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693A - 통신 방법,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및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및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693A
KR20140037693A KR1020120104163A KR20120104163A KR20140037693A KR 20140037693 A KR20140037693 A KR 20140037693A KR 1020120104163 A KR1020120104163 A KR 1020120104163A KR 20120104163 A KR20120104163 A KR 20120104163A KR 20140037693 A KR20140037693 A KR 20140037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downlink
base station
uplink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04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7693A/ko
Publication of KR2014003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04L1/000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by modifying the frame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방법,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및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 방법은, 단말이 기지국과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및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COMMUNICATION METHOD, METHOD FOR ALLOCATING WIRELESS FRAME STRUCTURE AND APPARATUS FOR SETTING WIRELESS FRAME}
본 발명은 통신 방법,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및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 지능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의 도입 및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인해 무선 접속을 요하는 단말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단말 별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요구 또한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무선 데이터 트래픽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이를 수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스몰 셀(small cell) 도입에 대한 논의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를 중심으로 한 무선 이동통신 표준 단체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스몰 셀(Small cell) 도입은 셀 스플리팅 게인(cell splitting gain)을 통한 지역적 무선 자원 재활용을 극대화하여 한정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기존의 매크로 기지국(macro eNB)에 의해 형성된 매크로 셀(macro cell)과 중첩하여 저전력 기지국(low power eNB/RU/RRH)에 의해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하는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이하 'Het-Net'라 통칭함) 시나리오가 차세대 무선 이동통신망의 구조로서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Het-Net 시나리오에서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들을 위한 다양한 협력 통신 기법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무선 사업자들은 할당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높은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을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이하 'DU'라 통칭함)과 라디오 유닛(Radio Unit, 이하 'RU'라 통칭함)로 분리하여 각각의 RU가 독립적인 셀을 형성함으로써 주파수 재사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여기서, RU의 무선 자원 관리는 분리된 DU 혹은 클라우드 기반의 DU 집합체인 데이터 센터에서 이루어지는 CCC(Cloud Communication Center) 구조는 Het-Net 시나리오에서 인터 기지국(inter eNB/RU/RRH)간 다양한 협력 통신 기술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RU들 간의 전송 파워 불균형으로 인해 각각의 RU들이 커버하는 셀 사이즈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Het-Net 시나리오가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처럼,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 시나리오가 일반화되어 가면서, 매크로 셀 및 스몰 셀 간의 간섭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간섭 제어 방안과 협력 통신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복잡한 간섭 제어 방안 및 협력 통신 방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복잡한 채널 측정 및 피드백이 요구되고 있다.
근원적으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을 사용하는 매크로 셀(macro cell)과 스몰 셀(small cell) 간의 간섭 문제에 대한 완전한 해결책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스몰 셀(small cell)의 도입으로 인한 단말의 잦은 핸드오버에 따른 코어(core)망의 부하 증가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매크로 셀과 스몰 셀에서 공유하는 환경에서 벗어나 무선 이동통신을 위해 새롭게 할당될 고주파 대역을 스몰 셀 전용으로 할당하여 매크로 셀과 스몰 셀간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분리함으로써, 스몰 셀 및 매크로 셀 간 간섭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즉, 매크로 기지국(eNB/RU/RRH)에 의해 제공되는 주파수 대역1(f1)과 스몰 기지국(eNB/RU/RRH)에 의해 제공되는 주파수 대역2(f2)를 분리 하는 시나리오가 대두되고 있다.
이렇게 스몰 셀과 매크로 셀의 주파수 대역이 분리되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경우와 달리 셀 간 간섭 문제가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로 인해 매크로 셀의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이하 'FDD'로 통칭함) 상향링크/하향링크 캐리어(DL/UL carrier)와 스몰 셀의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ing Division Duplex, 이하 'TDD'로 통칭함) 캐리어(carrier)의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통칭함) 환경에서 시스템 및 단말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스케쥴링 방안 및 관련 제어 신호 전송 방안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다.
현재 LTE 스펙 TS 36.211에 정의된 바에 따르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컨피거레이션(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정보 및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 정보는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 블록1(System Information Block 1, 이하 'SIB1'으로 통칭함)을 통해 셀-특정(cell-specific)하게 설정된다.
