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151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151A
KR20160024151A KR1020140110618A KR20140110618A KR20160024151A KR 20160024151 A KR20160024151 A KR 20160024151A KR 1020140110618 A KR1020140110618 A KR 1020140110618A KR 20140110618 A KR20140110618 A KR 20140110618A KR 20160024151 A KR20160024151 A KR 20160024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main body
case
mobile termi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517B1 (ko
Inventor
이범수
임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0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51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는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와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본체를 포함하여서,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가 폴더 타입으로 동작되는 케이스,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일측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와 함께 폴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을 상기 상부 본체와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상부 고정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을 상기 하부 본체와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하부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고정부재와 하부 고정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폴딩 될 때, 탄성변형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단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폴더 타입으로 동작 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닫힘 상태에서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가 겹쳐지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는 일단에 힌지 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폴더 타입의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위치되는 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각각의 본체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화면이 분할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폴더 타입의 본체의 경우,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수단에 의해 회동되고 접히게 된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힌지수단을 중심으로 라운드지게 접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폴더 타입에서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중앙부가 변형되면서, 양단이 움직이게 되는 문제가 생기고, 2개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게 되면, 화면이 분할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권치수단에 권치하여 길을 조절하는 것이 발명되었지만, 귄치수단에 권치되는 디스플레이가 파손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가 권치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 화면 조절 문제 등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폴더 타입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과정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이동되고, 열림상태에서 제자리로 복원되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는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와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본체를 포함하여서,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가 폴더 타입으로 동작되는 케이스,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일측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와 함께 폴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을 상기 상부 본체와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상부 고정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을 상기 하부 본체와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하부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고정부재와 하부 고정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폴딩 될 때, 탄성변형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단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는 상부 고정부재와 하부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서, 이동 단말기의 열림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김을 방지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탄성 지지부재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베젤에 밀착되도록 하여서, 베젤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폴더 타입에서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서, 화면분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의 폴딩 과정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이동 단말기의 열림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제자리로 복귀하도록 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 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닫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1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열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a의 이동 단말기의 A - A 선을 취한 단면도,
도 3 은 도 1b의 이동 단말기의 B - B 선을 취한 단면도,
도 4 는 도 1b의 이동 단말기의 C - C 선을 취한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닫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1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열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a 및 1 b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100)는 케이스(110a,110b)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와, 하부 고정부재(140b)와, 상부 고정부재(140a)를 포함한다.
케이스(110a,110b)는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전자부품이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품은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각종 논리연산부가 위치되는 회로기판(미도시)과,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일 수 있다.
회로기판은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는 카메라와 입력부 등의 입력부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의 시각적 출력부와, 청각적 출력부가 노출되는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전면(상세히는, 이동 단말기의 열심 상태에서 상부)에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케이스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케이스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케이스의 후면이 아닌 케이스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케이스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케이스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케이스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케이스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케이스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케이스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케이스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 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케이스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케이스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케이스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미도시)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케이스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케이스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케이스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2 는 도 1a의 이동 단말기의 A - A 선을 취한 단면도, 도 3 은 도 1b의 이동 단말기의 B - B 선을 취한 단면도, 도 4 는 도 1b의 이동 단말기의 C - C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케이스(110a,110b)는 2개의 본체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는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를 포함하고,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가 서로 회동되어 폴딩(folding)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가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가 중첩되는 도 1의 경우를 닫힘상태라고 정의하고, 이동 단말기가 도 2와 같이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가 중첩되지 않는 경우를 열림상태라고 정의한다.
상부본체(110a)는 하부본체(110b)와 힌지부(119)에 의해 회동가능 하게 연결된다.
