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986A - 캐리어 병합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 병합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986A
KR20150012986A KR1020140007158A KR20140007158A KR20150012986A KR 20150012986 A KR20150012986 A KR 20150012986A KR 1020140007158 A KR1020140007158 A KR 1020140007158A KR 20140007158 A KR20140007158 A KR 20140007158A KR 20150012986 A KR20150012986 A KR 20150012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ll
duplex mode
pcell
carrier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민석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CN201480042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409139B/zh
Priority to PCT/KR2014/006704 priority patent/WO2015012593A1/ko
Priority to US14/897,233 priority patent/US9900924B2/en
Publication of KR20150012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Scell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기지국이 Scell을 설정하는 방법은 단말이 접속한 Pcell의 제 1 듀플렉스 모드와 상이한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캐리어를 제 1 Scell로 설정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리어 병합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s of configuring carrier aggregation and apparatuses thereof}
본 발명은 캐리어 병합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둘 이상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각각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및 TDD(Time Division Duplex)로 설정되어 서로 상이한 상황 하에서 캐리어 병합을 설정하고 상기 셀을 이용하여 제어정보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다수의 셀 혹은 스몰 셀과 같은 전개(deployment)들이 도입됨에 따라 캐리어 병합을 다양한 전개 시나리오에서 적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과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둘 이상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각각 FDD 및 TDD로 설정되어 서로 상이한 상황 하에서 복수의 기지국 또는 헤테로 지니어스 네트워크에서 송수신을 수행하는 조인트 오퍼레이션과 캐리어 병합이 지원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각각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및 TDD(Time Division Duplex)로 설정되어 서로 상이한 상황 하에서 복수의 기지국 또는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에서 송수신을 수행하는 기지국과 단말에 대해 조인트 오퍼레이션과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도록 셀을 설정하고자 한다. 둘 이상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서로 상이한 경우, 캐리어들을 병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캐리어 병합과 조인트 오퍼레이션을 수행하여 통신 효율을 높이고자 하며, 이를 위한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 과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기지국이 Scell을 설정하는 방법은 단말이 접속한 Pcell의 제 1 듀플렉스 모드와 상이한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캐리어를 제 1 Scell로 설정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단말이 Scell을 설정하는 방법은 기지국에 접속한 Pcell의 제 1 듀플렉스 모드와 상이한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캐리어를 제 1 Scell로 설정하는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Scell을 설정하는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상향링크를 수신하는 수신부, 단말이 접속한 Pcell의 제 1 듀플렉스 모드와 상이한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캐리어를 제 1 Scell로 설정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단말에게 상기 생성한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Scell을 설정하는 단말은 기지국에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송신부, 기지국에 접속한 Pcell의 제 1 듀플렉스 모드와 상이한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캐리어를 제 1 Scell로 설정하는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구현할 경우 기지국이 단말에게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인 FDD와 TDD의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FDD와 TDD의 캐리어 병합을 고려하는 경우에 Scell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 과정 및 이를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몰 셀 전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스몰 셀 전개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스몰 셀 전개에서의 세부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캐리어 병합의 다양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이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기지국이 Scell을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와 실시예 A를 적용시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Scell을 설정하는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와 실시예 B를 적용시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Scell을 설정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적용시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Scell을 설정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적용시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Scell을 설정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에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은 약칭하여 단말로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은 약칭하여 단말로 지칭할 수도 있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 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 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 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 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으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기지국의 일 실시예인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모바일 트래픽 폭증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저전력 노드를 사용하는 스몰셀이 고려되고 있다. 저전력 노드는 일반적인 매크로 노드에 비해 낮은 송신(Tx) 전력을 사용하는 노드를 나타낸다.
3GPP Release 11 이전의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함) 기술에서는 매크로 셀 커버리지 내에서 지리적으로 분산된 안테나인 저전력 RRH(Remote Radio Head)를 사용하여 스몰셀을 구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전술한 CA 기술 적용을 위해 매크로 셀과 RRH 셀은 하나의 기지국의 제어 하에 스케줄링 되도록 구축되며, 이를 위해 매크로 셀 노드와 RRH 간에는 이상적인 백홀(ideal backhaul) 구축이 요구되었다.
이상적인 백홀이란, 광선로(optical fiber), LOS 마이크로웨이브(Line Of Sight microwave)를 사용하는 전용 점대점 연결과 같이 매우 높은 쓰루풋(throughput)과 매우 적은 지연을 나타내는 백홀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xDSL(Digital Subscriber Line), Non LOS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쓰루풋(throughput)과 큰 지연을 나타내는 백홀을 비이상적 백홀(non-ideal backhaul)이라 한다.
복수의 서빙 셀들은 위에서 설명한 단일 기지국기반의 CA 기술을 통해서 병합되어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함) 연결(CONNECTED) 상태의 단말에 대해 복수의 서빙 셀들이 구성될 수 있으며, 매크로 셀 노드와 RRH 간에 이상적인 백홀이 구축되는 경우 매크로 셀과 RRH셀이 함께 서빙 셀들로 구성되어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일 기지국 기반의 CA 기술이 구성될 때, 단말은 네트워크와 하나의 RRC 연결(connection)만을 가질 수 있다.
RRC 연결(connection) 설정(establishment)/재설정(re-establishment)/핸드오버에서 하나의 서빙 셀이 Non-Access Stratum(이하, 'NAS'라함) 이동성(mobility) 정보(예를 들어, TAI: Tracking Area Identity)를 제공하며, RRC connection 재설정/핸드오버에서 하나의 서빙셀이 시큐리티 입력(security input)을 제공한다. 이러한 셀을 Pcell(Primary Cell)이라 한다. Pcell은 단지 핸드오버 프로시져와 함께 변경될 수 있다. 단말 능력들(capabilities)에 따라 Scells(Secondary Cells)이 Pcell과 함께 서빙 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다층셀 구조하에서 스몰 셀 및 임의의 셀/기지국/RRH/안테나/RU가 서로 다른 듀플렉스 즉, FDD와 TDD를 지원하는 경우에 해당 기지국에 속한 단말에게 FDD와 TDD간의 조인트 오퍼레이션을 지원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와 해당 방법을 사용하는 기지국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래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제안들의 적용이 가능한 스몰 셀 전개(small cell deployment)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몰 셀 전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스몰 셀과 매크로 셀이 공존하는 상황에서의 구성을 나타내며, 아래 도 2 내지 도 3에서는 매크로 커버리지(macro coverage)의 유무와 해당 스몰 셀이 실외(outdoor)를 위한 것인지, 실내(indoor)를 위한 것인지, 해당 스몰 셀의 전개가 산재(sparse)한 상황인지 밀집(dense)한 상황인지, 스펙트럼의 관점에서 매크로와 동일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좀 더 상세하게 구분한다.
