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316A -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316A
KR20160026316A KR1020140114565A KR20140114565A KR20160026316A KR 20160026316 A KR20160026316 A KR 20160026316A KR 1020140114565 A KR1020140114565 A KR 1020140114565A KR 20140114565 A KR20140114565 A KR 20140114565A KR 20160026316 A KR20160026316 A KR 20160026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stival
information
evaluation
tourism
l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367B1 (ko
Inventor
강순화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한회사 열린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한회사 열린컴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14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3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문화관광 축제계획, 축제 선정, 예산, 축제평가 정보, 문화관광축제의 위치 기반 축제 방문객 통계 정보를 관리하는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 시스템); 지적도와 지형의 공간 정보를 표시하도록 공간 DB와 속성 DB, MAP 엔진을 구비하는 GIS 시스템과 연동되며, 서버 위치측위 미들웨어가 설치되고, 지적도 DB와 지형 DB의 공간정보와 속성 정보를 제공하여 단말기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LBS 서버; 및 문화관광축제 평가 어플(App)이 설치되고, 스마트기기의 클라이언트 위치측위 미들웨어가 탑재되며, GPS 또는 Wi-Fi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으로 위치결과 정보(POI, 위치정보) 및 LBS 기반 추출정보(시간에 따른 위치와 장소)를 제공하는 GPS 수신기를 탑재한 스마트 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및 방법{LBS based Culture Tourism Festival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내 및 해외 문화관광축제 평가사례를 분석하여 문화관광축제 평가 체계 및 메타평가 모형을 설정하며, 지자체 및 전문가 FGI를 통한 문화관광축제 평가 메타 평가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스마트폰, 타블렛 PC 등의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문화관광축제 평가정보를 관리하고 U-Festival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여 스마트 기기의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술 특성이 적용된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지표를 제공하는,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광 산업은 문화관광축제를 통해 외부 관광객의 방문 및 지출 증가에 따라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도록 국가 차원에서 지역 축제를 지원하고 있다. 지역 축제는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경쟁적으로 추진하여 왔으며, 지역의 입지적 특성과 여건, 방문 가능한 관광객의 수, 교통, 숙박 및 편의 시설, 관광객의 소비 환경, 새로운 축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집행하였을때, 행사장의 외부 관광객의 유입, 지역 관광의 활성화 및 여행 루트를 제공하여 소득 증가 및 고용 창출, 세수 증가, 비수기 극복 등의 지역 경제와 지역문화를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현재 문화관광축제를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축제 지원은 외래 관광객의 유치를 위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를 하고, 지역문화를 보존하며 관광객에게 지역문화를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문화체육관광부의 2012년 전국 시·도별 축제총괄표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2는 2012년 전라북도 14시군 대표 축제 현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지난 17년간 1995년 현재의 문화관광체육부는 관광 상품성이 있는 한국의 지역축제를 세계적인 축제로 육성하고 지역 전통문화자원의 관광 상품화로 외부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문화관광축제 지원제도를 만들어 1997년 10개의 축제을 지원하였으며, 1998년 18개, 1999년 21개, 2000년 25개, 2001년 30개, 2002년 29개 2003년 30개, 2004년 37개, 2005년 45개, 2006년 52개, 2007년 52개, 2008년 54개, 2009년 57개, 2010년 44개, 2011년 54개, 2012년 45개, 2013년 43개의 축제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육성되고 있다.
문화관광체육부는 매년 문화관광축제 선정, 문화관광부 지정 평가항목에 의한 지방자치단체의 개발평가, 참관평가위원(문화관광부 평가위원)에 의한 평가, 외부평가용역단체에 의한 평가를 종합하여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관광축제를 평가하는 기존의 평가체계에서 평가기관과 평가위원 선정의 객관성 확보, 평가항목의 적정성, 평가과정의 합리성 등의 문제점으로 대두되었고 특히, 문화관광축제의 전문성 편차 등 참관평가의 객관성 확보와 방문객 설문조사 분석 오류 등 평가체계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전라북도 역시 본격적인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성공적인 지역축제를 통해 지역의 이미지를 제고,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주민의 응집, 지역문화의 발굴 및 전승, 지역 간의 문화교류 촉진
전통적인 지역 축제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타 지역 경쟁축제와 비교분석하는데 사용되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은 특정 지역별로 지역축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공간 데이타베이스를 토대로 축제관련 정보의 시계열적인 분석, 기존 행정구역별 지역축제 관련 통계데이타(관광지 정보, 여행 정보, 인구수, 도로율, 포장율, 일반음식점수, 도소매업체건물면적 등)을 점선면 형태(예를들면, 행정구역이나 도로)의 주제도의 행정구역 단위에 연계하여 이를 잠재관광객 막대분포도, 파이챠트, 산점도, 도로율단계도, 교통 여건에 따라 입지적으로 경쟁력을 띠게 된다.
