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008A -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008A
KR20160022008A KR1020140107478A KR20140107478A KR20160022008A KR 20160022008 A KR20160022008 A KR 20160022008A KR 1020140107478 A KR1020140107478 A KR 1020140107478A KR 20140107478 A KR20140107478 A KR 20140107478A KR 20160022008 A KR20160022008 A KR 20160022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
tea tree
weight
elvan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087B1 (ko
Inventor
이호상
이대윤
Original Assignee
(주) 스리에스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스리에스엠코리아 filed Critical (주) 스리에스엠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0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0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29C67/248Moulding mineral fibres or particles bonded with resin, e.g. for insulating or roofing board
    • B29C67/249Moulding mineral fibres or particles bonded with resin, e.g. for insulating or roofing board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68Aluminium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01F7/74Sulfates
    • C01F7/745Preparation from alums, e.g. alun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2/00Chemical apparatus and process disinfecting, deodorizing, preserving, or sterilizing
    • Y10S422/902Sodium chloride and potassium chloride dissol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트리 및 명반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그 구성은PE, LDPE, HDPE, PP, PVC, PS, HIPS, GPPS, ABS, PET, PA, PC, PBT, PU, NYLON, EVA이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이들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공중합체나 변성체 수지로 이루어진 화장품을 담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티트리 12 ~ 20 중량%, 명반 12 ~ 20 중량%, 맥반석 3 ~ 10 중량%, 염화나트륨 0.15 ~ 0.24 중량% 및 물 64 ~ 70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되어 숙성, 건조된 혼합물과 상기 단독 또는 이종 이상 혼합된 공중합체나 변성체 수지를 혼합하여 용융하여 사출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티트리, 명반의 약리작용 및 맥반석의 탈취, 유해물질 분해작용을 통해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의 조성물과 플라스틱 수지의 혼합하여 화장품 용기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내 세균, 효모 등의 오염물의 분산에 따라 화장품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항균력 증대에 따른 화장품의 장기간 보관 및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A cosmetic container include tea-tree, and alum a composition and that of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티트리, 명반의 약리작용 및 맥반석의 탈취, 유해물질 분해작용을 통해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의 조성물과 플라스틱 수지의 혼합하여 화장품 용기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내 세균, 효모 등의 오염물의 분산에 따라 화장품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항균력 증대에 따른 화장품의 장기간 보관 및 사용상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고분자 플라스틱을 소재로 사용하는 영역이 보다 확대되고 있는데 비례하여 이들 소재의 사용에 따른 환경적 피해도 확대되고 있다. 플라스틱에 함유된 환경호르몬은 환경을 파괴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유해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반면에, 국민의 의식수준 증대에 따라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천연광물에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나 음이온이 발생되고 있다는 것이 밝혀진 후부터 친환경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 토르마린, 제올라이트, 황토, 맥반석, 흑운모류 등의 천연광물을 수지물에 혼합하여 각종 생활제품에 응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이러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황토방, 맥반석 원적외선 체험실, 옥매트, 황토매트, 숯매트 등 여러 종류의 건강보조용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액과 접촉하는 화장품 용기를 포함하는 각종 화장용 도구는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인 플라스틱 재료를 원료로 하여 특별한 공정없이 사출성형기에서 원하는 형태의 제작된 금형에 의하여 용기를 성형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성형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용 용기는 플라스틱 고분자와 고분자의 결합체 중에서 미세한 공극이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공극은 가스를 통과시키는 원인이 되어 용기 내에 함유된 화장액을 산화시키는 