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206A -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206A
KR20160021206A KR1020167000791A KR20167000791A KR20160021206A KR 20160021206 A KR20160021206 A KR 20160021206A KR 1020167000791 A KR1020167000791 A KR 1020167000791A KR 20167000791 A KR20167000791 A KR 20167000791A KR 20160021206 A KR20160021206 A KR 20160021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huma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2960B1 (ko
Inventor
후아 카오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21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06F19/3418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7Home ca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0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adapted for power s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Cardiolog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의 일반노드가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하고, 중심노드가 획득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에 근거하여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를 인식하고 그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그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검측하고 일정한 처리 메커니즘을 통하여 이러한 정보를 원거리의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하여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신체징후 정보를 가장 긴요한 순간에 파악하여 그다음의 치료에 유력한 의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WIRELESS BODY AREA NETWORK-BASED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HUMAN BODY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본 발명은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들의 생활방식이 변화됨에 따라 심장혈관 질병이 이미 사람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하나의 요인으로 되었다. 심장혈관 질병을 초래할 수 있는 몇가지 위험요소(예를 들어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과대비만, 당뇨병 등)가 우리나라 각 지역에서 선명한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이 질병의 발병률이 우리나라에서 더욱 높아지고 있음을 말한다. 심장혈관 질병은 발병률, 불구율, 사망률이 높고 치료비용이 높은 등 특징을 가짐으로 어떻게 심장혈관 질병을 유효하게 예방하고 감시할 것이가는 의료 분야의 이슈로 되었고 난점으로 되었다.
기존의 심장혈관 질병에 대한 감시 방법은 주로 병원의 전문 검측 기기, 예를 들어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심장초음파 등에 의거하여 수행되었는데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질병을 장기적으로 감시할 수 없고, 예를 들어 심장혈관 질병이 돌발된 환자의 경우, 가장 긴요한 순간에 발병시의 각종 생리적 파라미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도록 제공할 수 없고 이로하여 치료시기를 놓치게 된다.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 기술(Wireless Body Area Networks, WBAN로 약칭)은 단거리 인체 영역 네트워크의 새로운 기술로 기타 단거리 저에너지소비 무선 기술과는 달리 이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 기술은 특히 인체 혹은 인체내에서의 응용을 고려하였고, 일반적으로 인체에 부착되는 한가지 네트워크로 작고 통신기능을 구비한 한 세트의 센서와 하나의 신체 메인 기지국(혹은 코오디네이터로도 불리움)으로 구성된다. 각 센서를 신체에 패용할 수 있고 신체내에 삽입시킬 수도 있다. BAN 코오디네이터는 이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관리기로 이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예를 들어 3G, WiMAX, Wi-Fi 등) 사이의 게이트웨이이며 이로하여 데이터가 안전하게 전송되고 교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체 생리적 특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기술방안을 이용하여 실현한다.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 기술에 기반한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는 하나의 중심노드와 모니터링 대상 인체 체표 혹은 체내에 배치된 최소한 하나의 일반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일반노드가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하고, 중심노드가 획득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에 근거하여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를 인식하고 그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그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노드가 중심노드의 명령을 수신한 후에 활성화되어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노드가 중심노드에 의하여 활성화되지 않았을 경우, 일반노드가 비 각성 비컨주기내에서 비 활성화 상태이면 그 일반노드는 동면상태이고, 일반노드가 각성 비컨주기내에 있고 비컨을 수신할 필요가 없으면 그 일반노드는 비컨 전송 시간내에서 비 활성화 상태이고, 일반노드가 관리 혹은 데이터형 프레임을 전송할 필요가 없으면 그 일반노드는 슈퍼프레임의 전용 액세스 단계와 램던 액세스 단계에서 비 활성화 상태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중심노드와 일반노드가 데이터형 프레임 혹은 관리형 프레임을 교환하기 전에, 상호 발견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호 발견은 비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과 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을 포함하고, 상기 비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이란 중심노드가 연결되지 않은 일반노드와 프레임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중심노드가 반드시 비연결 노드의 각성을 보장하여야 하고 그 비연결 노드와 동일한 채널에 위치하여야 하며 연결되지 않은 노드에 비연결 폴링 할당 간격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이란 중심노드가 연결된 일반노드와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중심노드가 각성 프레임과 폴링 프레임을 송신하여 폴링 할당을 제공하여야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심노드와 일반노드가 서비스를 교환하는 과정에 중심노드 혹은 일반노드가 교환중의 프레임에 파워 조절 정보를 휴대하여 파워 제어를 실현함으로서 상대방 노드의 현재 사용중의 파워 레벨을 향상 혹은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워 제어를 중심노드가 주동적으로 시작하고, 중심노드가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변화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중심노드는 교환중의 프레임을 통하여 파워 조절 정보를 휴대하여 상대방 일반노드에 파워 레벨을 변경시켜 현재 링크 상태에 적응하도록 통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노드가 동일한 파워 레벨로 여러번 중심노드로 데이터를 송신하였을 경우, 중심노드는 그 파워 레벨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를 획득하고 동일한 파워 레벨에서의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를 비교하여 중심노드와 일반노드 사이의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는가 나빠지고 있는가를 판단하고, 여기서,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면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나빠지고 있음을 말하고 수신 신호 파워가 점차적으로 커지면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나빠지고 있을 경우, 중심노드는 하향 링크를 통하여 상대방 일반노드에 송신 파워 레벨을 최소한 한 등급 향상시켜 링크 품질의 저하로 인한 패킷 분실에 대응하도록 통지하고,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을 경우, 중심노드는 하향 링크를 통하여 상대방 일반노드에 송신 파워 레벨을 최소한 한 등급 저하시켜 에너지 소비를 절약하도록 통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노드가 