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265A -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파종기 - Google Patents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265A
KR20160023265A KR1020140109357A KR20140109357A KR20160023265A KR 20160023265 A KR20160023265 A KR 20160023265A KR 1020140109357 A KR1020140109357 A KR 1020140109357A KR 20140109357 A KR20140109357 A KR 20140109357A KR 20160023265 A KR20160023265 A KR 20160023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oil
seed
supply pipe
s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옥만
Original Assignee
임옥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옥만 filed Critical 임옥만
Priority to KR1020140109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3265A/ko
Publication of KR2016002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8Machines for both manuring and sowing or both manuring and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파종기는, 미리 설정된 파종 깊이로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부와, 상기 종자의 상부로 일정량의 토양을 복토하는 복토부와, 파종된 상기 종자에 직접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종자가 파종되고 복토된 이후 상기 유체를 공급하도록 조절하는 유체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파종기{SPOT-SEEDER CAPABLE OF SIMULTANEOUSLY SEEDING, COVERING AND SUPPLYING FLUID}
본 발명은 토양에 종자를 심는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노동력을 절감하고 종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빠르게 파종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 팥, 녹두, 무, 배추, 참깨 및 옥수수 등은 일정한 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한 알 또는 여러 알씩 파종하는 점파법을 이용하여 파종된다. 중소 규모의 경작지 또는 지형 조건이 열악한 경작지에서는 동력을 이용한 대형 파종기계를 사용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서는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손잡이를 작동시킬 때마다, 토양에 종자가 파종되는 소형 파종기를 이용하고 있다.
한국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0-0009077호와 같은 종래의 파종기는 파종 및 복토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때 사용되는 종자는 미리 소독되는 작업을 거치거나, 병충해 방지제 및 발아 촉진제 등과 같은 약제로 코팅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종래에 파종기에 투입되는 종자는, 병충해 방지제 및 발아 촉진제에 전 처리된 이후 일정시간 건조시키는 시간을 필요로 한다.
한국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0-00090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파종된 종자에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파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파종 깊이로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부; 상기 종자의 상부로 일정량의 토양을 복토하는 복토부; 및 파종된 상기 종자에 직접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종자가 파종되고 복토된 이후 상기 유체를 공급하도록 조절하는 유체 공급부;를 포함하는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파종기가 제공된다.
상기 유체 공급부는, 바닥판에 부착되어 전달되는 유체를 종자 배출구로 전달하는 유체 받이; 상기 유체 받이 바닥에 형성되는 돌출형 유체 마개; 일단이 상기 돌출형 유체 마개에 삽입되며 타단을 통해서 유체를 전달받는 유체 공급관; 및 지지막대에 부착되며, 상기 지지막대의 하강시 상기 유체 공급관을 상승시켜 상기 유체 공급관에 삽입된 상기 돌출형 유체 마개와 분리시키는 유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 제어부는, 상기 유체 공급관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유체 스프링부; 및 상기 유체 공급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시점 및 시간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유체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량 조절부는, 상기 지지막대에 부착되며, 부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체량 조절막대; 상기 유체 스프링부에 부착되며, 상기 유체량 조절막대와 접촉시 상기 유체 스프링부의 스프링을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유체량 조절판; 및 상기 유체량 조절판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유체량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종부는, 상부에 손잡이가 부착된 상기 지지막대; 상기 지지막대에 탈부착 가능하며, 몸통의 일정 부분에 종자가 거치되는 종자홈과 말단 부분에 파종침이 형성되는 파종막대; 상기 파종막대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부착되며, 상기 파종막대의 상기 종자홈에 종자를 제공하는 종자통; 상기 지지막대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와 상기 종자통을 상기 바닥판에 고정시키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종자홈을 통해서 유도된 상기 종자를 상기 바닥판의 상기 종자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종자 