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807A -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 Google Patents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807A
KR20140077807A KR1020130000593A KR20130000593A KR20140077807A KR 20140077807 A KR20140077807 A KR 20140077807A KR 1020130000593 A KR1020130000593 A KR 1020130000593A KR 20130000593 A KR20130000593 A KR 20130000593A KR 20140077807 A KR20140077807 A KR 20140077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display device
hinge
flexible
display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081B1 (ko
Inventor
이유구
노기창
Original Assignee
이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구 filed Critical 이유구
Publication of KR2014007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가요성표시소자; 상기 가요성표시소자 배면에 밀착되어 그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그 중간부에는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평면구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평면마감부와, 휨 구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가요성마감부로 이루어진 보호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접어서 보관 또는 휴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평면으로 펼쳐 놓고 태블릿PC 형태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그 형태를 자유자재로 변형시켜 다양한 형태로 세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은 물론 태블릿PC 등과 같은 모든 휴대용 모바일기기 제품에 접목하여 적용할 경우 휴대 및 보관성이 보다 더 간편해지는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다양한 확장 기능을 갖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제품디자인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Flexible display device hav ing a handheld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휴대용 모바일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요성표시소자를 접어서 보관 또는 휴대하거나, 사용시 평면으로 펼쳐 사용하거나 또는 일정한 굽힘 각도를 유지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스탠드 형태로 세워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모바일기기는 대부분 평면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디자인 형태는 화면표시소자(액정표시장치)가 휘어지지 않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품의 형태가 대부분 플랫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모바일기기 제품 디자인 형태의 고정 관념을 깨뜨릴 수 있는 가요성표시소자(Flexible display)가 개발되어 이를 활용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제품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요성표시소자는 자유자재로 휘어지더라도 표시화면이 선명하게 표시되는 큰 장점이 있지만 표시화면의 내용을 안정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형태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요성표시소자를 평면 상태 또는 일정한 곡률 형태를 유지시킨 상태로 화면 내용을 인식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상황을 보면 가요성표시소자의 휘어지는 장점을 잘 활용한 모바일기기의 제품은 아직까지도 출시되지 않은 상황이다.
그리고, 가요성표시소자가 적용된 제품 개발에 있어서도 평면 형태 또는 일정한 곡률의 휨 형태를 안정적으로 구현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구 장치의 개발 또한 쉽지 않은 것이다.
한편, 종래의 대부분의 휴대용 모바일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힌지수단은 한쪽의 평면디스플레이 또는 한 쌍의 평면디스플레이를 단순히 접거나 한 쪽의 디스플레이를 180도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최근에 개발되어 상용화 예정인 가요성표시소자(유기전계발광소자 일명 "AMOLED")에 대응하여 적용할 수 없는 구성이다.
특히, 가요성표시소자를 휴대용 모바일기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가요성표시소자를 적당한 크기로 휘거나 접어서 그 크기를 축소시켜 보관하거나 휴대하고 다니기에 편리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의 힌지수단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표시소자를 접어서 보관하거나 휴대하고 다닐 수 있거나, 가요성표시소자를 접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힌지수단는 전혀 개발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그와 관련된 적용 기술 또한 구체적으로 제안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가요성표시소자를 장착한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상용화하여 제조할 수 없는 한계가 있어 상용화가 지속적으로 지연되고 있다.
한편, 현재까지 개발된 가요성표시소자는 표시 화면이 왜곡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최소한의 곡률로 접을 수는 있지만 종이와 같이 직각으로 꺽어서 납작하게 접을 수 없는 형태이다.
그리고, 가요성표시소자는 다층의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필름 소재가 갖고 있는 연신율에 따라 최소한으로 휘어질 수 있는 곡률로 접어야만 한다.
하지만 가요성표시소자는 작은 곡률로 접을수록 그만큼 탄성 복원력은 반대로 커지게 되어 다시 펼쳐지기 때문에 가요성표시소자를 접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이와 반대로 가요성표시소자를 평면으로 펼쳤을 때에도 자유자재로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손으로 들고 있거나, 또는 평편한 면 또는 굴곡이 있는 장소에 올려놓았을 때에도 가요성표시소자가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구적인 장치가 함께 수반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아울러, 가요성표시소자를 모바일기기의 디자인 형태에 따라 평면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로 변형시켜 스탠드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가요성표시소자를 일정한 상태로 변형시킨 후 그 변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기구적인 구성을 갖는 힌지수단가 요구되지만 이처럼 가요성표시소자를 일정한 형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힌지 구성 또한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 이후로 개발되어 각광을 받고 있는 차세대 가요성표시소자가 적용된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유자재로 휘어지는 가요성표시소자가 적용된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접어서 보관 또는 휴대하거나, 사용시 평면으로 펼쳐 사용하거나 또는 일정한 굽힘 각도를 유지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스탠드 형태로 세워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 목적에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는
가요성표시소자; 상기 가요성표시소자 배면에 밀착되어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중간부에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를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휨 구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가요성마감부와, 상기 가요성마감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평면구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평면마감부로 이루어진 보호케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마감부는 배면마감부와 측면마감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호케이스 일측에는 상기 평면구간 면적과 동일 하거나 또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 화면 크기의 1/2 크기를 갖는 제2의화면표시소자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호케이스 일측 단부에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를 접었을 때 그 외측 개방 단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보호케이스의 가장자리 단부로 부터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체결돌기를 가진 가요성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체결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보호케이스의 외곽 크기가 가요성표시소자 외곽 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져서 그 가장자리에 상기 휨 구간으로부터 시작하여 외측으로 잠금이 시작되도록 구비되는 지퍼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호케이스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거나, 고주파 또는 초음파 융착이 가능한 원단 또는 표면에 핫멜트 처리된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면 마감부는 두께가 얇은 연질의 시트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마감부는 사각 또는 원형 또는 반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평면구간에 양단부가 조립되고, 그 중간부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에 대응되는 직선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와 함께 평면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력과,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 플렉시블힌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을 제외한 평면구간 영역을 감싸면서 그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상기 가요성표시소자가 평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면에 조립되는 두께가 얇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플렉시블힌지수단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를 전체적으로 평면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직선 방향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그 중간부는 가요성을 가진 판 형상의 평면유지힌지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플렉시블힌지수단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에서 일정한 크기의 원형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가요성을 연결구조를 갖는 곡면유지힌지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플렉시블힌지수단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를 전체적으로 평면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직선 방향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그 중간부는 가요성을 가진 판 형상의 평면유지힌지부재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에서 일정한 크기의 원형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가요성을 연결구조를 갖는 곡면유지힌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와 곡면유지힌지부재는 서로 병렬로 배열되어 그 양단부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을 제외한 직선구간에 조립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 영역을 감싸면서 그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상기 가요성표시소자가 평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면에 조립되는 두께가 얇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 내측 단부에 상기 플렉시블힌지수단의 양단부가 조립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는 가요성표시소자를 평면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두께가 얇은 금속 판재로 이루어져 탄성 및 가요성을 가진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스프링의 양단부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서 배면에 조립되며; 그 중간부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에 대응되는 직선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판스프링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어 그 내측면이 길이방향으로 만곡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판스프링의 휨 구간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에는 오목홈부가 형성되어 휨 작용에 대해 가용성을 높이면서 휨 구간 부위가 균일한 곡률로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오목홈부는 라운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곡면유지힌지부재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을 