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611A - 마스크 팩 및 마스크 팩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팩 및 마스크 팩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611A
KR20160023611A KR1020150117904A KR20150117904A KR20160023611A KR 20160023611 A KR20160023611 A KR 20160023611A KR 1020150117904 A KR1020150117904 A KR 1020150117904A KR 20150117904 A KR20150117904 A KR 20150117904A KR 20160023611 A KR20160023611 A KR 20160023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smetic
mask pack
liquid composition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판호
Original Assignee
장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판호 filed Critical 장판호
Publication of KR2016002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마스크 팩 및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은, 복수의 미세홀이 형성된 이미지 개시 부재와,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전면에 제공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부; 및 미용 성분 또는 의약 성분이 겔화되어 형성되고, 전면이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배면과 결합되며, 상기 미용 성분 또는 상기 의약 성분이 부분적으로 상기 미세홀에 삽입되는 겔화된 미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용부 중 상기 미세홀에 삽입되지 않은 영역의 두께는 20~200㎛ 일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팩 및 마스크 팩 제조 방법{MASK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MASK PACK}
본 발명은 마스크 팩 및 마스크 팩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팩은 얼굴에 영양을 공급하거나 여드름, 잡티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개선시키기 위한 미용 용품으로, 해당 목적에 따른 미용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마스크 팩은 일반적으로 함침형 마스크 팩 및 겔 타입 마스크 팩으로 나뉠 수 있다. 함침형 마스크 팩은 부직포 또는 재직물 등의 수불용성 기재를 화장수 또는 에센스와 같은 미용 성분 용액에 함침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겔 타입 마스크 팩은 미용 성분 용액을 겔(Gel)화 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함침형 마스크 팩의 경우에는 얼굴과 접촉하는 미용 성분 용액에 별도의 점착 성분이 없어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떨어진다. 또한, 미용 성분이 공기에 노출됨에 따라 야기되는 미용 성분의 변성을 피하기 어렵고, 초기에 고농도의 미용 성분이 피부와 접촉함에 따라 피부 자극 발생의 소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겔타입 마스크 팩은 점착성을 가져서 피부에 대한 부착성은 높으나, 그 점착성으로 인해 마스크 팩 자체가 서로 잘 엉겨 붙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인장 강도가 낮아서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다른 미용 용품들의 심미적 기능이 향상되는 흐름에도 불구하고, 마스크 팩은 미용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재료의 가공이 어렵고,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제품이라는 이유로 다양한 심미적 효과를 부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37851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심미성 또는 오락성을 갖는 마스크 팩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인장강도가 향상되어 쉽게 찢어지지 않는 마스크 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 팩은, 복수의 미세홀이 형성된 이미지 개시 부재와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전면에 제공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부 및 미용 성분 또는 의약 성분이 겔화되어 형성되고 전면이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배면과 결합되며 상기 미용 성분 또는 상기 의약 성분이 부분적으로 상기 미세홀에 삽입되는 겔화된 미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용부 중 상기 미세홀에 삽입되지 않은 영역의 두께는 20~2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전면에 인쇄된 인쇄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전면에 입체적으로 부착되는 입체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용부는 상기 이미지부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색깔의 염료로 염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는 폴리에스터 100%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에 전사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은, 복수의 미세홀을 포함하는 이미지 개시 부재의 전면에 이미지를 인쇄하여 이미지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배면에 액상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액상 조성물을 겔화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상 조성물이 겔화되어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배면에 결합됨으로써 미용부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조성물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미세홀에 침투된 후 겔화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미용부가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미용부 중 상기 미세홀에 삽입되지 않은 영역의 두께는 20~2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상 조성물은 상기 이미지부의 상기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색깔의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는 폴리에스터 100%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부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에 상기 이미지를 전사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미지부를 포함하여 심미성 또는 오락성을 갖는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부와 미용부가 이중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인장강도가 향상되어 쉽게 찢어지지 않는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부와 미용부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쇄가 용이하고 이미지부가 보다 부각될 수 있는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 