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854A - 복포 장치 및 복포 방법 - Google Patents

복포 장치 및 복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854A
KR20160025854A KR1020140113269A KR20140113269A KR20160025854A KR 20160025854 A KR20160025854 A KR 20160025854A KR 1020140113269 A KR1020140113269 A KR 1020140113269A KR 20140113269 A KR20140113269 A KR 20140113269A KR 20160025854 A KR20160025854 A KR 20160025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oad
hose
membran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7669B1 (ko
Inventor
정지원
김성문
김형우
김인수
김일홍
조윤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정봉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정봉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13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6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2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을 복포하기 위한 복포막과, 복포막에 안착되거나 탈착 가능하며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중량을 매개로 복포막을 가압하는 관소재와, 관소재를 가압하여 내부 유체가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복포 장치 복포 장치 및 복포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복포 장치 및 복포 방법{Recover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야드 등에 적재된 적재물의 복포 작업에 이용되는 복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의 용이성과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포 장치 및 복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에서 사용되는 원료나 광석 등의 운송물은 원산지로부터 운반된 후 야드(yard) 등의 적재공간에 적재된 상태로 보관된다.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원료의 대부분은 분체 상태의 철광석과 석탄이며, 수년동안 사용되는 양은 대략 수백만톤에서 수천만톤에 이른다. 원료나 광석 등의 적재물(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X) 방향, 폭(Y) 방향 및 높이(Z)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폭 및 높이를 각각 갖고, 높이 방향으로 높아질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1)로부터 길이(X) 방향의 일 측면(12)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폭(Y) 방향의 타 측면(13)이 경사면 또는 수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물(10)은 폭(Y) 방향에서 길이(X) 방향으로 볼 때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그런데, 적재물은 대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보관됨에 따라 바람 등에 의해 비산되어 적재물이 손실됨은 물론이고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적재물은 우수 등의 수분이 침투하게 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수분 및 이물질 오염에 의해 원료의 품질이 저하되며, 다른 공정으로의 운송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복포막을 이용하여 적재물을 덮는 복포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복포막을 이용한 복포 작업은 예를 들어 넓고 긴 복포막을 10명∼12명의 작업자가 적재물에 펼쳐 덮은 후 현장에서 120∼150개 정도의 마대를 만들고 복포막에 3열∼4열 정도의 구멍을 만들어 로프를 이용하여 구멍에 마대를 묶어 고정하였다.
그런데, 마대를 묶어 고정하기 위해 복포막을 찢어 구멍을 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멍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수분 및 이물질이 적재물에 유입되는 문제와 복포막의 수명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많은 마대를 제작하고, 마대를 고정하기 위해 적재물을 반복하여 오르내리기 때문에 노동 강도가 심화된다. 그리고, 마대는 복포막을 국부적으로 눌러주므로 마대를 고정하기 위해 만든 구멍을 통해 복포막과 적재물 사이로 바람이 들어갈 수 있고, 그에 따라 복포막과 적재물이 마찰을 일으켜 복포막이 손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포막을 개포하기 위해 마대를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적재물을 오르내려야 하므로 노동 강도가 크고, 마대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아 마대가 적재물 내에 묻힐 경우 후속 공정에서 설비 트러블이 발생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310023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207760호에는 적재공간에 적재된 적재물에 커버를 덮는 작업 또는 적재물에 덮인 커버를 벗겨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적재물 커버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57508호에는 공기흡입배출에 의한 흡착력을 이용한 복포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마대 등의 중량물을 이용하지 않고 복포막을 고정할 수 있는 복포 장치 및 복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량물 고정을 위해 복포막에 구멍을 내지 않으므로 복포막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포 장치 및 복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복포 장치는 대상물을 복포하기 위한 복포막; 상기 복포막에 안착되거나 탈착 가능하며,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중량을 매개로 상기 복포막을 가압하는 관소재; 및 상기 관소재를 가압하여 내부 유체가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관소재를 가압하면서 상기 복포막에 고정되거나, 상기 복포막 상에 마련되어 상기 관소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관소재는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은 적재물 및 적치물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관소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는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을 밀착시키기 위한 조임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관소재와 접촉되는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복포막의 소정 영역에 결합된 복수의 웨빙과, 상기 복수의 웨빙 각각과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관소재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웨빙은 상기 대상물의 높이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웨빙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다.