패킷을 여러번 송신하였지만 실패하였을 경우, 현재의 파워 레벨을 주동적으로 조절하고, 혹은, 일반노드가 중심노드와 서비스를 교환하는 과정에 미리 설정된 파워 제어 책략에 따라 주동적으로 파워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일반노드가 주동적으로 상기 파워 제어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노드가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그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방법은 그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사전에 저장한 그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정상적인 생리적 수치 및 경계 생리적 수치를 획득하고,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가 정상적인 생리적 수치를 초과하지만 경계 생리적 수치를 초과하지는 않았을 경우, 중심노드가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저장하고, 및/혹은 중심노드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하고,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가 경계 생리적 수치를 초과할 경우, 중심노드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그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휴대한 경보 정보를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하고 획득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에 근거하여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를 인식하고 그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와,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네트워크와,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로부터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근거하여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생리적 상황을 분석하는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가 하나의 중심노드와 모니터링 대상 인체 체표 혹은 체내에 배치된 최소한 하나의 일반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노드가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중심노드가 획득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에 근거하여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를 인식하고 그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그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노드가 중심노드의 명령을 수신하여 활성화되어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노드가 중심노드에 의하여 활성화되지 않았을 경우, 일반노드가 비 각성 비컨주기내에서 비 활성화 상태이면 그 일반노드는 동면상태이고, 일반노드가 각성 비컨주기내에 있고 비컨을 수신할 필요가 없으면 그 일반노드는 비컨 전송 시간내에서 비 활성화 상태이고, 일반노드가 관리 혹은 데이터형 프레임을 전송할 필요가 없으면 그 일반노드는 슈퍼프레임의 전용 액세스 단계와 램던 액세스 단계에서 비 활성화 상태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중심노드와 일반노드가 데이터형 프레임 혹은 관리형 프레임을 교환하기 전에, 상호 발견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호 발견은 비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과 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을 포함하고, 상기 비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이란 중심노드가 연결되지 않은 일반노드와 프레임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중심노드가 반드시 비연결 노드의 각성을 보장하여야 하고 그 비연결 노드와 동일한 채널에 위치하여야 하며 연결되지 않은 노드에 비연결 폴링 할당 간격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이란 중심노드가 연결된 일반노드와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중심노드가 각성 프레임과 폴링 프레임을 송신하여 폴링 할당을 제공하여야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심노드와 일반노드가 서비스를 교환하는 과정에 중심노드 혹은 일반노드가 교환중의 프레임에 파워 조절 정보를 휴대하여 파워 제어를 실현함으로서 상대방 노드의 현재 사용중의 파워 레벨을 향상 혹은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워 제어를 중심노드가 주동적으로 시작하고, 중심노드가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변화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중심노드는 교환중의 프레임을 통하여 파워 조절 정보를 휴대하여 상대방 일반노드에 파워 레벨을 변경시켜 현재 링크 상태에 적응하도록 통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노드가 동일한 파워 레벨로 여러번 중심노드로 데이터를 송신하였을 경우, 중심노드는 그 파워 레벨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를 획득하고 동일한 파워 레벨에서의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를 비교하여 중심노드와 일반노드 사이의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는가 나빠지고 있는가를 판단하고, 여기서,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면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나빠지고 있음을 말하고 수신 신호 파워가 점차적으로 커지면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나빠지고 있을 경우, 중심노드는 하향 링크를 통하여 상대방 일반노드에 송신 파워 레벨을 최소한 한 등급 향상시켜 링크 품질의 저하로 인한 패킷 분실에 대응하도록 통지하고,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을 경우, 중심노드는 하향 링크를 통하여 상대방 일반노드에 송신 파워 레벨을 최소한 한 등급 저하시켜 에너지 소비를 절약하도록 통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노드가 패킷을 여러번 송신하였지만 실패하였을 경우, 현재의 파워 레벨을 주동적으로 조절하고, 혹은, 일반노드가 중심노드와 서비스를 교환하는 과정에 미리 설정된 파워 제어 책략에 따라 주동적으로 파워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일반노드가 주동적으로 상기 파워 제어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중심노드는 그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사전에 저장한 그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정상적인 생리적 수치 및 경계 생리적 수치를 획득하고,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가 정상적인 생리적 수치를 초과하지만 경계 생리적 수치를 초과하지는 않았을 경우, 중심노드가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저장하고, 및/혹은 중심노드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하고,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가 경계 생리적 수치를 초과할 경우, 중심노드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그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휴대한 경보 정보를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측하고 일정한 처리 메커니즘을 통하여 이러한 정보를 원거리의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예를 들어 운동 오락 신체징후 모니터링 단말, 응급 단말, 감시 단말, 의료 서버 단말, 원격 치료 단말)로 송신하여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신체징후 정보를 가장 긴요한 순간에 파악하여 그다음의 치료에 유력한 의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돌발 병에 대하여 경보 및 응급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감시 대상자가 주동적으로 경보를 발송하는 응급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실현, 기능 특징 및 장점 효과를 하기 구체적인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 이 분야의 기술자의 본 발명에 대한 이해 및 실시를 돕기 위하여 도면과 구체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 기술에 기반한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는 하나의 중심노드와, 모니터링 대상 인체 체표 혹은 체내에 배치된 최소한 하나의 일반노드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노드가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한다(S10).
