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929A - 실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실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929A
KR20160022929A KR1020167002223A KR20167002223A KR20160022929A KR 20160022929 A KR20160022929 A KR 20160022929A KR 1020167002223 A KR1020167002223 A KR 1020167002223A KR 20167002223 A KR20167002223 A KR 20167002223A KR 20160022929 A KR20160022929 A KR 20160022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
fiber group
nozzle
yarn
yar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아키 야노
Original Assignee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1Spinning by false-twisting
    • D01H1/115Spinning by false-twisting using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811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ir supplying means actuated by the operator to pressurise or compress the container
    • C01B31/022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27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thermal decomposition of hydrocarbon gases or vapours or other carbon-containing compounds in the form of gas or vapour, e.g. carbon monoxide, alcoho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23/00Feeding fibres to machines; Conveying fibres between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5/00Separating, e.g. sorting,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5/00Piecing arrangements ; Automatic end-finding, e.g. by suction and reverse package rotation; 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yarn during piecing
    • D01H15/002Piecing arrangements ; Automatic end-finding, e.g. by suction and reverse package rotation; 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yarn during piecing for false-twisting spinn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16Yarns or threads made from mineral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10Inorganic fibres based on non-oxides other than metals
    • D10B2101/12Carbon; Pitch
    • D10B2101/122Nanocarb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실 밀도가 높은 탄소나노튜브 실을 고속으로 제조할 수 있는 실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실 제조 장치(1)는, CNT 형성 기판(S)을 지지하는 기판 지지부(3)와, 기판 지지부(3)에 지지된 CNT 형성 기판(S)으로부터 CNT 섬유군(F)을 연속적으로 인출하여 CT 섬유군(F)을 주행시키는 권취 장치(9)와, 기판 지지부(3)와 권취 장치(9)의 사이에 마련되고, 권취 장치(9)에 의해 인출된 CNT 섬유군(F)을 직접 취하여 당해 CT 섬유군(F)에 꼬임을 주는 실 제조부(5)를 구비하고, 실 제조부(5)는 CNT 섬유군(F)에 압축 공기의 선회류에 의해 꼬임을 준다.

Description

실 제조 장치{YARN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 실을 제조하는 실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탄소나노튜브 실의 실 제조 장치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실 제조 장치에서는, 기판 상에 마련된 나노튜브 포레스트(탄소나노튜브 집합체)로부터 나노튜브 섬유군을 인출하여, 노즐에 의해 나노튜브 섬유군에 가연(假撚)을 행하고 있다.
일본특허공표공보 2008-523254호
일반적으로, 면 등의 섬유를 방적하는 실 제조 장치에서는, 롤러를 개재하여 실 제조부에 섬유를 도입하고 있다. 여기서, 탄소나노튜브의 섬유는, 쉽게 응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한 번 응집하면 그 형상을 보지(保持)한다. 그 때문에,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은, 롤러를 통과했을 때 압착되어 띠 형상으로 응집하고, 그 형상을 보지한다. 이 경우, 실 제조부에서는, 띠 형상으로 응집한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이 꼬이게 되고, 그 결과, 공극을 포함한 실 밀도가 낮은 실이 제조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실 제조 장치는, 나노튜브 포레스트로부터 직접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을 노즐에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실 밀도의 저하 방지에는 유효한 구성이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실 제조 장치에서는, 노즐에 의해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에 꼬임을 주고 있기 때문에, 탄소나노튜브 실의 제조 속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실 밀도가 높은 탄소나노튜브 실을 고속으로 제조할 수 있는 실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실 제조 장치는,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을 주행시키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으로부터 탄소나노튜브 실을 제조하는 실 제조 장치로서, 탄소나노튜브 집합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지지된 탄소나노튜브 집합체로부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을 연속적으로 인출하여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을 주행시키는 인출부와, 지지부와 인출부의 사이에 마련되고, 인출부에 의해 인출된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을 직접 취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에 꼬임을 주는 실 제조부를 구비하고, 실 제조부는,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에 압축 공기의 선회류에 의해 가연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 제조 장치에서는, 실 제조부는, 인출부에 의해 인출된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을 직접 취하여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에 가연을 행하고 있다. 즉, 탄소나노튜브 집합체로부터 인출된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은, 롤러 등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실 제조부에 도입된다. 