등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화장액의 보존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제품내에 화장액을 오래 보관할 수 없거나 또한 변질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무기계, 유기계 항균제를 플라스틱의 원료에 혼합하여 플라스틱 화장 용기의 항균력 기능을 첨가하는 제품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항균제는 그 입자의 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 크기이며, 분말의 형태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플라스틱에 혼합시 입자상 크기로 인하여 항균제가 골고루 분산되지 못하여, 소정의 항균력을 얻기 위하여는 그 항균제의 사용량이 과다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장품 용기의 주원료인 플라스틱 수지인 PE, LDPE, HDPE, PP, PVC, PS, HIPS, GPPS, ABS, PET, PA, PC, PBT, PU, NYLON, EVA 등에 항균작용이 우수한 티트리, 명반을 혼합하여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1. 화장품 용기(Nano silver and perfume contain)(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84886호) 2.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cosmetic case)(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04743호) 3. 웰빙 용기용 친환경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 조성물(COMPOSITION OF ECO-FRIENDLY BIO NEW MATERIAL)(특허출원번호 제10-2011-893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티트리, 명반의 약리작용 및 맥반석의 탈취, 유해물질 분해작용을 통해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의 조성물과 플라스틱 수지의 혼합하여 화장품 용기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내 세균, 효모 등의 오염물의 분산에 따라 화장품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항균력 증대에 따른 화장품의 장기간 보관 및 사용상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는, PE, LDPE, HDPE, PP, PVC, PS, HIPS, GPPS, ABS, PET, PA, PC, PBT, PU, NYLON, EVA이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이들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공중합체나 변성체 수지로 이루어진 화장품을 담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티트리 12 ~ 20 중량%, 명반 12 ~ 20 중량%, 맥반석 3 ~ 10 중량%, 염화나트륨 0.15 ~ 0.24 중량% 및 물 64 ~ 70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되어 숙성, 건조된 혼합물과 상기 단독 또는 이종 이상 혼합된 공중합체나 변성체 수지를 혼합하여 용융하여 사출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제조방법은, 티트리를 잘게 썰어서 건조후 300 mesh 이상으로 분쇄하여 준비하고, 맥반석을 1000 ~ 1400℃로 12시간 이상 소결하여 300 mesh 이상으로 분쇄한 맥반석 분말을 생성하고, 명반과 염화나트륨을 60 ~ 70℃ 더운물에 혼합하여 용해절차를 진행하는 제 1 공정; 티트리 12 ~ 20 중량%, 명반 12 ~ 20 중량%, 맥반석 3 ~ 10 중량%, 염화나트륨 0.15 ~ 0.24 중량% 및 물 64 ~ 70 중량%으로 구성되어 물이 식기 전에 명반과 염화나트륨이 혼합된 물에 티트리, 맥반석을 넣고 반죽절차를 진행하는 제 2 공정; 상기 제 2 공정에 의해 반죽된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염화나트륨의 혼합물을 세라믹 용기에 옮겨 25 ~ 30 ℃ 온도에서 40 ~ 50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된 조성물을 건조장으로 이동하여 40 ~ 50℃의 온도를 유지하여 건조하여 티트리, 명반, 맥반석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조성물을 형성하는 제 3 공정; 제 3 공정에 따라 생성된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조성물과 플라스틱, 비닐 또는 합성수지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배합하고 용기 조성물과 플라스틱, 비닐 또는 합성수지를 200 ~ 250℃의 열을 가하여 용융/혼합하는 제 4 공정; 제 4 공정이 이루어진 후, 냉각시켜 용융/혼합된 소재에 도료, 가교제 및 경화제를 투입하여 혼합물을 콤파운딩(compounding)하고, 이 혼합물을 절단 가공하여 작은 입자크기의 펠릿(pellet)을 제조하는 제 5 공정; 및 상기 제조된 펠릿을 사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화장품 용기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180~25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사출공정 실시하여 용기 제조를 마무리하는 제 6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은, 티트리, 명반의 약리작용 및 맥반석의 탈취, 유해물질 분해작용을 통해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의 조성물과 플라스틱 수지의 혼합하여 화장품 용기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내 세균, 효모 등의 오염물의 분산에 따라 화장품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항균력 증대에 따른 화장품의 장기간 보관 및 사용상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은 종래의 플라스틱제 용기에 비하여 항균성이 뛰어나며 적용되는 용기의 두께, 수지의 종류에 따른 영향이 거의 없으며 항균 효능이 지속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장품 용기의 표면 및 내면에 존재하는 세균, 곰팡이, 효모와 같은 미생물의 번식이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의 종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을 통해 대조편을 공시 균주인 대장균(ATCC 25922)으로 접종시킨 후 항균처리를 하지않은 상태로 24시간 경과시킨 후의 결과를 보여주는 현미경적 사진.