중심노드가 획득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에 근거하여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를 인식하고 그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할 것인가를 선택한다(S20).
모니터링 대상의 인체 생리적 특징은 인체와 관련된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모든 생리적 특징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사전에 각종 인체 생리적 특징과 대응되는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였고, 여기서,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는 실제 수신한 인체 생리적 특징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체 상황을 판단할 경우에 이용되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의 경우, 사전에 감시 대상자의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각종 생리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였고 그후 감시 대상자의 비정상적 혹은 병적인 상태에서의 생리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에 근거하여 인체가 정상적인가를 구별하기 위한 정상적인 수치 임계값과 경계 수지 임계값을 설정하고 수집한 생리적 데이터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감시 대상자가 어떠한 상황인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심장혈관 질병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그중,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주로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 기술에 기반한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와,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구성된다.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는 일반노드(node)와 중심노드(hub)로 구성된다. 이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는 하나의 중심노드만을 포함하고 중심노드에 의하여 매체 액세스를 조절하고 전원을 관리한다. 일반노드는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체표 혹은 체내에 위치하고 각종 센서 기기, 예를 들어 심전도 센서, 운동 센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센서는 중심노드의 명령을 수신하여 활성화되어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일반노드는 중심노드의 배치에 따라 동면 혹은 휴면의 두가지 서로다른 상태에 처하고, 여기서 일반노드가 비 각성 비컨주기내에서 비 활성화 상태이면 그 일반노드는 “동면”상태이고, 일반노드가 각성 비컨주기내에 있고 비컨을 수신할 필요가 없으면 그 일반노드는 비컨 전송 시간내에서 비 활성화 상태이며, 일반노드가 관리 혹은 데이터형 프레임을 전송할 필요가 없으면 일반노드는 슈퍼프레임의 전용 액세스 단계와 램던 액세스 단계에서 비 활성화 상태이고, 즉 휴면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노드와 일반노드는 데이터 프레임 혹은 관리 프레임을 교환하기 전에, 상호 발견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비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과 연결 노드와의 상호 발견의 두가지 방식으로 실현된다.
비연결 노드와의 상호 발견의 경우, 중심노드가 연결되지 않은 일반노드와 프레임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중심노드는 반드시 비연결 노드의 각성을 보장하여야 하고 그 비연결 노드와 동일한 채널에 위치하여야 하며 연결되지 않은 노드에 비연결 폴링 할당 간격을 제공한다.
연결 노드와의 상호 발견의 경우, 중심노드와 연결된 일반노드가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중심노드는 각성 프레임과 폴링 프레임을 송신하고 폴링 할당을 제공하여야 한다.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에너지를 관리하여 장기 사용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각 통신 노드는 반드시 예를 들어 슬리프 전 작업 상태를 보존하는 등 노드가 슬리프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준비 기능과, 예정된 시간내에 노드가 슬리프 상태 혹은 각성 상태로 진입하는 기능 등 두가지 기본 기능을 구비하여야 한다.
에너지 절약 및 인체 안전을 고려하여 파워 제어를 통하여 정보 정송의 노드 송신 파워의 최적화를 실현하고, 즉 채널 조건이 악화되는 경우 발사 파워를 안전한 범위내에 보장하는 조건하에서 노드의 송신 파워를 향상시켜 데이터 패킷을 정확히 수신하도록 보장하고, 채널 조건이 전송 믿음성을 만족시킬 경우, 노드의 송신 파워를 일정하게 저하시켜 에너지를 절약하고 노드의 작업 수명을 연장하여 네트워크의 생존 시간을 연장한다. 노드와 중심노드가 서비스를 교환하는 과정에 경쟁 기간이던 비경쟁 기간이던 상관없이 파워 제어가 필요할(채널 통신 품질이 좋아지거나 나빠지고 있을)때 노드 혹은 중심노드는 교환중의 프레임을 통하여 정보를 휴대하여 파워 제어를 수행함으로서 현재 사용중의 파워 레벨을 향상 혹은 저하시킬 수 있다.
