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823A -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823A
KR20160027823A KR1020140116421A KR20140116421A KR20160027823A KR 20160027823 A KR20160027823 A KR 20160027823A KR 1020140116421 A KR1020140116421 A KR 1020140116421A KR 20140116421 A KR20140116421 A KR 20140116421A KR 20160027823 A KR20160027823 A KR 20160027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user terminal
base station
local gateway
p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4482B1 (ko
Inventor
이기호
임승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16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48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내망과 기지국 사이에 연결된 로컬 게이트웨이가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는 방법은 상기 사내망에 위치하고 상기 기지국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트래픽이 데이터 호 트래픽인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달받은 트래픽을 상기 사내망으로 오프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METHOD FOR TRAFFIC OFFLOADING AND RECEIVING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업 내부의 통신망 즉, 내부망의 보안성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어왔다. 이러한 시도는 일반적으로 외부망에서 내부망으로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주로 발전해왔다. 예컨대, 기업 외부의 단말기에서 내부망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보안채널(예컨대, VPN(Virtual Private Network) 채널 등)을 통하도록 하거나 또는 기업 내 인트라넷(Intranet) 의 접속 지원의 방식이 있다.
그런데 종래에 이러한 방식은 유선 단말에 국한되어 있다. 하지만, 요즘은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들을 휴대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 정보 유출 역시 이러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막고자 기업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별도의 보관함에 보과시키는 등으로 기업 내에 위치할 때에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을 금지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직원이 아닌 일회적인 외부 방문자들에게도 적용되어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의 사용 자체를 금지하면, 음성 통화 마저 할 수 없어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내망에서 트래픽 종류를 구분하여 기업 사용자에 대해서는 사내망으로 데이터 트래픽의 오프로딩을 제어하고, 사내방에서 트래픽 착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은, 사내망과 기지국 사이에 연결된 로컬 게이트웨이가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내망에 위치하고 상기 기지국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트래픽이 데이터 호 트래픽인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으로 판단되면, 상기 트래픽을 상기 사내망으로 오프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이 아니라면, 상기 트래픽을 상기 기지국을 통해 외부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의 베어러에 할당된 QoS 클래스 식별자(QOS Class Identifier, QCI)를 토대로 상기 전달받은 트래픽의 종류를 구분하여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여 기업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업 가입자가 아니라면, 상기 트래픽을 상기 외부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업 가입자라면,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업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SPID(Subscriber Profile ID)를 토대로 상기 기업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은 사내망과 기지국 사이에 연결된 로컬 게이트웨이가 상기 사내망에서의 트래픽 착신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내망에 위치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트래픽의 착신 대상인 상기 사내망에 위치한 제2 사용자 단말에게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페이징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트래픽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착신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가 기지국으로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게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페이징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로 연결되어 페이징 절차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신시키는 단계는,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가 상기 트래픽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트래픽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연결 알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연결 알림이 수신되면, 상기 트래픽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으로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가 상기 트래픽의 착신 IP 주소와 매핑된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가 상기 사내망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등록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각각의 IP 주소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새로 접속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변경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등록된 기지국으로 상기 페이징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은 사내망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트래픽을 송수신하는 기지국, 그리고 상기 사내망 및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트래픽이 데이터 호 트래픽인지 판단하여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으로 판단되면, 상기 트래픽을 상기 사내망으로 오프로딩하는 로컬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는,
