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651A -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651A
KR20160022651A KR1020140108482A KR20140108482A KR20160022651A KR 20160022651 A KR20160022651 A KR 20160022651A KR 1020140108482 A KR1020140108482 A KR 1020140108482A KR 20140108482 A KR20140108482 A KR 20140108482A KR 20160022651 A KR20160022651 A KR 20160022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gesture
display unit
vehicl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262B1 (ko
Inventor
이강섭
백종민
윤소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2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근접 배치되며,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프로젝터, 태블릿 등이 포함된다.
영상표시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방송의 출력이나 영상의 재생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영상표시장치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영상표시장치는 차량 내부의 공간적 한계성에 의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는 영역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와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근접 배치되며,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차량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화면과 상이한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운행중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어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와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차량제어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의 기 설정한 입력에 응답하여,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검출한 시각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시각정보가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패널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이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에서 실행되도록,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에 응답하여, 상기 아이디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차량제어 아이콘이, 상기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근접 배치되며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출한 시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차량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화면과 상이한 시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차량이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운행중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어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와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차량제어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기 설정한 입력에 응답하여,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검출한 시각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시각정보가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이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에서 실행되도록,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에 응답하여, 상기 아이디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차량제어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와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정보가 출력되므로,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는 영역이 제한적이라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운전자뿐만 아니라 동승자도 차량 제어를 쉽게 수행할 수 있고, 운전자와 동승자 간에 자유롭게 콘텐츠를 전송 및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운전자에게 개인화된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가 구현된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와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로 시각정보를 전송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운전자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가 구현된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여 영상정보(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 차량 내부에 임의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차량 대시보드(dashboard) 중앙에 위치하며, 운전석과 조주석 사이에 있는 컨트롤 패널 보드인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가 센터페시아에 배치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가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센싱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10)는 길 안내 화면, 주차 중 차량의 위치, 운행 중 차량의 속도, 시간이나 날씨 등의 정보, 일정 정보, 재생 중인 음악에 관한 정보, 음악재생 제어화면, 에어컨이나 히터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화면(공조제어화면) 등을 시각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근접 배치되며,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사용자 입력부(120)는 차량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컨트롤 패널 보드(공조부분)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입력부(120)에는 에어컨의 온도 조절이나 바람 세기 조절을 위한 버튼, 히터 세기 조절을 위한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 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에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120)가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이나 사용자 입력부(120)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센싱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이나 사용자 입력부(120)에 직접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사용자의 제스처로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이나 사용자 입력부(120)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동작을 사용자의 제스처로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130)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30)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화면(110)의 상단 영역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동작이 감지되면, 화면(110)의 상단 영역으로 접근시 출력되도록 설정한 시각정보인 음악재생 제어화면이 화면(110)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30)가 사용자 입력부(120)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20), 즉,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컨트롤 패널 보드(공조부분, 120)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동작이 감지되면, 컨트롤 패널 보드(공조부분, 120)로 접근시 출력되도록 설정한 시각정보인 공조제어화면이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이 접근하는 위치에 따라 화면(110)에 서로 다른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이나 디스플레이부(110)에 근접 배치되며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120)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S210)가 진행된다.
실시 예로서, 화면(110)의 상단 영역이나 컨트롤 패널 보드(공조부분, 120)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동작이 감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이나 사용자 입력부(120)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와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이나 사용자 입력부(120)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동작을 감지하는 동시에, 손동작이 가해지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손동작이 운전석에서 가해진 것인지 또는 조수석에서 가해진 것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검출하는 단계(S220)가 진행된다.
실시 예로서, 화면(110)의 상단 영역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동작이 감지되면, 화면(110)의 상단 영역으로 접근시 출력되도록 설정한 시각정보인 음악재생 제어화면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컨트롤 패널 보드(공조부분, 120)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동작이 감지되면, 컨트롤 패널 보드(공조부분, 120)로 접근시 출력되도록 설정한 시각정보인 공조제어화면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이나 사용자 입력부(120)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면(110)의 상단 영역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동작이 운전석으로부터 가해진 것으로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인 길 안내 화면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 패널 보드(공조부분, 120)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동작이 조주석으로부터 가해진 것으로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인 조수석 등받이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화면을 검출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검출한 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하는 단계(S230)가 진행된다.
