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386A - Constructing Method for Floating Bridge having Connection between Floating Bodies - Google Patents

Constructing Method for Floating Bridge having Connection between Floating Bod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386A
KR20160020386A KR1020150160864A KR20150160864A KR20160020386A KR 20160020386 A KR20160020386 A KR 20160020386A KR 1020150160864 A KR1020150160864 A KR 1020150160864A KR 20150160864 A KR20150160864 A KR 20150160864A KR 20160020386 A KR20160020386 A KR 20160020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s
elastic member
bottom plate
floa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8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5638B1 (en
Inventor
곽종원
이영호
최은석
김병석
김성준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60020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3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6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7Flat continuous join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loating pier by a structure of connecting floating bodies on the water such that the floating bodies formed of concrete are firmly and watertightly integrated while floating on the w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astic member (21) is provided on a lower plate (11) on an edge of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loating boxes (1a, 1b)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protruding portion (13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 An end portion of a reinforcing bar (23) protrudes from the protruding portion (130). A second elastic member (22) is provided on a traverse side plate (10). A first tendon (31) and a second tendon (33) are disposed and tensely sett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oating boxes (1a, 1b), whereby the first and second floating boxes (1a, 1b) are press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placed on the surface of water;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2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2) are pressed to be deformed to form a watertight state. The reinforcing bar (2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protruding portion (130). Concrete is poured to the protruding portion (130) to bury the reinforcing bar (23), thus integr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loating bodies (1a, 1b).

Description

덮개를 가지는 부잔교 함체의 수상 연결에 의한 부잔교 시공방법{Constructing Method for Floating Bridge having Connection between Floating Bodie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loat bridging bridge,

본 발명은 덮개를 가지는 부잔교 함체(函體)를 수상에서 연결하여 부잔교(浮棧橋)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함체를 연결하여 부잔교를 구축함에 있어서, 함체를 수상에 부유시킨 상태에서 견고하게 그리고 수밀한 상태로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부잔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floating bridge by connecting a float bridge having a lid to a water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float bridge by connecting a concrete box made of concrete, Which is structured so as to be solidly and watertightly integrated in a floating state.

경량의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부잔교를 시공하는 종래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550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부잔교를 시공함에 있어서, 충분한 부력의 확보를 위해서는 부잔교를 이루는 본체를 속이 비어 있는 상자 형태로 제작하는 것, 즉 함체(函體)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constructing a floating bridge using lightweight concret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55501. However, in order to secure a sufficient buoyancy,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a floating bridge body in a hollow box shape, that is, a hollow body, in constructing a floating bridge using precast concrete.

대형 부잔교의 경우에는 복수개의 함체를 제작하여 이를 연결하여 부잔교를 시공하여야 한다. 그런데 부잔교의 규모가 큰 경우에는 각각의 함체의 크기도 커지게 되어, 함체를 물 위에 부유시킨 상태에서 즉, 수상(水上)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함체를 수상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함에 있어서는 함체간의 견고한 일체화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함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로 일체화 연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함체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지 않은 상태로 수상에 띄워놓고 함체 사이를 일체로 견고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기술은 제안되어 있지 아니한 실정이다. In case of large floating bridges, a plurality of bridges must be constructed and connected to construct float bridges.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float bridge is large, the size of each enclosure becomes large, and the enclosure is in a state where it floats on the water, that is, it is inevi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water (water). In order to connect the enclosure to each other at the water level, it is important that the solid connection between the enclosures is also important.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enclosure. However, until now, there has not been proposed a technique which allows a solid and effective connection between the enclosures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is not introduced into the enclosure and which is floated to the aquife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5501호(2013. 04. 16.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55501 (published on Feb. 4, 2014).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제작된 함체를 연결하여 부잔교를 시공함에 있어서, 함체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지 않은 수밀한 상태로 함체를 수상에 띄워놓고 함체 사이를 일체로 견고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necting a housing made of concrete to a floating structure in which water is not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로 제작된 함체를 연결하여 부잔교를 구축함에 있어서, 함체를 수상에 부유시킨 상태에서 일체로 견고하게 일체화되도록 하는 함체의 연결구조에 의해 부잔교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floating bridge by connecting a housing made of concrete to a connecting structure of a housing to solidify the housing together with the housing in a floating state will be.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부잔교의 형성을 위하여, 각각 한 쌍의 나란한 횡방향 측면판, 저면판 및 종방향 일측의 단부판을 포함하여 종방향 타측이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 콘크리트 부재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함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함체의 연결구조로서, 제1 및 제2함체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 가장자리에서, 저면판에는 수밀용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저면판의 상면에는 오목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부에는 저면판에 배근되어 있던 보강근의 단부가 돌출되어 있고, 횡방향 측면판에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함체 사이에서 제1긴장재를 배치하고 제2긴장재를 횡방향 측면판에 배치하여 제1 및 제2긴장재를 각각 긴장 정착함으로써, 제1 및 제2함체가 수면에 놓은 상태에서 서로를 향하여 가압되어 개방된 종방향 타측이 서로 마주 접하면서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가압 변형되어 수밀한 상태가 만들어지고, 단차부에서 보강근이 일체로 연결되며, 보강근이 매립되도록 단차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 및 제2함체가 일체화되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형성용 함체의 수상연결구조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x-type concrete member having a pair of side-by-side lateral plates, a bottom plate, and an end plate on one longitudinal side, Wherein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 first elastic member for watertightness at the other open longitudinal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A concave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an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roots disposed on the bottom plate protrudes from the stepped portion, and a second elastic member is provided on the lateral side plate; By placing the first tensio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and placing the second tensions on the transverse side plates to tense and fix the first and second tensions,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are press-deformed to make a watertight state, the reinforcing bars are integrally connected at the step portion,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in the step port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water connection structure of a floating body for forming a floating bridge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각 한 쌍의 나란한 횡방향 측면판, 저면판 및 종방향 일측의 단부판을 포함하여 종방향 타측이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 콘크리트 부재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함체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부잔교로서, 제1 및 제2함체가 상기한 수상연결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x-type concrete member comprising a box-shaped concrete member having a pair of side plates, a side plate and a bottom plate, A floating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econd housing is integrally connected is provide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 have the above-described water connection structure.