상기 대상물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복포막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이중막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복포막 상에 마련되어 상기 대상물과 복포막 사이에 유입된 바람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통풍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통풍구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후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포막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복포막의 잔여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복포막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복포 방법은 대상물에 복포막을 복포하는 단계; 및 상기 복포막 상에 내부에 유체가 채워진 관소재를 안착 또는 고정하여 상기 복포막을 대상물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관소재는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은 적재물 및 적치물을 포함한다.
상기 복포막은 소정 영역에 복수의 웨빙과, 상기 복수의 웨빙과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웨빙을 따라 상기 관소재를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관소재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소재에 유체를 공급한 후 상기 관소재의 말단을 밀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복포 장치는 적재물을 덮는 복포막에 고정 부재가 마련되어 호스을 고정하고, 호스에 유체를 공급한 후 호스의 유입구를 가압 부재를 이용하여 밀폐함으로써 호스 내의 유체 중량에 의해 복포막이 적재물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호스를 이용함으로써 복포막에 마대를 고정시키는 종래에 비해 복포막을 손상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복포막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대를 제작하고 이를 복포막에 고정시키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으므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물을 덮는 복포막의 작업자가 주로 이동하는 영역에 이중막이 마련되어 복포막의 찢어짐과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잔여 복포막을 말아 고정하기 위한 복포막 고정부를 마련함으로써 복포막의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풍구를 마련하여 복포막 내로 유입된 바람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복포막의 손상 및 적재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복포 작업이 실시되는 적재물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포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포 장치의 가압 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포 장치의 고정 부재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포 장치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포 장치의 통풍구의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포 장치의 개략도이다. 또한, 도 3은 가압 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4는 고정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포 장치는 적재물 등의 대상물을 덮도록 마련된 복포막(110)과, 복포막(110)에 접촉되고 유체를 수용하여 복포막(110)을 가압하기 위한 호스(120)와, 호스(120)의 유입구를 가압하여 호스(120) 내에 공급된 유체가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가압 부재(130)와, 복포막(110)의 소정 영역에 마련되어 호스(120)를 복포막(1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포막(110)은 적재물을 덮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비가 4:3 내지 16:9가 되도록 복포막(110)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복포막(110)의 형태 및 크기는 적재물의 형태및 높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적재물(10)의 폭(Y) 방향의 타 측면(13)을 덮도록 복포막(110)의 두 가장자리에 마련된 보조 복포막(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포막(110)은 복수 접합되어 크기를 확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소정 크기를 갖는 복수의 복포막(110)을 적재물(10)의 길이 방향으로 접합하여 복포막(110)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복포막(110)은 소정의 폭으로 중첩시킨 후 열로 녹여 접합하거나, 접착제 또는 접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접합할 수도 있으며, 봉제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복포막(110)은 천, 폴리머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타포린(tarpauline)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복포막(110)은 타포린 재질의 위사와 경사를 평직하여 직조할 수 있다. 이때, 복포막(110)은 위사 및 경사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단사 구조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가 겹사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타포린은 PE 타포린 및 PVC 타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PE 타포린의 경우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필름을 연신하여 조밀하게 제직된 직물로 만든 후 이 직물의 양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수지를 적층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복포막(110)은 그 자체로 이용할 수 있고, 방수성 및 내구성 등의 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코팅층은 복포막(110)의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어느 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코팅층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 하나 이상과 스티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의 혼합 수지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혼합 수지 등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복포막(110)은 나일론 재질의 망(mesh)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복포막(110)이 망 구조로 제작됨으로써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망에 비닐을 붙여 공기는 통하며 외부로부터 우수가 적재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호스(120)는 복포막(110)에 탈부착 가능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된다. 