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193A - 조영 약액의 함침을 이용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 - Google Patents

조영 약액의 함침을 이용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193A
KR20160024193A KR1020140110705A KR20140110705A KR20160024193A KR 20160024193 A KR20160024193 A KR 20160024193A KR 1020140110705 A KR1020140110705 A KR 1020140110705A KR 20140110705 A KR20140110705 A KR 20140110705A KR 20160024193 A KR20160024193 A KR 20160024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image
cell
tracer
micro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염
신휴성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10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4193A/ko
Publication of KR20160024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에 대해 셀 특성을 파악할 목적으로 X-ray CT 촬영을 이용하여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단면 영상을 취득하되, 조영 약액을 이용하여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에 대해 전처리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셀 특성의 통계적인 산정을 위한 샘플을 용이하게 추출함과 동시에 셀에 대한 선명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게 만드는 "조영 약액 직접 주입을 이용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조영 약액(2)이 담겨 있는 함침조(5)에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촬영대상 샘플을 함침시켜서, 조영 약액(2)이 개별적인 셀의 내부에 채워지게 하는 조영 약액내의 함침 단계(단계 S1); 및 조영 약액이 셀의 내부에 채워진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촬영대상 샘플에 X-ray CT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X-ray를 조사하는 X-ray CT 촬영 단계(단계 S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영 약액의 함침을 이용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X-ray Scan Method of Micro Cell Material using Saturation of Tracer}
본 발명은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에 대해 셀 특성을 파악할 목적으로 X-ray CT 촬영을 이용하여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단면 영상을 취득하되, 조영 약액의 함침에 의해 셀을 채우는 방식으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에 대해 전처리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셀 특성의 통계적인 산정을 위한 샘플을 용이하게 추출함과 동시에 셀에 대한 선명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게 만드는 "조영 약액 직접 주입을 이용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공질의 미세 셀 구조재료"는, 폐쇄된 기공(공극/void)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미세한 셀(cell)의 집합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경량의 성질을 가지고 있고 단열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단열재 등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5414호에는 이러한 미세 셀 구조를 가지는 재료의 일예로서 경량 폴리우레탄 폼과 이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도 1에는 다용도로 이용되는 종래의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내부 단면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도면 대용 사진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에 있어서 각각의 셀(cell)(격벽에 의해 폐쇄된 하나의 공간을 이루는 기공)의 크기, 형상 및 분포, 그리고 셀 간의 연결정도 등은, 그 품질과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이며, 따라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에 대해서 이러한 셀의 특성들(크기, 형상, 분포, 셀간의 연결정도 등)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는 많은 수의 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모든 셀에 대해 위와 같은 특성을 파악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바, 소정 개수의 셀을 샘플로서 추출하여(샘플링), 이를 대푯값으로 하여 통계처리하고, 그 결과를 해당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셀 특성으로 삼을 수 밖에 없다.
한편, 물체의 내부 구조에 대한 시각적인 영상을 취득하는 방법으로서, "X-ray CT 촬영"이 의료분야를 비롯하여 여러 산업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자는 X-ray CT 촬영을 이용하여 토사의 간극비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대한민국 특허를 취득하였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0787호). 이와 같이 X-ray CT 촬영은 물체의 내부 구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인 바,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에 대해 셀의 크기, 형상 및 분포, 그리고 셀 간의 연결정도 등의 "셀 특성"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X-ray CT 촬영의 이용가능성을 타진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5414호(2010. 07. 0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0787호(2012. 02. 16. 공개)
본 발명은 단열재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에 대해 셀의 크기, 형상 및 분포, 그리고 셀 간의 연결정도 등의 "셀 특성"을 파악함에 있어서, X-ray CT 촬영을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에 대해 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X-ray CT 촬영을 수행하여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내부 구조에 대한 촬영 영상을 취득하는 방법으로서, 셀 특성의 통계적인 산정을 위한 샘플을 용이하게 추출함과 동시에 셀에 대한 선명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게 만드는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여 X-ray CT 촬영 영상을 취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촬영 샘플에 대한 X-ray CT 촬영 영상을 취득하는 방법으로서, 조영 약액이 담겨 있는 함침조에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촬영대상 샘플을 함침시켜서, 조영 약액이 개별적인 셀의 내부에 채워지게 하는 조영 약액내의 함침 단계; 및 조영 약액이 셀의 내부에 채워진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촬영대상 샘플에 X-ray CT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X-ray를 조사하는 X-ray CT 