곡면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휨 구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중간부에는 일측면에 힌지구멍을 가진 힌지보스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힌지구멍을 가진 힌지홈부가 각각 형성된 다수의 연결링크가 구비되어 이 연결링크들은 상기 힌지보스가 상기 힌지홈부에 끼워진 후 힌지핀으로 서로 결합되어 관절링크; 를 구성하고, 상기 관절링크의 양단부에는 각각의 내측면에 상기 힌지보스와 상기 힌지홈부가 형성되어 힌지핀으로 서로 힌지 조립되는 한 쌍의 고정링크; 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링크의 외측단부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서 배면에 조립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절링크와 상기 고정링크의 각 힌지부에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가 평면 상태를 유지하거나, 평면 상태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굴곡되어 반으로 접히거나 또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힌지보스의 힌지구멍에 인접하여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각도설정홈과; 상기 각도설정홈과 통하도록 다른 연결링크 및 고정링크에 구비된 상기 힌지홈부 힌지구멍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조립구멍에 장착되어 그 내측 단부가 상기 각도설정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고, 외측단부는 상기 힌지핀의 헤드부에 접촉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스토퍼; 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는 그 단부가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외향 탄발되는 볼플랜저 또는 포고핀으로 이루어지며, 각 외측단부는 힌지핀의 헤드부 내측면에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각도설정홈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가 평면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평각설정홈과; 반으로 굽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접힘각설정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각도설정홈은 상기 평각설정홈과 접힘각설정홈 구간 사이에서 평면 상태의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표시화면을 내측으로 굽혀서 예각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하는 예각설정홈과;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표시화면을 외측으로 굽혀서 둔각 범위내에서 유지하도록 하는 둔각설정홈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힌지홈부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힌지보스의 양측으로 상기 힌지보스의 외측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된 원호형 곡면부에 인입되게 형성되어 휨 정도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와 선택적으로 걸려 가요성표시소자의 굽힘 또는 펼침 각도를 제한하는 복수의 걸림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표시소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의하여 평면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평각모드와; 반으로 굽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접힘각모드로 변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표시소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의하여 상기 평각모드 및 접힘각모드 구간 사이에서 평면 상태의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표시화면을 내측으로 굽혀서 예각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하는 예각모드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표시화면을 외측으로 굽혀서 둔각 범위내에서 유지하도록 하는 둔각모드로 변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표시소자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휘거나 평면으로 펼치는 과정에서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 및 곡면유지힌지부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내측으로 당겨지거나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요성표시소자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플렉시블힌지수단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플렉시블 힌지수단의 외측 단부와 일측단부가 조립되고, 타측단부에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에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끼워지는 가이드핀을 가진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동판의 내측 단부 중앙에는 상기 곡면유지힌지부재의 외측단부가 조립되고, 상기 곡면유지힌지부재의 양측에는 한 쌍의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가 배치되어 그 외측단부가 상기 가동판 내부로 각각 인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가동판의 외측 단부 중앙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와 조립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 양측으로 한 쌍의 상기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 내측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핀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이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외측단부가 상기 가동판 내부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양측 단부는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동판의 내부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 사이에는 상기 곡면유지힌지부재가 위치되어 그 양단부가 상기 가동판에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평면으로 펼쳐 놓거나 또는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스탠드 형태로 세워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자유자재로 가요성표시소자를 변형시켜서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기기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은 물론 태블릿PC의 기능을 모두 갖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러 가지 형태의 휴대용 모바일기기 제품에 접목하여 적용할 경우 휴대 및 보관성이 보다 더욱 간편해지고 제품의 디자인을 고급화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편의성을 갖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가진 확장성이 높은 휴대용 모바일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은 다양한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도 1(a)내지(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일 실시예로서 접힌상태와 펼친상태의 사시도들과 정면도.
도 2(a)내지(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접힌상태와 펼친상태의 사시도들과 정면도.
도 3(a)내지(c)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힌지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4(a)내지(d)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힌지수단의 평면유지힌지부재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들.
도 5(a)내지(c)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힌지수단의 곡면유지힌지부재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와 정면도들.
도 6(a)및(b)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힌지수단의 평면 및 곡면유지힌지부재의 조합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들.
도 7(a)내지(c)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힌지수단의 지지프레임 및 보호케이스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와 정면도들.
도 8(a)내지(c)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힌지수단의 곡면유지힌지부재와 각도유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들.
도 9(a)내지(c)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힌지수단의 평면 및 곡면유지힌지부재의 조합된 구성과 지지프레임과의 조립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와 정단면도들.
도 10(a),(b)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유지힌지부재의 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도 11 본 발명에 따른 평면 및 곡면유지힌지부재와 지지프레임 및 슬라이드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a),(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힌지수단이 적용된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유지 상태의 분해사시도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힌지수단이 적용된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곡면유지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14 및 도 15(a),(b)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힌지수단이 적용된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곡면 또는 평면유지 상태의 정면도들.
도 16(a),(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힌지수단이 예각모드로 변형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도 17(a),(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힌지수단이 둔각모드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도 18(a)내지(c)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힌지수단이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조작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들.
도 19(a)내지(d)는 본 발명 플렉시블 힌지수단의 평면유지와 곡면유지를 위한 제한홈 및 제한돌기를 나타낸 요부확대 정면도들.
도 20(a)내지(d)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힌지수단의 각도유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 및 곡면 유지상태의 정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태블릿피씨와 스마트폰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모바일기기에 모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a)내지(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일 실시예로서 접힌상태와 펼친상태의 사시도들과 정면도이고, 도 2(a)내지(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접힌상태와 펼친상태의 사시도들과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9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휴대용 모바일기기(900)는 가요성표시소자(flexible Disp lay;10) 와 보호케이스(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는 유기전계발광패널(organic electrolumines cence panel, 有機電界發光)로서현재 개발되어 상용화 중인 것으로는 예를들어 일명 'AMOLED'라고 하는 가요성표시소자(10) 소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요성표시소자(10)는 주지된 바와 같이 2차원 평면 형태로 자유자재로 휘어질 수 있도록 다층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제품 적용 사양에 따라 그 표면에 터치 패널의 구성이 더 적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두루말이형 또는 모서리가 라운드형태로 이루어진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과, 다이어리 또는 책, 노트와 같은 형태로 디자인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케이스는(20) 가요성표시소자(10)의 휨 또는 평면 변형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가요성표시소자(10)의 배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되, 그 일부 구간이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곡률에 대응하여 변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태블릿 피씨 형태와 같이 가요성표시소자(10)를 평면형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1/2(절반) 또는 1/3비율(3단)로 접어서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여 보호케이스(600)가 구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한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 및 보호케이스(600)에는 보호케이스(600)의 휨 구간에 조립되어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변형된 곡률부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적인 구성이다.