관광정보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웹 기반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사용하여 관광정보 데이타베이스와 연동하여 구축되는 관광 정보 시스템은 국내 및 해외 관련 기관과 연계하여 관광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들면, 관광정보 시스템은 주요 관광지의 관광 정보를 2D GIS지도 또는 3D GIS 지도상에 제공하며, GIS 속성 자료는 방송국, 주요 행정기관, 교통시설, 교육시설, 주요 관광지 및 숙박시설, 캠핑, 유원지, 병원, 사찰, 댐, 문화유적 등의 관광 안내 항목이 번호, 이름, X좌표값, Y좌표값, 항목의 종류, 주소, 대표전화번호, 사진 등이 DB필드에 표시되어 지형도 상에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
웹 기반 GIS는 지역축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축제의 관광객을 확대시키고 지역 축제와 더불어 잠재적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광고와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잠재 시장을 세분화하여 관광지, 축제지역을 잇는 관광자원 및 여행 정보, 교통, 숙박시설, 전통 술집과 음식점 정보를 제공한다.
문화관광축제 평가를 통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축제 지원은 문화관광축제 개최에 따른 지역 관광 산업의 부흥, 관광객 유입 및 지출 증가에 따른 지역 경제의 활성화와 관광 효과를 제공하며,
문화관광축제들의 축제방문객 통계는 지역축제 방문객수 추정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드의 정보를 제공하여 축제정책수립의 기초 자료인 동시에 축제산업부문의 수요 예측, 민간부문의 경영의사결정의 기초 자료로서 사용된다.
관광부문의 통계는 국제관광, 국내관광을호 분류되며, 관광산업, 관광자원을 구분하고 있다. 국제관광분야 통계는 출입국통계와 조사통계인 국민해외여행실태조사 가 있으며, 측정방법으로써 출입국통계는 외래객 입국과 내국인 출국으로 구분되며 국적별, 성별, 목적별, 연령별, 교통수단별, 평균체재일이 집계되며,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과 법무부 출입국관리사무소와 전용선으로 원자료를 제공받아 세계관광기구(WTO)의 국제기준과 한국관광공사 관련 통계를 반영하여 통계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관광분야는 관광지방문객보고통계와 조사통계인 국민여행실태조사, 외래관광객실태 조사가 있으며, 측정방법으로써 관광지방문객보고통계는 지역의 주요관광지를 방문하는 방문객수를 집계하는 통계로 유료관광지와 무료관광지로 분류되며 유료관광지는 내국인 방문객수와 외국인 방문객수를 따로 집계한다.
지자체별로 부여받은 ID로 관광지식정보시스템(www.tour.go.kr)에 접속하여 주요 관광지의 방문객 통계정보를 입력하고, 기초 지자체에서 통계자료 입력 및 광역에 승인요청(보고)하며, 광역지자체에서는 통계자료 검토 후 승인 및 중앙으로 최종 승인요청하면, 정부는 통계자료에 대한 최종 승인을 실시한다.
외래 관광객 실태조사는 한국관광공사에서 한국을 방문한 후 출국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매년 매월 인천, 김해 국제공항 및 부산항 출입국 대합실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통계자료를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축제방문객 통계관리를 위해 GIS 시스템이 필요하며, GIS는 공간 지리정보를 수집, 구축, 유지, 관리, 편집하고 분석과 공간 모델링을 통해 추출된 정보처리시스템을 의미한다.
GIS기반의 데이터는 공간데이터와 속성 데이터로 구분하며, 공간자료 간에는 연결성(connectivity), 인접성(contiguity), 근접성(adjacency)등의 위상관계(topological relationship)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이용하여 중첩연산, 공간정보의 근린연산, 공간적 상관성 분석, 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
공간 참조 데이터 및 지리적인 좌표값이 포함된 벡터(Vector) 형식의 자료 구조를 가진 지리적 정보, 지형적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되는 지리정보 시스템(GIS)은 관광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한 GIS응용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므로, 공간데이타와 속성데이터의 위상관계(topological relationship)를 가지는 GIS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역축제를 방문하는 방문객 통계 정보가 필요하게 되었다. 축제방문객 통계는 유관기관이 통계조사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통계조사의 중복, 누락, 모집단(populatiob)의 표본조사 대상자의 설문 조사를 통해 통계 정보를 추론하고 있다.
도 3은 지적도의 공간 특성과 관련된 공간 DB와 속성 DB 및 MAP 엔진을 구비하는 GIS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구성도이다.