따라서, 실 제조 장치에서는,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이 편평한 형상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꼬여지기 때문에, 실 밀도가 높은 탄소나노튜브 실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 제조 장치에서는,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에 압축 공기의 선회류에 의해 꼬임을 주고 있다. 따라서, 실 제조 장치에서는,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으로부터 탄소나노튜브 실을 고속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인출부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닙 롤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압축 공기의 선회류에 의해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을 꼬는 구성에서는, 실 제조부로부터 도출되는 탄소나노튜브 섬유군(꼬여진 실)에 벌룬이 발생하고 있다. 이 때, 벌룬이 발생한 상태에서 실을 감고자 하면, 안정적으로 감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실 제조 장치에서는, 닙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실 제조 장치에서는, 닙 롤러에 의해 실 제조부로부터 도출된 실의 벌룬을 멈추게(꼬임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 제조 장치에서는, 안정된 실의 권취가 가능해진다.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부에 지지된 탄소나노튜브 집합체와 실 제조부 간의 거리는, 실 제조부와 닙 롤러 간의 거리보다 작아도 된다. 실 제조 장치에서는, 탄소나노튜브 집합체와 실 제조부와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실 제조부에 있어서의 꼬임이 탄소나노튜브 집합체로부터 인출된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실 제조 장치에서는, 양호한 탄소나노튜브 실을 제조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실 제조부는,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이 삽입 관통되는 노즐 본체부와, 노즐 본체부에 마련되고,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의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축 공기에 의해 제 1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제 1 노즐부와, 노즐 본체부에 마련되고,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의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또한 제 1 선회류와는 반대 방향으로 압축 공기에 의해 제 2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제 2 노즐부를 가지고, 제 1 노즐부와 제 2 노즐부는, 노즐 본체부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의 주행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실 제조 장치에서는, 제 1 노즐부에 의해 제 1 선회류를 발생시키고 있고, 제 2 노즐부에 의해 제 1 선회류와 반대 방향의 제 2 선회류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실 제조 장치에서는,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에 안정된 가연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노즐부는,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 제 2 노즐부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있고, 제 1 선회류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은, 제 2 선회류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보다 작아도 된다. 이와 같이, 제 1 노즐부를 제 2 노즐부의 상류측에 마련한 구성에 있어서, 제 1 선회류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작게 하는, 즉 제 2 선회류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크게 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에 가연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노즐부에서 발생하는 제 1 선회류는, 주로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의 외층의 일부를 감고, 제 2 노즐부에서 발생하는 제 2 선회류는, 주로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에 가연을 행하여 응집시켜도 된다. 이에 의해, 실 제조 장치에서는,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에 가연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노즐 본체부에는, 제 1 노즐부와 제 2 노즐부와의 사이에 공기 방출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실 제조 장치에서는, 제 1 노즐부에 있어서의 제 1 선회류와 제 2 노즐부에 있어서의 제 2 선회류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노즐부에 있어서의 선회류에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탄소나노튜브 실의 품질의 신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공기 방출부는, 노즐 본체부의 일부를 노치한 노치부여도 된다. 이에 의해, 실 제조 장치에서는, 노치부 이외의 노즐 본체부에 의해,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이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 밀도가 높은 탄소나노튜브 실을 고속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 형태에 따른 실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실 제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 제조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실 제조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실 제조부에 있어서의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상당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 형태에 따른 실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실 제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각 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 제조 장치(1)는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이하, 'CNT 섬유군'이라고 함)(F)을 주행시키면서 당해 CNT 섬유군(F)으로부터 탄소나노튜브 실(이하, 'CNT 실'이라고 함)(Y)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실 제조 장치(1)는, 기판 지지부(지지부)(3)와, 실 제조부(5)와, 인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인출부는, 닙 롤러(nip roller)(7a, 7b)와, 권취 장치(9)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 지지부(3), 실 제조부(5), 닙 롤러(7a, 7b) 및 권취 장치(9)는 이 순서로 소정의 라인 상에 배치되어 있고, CNT 섬유군(F)은 기판 지지부(3)로부터 권취 장치(9)를 향해 주행된다. 또한, CNT 섬유군(F)은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지는 섬유가 복수 집합된 것이다. CNT 실(Y)은 CNT 섬유군(F)에 가연이 행해져 응집된 것이다.
