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082A - Sim 카드가 집적된 통신 칩 - Google Patents

Sim 카드가 집적된 통신 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082A
KR20160027082A KR1020167002484A KR20167002484A KR20160027082A KR 20160027082 A KR20160027082 A KR 20160027082A KR 1020167002484 A KR1020167002484 A KR 1020167002484A KR 20167002484 A KR20167002484 A KR 20167002484A KR 20160027082 A KR20160027082 A KR 20160027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cos
unit
programming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3564B1 (ko
Inventor
샤오동 렌
구앙나 엘브이
홍메이 왕
유에 리우
Original Assignee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27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5Protecting application or service provisioning, e.g. securing SIM application provis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공개서류는 SIM 카드가 집적된 통신 칩을 개시한다. 상기 통신 칩은 베이스밴드 CPU,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선택 스위치와 SIMZone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밴드 CPU는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선택 스위치는 각각 SIMZone 유닛, 상기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및 IF1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SIMZone 유닛 사이는 항상 연통 상태를 이루며,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사이가 연통된 상태인 경우, 상기 SIMZone 유닛은 상기 베이스밴드 CPU에 SIM 카드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IF1 인터페이스 사이가 연통된 상태인 경우, 상기 SIMZone 유닛은 상기 IF1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는, SIM 카드를 단말장치의 통신 칩 내부에 집적함으로써, SIM 카드가 단말장치의 PCB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고, SIM 카드가 독립적인 하드웨어 실체로 되는 것을 피하고, 삽탈 과정을 피하며, 신뢰성과 보안성을 향상하며, 보안성은 종래의 SIM 카드보다 낮지 않다.

Description

SIM 카드가 집적된 통신 칩{COMMUNICATIONS CHIP INTEGRATED WITH A SIM CARD}
[관련 출원의 교차 참고]
본 출원은 2013년 12월 13일 중국에 제출된 특허출원 제201310684902.7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되여 있다.
본 공개서류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하며, 특히 SIM 카드가 집적된 통신 칩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사용자인식모듈)카드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 실체로서 단말장치 내부에 존재한다. 도 1은 단말장치의 구성 모식도이며, 상기 단말장치는 통신 칩과 SIM 카드를 포함한다. 통신 칩과 SIM 카드는 ISO7816(스마트카드국제표준)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글로벌이동통신시스템)네트워크 및/또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범용패킷무선서비스)네트워크에 필요한 SIM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SIM 카드는 단말장치의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에서 일정한 면적을 차지하며, 점용 면적이 클 수 있다. SIM 카드는 독립적인 하드웨어 실체로서, 삽탈시 접촉 불량 또는 금속 칩이 파괴되는 등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신뢰성과 안정성이 저하된다.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는, SIM 카드가 단말장치의 PCB에서 일정한 면적을 차지하는 것을 피하고, SIM 카드가 독립적인 하드웨어 실체로 되는 것을 피하는, SIM 카드가 집적된 통신 칩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는 사용자인식모듈(SIM) 카드가 집적된 통신 칩을 제공하며, 상기 통신 칩은, 베이스밴드 중앙프로세서(CPU),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선택 스위치와 SIMZone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CPU는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선택 스위치는 각각 상기 SIMZone유닛, 상기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선택 스위치는 또한 IF1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SIMZone 유닛 사이는 항상 연통 상태를 이루고,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사이가 연통된 상태인 경우, 상기 SIMZone 유닛은 상기 베이스밴드 CPU를 위해 SIM 카드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IF1 인터페이스 사이가 연통된 상태인 경우, 상기 SIMZone 유닛은 상기 IF1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IF1 인터페이스가 지정된 유형의 장치에 연결된 경우,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IF1 인터페이스 사이는 연통된 상태이고,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사이는 연통되지 않은 상태이며, 상기 IF1 인터페이스가 지정된 유형의 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사이는 연통된 상태이고,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IF1 인터페이스 사이는 연통되지 않은 상태이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유형의 장치는 구체적으로 칩운영시스템(COS) 프로그래밍 유닛 또는 개인화 데이터 입력 장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SIMZone 유닛은, 램(RAM), COS저장 유닛,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RAM과 MCU가 연결되고, 상기 COS 저장 유닛과 MCU가 연결되며, 상기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와 MCU가 연결되고, 상기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과 MCU가 연결되며, 또한 상기 SIMZone 유닛은 상기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선택 스위치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RAM은, COS가 MCU에서 작동함에 