GIS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은 주곡선(maincon)/계곡선(subcon)/하천(river)/실폭하천(flow)/주요도로(roadm)/세부도로(roads)/건물 등의 지형자료의 형태나 각종 속성들을 속성자료가 포함된 벡터 형식의 자료 구조를 가지며, *.dxf (data exchange format) 파일 또는 *.shp 파일을 사용한다. 기존의 GIS 프로그램들은 지형자료를 기반으로 한 Geo-coding System[지형 자료(공간 정보, 도형)에서 속성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GIS 프로그램들의 속성자료와 지형자료의 상호연결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위치 좌표와 속성자료 만으로도 지형자료를 표시할 수 있으며, 주변의 시설이나 지점을 검색하는 지도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속성 자료에서 화면상에 위치를 표시하며 초기 화면에 표현되는 layer(subcon, river, roadm)을 기준으로 관심지역(ROI:Region Of Interest)의 확대/축소 기능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그래픽은 좌측 상단의 좌표값 (0,0)을 기준으로 X축이 좌측 상단에서 우측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좌표값이 커지며 Y축이 좌측상단에서 좌측하단으로 내려갈수록 점차 좌표값이 커지게 되는 컨트롤 좌표 체계를 사용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지도의 맵 좌표계에서는 좌측 하단의 좌표값(0,0)을 기준으로 좌측 하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좌표값이 커지며 Y축이 좌측하단에서 좌측상단으로 내려갈수록 점차 좌표값이 커지게 되는 Cartesian 좌표 체계를 사용한다. 속성자료에서 좌표값을 그래픽 모드로 전환하여 표현하기 위해 좌표인식을 위한 모듈은 Cartesian 좌표체계를 사용한다.
기본이 되는 지형도는 1998년부터 판매하기 시작한 국립지리원의 1:25,000 수치지형도를 사용하여 지도분석, Map Tracing, Scanning, Vectorizing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 공간상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지형자료를 사용하여 주곡선(maincon), 계곡선(subcon), 하천(river), 실폭하천(flow), 주요도로(roadm), 세부도로(roads), 건물(facility) 등의 주제도를 선정하여 각각의 layer를 추출, IBM PC 환경에서 사용하기 쉬운 GIS 프로그램인 ESRI 사의 ARcView 3.0을 사용하여 line 화된 dxf 파일을 shape 파일로 변환하여 주제도별 layer를 생성할 수 있다.
GPS 수신기가 탑재된 스마트폰과 타블렛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CNS, Car Navigation System)의 단말기는 4개의 위성을 사용한 GPS(D-GPS, 또는 A-GPS)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GIS 지도에 표시하거나, 또는 이동통신망에서 3각 측위 기법으로 3개의 기지국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반으로(Network based) 위치를 추정하는 Cell-ID, 도착 각도(AOA, Angle of Arrival), 도착 시간(TOA, Time of Arrival), 도착 시간차(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의 위치 추정 기법을 사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도로와 주요 건물 정보를 표시하는 2D 또는 3D GIS 지도 상에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POI(Point Of Interest, 관심지역)를 표시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한다.
Figure pat00002
도 4를 참조하면, Cell-ID 방식으로 LB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의 위치 측위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이동통신 기지국(BTS)(11a,11b,11c), 기지국 제어기(BSC)(12), 교환기(MSC)(13), Gateway MLC(15)를 통해 3개의 기지국의 Cell-ID를 수신하여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서버(17); 위치 획득 서버(17)로부터 수신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GIS 지도상에 POI(Point Of Interest, 관심지역)의 도로 및 지도 정보를 제공하고,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우 목적지를 입력받으면 Path Finder 기능에 의해 최단 경로(shortest path)를 검색하여 교통정보와 함께 LBS 서비스를 GIS 지도상에 제공하는 LBS 서버(16); 및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GIS 지도상에 POI(Point Of Interest, 관심지역)의 도로 및 지리 정보(위치 기반 MAP)를 표시하는 LCS 클라이언트(LCS client)(18)로 구성된다.
도 5는 LBS 서비스 분류 및 LBS 적용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LBS 서비스는 위칙 확인 서비스, 안전 및 보안 서비스, 주변지역 정보 제공 서비스, 광고 및 상거래 응용 서비스, 교통 및 항법 응용 서비스에 사용된다.
문화관광 축제 평가와 관련된 국내외 기술 현황을 살펴보면, 1999년 초기의 평가체계는 설문조사, 유치실적, 전문가평가를 합산하여 최종 종합평가하였고, 2007년의 평가체계는 설문조사, 유치실적, 전문가평가체계 기존대로 유지하되 공통항목과 선택 평가항목 분류 평가하였으며, 2008년-2009년의 평가체계는 전문가평가지표가 변화하여 축제발전성, 프로그램완성도, 운영 적절성, 성과 등으로 구분하였고 이중 프로그램 완성도 및 운영 적절성 비중 높게 평가하였으며, 2010년부터 현재의 평가체계는 기존평가방식에서 축제 콘텐츠, 운영적절성, 발전성, 성과 등으로 구분하였고, 콘텐츠비중을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였다.