상기 트래픽의 베어러에 할당된 QoS 클래스 식별자(QOS Class Identifier, QCI)를 토대로 상기 전달받은 트래픽의 종류를 구분하여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으로 판단되면 상기 트래픽을 사내망으로 오프로딩하고,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외의 트래픽으로 판단되면 상기 트래픽을 외부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업 가입자인 경우,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을 상기 사내망으로 오프로딩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업 가입자가 아닌 경우, 모든 트래픽을 상기 외부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페이징을 요청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착신자로 하는 트래픽이 상기 사내망에서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에게 페이징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기지국이 연결되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트래픽을 전송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페이징 요청을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페이징 응답이 수신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면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트래픽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착신시킬 수 있다.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내망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등록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트래픽이 수신되면 상기 트래픽의 착신 IP 주소와 매핑된 단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여 새로 위치 등록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변경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트래픽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등록된 기지국으로 상기 페이징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외부망과 연결되는 코어 시스템 및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와 연결되는 디지털 유닛, 그리고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디지털 유닛과 물리적으로 구분되고, 상기 디지털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디지털 신호를 변환 및 증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접속되어 트래픽을 송수신하는 복수의 무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무선 유닛은,
매크로 셀 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고출력의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매크로 셀을 관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무선 유닛은,
펨토 셀 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소출력의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펨토 셀을 관장할 수 있다.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는,
상기 디지털 유닛에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업 내 인트라넷(Intranet)의 접속 지원을 통한 기업 보안 유지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기업 내 트래픽의 기지국 오프로딩(Offloading)을 통하여 트래픽 지연 단축 및 EPC(코어) 부하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음성 서비스의 핸드오버 지원을 통한 서비스 품질 유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내망에서 단말 위치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기업 사내망에 배치된 사용자 단말(100), 복수의 무선 유닛(Radio Unit, RU)(200),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DU)(300), 로컬 게이트웨이(400) 및 사내망(500)을 포함한다. 그리고 통신 사업자망에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 게이트웨이(600), 스위치(700), DU 집중센터(800),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900), 홈위치등록기(HLR)(1000),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t, S-GW)(1100) 및 패킷 게이트웨이(Packet Gateway, P-GW)(1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VPN 게이트웨이(600), 스위치(700) 및 DU 집중 센터(800)는 통신 사업자가 자체 구축한 DU 집중국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MME(900), HLR(1000), S-GW(1100) 및 P-GW(1200)는 교환국사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기업 사내망에 위치하고, PC와 같은 유선 단말을 비롯하여 휴대가 가능한 단말, 예를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무선 유닛(200) 및 디지털 유닛(300)은 하나의 기지국(eNodeB)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나의 기지국(eNodeB)은 무선 유닛(200) 및 디지털 유닛(300) 각각에 대응하는 처리부를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포함하고,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이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
복수의 무선 유닛(200)은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기지국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디지털 유닛(30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서비스 지역 즉 셀 사이트(cell site)에 설치된다. 복수의 무선 유닛(200)은 디지털 유닛(300)으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한다. 복수의 무선 유닛(200)은 하나의 디지털 유닛(300)에 복수 개가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무선 유닛(200)과 디지털 유닛(300)은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무선 유닛(200)은 매크로 셀 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고출력의 전력을 사용하여 매크로 셀을 관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무선 유닛(200)은, 펨토 셀 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소출력의 전력을 사용하여 펨토 셀을 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펨토 셀은 셀룰러 시스템에서 매우 작은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셀을 의미한다.
디지털 유닛(300)은 외부망과 연결되는 코어 시스템 및 로컬 게이트웨이(400)와 연결되어 무선 디지털 신호를 암호화 및 복호화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디지털 유닛(300)은 무선 유닛(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각각의 디지털 유닛(300)을 가상 플랫폼 기반으로 탑재한 가상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각각의 디지털 유닛(300)은 각각의 소프트웨어 즉 LTE 소프트웨어, HSPA+ 소프트웨어, WiMAX 소프트웨어를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 위에 탑재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내망(500)은 인트라넷(Intranet)과 같은 망(Network)을 의미한다. 그리고 외부망은 인터넷(Internet)(1300)과 같은 망을 의미한다.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디지털 유닛(300) 및 사내망(5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내 교환국의 기능을 포함한다. 그리고 IP Termination, NAT, Paging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트래픽이 데이터 호 트래픽인지 판단하여 데이터 호 트래픽으로 판단되면, 트래픽을 사내망(500)으로 오프로딩한다. 여기서, 사내망(500)은 인트라넷 시스템 형태로 구축될 수 있고, 오프로딩된 트래픽은 차단될 수 있다. 즉, 사내망(500)에서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차단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트래픽의 베어러에 할당된 QoS 클래스 식별자(QOS Class Identifier, QCI)를 토대로 트래픽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QoS 클래스 식별자 별로 트래픽 종류는 표 1과 같다.