호스(120)는 복포막(110)에 밀착되어 호스(120) 내에 수용된 유체의 중량에 의해 복포막(110)을 적재물(10)에 밀착되도록 한다. 즉, 호스(120)는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여 중량물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호스(120)에는 다양한 유체가 수용될 수 있지만, 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호스(120)는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관 형상의 소재로 마련되며, 고무, 비닐, 플라스틱, 메탈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호스(120)는 유체의 하중에 의해 찢어지지 않을 정도로 질기고 이동과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자유로이 굴곡 가능한 고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스(120)는 양쪽 유입구에서 유체가 동시에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120)의 양쪽 유입구가 적재물(10)의 상단부 부근에 위치하고 그에 따라 호스(120)는 적재물의 측면에 "U"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양쪽 유입구를 통해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호스(120)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다른 호스가 이용될 수 있다. 즉, 중량물로 이용되는 호스(120)가 복포막(110) 상에 위치된 후 호스(120)의 양쪽 유입구에 유체 공급을 위한 다른 호스를 연결하여 호스(120)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호스(120)의 배치 형상과 유체 공급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가압 부재(130)는 호스(120)의 말단을 가압하여 호스(120)의 유입구를 막음으로써 호스(120)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압 부재(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어 마련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131, 132)과, 조임 수단으로서 볼트(133) 및 너트(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판 및 하부판(131, 132)의 가장자리에는 볼트(133)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판(131)에는 볼트(133)가 삽입되고 볼트(133)의 머리 부분이 평판(131)의 상면에 용접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부재(130)는 상부판 및 하부판(131, 132)이 호스(120)의 소정 영역, 예를 들어 말단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마련되고, 상부판(131)에 삽입 고정된 볼트(133)를 하부판(132)에 삽입한 후 하부판(132)의 이면에서 너트(134)와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판 및 하부판(131, 132)을 이용하여 호스(120)의 말단을 가압함으로써 호스(120)의 말단, 즉 유입구를 막을 수 있다. 이때, 호스(120)의 말단을 몇번 접은 후 가압 부재(130)를 가압함으로써 밀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호스(120)와 접촉하는 상부판 및 하부판(131, 132)은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부판 및 하부판(131, 132)에 의해 호스(120)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판 및 하부판(131, 132)의 내측, 즉 호스(120)와 접촉되는 영역에 우레탄 등의 유연성 재질의 완충 부재(135)를 마련함으로써 금속 재질의 상부판 및 하부판(131, 132)이 호스(120)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완충 부재(135)가 호스(120)에 접촉되어 호스(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완충 부재(135)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판 및 하부판(131, 132)에는 소정의 수용 홈이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완충 부재(135)는 상부판 및 하부판(131, 132)의 소정 영역에 도포될 수 있고, 상부판 및 하부판(121, 132)에 형성된 수용 홈에 수용될 수도 있다.
고정 부재(140)는 복포막(110) 상의 복수의 영역에 마련되어 호스(120)를 복포막(110)에 탈부착한다 즉, 고정 부재(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10)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복포막(110)의 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적재물(10)의 높이 방향에 대응되는 복포막(110)의 타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재(140)는 적재물(10)의 적어도 측면에 해당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10)의 측면에 해당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부재(140)는 적재물(110)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단부까지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적재물(10)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단부를 통해 타 측면까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 부재(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웨빙(141)과 웨빙(141)의 복수의 영역에 마련된 고정 수단(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 수단(142)는 웨빙(14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 마련될 수 있다. 