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729A -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 Google Patents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729A
KR20160020729A KR1020140105821A KR20140105821A KR20160020729A KR 20160020729 A KR20160020729 A KR 20160020729A KR 1020140105821 A KR1020140105821 A KR 1020140105821A KR 20140105821 A KR20140105821 A KR 20140105821A KR 20160020729 A KR20160020729 A KR 20160020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drive
power transmission
drive shaft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0431B1 (ko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1020140105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4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B62M1/38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for directly driving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7/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rotary shaft, e.g. cardan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23/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other elements; Other transmissions
    • B62M23/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other elements; Other 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or more dissimilar sources of power, e.g. transmissions for hybrid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앞바퀴의 회전 중심축에 결합 되어 회전하는 구동 스프라켓; 구동 스프라켓을 돌리는 페달이 달려 있는 크랭크 암; 구동 스프라켓과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고 차체에 결합 되어 구동 스프라켓에 연동하는 피동 스프라켓; 구동 스프라켓과 피동 스프라켓의 각 회전 중심축의 축간을 연결하여 구동 스프라켓과 피동 스프라켓을 연동시키는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제1 동력전달부; 제1 동력전달부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뒷바퀴로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 및 제2 동력전달부에 설치된 핸들 스테이;를 포함한다. 발구름에 의한 구동력을 앞뒤 바퀴로 전달시켜 언덕 오름이나 눈길 등에서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고 앉은 자세의 중심을 낮추어 넘어짐이 적고 안전한 자전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FRONT AND REAR-WHEEL DRIVE TYPE SAFTY BICYCLE}
본 발명은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발구름에 의한 구동력을 앞뒤 바퀴로 전달시킴으로써 언덕 오름이나 눈길 등에서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으며 앉은 자세의 중심을 낮추어 넘어짐을 줄이는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탈것은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 및 환경 오염, 도로 수요를 충당하기 위한 산야의 개발 등에 따른 녹지의 축소 등 환경을 악화시켰다. 자동차 운행을 줄이고 목적지에 빠르게 도착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자전거에 대한 활용과 관심이 높아져 왔고, 더 많은 이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앞바퀴는 조향, 뒷바퀴가 구를 수 있는 구동부로 되어 있다. 탄 사람이 발의 힘을 크랭크기구로 옮겨 이를 회전력으로 바꾸어 큰 스프로킷에 물려 있는 체인으로 뒷바퀴에 전달하여 구동된다.
자전거의 차체를 형성하는 프레임은 마름모 또는 다이아몬드 형상이고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보통의 경우 헤드튜브(Head Tube), 탑 튜브(Top Tube), 다운 튜브(Down Tube), 시트 스테이(Seat Stay), 체인 스테이(Chain Stay)로 구성되며 형태와 길이 모양, 굵기 등은 각 차체의 프레임 지오메트리에 따라 달라진다.
헤드 튜브의 경사각(카스터각)에 따라 노면에 마찰하는 앞바퀴 타이어의 복원력, 안정성, 조향성이 좌우된다. 앞 포크의 2개의 다리 사이에 앞바퀴가 지지 되는데 이때 베어링을 좌우에 둔 허브(hub)가 있으며 자전거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앞뒤 바퀴의 허브 축은 각각 앞 포크와 뒤 포크의 앞 끝에 고정되며, 차체, 탄사람, 화물 중량 등은 이 2개의 축에 의해 지지 되고, 변속기구는 도로의 경사도, 속도 등 그때의 주행조건에 적합하게 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자전거가 넘어지지 않고 주행할 수 있는 이유는 탄 사람이 무의식중에 평형을 잡기 때문이다. 기구적으로는 앞 바퀴부의 카스터각, 타이어의 사이드포스를 비롯하여 앞바퀴의 중량효과 등을 포함하여 자전거의 안정성이나 진로 유지성 등의 역할에 따른 것이나 탄 사람의 피드백 기능이 가장 크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전거는 바로 선 상태로 주행하기 위해서는 탄 사람의 피드백에 의존하여 평형을 유지, 주행하도록 되어 있어 탄 사람의 숙련도가 중요하며, 숙련도가 떨어지는 사람이 운전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넘어질 가능성이 커지는 단점이 있고, 구동력이 뒷바퀴를 돌리는 힘에 의존하도록 되어 있어 오르막길이나 눈길 등에서 주행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페달 축이 시트와 거의 하방 수직 방향 쪽에 위치하고 있어 시트에 편안하게 앉은 자세로 자전거를 주행하기도 어렵다.