필요한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COS 저장 유닛은 COS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MCU는 COS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는 통신 기능과 프로그래밍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통신 기능은 상기 SIMZone 유닛과 상기 베이스밴드 CPU 사이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고, 프로그래밍 기능은 IF1 인터페이스가 COS 저장 유닛에 대해 COS프로그래밍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에 대해 개인화 데이터 입력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은 개인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2G네트워크에서, 상기 개인화 데이터는, 국제이동사용자식별번호(IMSI), 집적회로카드식별번호(ICCID), 개인식별번호(PIN1, PIN2), PIN번호해제번호(PUK1, PUK2), 키 식별자(KI), 메시지센터번호(SMSP)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며,
3G네트워크에서, 상기 개인화 데이터는, IMSI, ICCID, PIN1, PIN2, PUK1, PUK2, 키(K), 운영자 키(OPC), SMSP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스마트카드 국제표준 ISO7816을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스마트카드 국제표준 ISO7816을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상기 IF1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COS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또는 개인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이며, 상기 IF1 인터페이스가 COS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인 경우, 상기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는 상기 COS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 COS 프로그래밍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COS 프로그래밍 유닛이 COS 저장 유닛에 대해 COS 프로그래밍을 수행하며, 상기 IF1 인터페이스가 개인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인 경우, 상기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는 상기 개인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인화 데이터 입력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개인화 데이터 입력 장치가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에 대해 개인화 데이터 입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IF1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 회로 구성은 구체적으로, 전원(VCC), 접지단(GND), 리셋(RESET), 프로그래밍 전압(VPP), 클럭(CLK), 데이터I/O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칩은 디지털신호프로세서(DSP) 및/또는 통신 칩 주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본 공개서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술적 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종래기술에 비해,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는 적어도 아래와 같은 장점을 구비한다. 즉,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는, SIM 카드를 단말장치의 통신 칩 내부에 집적함으로써, SIM 카드가 단말장치의 PCB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며, SIM 카드가 독립적인 하드웨어 실체로 되는 것을 피하고, 삽탈 과정을 피하며, 신뢰성과 보안성을 향상한다. 또한 SIM 카드가 통신 칩 내부에 집적되어 있으므로, 보안성은 종래의 SIM 카드보다 낮지 않다.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에 따른 발명을 더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 도면을 간단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의 도면은 단지 본 공개서류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고도 이들 도면을 토대로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 따른 SIM 카드가 집적된 통신 칩의 구성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과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공개서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더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 실시예는 본 공개서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공개서류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수단 및 장점이 더 명료해지도록, 이하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의 도면과 결합하여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에 대해 명료하고도 완전한 설명을 한다. 명백한 바,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공개서류의 일부 실시예일뿐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 설명되는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를 토대로,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얻는 그밖의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공개서류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여기서 사용된 기술적 용어 또는 과학적 용어는 본 공개서류의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일반적 의미이다. 본 공개서류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및 이와 유사한 단어는 그 어떤 순서, 수량 또는 중요도를 나타지 않으며, 서로 다른 구성 부분을 구분하기위한것뿐이다. 이와 동일하게, "하나" 또는 "일" 등과 유사한 단어도 수량적 한정을 나타내지 않고 적어도 하나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연결" 또는 "서로 연결" 등과 유사한 용어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 연결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 연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직접적 또는 간접적 연결을 모두 포함한다. "상", "하", "좌", "우" 등은 상대적 위치 관계를 표시할 뿐이며, 설명되는 대상의 절대적 위치가 변한 경우에는 당해 상대적 위치 관계도 상응하게 변한다.