먼저,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900)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케이스(600)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가요성표시소자(10)의 배면에 밀착되어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를 2차원 평면적인 곡률로 휘게 할 수 있으면서 그 외관이 미려하도록 다양한 소재가 적용되어 이루어져서 가요성표시소자(10) 배면 전체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호케이스 중간부에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를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휨 구간을 감싸도록 가요성마감부(620)가 구비되고, 상기 가요성마감부(620) 양측에는 가요성표시소자(10)의 평면구간을 감싸도록 평면마감부(61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호케이스(600)는 측면 마감부를 제외한 전체적인 구성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거나, 고주파 또는 초음파 융착이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고품격의 디자인을 갖는 다이어리 또는 책과 같은 느낌으로 반으로 접을 수 있는 휴대용 모바일기기(900)를 디자인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어 현재까지 단순히 사각형상의 평면 형태를 이루던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품디자인에 혁신의 바람을 일으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케이스(6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거나, 고주파 또는 초음파 융착이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케이스(600)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평면구간을 감싸는 평면마감부(610)와, 상기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을 감싸는 가요성마감부(6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마감부(610)는 상기 휨구간 이외의 평면구간(F)을 감싸기 위한 구성이므로 판형의 합성수지(사출물) 또는 금속 케이싱(알루미늄 가공물)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요성마감부(620)는 휨구간을 감싸면서 평면유지힌지부재(200)와 곡면유지힌지부재(300)와 함께 휘어지는 부분이므로 주로 연신율이 매우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진 배면마감부(621)와 측면마감부(62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배면마감부(621)는 보호케이스(600)와 일체형 또는 서로 다른 재질이나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원단 또는 시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측면마감부(622)는 직경이 작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단면을 가지며, 지지프레임(20)과 함께 조립식 또는 인써트 성형식으로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휨과 펼쳐짐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더라도 파손 또는 변형이 되지 않도록 실리콘 또는 PVC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언하면 보호케이스(600)는 원단 또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휨 구간(C)에서 휘어지더라도 두께가 얇은 구성이므로 플렉시블 힌지와 함께 휘어질 수 있다.
하지만 휨구간(C)의 측면마감부(622)는 가요성표시소자(10)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해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측면마감부(622)를 별도의 연신율이 높은 재질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반복적인 휨 작동에도 파손이나 변형이 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보호케이스(600) 일측 단부에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를 반으로 접었을 때 그 외측단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수단(700)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700)은 도 19(a) 및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케이스(600)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대략 끝단부에 체결돌기(720)를 가진 가요성체결편(71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가요성체결편(710)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케이스(600)의 배면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체결홈(7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700)은 스냅단추(똑딱이 체결방식) 또는 자석 부착식 스냅단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외에도 상기 가요성체결편(710)의 단부와 보호케이스(600)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가요성표시소자(10)가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700)은 도 20(a) 및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케이스(600)의 외곽 크기가 가요성표시소자(10) 외곽 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져서 그 가장자리에 상기 휨 구간으로부터 시작하여 외측으로 잠금이 시작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드화스너(74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요성체결편(710)는 지퍼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후술된 각도조절부재(400) 등의 구성이 없는 평면유지힌지부재(200)와 곡면유지힌지부재(300)의 단순 조합의 구성에 의하여 가요성표시소자(10)를 펼쳐놓을 때 펼쳐진 상태는 평면유지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그 접힘 상태를 고정수단(700)이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호케이스(600) 외측면 일측에는 상기 평면구간 면적과 동일 하거나 또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 화면 크기의 1/2 크기를 갖는 제2의화면표시소자(80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2의화면표시소자(800)는 가요성표시소자(10)로 구성할 수 있으며, 기존의 액정디스플레이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제품의 디자인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2의화면표시소자(800)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는 평면 상태 또는 곡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이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상기 보호케이스의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또 다른 큰 특징이다.
도 3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가요성표시소자(10)를 전술한 보호케이스와 함께 평면 또는 곡면형태로 변형시키고 그 변형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는 그 중간을 휨구간(C)이라 하고, 휨구간의 양측을 평면구간(F)이라 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가요성표시소자(10)를 평면 상태 또는 곡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을 구비하는 것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적인 구성인 것이다.
상기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은 주로 슬림한 형태를 이루는 가요성표시소자(10)에 적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주로 평면을 이루는 가요성표시소자(10)에 대응하도록 두께가 슬림하고 일정한 폭을 가지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양측에는 가요성표시소자(10) 배면에 조립될 수 있는 고정부(10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배면에 상기 고정부(101)에 의해 장착되어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가요성표시소자(10)를 일정한 곡률로 굽혀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그 중간부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휨 구간에 대응되는 직선 길이로 이루어지며, 그 휨 구간을 제외한 직선구간에 고정부(101)가 각각 조립되어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 고정부(101)는 가요성표시소자(10)의 배면에 직접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고, 후술된 바와 같이 가요성표시소자(10)의 배면의 평면구간에 조립되는 지지프레임(20)과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며, 지지프레임(20)의 외측으로 후술된 보호케이스(600)가 더 구비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보호케이스(600)의 휨 구간에는 가요성을 갖는 재질이나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은 휴대용 모바일기기(900)의 제품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와 함께 평면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력과,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점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이다.
부언하면 가요성표시소자(10)는 자체적으로 형상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 수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가요성표시소자(10)를 평면 형태로 유지시켜 사용하거나 일정한 형상의 곡면 형태를 유지시켜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기구적인 구성이 뒤따르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은 가요성표시소자(10)를 평면 상태 또는 곡면 상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유지시켜주거나 또는 곡면 상태와 평면상태를 반복하여 변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요성표시소자(10)를 평면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력과 부가적으로 가요성표시소자(10)의 휨구간에 대응하여 가요성을 동시에 갖는 평면유지힌지부재(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표시소자(10)를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과 일정한 곡면 형태를 유지하기 휨 각도 유지구성을 포함하는 곡면유지힌지부재(300)로 구성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평면유지힌지부재(200)와 곡면유지힌지부재(300)의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가요성표시소자(10)의 휨 구간 또는 휨 각도라 함은 가요성표시소자(10)를 반으로 접었을 때 그 접힌 부위가 일정한 곡률(반지름 값)로 굽어질 수 있는 영역과 그 정도 또는 휘어진 상태를 말하며, 특히 휨 각도는 반지름 값이 작거나 큰 곡률로 휘어진 정도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특히 평면유지힌지부재(200)는 직선 방향으로 그 형태를 유지하려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요성표시소자(10)가 평면상태일 때 가요성표시소자(10)가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스스로 굽혀지지 않고 평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평면유지힌지부재(200)의 휨 구간 부위는 곡면힌지부재와 함께 가요성표시소자(10)를 인위적으로 굽혀서 접거나 변형을 시킬 때 그 휨 구간에 대응하여 가요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200)와 곡면유지힌지부재(300)로 구성되는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은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기기 관련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소형 크기의 표시화면을 갖는 태블릿PC에 적용하는 경우, 도 3 및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힌지수단를 가요성표시소자(10)의 중간 부위에 적용하면 태블릿PC를 반으로 접어 크기를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또는 보관하기 용이하다.