실시 예로서, 검출한 시각정보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출력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하위 레이어에 포함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상위 레이어에 검출한 시각정보가 출력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이나 사용자 입력부(120)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차량제어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패널 보드(공조부분, 120)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동작이 운전석으로부터 가해진 것으로 감지되면, 현재 출력되어 있던 메인 화면 위에 투명한 상위 레이어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투명한 상위 레이어에는 차량제어 아이콘으로 운전석 등받이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20)는 차량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사용자 입력부(120)는 차량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컨트롤 패널 보드(공조부분)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입력부(120)에는 에어컨의 온도 조절이나 바람 세기 조절을 위한 버튼, 히터 세기 조절을 위한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20)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차량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화면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어화면과 상이한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차량의 주행 중에는 메인 화면이 가려진 채, 날짜나 시간 등의 기본 정보만이 출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운전자가 화면 상단 영역(110-1)으로 손을 내미는 제스처(310)를 취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화면 상단 영역(110-1)으로 손을 내미는 사용자의 제스처(310)에 의해, 화면(110)에 메인 화면(320)이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행 중 화면 상단 영역(110-1)으로 손을 내미는 사용자의 제스처(310)가 감지되면, 메인 화면(320)이 출력되도록 사전에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차량의 주행 중, 운전자가 화면 하단 영역(110-2)으로 손을 내미는 제스처(330)를 취할 수 있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화면 하단 영역(110-2)으로 손을 내미는 사용자의 제스처(330)에 의해, 화면(110)에 에어컨이나 히터 등을 조절하기 위한 공조제어화면(340)이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행 중 화면 하단 영역(110-2)으로 손을 내미는 사용자의 제스처(330)가 감지되면, 공조제어화면(340)이 출력되도록 사전에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화면 하단 영역(110-2)은 차량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컨트롤 패널 보드(공조부분, 120)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차량이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운행중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이나 사용자 입력부(120)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어도, 디스플레이부(11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센싱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이나 사용자 입력부(120)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와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이나 사용자 입력부(120)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이나 사용자 입력부(120)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차량제어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와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차량이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주행 중인 경우에는, 운전자가 화면 상단 영역(110-1)으로 손을 내미는 제스처(310)를 취하여도 디스플레이부(110)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화면이 가려진 채, 날짜나 시간 등의 기본 정보만이 출력되어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일정 속도 이상이므로 화면이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 4B의 (a)를 참조하면, 차량의 주행 중에는 메인 화면이 가려진 채, 날짜나 시간 등의 기본 정보만이 출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운전자가 화면 상단 영역(110-1)으로 손을 내미는 제스처(310)를 취할 수 있다.
도 4B의 (b)를 참조하면, 화면 상단 영역(110-1)으로 손을 내미는 운전자의 제스처(310)에 의해, 운전자가 화면 상단 영역(110-1)으로 손을 내미는 경우 출력되도록 설정한 아이콘들(410, 420, 430, 440)이 화면(110)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생되는 음악의 소리를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410), 차량의 창문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420), 차량의 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430), 수신되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440)이 화면(110)에 출력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재생되는 음악의 소리를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410), 차량의 창문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420), 차량의 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430), 수신되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440)은 메인 화면의 상위 레이어에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메인 화면으로 진입하지 않고 아이콘(410, 420, 430, 440)을 터치하여 음악소리조절, 창문제어, 도어제어, 메시지 확인 등의 차량 제어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4B의 (a)를 참조하면, 조수석에 앉아있는 동승자가 화면 상단 영역(110-1)으로 손을 내미는 제스처(450)를 취할 수 있다.