그리고, 시트에 걸터앉아 페달을 밟아서 회전력을 얻는 것 또한 다리 힘의 전달에 제한이 있었고, 핸들 구조가 허리를 구부리도록 되어있어 자세의 불편함과 장시간 주행으로 인한 허리 통증 문제가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4468호에는 발구름에 의한 뒷바퀴의 구동력을 앞바퀴로 전달시켜 오르막길 등을 보다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자전거에 관한 제안이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0460호에는 페달링에 의해 뒷바퀴와 앞바퀴를 함께 구동시켜 장거리 주행, 산악 험로 주행 등을 용이하게 하는 자전거에 관한 제안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4468호(공개일.2010.12.23)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0460호(공개일.2011.10.07)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구름에 의한 앞바퀴 구동력을 뒷바퀴로 전달시켜 오르막길 과 눈길 등의 미끄러운 길에서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고, 넘어짐을 줄이는 동시에 시트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페달링이 가능한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는, 앞바퀴를 지지하는 포크 및 뒷바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그리고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스테이 포함하는 차제; 앞바퀴의 회전 중심축에 결합 되어 회전하는 구동 스프라켓; 회전 중심축을 따라 회전하고 구동 스프라켓을 돌리는 페달이 달려 있는 크랭크 암; 구동 스프라켓과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고 차체에 결합 되어 상기 구동 스프라켓에 연동하는 피동 스프라켓;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피동 스프라켓의 각 회전 중심축의 축간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피동 스프라켓을 연동시키는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제1 동력전달부; 제1 동력전달부의 동력을 뒷바퀴로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 및 제2 동력전달부에 설치된 핸들 스테이;를 포함하는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의 구동 스프라켓과 피동 스프라켓은, 원주면이 체인을 걸 수 있는 치면으로 형성된 체인 휠로서, 각각 회전 중심축을 따라 베벨기어가 장착되고, 구동 스프라켓의 직경이 피동 스프라켓에 비해 더 큰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의 제1 동력전달부는,앞바퀴의 회전 중심축과 피동 스프라켓의 회전 중심축을 따라 각각 결합된 베벨기어; 각 베벨기어의 치면과 직교하도록 맞물리도록 양단에 베벨기어가 설치된 제1 구동축;을 포함하는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의 제2 동력전달부는, 앞바퀴의 회전 중심축에 결합된 베벨기어의 치면과 일단이 맞물리고 타단은 핸들 스테이측으로 동력을 유도하는 베벨기어가 설치된 제2 구동축; 제2 구동축의 회전 동력을 핸들 스테이를 통해 매개하여 뒷바퀴에 전달하기 위해 양단이 베벨기어를 구비하는 제3 구동축; 및 상기 제3 구동축의 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 동력을 받아 뒷바퀴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도록 뒷바퀴의 회전 중심축에 결합된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의 핸들 스테이는, 제2 구동축과 제3 구동축을 연결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제2 구동축과 제3 구동축에 구비되는 베벨기어들을 동력전달기어로 교합하여 동력을 연결하는 기어 하우징을 포함하며, 핸들의 조향 축이 상기 기어 하우징의 동력전달기어를 통과하여 조인트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는, 시트가 핸들 및 핸들 스테이의 후방부에 위치하고 제3 구동축의 상부에 놓이며, 시트의 등받이가 뒷바퀴 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도를 갖도록 설치된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는, 