파워 레벨의 조절을 중심노드가 시작할 수 있고 일반노드가 시작할 수도 있다. 트리거 메커니즘은 하기와 같은 두가지가 있다.
1) 중심노드가 주동적으로 파워 제어를 시작한다: 중심노드가 주동적으로 파워 제어를 시작하는 것이란 중심노드가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변화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중심노드가 일반노드와 교환하는 프레임을 통하여 일반노드에 파워 레벨을 변경시켜 현재의 링크 상태에 적응하도록 통지한다. 구체적으로 노드가 동일한 파워 레벨로 여러번 중심노드로 데이터를 송신하였을 경우, 중심노드는 그 레벨 파워에서 수시한 노드 신호의 파워 사이즈를 기록하고 동일한 레벨 파워에서의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를 비교하며 중심노드는 이에 근거하여 그 노드와 통신하는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는가 나빠지고 있는가를 판단한다. 수신 신호 파워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있으면 링크 품질이 나빠지고 있음을 말하고 이때 중심노드는 하향 링크를 통하여 노드에 송신 파워 레벨을 한 등급 향상(최대 파워 레벨을 초과하지 않음)시켜 링크 품질의 악화로 인한 패킷 손실에 대응하도록 통지하고, 수신 신호 파워가 점차적으로 커지면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음을 말하고 이때도 중심노드는 하향 링크를 통하여 노드에 송신 파워 레벨을 한 등급 저하(최하 파워 레벨 이상)시켜 에너지를 절약하고 노드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통지한다.
2) 일반노드가 주동적으로 파워 제어를 시작한다: 일반노드가 주동적으로 파워 제어를 시작하는 것이란 노드가 여러번 패킷을 재송하였지만 여전히 실패하였을 경우 현재의 파워 레벨을 변경시키고, 혹은 사전에 설정된 파워 제어 책략(예를 들어 주기적)에 따라 주동적으로 파워 제어를 수행한다.
일반노드측에 위치한 센서가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 데이터를 중심노드로 전송하고 중심노드가 정리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함으로서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가 수집한 생리적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심노드에 감시 대상자의 정상적인 상황하에서 수집한 각종 생리적 정보 및 설정한 경계 수치가 사전에 저장되어 있고 실시간으로 수집한 생리적 데이터를 자신에 저장된 정상적인 수치 및 경계 수치와 비교 분석하고, 비정상적인 생리적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경우 감시 대상자에 경보를 울리고 의료 감시 단말에 반응한다. 여기서,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가 정상적인 생리적 수치를 초과하였지만 경계 생리적 수치는 초과하지 않았을 경우, 중심노드는 그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저장하고, 및/혹은 중심노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그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하고,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가 경계 생리적 수치를 초과할 경우, 중심노드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그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휴대한 경보 정보를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은 기층의 진료 기지 혹은 전문 병원에 위치하고 응급, 원격 진료 등을 포함한다. 단말과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 사이는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은 수집한 정보를 처리하고 감시 대상자의 잠재적인 질병 위험이 커질때 주의를 환기시키고 건의를 제공하며 전문가의 조작을 통하여 적당한 치료를 수행하며 특히, 질병이 돌발될 경우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 귀중한 치료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는 하나의 중심노드만을 포함하고 중심노드를 통하여 매체 액세스를 조절하고 전원을 관리한다. 에너지 소비를 절약하기 위하여 일반노드측의 센서는 통상 중심노드의 배치에 따라 휴면 혹은 슬리프 상태에 처하고 센서는 중심노드로부터 송신된 명령을 수신한 후 활성화되어 인체 생리 신호를 수집하고 무선 전송을 통하여 수집한 생리적 데이터를 일반노드가 중심노드로 전송한다.