수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종부는, 파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파종깊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종깊이 조절부는, 상기 지지막대에 부착되며 회전을 통해서 수직방향으로의 길이가 조절되는 깊이 조절판; 및 상기 깊이 조절판과의 접촉을 통해서 상기 지지막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정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토부는, 하부에 토양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양 보관통; 상기 종자 수렴부에 경사지도록 부착되는 토양 차단판; 상기 토양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복토용 토양을 상기 토양 차단판으로 전달하되, 말단이 상기 토양 차단판에 밀착되는 토양 공급관; 및 상기 지지막대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막대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토양 공급관을 상기 종자 배출구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토양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양 개폐부는, 복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양 개폐부는, 상기 지지막대에 부착되며, 상기 지지막대의 하강시 상기 토양 공급관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급관걸이부; 상기 토양 공급관이 삽입되며, 상기 토양 공급관의 삽입 길이에 따라 상기 공급관걸이부와의 접촉 시점이 조절되는 공급량조절부; 및 상기 토양 공급관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공급관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한 번의 조작을 통해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므로, 점파법으로 파종을 할 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병충해 방지제 및 발아 촉진제 등을 희석시킨 유체를 파종시 종자에 직접 주입해 줄 수 있으므로, 파종 작업 전에 종자를 소독하거나 약제로 코팅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파종시 약제 대신 일정량의 물을 종자에 직접 주입해 준 후, 복토를 할 수 있으므로, 수분 부족으로 인한 종자의 미발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종자가 파종된 정확한 위치에 일정량의 물을 주입해 줄 수 있으므로, 물 사용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종자가 파종되고 복토된 그 위치에 액상 형태의 약제를 동시에 뿌려줄 수 있으므로, 약제를 살포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파종기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종막대의 구성도
도 4는 도 1의 파종기의 하부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1의 파종기의 중간 부분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1의 파종기의 파종 및 복토 동작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도 1의 파종기의 상부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도 1의 파종기의 유체 주입 동작을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종기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1)는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종기(1)는 한 번의 조작을 통해서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파종기(1)의 구성은 크게 파종부(100), 복토부(200) 및 유체 공급부(300) 3가지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파종부(100)는 미리 설정된 파종 깊이로 종자를 파종하게 된다. 또한, 복토부(200)는 종자의 상부로 일정량의 토양을 복토하게 된다. 또한, 유체 공급부(300)는 설정된 상태에 따라서 두 가지 동작을 선택적으로 하게 된다. 즉, 유체 공급부(300)는 파종된 종자에 직접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하도록 동작될 수도 있고, 종자가 파종되고 복토된 이후 유체를 공급하도록 동작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유체는 일반적인 물일 수도 있고, 병충해 방지제 및 발아 촉진제 등의 약제를 물에 희석시킨 액체일 수도 있다. 사용되는 약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병충해 방지제로서는 카바메이트계, 유기염소계, 유기인계, 피레스로이트계, 메칠부로마이드, 이디비제, 부라스티사이딘 에스제, 클로로피크린제의 약제 일 수 있으며, 발아 촉진제로서는 싸이토니킨 계통의 홀몬제 지베렐린 일 수 있으며, 발근 촉진제로서는 루톤, 옥시베론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파종기의 파종부에 대한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파종부는 손잡이(110)와, 지지막대(120)와, 파종막대(130)와, 가이드(140)와, 종자통(150)과, 지지 프레임(160)과, 종자 수렴부(180)와, 파종깊이 조절부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파종 깊이 조절부는 깊이 조절판(191)과, 정지판(192)으로 구성된다. - 도 5 참조-
지지막대(120)의 상부에는 손잡이(110)가 부착되어 있으며, 손잡이(110)를 하부로 누를 경우 지지막대(12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파종막대(130)는 지지막대(1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몸통의 일정 부분에 종자가 거치되는 종자홈과 말단 부분에 파종침이 형성된다. 참고적으로 종자홈의 깊이, 크기 및 형상과, 파종침의 형상은 종자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므로, 종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파종막대(130)를 지지막대(12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파종막대(130)에 대하여는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후술한다.
