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903A -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0903A KR20160020903A KR1020140106236A KR20140106236A KR20160020903A KR 20160020903 A KR20160020903 A KR 20160020903A KR 1020140106236 A KR1020140106236 A KR 1020140106236A KR 20140106236 A KR20140106236 A KR 20140106236A KR 20160020903 A KR20160020903 A KR 201600209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text
- information
- tag information
- input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06F40/143—Markup, e.g.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or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6—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rating content, e.g. scoring a recommended movi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04N21/8405—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represented by key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통신부, 텍스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텍스트 및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제 1 통신부를 통해 컨텐츠 정보가 수신되면, 텍스트 입력 화면에,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될 태그를 자동으로 획득하여 부가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단말 장치들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폰, 태블릿 등과 같은 각종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사용자는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과 같은 메세지 서비스를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비스를 이용하여 특정 주제에 대한 포스팅(posting)을 할 수 있으며, 특정 웹페이지 상에 글을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특정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시청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메시지나 게시물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거나 SNS 상에 포스팅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시청 중인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의견을 남기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종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외에 시청 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TV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 중에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의견을 웹 페이지 또는 SNS 상에 남기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자신의 의견 외에 그 의견이 어떤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것인지 또는 그 프로그램이 어느 채널에서 방송되는 것인지 등과 같은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직접 입력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에 대한 메시지를 작성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거나 SNS 또는 웹에 남기고자 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사용자가 메시지 전달에 집중하도록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에 대한 메시지를 작성할 때,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일반적인 정보를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자동으로 부가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텍스트가 입력되면, 상기 텍스트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텍스트 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에 부가할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정보를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 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이,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이면, 상기 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웹 페이지 내의 타이틀 기재 영역에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이며,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제목, 채널,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품 정보, 장소 정보, 인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한 태그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태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태그 정보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또는 웹 서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통신부, 텍스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텍스트 및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텍스트가 입력되면, 상기 텍스트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에 부가할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이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이면, 상기 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웹페이지 내의 타이틀 기재 영역에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이며,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제목, 채널,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품 정보, 장소 정보, 인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한 태그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태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태그 정보를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또는 웹 서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가 수신되면,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시청 중인 컨텐츠에 대한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텍스트 입력 화면에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일반적인 정보를 직접 입력할 필요없이 태그 형태로 자동으로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태그 정보를 선택하여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작성에 집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의 편의가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 내지 도 5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동작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 내지 도 5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동작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외부 장치(3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각종 TV, 전자 액자, 모니터, 노트북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일 수 있고, 컨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생성한 컨텐츠와 관련된 태그 정보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직접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태그 정보를 생성하거나 공지의 컨텐츠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직접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영상 또는 사운드를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태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생성된 컨텐츠와 관련된 태그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하는 태그 정보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태그 정보와 같은 것으로, 컨텐츠의 제목, 컨텐츠를 방송하는 채널,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컨텐츠에 포함된 상품, 장소 및 인물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될 수 있는 형태로 생성된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텍스트 입력 화면에,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블릿 PC, 노트북, PMP, PDA,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외부 기기(300)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라면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중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생성된 컨텐츠에 대한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 포함된 텍스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입력 화면은 