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640A -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스위치 - Google Patents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640A
KR20160026640A KR1020150057010A KR20150057010A KR20160026640A KR 20160026640 A KR20160026640 A KR 20160026640A KR 1020150057010 A KR1020150057010 A KR 1020150057010A KR 20150057010 A KR20150057010 A KR 20150057010A KR 20160026640 A KR20160026640 A KR 20160026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film member
piezoelectric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화
박종흠
임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4/836,60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065097A1/en
Priority to CN201510551472.0A priority patent/CN105391339A/zh
Publication of KR20160026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5B37/02

Landscapes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는, 박막 부재; 상기 박막 부재의 중심 또는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지지 부재; 상기 박막 부재에 배치되는 압전 부재; 및 상기 박막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와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박막 부재의 가장자리 또는 중심을 누르도록 구성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스위치{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and wireless switch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제어 조명 시스템의 경우 파워 모듈, 통신 모듈이 내장된 조명부, 무선 제어 컨트롤러, 조명부, 무선 제어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치 및 조도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현재의 무선 제어 조명 시스템은 별도의 무선 조명 컨트롤러와 네트워크 장치가 요구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높다.
이와 같은 문제로 무선 제어 조명 시스템을 가정, 사무소 등에 적용하기 어렵다.
KR 1998-0079593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무선 스위치에 구비된 무선 송신 모듈에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동 시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는 박막 부재; 상기 박막 부재의 중심 또는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지지 부재; 상기 박막 부재에 배치되는 압전 부재; 및 상기 박막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와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박막 부재의 가장자리 또는 중심을 누르도록 구성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에 따르면, 구동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으므로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에 따르면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에서 발생한 전압을 무선 통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개략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를 설명한다.
무선 스위치(10)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스위치(10)는 벽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무선 스위치(10)는 원거리에 배치된 장치를 조작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스위치(10)는 사용자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각기 다른 무선 신호를 송출하여, 원거리에 배치된 장치(예를 들어, 천장에 배치된 조명 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10)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 정류기(200), 캐패시터(300), 컨버터(400) 및 무선 송신 모듈(500)을 포함한다.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에서 발생된 에너지는 상기 정류기(200)를 거쳐 상기 캐패시터(300)에 저장되며, 상기 컨버터(400)를 통해 안정된 전압으로 변환되어 상기 무선 송신 모듈(500)에 전달된다.
상기 무선 송신 모듈(500)에서는 입력 신호에 따라 무선 통신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RF 통신 신호는 외부 전자기기의 무선 수신 모듈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 외부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LED 램프 등과 같은 조명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는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상기 무선 송신 모듈(500)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자기기에 ON/OFF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정 내의 조명 등에 스위치를 연결하기 위하여 기구적으로 복잡한 구성을 취하지 않아도 되고, 간편하게 무선 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무선 송신 모듈(500)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되는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박막 부재(110), 상기 박막 부재(11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20), 상기 박막 부재(110) 상에 구비되는 압전 부재(130), 상기 압전 부재(130)의 일면에 구비되는 상부전극(140), 상기 압전 부재(130)의 타면에 구비되는 하부전극(150) 및 상기 박막 부재(110)에 변위를 발생시키는 구동 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박막 부재(110)는 판 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상기 지지 부재(12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 부재(120)는 상기 박막 부재(110) 하부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박막 부재(11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120)를 기준으로 상기 박막 부재(110)의 일측과 타측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외력이 가해진 부분에서 상기 박막 부재(110)에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박막 부재(110)의 상부에는 상기 압전 부재(1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박막 부재(110)에 변위가 발생하면, 상기 압전 부재(130)에도 변위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위차가 나타나는 압전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박막 부재(110)에 변위가 발생하면 상기 박막 부재(110) 상에 구비되는 상기 압전 부재(130)에도 변위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압전 부재(130)에 전기적 분극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전 부재(130)의 일면에 구비된 상기 상부전극(140)에서 전압이 발생되며, 이를 통해 발생된 출력 전류가 상기 무선 송신 모듈(500)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되게 된다.
상기 압전 부재(130)는 티탄산 지르콘산 연(Lead zirconate titanate), 티탄산바륨(BaTiO₃), 티탄산연(PbTiO₃), 니오브산리튬(LiNbO₃) 또는 수정(SiO₂)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전극(150)은 전위차의 발생을 위해 구비되며, 상기 상부전극(140)에 대응되도록 상기 압전 부재(130)의 타면에 구비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구동 부재(160)를 누르면, 상기 구동 부재(160)에 대응되는 상기 박막 부재(110)의 일측과 타측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고, 상기 박막 부재(110)의 일측과 타측에 변위가 발생한다.
상기 지지 부재(120)를 기준으로 상기 박막 부재(110)의 일측과 타측에 변위가 발생하면, 이에 대응되어 상기 압전 부재(130)의 일측과 타측에도 변위가 발생하게 되고, 결국 상기 압전 부재(130)의 일면에 배치된 상기 상부전극(140)에서 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박막 부재(110)의 일측과 타측에 모두 변위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박막 부재(110)의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한 측만을 변위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변위길이를 상대적으로 줄이면서도 동일하거나 더 큰 전압을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 박막 부재(1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전극(140)에서 발생된 전압은 상기 무선 송신 모듈(500)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되며, 상기 무선 송신 모듈(500)은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한 상기 박막 부재의 변위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신호를 외부 전자기기에 전달하게 된다.