도 4은 본 발명의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을 통해 시험편을 공시 균주인 대장균(ATCC 25922)으로 접종시킨 후 항균처리한 상태로 24시간 경과시킨 후의 결과를 보여주는 현미경적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을 통해 대조편을 공시 균주인 녹농균(ATCC 15442)으로 접종시킨 후 항균처리를 하지않은 상태로 24시간 경과시킨 후의 결과를 보여주는 현미경적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을 통해 시험편을 공시 균주인 녹농균(ATCC 15442)으로 접종시킨 후 항균처리한 상태로 24시간 경과시킨 후의 결과를 보여주는 현미경적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의 투입되는 조성물의 티트리, 명반, 맥반석에 대한 특징 및 효능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티트리는 Leptospermum, Melaleuca, Kunzea 속에 해당하며, 세계적으로 Leptospermum 속(genus)에 약 86 종, Melaleuca 속에 약 230여종의 식물이 알려져 있다.
원산지는 오스트레일리아로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자생한다. 높이 약 6m까지 늪지대에서 자라며 생명력이 강해서 줄기를 잘라내도 잘 자란다. 공기를 상쾌하게 정화하는 역할을 하는 허브의 한 종류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티트리 나무의 잎으로 베인 상처에 생긴 감염증을 치료해왔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피부 창상의 치료제로서 열대지방의 군인에게 지급되었다. 외과와 치과에서 사용되며 살균소독제·탈취제·비누·공기정화제에도 넣어 사용하며, 이 밖에도 각종 감염증, 감기, 입냄새, 무좀, 비듬 등에도 효과가 있다. 그러나 자극성이 강하기 때문에 원액을 희석시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티트리는 자극성이 강하기 때문에 원액을 아몬드, 아프리코트, 헤즐넛과 같은 캐리어 오일에 2%를 희석하여 사용하며, 항 박테리아, 항바이러스 항진균 효과와 더불어 가장 강력한 면역 자극제, 백혈구를 활성화시켜 체내에 침입한 유기체에 대한 방어선을 구축하고 병에 걸려있는 기간을 단축하고, 호흡계 및 비뇨기계에 항박테리아 작용으로 호흡기계 및 비뇨기계 감염에 사용되는 물질이다.
티트리 오일이 햇빛에 노출되면, 미량의 성분인 파라시멘이 3%에서 305d로 급격히 늘어나며, 항 미생물효과가 있는 terpinene-4-ol이 산화되어 트리하이드톡시멘테인으로 변화된다. Para-cymene은 피부에 고통스러운 홍반과 부종을 유발하는 원소로 밝혀졌으며 산화된 티트리 오일을 피부에 사용할 경우 증상의 치료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화학적 화상을 일으켜 이러한 급격한 산화를 막기 위해 항상 차광병에 보관해야 한다.
티트리(Tea Tree) 나무는 피부질환에 잎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왔든 것으로 항균작용이 우수하여 이 나무의 수증기법으로 오일을 취하여 식물성 천연 항균성 오일로 화장품 및 의약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티트리 잎 자체와 하기에 기술될 명반, 맥반석 및 염화나트륨을 혼합 가공하여 화장품 용기 제작에 따른 혼합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그 가공방법 및 절차를 개진하기 위해 제시된 발명이다.