예를 들어,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실행 화면, SNS(Social Network Service)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또는 특정 웹페이지 화면일 수 있으며,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상에서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 SNS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거나 특정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텍스트 입력 화면에 텍스트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태그 정보를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는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것이므로, 컨텐츠의 제목, 채널, 컨텐츠 제공 소스, 컨텐츠에 포함된 상품, 장소 및 인물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태그 정보는 컨텐츠의 제목, 채널, 소스 등을 포함하는 단순한 텍스트 형태일 수도 있고, 컨텐츠에 포함된 상품이나 장소와 관련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형태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컨텐츠에 포함된 상품이나 장소와 관련된 이미지나 동영상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텍스트 입력 화면에 텍스트가 입력되면, 입력된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텍스트 입력 화면이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이면, 입력된 텍스트가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UI 상에서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가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입력된 텍스트가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트에 부가할 태그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획득된 태그 정보를 텍스트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태그 정보가 부가될 텍스트 화면의 일 영역은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화면이 SMS, MMS 실행 화면이거나 SNS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인 경우 입력된 텍스트의 앞 또는 뒤가 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입력 화면이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인 경우, 해당 웹페이지 상의 타이틀 기재 영역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태그 정보가 부가되는 텍스트 화면의 일 영역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그 정보는 실시 예에 따라 텍스트 입력 화면의 기정의된 일 영역에 부가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정보를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텍스트 입력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태그 정보를 편집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외부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해당 텍스트 입력 화면과 관련된 서버 즉, SMS나 MMS와 같은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 SNS 서버 또는 웹페이지를 관리하는 웹서버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즉, 여기서, 외부 장치(300)는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과 같은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나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될 수도 있으며, 특정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주체가 웹페이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장치(300)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 장치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을 통해 설명한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컨텐츠에 대한 게시물을 해당 컨텐츠의 웹페이지에 게시하고자하는 경우 또는 SNS 상에 컨텐츠에 대한 글을 게시하고자하는 경우, 텍스트 입력창에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일반적인 정보를 직접 입력할 필요없이 태그 형태로 자동으로 부가할 수 있게 되므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작성에 집중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 1 통신부(110), 제 2 통신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입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제 1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할 수 있다. 특히, 제 1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통신부(110)는 입력부(140)를 통해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면, 제 1 통신부(110)는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무선랜, 블루투스, HomeRF, IrDA, UWB,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no)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Acoustic conding이나 Pattern coding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통신부(110)는 상술한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 1 통신부(1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300)는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과 같은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특정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주체가 웹페이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 2 통신부(120)를 통해 SMS나 MM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SNS 상에 게시물을 업로드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웹페이지 상에 글을 남길 수도 있다.
특히, 제 2 통신부(120)는 입력부(140)를 통해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외부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2 통신부(120)는 컨텐츠에 대한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와 같은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 2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300)와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300)와 무선 랜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3G(3rd Generation) 방식,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방식, LTE(Long Term Evolution)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하기 위해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제 1 통신부(110) 및 제 2 통신부(120)가 별개의 구성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제 1 통신부(110) 및 제 2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외부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는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다양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는 텍스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입력 화면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SMS나 MMS로 메시지를 작성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실행된 SMS나 MMS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텍스트 입력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SNS 상에 게시물을 업로드하거나 웹페이지 상에 글을 남기고자 하는 경우, 텍스트 입력 화면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실행된 SNS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텍스트 입력 화면이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접속한 텍스트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웹페이지 화면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하는 텍스트 및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되는 태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UI 및 텍스트 입력 화면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입력부(140)와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소프트 키보드 등의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입력부(14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40)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명령이나 텍스트 입력 화면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4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거나 텍스트 입력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태그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40)는 터치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스타일러스, 