도 4B의 (c)를 참조하면, 화면 상단 영역(110-1)으로 손을 내미는 동승자의 제스처(450)에 의해, 동승자가 화면 상단 영역(110-1)으로 손을 내미는 경우 출력되도록 설정한 아이콘들(410, 440, 452)이 화면(110)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생되는 음악의 소리를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410), 수신되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440), 인터넷을 검색할 수 있는 아이콘(452)이 화면(110)에 출력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재생되는 음악의 소리를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410), 수신되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440), 인터넷을 검색할 수 있는 아이콘(452)은 메인 화면의 상위 레이어에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승자는 메인 화면으로 진입하지 않고 아이콘(410, 440, 452)을 터치하여 음악소리조절, 인터넷 검색, 메시지 확인 등의 차량 제어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즉, 화면 상단 영역(110-1)으로 손을 내미는 제스처가 가해져도, 이러한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면 상단 영역(110-1)으로 손을 내미는 제스처가 운전석으로부터 가해진 경우와 조수석으로부터 가해진 경우, 서로 다른 차량제어 아이콘들이 출력될 수 있다.
도 4C의 (a)를 참조하면, 차량의 주행 중에는 메인 화면이 가려진 채, 날짜나 시간 등의 기본 정보만이 출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운전자가 화면 하단 영역(110-2)으로 손을 내미는 제스처(330)를 취할 수 있다.
도 4C의 (b)를 참조하면, 화면 하단 영역(110-2)으로 손을 내미는 운전자의 제스처(330)에 의해, 운전자가 화면 하단 영역(110-2)으로 손을 내미는 경우 출력되도록 설정한 아이콘들(332, 334, 336)이 화면(110)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석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332), 에어컨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334),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336)이 화면(110)에 출력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운전석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332), 에어컨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334),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336)은 메인 화면의 상위 레이어에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메인 화면으로 진입하지 않고 아이콘(332, 334, 336)을 터치하여 운전석 기울기 조절, 에어컨 제어, 히터 제어 등의 차량 제어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4C의 (a)를 참조하면, 조수석에 앉아있는 동승자가 화면 하단 영역(110-2)으로 손을 내미는 제스처(460)를 취할 수 있다.
도 4C의 (c)를 참조하면, 화면 하단 영역(110-2)으로 손을 내미는 동승자의 제스처(460)에 의해, 동승자가 화면 하단 영역(110-2)으로 손을 내미는 경우 출력되도록 설정한 아이콘들(462, 334, 336)이 화면(110)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수석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462), 에어컨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334),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336)이 화면(110)에 출력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조수석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462), 에어컨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334),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336)은 메인 화면의 상위 레이어에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승자는 메인 화면으로 진입하지 않고 아이콘(462, 334, 336)을 터치하여 조수석 기울기 조절, 에어컨 제어, 히터 제어 등의 차량 제어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즉, 화면 하단 영역(110-2)으로 손을 내미는 제스처가 가해져도, 이러한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면 하단 영역(110-2)으로 손을 내미는 제스처가 운전석으로부터 가해진 경우와 조수석으로부터 가해진 경우, 서로 다른 차량제어 아이콘들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의 기 설정한 입력에 응답하여,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로 검출한 시각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시각정보가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여 영상정보(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 차량 내부에 임의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차량의 대시보드에 배치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계기판, Passenger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로 시각정보를 전송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대시보드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와 계기판(510), 네비게이션(520) 및 Passenger Display(5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운전자 또는 조수석에 앉아있는 동승자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출력되어 있는 시각정보를 기 설정한 제스처를 취해 계기판(510), 네비게이션(520) 및 Passenger Display(53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운전자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출력되어 있는 길 안내 콘텐츠(540)를 계기판(510) 쪽으로 넘겨주는 손동작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길 안내 콘텐츠(540)가 계기판(51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출력되어 있는 길 안내 콘텐츠(540)를 네비게이션(520) 쪽으로 넘겨주는 손동작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길 안내 콘텐츠(540)가 네비게이션(52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동승자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출력되어 있는 길 안내 콘텐츠(540)를 Passenger Display(530) 쪽으로 넘겨주는 손동작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길 안내 콘텐츠(540)가 Passenger Display(53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510, 520, 530)에 출력되어 있는 콘텐츠를 전송받아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운전자는 계기판(510)에 출력되어 있는 운행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 쪽으로 넘겨주는 손동작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행정보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는 