또한, 명반은 Alunitum으로써 풍(風)을 제거하고, 열(熱)을 내리며, 담(痰)을 삭이고, 습(濕)을 말리고, 간지러움을 멈추게 하고, 갈증을 풀어주고, 골(骨)을 단단하게 하고 지혈(止血), 살충(殺蟲), 설사를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로 사용되었다. 복염은 두 종류 이상의 염이 결합한 형식의 염을 말하며, 염에 속한 이온들은 착이온과 같은 다 원자이온을 만들지 않고 각각 독립적인 이온으로 존재한다. 명반(明礬)은 백반이라고도 잘 알려져 있으며 MIAl(SO4)2·12H3O 또는 MI2SO4·Al2(SO4)3·24H2O의 일반식을 갖는다. MI은 1가의 금속을 말한다. 함유되어 있는 1가의 금속이온이 무엇인지에 따라 칼륨백반(KAl(SO4)2·12H2O), 암모늄백반((NH4)Al(SO4)2·12H2O) 등으로 부른다.
또, 알루미늄 대신에 Ti, V, Cr, Mn, Fe, Co, Rn, Ir, Ga, In과 같은 다른 3가의 금속이온이 치환된 경우도 넓은 의미에서 명반이라 하며, 소염작용, 수렴작용, 지혈작용, 세포재생작용 등으로 악창, 치질, 여드름, 개선(옴), 지방분해에 효과가 있다.
명반의 결정은 어느 것이나 물에 녹는다. 또, 결정을 가열하면 결정수에 녹아 용액이 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백반은 대부분 칼륨 백반인 경우가 많다. 칼륨 백반은 응결제나 매염제(媒染劑) 등에 사용되는데, 매염제란 물들이려고 하는 섬유와 염료를 연결시켜 염색이 잘 되도록 도와주는 물질을 말한다. 손톱에 봉숭아 물을 들일 때 백반을 사용하는 것이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칼륨 백반을 가열하여 탈수시킨 소백반(燒白礬)은 수렴제(收斂劑)로 사용된다. 수렴제는 지혈을 하거나 설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약제이다.
무색~백색의 결정으로 냄새가 없고 맛은 약간 떫다. 공기 속에서 표면이 풍화하여 불투명하게 된다. 가열하면 92.5℃에서 결정수에 녹고 100℃ 이상으로 가열하면 물을 발생하여 백색분말의 태운 명반이 된다. 물에 녹고 수용액은 pH 3.3 에탄올에는 녹지 않고 글리세린에 녹는다. 중탄산소다를 중화시켜 탄산가스를 발생시키는 배합제로서 사용한다.
또한, 맥반석은 화성암류 중 화강섬록반암에 속하며, 석영과 장성이 chacha하게 썩여 있는데, 그 성질이 달고, 따뜻하며, 독이 없어서, 예전에는 환약을 정제하는 여과제, 등에 부스럼 또는 종기 등 피부질병을 치료하는 소염제로 사용되었고,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맥반석은 무수규산(Sio2) 73,6%, 산화알미늄(AL2O3) 15,3%, 산화나트륨(NA2O) 3.44%, 산화마그네슘(MgO) 0.31%, 산화티타늄(TiO2) 0.17%, 산화제2철(Fe2O3) 1.71%, 산화칼륨(K2O) 4.43%, 산화몰리브텐(MnO) 0.05%의 성분을 이루어져, 1㎤당 3만 ~ 15만개의 다층 다공질로 구성되어 있고 비 표면적이 넓어 오염물질, 중금속 등을 흡착, 분해하는 작용을 하며, 인체에 활력을 주는 40 여종 이상의 미네랄이 용출되어 신진대사와 피부건강관리에 효과가 있으며, 산성이나 강한 알칼리성 물을 약알칼리성(pH 7.2 ~ 7.4)으로 조절하며, 수질을 활성화시켜 정수작용을 하고,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공명, 공진, 흡수작용 등으로 식품의 선도유지, 맛의 증가,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 촉진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중금속 이온과 강력한 이온 교환능력이 있어서 유해 금속 제제로 사용되어서 폐수처리공장 등에 사용되어 강한 탈취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응용하여 화장품 원료, 피부질환 등에 사용되며, 수질에서 지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기능을 통해 양어장, 어항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대장균 등의 세균을 제거하여 산소량을 증가시키므로 사용을 많이 합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맥반석을 1000 ~ 1400℃로 12시간 이상 소결하여 