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마스크 팩의 이미지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마스크 팩의 이미지부와 미용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마스크 팩에 입체 이미지 및 연결 부재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 팩(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 팩(1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마스크 팩(100)의 이미지부(1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마스크 팩(100)의 이미지부(10)와 미용부(20)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리성을 위하여 이미지부(10)와 미용부(20)가 분리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미지부(10)의 이미지 개시 부재(11)에 포함되는 복수의 미세홀(12)에 미용부(20)의 미용 성분이 삽입됨에 따라 이미지부(10)과 미용부(20)는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마스크 팩(100)의 사용 시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면은 배면, 그 반대쪽을 향하는 면을 전면이라 하겠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Mask Pack)은 사용자의 얼굴에만 부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목, 복부, 등, 다리, 팔 등과 같이 다양한 신체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마스크 팩(100)은 이미지 개시 부재(11)에 이미지(13)가 제공된 이미지부(10)와 미용 성분이 겔화되어 형성된 미용부(20)를 포함한다. 이미지부(10)의 배면에는 미용부(20)의 전면이 부착되지만 이미지부(10)와 미용부(20)는 서로 분리된 영역을 가지며 별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부(10)는 마스크 팩(100)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거나 오락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미지 개시 부재(11)의 전면에 인쇄된 인쇄 이미지(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개시 부재(11)에는 미세홀(12)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개시 부재(11)에 형성된 미세홀(12)은 다양한 형상을 갖고 무질서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여러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15)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돌기(15)는 이미지 개시 부재(11)와 미용부(20)의 결합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이미지 개시 부재(11)에 형성된 돌기(15)는 일반적인 이미지 개시 부재(11)의 제조 과정에서 자연히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작 과정에서 의도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미지 개시 부재(11)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부직포, 제직물, 하이드로 교락사(hydro-entangled fiber), 에어 교락사(air-entangled fiber)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형성된 부재일 수 있으며, 또한 천연 스폰지, 합성 스폰지 및 중합체성 그물 메쉬(netted mesh),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개시 부재(11)가 폴리 우레탄일 경우 이미지 개시 부재(11)는 통풍성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신축성이 강해 잘 찢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미지 개시 부재(11)는 폴리에스터(polyester) 100% 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쇄 이미지(13)의 전사 인쇄가 가능하다.
한편, 인쇄 이미지(13)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일 예로 도시된 호랑이와 같은 동물, 또는 사람의 얼굴, 그 밖의 다양한 시각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이미지(13)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구매 시 마스크 팩(100)의 포장지 등에 인쇄 이미지(13)의 형상을 안내하지 않음으로써 인쇄 이미지(13)가 무작위로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상치 못한 인쇄 이미지(13)로 인해 사용자는 재미를 느낄 수 있으며, 각종 단체 게임에도 활용될 수 있으므로 오락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인쇄 이미지(13)가 이미지 개시 부재(11)에 인쇄되는 방식은 디지털 인쇄 방식 또는 레이저 인쇄 방식, 전사 인쇄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인쇄되는 잉크의 종류도 이미지 개시 부재(11)의 재질 또는 인쇄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인쇄 이미지(13)는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된 이미지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며, 수작업에 의해서 그려진 이미지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100)은 이미지 개시 부재(11)로서 종이, 부직포, 직물,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인쇄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미지부(10)의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마스크 팩(100)에 입체 이미지(14) 및 연결 부재(50)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부(10)는 인쇄 이미지(13)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심미성 및 오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입체 이미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호랑이 모양의 인쇄 이미지(13)를 포함하는 이미지 개시 부재(11) 전면에 호랑이 털을 묘사하기 위한 실 또는 끈과 같이 입체적인 입체 이미지(14)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부(10)에는 사용자 얼굴과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리 또는 끈 형상의 연결 부재(50)가 제공될 수도 있다. 연결 부재(50)는 사용자의 귀 또는 기타 신체 부위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미용부(20)는 사용자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거나 여드름, 잡티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을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미용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미용 성분이 겔(gel)화 된 물질일 수 있다.
또한, 미용부(20)는 사용자의 피부에 외상이 발생하거나 알레르기, 발진, 두드러기 등 같은 피부 질환이 발생할 경우에 이를 치료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용부(20)는 피부 질환 치료를 위한 의약 성분이 겔화된 물질일 수도 있다. 그리고 미용부(20)는 전술된 피부 질환 치료용 의약 성분뿐만 아니라, 금연을 위한 니코틴 패치(Nicotine Patch) 등과 같이 피부를 통해 투약될 수 있는 다양한 의약 성분이 겔화된 물질 일 수도 있다.