포인팅 디바이스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미도시)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미도시)에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SMS나 MMS와 같은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SNS 관련 애플리케이션,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태그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UI를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하고, UI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면, 제어부(150)는 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UI는 아이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실시 예가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중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송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1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어부(150)는 공지의 방법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생성된 컨텐츠에 대한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텍스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SMS나 MMS와 같은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해 메시지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텍스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SNS 상에 게시물을 업로드하기 위해 SNS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SNS 관련 애플리케이션 의 텍스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웹페이지에 글을 남기기 위해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텍스트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해당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여 텍스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어부(150)가 텍스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기술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와는 무관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텍스트가 입력되면,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트에 부가할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태그 정보를 텍스트 입력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생성된 컨텐츠에 대한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제어부(150)가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는 것은 제어부(15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메타데이터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태그 정보를 "생성하여" 획득하는 것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한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EPG 정보와 같은 메타데이터 형태인 경우, EPG 정보에는 방송 컨텐츠의 제목,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 방송 시각, 해당 방송 컨텐츠의 등장 인물, 배경이 되는 장소 및 관련 광고 등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50)는 수신된 EPG 정보에 포함된 상술한 정보들을 추출하여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될 수 있는 형태의 태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될 수 있는 태그 정보의 형태는 컨텐츠의 제목, 채널, 소스 등을 포함하는 단순한 텍스트 형태일 수도 있고, 컨텐츠에 포함된 상품이나 장소와 관련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형태일 수도 있으며, 컨텐츠에 포함된 상품이나 장소, 인물과 관련된 이미지나 동영상 형태일 수도 있다. 그러나, 태그 정보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현재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가 무엇에 관한 것인지를 나타내기 위해 "# watching"과 같은 적절한 표현이 컨텐츠의 제목에 부가된 텍스트 형태일 수도 있다. 즉, 메타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트 입력창에 부가될 수 있는 형태로 생성된 것은 어떠한 형태라도 태그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에 정보가 컨텐츠의 영상 또는 사운드인 경우, 제어부(150)는 수신된 컨텐츠의 영상 또는 사운드를 분석하여 컨텐츠를 식별하고, 식별된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획득한 후, 획득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태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공지의 컨텐츠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영상이나 사운드를 분석하여 컨텐츠의 제목 등과 같은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제 2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식별된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로부터 해당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태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50)가 컨텐츠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메타데이터를 획득하지 않고, 직접 컨텐츠 인식을 통해 획득한 컨텐츠에 대한 각종 정보들을 이용하여 태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위의 예에서는 제어부(150)가 컨텐츠를 식별한 후 식별된 컨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EPG 정보와 같은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미리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고 있다가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컨텐츠에 대한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실시 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태그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면, 제어부(150)는 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태그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 역시 EPG 정보와 같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컨텐츠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술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같이 컨텐츠와 관련된 태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생성된 컨텐츠와 관련된 태그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송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되는 텍스트에 부가될 태그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가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경우,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트에 부가할 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텍스트 입력 화면에 텍스트가 입력되면, 입력된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부(10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정보가 메타데이터인 경우, 수신된 메타데이터는 컨텐츠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하므로 제어부(150)는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제목, 채널, 소스, 등장 인물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획득된 각종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와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되는 텍스트를 비교하여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에 컨텐츠의 제목이나 등장 인물이 포함된 경우, 제어부(150)는 입력된 텍스트를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신된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후술할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수신된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컨텐츠를 식별하고, 제 2 통신부(120)를 통해 식별된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50)는 수신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한 태그 정보인 경우에도, 태그 정보는 컨텐츠의 제목, 컨텐츠를 방송하는 채널,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컨텐츠에 포함된 상품, 장소 및 인물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제어부(150)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입력 화면이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이면,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가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입력 화면이 포함되어 있는 웹페이지를 분석하여 해당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웹페이지가 컨텐츠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웹페이지의 텍스트 입력 