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075A - Home(e)NodeB 시스템에서 연결 타입 정보의 제공 방법 및 무선 자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Home(e)NodeB 시스템에서 연결 타입 정보의 제공 방법 및 무선 자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075A
KR20100120075A KR1020090081535A KR20090081535A KR20100120075A KR 20100120075 A KR20100120075 A KR 20100120075A KR 1020090081535 A KR1020090081535 A KR 1020090081535A KR 20090081535 A KR20090081535 A KR 20090081535A KR 20100120075 A KR20100120075 A KR 20100120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odeb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3331B1 (ko
Inventor
김현숙
김래영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1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331B1/ko
Priority to US13/264,176 priority patent/US9386506B2/en
Priority to CN201080019577.7A priority patent/CN102415160B/zh
Priority to PCT/KR2010/002806 priority patent/WO2010128786A2/en
Publication of KR2010012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075A/ko
Priority to US15/187,502 priority patent/US975656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53Methods or systems for payment or settlement of the charges for data transmission involv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 H04L12/1457Methods or systems for payment or settlement of the charges for data transmission involv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using an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연결 타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연결 타입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가 단말에 의해 연결 요청되는 Home (e)NodeB로부터 개방 접속 모드, 폐쇄 접속 모드, 혼합 접속 모드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접속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접속 모드 정보와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의 연결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Home (e) NodeB로 하여금 상기 단말과의 연결에 대한 무선 자원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결정된 연결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수락 메시지를 상기 Home (e)NodeB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Home(e)NodeB 시스템에서 연결 타입 정보의 제공 방법 및 무선 자원 제어 방법{METHOD FOR providing connection type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resource of home (e)NodeB}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Home(e)NodeB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술 규격을 제정하는 3GPP에서는 4세대 이동통신과 관련된 여러 포럼들 및 새로운 기술에 대응하기 위하여, 2004년 말경부터 3GPP 기술들의 성능을 최적화 시키고 향상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LTE/SAE (Long Term Evolution/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기술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3GPP SA WG2을 중심으로 진행된 SAE는 3GPP TSG RAN의 LTE 작업과 병행하여 네트워크의 구조를 결정하고 이 기종 망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망 기술에 관한 연구이며, 최근 3GPP의 중요한 표준화 이슈들 중 하나이다. 이는 3GPP 시스템을 IP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발전 시키기 위한 작업으로, 보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 능력으로 전송 지연을 최소화 하는, 최적화된 패킷 기반 시스템을 목표로 작업이 진행되어 왔다.
3GPP SA WG2에서 정의한 SAE 상위 수준 참조 모델(reference model)은 비로밍 케이스(non-roaming case) 및 다양한 시나리오의 로밍 케이스(roaming case)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세 내용은 3GPP 표준문서 TS 23.401과 TS 23.402에서 참조할 수 있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도는 이를 간략하게 재구성 한 것이다.
도 1은 진화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진화(Evolved) UTRAN의 eNodeB와 핵심 네트워크(Core Network)의 게이트웨이(Gateway)의 2 계층 모델(2 Tier Model)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며,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나 eNodeB는 기존 UMTS 시스템의 NodeB와 RNC의 기능과 유사하며, 게이트웨이는 기존 시스템의 SGSN/GGSN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하나 중요한 특징으로는 접속 네트워크(Access network)과 핵심 네트워크 사이의 제어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평면(User Plane)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교환된다는 점이다. 기존의 UMTS 시스템에서는 RNC와 SGSN사이에 Iu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존재했었던 반면 제어신호(Control Signal)의 처리를 담당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가 GW(Gateway)와 분리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S1-MME, S1-U 두 개의 인터페이스가 각각 사용되게 되었다.
도 2는 (e)NodeB와 Home (e)NodeB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3세대 또는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등 고용량 서비스와 양방향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셀 용량을 늘리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즉, 통신의 발달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보급과 더불어 다양한 대용량 전송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무선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보다 많은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이 있지만,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다수의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셀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셀 반경을 줄이는 접근이 있어왔다. 피코 셀(pico cell)등 셀 반경이 작은 셀을 적용하면 기존 셀룰라 시스템에서 쓰던 주파수 보다 높은 대역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같은 면적에 더 많은 기지국을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단점 있다.
이와 같이 작은 셀을 사용하여 셀 용량을 올리는 접근 중에 최근에는 Home (e)NodeB와 같은 펨토 기지국이 제안되었다.
도 2에 도시된 (e)NodeB(20)는 매크로 기지국에 해당하며, 도 2에 도시된 Home (e)NodeB(30)가 펨토 기지국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3GPP의 용어를 기반으로 설명하고자 하며, (e)NodeB(20)는 NodeB 또는 eNodeB를 함께 언급할 때 사용된다. 또한, Home (e)NodeB는 Home NodeB와 Home eNodeB를 함께 언급할 때 사용된다.
한편, 상기 Home (e)NodeB(30)의 셀은 접근허용정책에 따라 개방 접속 모드(Open Access Mode)와, 그리고 폐쇄 접속 모드(Closed Access Mode), 혼합 접속 모드(Hybrid Access Mode)가 있다.
상기 개방 접속 모드의 경우 Home (e)NodeB(30) 셀이 서비스 가능한 단말들 에 대해 제한 없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폐쇄 접속 모드의 경우 해당 Home (e)NodeB(30) 셀에 허용된 사용자 단말에 한해서 상기 Home (e)NodeB(30)셀에 대한 접근을 허용한다.
