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028A - 탈착가능한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탈착가능한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028A
KR20160026028A KR1020140113747A KR20140113747A KR20160026028A KR 20160026028 A KR20160026028 A KR 20160026028A KR 1020140113747 A KR1020140113747 A KR 1020140113747A KR 20140113747 A KR20140113747 A KR 20140113747A KR 20160026028 A KR20160026028 A KR 20160026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connector
battery module
voltage sensing
ba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920B1 (ko
Inventor
이윤녕
이지윤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3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920B1/ko
Priority to CN201510537130.3A priority patent/CN105388420B/zh
Publication of KR20160026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55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me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모듈로부터 탈착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지 셀에 부착되는 버스 바와 확실하게 전기적 접속이 되는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센싱 모듈은, 상기 전지 모듈에 연결되는 버스 바 조립체; 및 상기 버스 바 조립체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 바 조립체는 상기 전지 셀과 상기 커넥터 기판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버스 바들, 및 상기 버스 바들을 일정한 위치관계로 유지시키고, 상기 전지 모듈에 연결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기판은 삽입 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 바는 상기 전지 셀의 탭과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커넥터 기판의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삽입부를 연결하고 상기 결합 부재로 피복되는 중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착가능한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DETACHABLE VOLTAGE SENSING MODDUL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 모듈은 전지 팩을 구성하는 단위로서, 전력을 공급하는 단위가 된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동력으로 사용되는 전지 팩을 구성하는 경우, 복수 개의 전지 셀이 직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 복수 개가 버스 바를 통해 직렬로 연결되고, 1 개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및 PRA(power relay assembly)가 결합되어 하나의 전지 팩을 이룬다.
또한, 이와 같이 전지 모듈은 다수의 셀로 이루어져 있어서, 일부 전지 셀이 과전압, 과전류 또는 과발열 되는 경우에는 전지 모듈의 안전성과 작동 효율이 크게 문제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용량의 증대로 인해 고전압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지 셀 각각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센서 등을 전지 셀에 연결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검출하여 BMS에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커넥터 기판 상의 퓨즈 등과 같은 전기 소자에 이상이 발생되어, PCB 또는 전압 센싱 모듈을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셀의 탭과 전압 센싱 모듈의 버스 바가 용접 등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어, 전압 센싱 모듈을 제거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전압 센싱 모듈을 다시 용접하여야 하므로, 교체 작업이 번잡하고 시간 소모가 많고, 용접 시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OOO3381호 (2013. 01. 0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OO51808호 (2012. 05. 2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지 모듈로부터 탈착가능할 수 있으며, 전지 셀에 연결되는 부스 바와 전기적 접속이 확실한 기판을 갖는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압 센싱 모듈의 기판을 탈착하기 위한 탈거 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탈거 툴에 의해서 기판이 탈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지 셀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에 연결되는 버스 바 조립체; 및 상기 버스 바 조립체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 바 조립체는 상기 전지 셀과 상기 커넥터 기판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버스 바들, 및 상기 버스 바들을 일정한 위치관계로 유지시키고, 상기 전지 모듈에 연결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기판은 삽입 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 바는 상기 전지 셀의 탭과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커넥터 기판의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삽입부를 연결하고 상기 결합 부재로 피복되는 중간부를 포함하는, 전압 센싱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버스 바 조립체의 상기 결합 부재에는 잠금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 기판에는 상기 잠금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 돌기는 자유 단부의 폭 또는 직경이 중간 부분의 폭 또는 직경보다 더 크고,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에 의해서 이격된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기둥 형상이고, 상기 커넥터 기판의 상기 체결 홀의 폭 또는 직경은 상기 자유 단부의 폭 또는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에는 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 기판에는 상기 리브가 삽입될 수 있는 리브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의 둘레에는 눈금 또는 띠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가 상기 커넥터 기판의 상기 리브 홀에 삽입되면, 상기 리브에 형성되는 상기 눈금 또는 띠가 상기 커넥터 기판 위쪽으로 보이도록 상기 리브가 상기 커넥터 기판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삽입 홀이 형성되는 상기 커넥터 기판의 부분에는 상기 버스 바의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잭 터미널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잭 터미널에는 상기 삽입부와 일 지점에서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하나의 상측 접점부와 상기 삽입부와 두 곳에서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2 개의 하측 접점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평판형이고, 상기 상측 접점부와 상기 하측 접점부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 부재에 연결된 상기 커넥터 기판을 제거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제거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기판의 중앙부에는 상기 전지 모듈의 배터리 운영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과 연결을 위한 전압 센싱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버스 바 부재에 대해서 레진을 사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의 커넥터 기판을 버스 바 조립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탈거 툴(tool)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 형성된 제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된 상기 커넥터 기판 사이에 삽입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탈거 툴이 제공된다.