미용부(20)는 일 예로 미용 성분, 의약 성분 등이 포함된 물질에 하이드로겔, 도토리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등과 같이 미용 성분 또는 의약 성분을 겔화 시킬 수 있는 물질(이하 '겔 형성 물질'이라 한다)을 혼합한 액상 조성물이 건조되거나 냉각됨으로써 또는 건조 및 냉각 과정을 모두 거친 후에 겔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겔화되기 전의 액상 조성물은 일반적인 액체와 같이 유동성이 크나, 겔화된 후에는 일반적인 겔과 같이 유동성이 거의 없으며 일정 형태가 유지될 수 있고 점착성을 갖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에 혼합된 겔 형성 물질의 농도에 따라 겔화된 미용부(20)의 형태 유지 정도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미용부(20)는 인체에 무해한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염료의 색깔은 이미지부(20)의 인쇄 이미지(13)가 부각될 수 있는 색깔을 가질 수 있으며, 첨가되는 염료의 양에 따라 미용부(20)의 투명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염료의 색깔은 흰색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양한 색깔의 인쇄 이미지(13)가 보다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다.
미용부(20)의 전면은 전술된 이미지 개시 부재(11)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이미지 개시 부재(11)의 미세홀(1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미용부(20)와 돌기(15)는 서로 맞물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용부(20)와 이미지 개시 부재(11)와의 결합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이 때, 미용부(20) 중 미세홀(12)에 삽입되지 않은 영역의 두께(d)는 20~200㎛ 일 수 있다. 겔화된 미용부(20)의 두께가 상기 두께보다 두꺼울 경우에는 겔화된 미용부(20)와 이미지 개시 부재(11)와의 결합력이 감소되어 미용부(20)와 이미지부(10)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겔화된 미용부(20)의 두께가 상기 두께보다 얇을 경우에는 미용부(20)의 층(layer)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충분한 미용 효과 또는 약용 효과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된 이미지부(10)와 미용부(20)에는 부착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대응되는 커팅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마스크 팩(100)이 얼굴에 부착되는 경우, 이미지부(10)와 미용부(20)에는 사용자의 눈, 코, 입 등과 대응되는 부분에 커팅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커팅부(30)는 이미지부(10) 및 미용부(20)를 관통하는 구멍 또는 절개선일 수 있으며, 프레스에 의해 펀칭되거나 또는 날카로운 부재에 의해 절개될 수도 있다.
그러나 마스크 팩(100)의 부착 위치가 얼굴이 아닌 목, 복부, 등, 다리, 팔 등일 경우, 커팅부(30)는 생략되거나 다른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미용부(20)의 배면에는 미용부(20)의 오염을 방지하거나 불필요한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이형지(40)가 부착될 수 있다. 이형지(40)는 미용부(20)와 용이하게 점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으며, 미용부(20)와 점착되는 부분은 실리콘 등의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 팩(100)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은 먼저 이미지 개시 부재(11)의 전면에 인쇄 이미지(13)를 인쇄하여 이미지부(10)를 제조할 수 있다(S110). 이 때, 이미지 개시 부재(11)는 폴리에스터 100%로 제조될 수 있다. 이미지 개시 부재(11)가 폴리에서터 100%으로 제조될 경우, 인쇄 시 번짐 현상이 방지되어 다양한 인쇄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미지가 전사 인쇄 방식으로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미용부(20)를 제조하기 위한 액상 조성물(21)을 제조 또는 준비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21)은 미용 성분 또는 의약 성분에 하이드로겔과 같은 겔 형성 물질을 분사시킨 후, 물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건조 또는 냉각 과정을 통해서 또는 건조 및 냉각 과정이 모두 이루어짐에 따라 겔화될 수 있다. 액상 조성물(21)에 포함되는 미용 성분 또는 의약 성분은 미용 목적 또는 치료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하이드로겔 이외에도 액상 조성물(21)을 겔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액상 조성물(21)은 인체에 무해한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염료의 색깔은 이미지부(20)의 인쇄 이미지(13)가 부각될 수 있는 색깔을 가질 수 있으며, 첨가되는 염료의 양에 따라 미용부(20)의 투명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염료의 색깔은 흰색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양한 색깔의 인쇄 이미지(13)가 보다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은 전술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에 의해 액상 조성물(21)을 제조할 수 있다.
전술된 과정이 완료되면, 이미지부(10)는 롤(Roll) 형태로 공급 롤러(2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장력 제공 롤러(220)에 의해 좌측에서 우측(도 6 기준)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부(10) 중 인쇄 이미지(13)가 인쇄되지 않은 면, 즉, 이미지 개시 부재(11)의 배면이 상측에 배치되도록 공급 롤러(210)에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A 영역을 확대하면 도 2의 이미지부(10)의 단면 구조와 같다.