가이드(140)는 파종막대(13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도록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서 가이드(140)는 파종막대(130)를 감싸는 철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140)는 토양 보관통(210)의 토양 토출구(211)와 연결된 토양 공급관(230)을 추가적으로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즉, 가이드(140)는 파종막대(130)의 외부를 감싸면서 파종막대(13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움직이는 통로를 확보해 주게 된다. 또한, 가이드(140)는 토양 공급관(230)의 외부를 감싸면서 토양 공급관(230)을 고정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종막대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두 개의 파종막대(A1,A2)가 도시되어 있다. 제1 파종막대(A1) 및 제2 파종막대(A2)를 자세히 살펴보면, 몸체에 형성된 구멍(HOLE)은 지지막대(120)와 부착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막대(120)의 내부로 파종막대(130)가 삽입되고, 구멍(HOLE)에 나사를 끼워 볼트, 너트로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제1 파종막대(A1)는 콩과 같은 비교적 큰 종자를 파종할 수 있도록, 종자홈이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크기가 큰 종자를 토양에 깊이 심기 위해서 파종침이 종자를 하부로 누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었다. 즉, 제1 파종막대(A1)의 파종침의 형상은 종자를 하루로 누를 수 있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예시에서는 파종침의 일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종자를 누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비해, 제2 파종막대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종자를 파종할 수 있도록, 종자홈이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파종침은 가장 일반적인 송곳 모양의 구조로 형성되었다.
도 4는 도 1의 파종기의 하부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파종막대(130)가 밀착되는 부분의 종자통(150)의 일부분에는 종자를 파종막대(130)의 종자홈(121)에 전달하기 위한 개구부(151)가 형성된다. 종자통(150)은 가이드(140)를 통해서 고정되며, 손잡이(110)가 눌러질 때, 파종막대(130)가 내려가고 파종막대(130)에 의해 폐쇄되었던 개구부(151)가 열려지면서 파종막대(130)의 종자홈(121)에 종자를 제공한다.
지지 프레임(160)의 상부에는 지지막대(120)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61)이 설치되어 있으며, 종자통(150)과 종자통(150)에 부착된 가이드(140)를 바닥판(170)의 일정높이에서 고정시킨다. 따라서 손잡이(110)를 아래 방향으로 눌러서 지지막대(12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지지막대(120)에 부착된 파종막대(130)도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종자홈(121)이 종자통(150)의 개구부(151)를 지날 때, 종자가 종자홈(121)으로 삽입된다. 일정 깊이로 손잡이(110)를 하부 방향으로 누른 이후에는, 스프링(161)의 복원력을 통해서 파종막대(130), 지지막대(120) 및 손잡이(110)가 원래의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종자 수렴부(180)는 종자홈(121)을 통해서 유도된 종자를 바닥판(170)의 종자 배출구(171)로 이동시킨다. 손잡이(110)를 아래 방향으로 누를 때, 종자홈(121)에 삽입된 종자가 종자의 무게에 의해 종자 수렴부(180)로 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종자 수렴부(180)는 떨어지는 종자를 종자 배출구(171)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깔대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바닥판(170)의 종자 배출구(171)에는 떨어지는 종자를 종자 배출구(171)의 중심부분으로 모아주기 위한 종자 모음판(171A)이 형성되어 있다. 종자 모음판(171A)은 복수의 플라스틱판 또는 비닐판으로 형성되어, 종자 배출구(171)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각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종자 모음판(171A)의 복수의 플라스틱판은 양쪽에서 기울어진 부분이 종자 배출구(171)의 중심에서 서로 접촉되거나, 일정 틈이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종자 모음판(171A)은 떨어지는 종자의 무게에 의해서 종자를 종자 배출구(171)의 중심으로 유도할 수 있어야 하며, 종자 무게 이상으로 지지하여 종자를 차단시켜서는 안 된다. 