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465A -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465A
KR20190050465A KR1020170145891A KR20170145891A KR20190050465A KR 20190050465 A KR20190050465 A KR 20190050465A KR 1020170145891 A KR1020170145891 A KR 1020170145891A KR 20170145891 A KR20170145891 A KR 20170145891A KR 20190050465 A KR20190050465 A KR 20190050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ing
piston
sowing
seed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779B1 (ko
Inventor
이상규
이희주
문보흠
김성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7014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7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02Dibble see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종자수용공간(11)에 수용된 종자(1)는 호퍼면(13)의 경사에 의해 종자공급구(14)로 저절로 유입되어 주둥이(18)의 파종문(19) 상에 필요한 양(예컨대 1~2립)만큼 모여 있는 상태에 놓인다. 파종깊이 조절수단(30)의 구멍 크기를 원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파종깊이 조절수단(30)이 호퍼면(13)에 걸려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않기 때문에 파종깊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누름 스위치(17)를 누르기 시작하면 스프링(16)의 탄성 반발력을 이기면서 피스톤(15)이 밑으로 내려오기 시작하고, 피스톤(15)의 푸쉬부(15a)가 파종문(19)을 밑으로 밀게 된다. 이 때, 종자(1)는 푸쉬부(15a)의 가운데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종자수렴공간(15b)에 자연스럽게 모이게 되므로 종자(1)가 피스톤(15)과 파종문(19) 사이에 눌려서 손상되는 것은 방지된다. 누름 스위치(17)를 더 누르면 푸쉬부(15a)의 미는 힘에 의해서 파종문(19)을 이루는 복수개의 절편(19a)이 밑으로 내려오면서 벌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종자(1)가 주둥이(18) 밖으로 배출되어 파종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치 볼펜과 같이 누름 스위치를 누르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종자를 파종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에 적합하며, 파종깊이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Potable seeder}
본 발명은 직파 종자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며 파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무, 당근 등 근채류는 육묘를 하지 않고 재배지에 직접 종자를 파종하는 이른바 직파를 통하여 재배한다. 이 때 종래의 파종방법은 호미 등 농기를 사용하여 구멍을 파거나 줄뿌림 골을 파서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또한 파종 깊이가 일정치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09474호(2001.01.15.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6-0011684호(2016.02.01.공개) 등에 파종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파종 깊이를 조절할 수가 없어 휴대용으로 간단히 파종하는 데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09474호(2001.01.15.공고) 한국공개특허 제2016-0011684호(2016.02.01.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며 파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는,
상하로 긴 형태를 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내부의 가운데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중공벽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벽 내부는 피스톤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상기 중공벽과 외벽 사이는 종자가 수용되는 종자수용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아랫단은 경사져서 호퍼면을 이루고, 상기 중공벽의 밑단과 상기 호퍼면은 이격되어 그 사이에 종자공급구가 형성되며, 상기 호퍼면의 가운데에는 밑으로 돌출되도록 주둥이가 형성되며 상기 주둥이의 밑단이 파종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방된 윗단을 막도록 설치되는 뚜껑;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관에 설치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관의 내측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 받침부;
상기 피스톤이 안에 끼워지도록 상기 스프링 받침부 상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위로 돌출되되 상기 뚜껑 밖으로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뚜껑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누름 스위치;
상기 피스톤의 하향 슬라이딩 시에 상기 피스톤에 의해 밑으로 밀리면서 열리도록 상기 파종구에 설치되는 파종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의 밑면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파종문을 밀도록 푸쉬부가 밑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종문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절개된 형태를 하며, 상기 피스톤에 의해 밑으로 밀리지 않는 경우에는 복원되어 상기 파종구를 막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파종문은 복원성이 강한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둥이나 호퍼면에 파종깊이 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파종깊이 조절수단은 가운데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주둥이나 호퍼면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치 볼펜과 같이 누름 스위치를 누르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종자를 파종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에 적합하며, 파종깊이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100)의 구조 및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100)의 구조 및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누름 스위치(17)가 눌리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몸체(10)는 상하로 긴 형태를 하며 내부가 비어 있다. 몸체(10)의 내부 가운데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중공벽(12)이 형성된다. 중공벽(12)의 내부는 피스톤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중공벽(12)과 몸체(10)의 외벽 사이는 종자(1)가 수용되는 종자수용공간(11)로서의 역할을 한다.
