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966A -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 - Google Patents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966A
KR20160022966A KR1020140108165A KR20140108165A KR20160022966A KR 20160022966 A KR20160022966 A KR 20160022966A KR 1020140108165 A KR1020140108165 A KR 1020140108165A KR 20140108165 A KR20140108165 A KR 20140108165A KR 20160022966 A KR20160022966 A KR 20160022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ropeller
engine
partition wall
s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창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8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2966A/ko
Publication of KR20160022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4Propeller shafts; Paddle-wheel shafts; Attachment of propellers on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Abstract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선미를 갖는 선체와; 선미에 설치되는 프로펠러와; 프로펠러를 구동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엔진과 프로펠러 사이에 설치되는 선미격벽; 및 선미격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엔진과 프로펠러를 연결하여 엔진의 회전력을 프로펠러에 전달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선미격벽은, 엔진과 프로펠러 사이를 구획하도록 선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격벽부; 및 수직격벽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샤프트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돌출격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SHIP HAVING PROPULSION APPARATUS TO EASY ASSEMBLE AND DISASSEMBLE}
본 발명은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미에 선박의 추진을 위한 프로펠러 추진장치가 구비되는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사용되는 통상의 프로펠러 추진장치는, 선미에 프로펠러가 설치되고, 이 프로펠러와 엔진을 하나의 축으로 연결하는 직결 구동방식의 형태이다.
이러한 프로펠러 추진장치에 따르면, 프로펠러는 선박의 외부로 돌출되어 수중에 위치되도록 선미에 설치되고, 선박 내부에 설치되는 엔진과 프로펠러는 샤프트에 의해 연결되며, 엔진에 의해 샤프트와 프로펠러가 함께 회전함으로써 추진력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은 프로펠러 추진장치가 설치되는 선박의 선미에는, 선내의 부식 및 해양 오염 그리고 해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수밀 격벽이 설치된다. 이러한 수밀 격벽은 선미의 프로펠러와 엔진 사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면 형태로 설치되며, 샤프트는 이러한 수밀 격벽을 관통하여 엔진과 프로펠러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00636호(1996.10.29. 등록, 고안의 명칭: 선박엔진용 출력축의 수밀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엔진과 프로펠러 사이에 구비된 샤프트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선미를 갖는 선체와; 상기 선미에 설치되는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를 구동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엔진과 상기 프로펠러 사이에 설치되는 선미격벽; 및 상기 선미격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엔진과 상기 프로펠러를 연결하여 상기 엔진의 회전력을 상기 프로펠러에 전달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선미격벽은, 상기 엔진과 상기 프로펠러 사이를 구획하도록 상기 선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격벽부; 및 상기 수직격벽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돌출격벽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출격벽부는, 상기 수직격벽부로부터 상기 선미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샤프트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수직 방향의 벽면을 형성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수직격벽부를 연결하는 벽면을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수직격벽부 또는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각 모서리 부분에는, 일측이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격벽부 또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수직격벽부의 연결 부분 또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돌출부의 연결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브래킷이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엔진에 결합되는 제1샤프트; 및 상기 프로펠러에 결합되고, 상기 제1샤프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샤프트는, 상기 제1샤프트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에 따르면, 선미격벽에 돌출격벽부를 형성하여 엔진룸 내부에 돌출격벽부가 선미 측으로 돌출된 길이만큼 확장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창의 확장으로 인해 엔진룸의 공간이 좁아지는 경우에도 샤프트를 쉽게 분해하여 발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샤프트의 분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샤프트의 분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100)은 선체(110)와, 프로펠러(120)와, 엔진(130)과, 선미격벽(140) 및 샤프트(150)를 포함한다.
선체(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100)의 본체를 이룬다. 이러한 선체(110)의 내부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장치들과, 수송될 각종 화물을 저장하는 화물창(113)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선체(110)의 후방에는 프로펠러(120)가 설치되는 선미(111)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프로펠러(120)는 선체(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수중에 위치되도록 선미(111)에 설치되고, 선미(111)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샤프트(150)와 결합된다.