기판 지지부(3)는 CNT 섬유군(F)이 인출되는 탄소나노튜브 형성 기판(이하, 'CNT 형성 기판'이라고 함)(S)을 보지(保持)한 상태로 지지한다. CNT 형성 기판(S)은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carbon nanotube forest), 혹은 탄소나노튜브의 수직 배향 구조체 등이라 불리는 것으로, 화학 기상 성장법 등에 의해 기판(B) 상에 고밀도 또한 고배향으로 탄소나노튜브(예를 들면, 단층 탄소나노튜브, 2 층 탄소나노튜브, 다층 탄소나노튜브 등)가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집합체이다. 기판(B)으로서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기판, 글라스 기판, 실리콘 기판, 금속 기판 등이 이용된다. 또한, CNT 실(Y)의 제조 개시 시, CNT 형성 기판(S)의 교환 시 등에는, 마이크로 드릴이라 불리는 지그에 의해, CNT 형성 기판(S)으로부터 CNT 섬유군(F)을 인출할 수 있다.
실 제조부(5)는 압축 공기(에어)의 선회류에 의해 CNT 섬유군(F)에 가연을 행하여 응집시킨다. 도 3은 실 제조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실 제조부의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노즐 본체부(10)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 제조부(5)는 노즐 본체부(10)와 제 1 노즐부(20)와 제 2 노즐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노즐부(20) 및 제 2 노즐부(30)는 노즐 본체부(10)에 마련되어 있고, 노즐 본체부(10), 제 1 노즐부(20) 및 제 2 노즐부(30)는 유닛화되어 있다.
노즐 본체부(10)는 CNT 섬유군(F)을 삽입 관통시키고, 또한 제 1 노즐부(20) 및 제 2 노즐부(30)를 보지하는 하우징이다. 노즐 본체부(10)는, 예를 들면 놋쇠 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노즐 본체부(10)는, CNT 섬유군(F)을 삽입 관통시키고 또한 노즐 본체부(10)에 CNT 섬유군(F)을 도입하는 도입구(11)와, 제 1 노즐부(20)를 수용하는 제 1 수용부(12)와, 제 2 노즐부(30)를 수용하는 제 2 수용부(13)와, CNT 섬유군(F)을 삽입 관통시키고, 또한 노즐 본체부(10)로부터 CNT 섬유군(Y)을 도출하는 도출구(14)를 가지고 있다. 제 1 수용부(12) 및 제 2 수용부(13)는 CNT 섬유군(F)의 주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 1 수용부(12)는 CNT 섬유군(F)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 일단측(실 제조부(5)가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CNT 섬유군(F)의 주행 방향의 상류측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수용부(13)는 CNT 섬유군(F)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 타단측(실 제조부(5)가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제 1 수용부(12)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수용부(12)와 제 2 수용부(13)의 사이에는 공기 방출부(15)가 마련되어 있다. 공기 방출부(15)는 제 1 노즐부(20)에서 발생된 제 1 선회류(SF1)를 방출하는 부분이다. 공기 방출부(15)는 노즐 본체부(10)의 일부를 노치한 노치부로 되어 있다. 공기 방출부(15)는 CNT 섬유군(F)의 주행로를 포함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 1 수용부(12)와 제 2 수용부(13) 사이의 CNT 섬유군(F)의 주행로는, 공기 방출부(15)에 의해 개방되어 있는 한편, 노즐 본체부(10)에 의해 일부가 둘러싸여 있다.