상기 걸림부의 하면은 상기 커넥터 기판의 가장자리에 가압될 때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의 잠금 돌기는 자유 단부의 폭 또는 직경이 중간 부분의 폭 또는 직경보다 더 크고,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에 의해서 이격된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기둥 형상이고, 상기 탈거 툴은 상기 잠금 돌기를 외측에서 상기 슬릿쪽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압축 홀이 형성되는 잠금 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거 툴은, 아치 모양이며 탄성재료로 형성되는 다리부를 더 포함할 ㅅ수 있.
상기 잠금 해제부는 상기 다리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잠금 해제부보다 상기 다리부의 더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탈거 툴은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돌출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바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기판(30)의 사시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압 센싱 모듈의 잭 터미널(32)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용 전압 측정 모듈의 커넥터 기판을 버스 바 조립체로부터 탈착시키기 위한 탈거 툴의 사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거 툴의 다리부에 마련되는 걸림부 및 잠금 해제부의 확대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빙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형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형태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10)은 버스 바 조립체(20; 도 2 참조) 및 이 버스 바 조립체(2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기판(30;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전지 모듈(도시 안됨)은 복수의 전지 셀들(도시 안됨)로 구성되며, 각각의 전지 셀은 양극과 음극의 탭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전지 셀의 탭들은, 이 전지 셀들이 직렬 연결이 되도록, 부스 바 또는 다른 연결부재들을 이용해서 연결될 수 있다. 전지 모듈은 복수 개가 모여,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등에 이용되는 전지 팩을 구성할 수 있다.
커넥터 기판(30)이 버스 바 조립체(20)에 연결된 상태에서, 버스 바 조립체(20)의 버스 바의 삽입부(23), 잠금 돌기(24), 및 리브(25)가 회로 기판(31)에 관통하여 삽입된다. 또한, 회로 기판(31)의 하부에는, 버스 바 조립체(20)에 형성되는 제거 홈(26)이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바 조립체(2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바 조립체(20)는 복수의 버스 바들(22, 23)을 포함한다. 버스 바(22, 23)는 전지 셀의 탭 또는 연결부재 등에 접촉되거나,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되는 연결부(22), 커넥터 기판(30)의 삽입 홀(36; 도 3 참조)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23), 및 연결부(22)와 삽입부(23)를 연결하고 결합부재(21)에 매립되는 중간부로 구성된다.