이하, 본 공개서류의 도면과 결합하여, 본 공개서류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명료하고도 완전한 설명을 한다. 명백한 바,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공개서류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를 토대로,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고 얻는 그밖의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대해,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는 SIM 카드가 집적된 통신 칩을 제공한다. 도 2와 같이, 상기 통신 칩은 구체적으로 베이스밴드 CPU(Center Process Unit, 중앙처리장치)(21),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2), 선택 스위치(23)와 SIMZone 유닛(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SIMZone 유닛(24)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인식모듈 전속영역 유닛(24)이다.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서, 베이스밴드 CPU(21)는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2)와 연결되고, 선택 스위치(23)는 각각 SIMZone 유닛(24)과 연결되고,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2)와 연결되며, IF1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여기서, 선택 스위치(23)와 SIMZone 유닛(24) 사이는 항상 연통 상태를 이루며, 선택 스위치(23)와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2) 또는 IF1 인터페이스 사이는 연통 상태를 이룬다. 나아가, 선택 스위치(23)와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2) 사이가 연통된 상태인 경우, SIMZone 유닛(24)은 베이스밴드 CPU(21)에 SIM 카드 기능을 제공하고, 선택 스위치(23)와 IF1 인터페이스 사이가 연통된 상태인 경우, SIMZone 유닛(24)은 IF1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2)는 구체적으로 통신 칩 내부의, ISO7816를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이다.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서, IF1 인터페이스가 지정된 유형의 장치에 연결된 경우, 선택 스위치(23)와 IF1 인터페이스 사이는 연통된 상태이고, 선택 스위치(23)와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2) 사이는 연통되지 않은 상태이다. IF1 인터페이스가 지정된 유형의 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선택 스위치(23)와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2) 사이는 연통된 상태이고, 선택 스위치(23)와 IF1 인터페이스 사이는 연통되지 않은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지정된 유형의 장치는 구체적으로 COS(Chip Operating System, 칩운영시스템)프로그래밍 유닛 또는 개인화 데이터 입력 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 토대로, 통신 칩의 IF1 인터페이스가 COS 프로그래밍 유닛 또는 개인화 데이터 입력 장치에 연결된 경우, 선택 스위치(23)는 IF1 인터페이스의 VPP(프로그래밍 전압)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현재 VPP 상태가 하이 레벨임을 확정할 수 있으며, 이때 선택 스위치(23)의 타단은 자동으로 IF1 인터페이스로 스위칭되어, IF1 인터페이스와 SIMZone 유닛(24)이 연통되도록 한다. 통신 칩의 IF1 인터페이스가 COS 프로그래밍 유닛 또는 개인화 데이터 입력 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선택 스위치(23)는 IF1 인터페이스의 VPP(프로그래밍 전압)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현재 VPP 상태가 로우 레벨임을 확정할 수 있으며, 이때 선택 스위치(23)의 타단은 자동으로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2)로 스위칭되어,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2)와 SIMZone 유닛(24)이 연통되도록 한다.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현형태에서, 상기 통신 칩은 기타 유닛(25)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기타 유닛(25)은 구체적으로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디지털 신호처리) 및/또는 통신칩 주변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기타 유닛(25)의 기능은 여기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서, 상기 SIMZone 유닛(24)는 구체적으로 RAM(Ramdom Access Memory, 램)(241), COS 저장 유닛(242), MCU(Micro Control Unit,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243),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44),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245)을 포함한다. 여기서, RAM (241)과 MCU (243)가 연결되고, COS 저장 유닛(242)과 MCU (243)가 연결되며,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44)와 MCU (243)가 연결되며,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245)과 MCU (243)가 연결된다. 나아가, SIMZone 유닛(24)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44)를 통해 선택 스위치(23)과 연결된다.