또한, 바닥판(170)은 평단한 형태로 제조되어 바닥과 모든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제조될 수도 있고, 외곽 테두리 부분은 일정부분 토양에 삽입되고, 외곽 테두리 이외의 부분이 바닥의 토양과 밀착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파종부는 파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파종깊이 조절부가 포함되어 있다. 도 5는 도 1의 파종기의 중간 부분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파종깊이 조절부는 깊이 조절판(191)과, 정지판(192)으로 구성된다. 깊이 조절판(191)은 지지막대(120)에 부착되며 회전을 통해서 수직방향으로의 길이가 조절된다. 또한, 정지판(192)은 깊이 조절판(191)과의 접촉을 통해서 지지막대(120)의 이동거리를 제한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 깊이 조절판(191)은 중심에 회전축(AXIS)을 통해서 지지막대(120)에 고정되는데, 깊이 조절판(191)이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므로 90도 회전 시킬 때 마다, 하부 방향으로의 길이가 조절된다. 지지막대(120)가 하부로 이동할 때, 깊이 조절판(191)과 정지판(192)이 접촉되는 지점까지 지지막대(120)가 이동할 수 있다. 즉, 깊이 조절판(191)에 의해서 지지막대(120)의 하부 이동거리가 조절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파종막대(130)의 이동거리가 조절되는 것이므로, 토양에 형성되는 구멍의 깊이 즉 파종 깊이가 조절된다. 참고적으로 실시예에 따라 깊이 조절판(191)은 회전하여 수직방향으로의 길이가 조절되는 방식이 아닌,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는 힘이 발생했을 때 일정량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지판(192) 까지의 거리가 조절되는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도 1의 파종기의 파종 및 복토 동작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파종기의 복토부(200) 및 파종부(100)에 대한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복토부(200)는 토양 보관통(210), 토양 차단판(220), 토양 공급관(230) 및 토양 개폐부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토양 개폐부는 공급관걸이부(241), 공급량조절부(242) 및 공급관 탄성체(243)로 구성된다.
토양 보관통(210)은 하부로 토양 토출구(211)가 형성되며, 토양 토출구(211)에는 토양 공급관(230)이 삽입된다. 참고적으로 실시예에 따라 토양 토출구(211)와 가이드(140) 사이에 금속관을 삽입하여 가이드(140)에 강하게 부착되도록 하고, 가이드(140) 이후에 금속관과 토양 공급관(230)을 연결하는 2단 연결 형태의 구성이 이루어질 수 도 있다.
토양 차단판(220)은 종자 수렴부(180)에 일정각 경사지도록 부착된다. 이때, 토양 공급관(230)의 일단은 토양 토출구(211)에 연결되어 있고, 토양 공급관(230)의 타단은 토양 차단판(220)에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토양 공급관(230)을 통해서 복토용 토양이 전달되더라도 토양 차단판(220)에 의해서 토양이 차단된다.
토양 개폐부는 지지막대(120)에 부착되어, 지지막대(120)의 이동방향에 따라 토양 공급관(230)을 종자 배출구(171)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토양 개폐부는 공급관걸이부(241), 공급량조절부(242) 및 공급관 탄성체(243)로 구성된다. 공급관걸이부(241)는 지지막대(120)에 부착되며, 지지막대(120)의 하강시 토양 공급관(230)을 종자 수렴부(18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공급량조절부(242)는 토양 공급관(230)이 삽입되며, 토양 공급관(230)의 삽입 길이에 따라 공급관걸이부(241)와의 접촉 시점이 조절된다. 즉, 토양 공급관(230)이 공급량조절부(242)에 깊이 삽입될수록, 공급관걸이부(241)와 공급량조절부(24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어 접촉 시점이 빨라진다. 또한 공급관 탄성체(243)는 가이드(140)에 부착되어 토양 공급관(230)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한다.
여기에서 대기모드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 모드이며, 동작모드는 파종 및 복토 동작이 이루어지는 모드를 지칭한다.
