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920A -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920A
KR20160025920A KR1020140113414A KR20140113414A KR20160025920A KR 20160025920 A KR20160025920 A KR 20160025920A KR 1020140113414 A KR1020140113414 A KR 1020140113414A KR 20140113414 A KR20140113414 A KR 20140113414A KR 20160025920 A KR20160025920 A KR 20160025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ntenna
unit
cap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3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5920A/ko
Publication of KR20160025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플랙서블 안테나를 포함하되, 상기 플랙서블 안테나는, 스트립 타입(strip type)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를 플랙서블 형태로 구성하여 안테나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안테나를 플랙서블 형태로 구성하여 안테나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안테나를 플랙서블 형태로 구성하여 안테나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플랙서블 안테나를 포함하되, 상기 플랙서블 안테나는, 스트립 타입(strip type)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을 제공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플랙서블 안테나의 길이를 고정하는 제1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된 이어폰 소켓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랙서블 안테나에는, 상기 이어폰 소켓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어폰 소켓에 대응된 형태의 제2 결합돌기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폐곡선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공은, 상기 제1,2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이어폰단자가 마련되며, 상기 바디 상에는, 상기 이어폰단자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어폰단자의 직경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돌기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안테나를 플랙서블 형태로 구성하여 안테나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20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2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a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a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또는 케이스(201)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를 수용하는 케이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안테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테나(230)를 사용함은 물론 이동 단말기(100)를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안테나(23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일측에 안테나 어셈블리(200)가 마련될 수 있다.
안테나 어셈블리(200)는, DMB 시청 등을 위한 전파 수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좋은 전파환경을 위해, 사용자는 안테나 어셈블리(200) 내부의 안테나(도 4의 230)를 이동 단말기(100) 외부로 인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해당하는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안테나(도 4의 230)는, 플랙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도 4의 230)는, 스트립 타입(strip type)일 수 있다. 안테나(도 4의 230)는, 수용부(도 4의 22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수용부(도 4의 220)의 입구는 캡(21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캡(210)은, 연결부(212)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케이스(101, 103)에 결합될 수 있다. 캡(210) 및/또는 연결부(212)는, 러버(rubber) 등의 유연한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도 4의 23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는 캡(210)을 사용하여 수용부(도 4의 220)를 막을 수 있다.
도 4는, 안테나 어셈블리(2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220)에는 안테나(230)가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수용부(220)의 입구는, 캡(210)에 의하여 차폐되어 있을 수 있다.
안테나(230)는, 제1 안테나부(230a)와 제2 안테나부(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안테나부(230a, 230b)는, 폐곡선을 이루며 하나의 안테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2 안테나부(230a, 230b)가 하나의 루프(loop)를 이루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하나의 루프를 이루고 있던 제1,2 안테나부(230a, 230b)는 분리되며, 하나의 끈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캡(210)을 수용부(2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캡(210)을 파지하여 R1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캡(210)이 수용부(220)에서 분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수용부(220)에서 분리된 캡(210)은, 연결부(212)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210)을 분리한 사용자는 수용부(220) 내부의 안테나(230)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수용부(220) 내부에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던 안테나(230)는, 외부로 인출되며 명확히 제1,2 안테나부(230a, 230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2 안테나부(230a, 230b)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b)는, 안테나(230)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230)에는 복수의 결합공(280)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공(280)은, 안테나(230)의 제1안테나부(230a)와 제2 안테나부(230b) 중 적어도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공(28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4 결합공(280a 내지 280d)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복수의 결합공(280)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부(230a)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내지 4 결합공(280a 내지 280d)이 순서대로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캡(210)은, 결합공(28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수용부(220)의 입구에서 분리한 캡(210)을 원하는 결합공(280)에 결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캡(210)이 결합공(280)에 결합되면, 안테나(230)가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캡(210)을 결합공(280)에서 분리하기 전에는, 안테나(230)의 길이가 변경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은, 결합공(230)에 결합된 캡(210)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210)은 끝단부(214)가 안테나(230)의 결합공(280)을 통과하며 결합될 수 있다. 즉, 끝단부(214)가 결합공(280)을 통과하며 자연스럽게 제1,2 안테나부(230a, 230b)를 관통하게 됨을 의미한다.