이와 같은 폐쇄 접속 모드에 대해서, 3GPP 표준의 UMTS/EPS에서는 상기 Home (e)NodeB의 셀을 폐쇄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 단위로 지원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즉 하나의 폐쇄 가입자 그룹(CSG)은 하나 이상의 Home (e)Node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 역시 폐쇄 가입자 그룹(CSG)) 단위로 Home (e)NodeB의 셀에 대한 사용 권한을 제공받는다. 이때 상기 단말은 사용 가능한 폐쇄 가입자 그룹(CSG)을 하나 이상 가질 수 있고, 각 폐쇄 가입자 그룹(CSG)별로 허용된 시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허용 CSG 리스트(Allowed CSG List) 라고 한다. 이와 같은 허용 CSG 리스트는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 엔티티, 예컨대 MME, SGSN, MSC, HSS, HLR 등에 저장되어 있다.
도 3은 Home (e)NodeB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50)는 MME(51)과, S-GW(Serving Gateway)(52)와, SGSN(56),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또는 PDN Gateway)(53)을 포함한다. 그 밖에 상기 코어 네트워크(50)는 PCRF(54), HSS(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는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 의한 Home NodeB(31)와 E-UTRAN(Evolved-UTRAN)에 의한 Home eNodeB(32)가 나타나 있다. 상기 UTRAN에 의한 Home NodeB(31)는 게이트웨이(35)을 통해 상기 SGSN(560)과 연결된 다. 상기 E-UTRAN에 의한 Home eNodeB(32)는 상기 MME(51)와 상기 S-GW(520)와 연결된다. 이때,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은 상기 MME(51)로, 사용자 데이터 신호는 상기 S-GW(52)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E-UTRAN에 의한 Home eNodeB(32)와 상기 MME(51) 사이에 게이트웨이(35)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E-UTRAN에 의한 Home eNodeB(32)의 인터페이스가 나타나 있다. 상기 E-UTRAN에 의한 Home eNodeB(32)와 상기 게이트웨이(35)을 Home eNodeB 서브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상기 E-UTRAN에 의한 Home eNodeB(32)는 UE(10)와는 LTE-Uu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상기 Home eNodeB(32)와 상기 MME(51)는 S1-MME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Home eNodeB(32)와 상기 S-GW(52)은 S1-U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S1-MME 인터페이스 및 상기 S1-U인터페이스는 상기 게이트웨이(35)을 거칠 수 있다. 상기 MME(51)와 상기 S-GW(52)는 S11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MME(51)와 상기 HSS(55)는 S6a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도 4은 도 3에 도시된 Home eNodeB(32)와 MME(51) 간의 인터페이스를 프로토콜 스택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ome eNodeB(32)와 상기 MME(51)는 각기 제1 계층(물리 계층), 제2 계층(매체 접속 제어 계층), 제3 계층(IP(Internet Protocol) 계층), SCTP(Signaling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1-AP(S1 Application Protocol)를 각기 포함한다.
상기 S1-AP는 상기 Home eNodeB(32)와 상기 MME(51) 간에 응용 계층 프로토콜이다. 상기 SCTP는 상기 Home eNodeB(32)와 상기 MME(51) 간에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달을 보장한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 상기 Home (e)NodeB(30)가 혼합 접속 모드(Hybrid Access Mode)로 동작하고, 상기 Home (e)NodeB(30)에 상기 UE(10)가 접속 요청할 때, 상기 MME(51)가 상기 UE(10)의 접속 요청을 어떤 연결 타입(Connection Type)으로 수락하였는지의 여부, 예컨대 CSG 멤버로서 수락하였는지 혹은 non-CSG 멤버로서 수락하였는지에 대해, 상기 MME(51)가 상기 Home (e)NodeB(30)에 알려주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Home (e)NodeB(30)는 상기 UE(10)가 어떤 연결 타입으로 접속되었는지를 알 수 없었고, 무선 자원 제어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Home (e)NodeB(30)는 상기 2가지의 연결 타입을 구분할 수 없으므로, CSG 멤버와 non-CSG 멤버간에 다른 정책, 예를 들어 속도 제어(rate control) 또는 설정 연결의 다양화(diversion of establishment connection) 등과 같은 무선 자원 제어를 수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UE가 혼합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 Home (e)NodeB로 최초 어태치(initial Attach), 위치 갱신, 혹은 핸드오버시, 어느 연결 타입으로 접속되었는지를 상기 Home (e)NodeB가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UE의 연결 타입을 기초로, 속도 제어(rate control) 또는 설정 연결의 다양화(diversion of establishment connection) 와 같은 무선 자원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UE가 Home (e)NodeB로 최초 어태치(initial Attach), 위치 갱신(예컨대, Tracking Area 갱신, Routing Area 갱신, Location Area 갱신), 핸드오버와 같은 연결을 수행하려고 할 때, 연결 타입에 대한 정보를 MME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의 엔티티가 Home (e)NodeB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에게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엔티티 혹은 상기 엑세스 네트워크가 상기 연결 타입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 속도 제어 혹은 설정 연결의 다양화와 같은 무선 자원 제어를 수행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연결 타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연결 타입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가 단말에 의해 연결 요청되는 Home (e)NodeB로부터 개방 접속 모드, 폐쇄 접속 모드, 혼합 접속 모드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접속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접속 모드 정보와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의 연결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Home (e) NodeB로 하여금 상기 단말과의 연결에 대한 무선 자원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결정된 연결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수락 메시지를 상기 Home (e)NodeB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Home(e)NodeB 시스템 에서 무선 자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무선 자원 제어 방법은 상기 Home(e)NodeB가 단말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개방 접속 모드, 폐쇄 접속 모드, 혼합 접속 모드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접속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의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Home(e)NodeB가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단말의 허용되는 연결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Home(e)NodeB가 상기 연결 수락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과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Home(e)NodeB가 상기 수신한 연결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연결에 대한 무선 자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 또는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는 Tracking Area Update 메시지, Routing Area Update 메시지, Location Area Update 메시지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자원 제어는 속도 제어(Rate Control) 및 설정 연결의 다양화(diversion of establishment connectio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타입에 대한 정보는 CSG 멤버로의 수락을 나타내는 지시자 및 Non-CSG 멤버로의 수락을 나타내는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Mobile Management Entity (MME)일 수 있다.