영역에 입력되는 텍스트를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로 판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판단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그 웹페이지 상의 텍스트 입력 영역에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그 텍스트 데이터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것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작성된 경우, 제어부(150)는 이를 분석하여 웹페이지의 제목 등과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획득된 정보를,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컨텐츠의 제목 등과 비교하여 해당 웹페이지가 컨텐츠와 관련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제어부(150)는 웹페이지의 주소 등을 분석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된 웹페이지가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UI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UI를 통해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가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UI는 아이콘 형태나 체크 박스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위와 같이, 입력된 텍스트가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트에 부가할 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그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입력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획득된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의 앞 또는 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텍스트 입력 화면이 웹 페이지인 경우, 제어부(150)는 웹 페이지 내의 타이틀 영역에 태그 정보를 부가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태그 정보를 텍스트 입력 화면의 적절한 위치에 자동으로 부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각종 텍스트 입력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텍스트 입력 화면의 전반적인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나 텍스트 입력 화면에서 텍스트 입력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위치, 텍스트 입력 영역이 제목 입력 영역인지 내용 입력 영역인지 등에 관한 정보를 알고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서 텍스트가 입력되는 영역에 입력된 텍스트의 앞 또는 뒤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태그 정보가 획득되면, 위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태그 정보를 텍스트 입력 화면의 적절한 위치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MS 메시지 작성 화면이나 웹페이지 상의 글쓰기 화면과 같은 텍스트 입력 화면은 사용자가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내용을 입력하는 "내용" 입력 영역 외에 메시지의 제목을 입력하는 "제목" 입력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내용" 입력 영역에 텍스트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별도로 "제목" 입력 영역에 제목을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태그 정보 중 하나인 컨텐츠의 제목을 "제목" 입력 영역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텍스트 입력 화면이 SNS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텍스트 입력 화면인 경우, 텍스트 입력 화면의 텍스트 입력 영역에 텍스트가 입력되면, 텍스트 입력 영역에 입력된 텍스트가 무엇에 관한 텍스트인지에 대해 사용자가 별도로 직접 내용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텍스트 입력 영역에 입력된 텍스트가 무엇에 관한 텍스트인지를 나타내기 위해, 제어부(150)는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 watching"과 같은 적절한 표현이 “컨텐츠의 제목”에 부가된 텍스트 형태의 태그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의 앞 또는 뒤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복수의 태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정보를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가 입력되면, 획득된 복수의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 리스트를 텍스트 입력 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태그 정보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정보를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태그 정보를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된 태그 정보의 전, 일부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 또는 디스플레이된 태그 정보를 다른 태그 정보나 텍스트로 변경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되면, 사용자 명령에 따라 태그 정보의 편집을 수행하여 편집된 태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외부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제 2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입력부(140)를 통해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외부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제 2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한 텍스트를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서버 또는 웹 서버 등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Send", "등록", "보내기", "업로드" 등과 같은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부(140)를 통한 조작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가 작성한 텍스트 및 이에 부가된 태그 정보가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나 SNS 서버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되거나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를 관리하는 웹서버에 등록되어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한 다른 사용자가 이를 읽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의 예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실시 예 중 일부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가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3은 사용자가 ABCDEF라는 제목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시청 중에, SNS 상에 ABCDEF에 대한 글을 게시하거나 ABCDEF와 관련된 웹페이지 상에 ABCDEF에 대한 의견을 남기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3a는 사용자가 SNS 상에 글을 게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ABCDE라는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SNS 상에 ABCDEF 컨텐츠를 즐겁게 감상하라는 글을 게시하고자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SNS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텍스트 입력 화면(10)과 텍스트를 입력하는 자판(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a의 왼쪽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자판(30)을 통해 "Having fun"이라는 텍스트를 텍스트 입력 화면(10)에 입력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ABCDEF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트 입력 화면(10)에 입력되는 텍스트인 "Having fun"에 부가될 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획득된 태그 정보를 텍스트 입력 화면 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외부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a의 오른쪽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보면 획득된 태그 정보인 "# watching ABCDEF"(20)가 텍스트 입력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인 "Having fun"의 뒤에 부가되어 텍스트 입력 화면(10)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의 전송 명령에 따라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가 SNS 서버(300-1)로 전송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도 3b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ABCDEF와 관련된 웹페이지 상에 ABCDEF와 관련된 의견을 남기는 경우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ABCDEF와 관련된 웹페이지에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목에 관한 텍스트 입력영역(10-1) 및 내용에 관한 텍스트 입력 영역(10-2)을 포함하는 텍스트 입력 화면과자판(30)이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b의 왼쪽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자판(30)을 통해 내용에 관한 텍스트 입력 영역(10-2)에 "This Program..."