도 2는 스몰 셀 전개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3의 시나리오에 대한 일반적인 대표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스몰 셀 전개 시나리오를 도시하고 있으며 시나리오 #1, #2a, #2b, #3을 포함한다. 200은 매크로 셀을 나타내며, 210과 220은 스몰셀을 나타낸다. 도 2에서 중첩하는 매크로 셀은 존재할 수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매크로 셀(200)과 스몰 셀(210, 220) 간에 조정(coordination)이 이루어질 수 있고, 스몰 셀(210, 220) 간에도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200, 210, 220의 중첩된 영역은 클러스터로 묶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스몰 셀 전개에서의 세부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스몰 셀 전개에서의 시나리오 #1을 도시하고 있다. 시나리오 1은 오버헤드 매크로의 존재 하에 스몰 셀과 매크로 셀의 동일 채널 전개(co-channel deployment) 시나리오이며 실외 스몰 셀 시나리오이다. 310은 매크로 셀(311) 및 스몰 셀이 모두 실외인 경우로, 312는 스몰셀 클러스터를 지시한다. 사용자는 실내/실외에 모두 분산되어 있다.
스몰 셀 (312)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실선들은 클러스터 내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within cluster)을 의미한다.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클러스터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점선들은 스몰 셀과 매크로 셀 간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between small cells and macro cell)를 의미한다.
도 4는 스몰 셀 전개 시나리오 #2a를 도시하고 있다. 시나리오 2a는 오버레이 매크로(overlaid macro)의 존재 하에 스몰 셀과 매크로가 서로 다른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전개 시나리오이며 실외 스몰 셀 시나리오이다. 매크로 셀(411) 및 스몰 셀들 모두 실외이며 412는 스몰셀 클러스터를 지시한다. 사용자는 실내/실외에 모두 분산되어 있다.
스몰 셀 (412)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실선들은 클러스터 내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within cluster)을 의미한다.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클러스터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점선들은 스몰 셀과 매크로 셀 간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between small cells and macro cell)를 의미한다.
도 5는 스몰 셀 전개 시나리오 #2b를 도시하고 있다. 시나리오 2b는 오버레이 매크로의 존재 하에 스몰 셀과 매크로가 서로 다른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전개 시나리오이며 실내 스몰 셀 시나리오이다. 매크로 셀(511)은 실외이며 스몰 셀들은 모두 실내이며 512는 스몰셀 클러스터를 지시한다. 사용자는 실내/실외에 모두 분산되어 있다.
스몰 셀 (512)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실선들은 클러스터 내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within cluster)을 의미한다.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클러스터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점선들은 스몰 셀과 매크로 셀 간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between small cells and macro cell)를 의미한다.
도 6은 스몰 셀 전개 시나리오 #3을 도시하고 있다. 시나리오 3은 매크로의 커버리지(coverage)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하에 실내 스몰 셀 시나리오이다. 612는 스몰셀 클러스터를 지시한다. 또한 스몰 셀은 모두 실내이며 사용자는 실내/실외에 모두 분산되어 있다.
스몰 셀 (612)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실선들은 클러스터 내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within cluster)을 의미한다.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클러스터 내의 스몰 셀들을 연결하는 점선들은 스몰 셀과 매크로 셀 간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between small cells and macro cell)를 의미한다.
위에서 설명한 도 1과 도 2 내지 도 6의 다양한 스몰 셀 시나리오에 사용되는 주파수 F1과 F2는 동일한 듀플렉스 모드(duplex mode)를 지원하는 주파수일 수 있으며 혹은 F1과 F2는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가질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F1은 FDD 모드를 지원하는 주파수, F2는 TDD 모드를 지원하는 주파수 혹은 그 반대의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도 7은 캐리어 병합의 다양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캐리어 병합 시나리오 하에서도 해당 F1과 F2는 동일한 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주파수일 수 있으며 혹은 F1과 F2는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주파수가 고려될 수 있다.
710은 F1 과 F2 셀들이 거의 동일 커버리지 하에서 공존(co-located)하며 중첩(overlaid)되어 있다. 두 레이어는 충분한 커버리지와 이동성(mobility)을 제공하는 시나리오이며, 중첩된 F1과 F2 cell 간의 병합(aggregation)이 가능한 시나리오이다.
720은 F1 과 F2 셀들이 공존(co-located)하며 중첩(overlaid)되어있지만, F2의 커버리지가 F1에 비해 작은 시나리오이다. F1는 충분한 커버리지를 가지고, 이동성지원도 F1 커버리지 기반으로 수행되며, F2는 쓰루풋(throughput)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시나리오이며, 중첩된 F1과 F2 셀 간의 병합이 가능한 시나리오이다.
730은 F1 과 F2 셀들이 공존(co-located)하지만, F2 안테나들은 셀 경계의 쓰루풋(cell edge throughput)을 증가시키기 위해 셀 경계에 유도(directed)되어있는 시나리오이다. 이동성 지원은 F1 커버리지 기반으로 수행되며 F1은 충분한 커버리지를 가지고 있지만 F2는 잠정적으로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을 가지는 시나리오이고, 같은 eNB에서의 F1 과 F2 셀들이 커버리지가 중첩되어있는 곳에서는 병합될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
740의 시나리오는 F1이 매크로 커버리지(macro coverage)를 가지고 F2에 RRH가 핫 스팟(hot spot)지역에서의 쓰루 풋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시나리오이며, 이동성 지원은 F1 커버리지 기반으로 수행되며 F1 매크로 셀과 함께 F2 RRHs 셀이 병합될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
750은 720의 시나리오와 유사하게 주파수 선택적 리피터(repeaters)들이 한 캐리어의 커버리지 확장을 위해 전개(deploy)된 시나리오이다. 같은 eNB에서의 F1 과 F2 셀들이 커버리지가 중첩되어있는 곳에서는 병합될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본 명세서에서는 단말이 이중 연결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말과 RRC 연결을 형성하고, 핸드오버의 기준이 되는 셀(일 예로, Pcell)을 제공하는 기지국 또는 S1-MME를 종단하고,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서 모빌리티 앵커(mobility anchor)역할을 하는 기지국을 마스터 기지국 또는 제 1 기지국으로 기재한다.