이러한 프로펠러(120)는 엔진(130)으로부터 샤프트(150)를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선체(110)가 이동되기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엔진(130)은 선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한 바와 같은 프로펠러(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엔진(130)은 선체(110)의 내부에서 샤프트(150)와 연결되어 샤프트(150)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엔진(130)은, 선체(110)에 설치된 화물창(113) 중 최후방에 설치된 화물창(113)의 후방 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엔진(130)은 화물의 적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화물창(113)의 개수 또는 용적이 증가될 수록, 선체(110) 내에서 화물창(113)이 설치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선미(111) 측에 가깝게 설치된다.
선미격벽(140)은 엔진(130)과 프로펠러(120) 사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선미격벽(140)은 엔진(130)이 설치되는 엔진룸(115)을 형성하는 격벽 중 하나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선미격벽(140)은 엔진룸(115) 내부와 프로펠러(120)가 설치되는 선미(111) 사이를 구획하며, 해수가 엔진룸(115)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격벽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미격벽(140)은 수직격벽부(141)와, 돌출격벽부(145)를 포함한다.
수직격벽부(141)는 엔진(130)과 프로펠러(120) 사이를 구획하도록 선체(110)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수직격벽부(141)는 엔진룸(115) 내부로의 해수 침입이 차단되도록 수밀 구조를 이루도록 선체(110)에 설치되며, 이러한 수직격벽부(141)의 인접 측에는 선미 피크 탱크(117)가 설치된다.
선미 피크 탱크(117)는 프로펠러(1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선미(111)의 최후방 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선미 피크 탱크(117)에는 선체(110)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밸러스트수 또는 음용수 등이 저장된다.
돌출격벽부(145)는 샤프트(150)가 통과하게 되는 부분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돌출격벽부(145)는 수직격벽부(141)로부터 선미(111)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돌출격벽부(145)에는 샤프트(150)가 관통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격벽부(145)는 돌출부(146)와 연결부(1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돌출부(146)는 수직격벽부(141)로부터 선미(111) 측으로 수직격벽부(141)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46)는 샤프트(150)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수직 방향의 벽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연결부(147)는 돌출부(146)와 수직격벽부(141)를 연결하는 수평 방향의 벽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연결부(147)에 의해, 수직격벽부(141)와 돌출격벽부(145) 간의 연결 부분은 "┏┛" 형상을 이루며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격벽부(141)로부터 선미(111)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격벽부(145)는, 엔진룸(115) 내부에 돌출격벽부(145)가 선미(111) 측으로 돌출된 길이만큼의 확장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선미격벽(140)에 의해 구획되는 엔진룸(115)의 내부는, 돌출격벽부(145) 없이 수직격벽부(141)가 끝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돌출격벽부(145)가 선미(111) 측으로 돌출된 길이만큼 확장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선미격벽(140)에는 보강브래킷(16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브래킷(160)은 연결부(147)와 수직격벽부(141)를 연결하는 모서리와, 연결부(147)와 돌출부(147)를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각각의 보강브래킷(160)은, 일측이 연결부(147)와 결합되고, 타측이 수직격벽부(141) 또는 돌출부(147)와 결합되어 각 연결 부분을 보강함으로써, 수직격벽부(141)와 돌출격벽부(145)의 연결 부분에 가해질 수 있는 국부 하중을 선미격벽(140)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샤프트(150)는 선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엔진(130)과 프로펠러(120)를 연결하여 엔진(130)의 회전력을 프로펠러(120)에 전달한다. 