그리고, 평면으로 펼쳐 사용하는 경우 가요성표시소자(10)의 전체 화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반으로 예각(45도 또는 60도)으로 접거나 둔각(135도)으로 접을 경우 스탠드형으로 세워서 화면 분할 기능을 통하여 태블릿 PC화면을 다양한 형태로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태블릿 PC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 PC를 반으로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 그 일측면에 제2의 표시화면을 구비하는 경우에 접었을 때는 제2표시화면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펼쳤을 때는 태블릿PC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확성을 갖는 휴대용 모바일기기(900) 제품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을 가요성표시소자(10)가 구비된 휴대용 모바일기기(900)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가요성표시소자(10) 표시화면의 정중앙 지점 또는 1/3 지점에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용 모바일기기(9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공간을 활용하도록 하고, 일정한 각도로 접을 경우에는 화면 분할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화면으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모바일기기(900) 제품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태블릿 PC와 같은 제품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가요성표시소자(10)를 태블릿 PC로 사용하다가 일정한 각도로 접은 상태에서 한쪽 화면은 키패드로 사용하고, 다른 쪽 화면은 표시화면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의 접힘 또는 펼침 상태를 감지하거나 또는 가요성표시소자(10) 장치의 화면 방향의 전환을 자이로 센서 등을 적용하게 되면 가요성표시소자(10)의 방향 전환 상태에 따라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에 맞는 표시화면을 자동적으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형태의 UI(User Interface)를 갖는 휴대용 모바일기기(900)를 구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은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색다른 형태의 가요성표시소자(10)가 적용된 휴대용 모바일기기(900) 제품을 디자인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 본 발명의 평면유지힌지부재(200)와 곡면유지힌지부재(300)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200)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를 전체적으로 평면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직선 방향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그 중간부는 가요성을 가진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평면유지힌지부재(200)를 단독적으로 가요성표시소자(10)에 장착하므로서 가요성표시소자(10)를 휘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참고로 반으로 접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 또는 가요성체결편(710)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700)에 의해 벌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곡면유지힌지부재(300)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휨 구간에서 일정한 크기의 원형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가요성을 연결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곡면유지힌지부재(300)를 단독적으로 가요성표시소자(1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가요성표시소자(10)를 휘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참고로 반으로 접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인 연결 구조의 각도조절 유지부재를 이용하여 상기한 고정수단(700) 없이도 곡면유지힌지부재(300) 자체적으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시켜 벌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200)와 곡면유지힌지부재(300)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병렬 형태로 배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평면유지힌지부재(200)를 한 쌍 구비하여 간격을 유지하여 구성하고 그 사이에 곡면유지힌지부재(300)를 배치함으로서 안정적으로 가요성표시소자(10)를 휘거나 직선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평면유지힌지부재(200)를 중앙에 배치하고 그 양측으로 곡면유지힌지부재(300)가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병렬 배치형태와 그 수량은 가요성표시소자(10)의 화면 크기와 휨 구간(C) 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휨 구간에는 평면유지힌지부재(200) 및 곡면유지힌지부재(300)의 사이에는 통로(102)를 확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회로 연결용 플렉시블케이블 등이 지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평면유지힌지부재(200)와 곡면유지힌지부재(300)는 그 양단부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휨 구간을 제외한 직선구간에 조립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휨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 영역을 감싸면서 그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가 평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면에 조립되는 두께가 얇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20);이 더 구비되고, 이러한 지지프레임(20)의 각 내측 단부에 평면유지힌지부재(200)와 곡면유지힌지부재(300)의 고정부(101)가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은 가요성표시소자(10)의 평면 구간의 배면에 조립되어 구성됨으로써 가요성표시소자(10)를 접거나 펼칠 때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변형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 되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이캐스팅 성형되어 구성되거나, NC 등의 자동기계에 의해 지지프레임(20)을 가공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에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측에는 휴대용 모바일기기(900)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회로기판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며, 타측 지지프레임(20)에는 배터리 장착부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그 표면으로부터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무선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이 함께 구현되는 경우에는 각종 무선통신 모듈 등이 지지프레임(20)에 적절히 배치되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200)는 가요성표시소자(10)를 평면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도 4(a) 내지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금속 판재로 이루어져 탄성 및 가요성을 가진 판스프링(20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스프링(201)의 양단부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휨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서 배면에 조립되며; 그 중간부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휨 구간에 대응되는 직선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의 재질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재질의 경우 금속판에 프레스 가공 후 열처리를 하여 탄성을 부여하거나 스프링강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표면의 산화 방치를 위해 도금 처리와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판스프링(201)을 합성수지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사출 성형 후 연신율 및 직선형태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이 양호하고 질긴 재질 예를 들어 PE 또는 PP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무는 탄력성이 높은 바이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절한 점성을 가져 탄성력을 보장할 수 있는 실리콘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수지나 고무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201)의 경우 내부에 탄성력을 갖는 판형 또는 와이어 형태의 금속재질을 인써트하여 함께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판스프링(201)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어 그 내측면이 길이방향으로 만곡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판스프링(201)이 일반적인 평면 상태를 유지하는 것보다 직선 상태를 유지하려는 작용이 더욱 크게 작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201)의 휨 구간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에는 오목홈부(202)가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오목홈부(202)는 판스프링(201)이 직선 형태에서 구부러질 때 그 굽힘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가 직각으로 접히면서 옆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판스프링(201)과 인접되는 다른 부품과 휨 작동시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양측으로 돌출되는 길이 만큼 오목홈부(202)를 형성함으로써 판 스프링이 휨 작동시 굽혀지면서 양측이 돌출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휨 작용에 대해 가요성을 높이면서 휨 구간 부위가 균일한 곡률로 휘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오목홈부(202)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4(a) 내재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스프링(201)은 가요성표시소자(10) 화면 크기에 따라 휨 구간(C)에 작은 크기에는 한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큰 화면의 경우에는 한 쌍으로 구성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b)와 같이 한 쌍의 판스프링(201)은 서로 연결부(203)에 의해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부(203)는 지지프레임(20) 내측단부에 단순 조립되거나 인써트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인써트 조립의 경우는 판스프링(201)의 양단부와 연결부(203)를 내부로 인입되게 조립한다는 것이며, 사출 성형의 경우 판스프링(201)을 금형에 인써트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곡면유지힌지부재(300)는 도 5(a)내지(c)와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휨 구간을 곡면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체인과 유사한 다수의 단위 링크가 핀으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연결 형태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즉, 전체적인 길이는 가요성표시소자(10)의 휨 구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중간부에는 일측에는 힌지구멍(301)을 가진 힌지보스(302)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힌지구멍(303)을 가진 힌지홈부(304)가 각각 형성된 다수의 연결링크(31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연결링크(310)들은 상기 힌지보스(302)가 상기 힌지홈부(304)에 끼워진 후 힌지핀(320)으로 서로 힌지 결합되어 휨 구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어셈블리 형태의 관절링크(330)를 구성하게 되므로서 관절링크(330)는 가요성표시소자(10)와 함께 자유자재로 휘어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절링크(330)의 양단부에는 각각의 내측면에 상기 힌지보스(302)와 상기 힌지홈부(304)가 형성되어 힌지핀(320)으로 서로 힌지 조립되는 한 쌍의 고정링크(340); 가 구비된 구성이다.