끝단부(214)의 제1 직경(D1)은, 관통공(280)의 제2 직경(D2) 보가 클 수 있다. 끝단부(214)는, 탄성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끝단부(214) 또는 끝단부(214)를 포함하는 캡(210)은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탄성있는 고무재질로 끝단부(214)가 구성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하여 끝단부(214)가 변형되며 관통공(280)을 통과할 수 있다. 관통공(280)을 통과한 끝단부(214)는, 캡(210)을 잡아당기는 사용자의 동작이 있기 전까지 관통공(28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안테나(230)의 길이조절을 통해 상황에 적절하게 이동 단말기(100)를 휴대할 수 있다.
도 7 은, 안테나(230) 길이의 두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는 안테나(230)가 E1 길이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의 (b)는 안테나(230)가 E2 길이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E1은 E2 보다 긴 상태일 수 있다. 인출된 안테나(230)가, 캡(21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적절히 안테나(230)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목(WR) 또는 손가락(F)에 이동 단말기(100)를 매달기 위해 인출한 안테나(23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손목(WR) 또는 손가락(F)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안테나(230)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테나(230)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고유의 기능 외에 이동 단말기(100)를 파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손목(WR) 등에 이동 단말기(100)를 매달기 위하여 별도의 스트랩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안테나(230)가 스트랩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는 점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편의성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수납부(RO)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RO)는, 안테나(380)가 감기며 수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수납되었던 안테나(380)는, 사용자가 안테나(380)를 당기면 수납부(RO)가 R1 방향으로 회전하며 인출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안테나(380)를 놓으면, 수납부(RO)가 R2 방향으로 회전하며 다시 재수납될 수 있다.
수납부(RO)는, 내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는, 사용자가 안테나(380)를 놓으면 수납부(RO)가 R2 방향으로 회전하며 안테나(380)가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안테나(380)에 힘을 가하여 수납부(RO)에서 안테나(380)를 인출한 사용자는, 캡(210)를 사용하여 인출된 안테나(38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안테나(380)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손(H)에 이동 단말기(10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는 캡(210)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캡(210)에는 연결부(도 3의 212)가 부가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캡(210)을 잡아당길 수 있다. 캡(210)은, 안테나(23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캡몸체(213)에 제1 안테나부(230a)와 제2 안테나부(230b)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캡(210)을 잡아 당기면, 안테나(230)가 자연스럽게 함께 인출될 수 있다.
캡몸체(213)는 D1의 직경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캡몸체(213)의 직경은, 수용부(도 4의 220)의 입구 직경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캡몸체(213)가 수용부(도 4의 220) 입구에 결합되며 수용부(도 4의 220)를 차폐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몸체(213)를 파지하여 잡아당기는 동작을 사용자가 수행하면, 안테나(230)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안테나(230)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BS)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BS) 방향으로 안테나(230)를 인출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하방에 위치하는 이어폰단자(ES)에 캡(210)을 삽입할 수 있다. 캡몸체(213)의 직경은, 이어폰단자(ES)의 직경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캡(210)은, 이어폰단자(ES)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캡(210)이 이어폰단자(ES)에 삽입되면, 안테나(230)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BS)을 가로지르며 위치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H)을 안테나(230)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BS)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손(H)은 자연스럽게 이동 단말기(1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스트랩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질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안테나(230)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는 고정유닛(250)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유닛(250)은, 인출된 안테나(230)가 특정 길이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유닛(250)의 결합부(252)가 안테나(230)의 결합공(도 5의 280)에 삽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정유닛(250)은, 힌지(HG)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힌지(HG)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결합부(252)가 위치하고 타측에는 탄성체(SP)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체(SP)는, 고정유닛(250)을 가압하여 결합부(252)가 안테나(230)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력(F)이 가해지면, 탄성체(SP)가 가압될 수 있다. 탄성체(SP)가 가압되면, 힌지(HG)를 중심으로 고정유닛(250)이 회전할 수 있다. 즉, 고정유닛(250)의 일측이 힌지(HG)를 회전축으로 하여 홈부(254) 내부로 회전됨을 의미한다. 