우선 대기모드에서, 손잡이(110)가 눌러지지 않았으므로, 공급관걸이부(241)와 공급량조절부(242)가 접촉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공급관 탄성체(243)가 토양 공급관(230)을 수평으로 계속 지지하고 있어, 토양 공급관(230)의 타단은 토양 차단판(220)에 밀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막대(120)에 부착된 파종막대(130)는 종자 배출구(171)로 파종막대(130)의 파종침을 삽입하지 않는다.
이후, 손잡이(110)가 하부로 눌러지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파종부(100) 설명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지지막대(120)에 부착된 파종막대(130)는 하강하게 되고, 종자통(150)의 개구부(151)를 통해서 파종막대(130)의 종자홈(121)에 종자가 삽입된다. 종자홈(121)에 삽입된 종자는 자신의 무게에 의해서 종자 수렴부(180)로 떨어지게 되고, 종자 배출구(171)를 통해서 토양에 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파종막대(130)의 파종침이 종자 배출구(171)를 통해서 토양에 삽입되면서 종자를 깊이 누르게 된다.
또한, 동작모드에서, 손잡이(110)가 하부로 눌러지면 지지막대(120)도 내려가며, 지지막대(120)에 부착된 공급관걸이부(241)가 하강하면서 토양 공급관(230)이 삽입된 공급량조절부(242)와 접촉된다. 공급관걸이부(241)와 공급량조절부(242)가 접촉되면서부터, 토양 공급관(230)을 지지하는 공급관 탄성체(243)에 누르는 힘이 가해지면서 토양 공급관(230)은 종자 수렴부(180) 방향으로 수평 이동된다. 이때, 토양 차단판(220)이 경사지게 되어 있으므로, 토양 공급관(230)과 토양 차단판(220) 사이에 공간이 생기면서 토양 공급관(230)을 통해서 전달된 복토용 토양은 종자 수렴부(180)로 투입되고, 종자 배출구(171)를 통해서 배출된다. 종자 배출구(171)를 통해서 배출된 복토용 토양은 종자가 심어진 상부로 복토된다. 이후에, 지지막대(120)는 스프링(161)의 탄성력 의해서 상승하게 되고, 토양 공급관(230)도 공급관 탄성체(243)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다시 대기모드로 전환된다.
참고적으로, 토양 공급관(230)에 삽입된 공급량조절부(242)를 토양 공급관(230)에 더욱 깊이 삽입 시킬수록, 공급관걸이부(241)와 공급량조절부(242)와의 접촉 시점이 빨라진다. 따라서 공급량조절부(242)의 삽입 위치를 조절하여 복토되는 토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접속 시점이 빨라질수록 토양 공급관(230)과 토양 차단판(220) 사이의 공간이 빨리 생기므로, 토양을 공급하는 시간이 증가하여 복토량이 증가한다. 반대로, 접속 시점이 늦어지면 토양을 공급하는 시간이 감소하므로 복토량이 감소한다.
도 7은 도 1의 파종기의 상부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1의 파종기의 유체 주입 동작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파종기의 유체 공급부에 대한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 공급부는 유체 받이(310), 돌출형 유체 마개(320), 유체 공급관(330) 및 유체 제어부로 구성된다.
유체 받이(310)는 바닥판(170)에 수직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전달되는 유체를 종자 배출구(171)로 전달한다. 유체 받이(310)의 바닥부분은 떨어지는 유체를 효과적으로 종자 배출구(171)로 전달하기 위해서 종자 배출구(171)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자 배출구(171)와 인접한 유체 받이(310) 하부에 유체가 전달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형 유체 마개(320)는 유체 받이(310) 바닥에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때, 돌출형 유체 마개(320)의 형상은 유체 공급관(330)에 삽입되어 유체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유체 마개(320)의 형상은 볼록한 형태의 삼각 및 원형 등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체 공급관(330)은 일단이 돌출형 유체 마개(320)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단을 통해서 유체를 전달받는다. 유체 공급관(330)에는 유체 차단밸브(331)가 추가 될 수도 있다.