상기 고정링크(340)의 외측단부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휨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서 배면에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에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프레임(20) 내측단부에는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의 고정부(101)가 인입되어 조립되기 위한 안착부(22)가 형성되며, 이 안착부(22)에는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돌기(2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유지힌지부재(200) 및 곡면유지힌부재의 외측단부에는 조립돌기(21)에 끼워지는 조립홈(341)이 형성되어 이들의 조립에 의해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의 조립체가 지지프레임(20)에 조립되므로서 지지프레임(20)이 평면구간(F)을 형성하고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이 휨구간(C)을 형성하게 된다.
전술한 고정링크(340)는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의 고정부(101)가 되는 것이며, 이 고정링크(340) 중앙에는 조립홈(341)이 형성되어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20)의 안착부(22)에 안착되어 조립돌기(21) 및 조립홈(341)이 결합되므로서 서로 하나의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요성표시소자(10)는 지지프레임(20)에 테두리부가 지지되고 고정되므로서 하나의 휴대용 모바일기기(900)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가요성표시소자(10)를 반으로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절링크(330)와 상기 고정링크(340)의 각 힌지부에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가 평면 상태를 유지하거나, 평면 상태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굴곡되어 반으로 접히거나 또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40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4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겠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곡면유지힌지부재(300)의 연결링크(310) 간의 접촉부위 즉, 회전 힌지점 부위에 구비되어 연결링크(310)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다수의 연결링크(310)가 일정한 각도로 꺽이게 되면서 관절링크(330)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곡률을 갖으면서 휘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며 이러한 각도조절부재(400)는 본 발명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에 있어서 중요한 구성중 하나이다.
이러한 각도조절부재(400)는 도 8(b)와 도 8(c)와 같이 상기 힌지보스(302)의 힌지구멍(301)에 인접하여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각도설정홈(4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설정홈(410)과 통하도록 다른 연결링크(310) 및 고정링크(340)에 구비된 상기 힌지홈부(304)의 힌지구멍(301)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조립구멍(420)에 장착되어 그 내측 단부가 상기 각도설정홈(410)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고, 외측단부는 상기 힌지핀(320)의 헤드부(321)에 접촉되게 조립되어 외측으로 이탈이 방지되는 스토퍼(430);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430)는 도 8(c)와 같이 그 단부가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외향 탄발되는 볼 플랜저 또는 포고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도설정홈(410)에 끼워진 후 그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는 외측단부는 힌지핀(320)이 끼워진 뒤 그 헤드부(321) 내측면에 지지되므로서 스토퍼(430)가 외측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볼 플렌저 또는 포고핀의 구성은 단부로부터 각도설정홈(410)에 끼워지는 걸림볼(31)과 걸림볼(431)을 외향 탄발시키는 코일스프링(432) 및 코일스프링(432)을 지지하는 지지핀(433)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도설정홈(410)은 도 19(a) 내지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가 평면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평각설정홈(411)과; 반으로 굽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접힘각설정홈(4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평각설정홈(411)은 도 15(a) 및 15(b)와 같이 가요성표시소자(10)를 180도 각도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지 위한 것이며, 접힘각설정홈(412)은 도 16(b)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반으로 접어 그 외측단부가 서로 맞닿으면서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이때 휨구간(C)은 일정한 곡률로 휘어진 상태이다.
또한, 가요성표시소자(10)를 반으로 접지 않는 경우에는 힌지핀(320)을 중심으로 연결링크(310)가 회전되는 반경 궤도에 복수의 각도설정홈(410)이 형성됨으로써 도 10 및 도 16와 도 17와 같이 일정한 곡률을 유지하며 휘어질 수 있는 것이며, 각도설정홈(410)에 스토퍼(430)가 단부(걸림볼;431)가 각도설정홈(410)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8(c)와 같이 휘어진 상태에서 후술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가요성표시소자(10) 일측에서 지지프레임 상에 마련되는 조작부(K)를 노출시켜 보호케이스(600) 외부에 구비되는 제2의화면표시소자(800)을 통해 스마트폰과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각도설정홈(4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평각설정홈(411)과 접힘각설정홈(412) 구간 사이에서 평면 상태의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표시화면을 내측으로 굽혀서 예각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하는 예각설정홈(413)과;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를 외측으로 굽혀서 둔각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하는 둔각설정홈(414)을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도 16(a) 및 도 16(b)와 같이 가요성표시소자(10)를 평면 상태에서 내측으로 접으면 예각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표시화면의 내용을 보기에 용이한 각도 예를 들면 30도, 45도 또는 60도로 가요성표시소자(10)를 다양한 각도로 설정하여 그 각도에 맞는 상태에서 휴대용 모바일기기(9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디자인 형태의 제품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17(a) 및 도 17(b)와 같이 가요성표시소자(10)를 평면 상태에서 외측으로 접어 둔각의 범위 내에서 표시 각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두 명의 사용자가 표시화면의 내용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각각 분할하여 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각도조절부재(400)는 도 20(a) 내지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홈부(304)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돌기(440)와; 상기 힌지보스(302)의 양측으로 상기 힌지보스(302)의 외측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된 원호형 곡면부(305)에 인입되게 형성되어 휨 정도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440)와 선택적으로 걸려 가요성표시소자(10)의 굽힘 또는 펼침 각도를 제한하는 복수의 걸림홈(4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각도설정홈(410)과 스토퍼(430)의 구성보다 단순한 구성의 각도조절부재(40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440)와 걸림홈(450)의 구성은 비교적 화면 사이즈가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성하는 경우 스토퍼(430) 및 각도설정홈(410)의 구성보다 전체적인 휴대용 모바일기기(900)의 두께를 더욱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고, 볼플렌저 또는 포고핀 등의 부품이 없는 구성이므로 제품 전체적인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0(a)는 가요성표시소자(10)가 평면 상태일 때의 걸림돌기(440)와 걸림홈(45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8(b)는 일정한 곡률로 휘어졌을 때 걸림돌기(440)와 걸림홈(45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링크(310)의 힌지보스(302) 및 힌지홈부(304)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440)와 걸림홈(450)의 구성은 사출 성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일체형으로 성형이 가능하므로 스토퍼(430)를 별도로 조립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며, 부품 단가로 저렴해져 전반적인 제조단가가 저렴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는 각도조절부재(400)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이 적용된 휴대용 모바일기기(9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평각모드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으로 굽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접힘각모드로 변형시킬 수 있는 휴대용 모바일기기(900) 제품을 구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는 상기 각도조절부재(400)에 의하여 상기 평각모드 및 접힘각모드 구간 사이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태의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표시화면을 내측으로 굽혀서 예각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하는 예각모드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의 표시화면을 외측으로 굽혀서 둔각 범위내에서 유지하도록 하는 둔각모드로 변형시킬 수 있는 가요성표시소자(10) 제품을 구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20)과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10)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휘거나 평면으로 펼치는 과정에서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200) 및 곡면유지힌지부재(30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해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재(50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구성중 또 하나의 특징이다.