300mesh 이상으로 분쇄한 맥반석 가루를 화장품 용기 제조에 사용하기 위해 맥반석 분말 1∼10% 가량 혼합기에서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한방재료인 티트리, 명반의 약리작용 및 맥반석의 탈취, 유해물질 분해를 통해 화장품 용기 제작시 용기의 항균 작용을 통해 화장품 내용물 및 용기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는 미세분말 상의 조성물을 화장품 용기 제조시 혼합하여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을 가열 중탕시켜 화장품 용기의 주원료인 플라스틱 소재와 혼합하여 화장품 용기를 제조하는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명반을 용기에 투입하여 약한불로 가열하여 명반이 녹기 시작하면 중불로 태우면 명반의 수분은 증발하고 하얀 분말만이 생성된다. 즉, 명반은 녹혀서 장기간 보관하면 수분은 증발하고 모래 알맹이가 다시 생기게 되는데, 불에 태워 수분이 증발하고 분말로 형성된 명반은 다시 고체로 변하지 않게 된다.
상기의 절차에 의해 형성된 명반을 티트리, 맥반석과 혼합하여 화장품 용기의 원료로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이 함유된 여러 종류의 화장품 용기를 표시한 사시도로서, 크게, 화장품 용기(10) 및 덮개(20)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10)에 제조에 필요한 구성 및 절차를 제시한 것으로서, 덮개(20) 부분도 그 용도에 따라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이 함유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화장품 용기(10)는 시중에 출시되는 여러 종류로서, 로션과 스킨, 립스틱, 레티놀, 파운데이션, 마스카라, 콤팩트, 팔레트와 자외선 차단 크림과 로션 등 용도에 제한되지 않고, 용기를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의 혼합물과 플라스틱 원료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크게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혼합물 제조공정, 플라스틱 수지와 혼합물 혼합, 용융 및 펠릿 사출성형으로 구분되는데, 그 세부동작을 첨부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티트리를 세척 후 건조하여 300mesh 이상으로 잘게 썰어서 분쇄하고(S10 단계참조), 맥반석을 1000 ~ 1400℃로 12시간 이상 소결하여 300 mesh 이상으로 분쇄한 맥반석 분말을 생성하고(S20 단계참조) 약불, 중불로 가열하여 수분이 증발하고 분말로 형성된 명반과 염화나트륨을 60 ~ 70℃ 더운물에 혼합하여 용해절차를 진행하고(S20 단계참조) 상기 용해 절차 중 물이 식기전에 명반과 염화나트륨이 혼합된 물에 분쇄된 티트리, 맥반석 분말를 넣고 반죽절차를 진행한다.(S40 단계참조) 상기 S40 단계의 반죽절차는 2시간 이상 정도로 혼합하여 반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40 단계의 반죽 절차시 티트리, 명반, 맥반석, 염화나트륨 및 물의 비율은 티트리 12 ~ 20 중량%, 명반 12 ~ 20 중량%, 맥반석 3 ~ 10 중량%, 염화나트륨 0.15 ~ 0.24 중량% 및 물 64 ~ 70 중량%로 구성되며, 보다 세부적으로는 티트리 14.28 중량%, 명반 14.28 중량%, 맥반석 4.72 중량%, 염화나트륨 0.16 중량% 및 물 66.56 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40단계에서 반죽된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염화나트륨의 혼합물을 세라믹 용기에 옮겨 25 ~ 30 ℃ 온도에서 40 ~ 50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된 조성물을 건조장으로 이동하여 40 ~ 50℃의 온도를 유지하여 빠른 건조한다.(S50 단계참조) 상기의 절차에 의해 티트리, 맥반석 분쇄, 명반과 염화나트륨 용해 및 이를 혼합하여 반죽 후 숙성 건조를 통해 혼합물이 생성되는데(S100) 이를 이용하여 화장품 용기의 원료인 플라스틱 수지를 혼합하여 배합한다.