SIB1 파라미터(parameter)는 SIB2 이상의 파라미터들과는 달리 세미-정적(semi-static)하게 고정된 파라미터로서 해당 파라미터 재설정을 위한 절차(procedure)가 명확하게 정의가 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최근 TDD의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을 하향링크/상향링크 트래픽(DL/UL traffic)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재설정하는 것이 가능토록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3GPP RAN(Radio Access Network)1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통한 재설정 방안,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을 위한 새로운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 즉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통칭함) 시그널링 또는 MAC CE 시그널링 정의, 물리 시그널링(physical signaling) 기반의 다이나믹 상향링크-하향링크 리컨피거레이션(dynamic UL-DL reconfiguration) 방안 등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본래 TDD 프레임 구조의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SIB1을 통해 셀-특정하게 설정되었다.
해당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은 셀 간 간섭 등의 문제로 인해 다소 시스템-특정(system-specific)한 파라미터로서 단일한 임의의 셀에서 하향링크/상향링크 트래픽(DL/UL traffic)의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해당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을 재설정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하지만 최근 하향링크/상향링크 트래픽(DL/UL traffic)의 변화에 따른 동적으로 상향링크-하향링크 래티오(UL-DL ratio)를 재설정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기제안된 동적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 방안은 HARQ 피드백 이슈 및 기존 단말에 대한 호환성의 문제로 인해, 종래의 7가지 컨피거레이션 후보자(configuration candidate) 내에서의 재설정만이 고려되었다. 이로 인해 하향링크/상향링크 트래픽(DL/UL traffic)의 버스티(bursty)한 특성에 완벽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매크로 셀과 스몰 셀의 CA를 기반으로 스몰 셀의 캐리어를 데이터 부스팅(data boosting)을 위한 사용자 플레인(U-plane) 전송에 주로 활용할 경우, 하향링크/상향링크 트래픽 버스트(DL/UL의 traffic burst)에 대해 유동적을 그 자원을 활용할 필요성이 더욱 증가된다.
또한, 기존 방식의 경우, HARQ 피드백 타이밍을 재정의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정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단말의 복잡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매크로 셀과 스몰 셀이 중첩된 네트워크에서 스몰 셀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설정하는 통신 방법,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및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몰 셀을 위한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ing Division Duplex, TDD) 타입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 유동적으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동작하는 리퀴드 프레임을 할당하는 무선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통신 방법,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및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통신 방법은, 단말이 기지국과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설정하는 단계; 하향링크 신호를 동시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향링크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전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 또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가 결정한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입 정보에 따라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스케쥴링 그랜트를 통해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통해 수신된 상향링크 그랜트인지 또는 하향링크 그랜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로 판단되면,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그랜트로 판단되면,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상기 하향링크 그랜트 모두가 아닌 경우로 판단되면,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로 판단된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통해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그랜트로 판단된 경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통해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제1 기지국의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주파수 대역과 제2 기지국의 시간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주파수 대역을 캐리어 병합하고,
상기 무선 프레임은,
상기 시간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프레임이고,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는,
상기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프레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지국은, 매크로 셀을 형성하며 상기 단말이 현재 접속한 서빙 기지국이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매크로 셀 내에 포함되며 중첩되는 스몰 셀을 형성하고 상기 단말의 인접 기지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프레임 단위로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전송을 위해 사전 정의된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은, 단말 또는 기지국이 상호 통신하기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를 배치하는 방법으로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분리시키는 스위칭 포인트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가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이 반복되는 단위로 정의된다.