복수의 버스 바들(22, 23)은 중간부가 결합부재(21)에 매립됨으로써, 서로 일정한 위치 관계를 갖도록 고정될 수 있다. 버스 바의 연결부(22)는 각각의 전지 셀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서 각각의 전지 셀에 연결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버스 바의 연결부(22)의 길이는 연결되는 각각의 전지 셀과의 연결 위치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결합 부재(21)는 버스 바 조립체(20)의 몸체를 구성하며, 버스 바들(22, 23)의 중간부에 레진을 사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21)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가 가능하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등받이가 있는 의자 형태이다. 결합 부재(21)의 상부에는 전지 셀들에 연결되는 버스 바들(22, 23)이 마련되고, 결합 부재(21)의 하부에는 회로 기판(31; 도 3 참조) 상의 전기 소자들의 연결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버스 바들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부재(21)의 하부는 전지 모듈의 대응하는 홈에 끼워져, 버스 바 조립체(20)를 전지 모듈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결합 부재(21)의 전지 모듈과 결합되는 면과 반대의 면에는, 버스 바의 삽입부(23)가 돌출되고, 4 곳의 코너에는 잠금 돌기(24)가 마련되며, 양 측부 상에는 리브(25)가 마련된다. 잠금 돌기(24)가 마련되는 4 곳의 코너에는 탈거 툴(40; 도 5 참조)의 걸림부(45)가 삽입될 수 있는 제거 홈(26)이 또한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잠금 돌기(24)는 다양한 모양의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기둥 형태이다. 잠금 돌기(24)의 자유 단부의 직경 또는 폭은 중간 부분의 직경 또는 폭보다 더 크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에 의해서, 예를 들어 2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기판(30)이 버스 바 조립체(20)에 결합될 때, 잠금 돌기(24)가 회로 기판(31)의 체결 홀(34; 도 3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 기판(30)의 체결 홀(34)은 잠금 돌기(24)의 직경이 큰 자유 단부를 눌러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여 잠금 돌기(24)가 체결 홀(3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유 단부는 체결 홀(34)을 통과한 후에는 잠금 돌기(24)를 형성하는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다시 직경이 큰 상태로 되어 체결 홀(34) 둘레의 회로 기판(31)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커넥터 기판(30)이 버스 바 조립체(20)로부터 탈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리브(25)는 잠금 돌기(24)가 형성되는 결합 부재(21)의 표면의 양 측부에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 기판(30)이 버스 바 조립체(20)에 결합될 때, 리브(25)는 회로 기판(31)의 리브 홀(37; 도 3 참조)에 삽입되어,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리브(25)의 둘레에는 회로 기판(31)이 버스 바 조립체(20)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회로 기판(31) 위로 노출되는 리브(25)의 부분을 표시하기 위한 눈금 또는 색깔 띠 (도시 안됨)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버스 바 조립체(2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거 홈(26)은 잠금 돌기(24)가 형성되는 결합 부재(21)의 표면의 4 개의 코너 영역에 형성된다. 버스 바 조립체(20)에 커넥터 기판(30)이 결합되면, 제거 홈(26)은 커넥터 기판(30)의 하부에 위치되고, 일 면이 개방된 상태로 노출된다. 제거 홈(26)의 이 개방된 일 면에는 탈거 툴(40)의 걸림부(45)가 삽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기판(3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기판(30)은 회로 기판(31)을 포함한다. 이 회로 기판(31)에는, 버스 바의 삽입부(23)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홀(36), 버스 바 조립체(20)의 잠금 돌기(24)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 홀(34), 버스 바 조립체(20)의 리브(25)가 삽입되기 위한 리브 홀(3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31)에 형성되는 삽입 홀(36)의 주위의 삽입부(23)가 돌출되는 회로 기판(31)의 면에는 잭 터미널(32)이 제공될 수 있다. 회로 기판(31)의 표면에는 퓨즈(33) 및 저항 등과 같은 전기 소자들이 실장될 수 있다. 회로 기판(31)의 중앙부에는, 전지 모듈의 배터리 운영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과의 연결을 위한 전압 센싱 커넥터(35)가 부착되어 회로 기판(31)상의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압 센싱 모듈의 잭 터미널(32)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기판(30)이 버스 바 조립체(20)와 결합되면, 잭 터미널(32)에는 버스 바의 삽입부(23)가 삽입될 수 있다. 