위와 같은 본 발명의 함체 수상연결구조 및 이러한 연결구조를 구비한 부잔교에 있어서, 함체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에서, 서로 접하여 결합되는 저면판의 가장자리에는, 횡방향으로 가면서 파형의 굴곡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mbankment water connec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loating float having such a connect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t the other longitudinally opened side of the enclosure, a curvature of the waveform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desirable.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함체의 수상연결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제1 및 제2함체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 가장자리에서, 저면판의 하면에는 수밀용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저면판의 상면에는 오목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차부에는 저면판의 보강근이 노출되어 있고, 횡방향 측면판에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함체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제1긴장재를 배치하여 긴장 정착함으로써, 제1 및 제2함체가 수면에 놓은 상태에서 서로를 향하여 가압되어 개방된 종방향 타측이 서로 마주 접하면서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가압 변형되어 수밀한 상태가 만들어지고, 단차부에서 보강근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 및 제2함체가 수밀상태로 일체 연결되며, 각 함체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에서, 저면판의 상면에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텐던정착부가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어서, 제1긴장재는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긴장되어 양단이 각각 제1텐던정착부에 정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형성용 함체의 수상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수상연결구조를 가지는 부잔교가 제공된다.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crete example of the wate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above-mentioned enclosure, the first elastic member for watertightness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t the other longitudinally opened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A concave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 reinforcing bar of the bottom plate is exposed on the stepped portion, and a second elastic member is provided on the lateral side plate; By arranging the first tens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and tightly fixing them,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lying on the water surface,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are pressed and deformed to make a watertight state and the concrete is poured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in the stepped portion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are integrally connected in watertight state,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late, a first tensile fixing portion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first tension member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both fixed to the first tendon fixing portion And a water connection structure of a float for forming a float bridge is provided.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floating bridge having a wat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함체의 수상연결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제1 및 제2함체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 가장자리에서, 저면판의 하면에는 수밀용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저면판의 상면에는 오목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차부에는 저면판의 보강근이 노출되어 있고, 횡방향 측면판에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함체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제1긴장재를 배치하여 긴장 정착함으로써, 제1 및 제2함체가 수면에 놓은 상태에서 서로를 향하여 가압되어 개방된 종방향 타측이 서로 마주 접하면서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가압 변형되어 수밀한 상태가 만들어지고, 단차부에서 보강근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 및 제2함체가 수밀상태로 일체 연결되며, 각 함체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에서 격벽에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긴장재는 그 양단이 각각 격벽의 관통공에 관통된 후, 격벽에 긴장 정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형성용 함체의 수상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수상연결구조를 가지는 부잔교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coupling structure of a hull structure, wherein a first elastic member for watertightness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t the other longitudinally opened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hulls, A concave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a reinforcing bar of the bottom plate is exposed on the stepped portion, and a second elastic member is provided on the lateral side plate; By arranging the first tens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and tightly fixing them,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lying on the water surface,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are pressed and deformed to make a watertight state and the concrete is poured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in the stepped portion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are integrally connected in watertight state,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partition walls on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and both ends of the first tension member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partition wall, and are tightly fixed to the partition wall. .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floating bridge having a wat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함체의 수상연결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제1 및 제2함체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 가장자리에서, 저면판의 하면에는 수밀용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저면판의 상면에는 오목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차부에는 저면판의 보강근이 노출되어 있고, 횡방향 측면판에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함체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제1긴장재를 배치하여 긴장 정착함으로써, 제1 및 제2함체가 수면에 놓은 상태에서 서로를 향하여 가압되어 개방된 종방향 타측이 서로 마주 접하면서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가압 변형되어 수밀한 상태가 만들어지고, 단차부에서 보강근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 및 제2함체가 수밀상태로 일체 연결되며, 각 함체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에서 제1긴장재는 저면판의 두께 내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그 양단이 각각 저면판에 긴장 정착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형성용 함체의 수상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수상연결구조를 가지는 부잔교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coupling structure of a hull structure, wherein a first elastic member for watertightness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t the other longitudinally opened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hulls, A concave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a reinforcing bar of the bottom plate is exposed on the stepped portion, and a second elastic member is provided on the lateral side plate; By arranging the first tens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and tightly fixing them,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lying on the water surface,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are pressed and deformed to make a watertight state and the concrete is poured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in the stepped portion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are integrally connected in watertight state, Wherein the first tension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and both ends of the first tensions are tension-fixed to the bottom plate, respectively.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floating bridge having a wat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로 제작된 함체를 연결하여 부잔교를 구축함에 있어서, 함체를 일체로 견고하게 일체화되도록 하되, 이러한 함체의 일체화 연결작업을, 함체가 수상에 부유된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대규모의 함체일 경우라도 용이하게 일체 조립하여 부잔교를 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tructing the floating bridge by connecting the enclosures made of concrete, the enclosures are integrally and firmly integrated, and the integrated connection operation of the enclosures can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enclosures are floated on the waterpath Therefore, even in case of a large-sized enclosure,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and integrally construct a floating bridg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수상연결구조에 의해 2개의 함체가 연결되는 과정을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수상연결구조에 의해 2개의 함체가 연결된 후의 상태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도 7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수상연결구조에 의해 2개의 함체가 연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2개의 함체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수상연결구조에 의해 2개의 함체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선 G-G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수상연결구조에 의해 2개의 함체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선 H-H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이다.
FIG. 1 and FIG.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direction in which two enclosures are connected by a wat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Figure 4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ure 1;
Figures 5 and 6 are respectively schematic semi-sectional cross-sectional views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S.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enclosures are connected by the wate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enclos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9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10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11 and 12 are schematic semi-sectional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along the line BB of FIG.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connecting two enclosures by a wat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15 is a schematic half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along the line DD of Fig.
Fig. 1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after the two enclosures are connected, following the state shown in Fig. 13; Fig.
17 is a schematic half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line EE of Fig.
FIG. 1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two enclosures are connected by the wate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enclos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schematic half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line GG in Fig.
FIG. 2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wo enclosures are connected by a wat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schematic semi-sectional perspective view in accordance with line HH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함체가 서로 연결되는 방향을 편의상 "종방향"이라고 하고, 평면상에서 종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횡방향"이라고 한다. 그리고 2개의 함체가 연결되는 것을 설명함에 있어서, 2개의 함체를 각각 구분하여 지칭할 경우, 도면을 바라볼 때 좌측에 있는 함체를 "제1함체"라고 기재하고, 우측에 있는 함체를 "제2함체"라고 기재한다. 그러나 제1함체와 제2함체를 모두 지칭할 때에는 "함체"라고 기재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closures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is referred to as "longitudinal direction" for convenience,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plane is referred to as "lateral direction". When the two enclosures are separately referred to in describing the connection of the two enclosures, the enclosure on the left side is referred to as "first enclosure" and the enclosure on the right side is referred to as "second Enclosure ". However, when referring to both the first enclosure and the second enclosure, it is described as "enclosure".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수상연결구조에 의해 2개의 함체가 연결되는 과정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각각 도 1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수상연결구조에 의해 2개의 함체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7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7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는 각각 도 7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함체를 덮는 덮개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FIG. 1 and FIG.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different directions in which two enclosures are connected by a wat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1, and Fig. 4 show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Figs. 5 and 6 each show a schematic semi-sectio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wo hulls are connected by a water connection structure of a hu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And FIG. 10 show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Figs. 11 and 12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7, respectively.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illustration of the cover covering the enclosure is omitted.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되어 부잔교를 이루게 되는 함체(1a, 1b)는, 한 쌍의 나란한 횡방향 측면판(10), 저면판(11) 및 종방향 일측의 단부판(12)을 포함하고 있으며 함체가 서로 연결된 종방향 타측은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 콘크리트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즉, 함체(1a, 1b)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공장에서 사전 제작되는데, 부력을 받을 목적으로 내부에 빈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자형태를 가지고 있되, 함체가 서로 연결될 부분에는 단부판이 존재하지 않아서 종방향 타측이 개방되어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강성보강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자형 내부 공간에는 가로세로 형태의 격벽(18)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asings 1a and 1b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floating bridge include a pair of side-by-side side plates 10, a bottom plate 11 and an end plate 12 on one longitudinal side And the longitudinal side connected to the enclosures is composed of an open box-shaped concrete member. That is, the enclosures 1a and 1b are pre-fabricated in a factory using concrete in a pre-casting method. The enclosures 1a and 1b have a box shape in order to secure an empty space for receiving buoyancy, And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open. When necessary for rigidity reinforceme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box-shaped internal space may be provided with a partition 18 in the form of a transversal shape.

