집 영역(530)은 기생성되어 있는 동작 모드(531, 532, 533, 534, 535, 536)의 이름 또는 제어 명령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복수의 동작 모드 중 마이 모드(536)를 선택한 경우, 도 6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완료 영역(530)은 동작 모드의 편집을 종료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으로, 사용자가 완료 영역(530)을 선택하면, 도 4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으로 돌아갈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마이 모드(526)가 선택된 경우의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600)은 가전기기 표시 영역(610), 저장 영역(620) 및 취소 영역(6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기기 표시 영역(610)은 스마트 홈 시스템(200) 내의 가전기기 중 사용자가 제어 가능한 가전기기 종류(611, 612, 613, 614)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사용자는 해당 영역에서 표시될 가전기기 종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전 기기(614)를 선택한 경우, 도 7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하여 복수의 스마트 램프의 온/오프 제어 및 밝기 제어를 설정할 수 있다.
저장 영역(620)은 사용자의 설정을 저장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취소 영역(630)은 사용자의 설정을 취소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취소 영역(630)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으면, 도 5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으로 돌아갈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가전기기 종류(614)가 선택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700)은 선택된 가전기기 종류를 표시하는 영역(710), 설정 선택 영역(720, 730, 740), 저장 영역(750), 취소 영역(740)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선택 영역(720, 730, 740)은 선택받은 종류에 대응되는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동작 상태를 설정받은 영역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각 스마트 램프에 대한 온/오프 여부 및 밝기 정보만을 설정받을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스마트 램프의 동작 시간, 색 온도 등도 설정받을 수 있다.
저장 영역(750)은 사용자의 복수의 스마트 램프에 대한 설정을 저장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취소 영역(760)은 사용자의 복수의 스마트 램프에 대한 설정을 취소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취소 영역(760)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으면, 도 6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으로 돌아갈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제2 메뉴 영역(320)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800)은 메뉴 표시 영역(810), 일괄 제어 영역(820), 복수의 그룹 영역(830), 메뉴 위치 영역(840)을 포함한다.
메뉴 표시 영역(810)은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서 표시하는 메뉴의 종류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00)을 좌측 스크롤 또는 우측 스크롤하여, 상위 메뉴를 경유하지 않더라도 다른 메뉴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800) 상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플리크(flick) 상호작용을 수행한다면, 디스플레이부(130)는 제2 메뉴 영역(320)의 이전에 해당하는 제1 메뉴 영역(310)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예를 들어, 도 4)을 표시할 수 있다.
일괄 제어 영역(820)은 스마트 홈 시스템(200) 내의 모든 스마트 램프에 대한 일괄적인 전원 상태 제어를 입력받은 영역이다. 사용자가 해당 일괄 제어 영역(820)을 선택한 경우, 홈 게이트웨이(100)는 일괄 제어 영역(820) 우측에 표시된 아이콘의 점멸 여부에 따라 모든 스마트 램프를 전원 오프 제어하거나, 모든 스마트 램프의 전원 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그룹 영역(830)은 공간 영역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그룹을 나타내며, 각 그룹의 이름 및 각 그룹 내의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그룹 영역(830)을 선택하여, 각 그룹 내의 스마트 램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그룹 이름 옆에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으로 해당 그룹의 모든 스마트 램프의 전원 상태를 일괄적으로 온/온 오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일괄 제어 영역(820) 및 복수의 그룹 영역(830)의 우측에 표시된 아이콘은 해당 영역에 속하는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면서, 해당 그룹 내의 스마트 램프의 일괄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그룹 영역(832) 내의 스마트 램프들만 꺼져 있고, 다른 그룹 영역 내에 스마트 램프는 켜져 있는 경우, 그룹 영역(831, 833)에 해당하는 아이콘은 그룹 영역(832)의 아이콘과 다른 형태 또는 다른 색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그룹 영역(832)의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그룹 영역(832)에 속하는 스마트 램프들은 일괄적으로 턴-온될 수 있다.
