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649A -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 - Google Patents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649A
KR20160026649A KR1020150070594A KR20150070594A KR20160026649A KR 20160026649 A KR20160026649 A KR 20160026649A KR 1020150070594 A KR1020150070594 A KR 1020150070594A KR 20150070594 A KR20150070594 A KR 20150070594A KR 20160026649 A KR20160026649 A KR 20160026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assembly jig
wax
artificial
artificial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화
차선주
김기정
신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큐
Priority to PCT/KR2015/00731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35997A1/ko
Publication of KR20160026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각 인공치아(10)들의 결합돌기(12)를 상악 및 하악의 치열 구조에 맞추어 판형 조립지그(20)의 레일홈(22)에 삽입하여 배열하고 왁스(30)로 임시 고정하여 묶음 형태로 제공하므로 틀니 제작시 환자의 치열 곡선 구조에 맞추어 밴딩한 후 기초상(50)에 낱개가 아닌 필요한 부분 만큼 절단하여 묶음 형태로 간단히 결합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고, 특히 각 인공치아(10)의 높낮이 또는 컨텍 포인트를 간단히 맞출 수 있어 기능성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the Dendtal Implant Sturcture}
본 발명은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낱개로 제작된 다수의 인공치아를 치열(齒列) 배열상태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묶음 형태를 개선한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사람은 상악(上顎) 16개, 하악(上顎) 16개로 총 32개의 치아를 가지며, 유아시기에 생성된 유치가 성장기에 접어들면서 성장치로 교체된 후 평생 동안 성장치를 이용한다.
상기한 성장치는 각종 구강질병이나 그 밖에 이유로 인하여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치아가 손상되는 경우에 임플란트 시술이나 틀니를 이용한 구조물에 의해 손상된 치아를 복원하고 있다.
상기 임플란트 시술은 고가의 치료 비용 뿐만 아니라 잇몸의 상태에 따라 인공뿌리를 심거나 잇몸뼈(턱뼈)에 구멍을 뚫고 인공기둥을 세워야 하는 등 대수술이 요구되어 정상적으로 회복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틀니는 부분틀니와 완전틀니가 있는데, 부분틀니는 잇몸체에 남아 있는 본치아를 이용해 빠진부분을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이고, 완전틀니는 잇몸체에 본치아가 한개도 남아 있지 않을 경우 잇몸체의 지지만으로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틀니는 개인 트레이를 이용한 총 틀니 제조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상재료를 이용하여 치과에서 환자 치아의 본을 뜨는 단계- 치과에서 제작된 치아 본을 이용하여 기공회사에서 개인 트레이를 제작하는 단계- 치과에서 개인 트레이를 이용하여 치아 본을 뜨는 단계- 기공 회사에서 의료용 플라스틱으로 기초상을 제작하는 단계- 기공회사에서 제작된 기초상을 치과에서 환자에 입에 넣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단계- 기공회사에서 높낮이가 조절된 의치상에 인공치아를 배열하여 틀니를 제작하는 단계- 인공치아가 배열된 틀니를 치과에서 환자의 치아에 맞게 조절하는 단계- 환자가 틀니를 만족하였을 경우 밀납 틀니(wax denture)를 딱딱한 아크릴 레진(aclyle resin)으로 교체하는 중합(curing)단계를 거쳐 제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틀니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인공치아는 낱개로 상악이나 하악이 치열 구조로 배열 포장하여 제공되기 때문에 틀니 제작시 인공치아를 의치상의 아치를 따라 낱개로 옮겨서 결합하게 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인공치아들의 각 높낮이, 좌우 및 전후 경사, 컨텍 포인트 등을 모두 맞추어 결합하여야 하므로 많은 수정과 보정 작업이 반복적으로 요구될 뿐만 아니라 완벽하게 결합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곤란하여 기능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 제10-2012-0088073호 특허출원 제10-2010-01346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각 인공치아들을 상악 및 하악의 치열 구조에 맞추어 판형 조립지그에 배열하고 왁스로 임시 고정하여 묶음 형태로 제공하므로 틀니 제작시 환자의 치열 곡선 구조에 맞추어 밴딩한 후 기초상에 낱개가 아닌 필요한 부분 만큼 절단하여 묶음 형태로 결합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함은 물론 각 인공치아의 높낮이 또는 컨텍 포인트를 간단히 맞출 수 있어 기능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는, 내측에 결합돌기를 형성하는 인공치아들과, 상기 결합돌기가 상악 및 하악의 치열 순서로 배열되게 끼워진 후 왁스에 의해 서로 접합되도록 중앙에 좌우 