문화관광 축제 평가와 관련된 해외 기술 현황은 다음 예를 참조한다.
도 6은 스코틀랜드 예술위원회의 에딘버러 축제 평가 자료이다. 도 7은 뉴질랜드의 관광 자료와 일본 축제 평가 체계이다. 도 8은 호주의 아웃백 퀸즐랜드의 관광 평가 항목을 요약한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문화관광 정보 시스템은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체계를 제공하지 않았으며, 국내 및 해외 문화관광축제 평가사례를 분석하여 관광지 부근의 축제 방문객의 LBS 위치 정보에 기반으로 문화관광축제를 평가 및 분석하고 이에 따른 통계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으며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 Festival)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국내 및 해외 문화관광축제 평가사례를 분석하여 문화관광축제 평가 체계 및 메타평가 모형을 설정하며, 지자체 및 전문가 FGI를 통한 문화관광축제 평가 메타 평가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GPS와 Wi-Fi 방식으로 스마트폰, 타블렛 PC 등의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문화관광축제 평가정보를 관리하고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술 특성이 적용하는 U-Festival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여 문화관광 컨텐츠와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지표를 제공하는,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은 문화관광 축제계획, 축제 선정, 예산, 축제평가 정보, 문화관광축제 위치 기반 축제 방문객 통계 정보를 관리하는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 시스템); 지적도와 지형의 공간 정보를 표시하도록 공간 DB와 속성 DB, MAP 엔진을 구비하는 GIS 시스템과 연동되며, 서버 위치측위 미들웨어가 설치되고, 지적도 DB와 지형 DB의 공간정보와 속성 정보를 제공하여 단말기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LBS 서버; 및 문화관광축제 평가 어플(App)이 설치되고, 스마트기기의 클라이언트 위치측위 미들웨어가 탑재되며, GPS 또는 Wi-Fi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으로 위치결과 정보(POI, 위치정보) 및 LBS 기반 추출정보(시간에 따른 위치와 장소)를 제공하는 GPS 수신기를 탑재한 스마트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방법은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타블렛 PC 중 어느 하나의 스마트기기의 어플(App)을 사용하여 LBS 기반 문화관광 축제 평가시스템(U-Festival 시스템)에 접속하여 ID/Passwd를 입력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문화관광축제 평가계획(평가주체, 평가시기, 평가 방법, 평가 항목) 정보를 입력하고, 평가 항목은 축제 준비사항, 사전 평가항목(평가체계, 축제별 개별 항목), 교통 편의 시설, 관람객의 편의성, 방문객 설문 조사 정보, 전문가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의 어플이 상기 LBS 기반 문화관광 축제 평가시스템에 접속하여 미리 체크된 리스트에 의해 방문객 설문 조사 정보(축제 방문객, 이해관계자 참여), 관계자 인터뷰, 전문가 조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LBS 서버와 연동되는 방문객의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LBS 기반 문화관광 축제 평가시스템로 GPS와 Wi-Fi를 통해 문화관광축제를 개최하는 행사지역(개최장소 1번 지역, 2번 지역, 3번 지역, 4번 지역)의 LBS 기반의 방문객이 머문 시간별 장소와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LBS 기반 문화관광 축제 평가시스템이 평가 결과 정보를 전송하며 문화관광 축제 방문객 수 및 통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지역 축제의 위치 기반 정보에 따른 방문객의 통계 정보(방문객 수, 머문 시간/장소, 설문조사결과 정보, 전문가조사 정보)를 제공하여 막대 그래프, 파이챠트, 시간/장소별 방문객의 수를 표시하여 분산된 정도를 나타내는 산점도, 히스토그램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 시스템)은 국내 및 해외 문화관광축제 평가사례를 분석하여 문화관광축제 평가 체계 및 메타평가 모형을 설정하며, 지자체 및 전문가 FGI를 통한 문화관광축제 평가 메타 평가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GPS와 Wi-Fi 방식으로 스마트폰, 타블렛 PC 등의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문화관광축제 평가정보를 관리하고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술 특성이 적용하는 U-Festival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여 문화관광 컨텐츠와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지표를 개발함으로써, 문화관광 축제 평가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문화관광축제의 축제 뿐만아니라 관광분야, 문화예술 분야에서 문화관광축제 One-Stop 평가시스템 구축의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하며, 국내시장 뿐만 아니라 해외진출의 가능성 확대로 지역 일자리 창출의 효과를 제공한다.
문화관광 축제의 축제평가체계의 주요 항목은 평가시기, 평가주체, 평가방법, 평가항목[공통항목(문화관광부 평가체계) + 개별항목(축제 종류별 개발항목)]으로 구성되고, 전문가의 사전서류 및 현장평가 + 방문객 만족도 평가를 제공한다. 축제평가 체계는 축제 준비사항 및 사전평가항목에 의해 축제주최측이 제출한 서류평가로 진행하는 사전 평가와, 사전 설정된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평가단이 현장에서 참관평가 실시하는 현장 평가, 사전 교육을 이수한 설문조사 요원 파견, 축제 전 기간 동안 설문지에 의한 평가 실시하는 만족도 평가를 실시한다.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시스템(U-Festival)을 개발함으로써 문화관광축제 평가의 신뢰성 및 실효성 확보를 위한 평가 기준을 개선한다.