이상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는 구동 시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으므로,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는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에서 발생된 전압을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여 외부 전자기기에 무선 통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서 전술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전술된 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박막 부재(110)의 형태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 예에서 박막 부재(110)는 반구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박막 부재(110)는 복원력이 우수할 수 있다.
일 예로, 박막 부재(11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 이후 원상태로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다. 다른 예, 박막 부재(110)는 사용자의 빈번한 사용 이후에도 원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스위치 사용이 빈번한 장소에 사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지지 부재(120)의 형태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120)는 반구형 박막 부재(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고리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지지 부재(120)는 반구형 박막 부재(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한번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큰 압전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압전 부재(130)는 상방으로 볼록한 상태의 박막 부재(110)가 하방으로 오목한 상태로 변형될 때 압전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압전 부재(130)는 하방으로 오목한 상태의 박막 부재(110)가 상방으로 볼록한 상태로 복원될 때 압전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1회 동작에 큰 압전 에너지를 축적하는데 효과적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박막 부재(110)의 형태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 예에서 박막 부재(110)는 원 형태일 수 있다.
압전 부재(130)는 박막 부재(11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박막 부재(110)의 지름과 압전 부재(130)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지지 부재(120, 122, 124, 126)는 박막 부재(110)의 일 부분만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 부재(120, 122, 124, 126)는 압전 부재(130)의 단부가 위치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박막 부재(110) 및 압전 부재(130)가 판형이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도 8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박막 부재(110)의 형태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박막 부재(110)는 구동 부재(16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박막 부재(110)는 구동 부재(160)를 중심으로 8개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박막 부재(110)는 구동 부재(160)를 중심으로 6개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지지 부재(120)는 박막 부재(110)의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 부재(120)는 여러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박막 부재(110)의 끝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부재(120)의 수는 박막 부재(110)의 연장된 분기 수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지 부재(120)는 여러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박막 부재(110)의 끝을 모두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20)는 박막 부재(110)의 최대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원 형태일 수 있다.
압전 부재(130)는 박막 부재(11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압전 부재(130)는 여러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박막 부재(110)에 각각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압전 부재(130)는 여러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박막 부재(110) 중 일부분에 선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박막 부재(110)에 다수의 압전 부재(130)를 위한 공간이 형성되므로, 필요한 압전 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박막 부재(110)에 형성되는 압전 부재(130)의 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박막 부재(110, 112)의 배치 형태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연결 부재(17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박막 부재(110, 112)는 일 방향을 따라 간격으로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2개의 박막 부재(110, 1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부재(110, 112)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3개의 박막 부재는 도 9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4개 이상의 박막 부재는 도 9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 부재(120, 122)는 서로 다른 박막 부재(110, 112)의 양끝을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일 예로, 제1지지 부재(120)는 박막 부재(110, 112)의 일 단을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에로, 제2지지 부재(122)는 박막 부재(110, 112)의 타 단을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압전 부재(130, 132)는 서로 다른 박막 부재(110, 112)에 각각 형성된다. 일 예로, 제1압전 부재(130)는 박막 부재(110)에 형성되고, 제2압전 부재(132)는 박막 부재(112)에 형성된다.
연결 부재(170)는 복수의 박막 부재(110, 112)를 연결한다. 일 예로, 연결 부재(170)는 이웃한 2개의 박막 부재(110, 112)를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결 부재(170)는 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3개 이상의 박막 부재를 모두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부재(170)는 박막 부재(110, 112)의 이등분 지점에 배치된다. 일 예로, 연결 부재(170)는 박막 부재(110)의 이등분 지점과 박막 부재(112)의 이등분 지점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 부재(170)는 복수의 박막 부재(110, 112)가 일체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구동 부재(160)는 연결 부재(170)에 형성된다. 일 예로, 구동 부재(160)는 연결 부재(170)의 이등분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 부재(160)는 연결 부재(170)를 매개로 복수의 박막 부재(110, 112)를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구동 부재(160)를 하방으로 압박하면, 복수의 박막 부재(110, 112)가 동시에 하방으로 휘어지고 압전 부재(130, 132)로부터 압전 에너지가 생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소수의 압전 부재(130)를 이용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박막 부재(110, 112)의 배치 형태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연결 부재(170)의 배치 형태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박막 부재(110, 112)는 일 방향을 따라 간격으로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2개의 박막 부재(110, 1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부재(110, 112)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3개의 박막 부재는 도 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170)는 복수의 박막 부재(110, 112)를 연결한다. 일 예로, 연결 부재(170)는 이웃한 2개의 박막 부재(110, 11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부재(170)는 박막 부재(110, 112)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 부재(170)의 양단은 하방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구동 부재(160)는 연결 부재(170)에 형성된다. 일 예로, 구동 부재(160)는 연결 부재(170)의 이등분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 부재(160)는 연결 부재(170)를 매개로 복수의 박막 부재(110, 112)를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무선 스위치
100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110 박막 부재
120 지지 부재
130 압전 부재
140 상부 전극
150 하부 전극
160 구동 부재
200 정류기
300 캐패시터
400 컨버터
500 무선 송신 모듈