고정유닛(250)이 회전하면, 결합부(252)가 안테나(230)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다. 결합부(252)가 안테나(230)로부터 결합해제되면, 사용자는 안테나(230)를 인출방향(EX)으로 잡아당겨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력(F)이 제거되면, 탄성체(SP)에 의하여 고정유닛(250)이 최초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고정유닛(250)이 최초위치로 복귀되면, 결합부(252)가 안테나(23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230)는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안테나(230)를 한 줄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230)에는 캡(210)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캡(21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캡(210a)과 제2 캡(210b)이 안테나(23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캡(210a)은, 안테나(230)의 중간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안테나부(230b) 상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캡(210b)은, 안테나(230)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부(230a)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제2 캡(210b)에는, 제2 안테나부(230b)에도 결합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안테나부(230b)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도 5의 28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안테나부(230b)와 제2 캡(210b)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제2 안테나부(230b)와 제2 캡(210b)의 결합을 해제하면, 루프 형태의 안테나(230)가 직선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한 줄의 안테나(230)로 변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 줄의 안테나(230)로 변형되면 안테나(230)가 더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파의 송신 및/또는 수신 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캡(210a)을 이어폰단자(도 13의 ES)에 결합할 수 있다. 제1 캡(210a)을 이어폰 단자(도 13의 ES)에 결합하면, 자연스럽게 안테나(230)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BS)을 가로지르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2 캡(210b)을 결합공(280)에 결합할 수 있다. 제2 캡(210b)을 결합공(280)에 결합시키면, 제1 캡(210a)과 제2 캡(210b) 사이의 안테나(230)가 자연스럽게 정리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190: 전원공급부

Claims (6)

  1.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플랙서블 안테나를 포함하되,
    상기 플랙서블 안테나는,
    스트립 타입(strip type)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플랙서블 안테나의 길이를 고정하는 제1 결합돌기가 마련된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된 이어폰 소켓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랙서블 안테나에는,
    상기 이어폰 소켓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어폰 소켓에 대응된 형태의 제2 결합돌기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폐곡선을 이루며 형성된 이동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공은,
    상기 제1,2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이동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이어폰단자가 마련되며,
    상기 바디 상에는,
    상기 이어폰단자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어폰단자의 직경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돌기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
KR1020140113414A 2014-08-28 2014-08-28 이동단말기 KR20160025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414A KR20160025920A (ko) 2014-08-28 2014-08-28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414A KR20160025920A (ko) 2014-08-28 2014-08-28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920A true KR20160025920A (ko) 2016-03-09

Family

ID=5553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414A KR20160025920A (ko) 2014-08-28 2014-08-28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59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00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29336A (ko) 이동 단말기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50698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24710A (ko)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KR20160016153A (ko) 이동 단말기
KR101951677B1 (ko)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KR20150125374A (ko) 이동 단말기
KR101659030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160116559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8018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32994A (ko) 이동 단말기
KR101616374B1 (ko) 와치형 단말기
KR20160047180A (ko) 이동 단말기
KR20210149860A (ko) 접착 테이프 및 이동 단말기
KR20160025920A (ko) 이동단말기
KR20170034484A (ko) 이동단말기 및 전자디바이스
KR20150144630A (ko) 이동 단말기
KR101727513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48076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30821A (ko) 이동단말기
KR20170078431A (ko) 이동 단말기
KR101592942B1 (ko) 이동단말기
KR20160109280A (ko) 방수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102159593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