이때,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는,
상향링크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전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는,
하향링크 신호를 동시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퀴드 서브프레임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제어 장치의 결정에 따라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향링크 그랜트에 따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고,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그랜트에 따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프레임 구조는,
시간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프레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프레임 구조는,
프레임 구조 타입 2(frame structure type 2)의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에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에서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할지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할지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결정부의 결정에 따른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스케쥴링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케쥴링부는,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하향링크 그랜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케쥴링부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무선 프레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상기 하향링크 그랜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케쥴링부는,
무선 프레임 단위로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전송을 위해 사전 정의된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프레임은,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 둘 이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서빙 기지국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는 복수의 기지국을 관리하고, 상기 단말이 접속한 서빙 기지국을 통해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크로 셀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스몰 셀의 무선 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가변적으로 사용되는 리퀴드 서브프레임(Liquid subframe)을 정의함으로써 스몰 셀에서의 무선 자원 활용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스몰 셀에서의 하향링크/상향링크 트래픽 래티오(DL/UL traffic ratio)에 따른 서브프레임 레벨의 적응(adaptation)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TDD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 배치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및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크기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를 가지는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이 중첩적으로 배치되는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Het-Net)이다. 여기서, 두 개의 기지국만을 도시하였으나, 복수개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기지국(100)의 서비스 대상 지역인 매크로 셀(Macro Cell)(300) 및 제2 기지국(200)의 서비스 대상 지역인 스몰 셀(Small Cell)(400)이 중첩된다. 스몰 셀(400)은 매크로 셀(300) 보다 작은 지역을 커버한다. 하나의 매크로 셀(300) 내에는 복수의 스몰 셀(400)이 존재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매크로 셀(300) 내에는 분산된 저전력 RRH(Remote Radio Heads)에 의한 피코 셀(Pic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펨토 셀(Femto Cell)과 같은 스몰 셀(400)이 중첩되어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인접한 셀 간의 협력 통신을 통해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고자 하는 협력형 멀티-포인트 시나리오(CoMP scenario, Coordinated Multi-Point scenario) 3, 4를 도입한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 구조일 수 있으며, 도 2와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 구조는 일반적인 기지국이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igital Unit, 이하, 'DU'라 통칭함)(700) 및 무선 신호 처리 장치(Radio Unit, 이하, 'RU'라 통칭함)(800)로 분리되어 있다.
일반적인 기지국은 이러한 DU(700) 및 RU(800) 각각에 대응하는 처리부를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포함하고,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이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
이에 반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 구조에 따르면, DU(700) 및 RU(800)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RU(800)만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 그리고 하나의 DU(700)가 각각의 독립적인 셀을 형성하는 복수의 RU(800)에 대한 제어 관리 기능을 가진다. 이때, DU(700)와 RU(800)는 광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DU(700)는 기지국의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자원 관리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파트로서, 코어 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된다. 그리고 주로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 등과 같은 통신 국사에 집중화되어 설치된다. 또한, DU(700)는 가상화 기술을 통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기술을 하나의 DU(70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적용해 다수의 DU(700)가 하나처럼 운용될 수도 있다.
또한, RU(800)는 기지국의 무선 신호 처리 부문의 전파 신호를 증폭해 안테나로 방사하는 파트이다. 즉 RU(800)는 DU(70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은 도 2의 RU(800)로 구현되며, 예를 들어, eNB, RU, RRH(Remote Radio Heads)라 칭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제어 장치(500)는 도 2의 DU(700)로 구현된다. 그리고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과 연결되어 이들을 관리한다.
여기서,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은 단일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 의해 관리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은 서로 다른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 의해 각각 관리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기지국(100)은 제1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F1)을 사용하여 매크로 셀(300)을 형성한다. 또한, 제2 기지국(200)은 제2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F2)을 사용하여 스몰 셀(400)을 형성한다. 이렇게 매크로 셀(300)과 스몰 셀(400)의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여 셀간 간섭 문제를 해결한다.
여기서, 제1 주파수 대역(F1)은 단말(600)의 접속을 유지(connection)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통칭함) 정보의 송수신 및 낮은 전송률을 요하는 음성 트래픽의 전송과 핸드오버와 같은 모빌리티 매니지먼트(mobility management)를 제공하는 앵커 캐리어(anchor carrier)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 주파수 대역(F2)은 높은 전송률을 요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전송을 제공하는 부스터 캐리어(booster carrier)의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주파수 대역(F1)은 LTE(long term evolution)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이하, 'FDD'라 통칭함) 형태로 운영된다. 그리고 제2 주파수 대역(F2)은 새로운 고주파 대역에서 상향링크 및 햐향링크의 트래픽 분포에 따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이하, 'TDD'라 통칭함) 형태로 운영된다.