즉, 상기의 공정(S100)에 의해 형성된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의 혼합물을 플라스틱, 비닐 또는 합성수지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용통에 투입하여 배합한다.(S200 단계참조), 용통에 투입된 반죽혼합물과 플라스틱 수지를 200 ~ 250℃의 열을 가하여 용융/혼합하고(S300 단계참조), 냉각시켜 상기 용융/혼합된 소재에 도료, 가교제 및 경화제를 투입하여 혼합물을 콤파운딩(compounding)하고, 이 혼합물을 절단 가공하여 작은 입자크기의 펠릿(pellet)을 제조하고(S400 단계참조) 사출 성형기에 상기 펠릿을 투입한 후, 화장품 용기의 형태 및 특성에 따라 사출조건 및 환경에 따라 180~250℃의 온도에서 용융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형태로 사출공정을 실시하여 화장품 용기의 제조를 마무리한다.(S500 단계참조)
상기 S200 공정에서 투입되는 플라스틱 수지는 플라스틱 수지의 종류로서 PE, LDPE, HDPE, PP, PVC, PS, HIPS, GPPS, ABS, PET, PA, PC, PBT, PU, NYLON, EVA 등이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공중합체나 변성체 수지에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수지의 화장품 용기의 시편의 항균 특성의 실험을 실사하여 그 결과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에 제시하였다.
실시예
1. 항균도 시험
대장균 Escherichia coli(ATCC 25922) 균주 및 녹농균 Pseudononas aeruginosa(ATCC 15442)의 시료를 25℃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균수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의 혼합물이 혼합된 화장품 용기에 배양된 세균을 접종시킨 후, 항균처리를 하지 않는 상태와 항균처리된 상태로 그 결과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2. 시험 결과
첨부된 도 3은 대조편을 공시 균주인 대장균(ATCC 25922)으로 접종시킨 후 항균처리를 하지않은 상태로 24시간 경과시킨 후의 결과를 보여주는 현미경으로 확인한 사진이고, 도 4는 시험편을 공시 균주인 대장균(ATCC 25922)으로 접종시킨 후 항균처리한 상태로 24시간 경과시킨 후의 결과를 보여주는 현미경으로 확인한 사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의 혼합물이 혼합된 화장품 용기는 종래의 화장품 용기에 비해서 대장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하기 표 1은 그 결과가 수치로 나타나 있다.
대장균 항균성 시험결과 수치
구분 시료대상
세균수(갯수/ml) 감소율(%)
0 Hour 24 Hour
대조편 통상 화장품 용기 5.9 x 103 2.7 x 105 -
시험편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혼합물 5.9 x 103 8.7 x 102 99.68
첨부된 도 5는 대조편을 공시 균주인 녹농균(ATCC 15442)으로 접종시킨 후 항균처리를 하지않은 상태로 24시간 경과시킨 후의 결과를 보여주는 현미경으로 확인한 사진이고, 도 6은 시험편을 공시 균주인 녹농균(ATCC 15442)으로 접종시킨 후 항균처리한 상태로 24시간 경과시킨 후의 결과를 보여주는 현미경으로 확인한 사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의 혼합물이 혼합된 화장품 용기는 종래의 화장품 용기에 비해서 녹농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하기 표 2는 그 결과가 수치로 나타나 있다.