Claims (14)

  1. 박막 부재;
    상기 박막 부재의 중심 또는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지지 부재;
    상기 박막 부재에 배치되는 압전 부재; 및
    상기 박막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와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박막 부재의 가장자리 또는 중심을 누르도록 구성되는 구동 부재;
    를 포함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가장자리는 곡면 형태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압전 부재와 연결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박막 부재의 중심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박막 부재의 가장자리를 누르도록 배치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박막 부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박막 부재의 중심을 누르도록 배치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부재는 원 또는 반구 형태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부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형태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10. 복수의 박막 부재;
    각각의 상기 박막 부재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지지 부재;
    상기 박막 부재에 형성되는 압전 부재;
    상기 복수의 박막 부재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를 누르도록 구성되는 구동 부재;
    를 포함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11. 지지 부재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연장되는 박막 부재, 상기 박막 부재에 형성되는 압전 부재, 상기 박막 부재의 양단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및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로부터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된 무선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무선 스위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로부터 생성되는 에너지를 축적하도록 구성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무선 스위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로부터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정류하도록 구성되는 정류기를 포함하는 무선 스위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로부터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상기 무선송신 모듈에 부합되는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컨버터를 포함하는 무선 스위치.
KR1020150057010A 2014-09-01 2015-04-23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스위치 KR20160026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36,604 US20160065097A1 (en) 2014-09-01 2015-08-26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and wireless switch including the same
CN201510551472.0A CN105391339A (zh) 2014-09-01 2015-09-01 压电能量收集器和包括其的无线开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5723 2014-09-01
KR1020140115723 2014-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640A true KR20160026640A (ko) 2016-03-09

Family

ID=5553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010A KR20160026640A (ko) 2014-09-01 2015-04-23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66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593A (ko) 1997-03-24 1998-11-25 포맨 제프리 엘 접촉 응답을 제공하는 압전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593A (ko) 1997-03-24 1998-11-25 포맨 제프리 엘 접촉 응답을 제공하는 압전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5464B2 (ja) 発電ユニット
US9922782B2 (en) Switching device for a radio pushbutton, radio pushbutton, and method for producing a switching signal of a switching device
EP2645387A1 (en) Load-control switch and load-control switch system
KR20150024134A (ko) 버튼을 이용하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294308A1 (en)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US20190281642A1 (en) Remote controller and paring method thereof
US9871600B2 (en) Wireless switch
KR20160026640A (ko)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스위치
CN105391340B (zh) 压电能量收集器和包括其的无线开关
KR101701031B1 (ko) 무선 스위치
MX2021008744A (es) Dispositivos de eyeccion de fluido que incluyen una memoria.
JP2016538810A5 (ko)
JP6673489B2 (ja) 圧電発電装置、圧電発電モジュールおよび送信機
KR102127813B1 (ko) 무선 스위치
US20160065097A1 (en)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and wireless switch including the same
JP2011250520A (ja) 多段式発電ユニット
JP2017506415A (ja) Ledのアレイを備える照光システム
KR101701032B1 (ko) 무선 스위치
JP6481773B2 (ja) 発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送信機
CN105391437B (zh) 无线开关
US20160227152A1 (en) Remote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 Display System
KR102149390B1 (ko) 무선 신호 전송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조명 제어 장치
JP2018508128A (ja) 圧電性の発電機、押しボタン、無線モジュール及び圧電発電機の製造方法
CN100470990C (zh) 用于连接电气设备与发光装置的配电器
KR101922291B1 (ko) 조명시스템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