촬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를 이루는 셀에 대한 선명한 X-ray CT 촬영 영상을 X-ray CT 촬영 장치에 의해 취득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취득된 X-ray CT 촬영 영상을 이용하게 되면,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를 이루는 셀의 크기, 형상 및 분포, 그리고 셀 간의 연결정도 등의 "셀 특성"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높은 정확도로 분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종래의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내부 단면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조영 약액의 함침에 의한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X-ray CT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X-ray CT 촬영영상을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전처리 과정으로서 조영 약액이 셀의 공극에 채워지도록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를 조영 약액의 함침조에 함침시킨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과정에 의해 다공실 미세 셀 구조재료의 셀 공극에 조영 약액이 함침에 의해 채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셀의 공극에 조영 약액이 함침되어 채워진 후 X-ray CT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X-ray CT 촬영영상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조영 약액의 함침에 의한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X-ray CT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X-ray CT 촬영영상을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 개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전처리 과정으로서 조영 약액이 셀의 공극에 채워지도록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를 조영 약액의 함침조에 함침시킨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가 개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셀의 공극에 조영 약액이 채워지는 것을,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내부 단면구조에 대한 전자현미경 촬영 사진에 표시한 개략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4 및 도 5의 방법에 의해 조영 약액이 셀의 공극에 채워진 후, 해당 샘플에 대해 X-ray CT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X-ray CT 촬영영상에 대한 개략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은,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촬영대상 샘플을 조영 약액 함침조에 함침시켜서 조영 약액이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셀 공극에 채워지게 하는 단계(단계 S1)와, 함침에 의해 조영 약액이 채워진 촬영대상 샘플의 X-ray CT 촬영 단계(단계 S2)를 포함한다.
우선 조영 양액의 주입 단계를 살펴보면, 도 4 및 도 5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처럼, 조영 약액(2)이 담겨 있는 함침조(5)에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촬영대상 샘플을 함침시킨다.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가 조영 약액(2) 속에 함침되면,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외면 부근에 존재하는 셀의 내부 즉, 셀의 공극 속으로 조영 약액(2)이 자연스럽게 침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셀의 공극이 조영 약액(2)으로 채워지게 된다. 각 셀을 구분하는 셀의 격벽에 미세한 구멍이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구멍을 통해서 조영 약액(2)이 이웃하는 셀의 공극 내로 점차 흘러들어가게 되며, 그에 따라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외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셀은 그 공극이 조영 약액(2)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함침 방식으로 복수개의 셀 내부에 조영 약액이 채워진 후에는, 공지된 X-ray CT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촬영대상 샘플을 촬영함으로써 X-ray CT 촬영 영상을 취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에 대해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함침에 의한 조영 약액(2)의 셀 공극 채움을 통한 전처리 과정 없이, X-ray CT 촬영을 수행하였을 경우, 도 3과 같이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를 구성하는 각 셀을 구분할 수 없는 상태의 영상만을 취득하게 된다.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는 경량의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각 셀을 구분하는 격벽의 두께도 매우 얇다. 따라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에 대해 전처리 과정 없이 X-ray CT 촬영을 수행하였을 경우에는 얇은 격벽 및 재료 물성 자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X-ray CT 촬영 영상에서는 셀을 구분하는 격벽이 제대로 표현되지 못하고, 결국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셀 경계가 전혀 보이지 않는 형태의 영상만이 취득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셀의 비어 있는 공극 내에 조영 약액이 채워지게 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X-ray CT 촬영을 하게 되므로, 조영 약액이 채워진 각 셀의 경계와 형상이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도 6과 같은 선명한 X-ray CT 촬영 영상을 입수할 수 있게 된다. 조영 약액(2)은 X-ray를 투과시키지 않는 액상 물질로서, 이와 같이 셀의 공극 내에 조영 약액(2)이 주입된 상태에서 X-ray CT 촬영을 수행하게 되면 X-ray는 셀에 채워진 조영 약액(2)을 투과하지 못하게 되어, 도 6와 같이 조영 약액(2)이 채워진 셀의 형상과 크기가 선명하게 보이게 되는 X-ray CT 촬영 영상이 취득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도 6과와 같이 각 셀의 경계와 형상이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선명한 X-ray CT 촬영 영상을 취득한 후에는, 공지의 통계처리 방법에 의하여, 셀(조영 약액이 주입되어 채워진 셀)에 대한 통계처리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셀의 크기, 형상, 분포, 셀 간의 연결정도 등과 같은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셀 특성을 분석하여 산출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를 이루는 셀에 대한 선명한 X-ray CT 촬영 영상을 X-ray CT 촬영 장치에 의해 취득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취득된 X-ray CT 촬영 영상을 이용하게 되면,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를 이루는 셀의 크기, 형상 및 분포, 그리고 셀 간의 연결정도 등의 "셀 특성"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높은 정확도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2: 조영 약액
5: 함침조

Claims (1)