이와 같은 함체(1a, 1b)는 종방향의 개방된 타측이 서로 마주 접하고, 두 개의 함체(1a, 1b) 사이의 접합부에 현장에서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서로 일체화되는데, 앞서 설명한 것처럼 위와 같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일체화의 작업은 함체가 수상에 부유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체화를 위한 현장 콘크리트 타설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려면, 종방향의 개방된 타측이 서로 마주 접하도록 2개의 함체(1a, 1b)가 연속 배치된 상태에서 함체(1a, 1b)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The other ends of the casings 1a and 1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crete C is laid on the joints between the two casings 1a and 1b so as to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e work of integrating by the spotting concrete needs to be done in a state where the enclosure floats on the water. Therefore, in order to smoothly place the concrete in place for integration, water inflow into the enclosures 1a and 1b in a state in which the two enclosures 1a and 1b are continuously arranged such that the other opene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aces each other .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 가장자리에서 저면판(11)의 하면에는 수밀용 제1탄성부재(21)가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다. 제1탄성부재(21)는 예를 들어 압착 변형이 가능한 고무튜브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211은 제1탄성부재(21)의 종방향 뒤쪽으로 제1탄성부재(21)를 지지하도록 저면판(11)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1반력대(211)이다(도 5 참조).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21 for watertightness is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at the other longitudinal edge of the open longitudinal side of the casings 1a, 1b. The first elastic member 21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rubber tube or the like capable of being subjected to compression deformation. Reference numeral 211 denotes a first reaction force belt 211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so as to support the first elastic member 21 in the longitudinal backward direction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1 ).

한편, 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 가장자리에서 저면판(11)의 상면에는 오목한 단차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차부(130)에는 저면판(11) 내부에 종방향으로 매립 배근되어 있던 보강근(23)의 단부가 돌출되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보강근(23)으로는 소위 GFRP 보강근을 이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concave stepped portions 13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at the other longitudinal edge of the openings of the casings 1a and 1b. In the stepped portion 130,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rope 23, which has been embedded in the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rope 23, protrudes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 so-called GFRP rebar can be used as the reinforcement 23.

위에서 설명한 제1탄성부재(21)와 제1반력대(211), 그리고 단차부(130)와 노출된 보강근(23)은, 제1함체(1a)와 제2함체(1b)가 서로 마주하여 연속될 종방향 타측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1함체(1a)와 제2함체(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이 서로 마주하여 접하게 되면, 제1함체(1a) 및 제2함체(1b) 각각에 구비되어 있던 제1탄성부재(21)는 서로 가압되어 탄성변형되면서 밀실하게 마주 접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함체(1a)와 제2함체(1b) 간의 저면판(11) 사이는 수밀한 상태가 되어 저면판(11) 사이로는 물이 함체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The first elastic member 21 and the first reaction force band 211 as well as the stepped portion 130 and the exposed reinforcing bar 23 described above are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a and 1b face each other And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other longitudinal edges to be continuous. Therefore, when the other longitudinally opened side of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elastic member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21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and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confront each other in a confined manner. The watertightness between the bottom plate 11 between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becomes a watertight state and water can not enter the bottom plate 11 through the inside of the housing.