몸체(10)의 아랫단은 경사져서 호퍼면(13)을 이루고, 중공벽(12)의 밑단과 호퍼면(13)은 이격되어 그 사이에 종자공급구(14)가 형성된다. 호퍼면(13)의 가운데에는 밑으로 돌출되도록 주둥이(18)가 형성되며, 주둥이(18)의 밑단이 파종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뚜껑(20)은 몸체(10)의 개방된 윗단을 막도록 설치된다.
피스톤(15)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피스톤관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중공벽(12)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관의 내측면에는 스프링 받침부(12a)가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16)은 피스톤(15)이 안에 끼어지도록 스프링 받침부(12a) 상에 설치된다.
누름 스위치(17)는 뚜껑(20)을 관통하여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누름 스위치(17)가 뚜껑(20) 밖으로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뚜껑(20)에 걸리는 걸림돌기(17a)가 누름 스위치(17)에 설치된다.
피스톤(15)의 하향 슬라이딩 시에 피스톤(15)에 밀려 밑으로 열리도록 주둥이(18)의 밑단 즉 상기 파종구에 파종문(19)이 설치된다.
피스톤(15)의 밑면 가장자리 부분에는 파종문(19)을 밀도록 돌출되는 푸쉬부(15a)가 형성된다. 푸쉬부(15a)의 형성으로 인해 푸쉬부(15a)에 의해 둘러싸인 가운데 부분에는 자연스럽게 푸쉬부(15a)를 기준으로 위로 볼록한 종자수렴공간(15b)이 마련된다.
파종문(19)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절개된 복수개의 절편(19a)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15)이 하향 슬라이딩하면 푸쉬부(15a)가 파종문(19)에 먼저 닿으면서 파종문(19)을 밑으로 밀게 되고 이 과정에서 복수개의 절편(19a)이 밑으로 내려오면서 벌어지게 되어 종자(1)가 주둥이(18) 밖으로 배출된다.
푸쉬부(15a)가 없어서 피스톤(15)의 밑면이 평평하다면 피스톤(15)이 파종문(19)을 미는 과정에서 종자(1)가 압착되어 손상될 우려가 많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와 같이 푸쉬부(15a)와 종자수렴공간(15b)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15)이 위로 올라가면 복수개의 절편(19a)이 위로 올라가면서 원상복귀 되어 파종구를 막아야 하기 때문에 파종문(19)은 복원성이 강한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종깊이 조절수단(30)은 가운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을 통하여 주둥이(18)나 호퍼면(13)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파종깊이 조절수단(30)의 구멍 크기를 적당한 것으로 선택함으로써 파종깊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주둥이(18)를 지면에 꼽는다. 이 때, 종자수용공간(11)에 수용된 종자(1)는 호퍼면(13)의 경사에 의해 종자공급구(14)로 저절로 유입되어 주둥이(18)의 파종문(19) 상에 필요한 양(예컨대 1~2립)만큼 모여 있는 상태에 놓인다. 파종깊이 조절수단(30)의 구멍 크기를 원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파종깊이 조절수단(30)이 호퍼면(13)에 걸려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않기 때문에 파종깊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에서와 같이 누름 스위치(17)를 누르기 시작하면 스프링(16)의 탄성 반발력을 이기면서 피스톤(15)이 밑으로 내려오기 시작하고, 피스톤(15)의 푸쉬부(15a)가 파종문(19)을 밑으로 밀게 된다. 이 때, 종자(1)는 푸쉬부(15a)의 가운데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종자수렴공간(15b)에 자연스럽게 모이게 되므로 종자(1)가 피스톤(15)과 파종문(19) 사이에 눌려서 손상되는 것은 방지된다.
계속해서, 도 3에서와 같이 누름 스위치(17)를 더 누르면 푸쉬부(15a)의 미는 힘에 의해서 파종문(19)을 이루는 복수개의 절편(19a)이 밑으로 내려오면서 벌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종자(1)가 주둥이(18) 밖으로 배출되어 파종이 이루어진다.
