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014A - 캐리어 병합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 병합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014A
KR20160021014A KR1020150048246A KR20150048246A KR20160021014A KR 20160021014 A KR20160021014 A KR 20160021014A KR 1020150048246 A KR1020150048246 A KR 1020150048246A KR 20150048246 A KR20150048246 A KR 20150048246A KR 20160021014 A KR20160021014 A KR 20160021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tate change
information
state
configu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진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6002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캐리어 병합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인접 셀에 대한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특정 셀의 온오프 동작을 제공하는 경우의 해당 셀에 대한 캐리어 병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말이 셀을 추가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셀 추가 또는 수정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셀 추가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은 무선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지원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캐리어 병합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controlling the carrier aggregation and Apparatuses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캐리어 병합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인접 셀에 대한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특정 셀의 온오프 동작을 제공하는 경우의 해당 셀에 대한 캐리어 병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다수의 셀 혹은 스몰 셀과 같은 전개(deployment)들이 도입됨에 따라 캐리어 병합을 다양한 전개 시나리오에서 적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과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무선 단말의 증가와 송수신 데이터의 증가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필요가 생겼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기지국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지국 또는 데이터 송수신 포인트의 증가는 통신 시스템 전체의 소모 전력의 상승을 야기한다. 아울러,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밀집된 환경에 다수의 기지국이 위치하는 경우에 각 기지국이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가 증가되어 신호간섭 현상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서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기지국이 밀집한 환경에서 무선 신호의 간섭 현상을 예방하고, 통신 시스템 전체의 소모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요구에 따라 안출된 본 발명은 다수의 기지국 또는 셀이 중첩되어 전개된 환경에서 특정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경우에 해당 셀을 단말에 추가 구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이 추가 구성된 경우에 해당 셀의 상태에 따른 단말의 구체적인 동작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 특정 셀을 추가 구성하는 경우에 단말이 추가 구성되는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지를 인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이 셀을 추가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셀 추가 또는 수정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셀 추가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은 무선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지원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이 단말의 셀 추가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확인하여, 셀 추가 또는 수정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셀 추가구성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은 무선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지원되고, 단말은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셀 추가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셀을 추가 구성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셀 추가 또는 수정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셀 추가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은 무선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지원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의 셀 추가 구성을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확인하여, 셀 추가 또는 수정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셀 추가구성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은 무선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지원되고, 단말은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셀 추가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다수의 기지국 또는 셀이 중첩되어 전개된 환경에서 특정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경우에 해당 셀을 단말에 추가 구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이 추가 구성된 경우에 해당 셀의 상태에 따른 단말의 불필요한 모니터링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단말에서의 오류 및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 특정 셀을 추가 구성하는 경우에 단말이 추가 구성되는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지를 인지하도록 하여 단말의 동작이 일반 셀의 경우와는 구분되어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몰 셀 전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스몰 셀 전개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스몰 셀 전개에서의 세부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의 정보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셀 추가구성 정보의 정보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 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 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 라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3GPP LTE 또는 LTE-Advanced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병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기지국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인접 셀에 대한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해당 셀에 속한 단말의 수 또는 데이터 트래픽의 양 등에 따라 해당 셀을 turned on(active state) 혹은 turned off(dormant state)시키는 동적 셀 온오프 매커니즘(dynamic cell on/off mechanism)을 지원하는 셀에 대한 캐리어 병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매크로 셀과 스몰 셀은 통신 가능한 셀의 커버리지의 상대적인 크기로 구분되는 것으로, 매크로 셀은 스몰 셀에 비해서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다. 또한, 매크로 셀과 스몰 셀은 각각의 기지국 또는 송수신 포인트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는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매크로 셀 기지국, 마스터 기지국 또는 MeNB로 기재하고, 스몰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스몰 셀 기지국, 세컨더리 기지국 또는 SeNB로 기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스몰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의 기지국은 전술한 MeNB 또는 SeNB를 의미하며, 필요에 따라 MeNB 또는 SeNB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도 있다.