한편, 위와 같이 제1탄성부재(21) 사이가 밀실하게 되도록 제1탄성부재(21)를 서로 강하게 가압하여 밀착시킴과 동시에, 더 나아가 이러한 제1탄성부재(21)간의 밀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제1함체(1a)와 제2함체(1b) 사이에는 인장고정용 제1긴장재(31)가 종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경우, 제1함체(1a)와 제2함체(1b) 각각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에서, 저면판(11)의 상면에는 제1긴장재(31)의 긴장 정착을 위한 제1텐던정착부(32)가 각각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고, 제1텐던정착부(32) 사이에 인장고정용 제1긴장재(31)가 종방향으로 제1함체(1a)와 제2함체(1b)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어 제1긴장재(31)가 종방향으로 긴장된 후 그 단부가 각각 제1텐던정착부(32)에 정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함체(1a)와 제2함체(1b)간에는 종방향으로 긴장력이 도입되어, 제1함체(1a)와 제2함체(1b)가 서로 강하게 밀착되고, 그에 따라 제1함체(1a)와 제2함체(1b) 각각에 구비된 제1탄성부재(21)가 서로 강하게 가입되어 밀착됨으로써 효과적인 수밀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lastic member 21 is strongly pressed against the first elastic members 21 so that the spaces between the first elastic members 21 become tight, and moreover, A first tension member 31 for tensile fixing can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12, on the other longitudinally opened side of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a first tension member 3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And a first tensile fixing part 32 for tension fixing of the first tensile fixing part 32 is provided in a protruded form and a first tension member 31 for tensile fixing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tendon fixing parts 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nd the second housing 1b so that the first tensions 31 are longitudinally tensioned and then their ends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irst tendon fixing portion 32. [ Due to such a constitution, a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so that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are strongly tightly adhered to each other, The first elastic member 21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housing 1 a and the second housing 1 b are strongly joined to each other to closely contact each other, thereby exhibiting an effective watertightness performance.

한편, 제1함체(1a)와 제2함체(1b)가 서로 마주 접한 상태에서, 각각의 종방향 타측에서 단차부(130)에 돌출되어 있는 보강근(23)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함체(1a)의 저면판(11)에 배근되어 있던 보강근(23)과 제2함체(1b)의 저면판(11)에 배근되어 있던 보강근(23)이 단차부(130)에서 서로 일체화되는 것이다. 보강근(23)을 서로 일체로 연결함에 있어서는 공지의 커플러 장치(24)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보강근(23)을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일체로 연결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보강근(23)이 단순히 겹치도록 배치되는 상태로만 존재할 수도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rods 23 protruding from the step portion 130 on the other longitudinal side in a state where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at is to say, the reinforcing bars 23 disposed on the bottom plate 11 of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reinforcing bars 23 disposed on the bottom plate 11 of the second housing 1b are separated from the stepped portion 130 They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For connecting the reinforcing rods 23 integrally with each other, a known coupler device 24 can be used. Of course, the reinforcing rods 23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various ways, and in some cases, the reinforcing rods 23 may be disposed so as to be simply overlapped.

이와 같이 단차부(130)에서 보강근(23)이 서로 일체로 연속화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것처럼 단차부(130)에는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보강근(23)과 이를 연결하는 커플러 장치(24)가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하여, 제1함체(1a)와 제2함체(1b)를 견고하게 일체화시켜 연속시키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reinforcing rods 23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in the stepped portion 130 so that a concrete device C is installed in the stepped portion 130 to connect the reinforcing rods 23 to the coupler device 24, So that the first enclosure 1a and the second enclosure 1b are firmly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made continuous.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함체(1a, 1b)가 수상에 부유한 상태에서 서로 연결함에 있어서, 저면판(11) 사이로 물이 함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횡방향 측면판(10) 사이에서도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횡방향 측면판(10)에서 종방향의 개방된 타측 방향의 가장자리에는 제2탄성부재(22)가 횡방향 측면판(1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212는 제2탄성부재(22)의 종방향 뒤쪽으로 제2탄성부재(22)를 지지하도록 횡방향 측면판(10)에 구비되는 제2반력대(212)이다. It is also important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enclosure through the bottom plates 11 when the enclosures 1a and 1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loating state in the water phase, It is also important to prevent inflows. To this end, a second elastic member (22) is provided on the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transverse side plate (10)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verse side plate (10). Reference numeral 212 in the drawing is a second reaction force band 212 provided on the transverse side plate 10 to support the second elastic member 22 in the longitudinal backward direc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22.

제1탄성부재(21)와 마찬가지로, 제1함체(1a)와 제2함체(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이 서로 마주하여 접하게 되면, 제1함체(1a) 및 제2함체(1b) 각각에 구비되어 있던 제2탄성부재(22)는 서로 충돌하면서 가압되어 탄성변형되어 서로 밀실하게 마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제1함체(1a)와 제2함체(1b) 간의 횡방향 측면판(10) 사이에는 수밀한 상태가 만들어져서 횡방향 측면판(10) 사이로는 물이 함체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When the other open longitudinal side of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acing each other like the first elastic member 21,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The second elastic members 22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22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while being collided with each other and elastically deformed, Therefore, a watertight state is formed between the transverse side plates 10 between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so that water can not flow into the transverse side plates 10 through the inside of the enclosure .

제2탄성부재(22)는 제1탄성부재(21)와 별개의 부재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제1탄성부재(21)가 저면판(11)의 횡방향 폭보다 더 길도록 연장되고, 이렇게 연장된 부분이 상향으로 구부러져서 횡방향 측면판(10)에 위치하게 하여 제2탄성부재(22)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제1탄성부재(21)와 제2탄성부재(22)는 하나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The second elastic member 22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first elastic member 21 but the first elastic member 21 is extended to be longer than the lateral width of the bottom plate 11, The extended portion may be bent upward to be positioned on the transverse side plate 10 so as to be the second elastic member 22. [ That is, the first elastic member 2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2 may be made of one elastic member.