즉,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500)의 내측단부가 상기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의 외측 단부와 조립되고, 슬라이드부재(500)의 외측단부는 지지프레임(20)의 내측단부와 다시 조립되는데, 이는 평면유지힌지부재(200) 및 곡면유지힌지부재(300)의 외측단부와 슬라이드부재(500)의 내측단부 연결된 후 다시 그 외측단부가 지지프레임(20)의 내측단부에 조립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평면유지힌지부재(200) 및 곡면유지힌지부재(300) 타측 단부에 조립되며,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511)이 형성된 가동판(510)과, 상기 가동판(510)에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어 상기 가이드홀(511)에 끼워지는 가이드핀(521)을 가진 고정판(5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판(520)은 지지프레임(20)과 수평 방향의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플렉시블 힌지수단(100)의 고정부(101)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판(510)의 내측 단부 중앙에는 상기 곡면유지힌지부재(300)의 외측단부가 조립되고, 상기 곡면유지힌지부재(30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200)가 배치되므로서 그 외측단부가 상기 가동판(510) 내부로 각각 인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을 의미하며, 이 판스프링(201)의 단부가 가동판(510)을 구성할 때 인써트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판(510)의 외측 단부 중앙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에 형성되는 조립돌기(21)와 조립되는 조립홈(3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립홈(341) 양측으로 한 쌍의 상기 가이드홀(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520) 내측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홀(511)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핀홀(522)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521)이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200)는 외측단부가 상기 가동판(510) 내부에 인입되게 고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유지힌지부재(200)는 가동판(510)과 함께 인써트 성형되거나 별도로 조립되는 경우에는 끼움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빠지지 않도록 통상의 걸림식 조립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200)는 도 4(b)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양측 단부는 연결부(203)에 의해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203)는 상기 가동판(510)의 내부에 인입 고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평면유지힌지부재(200) 사이에는 상기 곡면유지힌지부재(300)가 위치되어 그 양단부가 상기 가동판(510)에 함께 조립되어 고정되어 구성되므로서 보다 더 안정적인 휨 동작과 펼침 동작을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9(a) 내지 도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힌지보스(302)의 외면에 제한돌기(306)가 형성되고, 힌지보스접촉면(308)에 제한홈(307)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한돌기(306)는 힌지보스의 외주면에서 삼각형 또는 반원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한홈(307)은 상기 제한돌기(306)의 형상과 대응되어 형성되며, 제한홈(307)의 형성 위치는 곡면유지힌지부재(300)가 평면일 때와 반으로 접힌 곡면상태일 때 그리고, 평면 상태에서 둔각으로 접힌 상태 그리고, 30도 45도 60도 등 예각 범위 내에서 형성되므로서 휴대용 모바일기기(900)를 여러 가지 각도로 굽히거나 절곡시켜 다양한 형태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힌지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가요성표시소자(10)는 평면유지힌지부재(200)에 의해 평면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유지힌지부재(200)는 판스프링(201)으로 직선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이루어져 있고, 휘어지는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가요성표시소자(10)는 평면상태를 유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태블릿 PC에 적용한 경우 화면을 터치하거나 한쪽손으로 들더라도 가요성표시소자(10)는 평면유지힌지부재(200) 및 각도조절부재(400)의 각도설정홈(410)과 스토퍼(430)의 체결력에 의해 평면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태블릿 PC와 같이 대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보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태블릿PC를 사용한 후 반으로 접거나 또는 후술된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600) 외측으로 제2의화면표시소자(800)가 있어 스마트폰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모바일기기(900)를 반으로 접게 된다.
사용자는 평면구간(F)를 양손으로 잡고서 그 중간의 휨구간을 중심으로 접게되는데, 본 발명은 휨구간(C)에 구비되어 있는 곡면유지힌지부재(300)에 의해 일정한 곡률로 자연스럽게 휘어지게 된다.
이때, 곡면유지힌지부재(300)가 일정한 곡률로 휘어지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슬라이드 부재 구성에 의하면 그 가동판(510)이 고정판(520)에 대해 긴 홈 형상의 가이드홀(511) 구간 내에서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곡면유지힌지부재(300)의 한쪽 고정판(520)은 가요성표시소자 (10)와 함께 회전되고, 곡면유지부재의 연결링크(310)는 서로 각도조절부재(400)의 각도설정홈(410)과 스토퍼(430)의 끼움 작용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로 힌지핀(320)을 중심으로 꺽이게 된다.
결국, 관절링크(330)는 일정한 곡률로 휘어짐과 동시에 외측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므로서 평면유지부재 및 가요성표시소자(10)와 함께 일정한 곡률을 유지하여 휘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곡면유지힌지부재(300)는 각도조절부재(400)에 의하여 휘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지지프레임(20) 외측으로 시트 또는 원단 형태로 씌워지는 보호케이스(600)의 휨 구간의 표면으로 곡면유지힌지부재(300)가 돌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9(a) 및 도 19(b)와 같이 힌지보스와 힌지보스 접촉면(308) 사이에 형성된 제한돌기(306)와 제한홈(307)에 의하여 곡면유지힌지부재(300)는 더 이상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가요성표시소자(10)는 반으로 접어 작은 크기로 축소되어 보관이나 휴대가 간편해지는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평면상태로 펼쳐지게 되면 내측으로 이동되어 있던 가동판(510)이 다시 가이드홀(511)에 의해 안내되어 고정판(520)은 회전됨과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되어 있던 가동판(510)과 밀착된다.
