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566A -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9566A KR20160019566A KR1020140103181A KR20140103181A KR20160019566A KR 20160019566 A KR20160019566 A KR 20160019566A KR 1020140103181 A KR1020140103181 A KR 1020140103181A KR 20140103181 A KR20140103181 A KR 20140103181A KR 20160019566 A KR20160019566 A KR 201600195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oli
- purified water
- water
- escherichia coli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4
- KUWPCJHYPSUOFW-YBXAARCKSA-N 2-nitrophenyl beta-D-galact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C=CC=C1[N+]([O-])=O KUWPCJHYPSUOFW-YBXAARCK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998 Abdomin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89 hemat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2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that i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수처리 장치는, 원수를 공급받아 필터링 하는 여과부, 상기 필터링된 정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정수 저장부, 세정액을 생성하는 세정액 생성부, 상기 정수 저장부에 저장된 정수에 포함되는 대장균을 검출하는 대장균 검출부 및 상기 대장균 검출부에서 대장균이 검출되면, 상기 정수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세정액 생성부에 상기 필터링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세정액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세정액이 상기 정수 저장부 또는 대장균 검출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장균(E. Coli)은 극심한 복통과 설사를 유발하는 박테리아군으로 혈변성 설사를 유발하는 주된 원인이다.
이러한 대장균은 주로 오염된 물 섭취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바, 대장균의 감지할 수 있고, 대장균이 감지되었을 경우 이를 세척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수처리 장치는, 사람이 수처리 장치의 저장 탱크에 있는 물을 직접 채취하고, 효소발색반응 또는 중합효소연쇄반응 등을 이용하여 대장균을 검출하는 바, 이는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대장균이 검출될 시, 대장균이 감염된 수처리 장치 내부를 별도로 세척해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은 수처리 기기에 관한 것이나,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수 저장부에 저장된 정수에 포함된 대장균을 감지하고, 대장균이 감지되는 경우 필터링된 물을 이용하여 세척액을 생성하여 자동으로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은 수처리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수처리 장치는, 원수를 공급받아 필터링 하는 여과부, 상기 필터링된 정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정수 저장부, 세정액을 생성하는 세정액 생성부, 상기 정수 저장부에 저장된 정수에 포함되는 대장균을 검출하는 대장균 검출부 및 상기 대장균 검출부에서 대장균이 검출되면, 상기 정수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세정액 생성부에 상기 필터링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세정액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세정액이 상기 정수 저장부 또는 대장균 검출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장균 검출부는, 상기 정수 저장부로부터 상기 정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대장균 반응기, 상기 정수에 포함되는 대장균과 반응하는 반응시약을 공급하는 시약 공급부 및 상기 대장균과 상기 반응시약의 반응을 감지하는 대장균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정수 저장부에 저장된 정수에 포함된 대장균을 감지하고, 대장균이 감지되는 경우 필터링된 물을 이용하여 세척액을 생성하여 자동으로 내부를 세척할 수 있어, 대장균의 감염을 방지하여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대장균 검출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대장균 검출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0)는 여과부(100), 정수 저장부(200), 세정액 생성부(300), 대장균 검출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처리 장치(10)는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는 대장균 경고 장치(600, 도 3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100)는 원수를 공급받아 필터링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여과부(100)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여 원수를 필터링할 수 있다.
여과부(100)와 정수 저장부(2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관(L)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L)에는 개폐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여과부(100)는 수도 등의 물공급원(미도시)에 연결관(L)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관(L)의 개폐밸브(V)를 개방하면 필터링된 물 즉, 정수가 정수 저장부(300)에 유입될 수 있다.
정수 저장부(200)는 여과부(100)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수 저장부(200)는 대장균 검출부(400)와 연결관(L)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L)에는 개폐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관(L)의 개폐밸브(V)를 개방하면 정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정수가 대장균 검출부(400)에 유입될 수 있다.
세정액 생성부(300)는 대장균을 살균 및 세척할 수 있는 세정액을 생성할 수 있다. 세정액 생성부(300)는 여과부(100)와 연결관(L)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L)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관(L)의 개폐밸브(V)를 개방하면 여과부(100)로부터 정수가 세정액 생성부(300)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되는 정수와 세정액 생성부(30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시약을 혼합하여 세정액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액 생성부(300)는 정수 저장부(200) 및 대장균 검출부(400)와 각각 연결관(L)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L)에는 각각 개폐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관(L)의 개폐밸브(V)를 개방하면 세정액 생성부(300)에서 생성된 세정액이 정수 저장부(200) 및 대장균 검출부(400)로 유입될 수 있다.
대장균 검출부(400)는 정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정수에 포함되는 대장균을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대장균 검출부(400)는 정수 저장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와 반응시약을 혼합하여 나타나는 발색 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색을 감지함으로써 대장균을 검출할 수 있다.