마스터 기지국 또는 제 1 기지국은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고, 스몰 셀 간의 이중 연결 상황에서는 어느 하나의 스몰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한편, 이중 연결 환경에서 마스터 기지국과 구별되어 단말에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세컨더리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으로 기재한다.
제 1 기지국(마스터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세컨더리 기지국)은 각각 단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제공할 수 있고,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매크로 셀이라고 기재할 수 있고,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스몰 셀이라 기재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몰 셀 클러스터 시나리오에서는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도 스몰 셀로 기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매크로 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 각각을 의미할 수 있고,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전체 셀을 대표하는 의미로 기재될 수도 있다. 또한, 스몰 셀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 각각을 의미할 수 있고,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전체 셀을 대표하는 의미로 기재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스몰 셀 클러스터와 같이 특정 시나리오에서는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기지국의 셀은 다른 스몰 셀 또는 또 다른 스몰 셀로 기재될 수 있다.
다만, 이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매크로 셀과 마스터 기지국 또는 제 1 기지국을 연관시키고, 스몰 셀과 세컨더리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을 연관시킬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세컨더리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이 매크로 셀과 연관될 수 있고, 마스터 기지국 또는 제 1 기지국이 스몰 셀과 연관된 상황에도 본 발명이 적용된다.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FDD와 TDD 듀플렉스 모드(duplex mode) 각각의 모드 내에서의 캐리어 병합을 고려하고 있으며, 각각의 FDD 및 TDD와 같이 동일한 모드에서의 캐리어 병합을 고려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이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요소 반송파 또는 CC)들을 구분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먼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에 대해 살펴본다.
CA가 구성될 때, 단말은 네트워크와 하나의 RRC 연결(RRC connection)을 가지며, RRC 연결 설정/재설정/핸드오버(RRC connection establishment/re-establishment/handover)시에 하나의 서빙셀이 NAS 이동성 정보(NAS mobility information)를 제공하고, RRC 연결 재설정/핸드오버 시에 하나의 서빙셀이 보안 입력(security input)을 제공한다. 이러한 셀을 프라이머리 셀로 한다. 하향링크에서 Pcell에 해당하는 캐리어는 하향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Downlink Primary Component Carrier, DL PCC)이며, 상향링크에서는 상향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Uplink Primary Component Carrier, UL PCC)이다.
Pcell은 핸드오버 프로시져(handover procedure)로만 바뀔 수 있으며, Pcell은 PUCCH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Scells과는 달리 Pcell은 비활성화(de-activated)될 수 없다. 또한, 재설정(Re-establishment)는 Pcell이 RLF를 경험할 때 트리거링(triggering)되며, Scell이 RLF를 경험하는 경우에는 재설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NAS 정보는 Pcell로부터 얻어진다.
다음으로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s, Scells)에 대해 살펴본다.
UE 능력(capability)에 의존하여 Scells이 Pcell과 함께 서빙 셀의 셋(a set of serving cells)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향링크에서의 Scell에 해당하는 캐리어는 하향링크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Downlink Secondary Component Carrier, DL SCC)이며, 상향링크에서의 Scell에 해당하는 캐리어는 상향링크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Uplink Secondary Component Carrier, UL SCC)이다.
하나의 단말에 구성된 서빙 셀의 셋은 항상 하나의 Pcell과 하나 이상의 Scells로 구성된다. 구성될 수 있는 서빙 셀의 수는 단말의 병합 능력(aggregation capability)에 의존한다.
재설정(Reconfiguration), Scells의 추가(addition)와 제거(removal)는 RRC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LTE 내의 핸드오버(intra-LTE handover)시에 타겟 Pcell(target Pcell)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RRC는 Scells을 재설정 하거나 추가 및 제거할 수 있다. 새로운 Scell을 추가할 때, Scell의 모든 요구되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전송하기 위해 전용 RRC 시그널링(dedicated RRC signaling)이 사용된다. 연결된 모드(Connected mode)에서 단말은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broadcasted system information)를 Scells로부터 직접 얻을 필요가 없다.
FDD와 TDD 듀플렉스 모드 각각의 모드 내에서의 캐리어 병합을 고려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FDD와 TDD와 같이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가지는 캐리어들간의 병합 및 조인트 오퍼레이션(joint operation)은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해당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인 FDD와 TDD의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FDD와 TDD의 캐리어 병합을 고려하는 경우에서의 단말에서의 동작 방법과 기지국에서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본 발명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인 FDD와 TDD의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FDD와 TDD의 캐리어 병합을 고려하는 경우에서의 단말에서의 동작 방법과 기지국에서의 동작이 기존 각각의 듀플렉스 모드에서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경우와는 달리 정의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해당 경우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과 기지국으로부터의 단말에 대한 동작 설정방법 그리고 그와 관련한 단말의 장치 및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 제안한다.