여기서, 고주파 대역은 단말의 이동성에 따른 도플러 효과가 크게 작용하므로 넓은 범위에서 단말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매크로 셀보다는 국소적인 위치에서 어느 정도 고정된 단말에 대한 무선 접속 지원을 위한 스몰 셀에 더 적합하다. 그리고, 이는 매크로 셀과 스몰 셀간 대역 분리 시나리오에 대한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또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100, 200)에서 단말(60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는 단말(600)에서 기지국(100, 20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이처럼, 제1 주파수 대역(F1) 및 제2 주파수 대역(F2) 간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통칭함)을 통해 데이터 전송률 향상과 시스템 오버헤드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스몰 셀의 경우에는 접속된 단말의 수가 매크로 셀에 비해 소수이기 때문에 하향링크/상향링크 트래픽(DL/UL의 traffic)이 버스티하게 생성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에 따라 유동적으로 하향링크/상향링크 서브 프레임(DL/UL subframe)을 할당한다. 이처럼 매크로 셀의 캐리어 주파수 대역과 별도로 스몰 셀 전용으로 운영될 주파수대역이 할당될 경우, 매크로 셀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상ㅇ하향 링크 간 듀플렉시(duplexing) 방식인 주파수 분할 듀플레스(frequency-division duplex, 이하 'FDD'라 통칭함)과 달리 스몰 셀에서는 상ㅇ햐향 링크의 트래픽 분포에 따라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이하 'TDD'라 통칭함)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단말(600)은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에서 제공하는 제1 주파수 대역(F1) 및 제2 주파수 대역(F2)를 통해 각각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에 접속이 가능한 무선 단말이다. 단말(60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다.
단말(600)은 매크로 셀(300)의 FDD 주파수 대역에 추가적으로 데이터 전송률을 부스팅하기 위한 용도로 스몰 셀(400)의 TDD 주파수 대역을 CA하여 활용한다.
협력형 멀티-포인트(CoMP) 시나리오에 따르면,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600)은 인접 기지국인 제2 기지국(200)과의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도록 요구받는다.
여기서,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600)은 매크로 셀(300)에 위치하나 스몰 셀(400)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역에 위치한 단말로 정의한다. 이러한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600)은 현재 접속된 제1 기지국(100) 뿐만 아니라 제2 기지국(200)과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600)은 제1 기지국(100)으로부터 물리 하향링크 공용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①)한다. 그리고 제2 기지국(200)에게 물리 상향링크 공용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또는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또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및 참조 심볼(RS, Rference Symbol)을 전송(②)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TDD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이러한 TDD 프레임은 3GPP LTE 시스템에 적용되며, 3GPP TS 36.211 V8.2.0 (2008-03) "Technical Specificatio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Release 8)"의 4.2절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무선 프레임(One radio frame)은 2개의 하프-프레임(One half-frame)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프-프레임은 10개(subframe #0 ~ subframe #9)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서브프레임은 정규(normal) CP(Cyclic Prefix)에서 7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심벌로 구성될 수 있고, 확장(extended) CP에서 6개의 OFDM 심벌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의 구분은 서브프레임 단위로 하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스위칭 포인트(switching point)에 의해 분리된다. 스위칭 포인트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를 분리시키는 특정 주기(period)이다. 무선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포인트가 존재한다. 스위칭 포인트는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GP(Guard Period) 및 UpPTS(Uplink Pliot Time Slot)을 포함한다.
이때, DwPTS는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GP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 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보호구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 배치 구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배치 구조(900)는 LTE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배치에 따른 설정 가능한 프레임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IEEE 802.16m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 따르면, 서브프레임은 6개의 OFDM 심벌(S0, S1, S2, S3, S4, S5) 또는 5개의 OFDM 심벌(S0, S1, S2, S3, S4)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6개의 OFDM 심벌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을 프레임 구조 타입 1(frame structure type 1)이라 하고, 5개의 OFDM 심벌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을 프레임 구조 타입 2(frame structure type 2)라 한다.
즉 도 3의 서브프레임 배치 구조(900)는 프레임 구조 타입 2(frame structure type 2)의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을 나타낸다.