  1.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촬영 샘플에 대한 X-ray CT 촬영 영상을 취득하는 방법으로서,
    조영 약액(2)이 담겨 있는 함침조(5)에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촬영대상 샘플을 함침시켜서, 조영 약액(2)이 개별적인 셀의 내부에 채워지게 하는 조영 약액내의 함침 단계(단계 S1); 및
    조영 약액이 셀의 내부에 채워진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촬영대상 샘플에 X-ray CT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X-ray를 조사하는 X-ray CT 촬영 단계(단계 S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
KR1020140110705A 2014-08-25 2014-08-25 조영 약액의 함침을 이용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 KR20160024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705A KR20160024193A (ko) 2014-08-25 2014-08-25 조영 약액의 함침을 이용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705A KR20160024193A (ko) 2014-08-25 2014-08-25 조영 약액의 함침을 이용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193A true KR20160024193A (ko) 2016-03-04

Family

ID=5553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705A KR20160024193A (ko) 2014-08-25 2014-08-25 조영 약액의 함침을 이용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41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4104A (zh) * 2016-06-26 2016-09-21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基于pet/ct的岩石裂纹细观结构检测系统及检测方法
US11248015B2 (en) 2016-12-08 2022-02-15 Samyang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psicose using recycl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5414A (ko) 2008-12-24 201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경질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조성물 및 경질 폴리우레탄 폼
KR101110787B1 (ko) 2009-11-17 2012-02-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엑스레이 씨티촬영을 통한 미세 토사의 간극비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5414A (ko) 2008-12-24 201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경질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조성물 및 경질 폴리우레탄 폼
KR101110787B1 (ko) 2009-11-17 2012-02-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엑스레이 씨티촬영을 통한 미세 토사의 간극비 측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4104A (zh) * 2016-06-26 2016-09-21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基于pet/ct的岩石裂纹细观结构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05954104B (zh) * 2016-06-26 2023-03-07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基于pet/ct的岩石裂纹细观结构检测系统及检测方法
US11248015B2 (en) 2016-12-08 2022-02-15 Samyang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psicose using recyc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h et al. Predicting porosity and permeability of carbonate rocks from core-scale to pore-scale using medical CT,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and micro CT
Kuroda et al. The cryo‐TOF‐SIMS/SEM system for the analysis of the chemical distribution in freeze‐fixed Cryptomeria japonica wood
CN103575751A (zh) 一种基于ct技术的多孔混凝土孔结构表征方法
Iwasaki et al. Observation of the dissolution process of Globigerina bulloides tests (planktic foraminifera) by X‐ray microcomputed tomography
CN105911077A (zh) Xct无损检测混凝土材料硫酸盐侵蚀损伤的试验方法
CN103592211A (zh) 多孔材料孔隙率测量方法及装置
RU2013141026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изготовления эталонов для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я пористости
Fogden* et al. Micro-CT analysis of pores and organics in unconventionals using novel contrast strategies
KR20170006663A (ko) 이차 전지 양극 내부 기공 분포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고분자
Voltolini et al. Synchrotron X-ray computed microtomography investigation of a mortar affected by alkali–silica reaction: a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f its microstructural features
KR20160024193A (ko) 조영 약액의 함침을 이용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
WO2021056654A1 (zh) 一种实现煤体孔裂隙动态渗流过程可视化的方法
Kuusela et al. Imaging of reactive transport in fractured cement-based materials with X-ray CT
CN104198766A (zh) 消除聚焦离子束扫描电镜成像时的景深假像的方法
KR101649866B1 (ko) 조영 약액의 직접 주입을 이용한 다공질 미세 셀 구조재료의 X-ray CT 촬영 영상 취득방법
KR101446171B1 (ko) X선 ct 영상을 이용한 시멘트 기반 재료의 기포간격계수 측정방법
Sardini et al. Mapping and quantifying the clay aggregate microporosity in medium-to coarse-grained sandstones using the 14C-PMMA method
CN113640324B (zh) 一种结合断层扫描成像与增强造影的局部孔隙率表征方法
Tan et al. Evaluation of transport properties of deteriorated concrete due to calcium leaching with coupled CT image analysis and random walk simulation
He et al. Characterization of microstructure evolution of cement paste by micro computed tomography
Skvortsova et al. Tomography in soil science
Liu et al. In situ characterisation of the depth and mass of water intrusion in unsaturated cement pastes via X-ray computed tomography
Tötzke et al. Investigation of carbon fiber gas diffusion layers by means of synchrotron X-ray tomography
Miettinen et al. Time-resolved X-ray microtomographic measurement of water transport in wood-fibre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Plank et al.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process chain: wood polymer composite–C-template–C/Si/SiC-ceramic by means of X-ray computed tom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