축제방문객과 이해관계자들이 현장에서 실시간 축제평가에 참여함으로써 참관평가의 객관성 확보 및 방문객 설문조사 분석 등 평가체계를 개선하여 방문객 만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문화관광축제 평가정보를 관리하고 방문객의 LBS(Location Based Service) 서비스 기술과 문화관광축제의 전반적인 발전 정도와 융합화, 복잡화의 진전을 통해 LBS 위치 정보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활용하여 축제 통계를 제공할 수 있다.
축제 이외에 관광 분야 및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문화관광축제 평가시스템 U-Festival 개발을 통한 축제방문객의 Need 분석을 통한 지속적인 방문객 관계관리를 활용할 수 있고, LBS를 사용한 부가콘텐츠 서비스로 확장(광고 및 상거래 응용서비스, 맞춤형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다.
문화관광축제 평가시스템 구축의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하며, 특히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하드웨어 소요예산 비용을 절감한다.
문화콘텐츠와 첨단기술(LBS)을 결합하여 One-Source Multi-Use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관광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문화관광부 축제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은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EU 등이 보유하고 있는 문화예술 콘텐츠 교류를 통해 해외진출의 가능성을 제공하며, 축제를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관광 산업을 증진시키며 지역 일자리 창출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문화체육관광부의 2012년 전국 시·도별 축제총괄표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2는 2012년 전라북도 14시군 대표 축제 현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지적도의 공간 특성과 관련된 공간 DB와 속성 DB 및 MAP 엔진을 구비하는 GIS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는 Cell-ID 방식으로 LB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의 위치 측위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5는 LBS 서비스 분류 및 LBS 적용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스코틀랜드 예술위원회의 에딘버러 축제 평가 자료이다.
도 7은 뉴질랜드의 관광 자료와 일본 축제 평가 체계이다.
도 8은 축제평가 시스템 지표 개발 체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정부와 지자체의 문화관광축제 평가계획을 수립, 평가위원 선정, 평가결과 제출 또는 지차체의 평가 지침에 따라 방문객 설문조사를 통해 문화관광 축제를 선정하는 온라인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문화관광 축제 평가 체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문화관광 축제 방문객의 3각 측위 기법으로 위치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13은 방문객이 머문 시간별 장소와 위치 정보가 담긴 포스팅 데이터를 추출하는 LBS 추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스마트폰과 타블렛 PC를 사용하여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방법을 설명한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의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축제평가 시스템 지표 개발 체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정부와 지자체의 문화관광축제 평가계획을 수립, 평가위원 선정, 평가결과 제출 또는 지차체의 평가 지침에 따라 방문객 설문조사를 통해 문화관광 축제를 선정하는 온라인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문화관광 축제 평가 체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문화관광 축제의 축제평가체계의 주요 항목은 평가시기, 평가주체, 평가방법, 평가항목[공통항목(문화관광부 평가체계) + 개별항목(축제 종류별 개발항목)]으로 구성되고, 전문가의 사전서류 및 현장평가 + 방문객 만족도 평가를 제공한다. 축제평가 체계는 축제 준비사항 및 사전평가항목에 의해 축제주최측이 제출한 서류평가로 진행하는 사전 평가와, 사전 설정된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평가단이 현장에서 참관평가 실시하는 현장 평가, 사전 교육을 이수한 설문조사 요원 파견, 축제 전 기간 동안 설문지를 통해 평가 실시하는 만족도 평가를 실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의 구성도이다.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타블렛 PC의 스마트기기를 소지하며, 축제 개최 지역의 개최장소 주변과 1번 지역, 2번 지역, 3번 지역, 4번 지역 ... 개최지와 관광지의 위치 정보를 GPS 또는 Wi-Fi 방식으로 측정하여 LBS 서버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방문객이 머문 시간별 장소와 위치 정보가 담긴 포스팅 데이터를 추출하는 LBS 추출 과정 후에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 시스템)으로 방문객이 머문 시간별 장소와 위치 정보가 담긴 포스팅 데이터를 전송한다.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 시스템)은 스마트기기로부터 방문객이 머문 시간별 장소와 위치 정보가 담긴 포스팅 데이터를 수신받아 축제 방문객 수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축제 방문객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막대 그래프, 파이차트, 산점도(scatter diagram), 히스토그램(histogram)을 생성한다.