즉, 적재물(10)의 높이 방향으로 웨빙(141)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되고, 각 웨빙(141)으로부터 웨빙(141)과 교차되는 방향, 즉 적재물(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 수단(14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40)는 복포막(110)에 접합 또는 봉제될 수 있다. 즉, 소정 폭을 갖는 띠 형상의 웨빙(141)에 복수의 고정 수단(142)을 웨빙(14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하여 고정 부재(140)를 제작한 후 복포막(110)에 웨빙(141)을 접합 또는 봉제할 수 있다. 여기서, 웨빙(141) 및 고정 수단(142)은 복포막(110)과 동일 재질일 수도 있고, 다른 재질일 수도 있다. 또한, 고정 수단(14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똑딱 단추, 벨크로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고정 수단(142)이 웨빙(141)의 복수의 영역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고정 수단(142)의 단부와 웨빙(141)의 소정 영역에 똑딱 단추 또는 벨크로를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에 의해 고정 수단(142)이 호스(12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재(140)의 웨빙(141)을 따라 호스(120)를 배치하고 호스(120)의 복수의 영역을 고정 수단(142)을 이용하여 고정한 후 호스(120)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렇게 호스(120) 및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40)를 복포막(110) 상에 마련함으로써 마대를 고정하기 위해 복포막(110)을 손상시키지 않으므로 복포막(110)의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복포막(110)을 찢어 구멍을 내고 중량물을 매달았기 때문에 구멍 크기 증가에 따른 수명 저하가 불가피하지만, 본 발명은 고정 부재(140)가 복포막(110) 상에 마련되어 호스(130)를 고정하므로 복포막(110)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복포막(110)의 수명 저하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고정 부재(140)가 적재물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복포막(110) 상에 마련됨으로써 작업자가 밟거나 손잡이로 이용하여 적재물을 오르내릴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포 장치는 적재물(10)을 덮는 복포막(110)에 고정 부재(140)가 마련되어 호스(120)을 고정하고, 호스(120)에 유체를 공급한 후 호스(120)의 말단을 가압 부재(130)를 이용하여 밀폐함으로써 호스(120) 내에 유체의 중량에 의해 복포막(110)이 적재물(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호스(120)를 이용함으로써 복포막(110)에 마대를 고정시키는 종래에 비해 복포막(110)을 손상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복포막(11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대를 제작하고 이를 복포막(110)에 고정시키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포막(110)의 사용 회수를 증가시켜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복포 작업 및 개포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포 장치는 적재물을 덮도록 마련된 복포막(110)과, 복포막(110)에 접촉되고 유체를 공급하여 복포막(110)을 가압하기 위한 호스(120)와, 호스(120)의 말단을 가압하여 호스(120) 내에 공급된 유체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가압 부재(130)와, 호스(120)를 복포막(110)에 고정하기 위해 복포막(110)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고정 부재(140)와, 적재물(10)의 상단부에 해당되는 복포막(110)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이중막(150)과, 복포막(110)의 잔여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복포막 고정부(160)와, 적재물(10)과 복포막(110) 사이에 유입된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풍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중막(150)은 복포 작업시 작업자가 주로 이동하는 적재물(10)의 상단부에 해당되는 복포막(110)의 소정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이동에 따른 복포막(110)의 마모 또는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중막(150)은 복포막(110)과 동일 재질 또는 다른 재질의 소재를 덧붙여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포막(110)이 폴리머 계열의 재질로 제작되고 이중막(150)이 타포린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복포막(110) 및 이중막(150)이 타포린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막(150)은 예를 들어 약 30㎝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중막(150)은 적재물(10)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영역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적재물(10)의 경사면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적재물(10)의 측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더 마련될 수 있다.
복포막 고정부(160)는 복포막(110)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복포막 고정부(160)는 복포막(110)의 하단부가 길게 남을 경우 복포막(110)의 하단부를 말아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즉, 적재물(10)의 높이가 적치 패턴에 따라 달라지는데, 적재물(10)의 높이가 낮을 경우 복포막(110)의 하단부가 길게 남게 되고, 이를 방치하게 되면 오염 및 소손되어 복포막(110)의 수명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복포막(110)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예를 들어 약 1.5m의 높이에 복포막 고정부(160)를 마련함으로써 복포막(110)의 하단부를 말아서 고정하여 복포막(110)의 오염 및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복포막 고정부(160)는 구멍 및 연결끈의 적어도 하나가 복수 형성된 별도의 부재를 복포막(160)에 접합 또는 봉제하여 마련할 수 있다.