3GPP LTE 또는 LTE-Advanced 시스템에서 고출력 기지국(high power eNB)에 의해 형성되는 매크로 셀과 고출력 기지국과 광케이블로 연결된 저출력 리모트 라디오 헤드(low power RRH)에 의해 형성되는 스몰 셀과의 다양한 CoMP(Coordinated MultiPoint) 기술 적용을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핫 스팟(hot spot) 혹은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을 지원하기 위한 피코 셀(pico cell) 혹은 마이크로 셀(micro cell) 등이 매크로 셀과 중첩되어 형성되는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 시나리오(heterogeneous network scenario)에서의 다양한 간섭 제어 기술이 제안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스몰 셀을 이용한 다양한 통신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스몰 셀 전개(small cell deployment)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몰 셀 전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스몰 셀과 매크로 셀이 공존하는 상황에서의 구성을 나타내며, 아래 도 2 내지 도 3에서는 매크로 커버리지(macro coverage)의 유무와 해당 스몰 셀이 실외(outdoor)를 위한 것인지, 실내(indoor)를 위한 것인지, 해당 스몰 셀의 전개가 산재(sparse)한 상황인지 밀집(dense)한 상황인지, 스펙트럼의 관점에서 매크로와 동일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좀 더 상세하게 구분한다.
도 2는 스몰 셀 전개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3의 시나리오에 대한 일반적인 대표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스몰 셀 전개 시나리오를 도시하고 있으며 시나리오 #1, #2a, #2b, #3을 포함한다. 200은 매크로 셀을 나타내며, 210과 220은 스몰 셀을 나타낸다. 도 2에서 중첩하는 매크로 셀은 존재할 수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매크로 셀(200)과 스몰 셀(210, 220) 간에 조정(coordination)이 이루어질 수 있고, 스몰 셀(210, 220) 간에도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200, 210, 220의 중첩된 영역은 클러스터로 묶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스몰 셀 전개에서의 세부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스몰 셀 전개에서의 시나리오 #1을 도시하고 있다. 시나리오 1은 오버헤드 매크로의 존재 하에 스몰 셀과 매크로 셀의 동일 채널 전개(co-channel deployment) 시나리오이며 실외 스몰 셀 시나리오이다. 310은 매크로 셀(311) 및 스몰 셀이 모두 실외인 경우로, 312는 스몰 셀 클러스터를 지시한다. 사용자는 실내/실외에 모두 분산되어 있다.
스몰 셀 (312)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실선들은 클러스터 내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within cluster)을 의미한다.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클러스터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점선들은 스몰 셀과 매크로 셀 간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between small cells and macro cell)를 의미한다.
도 4는 스몰 셀 전개 시나리오 #2a를 도시하고 있다. 시나리오 2a는 오버레이 매크로(overlaid macro)의 존재 하에 스몰 셀과 매크로가 서로 다른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전개 시나리오이며 실외 스몰 셀 시나리오이다. 매크로 셀(411) 및 스몰 셀들 모두 실외이며 412는 스몰 셀 클러스터를 지시한다. 사용자는 실내/실외에 모두 분산되어 있다.
스몰 셀 (412)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실선들은 클러스터 내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within cluster)을 의미한다.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클러스터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점선들은 스몰 셀과 매크로 셀 간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between small cells and macro cell)를 의미한다.
도 5는 스몰 셀 전개 시나리오 #2b를 도시하고 있다. 시나리오 2b는 오버레이 매크로의 존재 하에 스몰 셀과 매크로가 서로 다른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전개 시나리오이며 실내 스몰 셀 시나리오이다. 매크로 셀(511)은 실외이며 스몰 셀들은 모두 실내이며 512는 스몰 셀 클러스터를 지시한다. 사용자는 실내/실외에 모두 분산되어 있다.
스몰 셀 (512)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실선들은 클러스터 내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within cluster)을 의미한다.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클러스터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점선들은 스몰 셀과 매크로 셀 간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between small cells and macro cell)를 의미한다.
도 6은 스몰 셀 전개 시나리오 #3을 도시하고 있다. 시나리오 3은 매크로의 커버리지(coverage)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하에 실내 스몰 셀 시나리오이다. 612는 스몰 셀 클러스터를 지시한다. 또한 스몰 셀은 모두 실내이며 사용자는 실내/실외에 모두 분산되어 있다.