한편, 위와 같이 제2탄성부재(22)의 상호 가압 접촉에 의하여 제1함체(1a)와 제2함체(1b) 간의 횡방향 측면판(10) 사이에 강한 수밀상태가 만들어지고 또 이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함체(1a)의 횡방향 측면판(10)과 제2함체(1b)의 횡방향 측면판(10) 사이에는 추가적인 제2긴장재(33)가 종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함체(1a)와 제2함체(1b) 각각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에서, 횡방향 측면판(10)의 외면에 제2긴장재(33)의 긴장 정착을 위한 제2텐던정착부(34)가 각각 설치되고, 제2텐던정착부(34) 사이에 제2긴장재(33)가 종방향으로 제1함체(1a)와 제2함체(1b)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고, 제3긴장재(33)가 종방향으로 긴장된 후 그 단부가 각각 제2텐던정착부(34)에 정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긴장재(33)의 설치구성에 의하여 제1함체(1a)와 제2함체(1b)간에는 종방향으로 긴장력이 도입되고, 그에 따라 제1함체(1a)와 제2함체(1b)가 서로 강하게 밀착되어 제1함체(1a)와 제2함체(1b) 각각에 구비된 제2탄성부재(22)가 서로 강하게 가입되어 밀착됨으로써 효과적인 수밀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 strong watertight state is created between the lateral side plates 10 between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by the mutual pressing contact of the second elastic members 22 as described above, An additional second tension member 33 can be longitudinally arranged between the transverse side plate 10 of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transverse side plate 10 of the second housing 1b have. Specifically, on the other longitudinally opened side of each of the first enclosure 1a and the second enclosure 1b, a second tendon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second tension member 33 to the tens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ateral side plate 10 A second tension member 3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nclosure 1a and the second enclosure 1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tendon fixing sections 34 and the third tension member 3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nclosure 1a and the second enclosure 1b, (33) is tens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s ends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second tendon fixing portion (34). The tensioning force is introdu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by the provision of the second tensions 33 so that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2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are tightly joined to each other so as to closely contact each other, thereby exhibiting an effective water-tight performance.

본 발명에 있어서, 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에서 저면판(11)의 가장자리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횡방향으로 가면서 파형의 굴곡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저면판(11)이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두 개의 함체(1a, 1b)가 결합되었을 때, 저면판(11)은 굴곡이 있는 형태로 서로 결합되며, 이러한 굴곡진 형태는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해 큰 저항력을 발휘하게 된다. 즉, 마치 전단키처럼 위와 같은 저면판(11)간의 굴곡진 형태의 결합은 횡방향으로 함체(1a, 1b)를 서로 어긋나도록 작용하는 횡방향 하중에 대해 강한 전단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저면판(11)의 하면에 구비된 제1탄성부재(21) 역시 저면판(11) 가장자리의 굴곡에 대응하여, 횡방향으로 가면서 파형의 굴곡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11 on the other longitudinally opened side of the casings 1a and 1b has a curvature of the waveform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bottom plate 11 is bent, when the two casings 1a and 1b are engaged, the bottom plate 11 is coupled to each other in a bent shape. A large resistance force is exerted against a shearing force acting as a shearing force acting on the sheath. That is, the coupling in a curved shape between the bottom plates 11 as in the case of the shear keys can exert a strong shear resistance against the lateral loads acting to displace the enclosures 1a and 1b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member 21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may also be arranged so as to bend the waveform in the later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11.

이와 같이 가장자리가 파형으로 굴곡진 형상은 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에서 격벽(18)에도 연직방향으로 존재할 수 있다. 즉, 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에 위치한 격벽(18)의 연직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격벽(18)의 굴곡진 형상은, 함체(1a, 1b)를 연직방향으로 서로 어긋나도록 작용하는 연직방향 하중에 대해 강한 전단저항력을 발휘하게 된다. 더 나아가, 횡방향 측면판(10) 역시 격벽(18)과 마찬가지로 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 가장자리에서는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에서, 서로 접하여 결합되는 횡방향 측면판(10)의 가장자리에서는, 연직방향으로 가면서 파형의 굴곡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제2탄성부재(22) 역시 횡방향 측면판(10)의 굴곡 형상에 대응되도록 연직방향으로 가면서 파형으로 굴곡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횡방향 측면판(10)의 굴곡진 가장자리 형상 역시 연직방향으로 강한 전단저항력을 발휘하게 된다. 물론, 횡방향 측면판(10)의 가장자리는 직선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저면판과 횡방향 측면판, 그리고 격벽 가장자리의 굴곡진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직선에 의해 요철의 형상처럼 굴곡진 형태가 될 수도 있다. The shape in which the edges are curved in the corrugated shape may exis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artition 18 at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openings of the casings 1a and 1b. That is, the vertical edges of the partition 18 located on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openings of the casings 1a and 1b are curved. The curved shape of the partition wall 18 exhibits a strong shear resistance against the vertical load acting to displace the enclosures 1a and 1b in the vertical direction. Furthermore, the lateral side plate 10 can also have a bent shape at the other open longitudinal edge of the casings 1a and 1b, like the partition 18. That is, at the edge of the transverse side plate 10 which is in contact with and joined to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openings of the casings 1a and 1b, the corrugation can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second elastic member 22 may also be bent in a wave shape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bending shape of the transverse side plate 10. The shape of the curved edge of the lateral side plate 10 also exhibits strong shear res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course, the edge of the lateral side plate 10 may have a straight line shape. Also, the curved shape of the bottom plate, the transverse side plate, and the edge of the partition wall may be curved as shown in the drawing, but they may be curved like a shape of concave and convex by a straight line.

이와 같은 연결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함체(1a, 1b)를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제1탄성부재(21)와 제2탄성부재(23)를 각각 가지고 있는 제1함체(1a)와 제2함체(1b)를 수면에 놓은 상태에서 서로를 향하여 가압하여 각각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이 서로 마주 접하게 만든 상태에서, 제1긴장재(31)를 저면판(11)에 배치하여 긴장 정착하고 제2긴장재(33)를 횡방향 측면판(10)에 배치하여 긴장 정착함으로써, 종방향으로 제1함체(1a)와 제2함체(1b) 사이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서로 강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제1탄성부재(21)와 제2탄성부재(23) 사이에 수밀상태가 만들어진다. A first housing (1a, 1b) having a first elastic member (21) and a second elastic member (23),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tension member 31 is disposed on the bottom plate 1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nsion member 1a and the second case member 1b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with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pposite to each other, The tension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ension-fixing and the second tensions 33 are arranged on the transverse side plate 10 to be tightly fixed to each other. do. Accordingly, a watertight state is created between the first elastic member 2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3.