노즐 본체부(10)에는 제 1 유로부(16)와 제 2 유로부(17)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유로부(16)는 제 1 수용부(12)에 연통되어 있고, 제 1 노즐부(2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유로이다. 제 2 유로부(17)는 제 2 수용부(13)에 연통되어 있고, 제 2 노즐부(3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유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 본체부(10)가 복수(여기서는 3 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데, 노즐 본체부(10)는 일체 성형품이어도 된다.
제 1 노즐부(20)는 제 1 선회류(SF1)를 발생시켜 CNT 섬유군(F)에 벌룬을 형성하고, CNT 섬유군(F)에 꼬임을 준다. 제 1 노즐부(20)는, 예를 들면 세라믹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 노즐부(20)는 노즐 본체부(10)의 제 1 수용부(12)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노즐부(20)는 CNT 섬유군(F)을 삽입 관통시키고, 또한 제 1 선회류(SF1)를 발생시키는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통 형상부(22)를 가지고 있다. 통 형상부(22)는 CNT 섬유군(F)의 주행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제 1 노즐부(20)에는,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부(10)에 마련된 제 1 유로부(16)를 거쳐, 도시하지 않은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제 1 노즐부(20)에서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CNT 섬유군(F)의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예를 들면 주행 방향을 축으로서 반시계 방향으로 제 1 선회류(SF1)가 발생한다. 제 1 선회류(SF1)는 통 형상부(22)의 내벽을 따라 발생한다. 제 1 선회류(SF1)는, 주로 CNT 섬유군(F)의 외측의 섬유군(외층의 일부)을 내측의 섬유군에 감는다. 제 1 선회류(SF1)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정압)은, 예를 들면 0.25 MPa 정도이다.
제 2 노즐부(30)는, 제 2 선회류(SF2)를 발생시켜 CNT 섬유군(F)에 벌룬을 형성하고, CNT 섬유군(F)에 꼬임을 준다. 제 2 노즐부(30)는 예를 들면 세라믹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2 노즐부(30)는 노즐 본체부(10)의 제 2 수용부(13)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노즐부(30)에는, CNT 섬유군(F)을 삽입 관통시키고, 또한 제 2 선회류(SF2)가 발생되는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통 형상부(32)를 가지고 있다. 통 형상부(32)는 CNT 섬유군(F)의 주행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제 2 노즐부(30)에는,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부(10)에 마련된 제 2 유로부(17)를 거쳐, 도시하지 않은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제 2 노즐부(30)에서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CNT 섬유군(F)의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1 선회류(SF1)와는 반대 방향, 예를 들면 주행 방향을 축으로서 시계 방향으로 제 2 선회류(SF2)가 발생한다. 즉, 제 2 선회류(SF2)의 방향은, 제 1 선회류(SF1)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다. 제 2 선회류(SF2)는 통 형상부(32)의 내벽을 따라 발생한다. 제 2 선회류(SF2)는, 주로 CNT 섬유군(F)의 심부(내측의 섬유군)에 대하여, 제 1 선회류(SF1)와는 반대 방향의 꼬임을 준다. 제 2 선회류(SF2)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정압)은, 예를 들면 0.4 ~ 0.6 MPa 정도이다. 즉, 제 2 선회류(SF2)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은, 제 1 선회류(SF1)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보다 크다. 환언하면, 제 1 선회류(SF1)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은, 제 2 선회류(SF2)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보다 작다.
닙 롤러(7a, 7b)는, 실 제조부(5)에 의해 가연되어 응집된 CNT 실(Y)을 반송한다. 닙 롤러(7a, 7b)는 CNT 실(Y)을 개재하는 위치에 한 쌍 배치되어 있다. 닙 롤러(7a, 7b)는 실 제조부(5)로부터 전파되는 CNT 섬유군(F)의 꼬임(벌룬)을 멈춘다. 실 제조부(5)에 의해 가연된 CNT 섬유군(F)은, 닙 롤러(7a, 7b)를 통과함으로써 더 응집되고, 최종적인 제조물인 CNT 실(Y)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CNT 형성 기판(S)과 실 제조부(5) 간의 거리(L1)는, 실 제조부(5)와 닙 롤러(7a, 7b) 간의 거리(L2)보다 작다(L1 < L2). 즉, 실 제조부(5)는 CNT 형성 기판(S)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권취 장치(9)는, 실 제조부(5)에 의해 가연되어 닙 롤러(7a, 7b)를 통과한 CNT실(Y)을 보빈에 감는다. 권취 장치(9)는, CNT 형성 기판(S)으로부터 CNT 섬유군(F)을 인출하고, CNT 섬유군(F)을 주행시킨다.