와 같이 ABCDEF에 대한 의견을 텍스트 로 입력한 것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ABCDEF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ABCDEF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제목에 관한 텍스트 입력 영역(10-1)에 부가될 텍스트 형태의 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획득된 태그 정보를 텍스트 입력 화면 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외부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b의 오른쪽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보면 획득된 태그 정보인 "ABCDEF"(20-1)가 텍스트 입력 화면(10-1, 10-2) 내의 적어도 일 영역인 제목에 관한 텍스트 입력 영역(10-1)에 부가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의 전송 명령에 따라 내용에 관한 텍스트 입력 영역(10-2)에 입력된 텍스트와 함께 ABCDEF와 관련된 웹페이지를 관리하는 웹 서버(300-2)로 전송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획득된 태그 정보(20, 20-1)가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자동으로 부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획득된 태그 정보(20, 20-1)는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사용자의 전송 명령에 따라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에 부가되어 외부 장치(300)로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의 예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되는 텍스트가 ABCDEF와 관련된 텍스트인 경우에만 태그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3b의 예에서 사용자는 ABCDEF와 관련된 웹페이지에 접속하였으므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입력 화면(10-1, 10-2)을 ABCDEF와 관련된 웹페이지 상의 텍스트 입력 화면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텍스트 입력 화면(10-2)에 입력되는 텍스트가 ABCDEF와 관련된 텍스트인 것으로 판단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도 4b의 UI(400-2)와 같은 형태의 UI(여기서 도 4b의 UI(400-2)는 도 4에서 후술되는 바와 달리, 컨텐츠 정보는 이미 수신되어 있는 상태에서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되는 텍스트가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UI즉, 텍스트 입력 화면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UI를 나타낸다.) 상에서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통해서 또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되는 텍스트를 직접 분석하여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가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UI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 형태의 UI 및 이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4a의 왼쪽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텍스트 입력 화면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 형태의 UI(400-1)가 다른 실행 아이콘들과 함께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자가 아이콘 형태의 UI(400-1)를 선택하는 것을 통해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ABCDEF라는 제목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도 4a의 가운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ABCDEF라는 제목의 컨텐츠와 관련된 글을 SNS 상에 게시하기 위해, SNS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입력 화면(10)에 "Having fun"이라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ABCDEF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도 4a의 오른쪽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같이 "# watching ABCDEF"(20-2)라는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텍스트 입력 화면(10)에 자동으로 부가할 수 있다.
한편, 도 4b의 왼쪽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ABCDEF라는 제목의 컨텐츠를 시청 중에, SNS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텍스트 입력 화면(10)에 "Having fun"이라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텍스트 입력 화면(10)에 아이콘 형태의 UI(400-2)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UI(400-2)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UI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4b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텍스트 입력 화면(10)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하는 중에 UI(400-2) 상에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여,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도 4b의 오른쪽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400-3) 상에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ABCDEF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된 태그 정보(20-3)를 "Having fun"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UI(400-3)가 음영 표시되어 있는 것은 텍스트 입력 화면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기능이 현재 실행 중임을 나타낸다.
한편, 사용자가 UI(400-3)를 다시 선택하는 등으로 태그 정보 부가 기능을 해제하면,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된 태그 정보(20-3)가 삭제되는 실시 예도 가능하며, 사용자가 태그 정보를 부가하는 기능을 해제하기 이전에 부가된 태그 정보는 유지하되, 태그 정보를 부가하는 기능을 해제한 이후부터는 태그 정보가 부가되지 않도록 하는 실시 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4b의 예에서는 UI(400-2)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다른 실시 예로, UI(400-2)를 통한 사용자 명령이 있기 전에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태그 정보를 미리 획득한 상태에서, UI(400-2)를 통한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텍스트 입력 화면에 획득된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형태의 실시 예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도 4a의 UI(400-1)을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되 이를 디스플레이 하지는 않고, 이후 메시지 작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텍스트 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도 4b의 예와 같은 UI(400-2)를 텍스트 입력 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UI(400-2)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태그 정보를 입력된 텍스트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형태의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4의 예에서는 아이콘 형태의 UI(400-1, 400-2)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UI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화면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는 태그 정보 부가 기능에 대한 체크 란을 포함하는 체크 박스 형태의 UI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획득된 태그 정보가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되는 다른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될 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된 태그 정보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태그 정보 리스트(25) 형태로 텍스트 입력 화면(10)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의 예에 따르면, 태그 정보 리스트(25)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텍스트 가 무엇에 관한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도록 "# watching"과 같은 적절한 표현이 컨텐츠 제목 “ABCDEF”에 부가된 형태의 텍스트(25-1), 컨텐츠의 등장 인물명(25-2), 등장 인물이 착용한 옷에 관한 이미지(25-3), 컨텐츠에 포함된 장소와 관련된 URL정보(25-4)가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될 태그 정보로 획득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태그 정보 리스트(25)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텍스트 입력 화면(10)에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부호 25-3이 선택되면 텍스트 입력 화면(10)에 청바지에 관한 이미지 형태의 태그 정보가 부가될 수 있고, 참조부호 25-4가 선택되면 텍스트 입력 화면(10)에 레스토랑에 관한 URL 정보가 부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1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내에 위치하는 경우 자동으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정보, 컨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생성된 컨텐츠와 