통풍구(170)는 복포막(110)의 복수의 영역에 마련되어 복포막(110) 안으로 유입된 바람을 배출하도록 한다. 즉, 복포막(110)이 방풍 및 방수 특성을 갖도록 제작되어 복포막(110)과 적재물(10) 사이로 바람이 유입되면 복포막(110)이 계속 펄럭거리면서 복포막(110)과 그 안의 적재물(10)이 마찰을 발생시켜 복포막(110)의 수명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복포막(110)과 적재물(10) 사이의 바람이 복포막(110)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통풍구(170)를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통풍구(170)는 적재물(10)의 길이 방향의 일 측면 및 폭 방향의 타 측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풍구(170)는 복포막(110)의 복수의 영역을 예를 들어 원형으로 제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통풍구(170)가 형성됨으로써 통풍구(170)를 통해 외부로부터 우수 및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통풍구(170)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171)을 설치할 수 있다. 즉, 통풍구(170)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후드(171)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후드(171)는 유연성 재질로 마련되며 통풍구(170)의 폭을 갖고 통풍구(170)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복포막(110)과 적재물 사이의 바람은 통풍구(170) 및 후드(17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우수 또는 바람은 후드(171)가 통풍구(170)를 막고 있으므로 안으로 들어갈 수 없게 된다. 즉, 복포 후 복포막(110)과 적재물 사이에 바람이 들어간 상태에서는 후드(171)가 펼쳐져 바람을 밖으로 배출하게 되고, 바람이 배출된 후 일반적인 상태에서 후드(171)가 통풍구(170)를 덮게 되어 우수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포 장치를 이용한 적재물의 복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 영역에 고정 부재(140)가 마련된 복포막(110)을 준비한다. 고정 부재(140)는 예를 들어 웨빙(141)과, 웨빙(141)과 연결된 복수의 고정 수단(142)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고정 부재(140)를 복포막(110)의 복수의 영역에 접착 또는 봉제한다. 또한, 고정 수단(142)은 똑딱 단추, 벨크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부재(140)는 적재물(110)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는데, 적재물(10)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적재물(10)의 높이 방향에 대응되는 영역에 복수의 웨빙(141)이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고, 웨빙(141)으로부터 적재물(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 수단(14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40)는 적재물(10)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높이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동시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어서, 복수의 고정 부재(140)가 마련된 복포막(10)을 이용하여 적재물(10)을 복포한다. 이때, 복포막(110)의 재질에 따라 복수의 작업자가 적재물(10)을 덮을 수도 있고, 크레인 등의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적재물(10)을 덮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폴리머 등의 가벼운 재질로 복포막(110)이 제작된 경우 복수의 작업자에 의해 적재물(10)을 덮을 수 있고, 타포린 등의 무거운 재질로 복포막(110)이 제작된 경우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적재물(10)을 덮을 수 있다.
이어서, 복포막(110)으로 적재물(10)을 덮은 후 고정 부재(140)를 따라 호스(120)를 배치하고 고정시킨다. 즉, 웨빙(141)의 방향을 따라 호스(120)를 배치하고 고정 수단(142)을 이용하여 호스를 고정한다. 이때, 호스(120)의 말단, 즉 유입구는 상측, 즉 적재물(10)의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호스(120)의 두 말단이 적재물(10)의 상단부 측에 위치하도록 호스(120)를 예컨데 "U"자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호스(120)에 물 등의 유체를 공급한다. 이때, 호스(120)의 두 유입구를 통해 유체를 공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체 공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적재물(10)의 상단부 측에 위치하는 호스(120)의 두 유입구에 물 공급을 위한 호스를 연결하고 호스(120)에 물을 공급한다. 물이 공급됨으로써 호스(120)의 부피가 증가하고 호스(120) 내의 물에 의한 중량으로 복포막(110)과 적재물(10)이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호스(120)에 물이 완전히 채워진 후 물의 공급을 중단하고 호스(120)의 말단을 접은 후 가압 부재(130)를 이용하여 호스(120)의 말단을 가압한다. 따라서, 호스(120)가 밀폐되고 호스(120) 내부에 유입된 물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복포막 120 : 호스
130 : 가압 부재 140 : 고정 부재
150 : 이중막 160 : 복포막 고정부
170 : 통풍구

Claims (15)

  1. 대상물을 복포하기 위한 복포막;
    상기 복포막에 안착되거나 탈착 가능하며,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중량을 매개로 상기 복포막을 가압하는 관소재; 및
    상기 관소재를 가압하여 내부 유체가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복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관소재를 가압하면서 상기 복포막에 고정되거나, 상기 복포막 상에 마련되어 상기 관소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복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소재는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은 적재물 및 적치물을 포함하는 복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관소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는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을 밀착시키기 위한 조임 수단을 포함하는 복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소재와 접촉되는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복포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복포막의 소정 영역에 결합된 복수의 웨빙과,
    상기 복수의 웨빙 각각과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관소재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복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웨빙은 상기 대상물의 높이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웨빙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복포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복포막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이중막을 더 포함하는 복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포막 상에 마련되어 상기 대상물과 복포막 사이에 유입된 바람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통풍구를 더 포함하는 복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후드를 더 포함하는 복포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포막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복포막의 잔여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복포막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복포 장치.