잭 터미널(32)의 회로 기판(31)에 대한 접합부는 회로 기판(31) 상의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잭 터미널(32)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도 4의 (b)에서, 상측에 하나의 상측 접점부(38)가 제공되고, 하측에 2개의 하측 접점부(39)가 제공된다. 잭 터미널(32)은 삽입된 납작한 형태인 버스 바의 삽입부(23)를 상측과 하측의 3 점에서 면 접촉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잭 터미널(32)은 하나의 금속 판을 프레스 절단하여 금속 판의 평면 중에 상측 접점부(38)와 하측 접점부(39)가 될 부분을 남겨 놓고, 다음으로 벤딩 작업을 통해서, 상측 접점부(38)와 2개의 하측 접점부(39)가 삽입부(23)의 삽입방향으로 굽혀지도록 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용 전압 측정 모듈(10)의 커넥터 기판(30)을 버스 바 조립체(20)로부터 탈착시키기 위한 탈거 툴(tool; 4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거 툴(40)은 아치형으로 탄성적으로 형성되는 다리부(42), 이 다리부(42)의 하부에 제공되어 잠금 부재(24)의 자유 단부를 직경이 작아지도록 누를 수 있는 압축 홀(44)이 형성되는 잠금 해제부(43), 및 이 잠금 해제부(43)보다 더 하측의 다리부(42)에 제공되어 결합 부재(21)의 제거 홈(26)에 삽입되는 걸림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탈거 툴(40)은 다리부(42)의 상부에 마련되는 손잡이(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거 툴(40)의 다리부(42)에 마련되는 걸림부(45) 및 잠금 해제부(43)의 확대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45)는 회로 기판(31)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한편, 걸림부(45)의 하면은 경사져 있어, 걸림부(45)의 이 경사면이 회로 기판(31)의 상면에 가압될 때, 회로 기판(3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힘을 받을 수 있고, 따라서 탄성적인 재료로 형성된 다리부(42)가 벌어질 수 있으며, 걸림부(45)가 회로 기판(31)을 지나가면 제거 홈(26)에 삽입되도록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45)의 경사면이 회로 기판(31)을 지나갈 때, 잠금 돌기(24)의 자유 단부는 잠금 해제부(43)의 압축 홀(44)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압축 홀(44)은 자유 단부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누르게 되고, 잠금 돌기(24)의 자유 단부가 회로 기판(31)의 체결 홀(34)을 통과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탈거 툴(40)의 손잡이(41)를 위로 잡아당기면 커넥터 기판(30)이 버스 바 조립체(20)로부터 탈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다수의 버스 바들이 결합 부재(21)에 의해서 하나의 고정된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버스 바 조립체(20)만을 전지 모듈에 연결하면 전지 셀과 다수의 버스 바들의 연결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버스 바 조립체(20)의 전지 모듈과 결합하는 면의 반대 면으로는 버스 바들의 삽입부(23)가 돌출되어 있고, 회로 기판(31)에는 삽입 홀(36)이 형성되어 있어, 커넥터 기판(30)이 버스 바 조립체(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31)의 삽입 홀(36)의 주위에는 잭 터미널(32)의 장착되어 있어, 삽입 홀(36)에 삽입되는 버스 바의 삽입부(23)가 잭 터미널(32)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 바(22, 23)와 회로 기판(31) 상의 회로가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잭 터미널(32)은 납작한 버스 바의 삽입부(23)의 상면과 하면을 모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상측 접점부와 2 개의 하측 접점부를 구비하고 있어, 버스 바의 삽입부(23)와 잭 터미널(32)이 3 점 접촉하므로 버스 바와 회로 기판(31) 상의 회로의 연결이 확실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버스 바 조립체(20)에는 잠금 돌기(24)가 마련되어 있어, 버스 바 조립체(20)와 결합된 커넥터 기판(30)이 쉽게 탈착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버스 바 조립체(20)에는, 색깔 띠 등이 제공된 리브(25)가 마련되어 있어, 커넥터 기판(30)이 버스 바 조립체(20)와 완전하게 조립되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버스 바 조립체(20)에는 제거 홈(26)이 형성되어 있어, 탈거 툴(40)의 걸림부(45)가 회로 기판(31)의 하면에 삽입될 수 있어, 커넥터 기판(3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탈거 툴(40)의 다리부(42)의 하부에는 압축 홀(44)이 형성된 잠금 해제부(43)가 제공되어 있어, 버스 바 조립체(20)에 잠금 돌기(24)가 제공되더라도, 커넥터 기판(30)을 버스 바 조립체(20)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전압 센싱 모듈
20: 버스 바 조립체
21: 결합 부재
22: 버스 바의 연결부
23: 버스 바의 삽입부
24: 잠금 돌기
25: 리브
26: 제거 홈
30: 커넥터 기판
31: 회로 기판
32: 잭 터미널
33: 퓨즈
34: 체결 홀
35: 전압 센싱 커넥터
36: 삽입 홀
37: 리브 홀
38: 상측 접점부
39: 하측 접점부
40: 탈거 툴
41: 손잡이
42: 다리부
43: 잠금 해제부
44: 압축 홀
45: 걸림부