관련된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수신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62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텍스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입력 화면은 예를 들어, SMS, MMS 실행 화면, SNS(Social Network Service)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또는 특정 웹페이지 화면일 수 있으며,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상에서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 SNS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거나 특정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 화면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되는 텍스트에 부가될 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태그 정보는 컨텐츠의 제목, 채널,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컨텐츠에 포함된 상품 정보, 장소 정보, 인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도 2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가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경우에만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텍스트 입력 화면이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인 경우, 입력된 텍스트가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UI 상에서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입력된 텍스트가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텍스트에 부가될 태그 정보가 획득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획득된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태그 정보를 텍스트 입력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태그 정보가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구체적인 내용에 관하여는 도 2내지 도 5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정보를 텍스트 입력 화면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텍스트 입력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태그 정보를 편집하고, 편집된 태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외부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S630). 이때, 외부 장치(300)는 SNS 서버 또는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를 관리하는 웹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장치(300)는 SMS 또는 MMS와 같은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나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7에 따르면,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S700).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시청하는 중에 컨텐츠와 관련된 글을 SNS상에 올리거나,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 상에 컨텐츠와 관련된 시청자 의견을 쓰고자 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게 SMS나 MMS를 통해 현재 시청 중인 컨텐츠에 관한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고자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먼저, 사용자 단말 장치(100) 상에서 텍스트 입력 화면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705).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S710).
요청을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여(S715)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고(S720),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송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텍스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725).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컨텐츠와 관련된 글을 작성하기 위해 SMS나 MMS와 같은 메시지 작성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SNS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따라 해당 텍스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에 접속함에 따라 해당 텍스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 화면에 텍스트를 입력하면(S730),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트에 부가될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S735), 획득된 태그 정보를 텍스트 입력 화면의 일 영역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740).
이때,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가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경우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트에 부가될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태그 정보를 텍스트 입력 화면 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텍스트 입력 화면이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인 경우,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태그 정보를 웹페이지 내의 타이틀 기재 영역에 부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된 태그 정보를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할 수도 있다(S745).
이와 같이, 텍스트 입력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 및 텍스트 입력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가된 태그 정보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외부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S750).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가 작성한 텍스트 및 이에 부가된 태그 정보가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나 SNS 서버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되거나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를 관리하는 웹서버에 등록되어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한 다른 사용자가 이를 읽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의 예에서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S705)이 텍스트 입력 화면의 디스플레이(S725)보다 먼저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먼저 텍스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이후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 후 태그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시청 중인 컨텐츠에 대한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텍스트 입력창에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일반적인 정보를 직접 입력할 필요없이 태그 형태로 자동으로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태그 정보를 선택하여 텍스트 입력창에 부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작성에 집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의 편의가 증대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이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부의 동작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가 탑재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는 그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시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미들웨어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제 1 통신부
120 : 제 2 통신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입력부
15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입력부
150 : 제어부
Claims (25)
-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텍스트가 입력되면, 상기 텍스트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에 부가할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정보를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 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이,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이면, 상기 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웹 페이지 내의 타이틀 기재 영역에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정보는,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이며,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제목, 채널,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품 정보, 장소 정보, 인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한 태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태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태그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또는 웹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통신부;