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서, RAM (241)은 COS가 MCU(243)에서 작동하는데 필요한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COS 저장 유닛(242)은 COS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MCU (243)는 COS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44)는 SIMZone 유닛(24)과 외부의 유일한 인터페이스로서, 통신 기능(예를 들어 ISO7816통신 기능)과 프로그래밍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통신 기능은 SIMZone 유닛(24)과 베이스밴드 CPU(21) 사이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래밍 기능은 IF1 인터페이스가 COS 저장 유닛(242)에 대해 COS 프로그래밍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그래밍 기능은 또한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245)에 대해 개인화 데이터를 입력을 수행하는 기능을 더 제공한다.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245)는 개인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44)는 구체적으로 ISO7816을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이다. 나아가, 2G네트워크에서 개인화 데이터는 구체적으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Number, 국제이동사용자 식별번호), ICCID(Integrate Circuit Card Identity, 집적회로카드식별번호), PIN1(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개인식별번호), PIN2, PUK1(PIN Unblocking Key, PIN번호해제번호), PUK2, KI(Key identifier, 키 식별자), SMSP(메시지센터 번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3G네트워크에서 개인화 데이터는 IMSI, ICCID, PIN1, PIN2, PUK1, PUK2, 키(Key), OPC(운영자 키), SMSP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해, SIMZone 유닛(24)의 보안 레벨을 현재 종래의 SIM 카드와 동등한 보안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245)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COS의 보안 연산과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44)의 보안 통신 기능을 통해 개인화 데이터의 보안을 확보한다.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서, IF1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COS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또는 개인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IF1 인터페이스가 COS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인 경우, COS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COS 프로그래밍 유닛에 연결할 수 있다. 즉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44)는 COS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 COS 프로그래밍 유닛에 연결되고, COS 프로그래밍 유닛이 COS 저장 유닛(242)에 대해 COS 프로그래밍을 수행한다. IF1 인터페이스가 개인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인 경우, 개인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개인화 데이터 입력 장치(카드입력기(card writer)라고 할 수 있다)에 연결한다. 즉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44)는 개인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인화 데이터 입력 장치에 연결되고, 개인화 데이터 입력 장치가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245)에 대해 개인화 데이터 입력을 수행한다.
나아가, IF1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 회로 구성은 구체적으로 VCC(전원), GND(접지), RESET(리셋), VPP(프로그래밍 전압), CLK(클럭), 데이터I/O를 포함한다.
IF1 인터페이스의 COS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COS 저장 유닛(242)에 대해 COS 프로그래밍을 수행한 후, COS 저장 유닛(242)은 일회성 프로그래밍 유닛이며, COS 저장 유닛(242) 내의 데이터는 삭제 또는 수정되지 않음으로써 COS가 왜곡되지 않도록 확보한다. SIMZone 유닛(24) 내의 개인화 데이터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IF1 인터페이스의 개인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COS와 인터랙티브하여 완성해야 하며, 구체적인 플로우는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유의해야 할 점은, 개인화 데이터의 보안을 확보하기 위해,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245)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기억 장치) 기술 또는 FLASH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서, SIMZone 유닛(24)이 통신 칩 내부에 집적되므로, SIMZone 유닛(24)은 베이스밴드 CPU(21), 선택 스위치(23), 기타 유닛(25)과 동일한 제조 공정, 예를 들어 0.13?m 공정, 65nm 공정 등을 이용해야 한다. 종래기술의 한계로 인해, 서로 다른 공정에서의 SIMZone 유닛(24)의 설계 방법도 서로 다르다. RAM(241), MCU(243),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44)는 모두 통신 칩 중의 베이스밴드 CPU(21), 기타 유닛(25)과 동일한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COS 저장 유닛(242)은 OTP(일회성 프로그래밍) 로직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공정에도 적용된다.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245)에 대해 말하면, 일반적으로 90nm, 0.13?m 등의 지지가 있는 경우에만 EEPROM 또는 FLASH를 지지하므로,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245)이 EEPROM 또는 FLASH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전체 통신 칩도 상응한 공정을 이용할 수 밖에 없다.
이하, 서로 다른 경우의 통신 칩의 SIMZone 유닛(24)의 구현 방법을 설명한다.