이러한 과정에서 함체(1a, 1b)의 내부 공간에는 이미 물이 유입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양수기, 펌프 등을 이용하여 함체(1a, 1b)의 내부 공간에 채워져 있던 물을 배수하여, 함체(1a, 1b)의 내부 공간, 특히 단차부(130)를 건조한 상태로 만든다. In this process, water may already flow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s 1a and 1b. In this case, the water filled in the internal spaces of the casings 1a and 1b is drained by using a water pump, a pump or the like to make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ings 1a and 1b, especially the stepped portion 130, dry.

후속하여 단차부(130)에서 서로 노출되어 있던 보강근(23)을 커플러 장치(24)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하고, 이와 더불어 제1텐던정착부(32) 사이에 인장고정용 제1긴장재(31)를 종방향으로 배치하고 긴장 정착하여 제1함체(1a)와 제2함체(1b)간에는 추가적인 긴장력을 도입하며, 단차부(130)에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여 보강근(23)과 이를 연결하는 커플러 장치(24)가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제1함체(1a)와 제2함체(1b)를 견고하게 일체화시켜 연속시키게 된다. The reinforcing rods 23 exposed at the step portion 13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upler device 24 and the first tensile fixing torsion members 31 The reinforcing rods 23 ar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rods 23 by tensioning the reinforcing rods 23 and the reinforcing rods 2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troduce additional tension between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The first enclosure 1a and the second enclosure 1b are firmly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allowing the device 24 to be embedded in the spotted concrete.

이와 같은 연결구조에 의해 함체(1a, 1b)는 수상에 부유한 상태에서 매우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연속되는데, 이러한 함체간의 일체화구조를 필요한 경우 복수개의 함체에 반복 적용함으로써, 복수개의 함체로 이루어진 부잔교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With such a connection structure, the enclosures 1a and 1b are solidly integrated and continuous in a floating state in the water phase. By repeatedly applying the unified structure between the enclosures to a plurality of enclosures if necessary, It becomes possible to construct.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함체(1a)와 제2함체(1b)의 상면에는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할 수 있게 부잔교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판이 설치된다. 상면판이 설치되는 경우, 상면판에는 위와 같은 연결부로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a top plate that forms an upper surface of a floating bridge is installed so that a vehicle or a person can pass through it. When the upper surface plate is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plat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allowing the operator to access the connection portion.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수상연결구조에 의해 2개의 함체가 연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에 도시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도 13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는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2개의 함체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도 16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connecting two enclosures by a wat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13 And FIG. 15 is a schematic half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Fig. 1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two enclosures are connected after the state shown in Fig. 13, and Fig. 17 is a schematic half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in Fig.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수상연결구조와, 이러한 수상연결구조를 가지는 부잔교의 경우, 앞서 살펴본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제1텐던정착부(32)의 형태만이 상이한 바, 제2실시예의 구성 중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할 때 사용하였던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다음에서는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제2실시예의 제1텐던정착부(32) 구성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설명한다. 13 to 17, in the case of a float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hous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loating bridge having such a water connection structure,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12,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tendon fusing unit 32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are used to denot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refore,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tendon fusing unit 32 of the second embodimen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tensively.

본 발명에서는 제1함체(1a)와 제2함체(1b) 사이에 종방향으로 긴장력을 도입할 목적으로 제1긴장재(31)를 설치하기 위하여, 제1함체(1a)와 제2함체(1b) 각각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에서 저면판(11)의 상면에는 제1긴장재(31)의 긴장 정착을 위한 제1텐던정착부(32)가 각각 돌출된 형태로 구비하였다. 앞서 살펴본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경우, 제1텐던정착부(32)는 한 개 내지 2개의 제1긴장재만이 정착될 수 있는 횡방향의 짧은 길이를 가지는 돌출부가 저면판(11) 상면에 구비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1텐던정착부(32)는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제2실시예처럼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경우, 제1텐던정착부(32)는 저면판(11)의 상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되 각 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 가장자리에서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제1텐던정착부(32)에는 제1긴장재(31)가 관통 정착되는 정착공(320)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또한 이렇게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제1텐던정착부(32)는, 각 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 가장자리가 곡선 형태로 굴곡된 형상에 맞추어서, 횡방향으로 가면서 굴곡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횡방향의 직선형태로 뻗어나갈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stall the first tension member 31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the first housing 1a and the second housing 1b A first tensile fixing unit 32 for fixing the first tension member 31 to the tens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at each open longitudinal side.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12, the first tendon fixing portion 32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having a short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which only one or two first tension members can be fixed,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 The first ten-tensile fixing unit 32 may be exten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s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13 to 17. 13 to 17, the first tendon fixing portion 3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And is provided in a form elong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e other longitudinal edg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xation holes 320 are formed in the first tensile fixing unit 32, which is elong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which the first tensions 31 are fixed. The first ten-tensile fixing portion 32 having a length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formed so as to be curved in the lateral direction in conformity with the curved shape of the other longitudinal edge of each of the housing elements 1a and 1b But may extend in the form of a transverse straight line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제2실시예처럼 제1텐던정착부(32)가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제1긴장재(31)의 배치 위치를 현장에서 상황에 맞게 선택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제1긴장재(31)가 정확하게 종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정착공(320)을 현상 상황에 맞추어서 선정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제1긴장재(31)의 정밀한 종방향 배치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제1긴장재(31)를 배치하는데도 매우 유리하다. 13 to 17, when the first tensile fixing unit 32 is provided in a shape elong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tension member 31 may b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in the field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That is,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fixing holes 320 for precisely positioning the first torsion members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conditions, and thus the precise longitudinal positioning of the first torsion members 31 is possible It is. It is also very advantageous to dispose a plurality of first tensions 31.