본 발명은 먼저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캐리어 병합시 Pcell의 정의/지정/설정 방법에 대해서 아래 같은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실시예 1: 듀플렉스 모드 의존적 Pcell 정의(Duplex dependent Pcell definition) 방법
실시예 1은 듀플렉스 모드에 의존하여 Pcell을 정의하는 방법으로서 단말에게 구성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FDD의 carrier가 하나 이상의 multiple 컴포넌트 캐리어로 설정되고, TDD의 carrier가 하나 이상의 multiple 컴포넌트 캐리어로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서 각 FDD 및 TDD 듀플렉스 모드에 대해 각각 하나의 Pcell을 지정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FDD 및 TDD 각각 듀플렉스 모드별로 DL 제어/데이터(control/data) 그리고 UL 제어/데이터(control/data)에 대한 전송을 수행함에 있어서 해당 각 듀플렉스 모드별 지정된 Pcell과 Scells의 동작을 따르도록 하게 하는 실시예이다. 이는 또한 DL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HARQ-ACK/NACK 및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전송하는 Pcell과 Scell들의 동작에 대해 각각의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 Pcell과 Scell들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따르도록 정의하는 것이다. 해당 캐리어 병합 하에서 상향링크로 PUCCH를 전송하는 측면에 있어서는 각 듀플렉스 모드 별로 정의된 PUCCH는 Pcell로만 전송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제어(uplink control)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PUSCH로 피기백(piggyback)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어떤 컴포넌트 캐리어들, Pcell 혹은 어떤 Scell로 전송되게 할 것인지에 대한 룰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ell에 PUSCH가 있는 경우에는 Pcell의 PUSCH로 UCI를 전송하게 하고, Pcell에 PUSCH가 없고 Scell들에 PUSCH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Scell 중 최하위 인덱스(lowest index)를 가지는 Scell에 있는 PUSCH로 전송하게 설정할 수 있다. 혹은 비주기적 CSI 요청(aperiodic CSI request)이 기지국으로부터 지정되는 경우 해당 비주기적 CSI 요청을 지시하는 UL 그랜트로부터 지시되는 해당 Pcell 혹은 Scell에 있는 PUSCH로 UCI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경우, 캐리어 병합 하에서의 PUSCH의 전송과 PDSCH의 전송과 PUSCH의 전송 측면에 있어서도 각각의 듀플렉스 모드 내에서 정의된 Pcell의 제어 하에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방법에 따라 PDSCH 및 PUSCH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1은 결국 각각의 FDD 혹은 TDD 듀플렉스 모드에 대해 정의된 캐리어 병합 시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에 따라 단말 동작과 기지국 설정이 CA하의 FDD 듀플렉스 모드만(FDD Duplex mode only)을 지원하는 경우와 CA하의 TDD 듀플렉스 모드만(TDD Duplex mode only)을 지원하는 경우와 비교해 볼 때, 레가시 단말들의 동작에 영향을 최소화 하는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즉, 각각 FDD 및 TDD 듀플렉스 모드에 따른 Pcell로서의 동작이 존재하므로 각각의 듀플렉스 모드에서 정의된 Pcell과 Scell의 동작에 따라 듀플렉스 모드들간 독립적으로 단말의 동작과 기지국의 동작이 가능하며, 해당 설정으로 Pcell을 정의/지정/설정하는 경우에는 레가시 단말들의 동작에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캐리어 병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그러나 해당 방법의 경우 액세스 프로시저(access procedure)를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먼저 액세스를 수행하는 듀플렉스 모드가 우선적으로 설정되도록 하여 해당 Pcell의 설정에 따라 액세스 프로시저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프로시저의 예로는 셀 검색 프로시저(Cell search procedure),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random access procedure), 핸드오버 프로시저(handover procedure) 등이 있다. 이는 셀 검색을 단말이 수행하는 경우 FDD 캐리어에 사용된 동기화(Synchronization) 채널을 우선적으로 감지하느냐 혹은 TDD 캐리어에 사용된 동기화 채널을 우선적으로 감지하느냐에 따라 액세스 프로시저는 해당 Pcell을 따르도록 하는 방식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특정 듀플렉스 모드에 대한 우선순위를 두도록 설정하여 예를 들면 기존에 LTE 네트워크를 FDD 캐리어를 사용하여 전개한 경우로 FDD 캐리어로 충분한 커버리지 및 이동성 지원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FDD 캐리어를 우선순위로 하여 액세스 프로시저를 수행하도록 하게 하거나, 그와는 달리 기존에 LTE 네트워크를 TDD 캐리어를 사용하여 전개한 경우로 TDD 캐리어로 충분한 커버리지 및 이동성 지원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TDD 캐리어를 우선순위로 하여 액세스 프로시저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들간의 Pcell의 설정에 따른 액세스 프로시저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단말과 기지국과의 모호성(ambiguity)을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 1은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캐리어 병합의 지원을 위한 이중 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능력(capability)을 가진 단말이 아닌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FDD만 지원하는 FDD 온리 모드(FDD only mode)를 가진 비 CA(non-CA) 및 CA 가능한 단말이라고 할지라도 해당 FDD-TDD 듀얼 모드를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경우에 FDD 온리 모드로 비 CA 및 CA 동작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TDD만 지원하는 TDD 온리 모드(TDD only mode)를 가진 비 CA 및 CA 가능한 단말의 경우에도 TDD 온리 모드를 가지는 단말의 동작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FDD-TDD 듀얼 모드 지원를 가능한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경우에 TDD 온리 모드로 비 CA 및 CA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2: 하나의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설정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Pcell을 구성하고 동일 혹은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사용하는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Scell로 구성하는 방법
FDD와 TDD 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컴포넌트 캐리어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도 FDD와 TDD의 듀플렉스 모드에 따른 Pcell과 Scell의 설정은 기존 하나의 듀플렉스 모드에서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설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DD들만의 캐리어병합, 그리고 TDD들만의 캐리어 병합에서 설정하는 방식과 같이 하나의 Pcell을 구성하고 나머지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Scell들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해당 경우에 대한 세부적인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FDD를 지원하는 캐리어 하나가 Pcell로 설정되고 나머지 캐리어들 즉, TDD를 지원하는 캐리어들이거나, 혹은 Pcell로 설정된 캐리어를 제외한 FDD를 지원하는 캐리어들이 Scell로 구성되는 경우 아래와 같이 A-1, A-2, A-3, A-4, A-5로 구성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구성A-1 {Pcell(FDD), Scell-0(TDD)}
구성A-2 {Pcell(FDD), Scell-0(TDD), Scell-1(FDD or TDD)}
구성A-3 {Pcell(FDD), Scell-0(FDD), Scell-1(TDD), Scell-2(FDD or TDD)}
구성A-4 {Pcell(FDD), Scell-0(TDD), Scell-1(FDD), Scell-2(FDD or TDD)}
구성A-5 {Pcell(FDD), Scell-0(TDD), Scell-1(FDD), Scell-2(FDD or TDD), Scell-3(FDD or TDD)}
TDD를 지원하는 캐리어 하나가 Pcell로 설정되고 나머지 캐리어들 즉, FDD를 지원하는 캐리어들이거나 Pcell로 설정된 캐리어를 제외한 TDD를 지원하는 캐리어들이 Scell로 구성되는 경우 아래와 같이 B-1, B-2, B-3, B-4, B-5 로 구성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구성B-1 {Pcell(TDD), Scell-0(FDD)}
구성B-2 {Pcell(TDD), Scell-0(FDD), Scell-1(TDD or FDD)}
구성B-3 {Pcell(TDD), Scell-0(TDD), Scell-1(FDD), Scell-2(TDD or FDD)}
구성B-4 {Pcell(TDD), Scell-0(FDD), Scell-1(TDD), Scell-2(TDD or FDD)}
구성B-5 {Pcell(TDD), Scell-0(FDD), Scell-1(TDD), Scell-2(TDD or FDD), Scell-3(TDD or FDD)}
해당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Scell의 추가 시 FDD와 TDD의 듀플렉스 모드를 구분하여 지시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명시적으로(explicit) 추가할 수 있으며, 혹은 묵시적으로(implicit) 지시되는 하향링크 캐리어 주파수(downlink carrier frequency)에 따라 FDD 듀플렉스를 지원하는 Scell인지 혹은TDD 듀플렉스를 지원하는 Scell 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게 한다.