(1)통신 칩이 65nm, 55nm, 40nm 등 이하의 공정을 이용하는 경우, RAM(241), MCU(243),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244)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COS 저장 유닛(242)은 OTP ROM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되며,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245)은 MTP 로직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여기서, 통신 칩 내부에 EEPROM 또는 FLASH를 삽입할 수 있는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면,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245)은 EEPROM 또는 FLASH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MTP의 지우고 쓰기 횟수가 10회 정도밖에 될수 없으므로, 개인화 데이터의 갱신 횟수에 한계가 있다. 한편, EEPROM 또는 FLASH를 이용하여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245)을 구현하는 경우, 그 지우고 쓰기 횟수는 10만회 이상에 달할 수 있다.
현재의 프로토콜 표준에 따르면, 베이스밴드 CPU(21)와 SIMZone 유닛(24)의 통신이 셀 갱신을 요구하는 경우, 베이스밴드 CPU(21)는 SIMZone 유닛(24)에 셀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그러나 통신 칩은 SIMZone 유닛(24)을 내부에 집적하고 있으므로, SIMZone 유닛(24)에 셀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이를 토대로,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245)이 MTP 로직을 이용하여 구현한다고 해도, 어떠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으나, 개인화 데이터의 갱신 횟수가 한정되여, 로컬 카드 입력 또는 공중 카드 입력을 빈번하게 할 수 없을 뿐이다.
(2)통신 칩이 0.13?m 등 이상의 공정을 이용하는 경우,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245)은 EEPROM 또는 FLASH를 이용하여 구현되며, 개인화 데이터의 갱신 횟수는 10만회 이상에 달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 따른 방식으로 설계하면, SIMZone 유닛(24)의 보안 레벨이 종래의 SIM 카드보다 낮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다. 또한, COS 프로그램 코드가 COS 저장 유닛(242)에 저장되므로, 디컴파일 되기 쉽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서는, 통신 칩의 설계 과정에서 COS 저장 유닛(242)은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COS 프로그램 코드를 RTL(레지스터 전송 수준)로 변환시켜 COS 저장 유닛(242)에 저장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서는 SIM 카드를 단말장치의 통신 칩 내부에 집적함으로써, 보안성이 종래의 SIM 카드보다 낮지 않으며, SIM 카드가 단말장치의 PCB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줄여 PCB 면적을 절약한다. 또한 SIM 카드를 독립적인 하드웨어 실체로 구성하는 것을 피하고 삽탈 과정을 피하며, 신뢰성과 보안성이 향상된다. COS는 통신 칩 내부에서 하드웨어 로직으로 구현되므로, 쉽게 디컴파일 되지 않는다.
이상 실시형태의 설명을 통해,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공개서류에 따른 발명이 소프트웨어와 필수적인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을 물론이나, 많은 경우에 전자가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임을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따르면, 본 공개서류에 따른 기술적 수단의 본질적인 부분 또는 종래기술에 대한 기여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다수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장치(예를 들어, 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 등)가 본 공개서류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도면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모식도일 뿐, 도면 중 모듈 또는 플로우는 본 공개서류에 따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실시예 중 장치 속의 모듈은 실시예의 설명에 따라 실시예의 장치에 분포될 수 있고, 또한 상응한 변화를 거쳐 본 실시예와는 다른 하나 또는 다수의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모듈은 하나의 모듈로 병합될 수 있고, 또한 다수의 서브 모듈로 분해될 수도 있다.