녹농균 항균성 시험결과 수치
구분 시료대상
세균수(갯수/ml) 감소율(%)
0 Hour 24 Hour
대조편 통상 화장품 용기 6.3 x 103 2.6 x 105 -
시험편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혼합물 6.3 x 103 5.0 x 102 99.80
상기의 대장균 및 녹농균의 시험에 따라 본 발명의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의 혼합물을 통해 제조된 화장품 용기의 경우, 대장균 및 녹농균 등 균주에 대해 항균작용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티트리, 명반 및 백반석이 함유된 조성물은 염화나트륨과 명반, 티트리가 합성을 통해 플라스틱 등의 수지를 통해 제조된 화장품 용기의 경우 탈취, 항균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화장품 내용물의 장기간 보관 및 사용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3)

  1. PE, LDPE, HDPE, PP, PVC, PS, HIPS, GPPS, ABS, PET, PA, PC, PBT, PU, NYLON, EVA이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이들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공중합체나 변성체 수지로 이루어진 화장품을 담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티트리 12 ~ 20 중량%, 명반 12 ~ 20 중량%, 맥반석 3 ~ 10 중량%, 염화나트륨 0.15 ~ 0.24 중량% 및 물 64 ~ 70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되어 숙성, 건조된 혼합물과 상기 단독 또는 이종 이상 혼합된 공중합체나 변성체 수지를 혼합하여 용융하여 사출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비는 티트리 14.28 중량%, 명반 14.28 중량%, 맥반석 4.72 중량%, 염화나트륨 0.16 중량% 및 물 66.56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3. 티트리를 잘게 썰어서 건조후 300 mesh 이상으로 분쇄하여 준비하고, 맥반석을 1000 ~ 1400℃로 12시간 이상 소결하여 300 mesh 이상으로 분쇄한 맥반석 분말을 생성하고, 명반과 염화나트륨을 60 ~ 70℃ 더운물에 혼합하여 용해절차를 진행하는 제 1 공정;
    티트리 12 ~ 20 중량%, 명반 12 ~ 20 중량%, 맥반석 3 ~ 10 중량%, 염화나트륨 0.15 ~ 0.24 중량% 및 물 64 ~ 70 중량%으로 구성되어 물이 식기 전에 명반과 염화나트륨이 혼합된 물에 티트리, 맥반석을 넣고 반죽절차를 진행하는 제 2 공정;
    상기 제 2 공정에 의해 반죽된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염화나트륨의 혼합물을 세라믹 용기에 옮겨 25 ~ 30 ℃ 온도에서 40 ~ 50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된 조성물을 건조장으로 이동하여 40 ~ 50℃의 온도를 유지하여 건조하여 티트리, 명반, 맥반석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조성물을 형성하는 제 3 공정;
    제 3 공정에 따라 생성된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조성물과 플라스틱, 비닐 또는 합성수지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배합하고 용기 조성물과 플라스틱, 비닐 또는 합성수지를 200 ~ 250℃의 열을 가하여 용융/혼합하는 제 4 공정;
    제 4 공정이 이루어진 후, 냉각시켜 용융/혼합된 소재에 도료, 가교제 및 경화제를 투입하여 혼합물을 콤파운딩(compounding)하고, 이 혼합물을 절단 가공하여 작은 입자크기의 펠릿(pellet)을 제조하는 제 5 공정; 및
    상기 제조된 펠릿을 사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화장품 용기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180~25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사출공정 실시하여 용기 제조를 마무리하는 제 6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KR1020140107478A 2014-08-19 2014-08-19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702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478A KR101702087B1 (ko) 2014-08-19 2014-08-19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478A KR101702087B1 (ko) 2014-08-19 2014-08-19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008A true KR20160022008A (ko) 2016-02-29
KR101702087B1 KR101702087B1 (ko) 2017-02-02

Family

ID=55448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478A KR101702087B1 (ko) 2014-08-19 2014-08-19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0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491B1 (ko) * 2019-02-15 2019-04-23 주식회사 수아아이 순지트를 이용한 쿠션 화장품용 내용기 제조 방법
KR20200102047A (ko) * 2019-02-20 2020-08-31 주식회사 리엔젠 순기트를 포함한 항균 기능을 갖는 화장품 쿠션 팩트