스마트폰과 타블렛 PC의 스마트기기는 기본적으로 GPS가 장착되며, Wi-Fi 통신 기능을 제공하며, 스마트폰의 운영체제(Android, iOS)와 개발도구를 통해 쉽게 LBS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된다.
LBS는 측위기술(LDT: Location Detection Technology)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한다. 위치기반서비스를 측위기술, 위치 처리 플랫폼(LEP:Location Enabled Platform), 위치 응용 프로그램(LAP: Location Application Program)으로 나눈다.
- 스마트폰 위치측위 미들웨어: 측위제어기능, GPS 측위기능, Wi-Fi AP 정보 수집기능, 서버 인터페이스 기능, 응용서비스 API 제공
- 서버측위 미들웨어: 스마트폰 위치정보관리기능, Wi-Fi 태그 측위 및 정보 수집기능, 존 관리기능, 응용서비스 API 제공, Wi-Fi AP DB 관리 기능, 측위 POI 관리기능
- Wi-Fi 통신부: Wi-Fi AP 정보 수집 기능, 긴급 호처리 기능, Wi-Fi 측위정보 서버 전송 기능
도 12는 문화관광 축제 방문객의 3각 측위 기법으로 위치를 측정하는 개념도이다. GPS 수신기가 탑재된 스마트폰과 타블렛 PC 등의 스마트 기기(20)는 LBS 서버(30)와 연동되어 4개의 위성을 사용한 GPS(D-GPS, 또는 A-GPS)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GIS 지도에 표시하거나, 또는 이동통신망에서 3각 측위 기법으로 3개의 기지국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반으로(Network based) 위치를 추정하는 Cell-ID, 도착 각도(AOA, Angle of Arrival), 도착 시간(TOA, Time of Arrival), 도착 시간차(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의 위치 추정 기법을 사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도로와 주요 건물 정보를 표시하는 2D 또는 3D GIS 지도 상에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POI(Point Of Interest, 관심지역)를 표시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한다.
도 13은 방문객이 머문 시간별 장소와 위치 정보가 담긴 포스팅 데이터를 추출하는 LBS 추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LBS 추출과정은 축제 방문객의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LBS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의 머문 시간별 장소를 추출하고, 위치 정보가 담긴 포스팅 데이터를 추출하여 개별적으로 사용자 별로 머문 시간별 장소와 위치 정보가 담긴 포스팅 데이터를 매칭하고, 퍼지 추론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간 유사도가 높은 의미 있는 장소를 분류하며, 이 정보에 기초하여 축제 방문객 수 및 방문 지역 정보를 산출하여 축제 방문객의 설문 조사 정보 및 만족도 정보, 축제 방문객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는 스마트폰과 타블렛 PC를 사용하여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 시스템) 구성도이다.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 시스템)은 문화관광 정보 시스템(110)과 연동될 수 있으며, 문화관광 축제계획, 축제 선정, 예산, 축제평가 정보, 문화관광축제 위치 기반 축제 방문객 통계 정보를 관리하는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 시스템)(200); 지적도와 지형의 공간 정보를 표시하도록 공간 DB와 속성 DB, MAP 엔진을 구비하는 GIS 시스템(210)과 연동되며, 서버 위치측위 미들웨어가 설치되고, 지적도 DB와 지형 DB의 공간정보와 속성 정보를 제공하여 단말기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LBS 서버(30); 및 문화관광축제 평가 어플(App)이 설치되고, 스마트기기의 클라이언트 위치측위 미들웨어가 탑재되며, GPS 또는 Wi-Fi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으로 위치결과 정보(POI, 위치정보) 및 LBS 기반 추출정보(시간에 따른 위치와 장소)를 제공하는 GPS 수신기를 탑재한 스마트 기기(20);를 구비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방법을 설명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방법은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타블렛 PC 등의 스마트기기의 어플(App)을 사용하여 LBS 기반 문화관광 축제 평가시스템(U-Festival 시스템)에 접속하여 ID/Passwd를 입력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S10); 정보 또는 지자체의 문화관광축제 평가계획(평가주체, 평가시기, 평가 방법, 평가 항목) 정보를 입력하고, 평가 항목은 축제 준비사항, 사전 평가항목(문화체육관광부 평가체계, 축제별 개별 항목), 교통 편의 시설, 관람객의 편의성, 방문객 설문 조사 정보, 전문가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20); 스마트기기의 어플이 LBS 기반 문화관광 축제 평가시스템(U-Festival 시스템)에 접속하여 미리 체크된 리스트에 의해 방문객 설문 조사 정보(축제 방문객, 이해관계자 참여), 관계자 인터뷰, 전문가 조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30); LBS 서버와 연동되는 방문객의 스마트기기로부터 LBS 기반 문화관광 축제 평가시스템(U-Festival 시스템)로 GPS와 Wi-Fi를 통해 문화관광축제를 개최하는 행사지역(개최장소 1번 지역, 2번 지역, 3번 지역, 4번 지역)의 LBS 기반의 방문객이 머문 시간별 장소와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LBS 기반 문화관광 축제 평가시스템이 평가 결과 정보를 전송하며, 문화관광 축제 방문객 수 및 통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50); 및 지역 축제의 위치 기반 정보에 따른 방문객의 통계 정보(방문객 수, 머문 시간/장소, 설문조사결과 정보, 전문가조사 정보)를 제공하여 막대 그래프, 파이챠트, 시간/장소별 방문객의 수를 표시하여 분산된 정도를 나타내는 산점도(scatter diagram), 히스토그램(histogram)를 출력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도 16은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의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문화관광축제 평가시스템(U-Festival 시스템)은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PC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시스템에 접속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예시를 도시하였으며, LBS 기반의 방문객이 머문 시간별 장소와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LBS 기반 문화관광 축제 평가시스템이 평가 결과 정보 및 문화관광 축제 방문객 수 및 통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CD-ROM, RAM, RAM, 플래시 메모리 카드, 기타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