QoS 클래스 식별자 트래픽 종류
QCI 5 음성 호처리용 시그널링 트래픽(통화 호 트래픽)
QCI 1 및 QCI 2 음성/영상 호 처리용 사용자 데이터
(통화 호 트래픽)
QCI 6/7 데이터 호 트래픽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트래픽 종류를 구분한 후, 데이터 호 트래픽으로 판단되면 트래픽을 사내망(500)으로 오프로딩한다. 반면, 데이터 호 트래픽외의 트래픽, 즉, 통화 호 트래픽으로 판단되면 코어 시스템 또는 코어 시스템을 통해 외부망으로 전송한다.
이때,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트래픽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100)이 기업 가입자인 경우, 데이터 호 트래픽을 사내망(500)으로 오프로딩하고 기업 가입자가 아닌 경우, 모든 트래픽을 코어 시스템 또는 코어 시스템을 통해 외부망으로 전송한다.
또한, 무선 유닛(200)은 각각 TAL(Tracking Area Location)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하여 TAL이 달라지면, 해당 무선 유닛(200)에 위치 등록을 하게 된다.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하여 접속한 기지국 또는 무선 유닛(200)의 위치를 추적하여 단말의 위치 등록을 관리한다. 즉,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하여 새로 위치 등록한 기지국(200, 30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변경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사내망(500)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등록된 기지국(200, 30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IP 주소와 매핑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사내망(500)에서 트래픽이 수신되면 트래픽의 착신 IP 주소와 매핑된 단말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을 기지국(200, 300)으로 전송한다. 이때, 단말 정보는 임시(IMSI)일 수 있다. 로컬 게이트웨이(400) 사용자 단말(100)을 착신자로하는 트래픽이 사내망(500)에서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 등록한 기지국(200, 300)에게 페이징을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이 연결되면 기지국으로 트래픽을 전송한다.
이러한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디지털 유닛(300)과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디지털 유닛(300)에 탑재될 수도 있다.
VPN 게이트웨이(600)는 디지털 유닛(600)과 VPN 터널을 통해 연결되어 암호화된 트래픽을 송수신한다.
SW(700)는 집중국에 있는 복수개의 DU로부터 오늘 트래픽을 Aggregation 하여 EPC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DU 집중국(800)은 사업자의 일반 가입자 트래픽을 수용하는 DU들을 집중화시켜 놓은 곳이다.
MME(900)는 비액세스 시그널링(Non-Access Signaling, NAS), NAS 시그널링 보안(Signaling Security), 사용자 단말(100)의 이동성 관리, 아이들 모드 단말(Idle mode UE)의 위치 관련, 로밍(Roaming) 관련, 인증(Authentication), 베어러 관리(Bearer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HLR(1000)은 사용자 단말(100)의 가입자 정보와 위치 정보를 관리한다.
S-GW(1100)는 사용자 단말(100)이 기지국(200, 300) 사이의 핸드오버시, 또는 3GPP 무선망 사이를 이동시 이동성 앵커 역할을 수행한다.
P-GW(1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고, 코어 망의 패킷 데이터 관련 기능을 수행하며, 3GPP 무선망과 non-3GPP 무선망 사이 이동시 이동성 앵커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로컬 게이트웨이(400)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패킷이 수신(S101)되면, 사용자 단말(100)이 기업용 가입자인지를 판단한다(S103).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가입자 프로파일(SPID)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가입자 프로파일(SPID)은 HLR(1000)에 저장되고, MME(9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가입자 프로파일(SPID)이 특정 값이면, 기업용 가입자로 판단할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기업용 가입자로 판단되면,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패킷이 전송된 베어러에 할당된 QOS 클래스 식별자(QCI)를 토대로 트래픽 종류를 확인한다(S105). 이때,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사용자 단말(100)과 설정된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 SRB)를 확인하면, 할당된 QCI를 알 수 있다. 즉, 패킷이 수신되면, 해당 패킷이 전송된 무선 베어러에 할당된 QCI를 알 수 있다. 이때, 표 1과 같이 QCI 정보를 "QCI #n"형태로 수신하는 것을 예로 하며, 여기서, n은 임의의 정수를 의미한다.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한 트래픽이 데이터 호 트래픽인지 또는 통화 호 트래픽인지를 판단한다(S107).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데이터 호 트래픽으로 판단되면, S101 단계에서 수신한 트래픽을 사내망(500)으로 오프로딩한다(S109).