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되고, 환자의 치열 곡선 구조에 맞추어 밴딩된 후 필요 부분 만큼 절단되는 띠 모양의 판형 몸체가 형성된 조립지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조립지그의 레일홈은 좌우 양측이 아래로 경사지는 아치형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인공치아들의 내측 수직면(측면)에는 결합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이들 결합돌기는 상기 조립지그의 몸체가 인공치아(10)들의 내측 수직면(측면)에 동시 밀착되도록 조립지그의 레일홈에 끼워진 채로 왁스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인공치아들의 내측 수평면(하면)에는 결합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이들 결합돌기는 상기 조립지그가 인공치아들의 내측 수평면(하면)에 동시 밀착되도록 조립지그의 레일홈에 끼워진 채로 왁스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인공치아들의 내측 수직면(측면)에는 결합돌기가 중앙에 위치되는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결합홈은 상기 조립지그의 레일홈과 결합돌기가 끼워맞춤될 때 조립지그의 몸체에 끼워진 채로 왁스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인공치아들의 내측 수평면(하면)에는 결합돌기가 중앙에 위치되는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결합홈은 상기 조립지그의 레일홈과 결합돌기가 끼워맞춤될 때 조립지그의 몸체에 끼워진 채로 왁스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는, 각 인공치아들의 결합돌기를 상악 및 하악의 치열 구조에 맞추어 판형 조립지그의 레일홈에 삽입하여 배열하고 왁스로 임시 고정하여 묶음 형태로 제공하므로 틀니 제작시 환자의 치열 곡선 구조에 맞추어 밴딩한 후 기초상에 낱개가 아닌 필요한 부분 만큼 절단하여 묶음 형태로 간단히 결합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고, 특히 각 인공치아의 높낮이 또는 컨텍 포인트를 간단히 맞출 수 있어 기능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인공치아는 틀니 제작시 환자의 인공치아 낱개 배열, 인공치아 높낮이 조절, 컨텍 포인트 보정 등의 작업을 수차례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단번에 간단히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1은 조립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인공치아와 조립지그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인공치아를 조립지그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5는 도 3을 밴딩한 후 평면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인공치아를 의치상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부분 틀니 및 전체 틀니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와 조립지그의 결합상태 및 방향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는, 내측에 결합돌기(12)를 돌출 형성하는 인공치아(10)들과, 밴딩 및 절단 가능한 띠 모양의 판형 몸체(21) 좌우 방향으로 레일홈(22)을 형성하는 조립지그(20)를 마련하여 상기 조립지그(20)의 레일홈(22)에 인공치아(10)들의 결합돌기(12)를 삽입하고 왁스(30)로 서로 접합하여 상악 및 하악의 치열 순서로 배열 조립하되, 틀니 제작시 환자의 치열 곡선 구조에 맞추어 밴딩한 후 필요 부분 만큼 절단하여 묶음 형태로 기초상(50)에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인공치아(10)들을 기초상(50)에 결합시에는 인공치아(10)에서 조립지그를 분리하여 결합하는데, 이는 상기 인공치아(10)와 조립지그 사이에 뜨거운 물을 부어 접착력을 약화시키므로 분리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공치아(10)의 결합돌기(12)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조립지그(20)는 무 독성의 금속, 비 철금속 또는 강화 프라스틱이나 그 밖의 재질로 형성하되, 밴딩 및 절단이 가능한 얇은 두께의 판형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립지그(20)의 레일홈(22)은 좌우 양측이 아래로 경사지는 아치형 곡면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밴딩시 환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인공치아(10)와 조립지그(20)의 표면에는 티타늄 또는 은을 포함하는 항균 코팅층을 더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지그(20)에서 판형 몸체(21)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22)에 각 인공치아(10)들의 결합돌기(12)를 삽입하여 상악 및 하악의 치열 순서로 배열 조립한다.
그리고 각 인공치아(10)들과 조립지그(20)는 왁스(30)로 임시 접합한다.
이때, 각 인공치아(10)들은 결합돌기(12)가 조립지그(20)의 레일홈(22)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어 상악 및 하악의 치열 순서로 배열되기 때문에 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각 인공치아(10)들의 높낮이, 전후 및 좌우 각도, 컨텍 포인트를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각 인공치아(10)들은 도 5와 같이 틀니 제작시 환자의 상악 및 하악 치열 곡선에 맞추어 밴딩되는 얇은 판재의 조립지그(20)와 함께 상악 및 하악의 치열 곡선에 맞추어 위치하게 된다.