110: 셀
112: 탭 단자
114: 리셉터클
116: 버스바
117: 연결 핀
120: 안전 커버
122: 인쇄 회로 기판
124: BMS 커넥터
140: PCB
142: 기판
144: 버스 바
146: 전압 센싱 커넥터

Claims (16)

  1. 전지 셀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에 연결되는 버스 바 조립체; 및
    상기 버스 바 조립체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 바 조립체는 상기 전지 셀과 상기 커넥터 기판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버스 바들, 및 상기 버스 바들을 일정한 위치관계로 유지시키고, 상기 전지 모듈에 연결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기판은 삽입 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 바는 상기 전지 셀의 탭과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커넥터 기판의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삽입부를 연결하고 상기 결합 부재로 피복되는 중간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 조립체의 상기 결합 부재에는 잠금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 기판에는 상기 잠금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 홀이 형성되는,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돌기는 자유 단부의 폭 또는 직경이 중간 부분의 폭 또는 직경보다 더 크고,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에 의해서 이격된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기둥 형상이고, 상기 커넥터 기판의 상기 체결 홀의 폭 또는 직경은 상기 자유 단부의 폭 또는 직경보다 작은,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는 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 기판에는 상기 리브가 삽입될 수 있는 리브 홀이 형성되는,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둘레에는 눈금 또는 띠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가 상기 커넥터 기판의 상기 리브 홀에 삽입되면, 상기 리브에 형성되는 상기 눈금 또는 띠가 상기 커넥터 기판 위쪽으로 보이도록 상기 리브가 상기 커넥터 기판 위로 돌출되는,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홀이 형성되는 상기 커넥터 기판의 부분에는 상기 버스 바의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잭 터미널이 부착되는,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잭 터미널에는 상기 삽입부와 일 지점에서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하나의 상측 접점부와 상기 삽입부와 두 곳에서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2 개의 하측 접점부가 마련되는,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평판형이고, 상기 상측 접점부와 상기 하측 접점부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 부재에 연결된 상기 커넥터 기판을 제거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제거 홈이 형성되는,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기판의 중앙부에는 상기 전지 모듈의 배터리 운영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과 연결을 위한 전압 센싱 커넥터가 마련되는,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버스 바 부재에 대해서 레진을 사출하여 형성되는,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의 커넥터 기판을 버스 바 조립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탈거 툴(tool)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 형성된 제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된 상기 커넥터 기판 사이에 삽입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탈거 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하면은 상기 커넥터 기판의 가장자리에 가압될 때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탈거 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잠금 돌기는 자유 단부의 폭 또는 직경이 중간 부분의 폭 또는 직경보다 더 크고,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에 의해서 이격된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기둥 형상이고,
    상기 탈거 툴은 상기 잠금 돌기를 외측에서 상기 슬릿쪽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압축 홀이 형성되는 잠금 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탈거 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 툴은, 아치 모양이며 탄성재료로 형성되는 다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해제부는 상기 다리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잠금 해제부보다 상기 다리부의 더 하부에 마련되는, 탈거 툴.