실시예 3: FDD 우선적으로 Pcell 정의하는 방법(FDD prioritized Pcell definition)
실시예 3은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 시에 FDD 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우선적으로 Pcell으로 설정하는 방법이다. 이와 반대로 TDD를 우선순위로 Pcell로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해당 TDD 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설정된 UL-DL 서브프레임 설정(subframe configuration)에 따라 PUSCH/PDSCH/PHICH/UCI를 전송해야 하는 타이밍이 모두 정의될 필요가 있다. 즉 FDD와 TDD들간의 PUSCH/PDSCH/PHICH/UCI를 전송해야 하는 타이밍에 대한 설정이 요구되며 이는 FDD와 TDD에 대한 각 채널 별 타이밍 관계에 관하여 미리 정의되어야 필요가 있다. 반면, 실시예 3과 같이 FDD를 우선순위로 Pcell로 설정할 경우는 동일 캐리어 상에 DL 서브프레임과 UL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는 TDD와는 달리 UL 캐리어가 FDD에서의 DL 캐리어와는 서로 독립적인 주파수 자원으로 존재하므로 TDD에서 전송하는 PDSCH에 대한 피드백 전송으로서의 UCI 전송에 대하여 해당 FDD에서 사용하는 UL 캐리어 상의 UL 서브프레임에 PUCCH 혹은 PUSCH를 통해서 해당 UCI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레가시 단말들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TDD 우선적으로 Pcell을 정의/설정/지정 방법에 비해 실시예 3은 기존의 기술 구성을 크게 바꾸지 않고 단지 실시예 3에서 제시된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캐리어 병합을 지원하는 단말은 해당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캐리어 병합이 가능한 네트워크 하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경우에 FDD를 우선으로 하여 Pcell을 정의/설정/지정한다는 구성 만으로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캐리어 병합을 지원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Pcell 지정방법으로 고려되는 실시예 2와 실시예 3에서 제시한 방법과 같이 Pcell의 설정을 듀플렉스 모드 별로 별도로 구성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가지는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캐리어 병합하는 경우, 듀플렉스 모드가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에서는 해당 컴포넌트 캐리어가 비록 Scell이라고 할지라도 해당 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Scell 인덱스(Scell index) 중 가장 낮은 Scell 인덱스에 대해서는 Pcell로서의 일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이다.
해당 일부 기능으로서 예시들은 1) PUCCH를 전송하는 기능, 2)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을 수행하는 기능, 3) 비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non-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의 수행 시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을 보내는 기능, 4)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에서의 Pcell과 Scell과의 관계가 구성된 경우, Scell로 설정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동일 듀플렉스 모드하에 가장 낮은 Scell 인덱스를 가지는 Scell은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Scell에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적용할 수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해당 Scell에 대해서는 Pcell이 다른 Scell로부터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될 수 없도록 설정되는 것과 유사하게 해당 Scell은 셀프 캐리어 스케줄링(self-carrier scheduling)에 의해서만 스케줄링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한 해당 Scell은 위의 실시예 2 에서 제시된 Pcell과 Scell의 설정에 관한 예를 기반으로 설명해 볼 때, 위에서 제시된 FDD가 Pcell로 지정된 경우로 A-1~A-5의 예에서는 TDD 모드를 지원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들 하에서의 가장 낮은 Scell 인덱스를 가지는 Scell은 A-1의 경우 Scell-0(TDD), A-2의 경우 Scell-0(TDD), A-3의 경우 Scell-1(TDD), A-4의 경우 Scell-0(TDD), A-5의 경우 Scell-0(TDD)이며, 위의 TDD가 Pcell로 지정된 경우로 B-1~B-5의 예에서는 FDD 모드를 지원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들 하에서의 가장 낮은 Scell index를 가지는 Scell은 B-1~5의 경우 각각 Scell-0(FDD), Scell-0(FDD), Scell-1(FDD), Scell-0(FDD), Scell-0(FDD)이다.