본 발명은 UE가 혼합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 Home (e)NodeB로 최초 접속, 위치 갱신, 혹은 핸드오버시, 어느 연결 타입으로 접속되었는지를 상기 Home (e)NodeB가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UE의 연결 타입을 기초로, 속도 제어(rate control) 또는 설정 연결의 다양화(diversion of establishment connection)와 같은 무선 자원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Home (e)NodeB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때, Home (e)NodeB는 Home NodeB와 Home eNodeB를 지칭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EUTRAN/EPC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EUTRAN/EPC를 중심으로 기술되어 특정 네트워크 엔티티는 MME를 언급하고 있으나, 페이징(paging)을 결정하는 다른 제2 네트워크 엔티티 (e.g. Home (e)NodeB 게이트웨이 등)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 설명에서 Home (e)NodeB 게이트웨이 (Home (e)NodeB와 core network 사이의 노드)는 생략된 네트워크 구조를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나, Home (e)NodeB 게이트웨이가 존재하는 네트워크 구조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할 수 있다.
이하, 단말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나, 상기 단말은 UE(User Equipment),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상기 UE는 휴대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등과 같이 통신 기능을 갖춘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거나, PC,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용어의 정의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간략하게 정의하기로 한다.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약자로서 3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EPS: Evolved Packet System의 약자로서, 기존의 3GPP system architecture의 core network을 진화시켜 Evolved RAN 을 지원하고 packet 망의 효율적을 높이기 위하여 네트워크 엔티티를 단순화 시킨 효율적인 망 구조를 의미한다.
NodeB: UMTS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셀 커버리지 규모는 매크로 셀에 해당한다.
eNodeB: EPS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셀 커버리지 규모는 매크로 셀에 해당한다.
(e)NodeB: NodeB와 eNodeB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Home NodeB: UMTS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셀 커버리지 규모는 펨토 셀에 해당한다. UTRAN 무선 인터페이스(wireless air interface)를 통해 3GPP 기반의 UE를 이동 사업자의 네트워크로 접속시킨다.
Home eNodeB : EPS 망의 기지국으로 셀 커버리지 규모는 펨토 셀에 해당한다. E-UTRAN 무선 인터페이스(wireless air interface)를 통해 3GPP 기반의 UE를 이동 사업자의 네트워크로 접속시킨다.
Home (e)NodeB: Home NodeB와 Home eNodeB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Home (e)NodeB 게이트웨이: 하나 이상의 Home(e)NodeB와 연결되어 코어 네트 워크로 연결 될 수 있는 인터페이싱하는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이다. Home (e)NodeB 서브시스템: Home (e)NodeB 게이트웨이가 함께 구현되는 네트워크 구조일 때, Home (e)NodeB 와 Home (e)NodeB 게이트웨이를 하나의 세트로 묶어 무선망을 관리하는 형태이다. 상기 Home (e)NodeB 서브 시스템과 Home (e)NodeB은 모두 무선망을 관리하며 코어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역할 이므로, 하나의 집합체 형태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Home (e)NodeB와 Home (e)NodeB 서브 시스템의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폐쇄 가입자 그룹(Closed Subscriber Group: 이하 CSG): Home (e)NodeB의 셀에 허용된 사용자 단말에 한해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가입자 정보를 기반의 특정 membership 그룹을 말한다.
개방 접속 모드(Open Access Mode): Home (e)NodeB가 CSG의 개념없이 일반 셀 (normal cell, non-CSG cell) 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일반 (e)NodeB와 같이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폐쇄 접속 모드(Closed Access Mode): Home (e)NodeB가 CSG cell로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해당 셀에 허용된 사용자 단말에 한해서 접근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즉, Home (e)NodeB가 지원하는 특정 CSG ID들에 대한 권한을 가진 단말만 접근 가능하다.
혼합 접속 모드(Hybrid access mode): Home (e)NodeB가 CSG cell로 동작하나, non-CSG 가입자에게도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말한다. 해당 셀에 지원 가능한 특정 CSG ID를 가진 사용자 단말에게 접속을 허용하여 Home (e)NodeB 서비스를 제 공 할 수 있으며, CSG 권한이 없는 단말도 접속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CSG 셀: PLMN의 일부의 셀로서, 상기 CSG 셀은 상기 CSG 그룹의 멤버만 접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CSG 셀은 CSG ID를 브로드캐스팅한다. 동일한 ID를 공유하는 CSG 셀들은 이동 관리 및 과금을 위해 하나의 그룹으로 식별 또는 관리될 수 있다.
CSG ID: 상기 CSG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식별자로서, 상기 CSG의 인증된 멤버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CSG ID는 하나의 PLMN 내에서만 고유하다.