그 후 이미지 개시 부재(11)의 배면에는 액상 조성물 도포 장치(230)에 의해 액상 조성물(21)이 도포(S120)될 수 있다. 유동성을 갖는 액상 조성물(21)은 이미지 개시 부재(11)의 미세홀(12)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부(10)와 미용부(20)가 결합되는 방법은 도 7에서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260) 및 컨베이어 벨트(260) 상측에 배치된 공급 롤러(210)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상 조성물(21)이 먼저 컨베이어 벨트 상에 도포될 수 있고, 도포된 액상 조성물(21) 상측에서 이미지부(10)가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 개시 부재(11)의 배면이 하측에 배치되도록 공급 롤러(2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부(10)에 도포되는 액상 조성물(21)의 양은 이미지부(10)의 면적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미용부(20) 중 미세홀(12)에 삽입되지 않은 영역의 두께(d)가 20~200㎛ 범위 이내가 되게 도포될 수 있다. 겔화된 미용부(20)의 두께가 상기 두께보다 두꺼울 경우에는 겔화된 미용부(20)와 이미지 개시 부재(11)와의 결합력이 감소되어 미용부(20)와 이미지부(10)가 분리될 수 있으며, 또한, 겔화된 미용부(20)의 두께가 상기 두께보다 얇을 경우에는 미용부(20)의 층(layer)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충분한 미용 효과 또는 약용 효과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이미지부(10)와 액상 조성물(21)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별도의 가압 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은 이미지부(10) 및 미용부(20)의 결합을 위한 액상 조성물(21)의 도포 방법, 이미지부(10)의 공급 방법 또는 그 순서 등은 제작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개시 부재(11)의 배면에 액상 조성물(21)의 도포가 완료되면, 겔화 장치(240)에 의해 액상 조성물(21)은 겔화(S130)될 수 있다. 겔화 장치(240)는 냉각 장치 또는 건조 장치 등일 수 있으며, 액상 조성물(21)을 구성하는 성분에 따라 겔화 장치(240)는 냉각 장치 또는 건조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며, 냉각 장치 및 건조 장치가 모두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액상 조성물 도포 단계(S120)에서 겔화 단계(S130)까지는 소정 시간이 소요될 수 있도록 액상 조성물 도포 장치(230)와 겔화 장치(240)를 소정 거리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액상 조성물(21)은 돌기(15) 사이 사이의 미세홀(12)까지 균일하게 침투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21)이 겔 형태로 변경됨으로써 미용부(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미세홀(12)에 삽입된 미용부(20)와 이미지부(10)의 결합(S140)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도시된 B 영역을 확대하면 이미지부(10) 및 미용부(20)는 도 3과 같은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C 영역을 확대하면, 도 8에서와 같이 미용부(20)가 하측에 위치하고 이미지 개시 부재(11)가 상측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겔화 단계(S130)가 완료되면, 감기 풀리(250)에 의해 서로 결합된 이미지부(10) 및 미용부(20)를 다시 롤 형태로 감을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펀칭 프레스 또는 절개 장치 등을 이용하여 커팅부(30)를 형성하는 형상 가공 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겔화장치(240)와 형상 가공 장치 사이에 이형지(40) 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이형지(40)를 미용부(20)의 배면에 부착할 수 있으며, 결합된 이미지부(10), 미용부(20) 및 이형지(40)를 함께 형상 가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인쇄 이미지(13)가 인쇄된 이미지 개시 부재(11) 전면에 입체 이미지(14)를 부착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100)은 이미지부(10)가 인쇄 및 부착이 용이한 이미지 개시 부재(11)를 포함하므로, 다양한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마스크 팩(100)의 심미감 및 오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100)을 스포츠 관람 시 응원 도구로 사용하거나, 여러 명이 모여 마스크 팩(10) 사용할 때 서로 다른 이미지부(10)를 선택하여 착용함으로써 오락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더불어, 인쇄 이미지(13)가 형성된 이미지부(10)의 전면과 사용자 피부에 부착되는 미용부(20)의 배면 사이에 인쇄 물질의 이동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으므로, 인쇄 물질로 인한 피부 트러블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부(10)와 미용부(20)가 미세홀(12) 및 돌기(15)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이미지부(10)와 미용부(20)가 분리되지 않으며, 2겹으로 구성된 구조로 인해 마스크 팩(100)의 인장 강도가 향상되어 쉽게 찢어지지 않을 수 있다. .