텍스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텍스트 및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화면에 상기 텍스트가 입력되면, 상기 텍스트 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에 부가할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이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이면, 상기 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웹페이지 내의 타이틀 기재 영역에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태그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이며,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제목, 채널,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품 정보, 장소 정보, 인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한 태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태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태그 정보를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또는 웹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가 수신되면, 텍스트 입력 화면에,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태그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6236A KR20160020903A (ko) | 2014-08-14 | 2014-08-14 |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
US14/807,354 US20160048493A1 (en) | 2014-08-14 | 2015-07-23 | User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multimedia system |
EP15180710.4A EP2986019A1 (en) | 2014-08-14 | 2015-08-12 | User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multimedia system |
CN201510497489.2A CN105376652A (zh) | 2014-08-14 | 2015-08-13 | 用户终端设备、其控制方法和多媒体系统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6236A KR20160020903A (ko) | 2014-08-14 | 2014-08-14 |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0903A true KR20160020903A (ko) | 2016-02-24 |
Family
ID=5383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6236A KR20160020903A (ko) | 2014-08-14 | 2014-08-14 |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048493A1 (ko) |
EP (1) | EP2986019A1 (ko) |
KR (1) | KR20160020903A (ko) |
CN (1) | CN105376652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99916B (zh) * | 2017-11-16 | 2021-08-13 |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候选项联想方法和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MXPA03002061A (es) * | 2000-09-08 | 2004-09-10 | Kargo Inc | Interaccion de video. |
US10664138B2 (en) * | 2003-03-14 | 2020-05-26 |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 Providing supplemental content for a second screen experience |
US20060156373A1 (en) * | 2003-10-27 | 2006-07-13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Data reception terminal and mail creation method |
KR20090085791A (ko) * | 2008-02-05 | 2009-08-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제공시스템 |
KR101552306B1 (ko) * | 2009-04-13 | 2015-09-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태깅 방법 및 장치 |
KR101598632B1 (ko) * | 2009-10-01 | 2016-02-29 |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태그 편집 방법 |
US10142687B2 (en) * | 2010-11-07 | 2018-11-27 | Symphony Advanced Media, Inc. | Audience content exposure monitoring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
US8863196B2 (en) * | 2010-11-30 | 2014-10-14 | Sony Corporation | Enhanced information on mobile device for viewed program and control of internet TV device using mobile device |
US9215506B2 (en) * | 2011-03-31 | 2015-12-15 | Tivo Inc. | Phrase-based communication system |
KR20130048035A (ko) * | 2011-11-01 | 2013-05-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미디어 장치, 컨텐츠 서버 및 그 동작방법 |
US9699485B2 (en) * | 2012-08-31 | 2017-07-04 | Facebook, Inc. | Sharing television and video programming through social networking |
KR102111457B1 (ko) * | 2013-05-15 | 2020-05-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US9609390B2 (en) * | 2013-10-03 | 2017-03-28 | Jamdeo Canada Ltd.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 functionality for presented content |
-
2014
- 2014-08-14 KR KR1020140106236A patent/KR2016002090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
- 2015-07-23 US US14/807,354 patent/US2016004849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8-12 EP EP15180710.4A patent/EP2986019A1/en not_active Ceased
- 2015-08-13 CN CN201510497489.2A patent/CN105376652A/zh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048493A1 (en) | 2016-02-18 |
CN105376652A (zh) | 2016-03-02 |
EP2986019A1 (en) | 2016-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12942B2 (en) | Providing content via multiple display devices | |
US1083860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appending supplemental content to an information resource responsive to scroll activity | |
KR102071579B1 (ko) | 화면 미러링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
KR101779340B1 (ko) | 확장 서비스에 대한 위젯 표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
US20120204093A1 (en) | Providing web-based content to local device | |
CA2992484A1 (en) | Video-production system with social-media features | |
KR20140144104A (ko) | 전자기기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 |
KR101962980B1 (ko) | 마크업 기반의 문서에서의 정보에 근거한 데이터 분할 | |
CN104995596A (zh) | 在选项卡层级管理音频以用于用户通知及控制 | |
US20140245125A1 (en) | Creation of a content display area on a web page | |
CN109074214B (zh) | 控制信息资源的内容的显示的系统和方法 | |
US20160342574A1 (en) | Allotment of placement locations for supplemental content in dynamic documents | |
US20150347461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hereof | |
KR20140028153A (ko) | 사용자 선호도 분석 방법 및 그를 위한 디바이스 | |
US20140195980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 |
KR2014011465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액티비티에 대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 |
Garaizar et al. | A multimodal learning analytics view of HTML5 APIs: technical benefits and privacy risks | |
KR20160020903A (ko) |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 |
US20190205014A1 (en) | Customizable content sharing with intelligent text segmentation | |
US11451871B2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bookmarked cont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 |
KR101171165B1 (ko) | 외부 장치를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
US9633400B2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 |
KR101505473B1 (ko) | 동영상 광고 생성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
KR101875485B1 (ko) | 전자기기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 |
KR20140034399A (ko) | 웹 페이지 컨텐츠 선택 시스템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