허용 CSG 리스트(Allowed CSG list): 가입자가 속한 CSG들의 CSG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로서, 네트워크 및 UE에 저장되어 있다.
Tracking Area: 유휴 모드(Idle Mode)로 동작하는 UE(100)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기본 단위 이다. 즉, UE의 위치 등록을 위한 기본 단위이다. 이러한 특정 영역의 아이디를 Tracking Area Identity(TAI)라고 한다. EPS에서는 UE의 유휴 모드에서의 효율적인 이동성 관리를 위해, 단말이 여러 TA에 동시에 위치 등록을 할 수 있으며 이때는 TAI list를 관리한다.
TAI LIST: UE의 위치 이동에 따라 MME를 통해 HSS 또는 HLR에 위치 등록을 수행한 위치 정보, 즉 (e)NodeB 또는 Home (e)NodeB의 집합이다.
PCC (Policy and Charging Control) : 사업자 정책과 과금에 대한 운영을 지칭함.
PCRF (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 : PCC를 수행하기 위한 사업자 의 정책과 과금 규칙을 가지고 있는 기능적 네트워크 엘리먼트이며, 사업자 정책과 과금 규칙을 타 노드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속도 제어(Rate Control): 정책에 따라, 또는 CSG 멤버 혹은 non-CSG 멤버인지의 여부에 따라, 베어러의 bandwidth 와 같은 Quality of Service(QoS)를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설정 연결의 다양화(diversion of establishment connection): 서비스를제공하고 있던 Home (e)NodeB로부터 더 이상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할 경우에, 또 다른 Home (e)NodeB 셀(즉, 또 다른 CSG 셀) 또는 매크로 셀을 담당하는 (e)NodeB 셀(또는, non-CSG 셀)로 전환하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뜻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Home (e)NodeB의 동작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전술한 도시된 펨토 기지국, 예컨대 Home (e)NodeB(300)는 도 5(a)의 개방 접속 모드(Open Access Mode), 도 5(b)의 폐쇄 접속 모드(Closed Access Mode), 도 5(c)의 혼합형 접속 모드(Hybrid Access Mode)의 세 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개방 접속 모드의 예가 나타나 있다. 상기 개방 접속 모드는 앞서 용의 정의된 바와 같이, Home (e)NodeB(300)의 셀에 접근에 제한을 두지 않고, 모든 UE가 접근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UE(110, 120, 130)의 접속은 모두 허용된다.
다음으로, 도 5(b)을 참조하면, 폐쇄 접속 모드(Closed Access Mode)의 예가 나타나 있다. 상기 폐쇄 접속 모드는 Home (e)NodeB(300)가 폐쇄 가입자 그룹(CSG) 셀(cell)로 동작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Home (e)NodeB(300)는 허용된 사용자 단말에 한해서 접근을 허용한다. Home(e)NodeB(300)들은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CSG ID(s)를 가지고 있다. 각 사용자는 CSG 별로 사용 허가를 받는다.
마지막, 도 5(c)를 참조하면, 혼합 접속 모드(Hybrid Access Mode)의 예가 나타나 있다.
상기 혼합 접속 모드(Hybrid Access Mode)는 폐쇄 가입자 그룹(CSG)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CSG cell처럼 동작하지만, 비-폐쇄 가입자 그룹(non-CSG)의 단말 접속이 허용된다.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UE(110)가 CSG 멤버가 아니더라도, 상기 Home (e)NodeB(300)로 접속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 타입 정보의 제공 방법 및 무선 자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라 설정되는 베어러(터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먼저, 상기 UE(100)가 상기 Home (e)NodeB(300)에 어태치 요청(Attach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101).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는 상기 UE의 전원이 켜지거나, 로밍시, 핸드오버시와 같이 최초에 attach를 수행할 때, 상기 UE가 전송하는 메시지이다.
그러면, 상기 Home (e)NodeB(300)는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자신의 설정 정보, 구체적으로 일반 설정 정보, 그리고 접속 모드 정보(개방 접속 모드, 폐쇄 접속 모드, 혼합 접속 모드)를 포함시켜, 상기 MME(5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Home (e)NodeB(300)가 상기 접속 모드 정보를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상기 MME(510)가 상기 접속 모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직접적인 획득 방법이라고 한다. 반면, 상기 MME(510)는 상기 접속 모드 정보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접적인 획득 방법을 통해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아래의 표에 나타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 일반 설정 정보
(2) CSG 관련 정보(예컨대, CSG ID, 허용 접속 리스트)
(3) 접속 모드 정보
- 개방 접속 모드, 폐쇄 접속 모드, 혼합 접속 모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
한편, 상기 MME(5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2) 이어서, 상기 UE(100)는 상기 HSS(550)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102). 상기 MME(510)는 필요에 따라 상기 UE(100)의 위치를 상기 HSS(550)에 갱신 요청한다(S103). 그리고, 상기 MME(510)는 위치 갱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104). 이때, 상기 위치 갱신 메시지에는 상기 UE(100)의 가입자 정보, 예컨대 CSG 멤버의 여부 (이때, expire time 정보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CSG ID 정보 등을 포함한다.