이후 가요성표시소자(10)가 거의 평면 상태가 되면 평면유지힌지부재(200)의 탄성력에 의하여 평면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며, 이때 각도조절부재(400)의 각도설정홈(410)과 스토퍼(430)의 끼움 작용에 의하여 가요성표시소자(10)는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9(c) 및 도 19(d)와 같이 힌지보스와 힌지보스 접촉면(308) 사이에 형성된 제한돌기(306)와 제한홈(307)과 평면유지힌지부재(200)의 작용에 의하여 곡면유지힌지부재(300)는 평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완전히 펼쳤을 때에는 태블릿 PC와 같이 넓은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 사용한 후에는 반으로 접어 크기를 작게 하면 스마트폰 정도의 크기로 축소되므로 제2의화면표시소자(800)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900)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900)를 필요에 따라 1/3 비율로 접어서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여 보호케이스(600)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외에도 곡면유지힌지수단의 연결링크(310)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고 이들의 힌지 접힘각을 다르게 설정하는 경우 두루말이식으로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900)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태블릿 PC이외에도 본 발명의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900)는 가요성표시소자(10)가 적용되는 모든 휴대용 모바일기기 제품에 대하여 평면유지힌지부재(200)와 곡면유지힌지부재(300)의 조합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갖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가요성표시소자 20 : 지지프레임
21 : (지지프레임의)조립돌기 22 : 안착부
100 : 플렉시블 힌지수단 101 : 고정부
102 : 통로
200 : 평면유지힌지부재 201 : 판스프링
202 : 오목홈부 203 : 연결부
300 : 곡면유지힌지부재 301 : (힌지보스의)힌지구멍
302 : 힌지보스 303 : (힌지홈부의)힌지구멍
304 : 힌지홈부 305 : 원호형 곡면부
306 : 제한돌기 307 : 제한홈
308 : 힌지보스 접촉면
310 : 연결링크 320 : 힌지핀
321 : (힌지핀의)헤드부 330 : 관절링크
340 : 고정링크 341 : 조립홈
400 : 각도조절부재 410 : 각도설정홈
411 : 평각설정홈 412 : 접힘각설정홈
413 : 예각설정홈 414 : 둔각설정홈
420 : (스토퍼)조립구멍 430 : 스토퍼
431 : 걸림볼 432 : 코일스프링
433 : 지지핀 440 : 걸림돌기
450 : 걸림홈
500 : 슬라이드부재 510 : 가동판
511 : (가동판의)가이드홀
520 : 고정판 521 : (고정판의)가이드핀
522 : (고정판의)핀홀
600 : 보호케이스 610 : 평면마감부
620 : 가요성마감부 621 : 배면마감부
622 : 측면마감부
700 : 고정수단 710 : 가요성체결편
720 : (가요성체결편의)체결돌기 730 : (가요성체결편의)체결홈
740 : 슬라이드 화스너 800 : 제2의화면표시소자
900 : 휴대용 모바일기기
C : 휨구간 F : 평면구간

Claims (32)

  1. 가요성표시소자;
    상기 가요성표시소자 배면에 밀착되어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중간부에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를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휨 구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가요성마감부와, 상기 가요성마감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평면구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평면마감부로 이루어진 보호케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마감부는 배면마감부와 측면마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 일측면에는 상기 평면구간 면적과 동일 하거나 또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 화면 크기의 1/2 크기를 갖는 제2의화면표시소자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 일측 단부에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를 접었을 때 그 외측 개방 단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보호케이스의 가장자리 단부로 부터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체결돌기를 가진 가요성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체결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보호케이스의 외곽 크기가 가요성표시소자 외곽 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져서 그 가장자리에 상기 휨 구간으로부터 시작하여 외측으로 잠금이 시작되도록 구비되는 지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거나, 고주파 또는 초음파 융착이 가능한 원단 또는 표면에 핫멜트 처리된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마감부는 두께가 얇은 연질의 시트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마감부는 사각 또는 원형 또는 반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구간에 양단부가 조립되고, 그 중간부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에 대응되는 직선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와 함께 평면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력과,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 플렉시블힌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을 제외한 평면구간 영역을 감싸면서 그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상기 가요성표시소자가 평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면에 조립되는 두께가 얇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이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힌지수단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를 전체적으로 평면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직선 방향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그 중간부는 가요성을 가진 판 형상의 평면유지힌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힌지수단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에서 일정한 크기의 원형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가요성을 연결구조를 갖는 곡면유지힌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힌지수단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를 전체적으로 평면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직선 방향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그 중간부는 가요성을 가진 판 형상의 평면유지힌지부재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에서 일정한 크기의 원형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가요성을 연결구조를 갖는 곡면유지힌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와 곡면유지힌지부재는 서로 병렬로 배열되어 그 양단부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을 제외한 직선구간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 영역을 감싸면서 그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상기 가요성표시소자가 평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면에 조립되는 두께가 얇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 내측 단부에 상기 플렉시블힌지수단의 양단부가 조립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15.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는 가요성표시소자를 평면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두께가 얇은 금속 판재로 이루어져 탄성 및 가요성을 가진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스프링의 양단부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서 배면에 조립되며;
    그 중간부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에 대응되는 직선 길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어 그 내측면이 길이방향으로 만곡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휨 구간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에는 오목홈부가 형성되어 휨 작용에 대해 가용성을 높이면서 휨 구간 부위가 균일한 곡률로 휘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부는 라운드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19.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유지힌지부재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을 곡면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휨 구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중간부에는 일측면에 힌지구멍을 가진 힌지보스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힌지구멍을 가진 힌지홈부가 각각 형성된 다수의 연결링크가 구비되어 이 연결링크들은 상기 힌지보스가 상기 힌지홈부에 끼워진 후 힌지핀으로 서로 결합되어 관절링크; 를 구성하고,
    상기 관절링크의 양단부에는 각각의 내측면에 상기 힌지보스와 상기 힌지홈부가 형성되어 힌지핀으로 서로 힌지 조립되는 한 쌍의 고정링크; 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링크의 외측단부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휨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서 배면에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링크와 상기 고정링크의 각 힌지부에는 상기 가요성표시소자가 평면 상태를 유지하거나, 평면 상태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굴곡되어 반으로 접히거나 또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힌지보스의 힌지구멍에 인접하여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각도설정홈과;
    상기 각도설정홈과 통하도록 다른 연결링크 및 고정링크에 구비된 상기 힌지홈부 힌지구멍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조립구멍에 장착되어 그 내측 단부가 상기 각도설정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고, 외측단부는 상기 힌지핀의 헤드부에 접촉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스토퍼;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그 단부가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외향 탄발되는 볼플랜저 또는 포고핀으로 이루어지며, 각 외측단부는 힌지핀의 헤드부 내측면에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설정홈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가 평면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평각설정홈과; 반으로 굽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접힘각설정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설정홈은 상기 평각설정홈과 접힘각설정홈 구간 사이에서 평면 상태의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표시화면을 내측으로 굽혀서 예각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하는 예각설정홈과;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표시화면을 외측으로 굽혀서 둔각 범위내에서 유지하도록 하는 둔각설정홈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힌지홈부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힌지보스의 양측으로 상기 힌지보스의 외측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된 원호형 곡면부에 인입되게 형성되어 휨 정도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와 선택적으로 걸려 가요성표시소자의 굽힘 또는 펼침 각도를 제한하는 복수의 걸림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표시소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의하여 평면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평각모드와; 반으로 굽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접힘각모드로 변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표시소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의하여 상기 평각모드 및 접힘각모드 구간 사이에서 평면 상태의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표시화면을 내측으로 굽혀서 예각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하는 예각모드와;