이어서, 실 제조 장치(1)에 있어서의 CNT 실(Y)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기판 지지부(3)에 지지된 CNT 형성 기판(S)으로부터 CNT 섬유군(F)이 권취 장치(9)에 의해 인출된다. 인출된 CNT 섬유군(F)은 실 제조부(5)에 직접 도입된다. 실 제조부(5)에 도입된 CNT 섬유군(F)은, 실 제조부(5)의 제 2 노즐부(30)의 제 2 선회류(SF2)에 의해 꼬임이 개시된다. 제 2 선회류(SF2)에 의해 꼬임이 가해져 응집된 CNT 섬유군(F)은, 제 1 노즐부(20)의 제 1 선회류(SF1)에 의해 꼬임이 되돌려진다. 또한, 제 1 노즐부(20)의 제 1 선회류(SF1)에 의해, 제 2 선회류(SF2)에 의해 응집되지 않은 CNT 섬유군(F)의 일부(외면의 부분)가 응집된 표면에 감겨진다. 이에 의해, 실 제조부(5)에 의해 CNT 섬유군(F)을 응집시킨다. 실 제조부(5)에 의해 꼬임이 가해진 CNT 섬유군(F)은 CNT 실(Y)이 되어, 권취 장치(9)에 의해 보빈에 감긴다. 실 제조 장치(1)에서는, 예를 들면 수십 m/min로 CNT 실(Y)이 제조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실 제조 장치(1)에서는, 실 제조부(5)는, 권취 장치(9)에 의해 인출된 CNT 섬유군(F)을 직접 취하여 CNT 섬유군(F)에 꼬임을 주고 있다. 즉, CNT 형성 기판(S)로부터 인출된 CNT 섬유군(F)은, 롤러 등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실 제조부(5)에 도입된다. 따라서, 실 제조 장치(1)에서는, CNT 섬유군(F)이 편평한 형상(띠 형상)이 되지 않은 상태(미응집)에서 꼬여지기 때문에, 실 밀도가 높은 CNT 실(Y)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 제조 장치(1)에서는, CNT 섬유군(F)에 압축 공기의 선회류에 의해 꼬임을 주고 있다. 따라서, 실 제조 장치(1)에서는, CNT 섬유군(F)으로부터 CT실(Y)을 고속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 제조부(5)와 권취 장치(9)의 사이에 닙 롤러(7a, 7b)를 배치하고 있다. 압축 공기의 선회류에 의해 CNT 섬유군(F)을 꼬는 구성에서는, 실 제조부(5)로부터 도출되는 CNT 섬유군(F)에 벌룬이 발생하고 있다. 이 때, 벌룬이 발생한 상태에서 권취 장치(9)에 의해 실을 감고자 하면, 안정적으로 감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실 제조 장치(1)에서는, 실 제조부(5)와 권취 장치(9)의 사이에 닙 롤러(7a, 7b)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실 제조 장치(1)에서는, 닙 롤러(7a, 7b)에 의해 실 제조부(5)로부터 도출된 실의 벌룬을 멈출(꼬임을 멈출) 수 있다. 따라서, 실 제조 장치(1)에서는, 안정된 CNT 실(Y)의 권취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 지지부(3)에 지지된 CNT 형성 기판(S)과 실 제조부(5) 간의 거리는, 실 제조부(5)와 닙 롤러(7a, 7b) 간의 거리보다 작다. 실 제조 장치(1)에서는, CNT 형성 기판(S)과 실 제조부(5)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실 제조부(5)에 있어서의 꼬임이 CNT 형성 기판(S)으로부터 인출된 CNT 섬유군(F)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실 제조 장치(1)에서는, 양호한 CNT 실(Y)을 제조할 수 있다.