3) 그러면, 상기 MME(510)는 엑세스 제어를 수행한다(S105). 구체적으로 상기 MME(510)는 상기 Home (e)NodeB(300)로부터 획득한 설정 정보 그리고 상기 도 8에 도시된 방법으로 획득한 여러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UE(100)로부터의 어태치 요청을 수락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어태치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MME(510)는 연결 타입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MME(510)는 상기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Home (e)NodeB(300)는 폐쇄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상기 UE(100)가 CSG 멤버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E(100)의 어태치 요청을 거절하고, 절차를 종료한다. 혹은, 상기 MME(510)는 상기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Home (e)NodeB(300)는 혼합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상기 UE(100)가 CSG 멤버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UE(100)를 CSG 멤버로 수락한다. 혹은 상기 UE(100)가 CSG 멤버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UE(100)를 non-CSG 멤버로 수락한다.
4) 상기 UE(100)의 어태치 요청을 수락한 경우, 상기 MME(510)는 S-GW(520) 및 P-GW(530)와 터널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MME(510)은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 예컨대 Create Default Bearer Request 메시지를 상기 S-GW(520)으로 전송한다(S106). 그러면, 상기 S-GW(520)은 상기 수신한 Create Default Bearer Request 메시지를 상기 P-GW(530)으로 전송한다(S107). 상기 P-GW(530)은 선택적으로 PCRF(540)와 PCRF Interaction 절차를 수행한다(S108). 이때, 상기 P-GW(530)은 PCRF Interaction 절차를 통해 네트워크 사업자 정책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P-GW(530)은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 예컨대 Create Default Bearer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S-GW(520)으로 전송한다(S109). 이로 인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GW(520)과 상기 P-GW(530) 간에는 터널, 예컨대 베어러(523)가 생성되고, S-GW(520)와 P-GW(530)은 data 전달을 위한 TEID를 교환한다. 상기 TEID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주소 역할을 하는 파라미터이다. 이때, 상기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는 전술한 네트워크 사업자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P-GW(530)가 상기 UE(100)로 전송할 다운로드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생성된 베어러를 통해 상기 S-GW(520)로 전달할 수 있다(S110). 상기 S-GW(520)은 상기 MME(510)로 상기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 예컨대 Create Default Bearer Response 메시지를 전달한다(S111). 이때, 상기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는 상기 S-GW의 TEID를 포함한다.
5) 상기 MME(510)는 어태치 승인 메시지, 예컨대 Attach Accept 메시지를 상기 Home (e)NodeB(300)로 전송한다(S112).
상기 어태치 승인 메시지는 연결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타입 정보는 아래의 표 2의 2가지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CSG 멤버로의 수락
Home (e)NodeB가 폐쇄 접속 모드 또는 혼합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이고, 접속 요청하는 UE가 해당 Home (e)NodeB에서 서비스 가능한 CSG 멤버인 경우, 해당 UE를 CSG 멤버로 수락하였음을 나타냄
(2) Non-CSG 멤버로의 수락
Home (e)NodeB는 혼합 접속 모드로 동작하고, 접속 요청하는 UE가 해당 Home (e)NodeB가 제공하는 CSG 멤버가 아닌 경우, 상기 접속 요청한 UE를 non-CSG 멤버로 수락하였음을 나타냄
이때, 상기 어태치 승인 메시지는 상기 TE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태치 승인 메시지는 상기 Home (e)NodeB(300)와 상기 UE(100)간에 무선 베어러 설정(setup)을 트리거링한다.
6) 상기 Home (e)NodeB(300)와 상기 UE(100)는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S113). 상기 Home (e)NodeB(300)는 어태치 완료 메시지, 예컨대 Attach Complete 메시지를 상기 MME(510)로 전송한다(S114). 이로 인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E(100)와 상기 S-GW(520) 간에 터널(521)이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UE(100)는 자신의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Home (e)NodeB(300)를 통해 상기 S-GW(520)로 전송할 수 있다(S115). 상기 어태치 완료 메시지는 상기 Home (e)NodeB(300)의 TEID를 포함한다.
7) 한편, 상기 MME(510)는 상기 설정한 베어러(도 7의 523)의 갱신을 위해, 베어러 갱신 요청 메시지, 예컨대 Update Bearer Request 메시지를 상기 S-GW(520)로 전송한다(S116). 상기 베어러 갱신 요청 메시지는 상기 Home (e)NodeB(300)의 TEID를 포함한다. 상기 S-GW(520)는 상기 베어러 갱신 요청 메시지 상기 P-GW(530)로 전송하고, 상기 P-GW(530)은 응답 메시지, 예컨대 Update Bearer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한다(S117). 그러면, 상기 S-GW(520)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MME(520)로 전송한다(S118).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상기 설정한 베어러(523)가 갱신되면, 상기 S-GW(520)는 상기 Home (e)NodeB(300)을 통해 상기 UE(100)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S119).
8) 상기 Home (e)NodeB(300)는 상기 UE(100)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9) 이후, 상기 Home (e)NodeB(300)는 상기 수신하였던 연결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자원 제어를 수행한다(S120).