중심노드는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정상적인 상황하에서 수집한 각종 생리 특징 정보 및 이에 근거하여 설정한 정상적인 수치 및 경계 수치를 사전에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수집한 각종 실시간적인 생리적 데이터를 자신에 저장된 정상적인 수치 및 경계 수치와 비교 분석한다. 예를 들어 심전도(ECG) 검사에서 아이 심장 박동이 너무 빠르고 QRS가 우측실 우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가 중심노드에 저장되어 있고 우측실 우세를 나타내는 심전도 신호를 수집하였고 중심노드가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하였으면 경보를 발생하지 않고 이 신호를 수집하도록 일반노드측의 신전 센서를 반복하여 활성화시키지 않음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절약하고 장기 감시의 목적을 실현한다. 사전에 설정한 경계 수치를 초과하면 그 실시간적 생리적 데이터를 휴대한 경보 신호를 발생하여 원거리의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한다. 이는 체내에 삽입되어 전원 교환이 어려운 센서의 경우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상기 방법에 기반하여 돌발된 병에 경보 및 응급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많은 선천적 혹은 후천적 심장혈관 환자는 자신에 잠재적 위험이 있음을 파악하지 못하여 격렬한 운동후에 급사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가 수집한 생리적 데이터를 중심노드로 전송하고 중심노드가 수집한 생리적 파라미터가 일정한 경계 수치를 초과하였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중심노드는 설정 경보에 따라 감시 대상자 혹은 의료 감시 단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감시 단말은 돌발병에 대응하여 구체 상황에 근거하여 긴급 입원 혹은 관련 치료를 배치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감시 대상자 자신이 질명을 주동적으로 경보하고 처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장혈관 환자가 심계항진, 호흡곤난, 가슴이 답답하고, 심장이 뛰고, 현기증이 나타나거나, 눈이 침침하고, 전흉부가 불편하거나 아픈 등 증상이 나타날 경우, 자신이 패용한 중심노드를 통하여 경보를 울리고 이때 의료 모니터링 단말은 그의 우선순위를 높이고 수집한 생리적 정보 상황에 근거하여 관련되는 검사 및 치료 방법을 배치한다. 환자 자신이 응급 처리를 수행하였으면, 예를 들어 협심증 구급약인 질산글리세린 등을 복용하였으면 노드와 단말은 이 상황의 정확한 시간과 방식을 기록하여 그다음에 수집한 데이터와 구별시켜 의사가 질병을 진단하는데 참조하도록 한다.
계속하여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하고 획득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에 근거하여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를 인식하고 그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그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와,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네트워크와,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로부터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근거하여 모니터링 대상 인체에 생리적 상황 분석을 수행하는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는 하나의 중심노드와 최소한 하나의 모니터링 대상 인체 체표 혹은 체내에 배치된 일반노드를 포함하고, 그중, 일반노드는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하고, 중심노드는 획득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에 근거하여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를 인식하며 그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그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할 것인가를 선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일반노드는 중심노드의 명령을 수신한 후에 활성화되어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하고,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일반노드가 중심노드에 의하여 활성화되지 않았을 경우, 일반노드가 비 각성 비컨주기내에서 비 활성화 상태이면 그 일반노드는 동면상태이고, 일반노드가 각성 비컨주기내에 있고 비컨을 수신할 필요가 없으면 그 일반노드는 비컨 전송 시간내에서 비 활성화 상태이고, 일반노드가 관리 혹은 데이터형 프레임을 전송할 필요가 없으면 그 일반노드는 슈퍼프레임의 전용 액세스 단계와 램던 액세스 단계에서 비 활성화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심노드와 일반노드가 데이터형 프레임 혹은 관리형 프레임을 교환하기 전에, 상호 발견해야 하고, 상기 상호 발견은 비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과 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을 포함하고, 여기서, 비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이란 중심노드가 연결되지 않은 일반노드와 프레임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중심노드가 반드시 비연결 노드의 각성을 보장하여야 하고 그 비연결 노드와 동일한 채널에 위치하여야 하며 연결되지 않은 노드에 비연결 폴링 할당 간격을 제공하는 것이고, 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이란 중심노드가 연결된 일반노드와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중심노드가 각성 프레임과 폴링 프레임을 송신하여 폴링 할당을 제공하여야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심노드와 일반노드가 서비스 교환을 수행하는 과정에 중심노드 혹은 일반노드가 교환중의 프레임에 파워 조절 정보를 휴대하여 파워 제어를 수행함으로서 상대방 노드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파워 레벨을 향상 혹은 저하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파워 제어를 중심노드가 주동적으로 시작하고 중심노드가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변화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중심노드는 교환중의 프레임을 통하여 파워 조절 정보를 휴대하여 상대방 일반노드에 파워 레벨을 변경시켜 현재 링크 상태에 적응하도록 통지하고, 여기서, 일반노드가 동일한 파워 레벨로 여러번 중심노드로 데이터를 송신하였을 경우, 중심노드는 그 파워 레벨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를 획득하고 동일한 파워 레벨에서의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를 비교하여 중심노드와 일반노드 사이의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는가 나빠지고 있는가를 판단하고, 여기서,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면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나빠지고 있음을 말하고 수신 신호 파워가 점차적으로 커지면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노드가 수행하는 파워 레벨의 조절의 경우,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나빠지고 있을 경우, 중심노드는 하향 링크를 통하여 상대방 일반노드에 송신 파워 레벨을 최소한 한 등급 향상시켜 링크 품질의 저하로 인한 패킷 분실에 대응하도록 통지하고,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을 경우, 중심노드는 하향 링크를 통하여 상대방 일반노드에 송신 파워 레벨을 최소한 한 등급 저하시켜 에너지 소비를 절약하도록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 실시예에 있어서, 파워 제어를 일반노드가 주동적으로 시작하고 하기 방식을 포함한다:
1, 일반노드가 여러번 패킷을 재송하였지만 여전히 실패하였을 경우 현재의 파워 레벨을 주동적으로 변경시킨다.