20: 스마트기기(스마트폰, 타블렛 PC) 30: LBS 서버
100: 웹 브라우저 110: 문화관광 정보 시스템
200: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 시스템)
210: GIS 시스템

Claims (5)

  1. 문화관광 축제계획, 축제 선정, 예산, 축제평가 정보, 문화관광축제 위치 기반 축제 방문객 통계 정보를 관리하는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 시스템);
    서버 위치측위 미들웨어가 설치되고, 지적도 DB와 지형 DB의 공간정보와 속성 정보를 제공하여 단말기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LBS 서버; 및
    문화관광축제 평가 어플(App)이 설치되고, 스마트기기의 클라이언트 위치측위 미들웨어가 탑재되며, GPS 또는 Wi-Fi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으로 위치결과 정보(POI, 위치정보) 및 LBS 기반 추출 정보(시간에 따른 위치와 장소)를 제공하는 GPS 수신기를 탑재한 스마트 기기;
    를 포함하는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U-Festival 시스템)은
    상기 문화관광 축제의 축제평가체계의 주요 항목으로써 평가시기, 평가주체, 평가방법, 평가항목[공통항목(문화관광부 평가체계) + 개별항목(축제 종류별 개발항목)]으로 구성되고, 전문가의 사전서류 및 현장평가 + 방문객 만족도 평가 정보를 포함하고, 축제 평가 체계는 사전 평가, 현장 평가, 만족도 평가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제평가 정보는 축제 준비사항 및 사전평가항목에 의해 축제주최측이 제출한 서류평가로 진행하는 사전 평가 정보와, 사전 설정된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평가단이 현장에서 참관평가 실시하는 현장 평가 정보, 사전 교육을 이수한 설문조사 요원 파견, 축제 전 기간 동안 설문지에 의한 평가 실시하는 만족도 평가 정보를 입력받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BS 추출 과정은 축제 방문객의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LBS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의 머문 시간별 장소를 추출하고, 위치 정보가 담긴 포스팅 데이터를 추출하여 개별적으로 사용자 별로 머문 시간별 장소와 위치 정보가 담긴 포스팅 데이터를 매칭하고, 퍼지 추론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간 유사도가 높은 의미 있는 장소를 분류하며, 이 정보에 기초하여 축제 방문객 수 및 방문 지역 정보를 산출하여 축제 방문객의 설문 조사 정보 및 만족도 정보, 축제 방문객 통계 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4.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타블렛 PC 중 어느 하나의 스마트기기의 어플(App)을 사용하여 LBS 기반 문화관광 축제 평가시스템(U-Festival 시스템)에 접속하여 ID/Passwd를 입력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문화관광축제 평가계획(평가주체, 평가시기, 평가 방법, 평가 항목) 정보를 입력하고, 평가 항목은 축제 준비사항, 사전 평가항목(평가체계, 축제별 개별 항목), 교통 편의 시설, 관람객의 편의성, 방문객 설문 조사 정보, 전문가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의 어플이 상기 LBS 기반 문화관광 축제 평가시스템에 접속하여 미리 체크된 리스트에 의해 방문객 설문 조사 정보(축제 방문객, 이해관계자 참여), 관계자 인터뷰, 전문가 조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LBS 서버와 연동되는 방문객의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LBS 기반 문화관광 축제 평가시스템로 GPS와 Wi-Fi를 통해 문화관광축제를 개최하는 행사지역(개최장소 1번 지역, 2번 지역, 3번 지역, 4번 지역)의 LBS 기반의 방문객이 머문 시간별 장소와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LBS 기반 문화관광 축제 평가시스템이 평가 결과 정보를 전송하며 문화관광 축제 방문객 수 및 통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지역 축제의 위치 기반 정보에 따른 방문객의 통계 정보(방문객 수, 머문 시간/장소, 설문조사결과 정보, 전문가조사 정보)를 제공하여 막대 그래프, 파이챠트, 시간/장소별 방문객의 수를 표시하여 분산된 정도를 나타내는 산점도, 히스토그램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LBS 추출 과정은 축제 방문객의 사용자 이동경로 데이터(LBS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의 머문 시간별 장소를 추출하고, 위치 정보가 담긴 포스팅 데이터를 추출하여 개별적으로 사용자 별로 머문 시간별 장소와 위치 정보가 담긴 포스팅 데이터를 매칭하고, 퍼지 추론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간 유사도가 높은 의미 있는 장소를 분류하며, 이 정보에 기초하여 축제 방문객 수 및 방문 지역 정보를 산출하여 축제 방문객의 설문 조사 정보 및 만족도 정보, 축제 방문객 통계 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KR1020140114565A 2014-08-29 2014-08-29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1610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565A KR101610367B1 (ko) 2014-08-29 2014-08-29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565A KR101610367B1 (ko) 2014-08-29 2014-08-29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316A true KR20160026316A (ko) 2016-03-09