KR102216835B1 (ko) * 2020-08-13 2021-02-17 임상철 화장품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용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131A (ko) * 2000-02-02 2001-08-20 추후제출 기능성 조성물, 기능성 수지조성물 및 기능성 성형물
KR200384886Y1 (ko) 2005-01-21 2005-05-23 양원동 화장품 용기
KR20070004743A (ko) 2004-04-15 2007-01-09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청정 처리 재료, 에어 필터, 공기 조화 장치, 열교환엘리멘트, 및 열교환 유닛
KR100712396B1 (ko) * 2005-11-15 2007-05-02 주식회사 뉴보텍 기능성 수지 제품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파이프
KR100924273B1 (ko) * 2008-01-21 2009-10-3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항균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8934A (ko) 2009-07-21 2011-01-2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송풍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KR101402682B1 (ko) * 2014-03-25 2014-06-03 (주) 스리에스엠코리아 티트리 및 명반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131A (ko) * 2000-02-02 2001-08-20 추후제출 기능성 조성물, 기능성 수지조성물 및 기능성 성형물
KR20070004743A (ko) 2004-04-15 2007-01-09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청정 처리 재료, 에어 필터, 공기 조화 장치, 열교환엘리멘트, 및 열교환 유닛
KR200384886Y1 (ko) 2005-01-21 2005-05-23 양원동 화장품 용기
KR100712396B1 (ko) * 2005-11-15 2007-05-02 주식회사 뉴보텍 기능성 수지 제품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파이프
KR100924273B1 (ko) * 2008-01-21 2009-10-3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항균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8934A (ko) 2009-07-21 2011-01-2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송풍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KR101402682B1 (ko) * 2014-03-25 2014-06-03 (주) 스리에스엠코리아 티트리 및 명반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491B1 (ko) * 2019-02-15 2019-04-23 주식회사 수아아이 순지트를 이용한 쿠션 화장품용 내용기 제조 방법
KR20200102047A (ko) * 2019-02-20 2020-08-31 주식회사 리엔젠 순기트를 포함한 항균 기능을 갖는 화장품 쿠션 팩트
KR102216835B1 (ko) * 2020-08-13 2021-02-17 임상철 화장품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087B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73742A (zh) 纳米元素甲壳素负离子远红外抗菌防螨防电磁波的学生服
KR101702087B1 (ko)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08976872A (zh) 一种释放负离子远红外除醛抗菌的贝壳粉水性涂料的制备方法
CN106635533A (zh) 一种天然美白冷制皂及其制作方法
CN103828840A (zh) 一种抗菌粉及其制备方法
KR20160022024A (ko)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생리대 제조방법
KR100719857B1 (ko) 탈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60501B1 (ko)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마스크
KR101674512B1 (ko) 항균력과 유산균 증식력이 우수한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KR101246849B1 (ko) 미네랄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CN101836920A (zh) 一种远红外线活氧负离子卫生巾及保健垫
KR20090010342A (ko) 신체 기능 활성화용 볼 조성물
KR101502083B1 (ko)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기저귀 제조방법
CN103989608A (zh) 一种壳聚糖温敏凝胶芦荟面膜
KR101654285B1 (ko)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CN107440965A (zh) 一种深层净化洗面奶
CN101780179B (zh) 多功能植物组合物、其用途,多功能植物提取物组合物、其用途及抗菌组合物
CN102091012B (zh) 蛇类纳米元素负离子远红外功效性化妆水
KR101295405B1 (ko) 세라믹의 제조방법
CN103654537A (zh) 抗菌塑料盆
CN103918733A (zh) 一种宠物除菌防跳蚤粉
KR20060066182A (ko) 한방 페인트
CN107828562A (zh) 硅藻美容皂
CN102150690A (zh) 抑菌驱蚊绿色蚊香及其制备方法
CN102138886B (zh) 用于消除脚臭和防治脚气袜子的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