이러한 샤프트(150)는 선미격벽(14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제1샤프트(151)와 제2샤프트(155)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샤프트(151)는 엔진(130)에 결합되어 엔진(130)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제2샤프트(155)는 프로펠러(120)에 결합되고, 제1샤프트(151)에 결합되어 엔진(130)의 회전력을 프로펠러(120)에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제1샤프트(151)와 제2샤프트(155)는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형성된 플랜지(부호생략)간의 결합을 매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샤프트(151)는 선미격벽(140)에 의해 구획된 엔진룸(115)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샤프트(155)는 선미격벽(14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돌출격벽부(145)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일측이 엔진룸(115)의 내부에서 제1샤프트(151)와 결합되고, 타측이 프로펠러(120)와 결합된다. 즉 제1샤프트(151)와 제2샤프트(155)의 결합 부위가 엔진룸(115)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제1샤프트(151)와 결합되는 제2샤프트(155)는 제1샤프트(151)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샤프트(155)는 제1샤프트(151)와의 결합 부위가 엔진룸(115)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되, 샤프트(150)의 조립 분해 작업을 위해 요구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 범위 내에서 가장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샤프트의 분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샤프트의 분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미(111)의 하부 측에는 프로펠러(120)가 설치되고, 그 전방 측에는 선체(110)의 내부에 엔진(130)이 설치되며, 프로펠러(120)와 엔진(130) 사이에는 선미격벽(140)이 설치되어 엔진룸(115)의 선미(111) 측 벽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샤프트(150)는 선미격벽(14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프로펠러(120)와 엔진(130)을 연결하며, 프로펠러(120) 상부의 선미(111)의 최후방에는 선미 피크 탱크(117)가 설치된다.
샤프트(150)는 선미격벽(14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수직격벽부(141)로부터 선미(111)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격벽부(145)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선미 피크 탱크(117)는 선미격벽(140)과 인접한 측이 선미격벽(140)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미격벽(140)은 돌출격벽부(145)가 선미 피크 탱크(117)보다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선미 피크 탱크(117)가 전방 측으로 확장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선미격벽(140)은, 선미 피크 탱크(117)의 위치 및 선미 피크 탱크(117)의 확장 가능 공간과 무관한 영역인 선미 피크 탱크(117)의 하부 측에 돌출격벽부(145)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선미 피크 탱크(117)가 위치된 전방 측에는 수직격벽부(141)가 돌출격벽부(145)보다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배치되어 선미 피크 탱크(117)가 전방 측으로 확장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선미 피크 탱크(117)가 선미격벽(140)의 돌출 형상 형성 여부에 영향받지 않고 필요한 충분한 수용공간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선미격벽(140)에는 보강브래킷(160)이 설치되며, 이러한 보강브래킷(160)에 의해 수직격벽부(141)와 돌출격벽부(145)의 연결 부분의 강도가 보강됨으로써, 선미격벽(140)의 절곡된 형상부에 가해질 수 있는 국부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샤프트(150)는 선미격벽(14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수직격벽부(141)로부터 선미(111)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격벽부(145)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샤프트(150)는 제1샤프트(151)와 제2샤프트(155)의 결합 부위가 엔진룸(115)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제1샤프트(151)보다 제2샤프트(155)가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1샤프트(151)와 제2샤프트(155)의 결합 부위는 엔진룸(115)의 내부에 위치되되, 샤프트(150)의 조립 분해 작업을 위해 요구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만큼 돌출격벽부(145)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샤프트(150)의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제2샤프트(155)를 선체(1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 제1샤프트(151)와 제2샤프트(155)를 분리한 후, 제1샤프트(151)를 먼저 엔진룸(115) 바닥으로 내려놓는다.
그런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샤프트(155)를 샤프트(150)의 길이 방향으로 당겨 선미격벽(14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엔진룸(115) 내부로 발출(拔出)한다. 이때 제2샤프트(155)가 제1샤프트(151)보다 짧은 길이로 구비되고, 엔진룸(115)의 내부에는 돌출격벽부(145)가 선미(111) 측으로 돌출된 길이만큼 확장된 공간이 확보된 상태이다.