메뉴 위치 영역(840)은 복수의 메뉴 중 현재 메뉴의 위치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두 개의 메뉴가 더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화면을 스크롤하여 다른 메뉴로 접근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거실 영역(831)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900)은 그룹 표시 영역(910), 기기 표시 영역(920), 그룹 위치 영역(930), 일괄 제어 영역(940), 편집 영역(960), 회귀 영역(97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룹 표시 영역(910)은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서 표시하는 메뉴의 종류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900)을 좌측 스크롤 또는 우측 스크롤하여, 상위 메뉴를 경유하지 않더라도 다른 메뉴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900) 상에서 우에서 좌측으로 플리크(flick) 상호작용을 수행한다면, 디스플레이부(130)는 거실 그룹(831)의 다음에 해당하는 부엌 그룹(832)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기기 표시 영역(920)은 현재 선택된 그룹에 속해 있는 스마트 램프의 이름 및 각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거실에 세 개의 스마트 램프가 위치하고, 그중 2개의 스마트 램프(922, 923)가 턴-온 상태임을 표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3개의 스마트 램프(921, 922, 92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한 스마트 램프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 램프(922)를 선택한 경우, 도 10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그룹 위치 영역(930)은 복수의 그룹 중 현재 그룹의 위치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두 개의 그룹이 더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화면을 스크롤하여 다른 그룹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일괄 제어 영역(940)은 현재 그룹 내의 복수의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를 일괄적으로 변환하는 영역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과반수의 스마트 램프가 턴-온된 상태인바, 전원 모양은 아이콘(940)은 그룹 내의 램프가 턴-온되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전원 모양은 도 8의 아이콘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괄 제어 영역(940)을 선택하면, 스마트 램프(922, 923)의 동작 상태가 턴-오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기 표시 영역(920)은 세대의 스마트 램프가 턴-오프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편집 영역(960)은 도시된 기기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사용자는 편집 영역(960)을 선택하여, 기기 표시 영역(920)에서 표시되는 각 가전기기의 위치 및 크기 등을 변경할 수 있다.
회귀 영역(970)은 이전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으로 돌아가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도 10은 도 9의 가전기기(922)가 선택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000)은 그룹 표시 영역(1010), 제1 정보 표시 영역(1020), 제2 정보 표시 영역(10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룹 표시 영역(1010)은 현재 가전기기가 속하는 그룹의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제1 정보 표시 영역(1020)은 사용자가 선택한 가전 기기의 정보를 표시하고, 해당 가전기기의 전원 온/오프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제2 정보 표시 영역(1030)은 사용자가 선택한 가전 기기의 밝기 상태를 표시하고, 밝기 상태를 조정 받는 영역이다. 도시된 예에선 사용자는 제1 정보 표시 영역(1020) 또는 제2 정보 표시 영역의 슬라이드 부분을 스크롤하여 해당 스마트 램프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 램프의 밝기만 조정가능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스마트 램프의 색 온도도 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무선 통신방식으로 수신된 제1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S1110). 구체적으로, 제1 가전기기가 복수의 스마트 램프인 경우, 복수의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한 화면에 복수의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어려운 경우, 복수의 스마트 램프를 배치되는 공간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그룹 단위로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S1120). 구체적으로, 홈 게이트웨이 상에 배치된 물리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제1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무선 통신 방식으로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제1 가전기기로 직접 전송한다(S1130). 구체적으로, IP 주소를 이용하지 않는 제1 무선 통신 방식으로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직접 해당 제1 가전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는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직접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직접 입력받을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1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홈 게이트웨이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홈 게이트웨이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에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200: 스마트 홈 시스템 100: 홈 게이트웨이
110: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입력부
150: 저장부 160: 제어부
10, 20, 30: 가전기기 40: 외부 통신망
50: 이동기기

Claims (20)

  1. 스마트 홈 시스템 내의 제1 가전기기와 IP 주소를 이용하지 않는 제1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이동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1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받은 제어 명령이 상기 제1 가전기기에 전송되도록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Zigbee, Zwave, 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3. 제1항에 있어서,
    제1 가전기기는,
    스마트 램프, 스마트 도어락, 스모크 알람, 스마트 플러그, 모션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스마트 홈 시스템 내의 제2 가전기기와 IP 주소를 이용하는 제2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가전기기로부터 에러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가 가변하는 제어 명령이 송신되도록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6. 제4항에 있어서,
    제2 가전기기는,
    방송수신장치, 에어컨, 세탁기, 냉장고, 전자레인지, 로봇 청소기 및 IP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기기로부터 상기 제1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 명령이 상기 제1 가전기기에 송신되도록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가전 기기에 대해서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는,