상기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 번호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실시예의 우열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상 개시된 것은 단지 본 공개서류의 몇몇 구체적인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분야의 기술자가 생각할 수 있는 변화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사용자인식모듈(SIM)카드가 집적된 통신 칩에 있어서,
    상기 통신 칩은, 베이스밴드 중앙프로세서(CPU),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선택 스위치와 SIMZone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CPU는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선택 스위치는 각각 상기 SIMZone 유닛, 상기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선택 스위치는 또한 IF1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SIMZone 유닛 사이는 항상 연통 상태를 이루고,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사이가 연통된 상태인 경우, 상기 SIMZone 유닛은 상기 베이스밴드 CPU를 위해 SIM 카드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IF1 인터페이스 사이가 연통된 상태인 경우, 상기 SIMZone 유닛은 상기 IF1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F1 인터페이스가 지정된 유형의 장치에 연결된 경우,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IF1 인터페이스 사이는 연통 상태를 이루고,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사이는 연통되지 않은 상태이며, 상기 IF1 인터페이스가 지정된 유형의 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사이는 연통 상태를 이루고, 상기 선택 스위치와 상기 IF1 인터페이스 사이는 연통되지 않은 상태인 통신 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유형의 장치는 구체적으로 칩운영시스템(COS) 프로그래밍 유닛 또는 개인화 데이터 입력 장치인 통신 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MZone 유닛은, 램(RAM), COS 저장 유닛,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와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RAM과 MCU가 연결되고, 상기 COS 저장 유닛과 MCU가 연결되며, 상기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와 MCU가 연결되고, 상기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과 MCU가 연결되며, 또한 상기 SIMZone 유닛은 상기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선택 스위치와 연결되며, 여기서,
    상기 RAM은, COS가 MCU에서 작동함에 필요한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COS 저장 유닛은 COS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MCU는 COS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는 통신 기능과 프로그래밍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통신 기능은 상기 SIMZone 유닛과 상기 베이스밴드 CPU 사이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며, 프로그래밍 기능은 IF1 인터페이스가 COS 저장 유닛에 대해 COS 프로그래밍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에 대해 개인화 데이터 입력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은, 개인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인 통신 칩.
  5. 제4항에 있어서,
    2G네트워크에서 상기 개인화 데이터는 국제이동사용자식별번호(IMSI), 집적회로카드식별번호(ICCID), 개인식별번호(PIN1, PIN2), PIN번호해제번호(PUK1, PUK2), 키 식별자(KI), 메시지센터번호(SMSP)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며,
    3G네트워크에서 상기 개인화 데이터는 IMSI, ICCID, PIN1, PIN2, PUK1, PUK2, 키(K), 운영자 키(OPC), SMSP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통신 칩.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스마트카드 국제표준 ISO7816을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스마트카드 국제표준 ISO7816을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인 통신 칩.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F1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COS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또는 개인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이며,
    상기 IF1 인터페이스가 COS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인 경우, 상기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는 상기 COS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 COS 프로그래밍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COS 프로그래밍 유닛이 COS 저장 유닛에 대해 COS 프로그래밍을 수행하며,
    상기 IF1 인터페이스가 개인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인 경우, 상기 제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는 상기 개인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인화 데이터 입력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개인화 데이터 입력 장치가 개인화 데이터 저장 유닛에 대해 개인화 데이터 입력을 수행하는 통신 칩.
  8. 제1항 , 제2항, 제4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F1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 회로 구성은 구체적으로, 전원(VCC), 접지단(GND), 리셋(RESET), 프로그래밍 전압(VPP), 클럭(CLK), 데이터I/O을 포함하는 통신 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칩은, 디지털신호프로세서(DSP) 및/또는 통신 칩 주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통신 칩.