상부본체(110a)는 하부본체(110b)와 힌지부(119)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열림상태에서 서로 인접하는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측면은 힌지부(119)의 축과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는 이동 단말기의 닫힘상태에서 서로 인접하게 마주보는 면을 전면(111a,111b)이라고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노출되는 윈도우(115)와, 윈도우(115)를 감싸는 베젤(111)이 형성되는 전면(111a,111b)과, 전면(111a,111b)과 마주보고 배면(112a,112b), 및 전면과 배면의 테두리를 연결하는 측면(113a,113b) (114a,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11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노출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윈도우(115)는 케이스의 전면(111a,111b)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115)는 케이스의 전면(111a,111b)에 투명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윈도우(115)는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부본체(110a)의 전면에는 제1윈도우(115a)가 형성되고, 하부본체(110b)에는 제2윈도우(115b)가 형성되며, 제1윈도우(115a)와 제2윈도우(115b)는 서로 연통된다.
제1윈도우(115a)와 제2윈도우(115b)의 연통되는 공간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관통되어 위치된다.
제1윈도우(115a)와 제1윈도우(115)가 연통되는 공간은 힌지부(119)의 축에 인접한 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젤(111)은 윈도우(115)부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베젤(111)은 케이스 내에 위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베젤(111)은 상부본체(110a)에 형성된 제1베젤(111a)과 하부본체(110b)에 형성된 제2베젤(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베젤(111a)과 제2베젤(111b)은 이동 단말기의 열림상태에서 케이스 전면(111a,111b)에서 하나의 폐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즉, 제1베젤(111a)과 제2베젤(111b)의 서로 인접한 일 면이 오픈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flexible display)는 신축성을 가져서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Organic Light Emiting Diode), 플라스틱 LCD(액정 표시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스틱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소위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라 일컫는 전자 잉크 방식 패널(Electronic Ink Panel)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OTFT(유기 박막트랜지스터, Organic Thin Film Transistor)는 물론, 유연성을 지닌 모든 디스플레이 패널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부재에 포함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미도시)는 이에 근거하여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내부에 위치되고, 일측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윈도우(115)를 통해 전면이 노출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테두리는 베젤(111)에 의해 커버된다.
이동 단말기의 열림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전면 테두리와, 베젤(111)의 하면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베젤(111)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를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136)는 베젤(111)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실링부재(136)는 베젤(111)의 하면에 위치되어 베젤(111)의 하면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전면을 실링한다.
예를 들면, 실링부재(136)는 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전면과, 베젤(111), 윈도우(115)와 함께 케이스의 전면(111a,111b)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일부는 상부본체(110a)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하부본체(110b)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상부본체(110a)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부 디스플레이 영역(d1)과, 하부본체(110b)의 전면을 형성하는 하부 디스플레이 영역(d2)과, 상부 디스플레이 영역(d1)과 하부 디스플레이 영역(d2) 사이의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상부 디스플레이 영역(d1)은 제1윈도우(115a)에 위치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하부 디스플레이 영역(d2)은 제2윈도우(115b)에 위치된다.
특히,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은 상부 디스플레이 영역(d1)과 하부 디스플레이 영역(d2)을 연결하고, 힌지부(119)에 인접한 영역이다.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은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를 관통하여 상부 디스플레이 영역(d1)과 하부 디스플레이 영역(d2)을 연결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상부본체(110a) 및 하부본체(110b)와 함께 폴딩된다.
구체적으로,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는 힌지부(119)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폴딩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은 커브를 형성하면 폴딩되게 된다.
따라서,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가 회전되어 이동 단말기가 닫힘 상태가 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이 커브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부 디스플레이 영역(d1)과 하부 디스플레이 영역(d2)이 힌지부(119)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가 닫힘 상태에서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힌지부(119)에 인접한 영역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를 누르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베젤(111) 중 힌지부(119)와 인접한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밀착될 때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부재(130)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130)는 상부본체(110a)의 제1베젤(111a)과 하부본체(110b)의 제2베젤(111b) 사이에 베젤(111)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특히, 완충부재(130)는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이 폴딩되는 경우,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전면이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133a,1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고하면, 탄성 지지부재(133a,133b)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를 케이스에 내면에 밀착되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탄성 지지부재(133a,133b)는 케이스의 배면(112a,112b)에서 케이스의 전면(111a,111b)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전면에 베젤(111)에 밀착되게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탄성 지지부재(133a,133b)는 베젤(111)과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탄성 지지부재(133a,133b)는 힌지부(119)와 상부본체(110a)의 끝단 사이와, 힌지부(119)와 하부본체(110b)의 끝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탄성 지지부재(133a,133b)는 이동 단말기의 열림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를 베젤(111)에 밀착시키고, 닫힘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변형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가 힌지부(119)를 중심으로 폴딩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회전 원점이 존재하지 않아서,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접히게 된다. 이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이 라운드지게 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양단이 힌지부(119)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부 고정부재(140a) 및 하부 고정부재(140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접힐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양단이 힌지부(119)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탄성변형된다.