언덕 등의 오르막길을 쉽게 오르고 눈길 등과 같은 미끄러운 길을 쉽게 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는, 의자형으로서 시트에 앉은 자세를 기준으로 몸 중심이 낮아 숙련도가 떨어지는 사람이 운전하는 경우에도 넘어질 염려가 없어 안전한 주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는, 시트에 편안한 자세로 앉아 페달을 밟아서 자전거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얻을 수 있으며 핸들을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잡고 조정할 수 있으므로 주행 자세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장시간 주행으로 인한 허리 통증을 줄이고 피로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차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의 구동부 발췌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의 크랭크 암 및 구동 스프로킷 동력전달계통부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차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앞바퀴(F)는 포크(100)에 의해 지지 되고 뒷바퀴(R)는 지지 프레임(110)으로 지지 되며, 시트(120)는 시트 스테이(130)에 의해 지지 된다. 여기서, 포크(100) 및 지지 프레임(110) 그리고 시트 스테이(130) 들은 차체들로 분류되는 구성부로서 전체 형태와 길이 모양, 굵기 등은 각 차체의 프레임 지오메트리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으므로 도 1에 도시한 차체 형상은 대표적인 예시이다.
차체의 특징은 크랭크 암(170)을 돌리는 페달(160)을 앞바퀴(F)에 놓은 점이다. 그리고, 시트(120)를 바퀴의 회전 중심(S1)에 가깝게 위치시켜 사람이 시트(120)에 앉으면 앉은 자세를 기준으로 몸 중심이 기존 차체에 비해 낮아지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120)를 바퀴의 회전 중심(S1)에 가깝게 나란히 일치시킨 부분이다. 그리고, 앞바퀴(F)와 뒷바퀴(R)의 축간 거리(L1)는 시트(120)에 앉은 자세에서 페달링이 자유로운 거리로 정하고, 핸들(203)과 조향 축(204)의 거리는 앞바퀴(F)의 회전 중심축(140)으로부터 조향 축(204) 간의 거리(L2)를 조향성을 감안하여 정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차체는 의자에 앉은 자세로 양다리를 앞으로 내밀어 전방의 앞바퀴(F)에 위치하는 크랭크 암(170)을 돌리는 페달링을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앞바퀴(F)의 회전 중심축(140)에 구동 스프라켓(150)이 설치된다. 페달링에 의한 크랭크 암(170)의 회전이 있을 때 구동 스프라켓(150)은 회전 중심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앞바퀴(F)를 굴리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회전 중심축에는 라체트 휠(미도시)을 장착하여 일반 자전거와 같은 방향성 회전력을 앞바퀴에 전달할 수 있다.
크랭크 암(170)은 회전 중심축(140)을 따라 회전하고 구동 스프라켓(150)을 돌리는 페달(160)이 달려 있어 탄 사람이 페달링을 하면 구동 스프라켓(150)을 돌리는 힘이 작용 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동 스프라켓(150)과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고 차체에 결합 되어 구동 스프라켓(150)에 연동하는 피동 스프라켓(180)이 구성된다. 피동 스프라켓(180)은 포크(100)를 따라 설치될 수 있는데 설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를 옮겨 다른 곳에 두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동 스프라켓(150)과 피동 스프라켓(180)의 각 회전 중심축(140)(141)의 축간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 스프라켓(150)과 피동 스프라켓(180)을 연동시키는 베벨기어(151)(181)를 포함하는 제1 동력전달부, 제1 동력전달부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뒷바퀴(R)로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 및 제2 동력전달부에 설치된 핸들 스테이(200)로 구성된다.