한편, 본 발명에서 제1긴장재(31)를 긴장 배치함에 있어서 격벽(18)을 텐던정착부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8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제1긴장재(31)가 격벽(18)에 긴장 정착된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에 따라 2개의 함체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9에는 도 18의 선 G-G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wall 18 may be utilized as a tendon fixing unit when the first tensional material 31 is arranged in tension. 1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two enclosures are conne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tensions 31 are tightly fixed to the partition 18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schematic half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line GG in Fig.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각 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에서 격벽(18)에 각각 관통공을 형성하고, 제1긴장재(31)의 양단을 각각 격벽(18)의 관통공에 관통시킨 후, 격벽(18)에 긴장 정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격벽(18)을 이용하여 제1긴장재(31)를 긴장 정착하는 구성은, 앞서 살펴본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병행할 수도 있고,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존재하던 제1텐던정착부(32)를 전혀 설치하지 않은 채, 단독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저면판(11)의 상면에는 제1텐던정착부(32)를 전혀 설치하지 않고 위와 같이 제1긴장재(31)를 격벽(18)에만 긴장 정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격벽(18)에 복수개의 관통공을 형성해두고, 현장에서 제1긴장재(31)가 정밀하게 종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관통공을 선정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제1긴장재(31)의 정밀한 종방향 배치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18 and 19, through holes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partition 18 at the other open longitudinal side of the enclosures 1a and 1b and both ends of the first tensions 31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artition 18,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partition wall 18, and then tension-fixed to the partition wall 18.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torsion member 31 is tense and fixed using the barrier rib 18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nd may exist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first tent fastening portion 32 may be used alone without being installed at all. That is, the first tensile fixing unit 32 may not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but the first tension member 31 may be tension-fixed only on the partition 18 as described above. Also in this structur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8 so that the through holes for accurately positioning the first torsion members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selected and used. Therefore, the first torsion members 31 Can be precise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는 제1긴장재(31)가 콘크리트 밖에 존재하고 있는데, 다음에서 설명하는 제4실시예처럼 제1긴장재(31)를 콘크리트 내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20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제1긴장재(31)가 매립 배치되어 긴장 정착되는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에 따라 2개의 함체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1에는 도 20의 선 H-H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in the first through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rsion members 31 are present outside the concrete, and the first torsion members 31 are disposed in the concrete as in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below It is possible. 2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two enclosures are conne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torsion members 31 are embedded and fixed in tension a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perspective view in accordance with line HH in Fig.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에서 저면판(11) 내에 종방향으로 제1긴장재(31)를 배치하여, 제1긴장재(31)의 양단을 각각 저면판(11)에 긴장 정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체(1a, 1b)를 제작할 때, 미리 저면판(11)의 두께 내에 쉬스관을 매립하여 제1긴장재(31)가 배치될 배치공(310)을 형성해두고, 함체(1a, 1b)가 서로 접한 상태에서, 제1긴장재(31)를 배치공(310) 내에 삽입하여, 2개의 함체(1a, 1b)에 걸쳐지도록 종방향으로 배치한 후, 저면판(11)에 긴장 정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4실시예의 경우, 제1긴장재(31)가 저면판(11)의 두께 내에 존재하게 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수분과의 접촉으로 인한 부식,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1긴장재(31)를 저면판(11)의 두께 내에 배치하는 구성은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앞서 살펴본 제1 내지 제3실시예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20 and 21, the first tension member 31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bottom plate 11 at the other open longitudinal side of the casings 1a and 1b, so that both ends of the first tension member 31 May be tension-fixed to the bottom plate 11, respectively. For example, when the enclosures 1a and 1b are manufactured, a shoe tube is embedded i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11 in advance to form a placement hole 310 in which the first tensions 31 are to be disposed, The first torsion members 31 are inserted into the arrangement holes 310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cover the two housing members 1a and 1b, can do. In such a fourth embodiment, since the first tensional material 31 is present withi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11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rrosion or damage due to contact with moisture is prevented .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taut material 31 is disposed withi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11 can be used alone, but it can also be u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1a: 제1함체
1b: 제2함체
10: 횡방향 측면판
11: 저면판
12: 단부판
18: 격벽
21: 제1탄성부재
22: 제2탄성부재
23: 보강근
24: 커플러 장치
31: 제1긴장재
32: 제1텐던정착부
33: 제2긴장재
34: 제2텐던정착부
130: 단차부
C: 콘크리트
1a: first enclosure
1b: second enclosure
10: transverse side plate
11: bottom plate
12: end plate
18:
21: first elastic member
22: second elastic member
23: Rebar
24: coupler device
31: First tension member
32: first tenteen fixing unit
33: second tension member
34: second tendon fixing unit
130: stepped portion
C: Concrete

Claims (6)