또한, 상부 고정부재(140a) 및 하부 고정부재(140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부가 펴질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양단이 케이스의 양단(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양단 방향과 평행한 방향)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고정부재(140a)와 하부 고정부재(140b)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를 케이스의 양단으로 잡아 당기게 되므로 인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접힘이나 웨이브 현상 없이 팽팽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부 고정부재(140a)와 하부 고정부재(140b)는 케이스 내부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이동되며, 제자리로 복원될 수 있게 한다.
상부 고정부재(140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일단을 상부본체(110a)와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고정부재(140a)의 일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상부 디스플레이 영역(d1)과 연결되고, 상부 고정부재(140a)의 타단은 상부본체(110a)의 측면 중 힌지부(119)에서 먼 측면(113a)과 연결될 수 있다.
하부 고정부재(140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을 하부본체(110b)와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고정부재(140b)의 일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하부 디스플레이 영역(d2)과 연결되고, 하부 고정부재(140b)의 타단은 하부본체(110b)의 측면 중 힌지부(119)에서 먼 측면(113b)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가이드(116a,11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가이드(116a,116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를 지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폴딩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폴딩되는 형상을 가이드하게 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폴딩되는 과정에서, 상부 고정부재(140a)와 하부 고정부재(140b)에 의한 인력으로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이 휘게 된다. 이때, 상부 고정부재(140a)와 하부 고정부재(140b)가 과도한 힘을 받아 탄성 복원력을 상실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가이드(116a,116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을 폴딩되게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가이드(116a,116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배면 중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을 지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의 곡률을 정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가이드(116a,116b)는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에 각각에 위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가이드(116a,116b)들은 힌지부(119)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가이드(116a,116b)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곡률과 대응되는 커브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이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는 열림상태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웨이브 없이 평평한 상태로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에 위치된다.
이 때, 상부 고정부재(140a)와, 하부 고정부재(140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양단을 외측으로 잡아 당겨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웨이브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탄성 지지부재(133a,133b)에 의해 베젤(111)에 밀착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는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소정의 각도를 가지게 된다.
이때,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에 휨이 발생되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양단이 힌지부(119)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부 고정부재(140a)와 하부 고정부재(140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양단이 힌지부(119)로 이동될 때, 탄성복원력을 제공한게 된다.
또한,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이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전면(111a,111b)과 접촉된다. 이 때, 완충부재(130)는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d3)을 보호하게 된다.
도 8을 참고하면,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가 중첩되어 이동 단말기는 닫힘상태가 된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U" 형태로 휘어지게 되며, 이러한 휨은 디스플레이 가이드(116a,116b)에 의해 정해지게 된다.