파종이 이루어진 후 누름 스위치(17)를 놓으면 스프링(16)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누름 스위치(17)가 걸림돌기(17a)가 걸릴 때까지 위로 튀어 올라가 도 1과 같은 상태로 복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치 볼펜과 같이 누름 스위치를 누르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종자를 파종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에 적합하며, 파종깊이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1: 종자 10: 몸체
11: 종자수용공간 12: 중공벽
12a: 스프링 받침부 13: 호퍼면
14: 종자공급구 15: 피스톤
15a: 푸쉬부 15b: 종자수렴공간
16: 스프링 17: 누름 스위치
17a: 걸림돌기 18: 주둥이
19: 파종문 19a: 파종문 절편
20: 뚜껑 30: 파종깊이 조절수단
100: 파종기

Claims (5)

  1. 상하로 긴 형태를 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내부의 가운데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중공벽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벽 내부는 피스톤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상기 중공벽과 외벽 사이는 종자가 수용되는 종자수용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아랫단은 경사져서 호퍼면을 이루고, 상기 중공벽의 밑단과 상기 호퍼면은 이격되어 그 사이에 종자공급구가 형성되며, 상기 호퍼면의 가운데에는 밑으로 돌출되도록 주둥이가 형성되며 상기 주둥이의 밑단이 파종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방된 윗단을 막도록 설치되는 뚜껑;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관에 설치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관의 내측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 받침부;
    상기 피스톤이 안에 끼워지도록 상기 스프링 받침부 상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위로 돌출되되 상기 뚜껑 밖으로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뚜껑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누름 스위치;
    상기 피스톤의 하향 슬라이딩 시에 상기 피스톤에 밑으로 밀리면서 열리도록 상기 파종구에 설치되는 파종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밑면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파종문을 밀도록 푸쉬부가 밑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문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절개된 형태를 하며, 상기 피스톤에 의해 밑으로 밀리지 않는 경우에는 복원되어 상기 파종구를 막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문은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나 호퍼면에 파종깊이 조절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파종깊이 조절수단은 가운데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주둥이나 호퍼면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KR1020170145891A 2017-11-03 2017-11-03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KR102026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891A KR102026779B1 (ko) 2017-11-03 2017-11-03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891A KR102026779B1 (ko) 2017-11-03 2017-11-03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465A true KR20190050465A (ko) 2019-05-13
KR102026779B1 KR102026779B1 (ko) 2019-10-01

Family

ID=6658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891A KR102026779B1 (ko) 2017-11-03 2017-11-03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7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6123A (zh) * 2022-04-22 2022-07-22 南通大学 一种微小种子点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740B1 (ko) 2020-07-24 2023-02-28 박성배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474B1 (en) 1989-07-19 1999-07-15 Sony Corp Signal coder / decoder and the method
KR20070093644A (ko) * 2006-03-14 2007-09-19 최기봉 다품종 파종기
KR20120025906A (ko) * 2010-09-08 2012-03-16 한상준 휴대용 소형 고체입자 배출기
JP2014209875A (ja) * 2013-04-19 2014-11-13 孝一 森橋 手持播種器
KR20160011684A (ko) 2016-01-12 2016-02-01 최기봉 한 손용 씨앗 파종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474B1 (en) 1989-07-19 1999-07-15 Sony Corp Signal coder / decoder and the method
KR20070093644A (ko) * 2006-03-14 2007-09-19 최기봉 다품종 파종기
KR20120025906A (ko) * 2010-09-08 2012-03-16 한상준 휴대용 소형 고체입자 배출기
JP2014209875A (ja) * 2013-04-19 2014-11-13 孝一 森橋 手持播種器
KR20160011684A (ko) 2016-01-12 2016-02-01 최기봉 한 손용 씨앗 파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6123A (zh) * 2022-04-22 2022-07-22 南通大学 一种微小种子点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779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270B1 (ko) 파종기의 보조 파종관
KR102037034B1 (ko) 수동식 파종기
KR20160073645A (ko) 마늘 파종기
KR20190050465A (ko)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CN105340425A (zh) 播种插秧器
US4165697A (en) Hand operated seed planter
KR20150085163A (ko) 작물 파종기
KR20080082044A (ko) 다용도 씨앗 파종기
JP6318646B2 (ja) 植物栽培装置、種植え込み器具及び育苗器具
CN207652946U (zh) 一种苜蓿穴播播种器
KR20160011684A (ko) 한 손용 씨앗 파종기
KR20160097575A (ko) 다용도 파종기
KR20180097409A (ko) 개량형 파종기
KR20210097944A (ko) 수동 점파종기
KR101533800B1 (ko) 종이 트레이 육묘판 파종장치
CN209017429U (zh) 一种农业种植播种器
KR20160119479A (ko) 흙 이탈판이 구비된 육묘이식 및 파종기
CN212588858U (zh) 一种园林用幼苗移植装置
KR20140142482A (ko) 육묘용 파종기
KR20200016618A (ko) 파종기
KR101239790B1 (ko) 휴대용 소형 고체입자 배출기
KR20140002598U (ko) 입식 파종기
US4896797A (en) Seed stick
CN217136049U (zh) 一种烟苗封窝施肥装置
JP4832611B1 (ja) マルチ栽培用の補助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