구체적으로, 상기 Home (e)NodeB(300)는 상기 수신한 연결 타입정보에 따라서, 속도 제어(Rate Control) 또는 설정 연결의 다양화(diversion of establishment connection)등과 같은 ‘무선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Home (e)NodeB의 자원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기 Home (e)NodeB(300)는 non-CSG 멤버에 해당하는 UE의 QoS를 CSG 멤버에 해당하는 UE의 QoS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Home (e)NodeB(300)은 데이터의 스케줄링시 상기 non-CSG 멤버에 해당하는 UE로 전송할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Home (e)NodeB(300)는 상기 UE(100)의 CSG 멤버쉽이 만료되거나, 해지되는 경우와 같이 상기 UE(100)에 더 이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되는 경우, 다른 Home (e)NodeB 셀(즉, 또 다른 CSG 셀) 또는 매크로 셀을 담당하는 (e)NodeB 셀(또는, non-CSG 셀)로 상기 UE(100)를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Home (e)NodeB(300)는 무선 자원의 부족 등과 같이 상기 UE(100)에 더 이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되는 경우, 서비스을 중단하는 대신 CSG 멤버를 다른 Home (e)NodeB 셀(즉, 또 다른 CSG 셀) 또는 매크로 셀을 담당하는 (e)NodeB 셀(또는, non-CSG 셀)로 상기 UE(100)를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MME가 획득하는 정보 및 그 획득 방안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MME(510)가 획득하는 여러 정보는 Home (e)NodeB(300)의 설정 정보(구체적으로 접속 모드 정보), UE의 CSG ID관련 정보, TAI(s), 네트워크 사업자 정책 또는 Home (e)NodeB(300)의 소유자 정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Home (e)NodeB(300)의 설정 정보(구체적으로 접속 모드 정보)는 예컨대 상기 Home (e)NodeB(300)가 개방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지 또는 폐쇄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지 또는 혼합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이와 같은 설정 정보(구체적으로 접속 모드 정보)는 상기 UE(100)가 상기 Home (e)NodeB(300)에 Attach하는 도중, 상기 Home (e)NodeB(300)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고, TAU procedure중에 획득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설정 정보는 네트워크 사업자 또는 상기 Home (e)NodeB(300)의 소유자에 의해서 변경될 때, 상기 MME(510)가 획득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MME(510)가 획득한 다른 정보로부터 유추되어 획득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획득한 정보로부터 간접적으로 유추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MME(510)가 다른 제2 네트워크 엔티티, 예컨대 Home (e)NodeB의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별도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 등으로부터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기 CSG ID 관련 정보는 상기 MME(510)가 상기 HSS(550)로부터 특정 UE의 가입자 정보를 획득할 때 함께 획득될 수 있다.
상기 TAI(s)는 상기 MME(510)가 직접 저장하고 있는 것이거나, 또는 다른 제2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HSS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사업자 정책은 상기 MME(510)가 PCRF와의 PCRF Interaction을 통해 수신하거나, 게이트웨이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Home (e)NodeB 소유자의 정책은 예컨대 상기 Home (e)NodeB(300)와의 S1 AP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 타입 정보의 제공 방법 및 무선 자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절차들은 도 6에 도시된 절차와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절차와 다른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하고, 유사한 내용은 도 6의 내용을 그대로 준용하기로 한다.
1) 상기 UE(100)가 상기 Home (e)NodeB(300)에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201).
상기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는 유휴 모드 상태에 있는 UE가 위치 변경등과 같은 이유로, 새로운 MME(510a)에 자신의 위치를 등록해야 할 경우에 전달하는 메시지이다. 이러한, 상기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는 Tracking Area Update(TAU) 메시지, Routing Area Update(RAU) 메시지, Location Area Update(LAU) 메시지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Home (e)NodeB(300)는 상기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에 자신의 설정 정보, 구체적으로 일반 설정 정보, 그리고 접속 모드 정보(개방 접속 모드, 폐쇄 접속 모드, 혼합 접속 모드)를 포함시켜, 상기 새로운 MME(510a)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표 1에 나타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2) 그러면, 상기 새로운 MME(510a)는 상기 UE(100)를 이전에 담당하였던 이전 MME(510b)에게 상기 UE(100)의 컨텍스트(예컨대 베어러 관련 정보 및 가입자 정보 등)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이전 MME(510b)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S202). 이때, 상기 관련 정보는 CSG ID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3) 상기 UE(100)는 상기 HSS(550)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203).
4) 그러면, 상기 새로운 MME(510a)는 엑세스 제어를 수행한다(S204). 예를 들어, 상기 영역 갱신 요청을 거절하고 절차를 종료하거나, 혹은 영역 갱신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S105 과정의 내용과 유사하므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5) 상기 새로운 MME(510a)는 베어러의 생성을 요청하기 위해, S-GW/P-GW(520, 530)으로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예컨대 Create Bearer Request 메시지) 또는 베어러 갱신 요청 메시지(예컨대 Update Bearer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205). 이때, 상기 S-GW(520)와 P-GW(530) 간에도 필요에 따라 상기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 또는 베어러 갱신 요청 메시지가 교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시된 S205~S207 과정은 도 6에 도시된 S106~S109 과정과 유사하다. 도 6에 대한 설명 내용을 준용하기로 하고, 별도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6) 상기 새로운 MME(510a)는 상기 UE(100)의 위치를 갱신하기 위해, 상기 HSS(550)에 위치 갱신 요청 메시지, 예컨대 Update Loc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S208). 그러면, 상기 HSS(550)는 상기 이전 MME(510b)로 위치 삭제 메시지, 예컨대 Cancel Loc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S209). 그러면, 상기 이전 MME(510b)는 위치 삭제 응답 메시지, 예컨대 Cancel Location Ack 메시지를 상기 HSS(550)으로 전송한다(S210). 상기 HSS(550)는 상기 새로운 MME(510a)로 위치 갱신 응답 메시지, 예컨대, Update Location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S211). 이때, 상기 위치 갱신 응답 메시지는 상기 UE(100)의 가입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정보는 예를 들어 Home (e)NodeB(300)의 CSG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입자 정보는 상기 UE(100)의 가입자 정보, 예컨대 CSG 멤버의 여부 (이때, expire time 정보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CSG ID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7) 상기 새로운 MME(510a)는 상기 Home (e)NodeB(300)로 영역 갱신 수락 메시지, 예컨대 Tracking Area Update(TAU) Accept 메시지, Routing Area Update(RAU) Accept 메시지, Location Area Update(LAU) Accept 메시지를 전송한다(S212). 상기 영역 갱신 수락 메시지는 연결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타입 정보는 전술한 표 2의 2가지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8) 그러면, 상기 Home (e)NodeB(300)는 상기 영역 갱신 수락 메시지를 상기 UE(100)로 전송한다(S213).