  12. 대상물에 복포막을 복포하는 단계; 및
    상기 복포막 상에 내부에 유체가 채워진 관소재를 안착 또는 고정하여 상기 복포막을 대상물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포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관소재는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은 적재물 및 적치물을 포함하는 복포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포막은 소정 영역에 복수의 웨빙과, 상기 복수의 웨빙과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 수단이 마련된 복포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웨빙을 따라 상기 관소재를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관소재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소재에 유체를 공급한 후 상기 관소재의 말단을 밀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포 방법.
KR1020140113269A 2014-08-28 2014-08-28 복포 장치 및 복포 방법 KR101697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269A KR101697669B1 (ko) 2014-08-28 2014-08-28 복포 장치 및 복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269A KR101697669B1 (ko) 2014-08-28 2014-08-28 복포 장치 및 복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854A true KR20160025854A (ko) 2016-03-09
KR101697669B1 KR101697669B1 (ko) 2017-01-18

Family

ID=5553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269A KR101697669B1 (ko) 2014-08-28 2014-08-28 복포 장치 및 복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355B1 (ko) 2017-08-04 2019-05-10 주식회사 포스코 이동식 복포 장치
KR102033632B1 (ko) 2017-12-01 2019-10-17 주식회사 포스코 복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8060A (ja) * 1989-09-20 1991-05-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ジタル相関器
KR20030042398A (ko) * 2001-11-22 2003-05-28 김창헌 비닐하우스 덮개
KR20110036183A (ko) * 2009-10-01 2011-04-07 (주)동아캔바스 야적 광물 보호용 덮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060B1 (ja) * 1999-05-17 2000-11-13 秀三郎 石井 管部材の接続栓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8060A (ja) * 1989-09-20 1991-05-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ジタル相関器
KR20030042398A (ko) * 2001-11-22 2003-05-28 김창헌 비닐하우스 덮개
KR20110036183A (ko) * 2009-10-01 2011-04-07 (주)동아캔바스 야적 광물 보호용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669B1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4022B1 (en) Multi-purpose tarpaulin system
KR101697669B1 (ko) 복포 장치 및 복포 방법
CN105002871B (zh) 自动充气式吸油拖栏
CN1824589A (zh) 钢筋强固底部排料口为方形多用途散状物料集装袋
CN210149730U (zh) 一种防洪沙袋快速装填装置
JP2015044601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CN205931215U (zh) 一种浮空器囊体排气结构
AU2013206050B2 (en) A cover
CN205931214U (zh) 一种浮空器囊体排气结构
CN212737900U (zh) 一种货车封罩
CN214525493U (zh) 一种高强度防汛编织袋
CN206254885U (zh) 一种城市环保渣土车防尘盖装置
CN209325169U (zh) 大口径玻璃钢管对接用固定装置
KR102033632B1 (ko) 복포 장치 및 방법
CN202642120U (zh) 高效防尘接料装置
JP2006205719A (ja) 枝管ライニング工法
JP5882078B2 (ja) 放射線遮蔽装着体および前記放射線遮蔽装着体を使用した放射線遮蔽容器
CN206552499U (zh) 一种束口袋
KR20200076010A (ko) 복포 부재
CN217199582U (zh) 一种防潮复合编织袋
KR20160023007A (ko) 복포 부재
CN206202975U (zh) 一种密封包装袋
US9744568B2 (en) Dust limiting insulation collection bag and method of collecting insulation
CN219236890U (zh) 一种道路货物运输用缓冲夹紧装置
JP6362464B2 (ja) 中空筒状構造物補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