네비게이션(520)에 출력되어 있는 길 안내 화면을 영상표시장치(100) 쪽으로 넘겨주는 손동작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길 안내 화면이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동승자는 Passenger Display(530)에 출력되어 있는 수신 메시지를 영상표시장치(100) 쪽으로 넘겨주는 손동작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한 메시지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510, 520, 530) 간에도 출력되어 있는 콘텐츠를 서로 전송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운전자가 계기판(510)에 출력되어 있는 운행정보를 네비게이션(520) 쪽으로 넘겨주는 손동작을 취하면, 운행정보가 네비게이션(52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동승자가 Passenger Display(530)에 출력되어 있는 수신 메시지를 네비게이션(520) 쪽으로 넘겨주는 손동작을 취하면, 수신한 메시지가 네비게이션(52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조수석에서 운전석 쪽으로 전송되는 콘텐츠, 이를 테면, 계기판(510) 쪽으로 전송되는 콘텐츠는 주행규제 등의 법규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패널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이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에서 실행되도록,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동 단말이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로 설정된 경우, 이동 단말을 통해 걸려오는 전화를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를 통해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로 수신되는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의 터치 패널에 터치입력을 가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위쪽에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600)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600)는 네비게이션, 계기판, Passenger Display일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1)일 수도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110)에는 터치 패널(610)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패널(610)에 터치입력을 가해,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60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600)의 화면에 출력되어 있는 복수의 음악 콘텐츠 중 하나(620)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 패널(610)에 좌우 플리킹 입력(612)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좌우 플리킹 입력(612)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600)의 화면에 출력되어 있는 복수의 음악 콘텐츠 목록이 넘겨질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사용자는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 콘텐츠(620)가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600)의 화면 중앙에 배치되면, 더블 탭이나 롱 터치입력을 가해 해당 음악 콘텐츠(620)를 재생할 수 있다. 또는, 재생 버튼을 터치하여 해당 음악 콘텐츠(620)를 재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는 터치 패널(610)에 상하 플리킹 입력(614)을 가해 재생중인 음악 콘텐츠(620)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쪽으로 플리킹 입력을 가하면 음악 콘텐츠(620)의 볼륨이 커지고, 아래쪽으로 플리킹 입력을 가하면 음악 콘텐츠(620)의 볼륨이 줄어들 수 있다. 또는, 볼륨 조절 버튼을 터치하여 재생중인 음악 콘텐츠(620)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600)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에 음악 콘텐츠(620)가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600) 화면에 출력되어 있는 재생 중인 음악 콘텐츠(620)를 영상표시장치(100) 쪽으로 끌어당기는 듯한 제스처를 취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110)에 음악 콘텐츠(620)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100) 화면에 출력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620)를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600) 쪽으로 올려주는 듯한 제스처를 취하면,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600)의 화면에 음악 콘텐츠(620)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110)에 터치 등의 입력을 가해, 음악 콘텐츠(620)의 재생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화면(110)에 터치 등의 입력을 가해, 음악 콘텐츠(620) 재생의 빠르기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위쪽에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로 네비게이션(60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110)에는 터치 패널(610)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패널(610)에 터치입력을 가해, 네비게이션(60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네비게이션(600) 화면에 출력되어 있는 지도를 축소하기 위해, 터치 패널(610)에 핀치인 입력(640)을 가할 수 있다. 또는, 지도를 확대하기 위해, 터치 패널(610)에 핀치아웃 입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600)에 영상표시장치(100) 쪽으로 지도를 넘겨주는 제스처를 취하면, 네비게이션(600) 화면에 출력되어 있는 지도가 영상표시장치(100) 쪽으로 전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영상표시장치(100) 화면(110)에 출력된 지도를 네비게이션(600) 쪽으로 넘겨주는 제스처를 취해, 영상표시장치(100) 화면(110)에 출력된 지도를 네비게이션(600) 쪽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는 터치 패널(610)에 입력 자판을 호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터치 패널(610)에 롱 터치입력을 가하면 입력 자판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출력된 입력 자판을 이용하여 목적지를 등록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에 응답하여, 아이디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운전자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복수의 사용자 중 현재 차량을 운전할 운전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이콘(710)을 터치하여, A 사용자를 운전자로 선택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A 사용자가 운전자로 선택됨에 따라, A 사용자가 선택해둔 사용자 인터페이스(차량테마)가 계기판(510)에 출력될 수 있다.