    스마트 램프의 온/오프 여부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 램프는 배치되는 공간 영역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을 선택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받은 그룹 내의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을 선택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선택받은 그룹 내의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 각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벽에 매립된 스위치 박스에 장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상기 스위치 박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받는 물리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물리 스위치에 매핑된 제1 가전기기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18. IP 주소를 이용하지 않는 제1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가전기기 및 이동기기와 연결 가능한 홈 게이트웨이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방식으로 수신된 상기 제1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가전기기로 직접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스마트 램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 램프는 배치되는 공간 영역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 내의 스마트 램프 각각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40117659A 2014-09-04 2014-09-04 홈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28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659A KR20160028740A (ko) 2014-09-04 2014-09-04 홈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659A KR20160028740A (ko) 2014-09-04 2014-09-04 홈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740A true KR20160028740A (ko) 2016-03-14

Family

ID=5554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659A KR20160028740A (ko) 2014-09-04 2014-09-04 홈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8740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9702A (zh) * 2016-04-29 2016-09-07 四川邮科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监控方法
CN106546284A (zh) * 2016-10-15 2017-03-29 成都育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家庭环境健康检测多功能系统
CN107193214A (zh) * 2017-05-26 2017-09-22 潘昭恺 一种基于物联网的远程智能家居系统
CN107682600A (zh) * 2017-09-30 2018-02-09 湖南海翼电子商务股份有限公司 摄像机和网关
WO2018036198A1 (zh) * 2016-08-22 2018-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的控制方法、装置、家庭网关及移动终端
CN108111362A (zh) * 2018-02-07 2018-06-01 宁夏翔羚科技有限公司 智能家居设备控制方法及智能家居
CN109032033A (zh) * 2018-08-24 2018-12-18 明光智源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舒适型智能家居系统
WO2019184914A1 (zh) * 2018-03-27 2019-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智慧家庭设备管理的方法、设备及智慧家庭系统
CN110677329A (zh) * 2018-07-02 2020-01-10 音贝半导体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控制与监测系统
KR200495991Y1 (ko) * 2021-04-27 2022-10-07 주식회사 맥시오 공동주택 홈네트워크의 세대 내 네트워크에 보안기능을 추가하는 멀티플렉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9702A (zh) * 2016-04-29 2016-09-07 四川邮科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监控方法
WO2018036198A1 (zh) * 2016-08-22 2018-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的控制方法、装置、家庭网关及移动终端
CN106546284A (zh) * 2016-10-15 2017-03-29 成都育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家庭环境健康检测多功能系统
CN107193214A (zh) * 2017-05-26 2017-09-22 潘昭恺 一种基于物联网的远程智能家居系统
CN107682600A (zh) * 2017-09-30 2018-02-09 湖南海翼电子商务股份有限公司 摄像机和网关
CN107682600B (zh) * 2017-09-30 2020-04-07 安克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摄像机和网关
CN108111362A (zh) * 2018-02-07 2018-06-01 宁夏翔羚科技有限公司 智能家居设备控制方法及智能家居
CN108111362B (zh) * 2018-02-07 2021-02-02 深圳市安百纳智能实业有限公司 智能家居设备控制方法及智能家居
WO2019184914A1 (zh) * 2018-03-27 2019-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智慧家庭设备管理的方法、设备及智慧家庭系统
CN110677329A (zh) * 2018-07-02 2020-01-10 音贝半导体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控制与监测系统
CN109032033A (zh) * 2018-08-24 2018-12-18 明光智源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舒适型智能家居系统
KR200495991Y1 (ko) * 2021-04-27 2022-10-07 주식회사 맥시오 공동주택 홈네트워크의 세대 내 네트워크에 보안기능을 추가하는 멀티플렉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8740A (ko) 홈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 방법
US9437060B2 (en) Initiating remote contro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KR102020100B1 (ko) 조명 제어기
US11334208B2 (en) Control apparatus
US9288880B2 (en) Smart home networ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0883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35952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40244040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devices for building automation and energy management
CN105451412A (zh) 灯控制设备和该灯控制设备的控制灯的方法
KR20150059081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JPWO2014136268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TWI641248B (zh) 控制裝置、及控制方法
US11483173B2 (en) Smart adaptation of the functionalities of a remote control in a local area network
JP2018007157A (ja) 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AU2016336004B2 (en) Home automation system device power optimization
JP2019129345A (ja) 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システム
KR20160050963A (ko) 지능형 홈 에코 시스템의 제어기기 등록용 스마트 단말장치와 그 등록 방법
KR20140089843A (ko) 가전기기 및 이동 단말기
JP2020057965A (ja) 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