유체 제어부는 지지막대(120)에 부착되며, 지지막대(120)의 하강시 유체 공급관(330)을 상승시켜 유체 공급관(330)에 삽입된 돌출형 유체 마개(320)를 유체 공급관(330)과 분리시킴으로써, 유체를 배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 제어부는 유체 공급관(330)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유체 스프링부(341)와, 유체 공급관(3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시점 및 시간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유체량 조절부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유체량 조절부는 유체량 조절막대(342)와, 유체량 조절판(343)과, 유체량 조절나사(344)로 구성된다.
유체량 조절막대(342)는 지지막대(120)에 부착되며 부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유체량 조절막대(342)의 일측은 지지막대(120)에 부착되며, 볼트와 너트를 통해서 지지막대(120)와의 부착 각도를 조절한다. 또한, 유체량 조절막대(342)의 타측은 유체량 조절판(343)을 아래로 누르기 위한 누름바(347)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유체량 조절판(343)은 유체 스프링부(341)에 부착되며 유체량 조절막대(342)와 접촉시 유체 스프링부(341)의 스프링을 수직방향으로 확장 시킨다. 유체량 조절나사(344)는 유체량 조절판(343)의 이동거리를 조절한다. 즉, 유체량 조절판(343)은 중심에 회전축(AXIS)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유체 스프링부(341)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의 상부로 유체량 조절막대(342)와 접촉한다.
유체량 조절막대(342)가 하강하여, 유체량 조절판(343)의 타측의 상부에 접촉되어 타측이 하강할 때, 유체량 조절판(343)의 일측이 회전축(AXIS)을 중심으로 상승한다. 이때 유체량 조절판(343)의 일측의 상부에는 유체량 조절나사(344)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유체량 조절나사(344)의 길이를 조절해서 유체량 조절판(343)의 상승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투입되는 유체량이 조절되는 원리 및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유체량 조절막대(342)의 각도를 조절해서, 유체량 조절판(343)과의 접촉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유체량 조절막대(342)와 지지막대(120)와의 각도가 커질수록 유체량 조절판(343)과의 접촉 시점이 늦추어지고, 유체량 조절막대(342)와 지지막대(120)와의 각도가 작아질수록 유체량 조절판(343)과의 접촉 시점이 빨라진다. 유체량 조절판(343)은 중심에 회전축(AXIS)이 형성되고 일단에 유체 스프링부(341)의 스프링이 연결되고 타단(검은점 표시부분)에 유체량 조절막대(342)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유체량 조절막대(342)가 유체량 조절판(343)에 접촉되면서부터, 유체 스프링부(341)의 스프링이 확장되면서, 조절바(345)를 상승시킨다. 조절바(345)는 유체 공급관(330)과 밴드(346)를 통해서 결합되어 있으므로, 조절바(345)가 상승하면 이와 동시에 유체 공급관(330)도 상승되면서 돌출형 유체 마개(320)가 빠지게 되어, 유체가 유체 받이(310)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때, 유체량 조절막대(342)가 유체량 조절판(343)에 접촉되는 시점이 빨라질수록, 돌출형 유체 마개(320)도 유체 공급관(330)에서 빨리 빠지게 되어, 유체 공급량이 증가한다.