반면,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통화 호 트래픽으로 판단되면, S101 단계에서 수신한 트래픽을 외부망(1300)으로 전송한다(S11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내망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이 MME(900)에게 위치 등록을 한다(S201). 그러면, MME(900)은 사용자 단말(100)의 IMSI 정보를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기지국(300)으로 전송한다(S203).
기지국(300)은 MME(900)로부터 수신한 IMSI 정보를 로컬 게이트웨이(400)에게 전송한다(S205). 그러면,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수신한 IMSI 정보와 사용자 단말(100)의 IP 주소를 매핑(S207)하여 저장한다.
이후,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사내망(500)으로부터 트래픽이 수신되면(S209), 트래픽의 착신 IP 주소와 매핑된 IMSI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한 IMSI를 이용하여 기지국(300)으로 페이징을 요청한다(S211).
그러면, 기지국(300)은 S211 단계에서 수신한 페이징 요청을 MME(900)로 전송한다(S213).
MME(900)는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100)로 페이징을 요청한다(S215). 이때, 페이징은 IMSI에 해당하는 가입자의 S-TMSI를 이용하여 페이징한다. 그리고 페이징 응답이 수신되면, 페이징 절차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며, 사용자 단말(100)은 기지국(200, 300)과 연결된다(S217).
기지국(300)은 IMSI를 이용한 단말 연결 알림을 로컬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S219). 그러면,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사내망(500)으로부터 수신한 트래픽을 기지국(300)으로 전달한다(S221). 그러면, 기지국(200, 300)은 수신한 트래픽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22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내망에서 단말 위치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기지국(RU)1(200)과 연결(S301)된 상태에서 위치가 변경(S303)되면, 기지국(RU)2(200)으로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S305).
기지국(RU)2(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등록 요청을 기지국(DU)(300)으로 전송한다(S307).
기지국(DU)(3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S309). 그리고 로컬 게이트웨이(400)에게 위치 갱신을 요청한다(S311).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S311 단계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S313).
이후, 갱신된 위치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단말(100)을 착신자로 하는 트래픽을 기지국(200, 30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송수신한다(S315, S317, S319).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2)

  1. 사내망과 기지국 사이에 연결된 로컬 게이트웨이가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내망에 위치하고 상기 기지국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트래픽이 데이터 호 트래픽인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으로 판단되면, 상기 트래픽을 상기 사내망으로 오프로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이 아니라면, 상기 트래픽을 상기 기지국을 통해 외부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의 베어러에 할당된 QoS 클래스 식별자(QOS Class Identifier, QCI)를 토대로 상기 전달받은 트래픽의 종류를 구분하여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인지 판단하는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여 기업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업 가입자가 아니라면, 상기 트래픽을 상기 외부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업 가입자라면,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인지 판단하는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SPID(Subscriber Profile ID)를 토대로 상기 기업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6. 사내망과 기지국 사이에 연결된 로컬 게이트웨이가 상기 사내망에서의 트래픽 착신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내망에 위치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트래픽의 착신 대상인 상기 사내망에 위치한 제2 사용자 단말에게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페이징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트래픽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착신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가 기지국으로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게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페이징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로 연결되어 페이징 절차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시키는 단계는,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가 상기 트래픽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트래픽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연결 알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연결 알림이 수신되면, 상기 트래픽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가 상기 트래픽의 착신 IP 주소와 매핑된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가 상기 사내망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등록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각각의 IP 주소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새로 접속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변경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등록된 기지국으로 상기 페이징을 요청하는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13. 사내망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트래픽을 송수신하는 기지국, 그리고
    상기 사내망 및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트래픽이 데이터 호 트래픽인지 판단하여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으로 판단되면, 상기 트래픽을 상기 사내망으로 오프로딩하는 로컬 게이트웨이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는,