KR101610367B1 KR101610367B1 (ko) 2016-04-07

Family

ID=5553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565A KR101610367B1 (ko) 2014-08-29 2014-08-29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3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7514A (zh) * 2016-07-12 2016-12-14 电子科技大学 一种支持多行业的WebGIS中间件
KR20200068383A (ko)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프론트유 행사장 방문객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69178A (ko) 2018-12-06 2020-06-16 주식회사 프론트유 행사장 방문객 통합 관리방법
KR102373468B1 (ko) * 2021-08-26 2022-03-11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 탐방객의 실태 조사 장치 및 방법
KR102454232B1 (ko) * 2021-08-26 2022-10-14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하는 여가 및 휴양 실태조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488B1 (ko) 2017-05-30 2018-06-27 홍을표 구 형상의 좌표계 장치와 그를 이용한 lbs 위치 정보 산출 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4988A (ja) * 2005-10-20 2007-05-10 Sony Corp 関心度提供装置、携帯情報端末、サーバ装置および関心度提供方法
KR100970475B1 (ko) * 2009-12-18 2010-07-16 (주)디큐 문화관광 행사 서비스 디자인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7514A (zh) * 2016-07-12 2016-12-14 电子科技大学 一种支持多行业的WebGIS中间件
KR20200068383A (ko)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프론트유 행사장 방문객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69178A (ko) 2018-12-06 2020-06-16 주식회사 프론트유 행사장 방문객 통합 관리방법
KR102373468B1 (ko) * 2021-08-26 2022-03-11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 탐방객의 실태 조사 장치 및 방법
KR102454232B1 (ko) * 2021-08-26 2022-10-14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하는 여가 및 휴양 실태조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367B1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367B1 (ko)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omber et al. Spatial interpolation using areal features: A review of methods and opportunities using new forms of data with coded illustrations
CN106844376B (zh) 推荐兴趣点的方法及装置
US97038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anking points of interest
KR101566022B1 (ko) 센서 맵과 정합된 3d gis 기반 축제방문객 통계관리 시스템 및 방법
Shoval et al. The application of a sequence alignment method to the creation of typologies of tourist activity in time and space
Suárez-Vega et al. A multi-criteria GIS based procedure to solve a network competitive location problem
WO2016150407A1 (zh) 一种基于地址解析数据的建设用地类型快速识别方法
Karimi et al. Pedestrian network map generation approaches and recommendation
CN106980633B (zh) 室内地图数据的生成方法及装置
Chen et al. Indoor cartography
US20120162225A1 (en) View dependent techniques to determine user interest in a feature in a 3d application
Bartie et al. Incorporating vegetation into visual exposure modelling in urban environments
KR101540677B1 (ko) Gis 기반 축제방문객 통계관리 시스템 및 방법
Bakillah et al. Toward a collective tagging Android application for gathering accessibility-related geospatial data in European cities
Yin et al. Capitalizing on views: Assessing visibility by using 3D visualization and GIS technologies for hotel development in the City of Niagara Falls, New York
Subagio DEVELOP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 SEARCHING OR SHORTEST TRIP ROUTE ON ONLINE TAXI
Abramovich Using GIS to assist location and site selection decisions
Mao et al. Population spatialization at building scale based on residential population index—A case study of Qingdao city
Kumar et al. Geo-enabled e-Democracy Tools and Services for Smart Cities
Musungu Assessing spatial data quality of participatory GIS studies: A case study in Cape Town
Hasan et al. Road structure analysis using GPS information
Wong Towards a national 3D mapping product for Great Britain
Fatima et al. Assessing the serviceability status of existing transport network by using geospatial techniques in metropolitan city Lahore
Kubanek et al. Capacities of remote sensing for population estimation in urban ar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