9) 상기 Home (e)NodeB(300)는 상기 UE(100)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10) 이후, 상기 Home (e)NodeB(300)는 상기 수신하였던 연결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자원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214). 이 과정은 도 6의 S120 과정과 유사하므로, 도 6에 대한 설명 내용을 준용하기로 하고, 별도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따른 MME(51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MME(510)는 저장수단(511), 컨트롤러(512), 송수신부(513)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 수단(511)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방법을 저장한다.
상기 컨트롤러(512)는 상기 저장 수단 및 상기 송수신부를 각기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들은 상기 저장 수단에 각기 저장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전술한 신호들을 전송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진화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2는 (e)NodeB와 Home (e)Node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Home (e)NodeB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은 도 3에 도시된 Home eNodeB(32)와 MME(51) 간의 인터페이스를 프로토콜 스택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Home (e)NodeB(300)의 동작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 타입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엑세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라 설정되는 베어러(터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MME가 획득하는 정보 및 그 획득 방안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 타입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엑세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따른 MME(510)의 구성 블록도이다.

Claims (12)

  1.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연결 타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가 단말에 의해 연결 요청되는 Home (e)NodeB로부터 개방 접속 모드, 폐쇄 접속 모드, 혼합 접속 모드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접속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접속 모드 정보와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의 연결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Home (e) NodeB로 하여금 상기 단말과의 연결에 대한 무선 자원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결정된 연결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수락 메시지를 상기 Home (e)NodeB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타입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 또는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타입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는
    Tracking Area Update 메시지, Routing Area Update 메시지, Location Area Update 메시지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타입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기능은
    속도 제어(Rate Control) 및 설정 연결의 다양화(diversion of establishment connectio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타입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타입에 대한 정보는
    CSG 멤버로의 수락을 나타내는 지시자 및 Non-CSG 멤버로의 수락을 나타내는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타입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Mobile Management Entity (M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타입 정보 제공 방법.
  7. Home(e)NodeB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Home(e)NodeB가 단말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개방 접속 모드, 폐쇄 접속 모드, 혼합 접속 모드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접속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의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Home(e)NodeB가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단말의 허용되는 연결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Home(e)NodeB가 상기 연결 수락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과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Home (e)NodeB가 상기 수신한 연결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연결에 대한 무선 자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 또는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원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는
    Tracking Area Update 메시지, Routing Area Update 메시지, Location Area Update 메시지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원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기능
    속도 제어(Rate Control) 및 설정 연결의 다양화(diversion of establishment connectio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원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타입에 대한 정보는
    CSG 멤버로의 수락을 나타내는 지시자 및 Non-CSG 멤버로의 수락을 나타내는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원 제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Mobile Management Entity (M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원 제어 방법.
KR1020090081535A 2009-05-04 2009-08-31 Home(e)NodeB 시스템에서 연결 타입 정보의 제공 방법 및 무선 자원 제어 방법 KR10163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535A KR101633331B1 (ko) 2009-05-04 2009-08-31 Home(e)NodeB 시스템에서 연결 타입 정보의 제공 방법 및 무선 자원 제어 방법
US13/264,176 US9386506B2 (en) 2009-05-04 2010-05-03 Method for providing connection type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resource of home (e)NodeB
CN201080019577.7A CN102415160B (zh) 2009-05-04 2010-05-03 用于提供连接类型信息的方法以及用于控制家庭(e)nodeb的无线资源的方法
PCT/KR2010/002806 WO2010128786A2 (en) 2009-05-04 2010-05-03 Method for providing connection type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resource of home (e)nodeb
US15/187,502 US9756561B2 (en) 2009-05-04 2016-06-20 Method for providing connection type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resource of home (e)Node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05909P 2009-05-04 2009-05-04
US61/175,059 2009-05-04
KR1020090081535A KR101633331B1 (ko) 2009-05-04 2009-08-31 Home(e)NodeB 시스템에서 연결 타입 정보의 제공 방법 및 무선 자원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075A true KR20100120075A (ko) 2010-11-12
KR101633331B1 KR101633331B1 (ko) 2016-07-08

Family

ID=4305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535A KR101633331B1 (ko) 2009-05-04 2009-08-31 Home(e)NodeB 시스템에서 연결 타입 정보의 제공 방법 및 무선 자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386506B2 (ko)
KR (1) KR101633331B1 (ko)
CN (1) CN102415160B (ko)
WO (1) WO201012878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424A2 (ko) * 2011-04-14 2012-10-18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셀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15894A (ko) 2011-08-05 2013-0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입자 우선 순위에 따른 과부하 제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430241B1 (ko) * 2011-08-12 2014-08-18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셀 핸드오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4822B (zh) * 2009-06-26 2017-06-06 夏普株式会社 移动站、位置管理装置、移动通信系统、通信方法及家庭基站
CN101990192A (zh) * 2009-07-30 2011-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本地ip访问连接属性的通知方法与装置