이러한 방법은 듀플렉스 모드에 관계없이 Pcell이 설정되고 Scell이 구성되는 경우에 위에서 제시된 일부의 기능들에 대해 TDD 온리(TDD only) 및 FDD 온리(FDD only)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되던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이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캐리어 병합시에도 동일하게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게 하여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에 대한 모호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Pcell의 지정방법, 즉 본 발명에서 제시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Scell 인덱스를 지정하는 방법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실시예 A: 듀플렉스 모드 별로 즉, FDD 모드와 TDD 모드 별로 Scell 인덱스를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해당 방법은 FDD 모드를 지원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들간에 Scell 인덱스를 구성하도록 하고, TDD 모드를 지원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들간에 Scell 인덱스를 구성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는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캐리어 병합으로 동작하는 단말과 네트워크 혹은 기지국의 경우에 있어서 TDD 온리(TDD only) 및 FDD 온리(FDD only)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되던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이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캐리어 병합 시에도 동일하게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게 하여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에 대한 모호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실시예 B: 듀플렉스 모드에 관계없이 혹은 듀플렉스 모드를 따로 구별하지 않고 해당 캐리어의 구성에 따라 Scell 인덱스를 설정하는 방법
해당 방법은 FDD 및 TDD 모드를 지원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들간에 Scell 인덱스를 할당할 때, Scell 인덱스에 대한 듀플렉스에 따른 구분을 하지 않고 단말에게 구성된 컴포넌트 캐리어들간에 Scell 인덱스를 지정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이다. 즉 기지국은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Scell로 추가될 때, 듀플렉스의 구분없이 Scell 인덱스를 설정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FDD가 Pcell을 구성하고 있고, 추가적으로 TDD 모드 혹은 FDD 모드를 지원하는 컴포넌트 캐리어가 Scell로 추가되는 경우에는 해당 컴포넌트 캐리어를 Scell-0의 인덱스를 가지도록 설정하고, 여기 추가로 TDD 모드 혹은 FDD 모드를 지원하는 컴포넌트 캐리어가 Scell로 하나 더 추가되는 경우에는 해당 컴포넌트 캐리어를 Scell-1 인덱스를 가지도록 설정한다. 유사하게 TDD가 Pcell을 구성하고 있고, 추가적으로 FDD 모드 혹은 TDD 모드를 지원하는 컴포넌트 캐리어가 Scell로 추가되는 경우에는 해당 컴포넌트 캐리어를 Scell-0의 인덱스를 가지도록 설정하고, 여기 추가로 FDD 모드 혹은 TDD 모드를 지원하는 컴포넌트 캐리어가 Scell로 하나 더 추가되는 경우에 해당 컴포넌트 캐리어를 Scell-1 인덱스를 가지도록 설정하게 한다.
이하, 단말이 Scell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듀플렉스 모드인 FDD와 TDD의 협력 동작(Joint Operation) 및 FDD와 TDD의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의 경우에, 상기 FDD와 TDD 모드 별로 각각의 Scell 인덱스를 독립적으로 설정하거나, 상기 FDD와 TDD 모드에 관계없이 캐리어의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Scell 인덱스를 설정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또한 상기 Scell로 설정된 캐리어 중 어느 하나는 Pcell의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이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기지국이 Scell을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기지국은 단말이 접속한 Pcell의 제 1 듀플렉스 모드와 상이한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캐리어를 제 1 Scell로 설정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S810),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Pcell의 기능을 수행한다(S820). 앞서 살펴본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Scell을 설정하되, 상기 Scell은 상기 Pcell의 듀플렉스 모드와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가 된다. 상기 Pcell의 기능은 PUCCH의 송수신,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의 송수신을 수행함을 살펴보았다. 또한 상기 제 1 Scell은 셀프 캐리어 스케줄링이 될 수 있고, 상기 제 1 Scell은 Pcell의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경우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당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만약 듀플렉스 모드에 관계없이 하나의 Pcell이 단말에게 설정될 경우, 상기 제 1 Scell이 다른 Scell에 대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Scell은 가장 낮은 Scell 인덱스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가장 낮은 Scell 인덱스를 가지는 Scell을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A와 같이 듀플렉스 모드 별로 각각의 Scell 인덱스를 독립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는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독립적인 Scell 인덱스를 할당하는 경우는 도 9 및 도 11에서 살펴본다.
반대로 실시예 B와 같이 듀플렉스 모드의 구분 없이 Scell 인덱스를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는 구분없이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분없이 Scell 인덱스를 할당하는 경우는 도 10 및 도 12에서 살펴본다.
한편 실시예 1을 적용하여 기지국은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Pcell과 구별되는 제 2 Pcell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를 상기 제 1 Scell과 구별되는 제 2 Scell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에서 제 1 Scell의 설정 또는 제 2 Pcell, 제 2 Scell의 설정은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 시그널링 등 다양한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이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단말이 수신하는 과정을 포괄한다.
실시예 2, 3과 실시예 A, B를 본 발명에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와 실시예 A를 적용시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Scell을 설정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Scell 인덱스가 듀플렉스 모드 각각에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실시예 A를 적용한 도면이다.
기지국이 FDD 캐리어로 CC1, CC2 을, TDD 캐리어로 CC3, CC4를 운영하는 경우(901 및 902),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 1의 FDD, TDD 설정과 이의 Pcell/Scell 설정 결과는 910과 같다. 또한 단말 2의 FDD, TDD 설정과 이의 Pcell/Scell 설정 결과는 920과 같다.
단말 1은 CC1이 FDD-Pcell이 설정되었으며, 이와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인 TDD의 Scell 중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가지는 CC3의 TDD-Scell_0(915)가 앞서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Scell이 된다.
단말 2는 CC3이 TDD-Pcell이 설정되었으며, 이와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인 FDD의 Scell 중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가지는 CC1의 FDD-Scell_0(925)가 앞서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Scell이 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와 실시예 B를 적용시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Scell을 설정하는 도면이다. 도 10는 Scell 인덱스가 듀플렉스 모드의 구분없이 사용되는 실시예 B를 적용한 도면이다.
기지국이 FDD 캐리어로 CC1, CC2, CC3을, TDD 캐리어로 CC4, CC5를 운영하는 경우(1000),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 1의 FDD, TDD 설정과 이의 Pcell/Scell 설정 결과는 1010과 같다. 또한 단말 2의 FDD, TDD 설정과 이의 Pcell/Scell 설정 결과는 1020과 같다.
단말 1은 CC1이 FDD-Pcell이 설정되었으며, 이와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인 TDD의 Scell 중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가지는 CC4인 TDD-Scell_0(1015)이 앞서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Scell이 된다. 다른 실시예로 CC2의 Scell 인덱스가 FDD-Scell_0이 되고 CC4의 Scell 인덱스가 TDD-Scell_1이 될 수 있다.
단말 2는 CC4가 TDD-Pcell이 설정되었으며, 이와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인 FDD의 Scell 중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가지는 CC2의 FDD-Scell_0(1025)이 앞서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Scell이 된다. 다른 실시예로 CC2의 Scell 인덱스가 FDD-Scell_1이 되고 CC5의 Scell 인덱스가 TDD-Scell_0이 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적용시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Scell을 설정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Scell 인덱스가 듀플렉스 모드 각각에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실시예 A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11에서 FDD의 캐리어는 TDD와 독립적으로 CC1, CC2로 1101과 같이 구성되며 TDD의 캐리어 역시 FDD와 독립적으로 CC3, CC4, CC5로 1102와 같이 구성된다.