2, 혹은 일반노드가 중심노드와 서비스를 교환하는 과정에 사전에 설정된 파워 제어 책략에 따라 주동적으로 파워 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중심노드는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사전에 저장한 그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정상적인 생리적 수치 및 경계 생리적 수치를 획득하고,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가 정상적인 생리적 수치를 초과하지만 경계 생리적 수치를 초과하지는 않았을 경우, 중심노드는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저장하고, 및/혹은 중심노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하고,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가 경계 생리적 수치를 초과할 경우, 중심노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그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휴대한 경보 정보를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한다.
상기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기반하여 이루어진 동등한 구조 혹은 과정, 혹은 기타 관련되는 기술영역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응용한 것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23)

  1.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 기술에 기반한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는 하나의 중심노드와 모니터링 대상 인체 체표 혹은 체내에 배치된 최소한 하나의 일반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일반노드가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하고,
    중심노드가 획득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에 근거하여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를 인식하고 그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그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노드가 중심노드의 명령을 수신한 후에 활성화되어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일반노드가 중심노드에 의하여 활성화되지 않았을 경우,
    일반노드가 비 각성 비컨주기내에서 비 활성화 상태이면 그 일반노드는 동면상태이고,
    일반노드가 각성 비컨주기내에 있고 비컨을 수신할 필요가 없으면 그 일반노드는 비컨 전송 시간내에서 비 활성화 상태이고,
    일반노드가 관리 혹은 데이터형 프레임을 전송할 필요가 없으면 그 일반노드는 슈퍼프레임의 전용 액세스 단계와 램던 액세스 단계에서 비 활성화 상태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4. 제2항 혹은 제3항에 있어서,
    중심노드와 일반노드가 데이터형 프레임 혹은 관리형 프레임을 교환하기 전에, 상호 발견해야 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발견은 비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과 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을 포함하고,
    상기 비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이란 중심노드가 연결되지 않은 일반노드와 프레임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중심노드가 반드시 비연결 노드의 각성을 보장하여야 하고 그 비연결 노드와 동일한 채널에 위치하여야 하며 연결되지 않은 노드에 비연결 폴링 할당 간격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이란 중심노드가 연결된 일반노드와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중심노드가 각성 프레임과 폴링 프레임을 송신하여 폴링 할당을 제공하여야 하는 것을 말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6. 제2항 혹은 제3항에 있어서,
    중심노드와 일반노드가 서비스를 교환하는 과정에 중심노드 혹은 일반노드가 교환중의 프레임에 파워 조절 정보를 휴대하여 파워 제어를 실현함으로서 상대방 노드의 현재 사용중의 파워 레벨을 향상 혹은 저하시키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제어를 중심노드가 주동적으로 시작하고, 중심노드가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변화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그 중심노드는 교환중의 프레임을 통하여 파워 조절 정보를 휴대하여 상대방 일반노드에 파워 레벨을 변경시켜 현재 링크 상태에 적응하도록 통지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일반노드가 동일한 파워 레벨로 여러번 중심노드로 데이터를 송신하였을 경우, 중심노드는 그 파워 레벨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를 획득하고 동일한 파워 레벨에서의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를 비교하여 중심노드와 일반노드 사이의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는가 나빠지고 있는가를 판단하고, 여기서,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면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나빠지고 있음을 말하고 수신 신호 파워가 점차적으로 커지면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음을 말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나빠지고 있을 경우, 중심노드는 하향 링크를 통하여 상대방 일반노드에 송신 파워 레벨을 최소한 한 등급 향상시켜 링크 품질의 저하로 인한 패킷 분실에 대응하도록 통지하고,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을 경우, 중심노드는 하향 링크를 통하여 상대방 일반노드에 송신 파워 레벨을 최소한 한 등급 저하시켜 에너지 소비를 절약하도록 통지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일반노드가 패킷을 여러번 송신하였지만 실패하였을 경우, 현재의 파워 레벨을 주동적으로 조절하고,
    혹은, 일반노드가 중심노드와 서비스를 교환하는 과정에 미리 설정된 파워 제어 책략에 따라 주동적으로 파워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일반노드가 주동적으로 상기 파워 제어를 시작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중심노드가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그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방법은
    그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사전에 저장한 그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정상적인 생리적 수치 및 경계 생리적 수치를 획득하고,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가 정상적인 생리적 수치를 초과하지만 경계 생리적 수치를 초과하지는 않았을 경우, 중심노드가 그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저장하고, 및/혹은 중심노드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그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하고,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가 경계 생리적 수치를 초과할 경우, 중심노드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그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휴대한 경보 정보를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12.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하고 획득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에 근거하여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를 인식하고 그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그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와,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네트워크와,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로부터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근거하여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생리적 상황을 분석하는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시 마이크로 네트워크는 하나의 중심노드와 모니터링 대상 인체 체표 혹은 체내에 배치된 최소한 하나의 일반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노드가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중심노드가 획득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에 근거하여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를 인식하고 그 최소한 하나의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그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일반노드가 중심노드의 명령을 수신한 후 활성화되어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수집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일반노드가 중심노드에 의하여 활성화되지 않았을 경우,
    일반노드가 비 각성 비컨주기내에서 비 활성화 상태이면 그 일반노드는 동면상태이고,
    일반노드가 각성 비컨주기내에 있고 비컨을 수신할 필요가 없으면 그 일반노드는 비컨 전송 시간내에서 비 활성화 상태이고,
    일반노드가 관리 혹은 데이터형 프레임을 전송할 필요가 없으면 그 일반노드는 슈퍼프레임의 전용 액세스 단계와 램던 액세스 단계에서 비 활성화 상태인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시스템.