스몰 셀 (612)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실선들은 클러스터 내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within cluster)을 의미한다.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클러스터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점선들은 스몰 셀과 매크로 셀 간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between small cells and macro cell)를 의미한다.
위에서 설명한 도 1과 도 2 내지 도 6의 다양한 스몰 셀 시나리오에 사용되는 주파수 F1과 F2는 동일한 듀플렉스 모드(duplex mode)를 지원하는 주파수일 수 있으며 혹은 F1과 F2는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가질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F1은 FDD 모드를 지원하는 주파수, F2는 TDD 모드를 지원하는 주파수 혹은 그 반대의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스몰 셀 디스커버리( Small cell discovery )>
종래 3GPP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 임의의 단말에서 임의의 기지국/eNB/RU/RRH에 의해 형성된 임의의 셀을 탐지(detection)하기 위한 하향링크 동기 및 참조신호로서 PSS(Primary Synchronisation Signal)/SSS(Secondary Synchronisation Signal) 및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가 이용되었다. 이에 따라 임의의 셀을 구성하고 있는 기지국/eNB/RU/RRH에서는 10ms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 단위로 프레임 구조 타입(frame structure type, 예를 들어, TDD/FDD)에 따라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의 경우 0번 및 5번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PSS/SSS를 전송하고, TDD(Time Division Duplex)의 경우 1번 및 6번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PSS/SSS를 전송하며, 구성된 모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CRS를 전송한다.
그러나, 스몰 셀 전개 시나리오에서 스몰 셀 온/오프 동작 등의 필요성이 존재하며, 스몰 셀 온/오프 동작과 관련된 디스커버리 절차가 요구된다. 따라서, PSS/SSS 및 CRS 기반의 스몰 셀 디스커버리 방법에 추가적으로 새로운 참조신호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스몰 셀 디스커버리 절차(new small cell discovery procedure)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가 필요하다.
해당 스몰 셀 온/오프(small cell on/off) 및 스몰 셀 디스커버리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3GPP TR 36.872 문서를 참조하도록 한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3GPP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 정의된 하향링크 참조신호(Reference Signal) 및 SS(Synchronization Signal) 관련 정보는 3GPP TS 36.211 문서를 참조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의의 매크로 셀 커버리지(macro cell coverage)와 중첩되어 다수의 스몰 셀들이 도입되는 경우, 셀 스플리팅 게인(cell splitting gain)을 통해 전체 시스템 쓰루풋(throughput)이 증가하게 되지만, 해당 셀 스플리팅 게인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스몰 셀과 매크로 셀 간의 간섭 문제 및 다수의 기지국 도입을 통한 시스템 전력 소모증가 및 유지 관리비용의 증가 등의 단점이 존재한다. 특히, 해당 스몰 셀 커버리지(small cell coverage) 내에 접속된 단말이 없는 상황에서도 불필요하게 해당 스몰 셀 기지국/eNB/RU/RRH가 지속적으로 PSS/SSS 및 PBCH 혹은 CRS를 포함한 하향링크 신호를 송출해야 하기 때문에 해당 스몰 셀 기지국/eNB/RU/RRH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야기할 뿐 아니라, 인접 셀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불필요한 간섭을 끼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스몰 셀에 접속한 단말의 수 또는 단말의 존재 유무에 따라 해당 스몰 셀 기지국의 상태를 오프상태(off mode/state)로 전환하는 스몰 셀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 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스몰 셀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소단위로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서브프레임 레벨 또는 멀티 서브프레임 레벨(예를 들어, 하프 무선 프레임 레벨, 무선 프레임 레벨 등)의 고속 온오프 전환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고속 온/오프 전환은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을 의미한다.
그러나, 전술한 고속 온오프 전환 동작이 지원되는 임의의 셀을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로서 병합할 때, 해당 셀의 상태를 단말이 정확하게 인지할 필요가 있다. 즉, 단말은 SCell로 추가 구성된 셀이 온상태인지 오프상태인지 명확히 인지할 필요가 있다. 또는 단말은 SCell로 추가 구성된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만약, 단말에게 셀의 상태정보 또는 해당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지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지시(indication)해주는 방법이 정의되지 않을 경우, 해당 SCell이 단말에 구성된 경우에 해당 셀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서 단말의 SCell 측정 절차(SCell measurement procedure) 및 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단말이 셀의 상태정보를 인지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셀을 추가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셀 추가 또는 수정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셀 추가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은 무선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지원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셀 추가 또는 수정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710). 단말에 추가 구성되는 셀은 전술한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일 수 있다. 셀 추가구성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 하나 이상의 셀을 추가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셀 추가구성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는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말은 셀 추가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셀은 SCell로 추가할 수 있다.