즉 화물의 적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화물창(113)의 개수 또는 용적이 증가되어 엔진(130)이 선미(111) 측에 가깝게 설치되고, 이에 따라 엔진룸(115)의 선체(110)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가 짧아지더라도, 샤프트(150)를 선체(110) 외부로 발출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100)은, 선미격벽(140)에 돌출격벽부(145)를 형성하여 엔진룸(115) 내부에 돌출격벽부(145)가 선미(111) 측으로 돌출된 길이만큼 확장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창(115)의 확장으로 인해 엔진룸(115)의 공간이 좁아지는 경우에도 샤프트(150)를 쉽게 분해하여 발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
110 : 선체 111 : 선미
113 : 화물창 115 : 엔진룸
117 : 선미 피크 탱크 120 : 프로펠러
130 : 엔진 140 : 선미격벽
141 : 수직격벽부 145 : 돌출격벽부
146 : 돌출부 147 : 연결부
150 : 샤프트 151 : 제1샤프트
155 : 제2샤프트 160 : 보강 브래킷

Claims (5)

  1.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선미를 갖는 선체;
    상기 선미에 설치되는 프로펠러;
    상기 프로펠러를 구동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상기 엔진과 상기 프로펠러 사이에 설치되는 선미격벽; 및
    상기 선미격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엔진과 상기 프로펠러를 연결하여 상기 엔진의 회전력을 상기 프로펠러에 전달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선미격벽은,
    상기 엔진과 상기 프로펠러 사이를 구획하도록 상기 선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격벽부; 및
    상기 수직격벽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돌출격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격벽부는,
    상기 수직격벽부로부터 상기 선미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샤프트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수직 방향의 벽면을 형성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수직격벽부를 연결하는 벽면을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수직격벽부 또는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각 모서리 부분에는, 일측이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격벽부 또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수직격벽부의 연결 부분 또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돌출부의 연결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브래킷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엔진에 결합되는 제1샤프트; 및
    상기 프로펠러에 결합되고, 상기 제1샤프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샤프트는, 상기 제1샤프트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
KR1020140108165A 2014-08-20 2014-08-20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 KR20160022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165A KR20160022966A (ko) 2014-08-20 2014-08-20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165A KR20160022966A (ko) 2014-08-20 2014-08-20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966A true KR20160022966A (ko) 2016-03-03

Family

ID=5553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165A KR20160022966A (ko) 2014-08-20 2014-08-20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29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4939B2 (en) Inflatable surf board with an electric drive
US2950701A (en) Boat with two spaced hulls
US8529305B2 (en) Electric outboard drive
CA2781523A1 (en) Folding transom for a collapsible boat
JP2020033009A (ja) 浮体式炭化水素貯蔵プラントおよび/または浮体式炭化水素処理プラントの外殻として用いる船体、同船体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同船体を備える船舶、ならびに同船体を有する同船舶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20160022966A (ko) 분해 조립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
KR20160129208A (ko) 블럭 분할 조립식 쌍동선
RU2005125037A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судно для спасения терпящего бедствие судна, способ спасения судна и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пасательного судна
KR20130117425A (ko) 선박
RU2549725C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е плавсредство
US3381322A (en) Collapsible boat
KR101523465B1 (ko) 휴대용 접이식 보트
KR20130002508A (ko) 선미 피크 탱크의 구조
JP2006306127A (ja) 船外機
AU2015351153B2 (en) Planing bo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98223Y1 (ko) 보트
US10086664B2 (en) Floatable land vehicle
KR101506630B1 (ko) 선박용 프로펠러 조립체
WO2016147102A3 (en) Modular construction for boats
KR20160004321U (ko) 데크하우스의 교체가 용이한 다목적 폰툰보트
US5265555A (en) Bass boat kit apparatus
KR101241836B1 (ko) 군수용 바우램프 힌지 어셈블리
JP2018114972A (ja) 船艇
US1568486A (en) Boat
CN102390510A (zh) 一种船用推进器的挂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