단말 1은 1110과 같이 CC1이 FDD-Pcell이다. FDD가 아닌 TDD로 CC4, CC5가 있으며, 최하위 Scell 인덱스를 가지는 CC4인 TDD-Scell_0이 1115와 같이 제 1 Scell로 Pcell의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 2는 1120과 같이 CC2가 FDD-Pcell이다. FDD가 아닌 TDD로 CC3, CC4, CC5가 있으며, 최하위 Scell 인덱스를 가지는 CC3인 TDD-Scell_0이 1125와 같이 제 1 Scell로 Pcell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적용시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Scell을 설정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Scell 인덱스가 듀플렉스 모드의 구분 없이 설정되는 실시예 B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12에서 FDD의 캐리어는 CC1, CC2이며, TDD의 캐리어는 CC3, CC4, CC5로 1200과 같이 구성된다.
단말 1은 1210과 같이 CC1이 FDD-Pcell이다. FDD가 아닌 TDD로 CC4, CC5가 있으며, 최하위 Scell 인덱스를 가지는 CC4가 1215와 같이 제 1 Scell로 Pcell의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 2는 1220과 같이 CC2이 FDD-Pcell이다. FDD가 아닌 TDD로 CC3, CC4가 있으며, 최하위 Scell 인덱스를 가지는 CC3이 1225와 같이 제 1 Scell로 Pcell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 9 내지 12에서 단말 1과 단말 2는 단말 특정하게(UE-specific) Pcell과 Scell을 구성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음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며, 단말 1과 단말 2의 Pcell의 설정 및 Scell 구성이 다를 수 있으나, 항상 다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의 운영에 따라 동일하게 설정될 수 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에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단말은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단말이 Scell을 설정하기 위하여, 도 13의 동작을 수행한다.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한 Pcell의 제 1 듀플렉스 모드와 상이한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캐리어를 제 1 Scell로 설정하는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S1310), 다음으로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Pcell의 기능을 수행한다(S1320).
보다 상세히, 상기 Pcell의 기능은 PUCCH의 송수신,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의 송수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 1 Scell은 셀프 캐리어 스케줄링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Scell은 가장 낮은 Scell 인덱스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제 1 Scell은 Pcell의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경우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당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 A의 듀플렉스 모드 각각에 독립적 Scell 인덱스를 할당하는 예로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가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도 9 및 도 11에서 살펴보았다.
반대로 실시예 B와 같이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는 듀플렉스 모드의 구분없이 설정될 수 있다. 듀플렉스 모드의 구분 없이 Scell 인덱스가 할당된 경우는 도 10 및 도 12에서 살펴보았다.
한편, 실시예 1을 적용하여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Pcell과 구별되는 제 2 Pcell을 설정하며,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제 1 Scell과 구별되는 제 2 Scell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3에서 제 1 Scell의 설정 또는 제 2 Pcell, 제 2 Scell의 설정은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 시그널링 등 다양한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이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단말이 수신하는 과정을 포괄한다.
서로 다른 TDD, FDD 듀플렉스 모드를 가지는 캐리어를 사용하여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경우에 단말과 기지국간에 Pcell의 설정에 따라 동작하는 단말의 행동과 기지국의 설정에 대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모호성을 해결해줌으로써 단말과 기지국간에 수행하는 액세스 프로시져 및 상/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그리고 HARQ 동작을 포함한 상/하향링크 컨토롤 채널의 전송과 수신 동작을 정확하게 하여 단말과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게 하며, 이는 또한 상/하향링크의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400)은 제어부(1410)과 송신부(1420), 수신부(1430)를 포함한다.
제어부(14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Duplex Mode)에서 FDD와 TDD의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FDD와 TDD의 캐리어 병합을 고려한 Scell의 설정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단말이 Scell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매크로 셀과 스몰 셀 환경(혹은 매크로 eNB와 스몰 셀 eNB)하에서 캐리어 병합 및 조인트 오퍼레이션, 듀얼 커넥티비티가 수행되는 경우에 듀플렉스 모드에 관계없이 적용가능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에 따른 Pcell/Scell을 지정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420)와 수신부(14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Scell을 설정하는 기지국(1400)의 구성은 단말로부터 상향링크를 수신하는 수신부(1430), 단말이 접속한 Pcell의 제 1 듀플렉스 모드와 상이한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캐리어를 제 1 Scell로 설정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1410), 그리고 상기 단말에게 상기 생성한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142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10)는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신부(1420)와 수신부(1430)를 제어한다.
앞서 살펴본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Scell을 설정하되, 상기 Scell은 상기 Pcell의 듀플렉스 모드와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가 된다. 상기 제어부(1410)는 Pcell의 기능인 PUCCH의 송수신,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의 송수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Scell은 셀프 캐리어 스케줄링이 될 수 있고, 상기 제 1 Scell은 Pcell의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경우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당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만약 듀플렉스 모드에 관계없이 하나의 Pcell이 단말에게 설정될 경우, 상기 제 1 Scell이 다른 Scell에 대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Scell은 가장 낮은 Scell 인덱스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가장 낮은 Scell 인덱스를 가지는 Scell을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A와 같이 듀플렉스 모드 별로 각각의 Scell 인덱스를 독립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제어부(1410)는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는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독립적인 Scell 인덱스를 할당하는 경우는 도 9 및 도 11에서 살펴보았다.
반대로 실시예 B와 같이 듀플렉스 모드의 구분 없이 Scell 인덱스를 할당할 수 있다. 제어부(1410)는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는 구분없이 설정할 수 있다. 구분없이 Scell 인덱스를 할당하는 경우는 도 10 및 도 12에서 살펴보았다.
한편 실시예 1을 적용하여 상기 제어부(1410)는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Pcell과 구별되는 제 2 Pcell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를 상기 제 1 Scell과 구별되는 제 2 Scell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4에서 제 1 Scell의 설정 또는 제 2 Pcell, 제 2 Scell의 설정은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 시그널링 등 다양한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부(1420)가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단말이 수신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500)은 수신부(1530) 및 제어부(1510), 송신부(1520)를 포함한다.