단말은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셀 추가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720). 단말은 셀 추가구성 정보에 포함된 셀을 SCell로 추가 구성하고, 해당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셀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모니터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Cell로 추가되는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 경우에, 단말은 해당 셀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동작을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활성화 상태로 구성된 SCell이 오프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해당 SCell의 PDCCH 모니터링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SCell이 오프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해당 SCell에 대한 CSI 리포팅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단말은 SCell이 오프상태인 경우에 일반적인 SCell 모니터링 동작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미 수행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셀 추가구성 정보 및 해당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여부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셀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은 위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동작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작에서 온오프 동작을 지원하는 셀과 그렇지 않은 셀이 구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수신하는 셀 추가구성 정보는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해당 셀이 전술한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서 해당 셀의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셀의 주파수 대역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될 수 있다. 즉, 단말은 추가 구성되는 셀의 주파수 대역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인지를 확인하여 해당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의 지원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추가 구성되는 셀의 주파수 대역이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무선품질을 측정하도록 설정된 경우,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단계에 있어서,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 경우, 셀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지시하는 상태지시정보를 모니터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구성된 SCell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로 확인된 경우에 단말은 해당 셀의 상태정보를 지시하는 상태지시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예로, 상태지시정보는 해당 셀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서브프레임 또는 상태변경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설정된 n개 전의 서브프레임을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이다. 이 외에도, 단말은 명시적 또는 묵시적 방법을 통해서 해당 셀의 상태지시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셀이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단말의 동작에 대해 각 실시예를 나누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고속 온/오프 전환을 지원하는 임의의 SCell을 병합하기 위한 RRC 파라미터를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Scell에 대해 단말이 기존의 CQI/CSI 측정 절차와 다른 형태의 CQI/CSI 측정 절차를 수행하도록 정의한다.
제 1 실시예 :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요소를 정의하는 방법.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은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셀 추가구성 정보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으며, 해당 셀 추가구성 정보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의 정보필드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의 정보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3GPP LTE/LTE-Adnanced rel-11 이하의 시스템에서 임의의 단말을 위한 SCell 추가는 도 8과 같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uration message)에 포함된 sCellToAddModList 필드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셀 추가구성 정보의 정보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 예로, 전술한 sCellToAddModList 필드는 도 9와 같은 정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각 정보 필드는 다음의 표 1 및 표 2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LTE/LTE-Advanced rel-10 이상의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측정 리포트 결과를 기반으로 임의의 셀 또는 기지국에서 RRC 메시지를 통해 SCell을 추가(addition)하거나, 이미 설정된 SCell에 대한 수정(modif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TE/LTE-Advanced rel-10 이상의 시스템에서 임의의 사업자는 임의의 단말에 대해 최대 maxSCell-r10 필드에 포함된 개수의의 SCell 병합 설정이 가능하였다. 또한, MAC 제어요소(MAC Control Element) 시그널링을 통해 추가된 SCell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activation or deactivation) 동작이 이루어진다. 임의의 SCell에 대한 활성화 동작이 이루어진 경우, 단말은 해당 SCell에 대해 CQI/PMI/RI/PTI 등을 포함하는 CSI(Channel State Information)에 대한 리포팅 및 PDCCH 모니터링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정의된다. 특히, 해당 단말은 SCell에 대한 CSI 리포팅을 위해 활성화 동작이 이루어진 SCell의 모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는 CRS 및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에 의해 설정된 CSI-RS를 기반으로 해당 SCell에 대한 하향링크 채널 측정을 수행한다. 