각각 한쌍의 횡방향 측면판(10), 저면판(11) 및 종방향 일측의 단부판(12)을 포함하여 종방향 타측이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 콘크리트 부재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함체(1a, 1b)를 일체로 연결하여 부잔교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1 및 제2함체(1a, 1b)를 제작하되, 제1 및 제2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 가장자리에서, 저면판(11)의 하면에는 수밀용 제1탄성부재(21)가 구비되어 있고, 저면판(11)의 상면에는 오목한 단차부(130)가 형성되도록 하며, 단차부(130)에는 저면판(11)의 보강근(23)이 노출되어 있고, 횡방향 측면판(10)에는 제2탄성부재(22)가 구비되어 있도록 제1 및 제2함체(1a, 1b)를 제작하고;
제1 및 제2함체(1a, 1b)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제1긴장재(31)를 배치하여 긴장 정착함으로써, 제1 및 제2함체(1a, 1b)를 수면에 놓은 상태에서 서로를 향하여 가압하여 제1 및 제2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이 서로 마주 접하면서 제1탄성부재(21)와 제2탄성부재(22)가 가압 변형되어 수밀한 상태가 만들어지게 하고, 단차부(130)에서 보강근(23)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 및 제2함체(1a, 1b)를 수밀상태로 서로 일체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부잔교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시공방법.
(1a) of a box-like concrete member having a pair of lateral side plates (10), a bottom plate (11) and an end plate (12) , 1b)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struct a floating bridge,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1a and 1b are fabric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elastic member for watertightness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at the other longitudinally opened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1a and 1b And the reinforcing bars 23 of the bottom plate 11 are exposed on the stepped portions 130. The reinforcing bars 23 of the bottom plate 11 are expos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11,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1a and 1b are manufactured so that the second elastic member 22 is provided on the plate 10;
The first tension members 31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1a and 1b and are tension fix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1a and 1b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elastic member 2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2 are pressed and deformed to form a watertight state while the other longitudinal longitudinal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1a and 1b face each other, And a step of pouring the concrete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23 are embedded in the step 13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1a and 1b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watertight state. How to construct a floating bridge.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함체(1a, 1b)를 수면에 놓은 상태에서 서로를 향하여 가압하여 개방된 종방향 타측이 서로 마주 접하게 한 후, 제1 및 제2함체(1a, 1b)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제2긴장재(32)를 횡방향 측면판(10)에 배치하고, 제2긴장재(32)를 긴장 정착함으로써, 1 및 제2함체(1a, 1b)가 수면에 놓은 상태에서 서로를 향하여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긴장력이 도입되도록 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1a and 1b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y are placed on the water surface so that the opened longitudinal sides of the other casing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1a and 1b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while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1a and 1b are placed on the water surface by locating the second tensions 32 on the lateral side plate 10 and tightly fixing the second tensions 32. [ So as to introduce an additional tensional for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에서, 서로 접하여 결합되는 저면판(11)의 가장자리에는, 횡방향으로 가면서 파형의 굴곡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시공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at the other longitudinally opened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1a, 1b), a curvature of the waveform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11) Way.
제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 가장자리에서 저면판(11)의 하면에 구비된 제1탄성부재(21)는, 저면판(11) 가장자리의 굴곡에 대응하여, 횡방향으로 가면서 파형의 굴곡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elastic member 21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at the other longitudinally opened side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1a and 1b corresponds to the bend of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1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are arranged so as to form a curved shape while being traversed in the lateral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에서, 서로 접하여 결합되는 횡방향 측면판(10)의 가장자리에서는, 연직방향으로 가면서 파형의 굴곡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open longitudinal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1a, 1b), the curvature of the waveform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edge of the transverse side plate (10) How to construct a floating bridge.
제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함체(1a, 1b)의 개방된 종방향 타측 가장자리에서 횡방향 측면판(10)에 구비된 제2탄성부재(22)는, 횡방향 측면판(10) 가장자리의 굴곡에 대응하여, 연직방향으로 가면서 파형의 굴곡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시공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elastic member 22 provided on the transverse side plate 10 at the other longitudinally opened side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1a and 1b corresponds to the bending of the edge of the transverse side plate 10 So as to be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KR1020150160864A 2014-08-13 2015-11-17 Constructing Method for Floating Bridge having Connection between Floating Bodies KR10166563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4879 2014-08-13
KR1020140104879 2014-08-1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891A Division KR101646712B1 (en) 2014-08-13 2015-08-11 Connecting Structure of Floating Body for Floating Bridge, and Floating Bridge having such Connect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386A true KR20160020386A (en) 2016-02-23
KR101665638B1 KR101665638B1 (en) 2016-10-13

Family

ID=554492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891A KR101646712B1 (en) 2014-08-13 2015-08-11 Connecting Structure of Floating Body for Floating Bridge, and Floating Bridge having such Connecting Structure
KR1020150160864A KR101665638B1 (en) 2014-08-13 2015-11-17 Constructing Method for Floating Bridge having Connection between Floating Bodie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891A KR101646712B1 (en) 2014-08-13 2015-08-11 Connecting Structure of Floating Body for Floating Bridge, and Floating Bridge having such Connect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6467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648B1 (en) 2020-10-26 2021-07-06 (주)경남해양테크 Construction method of a sub-pier extending from the shoreline to the wa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884A (en) * 1994-05-31 1995-12-12 Nippon Steel Corp Float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KR960001380A (en) * 1994-06-30 1996-01-25 최훈 Concrete joint
KR101255501B1 (en) 2013-01-10 2013-04-16 이재용 A pontoon for high strength light weight concrete
KR20140001302A (en) * 2012-06-25 2014-01-07 (주)나다건설 Floating concrete block and floating concrete block structure with connecter
JP2014077305A (en) * 2012-10-11 2014-05-01 Gamano Kensetsu Kk Precast concrete foundation and foundation structure of build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884A (en) * 1994-05-31 1995-12-12 Nippon Steel Corp Float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KR960001380A (en) * 1994-06-30 1996-01-25 최훈 Concrete joint
KR20140001302A (en) * 2012-06-25 2014-01-07 (주)나다건설 Floating concrete block and floating concrete block structure with connecter
JP2014077305A (en) * 2012-10-11 2014-05-01 Gamano Kensetsu Kk Precast concrete foundation and foundation structure of building
KR101255501B1 (en) 2013-01-10 2013-04-16 이재용 A pontoon for high strength light weight concre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367A (en) 2016-02-23
KR101646712B1 (en) 2016-08-08
KR101665638B1 (en)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0903B1 (en) Casing assembly for forming CIP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forming CIP retaining walls using the casing assembly
KR101301081B1 (en)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637249B1 (en) Composite Girder with Steel Box Beam and Precast Concrete Slab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5061116A (en) Reinforced structural elements
KR101345183B1 (en) a Rainwater Storage Tank
KR101665638B1 (en) Constructing Method for Floating Bridge having Connection between Floating Bodies
KR10101323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rainwater storage bath
KR101541465B1 (en) The long-span slab system
JP3914576B2 (en) Continuously reinforced partition, its construction method and foundation structure therefor
KR101404477B1 (en) Longitudinal Segmental Girder
KR101558150B1 (en) Floating structure module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loating structure modules using the same
JP5166778B2 (en) How to build a pontoon
KR101946500B1 (en) Hinged connected CFT column
KR101613654B1 (en) electric power manhole
RU2388647C2 (en) Floating structure consisting of several assembled floating elements and method to assemble said structure
KR101078827B1 (en) Structure using pre-cast panel
KR101675040B1 (en) U-girder with reinforcing member, bridge using the sam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07396B1 (en) Partial Caisson Device for Repairing Cylindrical Structure in Water and Repairing Method of Cylindrical Structure using thereof
RU2763089C1 (en) Floating module of a floating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necting such floating modules
KR20130038089A (en) Precast concrete frame for buildings using precast concrete beam continued by post tensioning
KR101422241B1 (en) Hangar of nuclear power plant in ocean and construction method of hangar
KR200174059Y1 (en) Connection structure being used for cut-off plate
RU102020U1 (en) COLUMN AND CEILING CONNECTION ASSEMBLY
KR102005969B1 (en) Segment typ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RU2266457C1 (en) Ballas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