또한, 유체량 조절나사(344)의 길이를 조절하여 유체량 조절판(343)의 상승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유체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유체량 조절판(343)의 상승거리가 길다는 것은, 돌출형 유체 마개(320)가 유체 공급관(330)에서 빠져있는 시간이 증가하는 것이므로, 유체량 조절판(343)의 상승거리가 길수록 유체 공급량이 증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는 한 번의 손잡이(110) 누름 조작을 통해서,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복토 동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급량조절부(242)에 삽입되는 토양 공급관(230)의 삽입거리를 조절하여, 공급관걸이부(241)와 공급량조절부(242)와의 접촉 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 접촉 시점을 제1 시점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유체 공급 동작에 있어서 유체량 조절막대(342)가 유체량 조절판(343)에 접촉되는 시점을 제2 시점이라고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시점이 제2 시점보다 빨리 발생할 경우, 복토 동작이 선행되고 유체 공급 동작이 후행된다. 반대로 제2 시점이 제1 시점보다 빨리 발생할 경우, 유체 공급 동작이 선행되고 복토 동작이 후행된다. 즉, 제1 시점이 빨리 발생할 경우, 종자가 파종되고 복토된 이후 유체가 공급된다. 또한, 제2 시점이 빨리 발생할 경우, 파종된 종자에 직접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하고, 복토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는,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함에 있어서, 제1 시점의 발생 타이밍을 조절하여 복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2 시점의 발생 타이밍을 조절하여 유체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상대적인 발생 타이밍, 즉 제1 시점과 제2 시점 중 어느 것이 먼저 발생하는지를 조절하여, 종자에 유체가 먼저 공급될지, 복토가 먼저 이루어질지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시점이 먼저 발생하도록 조절되면, 파종기는 병충해 방지제 및 발아 촉진제 등을 희석시킨 유체를 파종시 종자에 직접 주입해 줄 수 있으므로, 파종 작업 전에 종자를 소독하거나 약제로 코팅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파종시 약제 대신 일정량의 물을 종자에 직접 주입해 준 후, 복토를 할 수 있으므로, 수분 부족으로 인한 종자의 미발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종자가 파종된 정확한 위치에 일정량의 물을 주입해 줄 수 있으므로, 물 사용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제1 시점이 먼저 발생하도록 조절되면, 종자가 파종되고 복토된 그 위치에 액상 형태의 약제를 동시에 뿌려줄 수 있으므로, 약제를 살포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참고적으로, 실시예에 따라 유체 공급관(330)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통을 추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파종기는 2kg 정도의 무게로 구성되므로, 유체 공급통을 추가할 경우 9리터 내지 18리터 용량의 플라스틱 용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리터 플라스틱 용기를 통해서 유체를 공급할 경우, 참깨 파종시 1300~ 1500 홈에 유체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손잡이 120 : 지지막대 130 : 파종막대 140 : 가이드
150 : 종자통 160 : 지지 프레임 170 : 바닥판 180 : 종자 수렴부
151 : 개구부 210 : 토양 보관통 220 : 토양 차단판
230 : 토양 공급관 241 : 공급관걸이부 242 : 공급량조절부
243 : 공급관 탄성체 310 : 유체 받이 320 : 돌출형 유체 마개
330 : 유체 공급관 341 : 유체 스프링부 342 : 유체량 조절막대
343 : 유체량 조절판 344 : 유체량 조절나사 345 : 조절바
346 : 밴드

Claims (10)

  1.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파종기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파종 깊이로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부;
    상기 종자의 상부로 일정량의 토양을 복토하는 복토부; 및
    파종된 상기 종자에 직접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종자가 파종되고 복토된 이후 상기 유체를 공급하도록 조절하는 유체 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바닥판에 부착되어 전달되는 유체를 종자 배출구로 전달하는 유체 받이;
    상기 유체 받이 바닥에 형성되는 돌출형 유체 마개;
    일단이 상기 돌출형 유체 마개에 삽입되며 타단을 통해서 유체를 전달받는 유체 공급관; 및
    지지막대에 부착되며, 상기 지지막대의 하강시 상기 유체 공급관을 상승시켜 상기 유체 공급관에 삽입된 상기 돌출형 유체 마개와 분리시키는 유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제어부는,
    상기 유체 공급관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유체 스프링부; 및
    상기 유체 공급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시점 및 시간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유체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량 조절부는,
    상기 지지막대에 부착되며, 부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체량 조절막대;
    상기 유체 스프링부에 부착되며, 상기 유체량 조절막대와 접촉시 상기 유체 스프링부의 스프링을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유체량 조절판; 및
    상기 유체량 조절판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유체량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부는,
    상부에 손잡이가 부착된 상기 지지막대;