물론, 이동 단말기의 열림동작은 상술한 방법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Claims (5)

  1.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와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본체를 포함하여서,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가 폴더 타입으로 동작되는 케이스;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일측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와 함께 폴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을 상기 상부 본체와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상부 고정부재(140a);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을 상기 하부 본체와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하부 고정부재(140b)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고정부재와 하부 고정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폴딩 될 때, 탄성변형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단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전면이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133a) (133b)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케이스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는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를 감싸는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 중 상기 힌지부와 인접한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밀착될 때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부재로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폴딩될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되는 형상을 가이드하는 디스플레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20140110618A 2014-08-25 2014-08-25 이동 단말기 KR101663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618A KR101663517B1 (ko) 2014-08-25 2014-08-25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618A KR101663517B1 (ko) 2014-08-25 2014-08-25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151A true KR20160024151A (ko) 2016-03-04
KR101663517B1 KR101663517B1 (ko) 2016-10-07

Family

ID=5553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618A KR101663517B1 (ko) 2014-08-25 2014-08-25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51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9843A (en) * 2016-03-18 2017-11-01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hinged housing, and corresponding system and methods
US10185367B2 (en) 2017-05-29 2019-01-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90039394A (ko) * 2019-03-24 2019-04-1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
KR102006300B1 (ko) * 2018-12-02 2019-08-0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WO2020101340A1 (en) * 2018-11-16 2020-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WO2020226326A1 (en) * 2019-05-03 2020-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US10838458B1 (en) 2019-05-31 2020-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protection structure
KR20210091799A (ko) * 2019-05-23 2021-07-22 구글 엘엘씨 접이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힌지 기구 및 모드 검출기
WO2023017969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06632A1 (ko) * 2021-12-10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423A (ko) * 2021-01-27 2022-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18107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 구조가 적용된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084A (ko) *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JP2012173893A (ja) * 2011-02-18 2012-09-10 Kyocera Corp 電子機器
JP2013243588A (ja) * 2012-05-22 2013-12-05 Toshiba Corp 電子機器
KR20140077807A (ko) * 2012-12-14 2014-06-24 이유구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084A (ko) *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JP2012173893A (ja) * 2011-02-18 2012-09-10 Kyocera Corp 電子機器
JP2013243588A (ja) * 2012-05-22 2013-12-05 Toshiba Corp 電子機器
KR20140077807A (ko) * 2012-12-14 2014-06-24 이유구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9843A (en) * 2016-03-18 2017-11-01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hinged housing, and corresponding system and methods
US10063677B2 (en) 2016-03-18 2018-08-2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hinged housing,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0185367B2 (en) 2017-05-29 2019-01-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528349B2 (en) 2018-11-16 2022-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CN113015948A (zh) * 2018-11-16 2021-06-22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防水结构的电子设备
WO2020101340A1 (en) * 2018-11-16 2020-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KR20200057236A (ko) * 2018-11-16 202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30127B2 (en) 2018-11-16 2024-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WO2020116869A1 (ko) * 2018-12-02 2020-06-1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102006300B1 (ko) * 2018-12-02 2019-08-0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WO2020197106A1 (ko) * 2019-03-24 2020-10-0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20190039394A (ko) * 2019-03-24 2019-04-1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
US11602058B2 (en) 2019-05-03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KR20230074432A (ko) * 2019-05-03 202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77406B2 (en) 2019-05-03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WO2020226326A1 (en) * 2019-05-03 2020-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KR20210091799A (ko) * 2019-05-23 2021-07-22 구글 엘엘씨 접이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힌지 기구 및 모드 검출기
WO2020242036A1 (en) * 2019-05-31 2020-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protection structure
US10838458B1 (en) 2019-05-31 2020-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protection structure
US11507137B2 (en) 2019-05-31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protection structure
US11755067B2 (en) 2019-05-31 202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protection structure
WO2023017969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06632A1 (ko) * 2021-12-10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517B1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517B1 (ko) 이동 단말기
KR102470945B1 (ko) 이동 단말기
US9690330B2 (en) Mobile terminal
KR102468709B1 (ko) 키 모듈과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키 모듈 조립 방법
KR20160071262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24710A (ko)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EP3187966B1 (en) Mobile terminal
KR20160050698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25374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16153A (ko) 이동 단말기
KR20180138009A (ko) 전자장치
US9137906B2 (en) Mobile terminal
KR20190026024A (ko) 이동 단말기
US10225385B2 (en) Mobile terminal
KR101629267B1 (ko) 슬라이드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170028018A (ko) 이동 단말기
KR101951415B1 (ko) 이동 단말기
KR20180065174A (ko) 단말기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KR101502008B1 (ko) 휴대 단말기
KR101785652B1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60128121A (ko) 이동 단말기
KR101575599B1 (ko) 이동 단말기
KR101592942B1 (ko) 이동단말기
KR101562592B1 (ko) 이동 단말기
KR101727513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