  16. 제13항 혹은 제14항에 있어서,
    중심노드와 일반노드가 데이터형 프레임 혹은 관리형 프레임을 교환하기 전에, 상호 발견해야 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발견은 비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과 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을 포함하고,
    상기 비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이란 중심노드가 연결되지 않은 일반노드와 프레임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중심노드가 반드시 비연결 노드의 각성을 보장하여야 하고 그 비연결 노드와 동일한 채널에 위치하여야 하며 연결되지 않은 노드에 비연결 폴링 할당 간격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연결 노드의 상호 발견이란 중심노드가 연결된 일반노드와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중심노드가 각성 프레임과 폴링 프레임을 송신하여 폴링 할당을 제공하여야 하는 것을 말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시스템.
  18. 제13항 혹은 제14항에 있어서,
    중심노드와 일반노드가 서비스를 교환하는 과정에 중심노드 혹은 일반노드가 교환중의 프레임에 파워 조절 정보를 휴대하여 파워 제어를 실현함으로서 상대방 노드의 현재 사용중의 파워 레벨을 향상 혹은 저하시키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제어를 중심노드가 주동적으로 시작하고, 중심노드가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변화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그 중심노드는 교환중의 프레임을 통하여 파워 조절 정보를 휴대하여 상대방 일반노드에 파워 레벨을 변경시켜 현재 링크 상태에 적응하도록 통지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일반노드가 동일한 파워 레벨로 여러번 중심노드로 데이터를 송신하였을 경우, 중심노드는 그 파워 레벨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를 획득하고 동일한 파워 레벨에서의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를 비교하여 중심노드와 일반노드 사이의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는가 나빠지고 있는가를 판단하고, 여기서, 수신 신호의 파워 사이즈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면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나빠지고 있음을 말하고 수신 신호 파워가 점차적으로 커지면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음을 말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나빠지고 있을 경우, 중심노드는 하향 링크를 통하여 상대방 일반노드에 송신 파워 레벨을 최소한 한 등급 향상시켜 링크 품질의 저하로 인한 패킷 분실에 대응하도록 통지하고,
    네트워크 링크 품질이 좋아지고 있을 경우, 중심노드는 하향 링크를 통하여 상대방 일반노드에 송신 파워 레벨을 최소한 한 등급 저하시켜 에너지 소비를 절약하도록 통지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일반노드가 패킷을 여러번 송신하였지만 실패하였을 경우, 현재의 파워 레벨을 주동적으로 조절하고,
    혹은, 일반노드가 중심노드와 서비스를 교환하는 과정에 미리 설정된 파워 제어 책략에 따라 주동적으로 파워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일반노드가 주동적으로 상기 파워 제어를 시작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시스템.
  23. 제13항에 있어서,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중심노드는 그 인체 생리적 상황 인증자에 근거하여 사전에 저장한 그 모니터링 대상 인체의 정상적인 생리적 수치 및 경계 생리적 수치를 획득하고,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가 정상적인 생리적 수치를 초과하지만 경계 생리적 수치를 초과하지는 않았을 경우, 중심노드가 그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저장하고, 및/혹은 중심노드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그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하고,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가 경계 생리적 수치를 초과할 경우, 중심노드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그 현재 수집한 인체 생리적 특징 정보를 휴대한 경보 정보를 의료 감시 시스템 단말로 송신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67000791A 2013-06-17 2013-08-15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792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239515.2A CN104243519B (zh) 2013-06-17 2013-06-17 基于无线体域网的人体生理特征监测方法和系统
CN201310239515.2 2013-06-17
PCT/CN2013/081594 WO2014201760A1 (zh) 2013-06-17 2013-08-15 基于无线体域网的人体生理特征监测方法和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206A true KR20160021206A (ko) 2016-02-24
KR101792960B1 KR101792960B1 (ko) 2017-11-02

Family

ID=5210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791A KR101792960B1 (ko) 2013-06-17 2013-08-15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88853B2 (ko)
KR (1) KR101792960B1 (ko)
CN (1) CN104243519B (ko)
WO (1) WO2014201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7219A (zh) * 2015-05-23 2015-09-09 深圳市前海安测信息技术有限公司 基层医疗平台以及基于基层医疗平台的心脏病人监控方法
CN105848243B (zh) * 2016-03-04 2020-01-03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节点位置的中继选择及功率控制联合优化方法
US10306407B2 (en) 2017-06-27 2019-05-28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ic frequency band selection using infrastructure-enabled beaconing
CN108391232B (zh) * 2018-03-05 2023-09-05 西安工业大学 一种基于生物启发的多目标动态监测系统与方法
US10743312B2 (en) 2018-05-09 2020-08-1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body area network frequency band switching