실 제조 장치(1)에서는, 제 1 노즐부(20)에 의해 제 1 선회류(SF1)를 발생시키고 있고, 제 2 노즐부(30)에 의해 제 1 선회류(SF1)와 반대 방향의 제 2 선회류(SF2)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실 제조 장치(1)에서는, CNT 섬유군(F)에 가연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실 제조 장치(1)에서는, 압축 공기에 의해 선회류를 발생시켜 CNT 섬유군(F)에 꼬임을 주기 때문에, 압축 공기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꼬임 정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실 제조 장치(1)에서는, 제 1 노즐부(20)와 제 2 노즐부(30)는, 각각 노즐 본체부(10)에 마련되어 유닛화되어 있고, CNT 섬유군(F)의 주행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 제조 장치(1)에서는, CNT 섬유군(F)을 용이하게 제 1 노즐부(20) 및 제 2 노즐부(30)에 통과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노즐부(20)는, CNT 섬유군(F)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 제 2 노즐부(30)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제 1 선회류(SF1)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은, 제 2 선회류(SF2)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보다 작다. 이에 의해, 실 제조 장치(1)에서는, 제 1 노즐부(20)에서 발생하는 제 1 선회류(SF1)는, 주로 CNT 섬유군(F)의 외측의 일부를 감고, 제 2 노즐부(30)에서 발생하는 제 2 선회류(SF2)는 주로 CNT 섬유군(F)에 꼬임을 준다. 따라서, 실 제조 장치(1)에서는, CNT 섬유군(F)에 양호하게 가연을 행하여 응집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 본체부(10)에는, 제 1 노즐부(20)와 제 2 노즐부(30)의 사이에 공기 방출부(15)가 마련되어 있다. 공기 방출부(15)는 노즐 본체부(10)의 일부를 노치한 노치부이다. 이에 의해, 실 제조부(5)에서는, 제 1 노즐부(20)에서의 제 1 선회류(SF1)와 제 2 노즐부(30)에서의 제 2 선회류(SF2)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 제조부(5)에서는, 각 노즐부(20, 30)에서의 선회류(SF1, SF2)에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CNT 실(Y)의 품질의 신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 제조부(5)에서는, 공기 방출부(15) 이외의 노즐 본체부(10)에 의해, CNT 섬유군(F)이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CNT 섬유군(F)의 공급원으로서, CNT 형성 기판(S) 대신에 탄소나노튜브를 연속적으로 합성하여 CNT 섬유군(F)을 공급하는 부유 촉매 장치 등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CNT 형성 기판(S)과 실 제조부(5) 간의 거리(L1)는, 실 제조부(5)와 닙 롤러(7a, 7b) 간의 거리(L2)보다 작은(L1 < L2) 구성을 일례로 설명했지만, CNT 형성 기판(S)과 실 제조부(5) 간의 거리(L1)는, 실 제조부(5)와 닙 롤러(7a, 7b) 간의 거리(L2)는 동등해도 된다. 혹은, CNT 형성 기판(S)과 실 제조부(5) 간의 거리(L1)는, 실 제조부(5)와 닙 롤러(7a, 7b) 간의 거리(L2)보다 커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선회류(SF1)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제 2 선회류(SF2)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보다 작게 하는 형태를 일례로 설명했지만, 제 1 및 제 2 선회류(SF2)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은 동일해도 된다. 혹은, 제 2 선회류(SF2)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제 1 선회류(SF1)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보다 작게 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 본체부(10)에 제 1 노즐부(20) 및 제 2 노즐부(30)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일례로 설명했지만, 노즐 본체부(10)에 형성되는 공간을 각각 제 1 노즐부 및 제 2 노즐부로 해도 된다. 즉, 노즐 본체부(10)에서 제 1 노즐부(20) 및 제 2 노즐부(30)에 상당하는 구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 밀도가 높은 탄소나노튜브 실을 고속으로 제조할 수 있는 실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 실 제조 장치
3 : 기판 지지부(지지부)
5 : 실 제조부
7a, 7b : 닙 롤러
9 : 권취 장치(인출부)
10 : 노즐 본체부
15 : 공기 방출부
20 : 제 1 노즐부
30 : 제 2 노즐부
F : CNT 섬유군(탄소나노튜브 섬유군)
S : CNT 형성 기판(탄소나노튜브 집합체)
SF1 : 제 1 선회류
SF2 : 제 2 선회류
Y : CNT 실(탄소나노튜브 실)

Claims (8)

  1.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을 주행시키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으로부터 탄소나노튜브 실을 제조하는 실 제조 장치로서,