    상기 트래픽의 베어러에 할당된 QoS 클래스 식별자(QOS Class Identifier, QCI)를 토대로 상기 전달받은 트래픽의 종류를 구분하여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으로 판단되면 상기 트래픽을 사내망으로 오프로딩하고,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외의 트래픽으로 판단되면 상기 트래픽을 외부망으로 전달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업 가입자인 경우, 상기 데이터 호 트래픽을 상기 사내망으로 오프로딩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업 가입자가 아닌 경우, 모든 트래픽을 상기 외부망으로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페이징을 요청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착신자로 하는 트래픽이 상기 사내망에서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에게 페이징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기지국이 연결되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트래픽을 전송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페이징 요청을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페이징 응답이 수신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면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트래픽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착신시키는 통신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내망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등록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트래픽이 수신되면 상기 트래픽의 착신 IP 주소와 매핑된 단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여 새로 위치 등록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변경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트래픽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등록된 기지국으로 상기 페이징을 요청하는 통신 시스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외부망과 연결되는 코어 시스템 및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와 연결되는 디지털 유닛, 그리고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디지털 유닛과 물리적으로 구분되고, 상기 디지털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디지털 신호를 변환 및 증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접속되어 트래픽을 송수신하는 복수의 무선 유닛
    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유닛은,
    매크로 셀 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고출력의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매크로 셀을 관장하는 통신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유닛은,
    펨토 셀 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소출력의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펨토 셀을 관장하는 통신 시스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는,
    상기 디지털 유닛에 탑재되는 통신 시스템.
KR1020140116421A 2014-09-02 2014-09-02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101734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421A KR101734482B1 (ko) 2014-09-02 2014-09-02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421A KR101734482B1 (ko) 2014-09-02 2014-09-02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823A true KR20160027823A (ko) 2016-03-10
KR101734482B1 KR101734482B1 (ko) 2017-05-24

Family

ID=5553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421A KR101734482B1 (ko) 2014-09-02 2014-09-02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4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482B1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2076B2 (ja) セレクティッド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ip)トラフィックオフロード(sipto)およびローカルipアクセス(lipa)モビリティー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817423B1 (en) Network access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US10492116B2 (en) Traffic offload via local network
JP5166453B2 (ja) 無線システム内のユーザ装置のサービスエリア識別子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078284B2 (en) Personal access point media server
US9838934B2 (en) Method for opening radio pipeline capability and apparatus thereof
US9769852B2 (en) Maintaining current cell location information in a cellular access network
JP5650200B2 (ja) ローカルIPアクセスを有するホームeNBにおけるサービングゲートウェイ位置の最適化
JP2023533626A (ja) ネットワークスライシング方法、設備および記憶媒体
JP2009510972A (ja) ピコ基地局を有する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の呼び出し
US98076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over to an ambiguous small cell access point in a network environment
TW201318387A (zh) 管理服務連續性方法及裝置
GB2559231A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establishing an emergency call over a wireless LAN network
US11323976B2 (en) Network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100120075A (ko) Home(e)NodeB 시스템에서 연결 타입 정보의 제공 방법 및 무선 자원 제어 방법
US9930579B2 (en) Method and nodes for providing handover management
CN110351798B (zh) 网络环境中提供到模糊小小区接入点的切换的系统和方法
KR20100102438A (ko) 펨토 기지국을 이용한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시스템
WO201517480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 절차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598784A (zh) 移动通信系统、网关装置、基站、通信方法以及程序
US9681415B2 (en) Gateway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aging method
KR101383294B1 (ko) 데이터 오프로딩 접속을 제어하는 기지국 장치 및 가상화 기지국 시스템
US202302094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34482B1 (ko) 트래픽 오프로딩 방법, 트래픽 착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20140059769A (ko) 인터넷·인트라넷 서비스를 동시 지원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및 펨토 기지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