KR1020167002484A 2013-12-13 2014-12-03 Sim 카드가 집적된 통신 칩 KR101783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684902.7 2013-12-13
CN201310684902.7A CN104717767B (zh) 2013-12-13 2013-12-13 一种集成有sim卡的通信芯片
PCT/CN2014/092938 WO2015085884A1 (zh) 2013-12-13 2014-12-03 一种集成有sim卡的通信芯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082A true KR20160027082A (ko) 2016-03-09
KR101783564B1 KR101783564B1 (ko) 2017-09-29

Family

ID=5337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484A KR101783564B1 (ko) 2013-12-13 2014-12-03 Sim 카드가 집적된 통신 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76520B2 (ko)
EP (1) EP3082375B1 (ko)
KR (1) KR101783564B1 (ko)
CN (1) CN104717767B (ko)
WO (1) WO20150858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1811A (zh) * 2016-06-29 2016-11-16 广州二六三移动通信有限公司 Sim模块、移动模块、漫游系统及其方法
CN108112008A (zh) * 2017-12-12 2018-06-01 苏州蜗牛数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sim卡功能的电路、方法及终端
CN110248354A (zh) * 2019-04-30 2019-09-17 捷德(中国)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动态配置的数据处理方法及其应用
CN111382823A (zh) * 2020-03-23 2020-07-07 北京智联安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连接SIM、eSIM的蜂窝通信芯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48078C (zh) 2005-04-20 2009-10-07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实现移动电话快速开机的方法
ATE470914T1 (de) * 2006-04-05 2010-06-15 Nxp Bv Verfahren zur dynamischen zuweisung von kontakten einer teilnehmer-chipkarte in einem mobilen endgerät sowie entsprechendes programm und mobiles endgerät
CN101222711B (zh) * 2008-02-02 2010-11-10 代邦(江西)制卡有限公司 支持虚拟sim卡的移动通讯网络系统及其认证方法
FR2936886B1 (fr) * 2008-10-02 2013-09-27 Oberthur Technologies Dispositif electronique et gestion des communications sans contact concurrentes d'un tel dispositif et d'un equipement hote
EP2290589A1 (en) * 2009-08-05 2011-03-02 Gemalto SA Electronic circuit for interconnecting a smartcard chip
KR101081944B1 (ko) 2009-10-19 2011-11-09 김선대 스마트카드와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KR101142050B1 (ko) 2010-12-21 2012-05-07 엠텍비젼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엔에프씨-심 카드
TWM425346U (en) * 2011-05-20 2012-03-21 Mxtran Inc Integrated circuit film for smart card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202197332U (zh) * 2011-07-18 2012-04-18 关建超 一种脱离sim卡的通信终端
AU2012287175B2 (en) * 2011-07-22 2016-02-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anaging multicast traffic
CN103369721A (zh) * 2012-03-27 2013-10-23 上海晨兴希姆通电子科技有限公司 无线通信模块及其运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82375A4 (en) 2017-08-02
CN104717767A (zh) 2015-06-17
US9876520B2 (en) 2018-01-23
WO2015085884A1 (zh) 2015-06-18
KR101783564B1 (ko) 2017-09-29
US20160248463A1 (en) 2016-08-25
EP3082375B1 (en) 2020-02-12
CN104717767B (zh) 2018-11-30
EP3082375A1 (en)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0409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KR101360199B1 (ko) 스마트 카드와 디바이스간 인터페이스의 효율적인 사용방법및 관련 스마트 카드와 디바이스
US9673870B2 (en) Near-field communications and routing
KR101783564B1 (ko) Sim 카드가 집적된 통신 칩
CN105245349A (zh) 一种具有嵌入式uicc卡的用户穿戴设备
CN104219654A (zh) Sim卡读写方法及终端
CN107409122A (zh) 用于操作安全元件的方法
CN101808318B (zh) 通讯装置数据保护系统及方法
EP2621244B1 (en) User identification card, terminal, and related processing method
CN101719958A (zh) Stk业务处理的方法和移动终端
EP3266235A1 (en) Contactless programming of subscriber identity modules
US9971723B2 (en) Device and system for bridging electrical signals between SIM card and mobile device and providing service to mobile device
CN210958815U (zh) 电子设备
EP2159666A1 (en) Surface-mounted device with multi-layered SIM cards
KR100926369B1 (ko)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US9277409B2 (en) Security chip of a communication device
JP6859997B2 (ja) 情報処理装置、icチップ、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22228A (ja) 電子情報記憶媒体、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JP2017142655A (ja) 電子情報記憶媒体、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TWI498741B (zh)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a transaction message display method, and a mobile device
CN104581686A (zh) 进行用户识别模块/全球用户识别模块个人化的方法
CN104581688A (zh) 对移动装置进行网络个人化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