특히, 조립지그(20)의 레일홈(22)은 좌우 양측이 수평이 아닌 좌우 양측이 아래로 경사지는 아치형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지그(20)의 밴딩 후 각 인공치아(10)들은 중앙 보다 양측이 약간 아래로 경사지게 배열되므로 실제 구강 구조와 동일하게 배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조립지그(20)를 상악 및 하악의 치열 곡선에 맞추어 밴딩하게 되면, 조립지그(20)에 지지된 각 인공치아(10)들의 간격이 좌우로 약간 벌어지면서 컨텍 포인트가 서로 이격되는데, 이는 인공치아(10)들을 좌우로 약간 밀어주는 것에 의해 인공치아(10)의 결합돌기(12)가 조립지그(20)의 레일홈(22)을 따라 좌우 이동하므로 간단히 보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 인공치아(10)들을 환자의 상악 및 하악의 치열 곡선에 맞추어 조립지그(20)를 밴딩한 후에는 이 조립지그(20)를 필요한 부분 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 조립지그(20)를 절단한 후에는 인공치아(10)에서 조립지그(20)를 분리할 수 있다.
즉, 인공치아(10)와 조립지그(20) 사이에 뜨거운 물을 부어 왁스(30)의 접착력을 약화시키면, 조립지그(20)를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조립지그(20)를 분리한 인공치아(10)들은 왁스(30)에 의해 서로 묶음 형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도 6과 같이 의치상(50)에 간단히 결합 설치하면 된다.
즉, 인공치아(10)들은 종래와 같이 낱개로 의치상(50)에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왁스(30)에 의해 묶음 형태로 유지되어 의치상(50)에 결합되기 때문에 도 7과 같은 부분 틀니(100)나 도 8과 같은 전체 틀니(200)를 제작할 때 작업이 간단하고 작업 소요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또, 각 인공치아(10)들의 높낮이, 전후 및 좌우 각도 컨텍 포인트가 왁스(30)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된 채로 의치상(50)에 결합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수정, 보완 작업을 반복 수행하지 않고 단번에 도 7과 같은 부분 틀니(100)나 도 8과 같은 전체 틀니(200)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는, 첨부된 도면 도 9a 내지 도 9d와 같이 인공치아(10)와 조립지그(20)를 여러 유형의 묶은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로서, 도 9a와 같이 상기 인공치아(10)들의 내측 수직면(측면)에는 결합돌기(12)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이들 결합돌기(12)는 상기 조립지그(20)가 인공치아(10)들의 내측 수직면(측면)에 동시 밀착되도록 조립지그(20)의 레일홈(22)에 끼워진 채로 왁스(30)에 의해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b와 같이 상기 인공치아(10)들의 내측 수평면(하면)에는 결합돌기(12)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이들 결합돌기(12)는 상기 조립지그(20)가 인공치아(10)들의 내측 수평면(하면)에 동시 밀착되도록 조립지그(20)의 레일홈(22)에 끼워진 채로 왁스(30)에 의해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c와 같이 상기 인공치아(10)들의 내측 수직면(측면)에는 결합돌기(12)가 중앙에 위치되는 결합홈(14)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결합홈(14)은 상기 조립지그(20)의 레일홈(22)과 결합돌기(12)가 끼워맞춤될 때 조립지그(20)의 몸체(21)에 끼워진 채로 왁스(30)에 의해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d와 같이 상기 인공치아(10)들의 내측 수평면(하면)에는 결합돌기(12)가 중앙에 위치되는 결합홈(14)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결합홈(14)은 상기 조립지그(20)의 레일홈(22)과 결합돌기(12)가 끼워맞춤될 때 조립지그(20)의 몸체(21)에 끼워진 채로 왁스(30)에 의해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공치아(10)들과 끼워맞춤되면서 왁스(30)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조립지그(20)는 분리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의치상(50)에 결합 설치될 경우 조립지그(20)의 보강력에 의해 이미 배열된 인공치아(10)들의 상악 및 하악의 치열 순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치열 곡선 구조에 맞추어 이미 밴딩되어 완성된 부분 틀니나 전체 틀니가 사용중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인공치아 12: 결합돌기
14 : 결합홈 20: 조립지그
21: 몸체 22: 레일홈
30: 왁스 50: 기초상

Claims (6)

  1. 내측에 결합돌기(12)를 형성하는 인공치아(10)들과,