    탄소나노튜브 집합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탄소나노튜브 집합체로부터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을 연속적으로 인출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을 주행시키는 인출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인출부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인출부에 의해 인출된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을 직접 취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에 꼬임을 주는 실 제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 제조부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에 압축 공기의 선회류에 의해 가연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닙 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탄소나노튜브 집합체와 상기 실 제조부 간의 거리는, 상기 실 제조부와 상기 닙 롤러 간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제조부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이 삽입 관통되는 노즐 본체부와,
    상기 노즐 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의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축 공기에 의해 제 1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제 1 노즐부와,
    상기 노즐 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의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또한 상기 제 1 선회류와는 반대 방향으로 압축 공기에 의해 제 2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제 2 노즐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노즐부와 상기 제 2 노즐부는, 상기 노즐 본체부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의 주행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즐부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즐부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 선회류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은, 상기 제 2 선회류를 형성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조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즐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제 1 선회류는, 주로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의 외층의 일부를 감고,
    상기 제 2 노즐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제 2 선회류는, 주로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군에 가연을 행하여 응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조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부에는, 상기 제 1 노즐부와 상기 제 2 노즐부의 사이에, 공기 방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방출부는, 상기 노즐 본체부의 일부를 노치한 노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조 장치.
KR1020167002223A 2013-07-05 2013-07-05 실 제조 장치 KR201600229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8537 WO2015001669A1 (ja) 2013-07-05 2013-07-05 糸製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929A true KR20160022929A (ko) 2016-03-02

Family

ID=5214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223A KR20160022929A (ko) 2013-07-05 2013-07-05 실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43156B2 (ko)
EP (1) EP3018242B1 (ko)
JP (1) JP5971419B2 (ko)
KR (1) KR20160022929A (ko)
CN (1) CN105339535A (ko)
TW (1) TWI645087B (ko)
WO (1) WO20150016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337B1 (ko) * 2018-03-21 2019-06-10 주식회사 제이오 일정 방향성을 갖는 집속공정을 적용한 탄소나노튜브 섬유 및 그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5159B2 (en) * 2013-07-05 2019-09-17 Murata Machinery, Ltd. Yarn manufacturing device
CN105339538B (zh) * 2013-07-22 2018-05-22 村田机械株式会社 纱线制造装置
JP5943149B2 (ja) * 2013-07-22 2016-06-29 村田機械株式会社 糸製造装置
CN105339536B (zh) * 2013-07-22 2017-03-29 村田机械株式会社 纱线制造装置
EP3026155B1 (en) * 2013-07-22 2020-09-02 Murata Machinery, Ltd. Yarn manufacturing device
CN108541279B (zh) 2016-01-29 2021-02-19 日立造船株式会社 碳纳米管纱线的制造方法
CN106381592A (zh) * 2016-09-07 2017-02-08 苏州捷迪纳米科技有限公司 碳纳米管扁丝及其制备方法和制备装置
US10425993B2 (en) * 2016-12-08 2019-09-24 Goodrich Corporation Carbon nanotube yarn heater