또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미용부(20)의 배면만 미용 물질로 인한 점성 또는 유수분을 가지며, 인쇄부(10)는 건조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마스크 팩(100)을 파지할 수 있으며, 손에 이물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복부, 등, 다리, 팔 등과 같이 의복과 접촉되는 부분에 마스크 팩(100)을 부착할 경우에도 마스크 팩(100)의 인쇄부(10)는 건조된 상태이므로 의복에 미용부(20)의 성분이 묻지 않을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다.이상 본 발명의 마스크 팩 및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마스크 팩 10: 이미지부
11: 이미지 개시 부재 12: 미세홀,
13: 인쇄 이미지 14: 입체 이미지
15: 돌기 20: 미용부 21: 액상 조성물
30: 커팅부 40: 이형지

Claims (9)

  1. 복수의 미세홀이 형성된 이미지 개시 부재와,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전면에 제공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부; 및
    미용 성분 또는 의약 성분이 겔화되어 형성되고, 전면이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배면과 결합되며, 상기 미용 성분 또는 상기 의약 성분이 부분적으로 상기 미세홀에 삽입되는 겔화된 미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용부 중 상기 미세홀에 삽입되지 않은 영역의 두께는 20~200㎛ 인 마스크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전면에 인쇄된 인쇄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전면에 입체적으로 부착되는 입체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부는 상기 이미지부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색깔의 염료로 염색된 마스크 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는 폴리에스터 100%로 제조되는 마스크 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에 전사 인쇄되는 마스크 팩.
  6. 복수의 미세홀을 포함하는 이미지 개시 부재의 전면에 이미지를 인쇄하여 이미지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배면에 액상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액상 조성물을 겔화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상 조성물이 겔화되어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배면에 결합됨으로써 미용부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조성물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미세홀에 침투된 후 겔화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미용부가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미용부 중 상기 미세홀에 삽입되지 않은 영역의 두께는 20~200㎛ 인 마스크 팩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상기 이미지부의 상기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색깔의 염료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는 폴리에스터 100%로 제조되는 마스크 팩 제조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부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개시 부재에 상기 이미지를 전사 인쇄하는 마스크 팩 제조 방법.
KR1020150117904A 2014-08-21 2015-08-21 마스크 팩 및 마스크 팩 제조 방법 KR201600236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005 2014-08-21
KR20140109005 2014-08-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611A true KR20160023611A (ko) 2016-03-03

Family

ID=5553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904A KR20160023611A (ko) 2014-08-21 2015-08-21 마스크 팩 및 마스크 팩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36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208A (ko) 2018-10-22 2020-05-04 이병수 기능성 성분이 캡슐에 탑재된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7851A (ko) 2006-10-27 2008-05-02 김성훈 겔타입 마스크팩용 시트와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7851A (ko) 2006-10-27 2008-05-02 김성훈 겔타입 마스크팩용 시트와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208A (ko) 2018-10-22 2020-05-04 이병수 기능성 성분이 캡슐에 탑재된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948Y1 (ko) 연예인얼굴 이미지가 인쇄된 마스크팩
US10470983B2 (en) Cosmetic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3231320A1 (en) Beauty care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704744B1 (ko)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미용 팩
JP2009240788A (ja) 顔用マスク
KR102009451B1 (ko) 미용 시트
KR101500499B1 (ko) 시트 형태 팩 기재, 시트 형태 팩 및 시트 형태 팩 기재의 제조방법
JP6648992B2 (ja) メイキャップシート及び化粧剤
KR20160135208A (ko) 다기능성 표면 고체 지지체
US20120029405A1 (en) Scented And Antiseptic Adhesive Bandage
KR20160023611A (ko) 마스크 팩 및 마스크 팩 제조 방법
KR101553259B1 (ko) 피부친화성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6141A (ko) 스포츠용 마스크 패치
KR102160125B1 (ko) 가속눈썹 점착부재 및 가속눈썹 키트
JP6986767B2 (ja) マスクパックキット
JP2016117658A (ja) 造花状浴用剤
KR20090104780A (ko) 안면 마스크
KR20230057065A (ko) 심미성 또는 오락성을 갖는 유아용 마스크 팩 제조 방법
KR20160003814U (ko) 문양이 인쇄된 화장용 마스크
KR101570846B1 (ko) 형광 또는 야광 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팩
KR200451470Y1 (ko) 병풍형 마사지팩 포장 파우치
JP2008208031A (ja) 化粧料含浸積層体
KR101640837B1 (ko)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KR101591477B1 (ko) 온도가변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팩
KR20170011228A (ko) 리프팅 에센스 마스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