CA2777426C (en) * 2009-10-16 2015-03-24 Sharp Kabushiki Kaisha Access control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and access control program
GB201018633D0 (en) 2010-11-04 2010-12-22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CN103052161B (zh) * 2011-10-11 2015-09-30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宏小区与微小区共享小区标识情况下配置tp的方法
US20150223196A1 (en) * 2012-10-10 2015-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paging and method for relaying downlink data
US9143292B2 (en) * 2013-05-22 2015-09-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ignal path of a radio communication
CN104427578A (zh) * 2013-08-22 2015-03-18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进行接入控制的方法及装置
EP3585103A1 (en) 2013-12-19 2019-12-2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Network access through a second wireless network
US9681349B1 (en) * 2014-09-05 2017-06-13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ffic offloa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closed access mode conditions
JP6520044B2 (ja) * 2014-10-24 2019-05-2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これらの方法
WO2016096018A1 (en) * 2014-12-18 2016-06-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arly discovery of csg mismatch at tau
US9769784B2 (en) * 2015-08-19 2017-09-19 Cisco Technology, Inc. Serving gateway-based presence/location detection
US10630847B2 (en) 2016-09-07 2020-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odes for enabling management of traffic steering policy
CN108616342B (zh) * 2017-01-18 2021-02-09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业务承载建立的方法及装置
US10455462B1 (en) * 2018-09-19 2019-10-22 Cisco Technology, Inc. Device aware selective roaming for mobile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3902A1 (en) * 2007-04-12 2009-02-12 Stefano Faccin Packet data network connectivity domain selection and bearer setup
US20090070694A1 (en) * 2007-09-10 2009-03-12 Nokia Siemens Networks Oy Access control for closed subscriber group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3276B1 (en) * 2000-01-12 2002-05-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obile station assisted forward link open loop power and rate control in a CDMA system
WO2007040451A1 (en) * 2005-10-04 2007-04-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controller selection for ip-connected radio base station
KR20070099849A (ko) 2006-04-05 200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공통 라우팅 영역에 위치한 아이들사용자 단말기에게 회선교환 호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CN101136826B (zh) 2007-09-30 2011-0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过核心网控制终端接入家庭基站覆盖区域的方法
EP2245882B1 (en) * 2007-12-27 2012-09-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uto configuration of mobility entity
US8626162B2 (en) * 2008-06-06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Registration and access control in femto cell deployments
US10743251B2 (en) * 2008-10-31 2020-08-11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 for multiple access modes for home base stations
US20110269468A1 (en) * 2009-01-13 2011-11-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ve subscribers to surrounding radio network
JP5314163B2 (ja) * 2009-01-14 2013-10-1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アクセス制御情報の配信
US20100240366A1 (en) * 2009-03-23 2010-09-23 Motorola, Inc. Connection attempt message procedure enhancement for manual selection of a hybrid home network base station
GB201018633D0 (en) * 2010-11-04 2010-12-22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AU2012281288B2 (en) * 2011-07-14 2015-01-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embership verification or access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3902A1 (en) * 2007-04-12 2009-02-12 Stefano Faccin Packet data network connectivity domain selection and bearer setup
US20090070694A1 (en) * 2007-09-10 2009-03-12 Nokia Siemens Networks Oy Access control for closed subscriber group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424A2 (ko) * 2011-04-14 2012-10-18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셀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2141424A3 (ko) * 2011-04-14 2013-01-10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셀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US8588782B2 (en) 2011-04-14 2013-11-19 Kt Corporation Femtocell access control
KR20130015894A (ko) 2011-08-05 2013-0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입자 우선 순위에 따른 과부하 제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430241B1 (ko) * 2011-08-12 2014-08-18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셀 핸드오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8786A2 (en) 2010-11-11
KR101633331B1 (ko) 2016-07-08
CN102415160B (zh) 2015-07-01
US9386506B2 (en) 2016-07-05
US20120039214A1 (en) 2012-02-16
US9756561B2 (en) 2017-09-05
US20160345255A1 (en) 2016-11-24
WO2010128786A3 (en) 2011-03-03
CN102415160A (zh) 201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6561B2 (en) Method for providing connection type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resource of home (e)NodeB
KR101091300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 을 담당하는 서버 및 LIPA(Local IP Access)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
US982646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of terminal to home (e)NodeB
KR101884348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서버에서 로컬 csg 제공 및 액세스 제어 방법
KR101652442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는 서버 및 커넥션 설정을 제어하는 방법
KR101973462B1 (ko) 접속 해제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단말
KR101692720B1 (ko) 핸드오버 방법
KR10148142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US9277392B2 (en) Method of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fro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US20100210288A1 (en) Optimized paging method for home (e)nodeb system
EP2445264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ing user access mode
CN104811917B (zh) 一种小小区Small cell系统中对UE进行控制、计费和定位的方法
JP2022524165A (ja) Ranページング処理
KR20100092855A (ko) Home (e)NodeB 시스템에서 최적화된 페이징 방법
KR20100064514A (ko) 이동하는 단말의 위치에 따라 단말이 등록된 gan 제어기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65531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of terminal to home (e)NodeB
KR10168010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의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과 장치 및 그 시스템
CN104378843B (zh) 一种支持承载建立的方法、基站及移动性管理实体
KR101639408B1 (ko) Home (e)NodeB에 대한 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