또한, 구동 스프라켓(150)과 피동 스프라켓(180)은 원주면이 체인(190)을 걸 수 있는 치면으로 형성된 체인 휠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스프라켓(150)과 피동 스프라켓(180)은 각각 회전 중심축(140)(141)을 따라 베벨기어(151)(181)가 장착되고, 구동 스프라켓(150)의 직경은 피동 스프라켓(180)에 비해 더 크게 하여 페달링에 따른 회전 부하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의 구동부 발췌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의 크랭크 암 및 구동 스프로킷 동력전달계통부의 측단면도 이다.
제1 동력전달부는, 앞바퀴(F)의 회전 중심축(140)과 피동 스프라켓(180)의 회전 중심축(141)을 따라 각각 결합된 각 베벨기어(151)(181)의 치면과 직교하여 맞물리도록 베벨기어(210)가 설치된 제1 구동축(220)으로 구성된다.
제1 구동축(220)은 앞바퀴 회전 중심축(140)에 결합된 베벨기어(151)의 회전이 있을 때 이를 피동 스프라켓(180)의 회전 중심축(141)에 결합된 베벨기어(181)를 연동시킨다.
또한, 제2 동력전달부는, 앞바퀴(F)의 회전 중심축(140)에 결합된 베벨기어(151)의 치면과 일단이 맞물리고 타단은 핸들 스테이(200)측으로 동력을 유도하는 베벨기어(210)가 설치된 제2 구동축(2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구동축(230)의 회전 동력을 핸들 스테이(200)를 통해 매개하여 뒷바퀴(R)에 전달하기 위해 양단이 베벨기어(210)를 구비하는 제3 구동축(24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3 구동축(240)의 베벨기어(210)와 맞물려 회전 동력을 받아 뒷바퀴(R)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도록 뒷바퀴(R)의 회전 중심축(142)에 결합된 회전기어(250)로 구성된다.
또한, 핸들 스테이(200)는 상기 제2 구동축(230)과 상기 제3 구동축(240)을 연결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구동축(230)과 제3 구동축(240)에 구비되는 베벨기어(210)들을 동력전달기어(260)로 교합하여 동력을 연결하는 기어 하우징(201)(202)을 포함한다. 여기서, 동력전달기어(260)는 베벨기어이다. 그리고, 핸들(203)의 조향 축(204)이 기어 하우징(201)(202)과 동력전달기어(260)를 통과하여 조인트 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핸들(203)의 조향 축(204)은 핸들 스테이(200)의 기어 하우징(201)(202)들과 동력전달기어(260)를 차례로 관통하여 기어 하우징(202)의 하부단에 링(205)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따라서, 핸들(203)을 돌리면 조향 축(204)은 핸들 스테이(200)에 지지 되면서 힘을 전달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며, 핸들(203)을 돌리면 포크(100)를 통해 앞바퀴(F)가 자유롭게 움직인다.
또한, 시트(120)는 핸들(203) 및 핸들 스테이(200)의 후방부에 위치하고 제3 구동축(240)의 상부에 놓이며, 시트(120)의 등받이(121)가 뒷바퀴(R) 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도를 갖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시트(120)에 앉은 상태에서 양다리를 페달(170)에 올려놓고 페달링을 시작하면, 페달링에 의해 형성되는 동력이 구동 스프라켓(150)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구동 스프라켓(150)과 동일 회전 중심축(140)에 결합된 베벨기어(151)를 회전시킨다. 이때 페달링 회전 동력은 앞바퀴(F)를 구동시키는 힘이다.