이때, 서브프레임 배치 구조(900)는 테이블 형태로 구현되며, 세개의 필드(901, 903, 905)를 포함한다.
제1 필드(901)는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 필드이다.
제2 필드(903)는 하향링크-상향링크 스위칭 포인트 주기(Downlink-to-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가 수록되는 필드이다.
제3 필드(905)는 제1 필드(901)에 대응하여 서브프레임 배치 정보가 수록되는 필드이다. 이러한 제3 필드(905)는 0~9까지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각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서브프레임 종류가 수록된다.
이때, 제3 필드(905)에 수록된 'D'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U'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S'는 스위칭 포인트 즉, DwPTS+GP+UpPTS를 나타낸다. 'L'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새로 제안된 '리퀴드 서브프레임(Liquid subframe)'을 나타낸다.
여기서, '리퀴드 서브프레임(Liquid subframe)'은 제1 기지국(100) 또는 기지국 제어 장치(500)의 설정에 따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가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이다.
또한, 제1 필드(901)의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 0~2에 따른 프레임 구조는 5ms의 스위칭 포인트 주기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가 바뀌는 구성이다.
또한, 제1 필드(901)의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 3~6에 따른 프레임 구조는 10ms의 스위칭 포인트 주기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바뀌는 구성이다.
이때, 제1 필드(901)의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 7은 새로 제안된 프레임 구조로서, 10ms의 스위칭 포인트 주기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리퀴드 서브프레임(Liquid subframe)'으로 바뀌는 구성이다.
그런데, 이러한 제1 필드(901)의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 7은 '리퀴드 서브프레임(Liquid subframe)'이 포함된 프레임 구조 타입 2(frame structure type 2)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리퀴드 서브프레임(Liquid subframe)'의 개념이 포함된 모든 가능한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의 설정 방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단, 이 경우에 추가적으로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 모든 서브프레임이 '리퀴드 서브프레임(Liquid subframe)'으로 설정되는 경우는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 7에 따른 프레임 구조는 둘 이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할당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둘 이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할당되도록 고정하는 이유는 스몰 셀(400)의 제2 기지국(200)에서 단말(600)을 위한 동기 신호인 1차 동기 신호(Primary Synchonization Signal, 이하 'PSS'라 통칭함) 및 2차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이하 'SSS'라 통칭함)와, 하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이하 'CSI'라 통칭함)를 포함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이하 'RS'라 통칭함) 등과 같은 참조 신호의 동시 전송을 위해서이다. 이때, PSS 및 SSS는 3GPP LTE시스템에서 동기화 및 셀 탐색을 위한 신호이다.
예컨대,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 7의 서브프레임 넘버 0 및 5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사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 7에 따른 프레임 구조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할당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하나 이상은 할당되도록 하는 이유는 상향링크 동기를 맞추기 위한 물리 랜덤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이하 'PRACH'라 통칭함) 전송 및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이하 'SRS'라 통칭함) 전송을 목적으로 한다.
이제, 단말(600) 및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1000)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600)은 통신부(610), 메모리(630) 및 프로세서(6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610)는 프로세서(65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통신부(610)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프로세서(65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65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63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램버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동기식 DRAM, 정적 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630)는 프로세서(65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65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650)는 중앙처리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이나 기타 칩셋(chipset),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6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650)는 프레임 타입 정보 수신부(651), 프레임 구성부(653) 및 단말 제어부(655)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만을 간략히 도시하였다.
프레임 타입 정보 수신부(651)는 현재 접속된 제1 기지국(100)으로부터 제1 기지국(100)이 결정하거나 또는 기지국 제어 장치(500)가 결정한 리퀴드 서브프레임 타입 정보를 수신한다. 즉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할지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할지 그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리퀴드 서브프레임 타입 정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수신을 위한 무선 프레임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승인(Grant)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 단위로 해당 무선 프레임 내의 리퀴드 서브프레임 타입 설정을 위해 새로이 정의된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프레임 구성부(653)는 프레임 타입 정보 수신부(651)가 수신한 리퀴드 서브프레임 타입 정보에 따라 해당 서브프레임 넘버의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구성부(653)는 스케쥴링 승인이 상향링크 승인일 경우, 리퀴드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다. 또한, 스케쥴링 승인이 하향링크 승인일 경우, 리퀴드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구성부(653)는 시그널링(signaling)에 포함된 리퀴드 서브프레임 타입 정보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지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지에 따라 해당 서브프레임 넘버의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다.