다시 도 7의 (a)를 참조하면, B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이콘(720)을 터치하여, B 사용자를 운전자로 선택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B 사용자가 운전자로 선택됨에 따라, B 사용자가 선택해둔 사용자 인터페이스(차량테마)가 계기판(510)에 출력될 수 있다.
즉, 선택한 운전자에 따라 사전에 설정해둔 디자인으로 계기판(510)의 화면이 세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택한 운전자에 따라 사전에 설정해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 네비게이션, Passenger Display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운전자가 서로 다른 차량 내부의 UI 환경에서 주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와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정보가 출력되므로,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는 영역이 제한적이라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운전자뿐만 아니라 동승자도 차량 제어를 쉽게 수행할 수 있고, 운전자와 동승자 간에 자유롭게 콘텐츠를 전송 및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운전자에게 개인화된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사용자 입력부
130 - 센싱부
140 - 제어부

Claims (20)

  1.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근접 배치되며,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차량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화면과 상이한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운행중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어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와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차량제어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의 기 설정한 입력에 응답하여,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검출한 시각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시각정보가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패널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이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에서 실행되도록,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에 응답하여, 상기 아이디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차량제어 아이콘이, 상기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12. (a)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근접 배치되며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출한 시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차량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화면과 상이한 시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차량이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운행중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어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와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차량제어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기 설정한 입력에 응답하여,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검출한 시각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시각정보가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이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에서 실행되도록,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기 설정한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에 응답하여, 상기 아이디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시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기 설정한 차량제어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08482A 2014-08-20 2014-08-20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602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482A KR101602262B1 (ko) 2014-08-20 2014-08-20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482A KR101602262B1 (ko) 2014-08-20 2014-08-20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651A true KR20160022651A (ko) 2016-03-02
KR101602262B1 KR101602262B1 (ko) 2016-03-10

Family

ID=55539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482A KR101602262B1 (ko) 2014-08-20 2014-08-20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2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739B1 (ko) * 2016-12-16 2018-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77092B1 (ko) * 2017-12-11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JP7297174B1 (ja) * 2023-01-31 2023-06-23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用ディスプレイ
WO2023128613A1 (ko) * 2021-12-31 2023-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5656A (ja) * 2007-09-18 2009-04-09 Toyota Motor Corp 入力表示装置
KR20110113657A (ko) * 2009-02-09 2011-10-17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자동차를 작동하는 방법
KR20130081373A (ko) * 2012-01-09 2013-07-17 제이에스엘씨디(주)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5656A (ja) * 2007-09-18 2009-04-09 Toyota Motor Corp 入力表示装置
KR20110113657A (ko) * 2009-02-09 2011-10-17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자동차를 작동하는 방법
KR20130081373A (ko) * 2012-01-09 2013-07-17 제이에스엘씨디(주)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739B1 (ko) * 2016-12-16 2018-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77092B1 (ko) * 2017-12-11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1279232B2 (en) 2017-12-11 2022-03-22 Lg Electronics Inc.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WO2023128613A1 (ko) * 2021-12-31 2023-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7297174B1 (ja) * 2023-01-31 2023-06-23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用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262B1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33439B (zh) 显示装置与导航设备
US8542214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135942B2 (ja) 車載装置および制御方法
EP2098949A2 (en) Display controller and item display method
JP521970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040901B2 (ja) 車載情報装置及び車載情報システム
JP2012098873A (ja) 車載機器、及び、車載機器の制御方法
KR101602262B1 (ko)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5754410B2 (ja) 表示装置
JP2007331692A (ja) 車載電子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装置
JP2007024854A (ja) 表示装置
JP528077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WO2016084360A1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JP2016109434A (ja) 電子機器
JP2009216888A (ja) 画面表示装置
JP200702486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022520A (ja) 車載装置
JP2007145238A (ja) 情報表示装置
JP3831849B2 (ja) 車両用コントローラ
JP2008234667A (ja) 画像表示装置
JP2012078298A (ja) ナビゲーション用経路案内画面表示装置
JP2020057441A (ja) 操作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0066198A (ja) 車載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76749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083108A (ja) 地図表示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地図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