단말은 채널 측정 결과를 리포팅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SCell에 대해서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 스킴이 적용될 경우,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해당 SCell의 상태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에 따라 하향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참조 신호인 CRS 혹은 CSI-RS의 전송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을 지원하는 임의의 SCell에 대한 활성화가 이루어진 경우, 해당 SCell의 상태(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에 따라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전송 여부 및 그에 따라 해당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 수행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말은 임의의 셀에 대한 추가/수정(addition/modification) 시, 해당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을 지원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은 임의의 SCell에 대한 추가/수정(addition/modification) 시, 해당 SCell의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의 지원 여부를 RRC 메시지를 통해 명시적(explicit)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전술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서 수신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전술한 셀 추가구성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즉, SCell 추가/수정(addition/modification)을 위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된 sCellToAddMod 필드를 통해 임의의 SCell에 대한 추가 또는 수정 시, 해당 SCell의 셀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지시(indication)해주는 정보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가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된 sCellToAddMod 필드에 포함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묵시적으로 지시하는 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해당 셀의 주파수 대역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묵시적(implicit) 시그널링을 통해 해당 SCell에서의 셀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은 임의의 셀에 대한 하향링크 측정을 위한 측정 구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10). 예를 들어, 단말은 셀을 추가 또는 수정하기 위해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셀의 하향링크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측정을 위한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측정 구성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측정 구성정보는 해당 단말이 측정해야 하는 셀에 대한 정보 또는 해당 셀의 신호 관련 정보(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 정보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은 측정 구성정보를 수신할 경우 해당 측정 구성정보의 주파수 대역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묵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측정 구성정보를 통해서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측정 구성(measurement configuration) 시, 전술한 DRS 기반의 측정 구성(measurement configuration)이 이루어지는 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셀의 하향링크 측정을 수행한다. 이후, 단말은 DRS 기반의 측정 구성이 이루어진 주파수 대역을 통해 지원되는 임의의 서빙 셀(serving cell)을 SCell로 추가/수정(addition/modification)할 경우, 해당 SCell은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측정 구성 시, DRS 기반의 측정 동작 수행되도록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구성된 모든 셀들은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을 지원하는 셀로 단말이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기존 CRS 기반의 측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구성된 모든 셀들은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셀로 단말이 판단할 수 있다. 즉, DRS 기반의 하향링크 측정이 수행되도록 설정되지 않은 주파수 대역을 통해 구성된 모든 셀들은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셀로 정의될 수 있다.
단말은 전술한 측정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측정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측정을 수행한다.
이후, 단말은 하향링크 측정을 수행한 셀 또는 다른 셀에 대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셀을 SCell로 추가 구성할 수 있다(S1020).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DRS 기반 측정구성이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구성되는 셀이 셀 추가구성 정보를 통해서 SCell로 추가 구성되면, 단말은 해당 셀은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셀 모니터링을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 지원 셀에 맞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30). 만약, 셀 추가구성 정보를 통해서 SCell로 추가 구성되는 셀이 측정구성 정보 상의 DRS 기반의 측정이 설정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구성되면, 단말은 추가된 SCell이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셀로 판단하여 일반적인 SCell 모니터링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말은 전술한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시하는 셀인지에 따라서 상기 셀의 무선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동작 및 무선채널 품질을 측정한 결과를 전송하는 동작을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전술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따라서, 셀의 채널상태를 측정 및 리포팅하는 동작을 구분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이고, 셀이 오프상태인 경우,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셀의 채널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전술한 명시적 또는 묵시적 시그널링을 통해서 해당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따라 CSI 리포팅을 위한 하향링크 채널 측정 절차, SCell 온/오프 상태를 지시하는 상태지시정보 모니터링 절차 및 하향링크 RS(Reference Signal) 모니터링 절차 중 하나 이상의 절차가 구분되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설정에 따라, 단말은 해당 셀을 통한 상태지시정보 수신에 대한 모니터링 여부를 결정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활성화 된 SCell에 대해, 해당 SCell이 온오프 상태 변경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경우, 단말은 해당 SCell의 상태지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단말은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지 않는 셀에 대해서는 해당 셀의 상태지시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임의의 활성화된 SCell에 대해, 해당 SCell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따라, 해당 SCell에 대한 CSI 또는 CQI 측정/리포팅(measurement/reporting) 동작이 구분되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지 않는 셀에 대해서, 단말은 기존의 CSI 또는 CQI 측정/리포팅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에 대해서는 DRS에 기반한 CSI 또는 CQI 측정/리포팅 동작만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에 대해서는 온 상태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는 CRS 또는 CSI-RS에 기반한 CSI 또는 CQI 측정/리포팅만이 수행되도록 