단말 제어부(655)는 프레임 타입 정보 수신부(651)가 무선 프레임 할당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단말(600)을 저전력 모드로 동작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단말(600)에게 리퀴드 서브프레임 타입 정보를 설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는 제1 기지국(100) 또는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 탑재되어 동작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1000)는 통신부(1100), 메모리(1300) 및 프로세서(1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1100)는 프로세서(150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통신부(1100)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0)는 프로세서(150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5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130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램버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동기식 DRAM, 정적 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300)는 프로세서(150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50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0)는 중앙처리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이나 기타 칩셋(chipset),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15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0)는 서브프레임 타입 결정부(1501) 및 스케쥴링부(1503)를 포함한다.
서브프레임 타입 결정부(1501)는 리퀴드 서브프레임 타입을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으로 할지 또는 하향링크 수신을 위한 서브프레임으로 할지를 결정한다.
스케쥴링부(1503)는 스케쥴링 승인(Grant) 또는 새로이 정의된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서브프레임 타입 결정부(1501)가 결정한 리퀴드 서브프레임 타입 정보를 단말(600)로 전송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을 토대로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때,
도 7을 참조하면, 제1 기지국(100)의 서브프레임 타입 결정부(1501)는 리퀴드 서브프레임 타입 즉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할지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할지를 결정한다(S101).
다음, 제1 기지국(100)의 스케쥴링부(1503)는 리퀴드 서브프레임 타입을 스케쥴링 그랜트(Grant)에 포함시켜 단말(600)로 전송한다(S103).
이때, S101 단계는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서 수행되어 결정된 타입 정보만 제1 기지국(100)으로 수신되고, S103 단계는 제1 기지국(1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 단말(600)의 프레임 구성부(653)는 프레임 타입 정보 수신부(651)가 S103 단계에서 수신한 스케쥴링 그랜트(Grant)에 따라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다(S105).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기지국(100)의 서브프레임 타입 결정부(1501)는 리퀴드 서브프레임 타입 즉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할지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할지를 결정한다(S201).
다음, 제1 기지국(100)의 스케쥴링부(1503)는 기 정의된 시그널링을 통해 S201 단계에서 결정된 리퀴드 서브프레임 타입을 단말(600)로 전송한다(S203).
이때, S201 단계는 기지국 제어 장치(500)에서 수행되어 결정된 타입 정보만 제1 기지국(100)으로 수신되고, S203 단계는 제1 기지국(1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 단말(600)의 프레임 구성부(653)는 프레임 타입 정보 수신부(651)가 S203 단계에서 수신한 기 정의된 시그널링에 따라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다(S205).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7의 실시예를 적용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600)의 프레임 타입 정보 수신부(651)는 제1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쥴링 그랜트가 상향링크 그랜트인지를 체크한다(S301).
다음, 단말(600)의 프레임 타입 정보 수신부(651)는 S301 단계에서 수신된 상향링크 그랜트가 매크로셀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n-4)의 PDCCH를 통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3).
이때, S303 단계에서 수신되었다면, 단말(600)의 프레임 구성부(653)는 리퀴드 서프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다. 즉, 리퀴드 서브프레임 #n에서 상향링크 PUSCH 전송을 준비한다(S305).
한편, S303 단계에서 수신되지 않았다면, 단말(600)의 프레임 타입 정보 수신부(651)는 제1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쥴링 그랜트가 하향링크 그랜트인지를 체크한다(S307).
다음, 단말(600)의 프레임 타입 정보 수신부(651)는 S307 단계에서 수신된 상향링크 그랜트가 매크로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n)의 PDCCH를 통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9).
이때, S309 단계에서 수신되었다면, 단말(600)의 프레임 구성부(653)는 리퀴드 서프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다. 즉, 리퀴드 서브프레임 #n에서 하향링크 PDSCH 전송을 준비한다(S311).