페달링에 의해 형성된 회전력은 베벨기어(151)에 맞물린 제1 구동축(220)을 통해 피동 스프라켓(180)의 회전 중심축(141)에 결합된 베벨기어(181)에 동시에 전달되어 연동 된다. 이때 구동 스프라켓(150)과 피동 스프라켓(180)을 체인 휠로 구성하여 체인(190)으로 연결하는 경우 페달링으로 회전하는 구동 스프라켓(150)의 회전력은 피동 스프라켓(180)에 체인(190)을 통해 전달되는 동시에 제1 구동축(220)을 통해 베벨기어(181)에 전달된다. 여기서, 피동 스프라켓(180)을 변속기로 하는 경우 구동 스프라켓(150)을 회전시키는 페달링에 소요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앞바퀴(F)가 구를 때 발생 되는 회전력은 제1 구동축(220)을 통해 출력되어 페달링에 들어가는 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구동 스프라켓(150)의 회전은 연속적으로 제2 구동축(230)을 통해 핸들 스테이(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동력전달기어(260)에 전달되고 제3 구동축(240)을 통해 뒷바퀴(R)의 회전기어(25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앞바퀴(F)를 돌리는 초기 구동력은 제1 구동축(220)-제2 구동축(230)-제3 구동축(240)들을 연동시키고 앞바퀴(F)와 뒷바퀴(R)를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서 전륜인 앞바퀴(F)와 후륜인 뒷바퀴(R)가 동시에 구동하는 이륜(2WD) 구동방식이다. 이 같은 이륜 구동 방식의 자전거는 후륜 구동 방식이 적용된 일반적인 자전거에 비해 언덕 등의 오르막길을 쉽게 오르고 눈길 등과 같은 미끄러운 길을 쉽게 가도록 한다.
시트(120) 구조는 의자형 구조를 나타냄으로써 시트(120)에 앉은 자세를 기준으로 몸 중심이 낮아 숙련도가 떨어지는 사람이 운전하는 경우에도 넘어질 염려가 없어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고, 핸들(203)을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잡고 조정할 수 있으므로 주행 자세의 불편함이 없으며 허리 통증을 줄이고 피로를 줄여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포크 110: 지지 프레임
120: 시트 121: 등받이
130: 시트 스테이 140.141.142: 회전 중심축
150: 구동 스프라켓 151.181: 베벨기어
160: 페달 170: 크랭크 암
180: 피동 스프라켓 190: 체인
200: 핸들 스테이 210: 베벨기어
201.202: 기어 하우징 203: 핸들
204: 조향 축 205: 링
220: 제1 구동축 230: 제2 구동축
240: 제3 구동축 250: 회전기어
260: 동력전달기어

Claims (6)

  1. 앞바퀴를 지지하는 포크 및 뒷바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스테이를 포함하는 차제; 상기 앞바퀴의 회전 중심축에 결합 되어 회전하는 구동 스프라켓; 상기 회전 중심축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구동 스프라켓을 돌리는 페달이 달려 있는 크랭크 암;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고 차체에 결합 되어 상기 구동 스프라켓에 연동하는 피동 스프라켓;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피동 스프라켓의 각 회전 중심축의 축간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피동 스프라켓을 연동시키는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제1 동력전달부; 상기 제1 동력전달부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뒷바퀴로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2 동력전달부에 설치된 핸들 스테이;를 포함하는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피동 스프라켓은 원주면이 체인을 걸 수 있는 치면으로 형성된 체인 휠로서, 각각 회전 중심축을 따라 베벨기어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 스프라켓의 직경이 피동 스프라켓에 비해 더 크게 구성된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전달부는, 상기 앞바퀴의 회전 중심축과 피동 스프라켓의 회전 중심축을 따라 각각 결합된 베벨기어; 상기 각 베벨기어의 치면과 직교하도록 맞물리게 양단에 베벨기어가 설치된 제1 구동축;을 포함하는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력전달부는,
    상기 앞바퀴의 회전 중심축에 결합된 베벨기어의 치면과 일단이 맞물리고 타단은 상기 핸들 스테이측으로 동력을 유도하는 베벨기어가 설치된 제2 구동축; 상기 제2 구동축의 회전 동력을 핸들 스테이를 통해 매개하여 뒷바퀴에 전달하기 위해 양단에 베벨기어를 구비하는 제3 구동축; 및 상기 제3 구동축의 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 동력을 받아 뒷바퀴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도록 뒷바퀴의 회전 중심축에 결합된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스테이는, 상기 제2 구동축과 상기 제3 구동축을 연결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구동축과 제3 구동축에 구비되는 베벨기어들을 동력전달기어로 교합하여 동력을 연결하는 기어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의 조향 축이 상기 기어 하우징과 동력전달기어를 통과하여 