정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따른 셀에서의 구체적인 하향링크 참조신호 전송 절차 또는 이를 기반으로 한 하향링크 채널 측정 절차 또는 상태지시정보 수신을 위한 모니터링 절차 또는 하향링크 RS 모니터링 절차 등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해당 절차의 구체적인 방식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단말이 추가 구성하도록 수신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이 해당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따라 수행하는 모니터링 또는 측정 절차의 구분 제어동작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단말이 추가 구성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따라서, 해당 셀을 통한 하향링크 측정 및 모니터링 동작을 구분하여 제어하는 경우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하향링크 측정 동작 및 모니터링 동작에 제한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몰 셀 전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서술하였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한 것으로 셀 크기 또는 셀 타입에 관계없이 모든 셀 전개 시나리오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기지국 동작을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단말의 셀 추가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확인하여, 셀 추가 또는 수정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셀 추가구성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은 무선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지원되고, 단말은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셀 추가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확인하여, 셀 추가 또는 수정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110). 셀 추가구성 정보는 임의의 셀을 단말에 추가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는 셀 추가구성 정보는 단말에 구성된 SCell의 수정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단말에 추가 구성되는 셀이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셀인지를 확인하여, 해당 셀의 셀 추가구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셀 추가구성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120). 예를 들어, 셀 추가구성 정보는 전술한 셀 추가/수정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셀 추가구성 정보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SCellToAddMod 필드의 각 정보요소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셀 추가구성 정보 및 해당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셀의 모니터링 동작을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전술한 셀 추가구성 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서 단말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명시적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에 해당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경우이다.
다른 예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셀의 주파수 대역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의 주파수 대역이 DRS 기반으로 무선품질을 측정하도록 설정된 경우, 셀은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일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 2 실시예의 묵시적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에 해당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경우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해당 경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측정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1210). 예를 들어, 측정 구성정보는 임의의 셀의 하향링크 무선품질을 측정하는 데에 필요한 셀에 대한 정보 또는 해당 셀의 주파수 대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해당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셀의 하향링크를 측정하고, 이를 기지국으로 리포팅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리포팅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셀의 단말 추가 구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이 해당 셀을 단말에 추가 구성하기로 결정한 경우, 기지국은 셀 추가 구성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생성하고(S1220),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1230). 셀 추가구성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셀 추가구성 정보에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측정 구성정보의 주파수 대역 정보에 의해서 단말에 묵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구성정보의 설정에 따라 DRS를 기반으로 측정되도록 구성된 경우에 해당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구성되는 서빙 셀들은 셀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을 지원하는 셀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단말은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을 지원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해당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구성되는 셀의 추가구성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은 해당 셀은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로 인지하여 모니터링 동작을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단말에 추가 구성한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 경우에 해당 셀의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지시정보를 단말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상태지시정보는 L1 또는 L2 시그널링에 의해서 전송될 수 있으며, 해당 셀의 상태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기지국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모든 동작을 기지국 관점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단말 및 기지국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1300)은 기지국으로부터 셀 추가 또는 수정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330) 및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셀 추가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제어부(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330)는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셀 추가구성 정보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도 있다. 또는,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셀의 주파수 대역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될 수도 있다.