    상기 지지막대에 탈부착 가능하며, 몸통의 일정 부분에 종자가 거치되는 종자홈과 말단 부분에 파종침이 형성되는 파종막대;
    상기 파종막대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부착되며, 상기 파종막대의 상기 종자홈에 종자를 제공하는 종자통;
    상기 지지막대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와 상기 종자통을 상기 바닥판에 고정시키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종자홈을 통해서 유도된 상기 종자를 상기 바닥판의 상기 종자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종자 수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부는, 파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파종깊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깊이 조절부는,
    상기 지지막대에 부착되며 회전을 통해서 수직방향으로의 길이가 조절되는 깊이 조절판; 및
    상기 깊이 조절판과의 접촉을 통해서 상기 지지막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정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부는,
    하부에 토양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양 보관통;
    상기 종자 수렴부에 경사지도록 부착되는 토양 차단판;
    상기 토양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복토용 토양을 상기 토양 차단판으로 전달하되, 말단이 상기 토양 차단판에 밀착되는 토양 공급관; 및
    상기 지지막대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막대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토양 공급관을 상기 종자 배출구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토양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개폐부는, 복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개폐부는,
    상기 지지막대에 부착되며, 상기 지지막대의 하강시 상기 토양 공급관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급관걸이부;
    상기 토양 공급관이 삽입되며, 상기 토양 공급관의 삽입 길이에 따라 상기 공급관걸이부와의 접촉 시점이 조절되는 공급량조절부; 및
    상기 토양 공급관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공급관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KR1020140109357A 2014-08-22 2014-08-22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파종기 KR20160023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357A KR20160023265A (ko) 2014-08-22 2014-08-22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357A KR20160023265A (ko) 2014-08-22 2014-08-22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265A true KR20160023265A (ko) 2016-03-03

Family

ID=5553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357A KR20160023265A (ko) 2014-08-22 2014-08-22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32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4489A (zh) * 2018-07-25 2018-11-20 邱龙 一种园林种植用填土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077U (ko) 2010-08-20 2010-09-15 임옥만 모래가 복토되는 파종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077U (ko) 2010-08-20 2010-09-15 임옥만 모래가 복토되는 파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4489A (zh) * 2018-07-25 2018-11-20 邱龙 一种园林种植用填土装置
CN108834489B (zh) * 2018-07-25 2021-05-18 赣州丰锦园生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园林种植用填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8100915A (ru) Системы,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внесени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жидкости
CN103168537A (zh) 一种气吸式播种机
KR20160023262A (ko) 육묘용 파종 시스템
KR20160073645A (ko) 마늘 파종기
KR20160023265A (ko) 파종, 복토 및 유체 공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파종기
KR101990206B1 (ko) 관수장치가 구비된 롤러타입 양파 파종기
CN208940322U (zh) 亚麻播种除草施肥一体机
KR101512002B1 (ko)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
KR20180097409A (ko) 개량형 파종기
CN206506854U (zh) 一种拟南芥种子播种器
KR20190050465A (ko)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KR101473759B1 (ko) 비닐 피복장치용 약제 살포장치
CN108174657A (zh) 一种播种效率高的播种设备
CN211509962U (zh) 一种可调节式苗木种植培育装置
KR101611424B1 (ko) 개량된 종자 투입구조를 갖는 점파식 종자 배출장치
KR101177676B1 (ko) 식물 재배기
RU2435354C1 (ru) Сошник для подпочвенно-разбросного посева
CN107996082B (zh) 一种间隔式播种机
CN207885168U (zh) 一种方便浇水的播种机
CN108012603A (zh) 一种播种量可控的播种机
KR200480773Y1 (ko) 파종기
CN209299691U (zh) 一种用于中药田的种植装置
CN219555626U (zh) 一种可调节的农业播种机
CN107926229A (zh) 一种出苗率高的播种机
CN211019949U (zh) 一种具备开沟深度调节功能的播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