CN109537110B (zh) * 2018-12-19 2021-03-12 苏州大学 一种碳纳米管纤维的制备方法
WO2021106227A1 (ja) 2019-11-29 2021-06-03 村田機械株式会社 接圧センサ、それを備えたニット製品、および接圧センサの製造方法
CA3220210A1 (en) * 2021-05-26 2022-12-01 Stuart Lich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carbon nanomaterial fiber and textiles from carbon dioxide and materials and materials and product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3254A (ja) 2004-11-09 2008-07-03 ボード オブ リージェンツ,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テキサス システム ナノファイバーのリボンおよびシートならびにナノファイバーの撚り糸および無撚り糸の製造および適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64612A (en) 1966-01-31 1969-09-17 Scragg & Sons Drive for Spindles of Textile Machines
JPS6134234A (ja) * 1984-07-26 1986-02-18 Murata Mach Ltd 空気式紡績装置
CN100500556C (zh) * 2005-12-16 2009-06-17 清华大学 碳纳米管丝及其制作方法
WO2008022129A2 (en) * 2006-08-14 2008-02-21 C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spinning carbon nanotubes into yarn, and yarn made therefrom
WO2009045487A1 (en) * 2007-10-02 2009-04-09 Los Alamos National Security, Llc Carbon nanotube fiber spun from wetted ribbon
JP5229732B2 (ja) * 2008-11-11 2013-07-03 地方独立行政法人大阪府立産業技術総合研究所 微細炭素繊維撚糸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5699387B2 (ja) * 2010-03-29 2015-04-08 地方独立行政法人大阪府立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撚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967699B (zh) * 2010-10-13 2012-08-08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高性能碳纳米管纤维的制备方法
CN102953171A (zh) * 2011-08-30 2013-03-06 苏州捷迪纳米科技有限公司 碳纳米管纺纱机及采用该碳纳米管纺纱机制备碳纳米管纱线的方法
US10415159B2 (en) * 2013-07-05 2019-09-17 Murata Machinery, Ltd. Yarn manufacturing device
CN105339536B (zh) * 2013-07-22 2017-03-29 村田机械株式会社 纱线制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3254A (ja) 2004-11-09 2008-07-03 ボード オブ リージェンツ,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テキサス システム ナノファイバーのリボンおよびシートならびにナノファイバーの撚り糸および無撚り糸の製造および適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337B1 (ko) * 2018-03-21 2019-06-10 주식회사 제이오 일정 방향성을 갖는 집속공정을 적용한 탄소나노튜브 섬유 및 그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8242A1 (en) 2016-05-11
JPWO2015001669A1 (ja) 2017-02-23
TW201506214A (zh) 2015-02-16
TWI645087B (zh) 2018-12-21
EP3018242A4 (en) 2017-02-15
CN105339535A (zh) 2016-02-17
US20160201229A1 (en) 2016-07-14
WO2015001669A1 (ja) 2015-01-08
JP5971419B2 (ja) 2016-08-17
US10443156B2 (en) 2019-10-15
EP3018242B1 (en)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2929A (ko) 실 제조 장치
US9945053B2 (en) Yarn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821162B1 (ko) 실 제조 장치
WO2017219927A1 (zh) 双包包芯纱
KR20150144341A (ko) 실 제조장치
CN101511715A (zh) 碳纤维卷装以及其制造方法
CN104233530A (zh) 纺纱喷嘴和装配有纺纱喷嘴的喷气式纺纱机的纺纱站
CN104126036A (zh) 用于具有螺旋式导向元件的气流纺纱机的纺纱站的纱线形成元件及生产纱线的方法
CN102953170A (zh) 一种预加捻环锭细纱机
TW200912069A (en)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loop wear, particularly knitting machine
CN107641860A (zh) 一种具备喷气式纺纱机的纺纱装置
IT201800009728A1 (it) Dispositivo di filatura di tipo air-jet
JP2006291438A (ja) 炭素繊維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237127B2 (ko)
JPH0630170U (ja) 精紡機
JPH0320487B2 (ko)
JPS59150119A (ja) 結束紡績装置
JPS59125915A (ja) 結束紡績装置
JPS6055604B2 (ja) 繊維移送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48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01

Effective date: 2019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