또한, 수신부(133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측정을 위한 측정구성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해당 측정구성 정보의 셀의 주파수 대역이 DRS 기반으로 무선품질을 측정하도록 설정된 경우, 단말은 해당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수신부(1330)는 해당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 경우에, 해당 셀의 상태정보를 지시하는 상태지시정보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수신부(133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제어부(13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단말에 추가 구성되는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해당 셀을 통한 모니터링 동작 또는 측정 동작을 구분하여 제어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단말(1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32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또는, 송신부(1320)는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된 하향링크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지국(1400)은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확인하여, 셀 추가 또는 수정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1410) 및 셀 추가구성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은 무선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지원되고, 단말은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셀 추가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 또는 측정 동작을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10)는 단말에 추가 구성할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10)는 단말에 셀을 추가 또는 수정하기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해당 셀 추가구성 정보는 추가 구성되는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10)는 단말에 SCell로 추가 구성되는 셀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10)는 임의의 셀에 대한 하향링크 측정을 위한 측정구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해당 측정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묵시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제어부(14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단말에 추가 구성되는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단말이 해당 셀을 통한 모니터링 동작 또는 측정 동작을 구분하여 제어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1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420)는 단말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송신부(1420)는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셀 추가구성 정보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송신부(1420)는 하향링크 측정을 위한 측정구성 정보를 단말로 더 전송할 수도 있다. 만약, 측정구성 정보에 해당 셀이 DRS 기반으로 측정하도록 설정된 경우에 단말은 해당 셀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구성되는 셀들은 온오프 상태변경 동작을 지원하는 셀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420)는 단말에 추가 구성된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경우, 해당 셀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지시하는 상태지시정보를 더 전송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송신부(1020)와 수신부(10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6)

  1. 단말이 셀을 추가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셀 추가 또는 수정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셀 추가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은 무선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지원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추가구성 정보는,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셀의 주파수 대역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주파수 대역이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무선품질을 측정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셀은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 경우,
    상기 셀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지시하는 상태지시정보를 모니터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따라서, 상기 셀의 채널상태를 측정 및 리포팅하는 동작을 구분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이고, 상기 셀이 오프상태인 경우,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상기 셀의 채널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기지국이 단말의 셀 추가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확인하여, 셀 추가 또는 수정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셀 추가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은 무선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지원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셀 추가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추가구성 정보는,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셀의 주파수 대역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주파수 대역이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무선품질을 측정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셀은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 경우,
    상기 셀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지시하는 상태지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셀을 추가 구성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셀 추가 또는 수정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셀 추가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은 무선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지원되는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추가구성 정보는,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셀의 주파수 대역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주파수 대역이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무선품질을 측정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셀은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 경우,
    상기 셀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지시하는 상태지시정보를 모니터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따라서, 상기 셀의 채널상태를 측정 및 리포팅하는 동작을 구분하여 제어하되,
    상기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이고, 상기 셀이 오프상태인 경우,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상기 셀의 채널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1. 단말의 셀 추가구성을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를 확인하여, 셀 추가 또는 수정을 위한 셀 추가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셀 추가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은 무선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지원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셀 추가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셀에 대한 신호의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기지국.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하는 기지국.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추가구성 정보는,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온오프 상태변경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셀의 주파수 대역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주파수 대역이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무선품질을 측정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셀은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셀이 온오프 상태변경을 지원하는 셀인 경우,
    상기 셀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지시하는 상태지시정보를 더 전송하는 기지국.
KR1020150048246A 2014-08-13 2015-04-06 캐리어 병합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210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5417 2014-08-13
KR1020140105417 2014-08-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014A true KR20160021014A (ko) 2016-02-24

Family

ID=5544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246A KR20160021014A (ko) 2014-08-13 2015-04-06 캐리어 병합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10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7174B1 (ko)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655699B1 (ko) 복수의 서빙 셀에서 상향 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209646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reduction and coordination
KR101902406B1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698519B2 (ja)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50223231A1 (en) Uplink control channe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
US97130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hannel for small cell discovery
KR20160010849A (ko) 비면허대역 셀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US98326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ggregation
KR20150013444A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abs 구간 추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106365A (ko)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73536A (ko) 데이터 채널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US99009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ggregation
KR20160021014A (ko) 캐리어 병합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632567B1 (ko) 스몰 셀 디스커버리를 위한 채널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674791B1 (ko) 상향링크 신호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86251A (ko) 기지국의 피드백 자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기지국, 단말의 피드백을 전송하는 방법 및 그 단말
KR20140037693A (ko) 통신 방법,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및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
KR20150055383A (ko) Small cell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83784A (ko) 스몰 셀 디스커버리를 위한 참조신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24046A (ko) 스몰 셀 디스커버리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60005307A (ko) 채널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14389A (ko) 상향링크 공유채널의 전송과 하향링크 공유채널의 수신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12986A (ko) 캐리어 병합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