    상기 결합돌기(12)가 상악 및 하악의 치열 순서로 배열되게 끼워진 후 왁스(30)에 의해 서로 접합되도록 중앙에 좌우 방향으로 레일홈(22)이 형성되고, 환자의 치열 곡선 구조에 맞추어 밴딩된 후 필요 부분 만큼 절단되는 띠 모양의 판형 몸체(21)가 형성된 조립지그(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지그(20)의 레일홈(22)은 좌우 양측이 아래로 경사지는 아치형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아(10)들의 내측 수직면(측면)에는 결합돌기(12)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이들 결합돌기(12)는 상기 조립지그(20)의 몸체(21)가 인공치아(10)들의 내측 수직면(측면)에 동시 밀착되도록 조립지그(20)의 레일홈(22)에 끼워진 채로 왁스(30)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아(10)들의 내측 수평면(하면)에는 결합돌기(12)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이들 결합돌기(12)는 상기 조립지그(20)가 인공치아(10)들의 내측 수평면(하면)에 동시 밀착되도록 조립지그(20)의 레일홈(22)에 끼워진 채로 왁스(30)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아(10)들의 내측 수직면(측면)에는 결합돌기(12)가 중앙에 위치되는 결합홈(14)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결합홈(14)은 상기 조립지그(20)의 레일홈(22)과 결합돌기(12)가 끼워맞춤될 때 조립지그(20)의 몸체(21)에 끼워진 채로 왁스(30)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아(10)들의 내측 수평면(하면)에는 결합돌기(12)가 중앙에 위치되는 결합홈(14)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결합홈(14)은 상기 조립지그(20)의 레일홈(22)과 결합돌기(12)가 끼워맞춤될 때 조립지그(20)의 몸체(21)에 끼워진 채로 왁스(30)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
KR1020150070594A 2014-09-01 2015-05-20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 KR20160026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7311 WO2016035997A1 (ko) 2014-09-01 2015-07-14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356 2014-09-01
KR20140115356 2014-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649A true KR20160026649A (ko) 2016-03-09

Family

ID=5553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594A KR20160026649A (ko) 2014-09-01 2015-05-20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664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687A (ko) 2008-04-25 2010-12-23 다이닛본 스미토모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5-원 고리 화합물
KR20120088073A (ko) 2011-01-29 2012-08-08 노바테크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화학적 강화유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687A (ko) 2008-04-25 2010-12-23 다이닛본 스미토모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5-원 고리 화합물
KR20120088073A (ko) 2011-01-29 2012-08-08 노바테크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화학적 강화유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475B1 (ko) 볼 및 소켓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처 제작방법
US9532854B2 (en)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with removable section
US2012005246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Dental Records
CN101646398A (zh) 正牙前开合夹板
JP6200575B2 (ja) 無歯顎患者用咬合採得具
US11583375B2 (en) Partial connection full arch artificial tooth having adjustability of dental arch and occlusion curvature
US20210220093A1 (en) Row of connected artificial teeth
US10478271B2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distalization and/or space closure
US20160302890A1 (en) Orthodontic Retainer
KR102226949B1 (ko) 인상용 트레이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의치 제작 방법
JPWO2020033528A5 (ko)
JP4964740B2 (ja) 蝋義歯の製造方法
JP2010162333A (ja) 人工臼歯
US20060286502A1 (en) Teeth indexing device
KR20120003581A (ko) 기능성 치아모형
CN212395090U (zh) 一种带有固定结构的全口义齿
KR20160026649A (ko) 묶음 배열이 가능한 인공치아 구조체
JP6174829B1 (ja) 採得器具
KR20100008774U (ko) 임시의치 제작용 간이 인상 트레이
JP2005270134A (ja) 歯列矯正治療用硬質マウスピースとその製造方法。
KR101375152B1 (ko) 구치용 힐링 어버트먼트
KR20100008775U (ko) 인상의치용 성형틀
KR101485000B1 (ko) 교합만곡을 만족하는 4개의 구치를 구비하는 인공치아
JP6630089B2 (ja) 基準義歯床、基準義歯、義歯作製キット及びこれを用いる義歯作製方法
KR20140073330A (ko) 배열코어를 이용한 틀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