    상기 가요성표시소자의 표시화면을 외측으로 굽혀서 둔각 범위내에서 유지하도록 하는 둔각모드로 변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28.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표시소자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휘거나 평면으로 펼치는 과정에서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 및 곡면유지힌지부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내측으로 당겨지거나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요성표시소자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플렉시블힌지수단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플렉시블 힌지수단의 외측 단부와 일측단부가 조립되고, 타측단부에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에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끼워지는 가이드핀을 가진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의 내측 단부 중앙에는 상기 곡면유지힌지부재의 외측단부가 조립되고, 상기 곡면유지힌지부재의 양측에는 한 쌍의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가 배치되어 그 외측단부가 상기 가동판 내부로 각각 인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가동판의 외측 단부 중앙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와조립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 양측으로 한 쌍의 상기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 내측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핀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이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외측단부가 상기 가동판 내부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양측 단부는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동판의 내부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32.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유지힌지부재 사이에는 상기 곡면유지힌지부재가 위치되어 그 양단부가 상기 가동판에 조립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KR1020130000593A 2012-12-14 2013-01-03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KR101441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337 2012-12-14
KR20120146337 2012-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807A true KR20140077807A (ko) 2014-06-24
KR101441081B1 KR101441081B1 (ko) 2014-09-23

Family

ID=51129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593A KR101441081B1 (ko) 2012-12-14 2013-01-03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081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1138A (zh) * 2015-05-21 2015-08-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打开折叠辅助装置及柔性显示设备
KR20160024151A (ko) * 2014-08-25 2016-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5555079A (zh) * 2015-12-15 2016-05-0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的连接装置
WO2016140524A1 (ko) * 2015-03-05 2016-09-09 임경원 단일면 폴딩장치
KR20160141059A (ko) * 2015-05-27 2016-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힌지 모듈 장치
KR20170005281A (ko) * 2015-07-02 2017-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734992A (zh) * 2016-12-06 2018-02-2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电子装置
WO2018070759A1 (ko) * 2016-10-11 2018-04-19 박현민 반자동 구동부가 설치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US9954986B2 (en) 2014-08-14 2018-04-24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KR20180081119A (ko) * 2015-12-29 2018-07-1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폴딩 가능한 단말
JP2018530934A (ja) * 2015-08-03 2018-10-18 リム、ユソプ 柔軟性のある表示装置が備えられたアウトフォールディング映像表示装置の改善された保護ケース、及び保護ケースの適用方案
TWI679515B (zh) * 2018-04-30 2019-12-11 兆利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撓性結構及具有撓性結構的組合(一)
WO2021026900A1 (zh) * 2019-08-15 2021-02-1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屏幕控制方法、柔性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380219B2 (en) 2018-08-03 2022-07-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121B1 (ko) * 2014-12-30 2019-09-03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가변 형태를 갖는 지지 구조체 및 이러한 지지 구조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1944947B1 (ko) * 2017-02-23 2019-02-01 울산과학기술원 유연성 투명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712Y1 (ko) * 2000-04-12 2000-08-16 송재분 노트북 컴퓨터 케이스
KR100389167B1 (ko) * 2001-03-26 2003-06-27 김시환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스
KR20080035709A (ko) * 2006-10-20 2008-04-24 김종억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3단 폴더형 휴대폰
KR200447424Y1 (ko) * 2008-02-22 2010-01-25 김종호 지지대가 구비된 이중 체결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4986B2 (en) 2014-08-14 2018-04-24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KR20160024151A (ko) * 2014-08-25 2016-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6140524A1 (ko) * 2015-03-05 2016-09-09 임경원 단일면 폴딩장치
US10319264B2 (en) 2015-05-21 2019-06-1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uxiliary apparatus for unfolding and folding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O2016184303A1 (zh) * 2015-05-21 2016-1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打开折叠辅助装置及柔性显示设备
CN104821138A (zh) * 2015-05-21 2015-08-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打开折叠辅助装置及柔性显示设备
KR20160141059A (ko) * 2015-05-27 2016-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힌지 모듈 장치
KR20170005281A (ko) * 2015-07-02 2017-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8530934A (ja) * 2015-08-03 2018-10-18 リム、ユソプ 柔軟性のある表示装置が備えられたアウトフォールディング映像表示装置の改善された保護ケース、及び保護ケースの適用方案
CN105555079A (zh) * 2015-12-15 2016-05-0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的连接装置
KR20180081119A (ko) * 2015-12-29 2018-07-1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폴딩 가능한 단말
WO2018070759A1 (ko) * 2016-10-11 2018-04-19 박현민 반자동 구동부가 설치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WO2018102997A1 (zh) * 2016-12-06 2018-06-14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电子装置
CN107734992A (zh) * 2016-12-06 2018-02-2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电子装置
TWI679515B (zh) * 2018-04-30 2019-12-11 兆利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撓性結構及具有撓性結構的組合(一)
US11380219B2 (en) 2018-08-03 2022-07-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1026900A1 (zh) * 2019-08-15 2021-02-1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屏幕控制方法、柔性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383291A (zh) * 2019-08-15 2021-09-10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屏幕控制方法、柔性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081B1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081B1 (ko)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KR101389442B1 (ko) 플렉시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
WO2018196290A1 (zh) 折叠式显示装置
US20160216737A1 (en) Display device
US8842425B2 (en) Variable display area type display device
KR101875855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3038722B (zh) 带有支架的电子装置夹持器
KR20180071900A (ko) 인폴딩과 아웃폴딩을 동시에 구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KR20180076271A (ko) 라운드 지지대를 가지는 인아웃폴딩용 힌지장치
EP3627803A1 (en) Foldable mobile terminal
US2014019110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s
US9762279B2 (en) Adjustable protective cover for an input device
EP3624430A1 (en) Foldable mobile terminal
KR200440358Y1 (ko) 이동 정보 단말기용 케이스
KR101754584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KR101392562B1 (k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EP3512183A1 (en) Portable terminal cover
EP3018889B1 (en)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KR101563942B1 (ko)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JP5363415B2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KR20180006721A (ko)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04157214B (zh) 配戴式挠曲显示装置
US20130187023A1 (en) Apparatus Stand
US11249520B2 (en) Hinge device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KR20170142597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