수신부(153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5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Duplex Mode)에서 FDD와 TDD의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FDD와 TDD의 캐리어 병합을 고려한 Scell의 설정에 따른 전반적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2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단말이 Scell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매크로 셀과 스몰 셀 환경(혹은 매크로 eNB와 스몰 셀 eNB)하에서 캐리어 병합 및 조인트 오퍼레이션, 듀얼 커넥티비티가 수행되는 경우에 듀플렉스 모드에 관계없이 적용가능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에 따른 Pcell/Scell을 지정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52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Scell을 설정하는 단말(1500)의 구성은 기지국에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송신부(1520), 상기 기지국에 접속한 Pcell의 제 1 듀플렉스 모드와 상이한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캐리어를 제 1 Scell로 설정하는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1530), 및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신부(1520)와 상기 수신부(1530)를 제어하는 제어부(151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1510)는 Pcell의 기능인 PUCCH의 송수신,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의 송수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Scell은 셀프 캐리어 스케줄링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 1 Scell은 Pcell의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경우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당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Scell은 가장 낮은 Scell 인덱스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A의 독립적 Scell 인덱스를 할당하는 예로 상기 제어부(1510)는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가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도 9 및 도 11에서 살펴보았다.
반대로 실시예 B와 같이 상기 제어부(1510)는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가 구분없이 설정될 수 있다. 구분 없이 Scell 인덱스가 할당된 경우는 도 10 및 도 12에서 살펴보았다.
한편, 실시예 1을 적용하여 상기 제어부(1510)는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Pcell과 구별되는 제 2 Pcell을 설정하며,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제 1 Scell과 구별되는 제 2 Scell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5에서 제 1 Scell의 설정 또는 제 2 Pcell, 제 2 Scell의 설정은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 시그널링 등 다양한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이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부(1530)가 수신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인 FDD와 TDD의 조인트 오퍼레이션 및 FDD와 TDD의 캐리어 병합을 고려하는 경우에 Scell을 설정하기 위한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Scell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듀플레스 모드인 FDD와 TDD의 협력 동작(Joint Operation) 및 FDD와 TDD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의 경우에, 상기 FDD와 TDD 모드 별로 각각의 Scell 인덱스를 독립적으로 설정하거나, 상기 FDD와 TDD 모드에 관계없이 캐리어의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Scell 인덱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2)

  1.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기지국이 Scell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접속한 Pcell의 제 1 듀플렉스 모드와 상이한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캐리어를 제 1 Scell로 설정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ell의 기능은 PUCCH의 송수신,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의 송수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cell은 셀프 캐리어 스케줄링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cell은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당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cell은 가장 낮은 Scell 인덱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를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를 구분없이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Pcell과 구별되는 제 2 Pcell을 설정하며,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제 1 Scell과 구별되는 제 2 Scell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단말이 Scell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 접속한 Pcell의 제 1 듀플렉스 모드와 상이한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캐리어를 제 1 Scell로 설정하는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Pcell의 기능은 PUCCH의 송수신,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의 송수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cell은 셀프 캐리어 스케줄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cell은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당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cell은 가장 낮은 Scell 인덱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는 독립적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는 구분없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Pcell과 구별되는 제 2 Pcell을 설정하며,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제 1 Scell과 구별되는 제 2 Scell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Scell을 설정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를 수신하는 수신부;
    단말이 접속한 Pcell의 제 1 듀플렉스 모드와 상이한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캐리어를 제 1 Scell로 설정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단말에게 상기 생성한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PUCCH의 송수신,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의 송수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cell은 셀프 캐리어 스케줄링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cell은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당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cell은 가장 낮은 Scell 인덱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를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를 구분없이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Pcell과 구별되는 제 2 Pcell을 설정하며,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제 1 Scell과 구별되는 제 2 Scell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5.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 하에서 Scell을 설정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에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송신부;
    기지국에 접속한 Pcell의 제 1 듀플렉스 모드와 상이한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캐리어를 제 1 Scell로 설정하는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Pcell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PUCCH의 송수신,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의 송수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제 1 Scell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cell은 셀프 캐리어 스케줄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cell은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당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cell은 가장 낮은 Scell 인덱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0.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는 독립적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와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 이상의 Scell의 인덱스는 구분없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2.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Pcell과 구별되는 제 2 Pcell을 설정하며, 상기 제 1 듀플렉스 모드의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제 1 Scell과 구별되는 제 2 Scell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40007158A 2013-07-26 2014-01-21 캐리어 병합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12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42329.2A CN105409139B (zh) 2013-07-26 2014-07-23 执行载波聚合的方法及执行载波聚合的装置
PCT/KR2014/006704 WO2015012593A1 (ko) 2013-07-26 2014-07-23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4/897,233 US9900924B2 (en) 2013-07-26 2014-07-23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ggreg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899 2013-07-26
KR20130088899 2013-07-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986A true KR20150012986A (ko) 2015-02-04

Family

ID=5248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158A KR20150012986A (ko) 2013-07-26 2014-01-21 캐리어 병합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29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699B1 (ko) 복수의 서빙 셀에서 상향 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611825B1 (ko)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과 그 장치
KR101615803B1 (ko) 캐리어 병합을 제어 및 설정하는 방법과 그 장치
KR20160010850A (ko) 비면허대역 셀의 자원설정 방법 및 그 장치
US10742364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downlink HARQ-ACK timing and apparatus therefor
KR101672120B1 (ko)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의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767004B1 (ko)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에서의 제어채널 타이밍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685877B1 (ko)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채널 및 응답정보 전송채널 타이밍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615804B1 (ko) 스몰 셀 환경에서 캐리어 병합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975706B1 (ko) 데이터 채널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CN110677905A (zh) 用于控制上行链路传输功率的方法及其装置
KR20160086251A (ko) 기지국의 피드백 자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기지국, 단말의 피드백을 전송하는 방법 및 그 단말
KR20150012986A (ko) 캐리어 병합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74791B1 (ko) 상향링크 신호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21668A (ko) Phich 전송에 관한 기지국 전송방법과 단말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12985A (ko) 캐리어 병합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42688A (ko)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