CN109805927A (zh) * 2019-03-25 2019-05-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检测设备
CN116763272B (zh) * 2023-06-08 2024-01-26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七医学中心 一种基于蓝牙技术的便携式多人共享血压监测系统、应用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81124C (zh) * 2007-04-13 2010-01-13 东华大学 一种面向体域医学无线传感器网络的信息采集传输方法
US8926509B2 (en) * 2007-08-24 2015-01-06 Hmicro, Inc. Wireless physiological sensor patches and systems
US9986911B2 (en) * 2007-10-19 2018-06-05 Smiths Medical Asd, Inc.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adaptable for patient monitoring
EP2226002B1 (en) * 2009-03-04 2012-01-18 Fujitsu Limited Improvements to body area networks
KR101164652B1 (ko) 2009-04-20 2012-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실시간 무선 통신 방법
KR20100138690A (ko) 2009-06-25 2010-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BAN(Body Area Network)에서의 긴급 데이터 전송 방법
US8942145B2 (en) * 2009-08-14 2015-01-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mplant access in the medical implant communications service band
CN101674573B (zh) * 2009-09-30 2012-05-09 西安电子科技大学 无线体域网传感节点的安全唤醒装置及方法
CN201790809U (zh) * 2010-04-01 2011-04-13 陈浩然 无线多参数近远程实时监护系统
CN102232828B (zh) * 2010-04-01 2014-08-27 陈浩然 无线多参数近远程实时监护系统
KR20130136907A (ko) * 2010-06-01 2013-12-13 어뎁턴스, 엘엘씨 네트워크 연결된 착용가능한 의료용 센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374831B2 (en) * 2010-09-13 2016-06-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Network coexistence through active superframe interleaving
CN103503521B (zh) * 2011-03-01 2017-05-3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mban服务的回程链路辅助室内频谱使用施行方案
CN102123515B (zh) * 2011-03-10 2013-06-12 西安电子科技大学 无线体域网中基于超帧的高效媒体接入控制方法
BR112013027908A2 (pt) 2011-05-02 2017-01-10 Koninkl Philips Nv sistema médico e método
CN102209106A (zh) * 2011-05-10 2011-10-05 苏州两江科技有限公司 基于无线传感网络的居家老人监控系统
US20130027186A1 (en) * 2011-07-26 2013-01-31 Can Cinbis Ultralow-power implantable hub-based wireless implantable sensor communication
CN102685233A (zh) * 2012-05-11 2012-09-19 上海交通大学 移动医疗保健远程监控系统及其数据传输方法
CN102968550A (zh) * 2012-10-18 2013-03-13 上海交通大学无锡研究院 一种基于体域网的社区人体健康统一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43519A (zh) 2014-12-24
KR101792960B1 (ko) 2017-11-02
WO2014201760A1 (zh) 2014-12-24
US20160135685A1 (en) 2016-05-19
US9888853B2 (en) 2018-02-13
CN104243519B (zh)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960B1 (ko)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인체 생리적 특징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298436B1 (ko)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대한 개선
JP5403074B2 (ja) 近距離無線ネットワークの改善
US8723684B2 (en) Bio-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TWI423714B (zh) 無線感測器網路之改進技術(二)
KR101518221B1 (ko) 센서 네트워크들을 위한 핸드오버 메커니즘
JP5789657B2 (ja) 共有無線チャネルを通じた生命上重要な警報の信頼性の高い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
JP5418609B2 (ja) ボディエリアネットワークの改善
JP5545302B2 (ja) 近距離無線ネットワークの改善
CN106134246A (zh) 用于医学体域网(mban)以满足占空比规则的多信道通信方案
CN106652341A (zh) 一种基于体域网的老人监测救助方法及装置
CN104992391A (zh) 特殊人群监护控制系统、医院服务器、可穿戴设备及通信系统
CN104867083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移动医疗系统
Al Masud Study and analysis of scientific scopes, issues and challenges towards developing a righteous wireless body area network
CN104867082A (zh) 一种面向个人的移动医疗系统
Gama et al. Quality of service support in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emergency healthcare services
Pawar et al. Review of quality of service in the mobile patient monitoring systems
Ullah et al. Numerical analysis of CSMA/CA for pattern-based WBAN system
Momaya et al. A Health Care System Using ZigBee Based WSN
Pruthviraj Rajaram Ghatge A Survey-Energy efficient techniques in WBAN
WO2023036065A1 (zh) 可穿戴的移动监测设备、监护系统和数据传输方法
Gama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QoS for e-health and e-emergency applications
Zhang et al. High access performance strategy for next generation healthcare networks
US11026579B2 (en) Controlling derivation of a biometric characteristic of a subject
Ullah et al. MAC hurdles in body senso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