조인트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핸들 및 핸들 스테이의 후방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구동축의 상부에 놓이며, 상기 시트의 등받이가 뒷바퀴 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도를 갖도록 설치된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KR1020140105821A 2014-08-14 2014-08-14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KR101640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821A KR101640431B1 (ko) 2014-08-14 2014-08-14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821A KR101640431B1 (ko) 2014-08-14 2014-08-14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729A true KR20160020729A (ko) 2016-02-24
KR101640431B1 KR101640431B1 (ko) 2016-07-18

Family

ID=55449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821A KR101640431B1 (ko) 2014-08-14 2014-08-14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8625A (zh) * 2019-04-12 2019-06-14 四川大学 一种可驱动分离的前后轮双驱动自行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468A (ko) 2009-06-15 2010-12-23 박준홍 자전거의 전륜 구동장치
KR20110110460A (ko) 2010-04-01 2011-10-07 정민호 자전거의 전후륜 동력전달장치
KR101075880B1 (ko) * 2011-06-14 2011-10-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전거의 동력전달 장치
KR20120125706A (ko) * 2011-05-09 2012-11-19 서식원 무체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KR20130121069A (ko) * 2013-09-26 2013-11-05 김준귀 자전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468A (ko) 2009-06-15 2010-12-23 박준홍 자전거의 전륜 구동장치
KR20110110460A (ko) 2010-04-01 2011-10-07 정민호 자전거의 전후륜 동력전달장치
KR20120125706A (ko) * 2011-05-09 2012-11-19 서식원 무체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KR101075880B1 (ko) * 2011-06-14 2011-10-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전거의 동력전달 장치
KR20130121069A (ko) * 2013-09-26 2013-11-05 김준귀 자전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8625A (zh) * 2019-04-12 2019-06-14 四川大学 一种可驱动分离的前后轮双驱动自行车
CN109878625B (zh) * 2019-04-12 2023-10-20 四川大学 一种可驱动分离的前后轮双驱动自行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431B1 (ko) 201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3257B2 (en) Narrow ultra efficient three wheeled vehicle with automotive class feel and handlebar steering
US10676148B1 (en) Narrow ultra efficient three wheeled vehicle with automotive class feel
KR101042918B1 (ko) 이륜형 자동 균형 전기자동차
CN110267634B (zh) 带手动用车轮移动体
EP3505432A1 (en) Urban elliptical bicycle
JP2005289372A (ja) 並行二輪走行車
KR101640431B1 (ko)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US3709315A (en) Vehicle four wheel driving and steering arrangement
JP5096083B2 (ja) 鞍乗型三輪車
JP5578627B2 (ja) 4輪自転車の後輪駆動緩衝装置
CN1749092A (zh) 一种坐式轻便三轮车及其车架
KR101709132B1 (ko) 앞바퀴 굴림 안전 자전거
US20060289218A1 (en) Zoom zoom
JP3197810U (ja) 前二輪自転車、およびその前輪用懸架・操舵装置
KR102142748B1 (ko) 앞바퀴 굴림 안전 자전거
JP4866324B2 (ja) 後輪駆動四輪自転車
KR100781765B1 (ko) 광고홍보용 1인승 이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JPH0129194Y2 (ko)
JP2001018874A (ja) 四輪自転車
KR100781766B1 (ko)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JP2011068219A (ja) 電動車両
KR101672459B1 (ko) 앞바퀴 굴림 자전거
KR200420087Y1 (ko) 포크형 전륜조향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JP2013082411A (ja) 三輪車の「スイング」装置
KR101709140B1 (ko) 앞바퀴 굴림 안전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