한편, S309 단계에서 수신되지 않았다면, 단말(600)의 단말 제어부(655)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한다(S313).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3)

  1. 단말이 기지국과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설정하는 단계;
    하향링크 신호를 동시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향링크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전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 또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가 결정한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입 정보에 따라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스케쥴링 그랜트를 통해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통해 수신된 상향링크 그랜트인지 또는 하향링크 그랜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로 판단되면,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그랜트로 판단되면,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상기 하향링크 그랜트 모두가 아닌 경우로 판단되면,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로 판단된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통해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그랜트로 판단된 경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통해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 기지국의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주파수 대역과 제2 기지국의 시간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주파수 대역을 캐리어 병합하고,
    상기 무선 프레임은,
    상기 시간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프레임이고,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는,
    상기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프레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매크로 셀을 형성하며 상기 단말이 현재 접속한 서빙 기지국이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매크로 셀 내에 포함되며 중첩되는 스몰 셀을 형성하고 상기 단말의 인접 기지국인 통신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프레임 단위로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전송을 위해 사전 정의된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1. 단말 또는 기지국이 상호 통신하기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를 배치하는 방법으로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분리시키는 스위칭 포인트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가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이 반복되는 단위로 정의된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는,
    상향링크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전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는,
    하향링크 신호를 동시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퀴드 서브프레임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제어 장치의 결정에 따라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향링크 그랜트에 따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고,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그랜트에 따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는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 구조는,
    시간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 구조는,
    프레임 구조 타입 2(frame structure type 2)의 상향링크-하향링크 컨피거레이션(UL-DL configuration)에 추가되는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17.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퀴드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에서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할지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할지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결정부의 결정에 따른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스케쥴링부
    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부는,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하향링크 그랜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부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무선 프레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상기 하향링크 그랜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부는,
    무선 프레임 단위로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전송을 위해 사전 정의된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은,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 둘 이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접속한 서빙 기지국에 탑재되는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복수의 기지국을 관리하고, 상기 단말이 접속한 서빙 기지국을 통해 상기 리퀴드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에 탑재되는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
KR1020120104163A 2012-09-19 2012-09-19 통신 방법,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및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 KR20140037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163A KR20140037693A (ko) 2012-09-19 2012-09-19 통신 방법,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및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163A KR20140037693A (ko) 2012-09-19 2012-09-19 통신 방법,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및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693A true KR20140037693A (ko) 2014-03-27

Family

ID=5064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163A KR20140037693A (ko) 2012-09-19 2012-09-19 통신 방법,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및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76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0744A (zh) * 2019-03-20 2022-04-01 沃达丰Ip许可有限公司 多个无线电接入技术干扰减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0744A (zh) * 2019-03-20 2022-04-01 沃达丰Ip许可有限公司 多个无线电接入技术干扰减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7027B1 (en) Frame structure dependent configuration of physical channels
KR10232925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된 무선 백홀 및 엑세스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98001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on basis of common resource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711722B1 (ko)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85460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on plurality of serving cells, and apparatus therefor
EP3108710B1 (en) Small cell deactivation
CN113039743B (zh) 远程干扰管理(rim)参考信号(rs)标识符(id)的编码
US9112644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relay communication system
CN107926011B (zh) 用户终端、无线基站以及无线通信方法
KR101902406B1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895646B2 (en) SSB to RO mapping against remote interference
EP2944141B1 (en) Over-the-air signaling for coordination of time-division duplexing
CN106576251B (zh) 无线通信系统中支持无定形小区的方法和设备
US9918272B2 (e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apparatus, local area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2009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N112219444B (zh) 用于双连接的通信资源配置
KR20110040729A (ko) 협력형 다중 안테나 송수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신호의 송수신 방법, 그 기지국, 그 단말, 그 시스템
KR20150013444A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abs 구간 추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106365A (ko)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29911A (ko)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85195B1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37693A (ko) 통신 방법, 무선 프레임 구조 배치 방법 및 무선 프레임 설정 장치
EP3609253A1 (en) Method for d2d oper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id method
US9955390B2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of MTC device
WO2016017357A1 (ja)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