  16.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지 모듈용 전압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20140113747A 2014-08-29 2014-08-29 탈착가능한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2162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747A KR102162920B1 (ko) 2014-08-29 2014-08-29 탈착가능한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CN201510537130.3A CN105388420B (zh) 2014-08-29 2015-08-27 可拆卸的电压传感模块及包含该模块的电池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747A KR102162920B1 (ko) 2014-08-29 2014-08-29 탈착가능한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028A true KR20160026028A (ko) 2016-03-09
KR102162920B1 KR102162920B1 (ko) 2020-10-07

Family

ID=5542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747A KR102162920B1 (ko) 2014-08-29 2014-08-29 탈착가능한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2920B1 (ko)
CN (1) CN10538842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52847A1 (en) * 2016-06-01 2017-12-06 LG Electronics Inc. Battery pack
KR20190112581A (ko) 2018-03-26 2019-10-0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터미널 단자의 탄성력을 이용한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6641A (ja) * 2008-03-26 2009-10-1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流センサ装置
JP2010123299A (ja) * 2008-11-17 2010-06-03 Toshiba Corp 二次電池パック
KR20120051808A (ko) 2010-11-15 2012-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립성을 향상한 배터리 모듈
KR20120119056A (ko) * 2011-04-20 2012-10-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센싱 기판
KR20130003381A (ko) 2011-06-30 2013-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 셀 보호장치
KR20130081915A (ko) * 2012-01-10 2013-07-18 에스엘 주식회사 배터리 전류 측정 장치
KR20140058916A (ko) * 2012-11-07 2014-05-1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팩용 센서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이차전지팩
KR20140063205A (ko) * 2012-11-16 2014-05-27 세방전지(주) 전지팩의 전지탭 연결장치
KR20140091123A (ko) * 2013-01-07 2014-07-2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모듈용 센싱어셈블리 및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구비한 이차전지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8383A1 (en) * 2004-12-24 2006-06-29 Lg Chem, Ltd. Sensing board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0948002B1 (ko) * 2006-03-06 201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KR101230954B1 (ko) * 2010-04-08 2013-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217564B1 (ko) * 2010-08-16 2013-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검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6641A (ja) * 2008-03-26 2009-10-1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流センサ装置
JP2010123299A (ja) * 2008-11-17 2010-06-03 Toshiba Corp 二次電池パック
KR20120051808A (ko) 2010-11-15 2012-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립성을 향상한 배터리 모듈
KR20120119056A (ko) * 2011-04-20 2012-10-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센싱 기판
KR20130003381A (ko) 2011-06-30 2013-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 셀 보호장치
KR20130081915A (ko) * 2012-01-10 2013-07-18 에스엘 주식회사 배터리 전류 측정 장치
KR20140058916A (ko) * 2012-11-07 2014-05-1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팩용 센서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이차전지팩
KR20140063205A (ko) * 2012-11-16 2014-05-27 세방전지(주) 전지팩의 전지탭 연결장치
KR20140091123A (ko) * 2013-01-07 2014-07-2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모듈용 센싱어셈블리 및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구비한 이차전지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52847A1 (en) * 2016-06-01 2017-12-06 LG Electronics Inc. Battery pack
US10333117B2 (en) 2016-06-01 2019-06-25 Lg Electronics Inc. Battery pack including connection board, PCB housing accomodating PCB, and locking part locking PCB housing to connection board
KR20190112581A (ko) 2018-03-26 2019-10-0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터미널 단자의 탄성력을 이용한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920B1 (ko) 2020-10-07
CN105388420B (zh) 2019-03-01
CN105388420A (zh)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252B1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US8758915B2 (en) Module unit
JP4462112B2 (ja) 電動工具
CN106340607B (zh) 电池组
KR101329251B1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KR101603132B1 (ko) 전지 연결 장치
KR101329250B1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의 셀버스바 고정구조
KR20140093424A (ko) 전지모듈
JP5924041B2 (ja) 電動工具セット
KR20150056885A (ko)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
US8690588B2 (en) Junction box assembly having an over-travel spring
KR20090037644A (ko)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장치
KR20160026028A (ko) 탈착가능한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JP2017220617A (ja) 基板ユニット
JPH0718347U (ja) 電池保持構造
KR20220048752A (ko) 배터리셀용 전기적 연결장치
KR20190056171A (ko) 커넥터가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5319473B2 (ja) 差込接続器
JPWO2017187889A1 (ja) 電池パック及び電動工具、並びに電池パック及び電動工具のセット
JP5330948B2 (ja) 差込プラグ
JP5158564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KR101525197B1 (ko) 배터리 모듈 세퍼레이터
JP2010073351A (ja) 配線装置
JP2011040222A (ja) 差込プラグ
US20070008061A1 (en) Electric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