대장균 검출부(400)는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대장균 검출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대장균 검출부(400)는 배출구(미도시)와 연결관(L)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L)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대장균 검출부(40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500)는 수처리 장치(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개폐밸브(V)를 제어할 수 있으며, 세정액 생성부(300) 및 대장균 검출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대장균의 검출을 위해 정수 저장부(200)와 대장균 검출부(400) 사이의 개폐밸브(V)를 개방하여 대장균 검출부로 정수를 유입시킬 수 있으며, 대장균 검출부(400)가 대장균을 검출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대장균 검출부(400)로부터 대장균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여과부(100)와 정수 저장부(200) 사이의 개폐밸브(V)를 닫고, 정수 저장부(200)와 대장균 검출부(400) 사이의 개폐밸브(V) 및 대장균 검출부(400)와 배출구(미도시) 사이의 개폐밸브(V)를 개방하여 정수 저장부(200) 및 대장균 검출부(400)에 저장된 오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여과부(100)와 세정액 생성부(300) 사이의 개폐밸브(V)를 개방하여 여과부에서 필터링된 정수를 세정액 생성부(300)로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정수와 세정액 생성부(300)에 공급되는 시약을 혼합하여 세정액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세정액 생성부(300)와 정수 저장부(200) 및 대장균 검출부(400) 사이의 개폐밸브(V)를 개방하여 상기 생성된 세정액을 정수 저장부(200) 및 대장균 검출부(400)로 유입시켜 오염된 내부 환경을 살균/세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대장균 검출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대장균 검출부(400)에 공급되는 물을 적어도 한 번 이상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대장균 경고 장치(600)는 제어부(500)로부터 대장균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장균 경고 장치(600)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하여 대장균의 검출 여부를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대장균 검출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장균 검출부(400)는 대장균 반응기(410), 시약 공급부(420) 및 대장균 감지 센서(43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장균 반응기(410)는 정수 저장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정수와 반응시약을 혼합하여 대장균을 배양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대장균 반응기(410)는 정수 저장부(200)와 연결관(L)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L)에는 개폐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밸브(V)가 개방되면, 정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정수가 대장균 반응기(410)로 유입될 수 있다.
시약 공급부(420)는 대장균 반응기(410)와 연결관(L)에 의해 연결되어 대장균 반응기(410)에 반응 시약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반응 시약은 대장균에서 발현되는 β-D-glucuronidase 효소와 반응하여 색깔이나 형광 변화를 일으키는 시약을 말하며, MUG, ONPG, Lactose, Sodium Chloride, XGlc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 시약의 MUG와 대장균의 β-D-glucuronidase 효소가 반응하면 형광 변화를 일으키며, ONPG와 대장균의 β-D-glucuronidase 효소가 반응하면 노란색으로 색깔이 변화하게 된다.
대장균 감지 센서(430)는 대장균 반응기(410)에 저장되는 정수에 포함된 대장균을 검출한다.
여기서, 대장균 감지 센서(430)는 대장균 반응기(410) 내의 대장균과 반응 시약의 화학 반응에 따른 색깔 또는 형광 변화를 검출하는 광도계(Photometer) 또는 형광계(Fluoromet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도계 및 형광계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장균 감지 센서(430)는 색깔 또는 형광변화가 감지되면, 대장균 감지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대장균 감지 센서(430)로부터 전송되는 대장균 감지 신호와 시약의 종류 및 반응 시간에 기초하여 대장균 오염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세정액 생성부(300), 시약 공급부(420), 대장균 감지센서(430), 대장균 경고 장치(600) 및 밸브(V)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500)는 정수 저장부(200)와 대장균 반응기(410) 사이의 밸브(V)를 개방하여 정수 저장부(200)의 정수를 대장균 반응기(41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어부(500)는 대장균 반응기(410)에 정수가 유입되면, 시약 공급부(420)에 저장된 반응시약을 대장균 반응기(410)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정수와 반응시약이 충분히 혼합되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배양되면, 대장균 감지 센서(430)로부터 색깔 또는 형광 변화의 검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색깔 또는 형광 변화가 검출되면, 대장균 경고 장치(600)가 경고 신호음 또는 경고등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며, 여과부(100)와 정수 저장부(200) 사이의 밸브(V)를 닫고, 정수 저장부(200)와 대장균 반응기(410) 사이의 밸브(V) 및 대장균 반응기(410)와 배출구(미도시) 사이의 밸브(V)를 개방하여 정수 저장부(200) 및 대장균 반응기(410)에 저장된 오염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여과부(100)와 세정액 생성부(300) 사이의 밸브(V)를 개방하여 세정액 생성부(300)에 정수가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정수를 세정액 생성부(300)에 저장된 시약과 혼합하여 세정액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세정액이 생성되면, 세정액 생성부(300)와 정수 저장부(200) 및 대장균 반응기(410) 사이의 밸브(V)를 개방하여 생성된 세정액이 정수 저장부(200) 및 대장균 반응기(410)로 유입되어 내부를 살균/세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 : 수처리 장치
100 : 여과부
200 : 정수 저장부
300 : 세정액 생성부
400 : 대장균 검출부
410 : 대장균 반응기
420 : 시약 공급부
430 : 대장균 감지 센서
500 : 제어부
600 : 경고 장치
100 : 여과부
200 : 정수 저장부
300 : 세정액 생성부
400 : 대장균 검출부
410 : 대장균 반응기
420 : 시약 공급부
430 : 대장균 감지 센서
500 : 제어부
600 : 경고 장치
Claims (8)
- 원수를 공급받아 필터링 하는 여과부;
상기 필터링된 정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정수 저장부;
세정액을 생성하는 세정액 생성부;
상기 정수 저장부에 저장된 정수에 포함되는 대장균을 검출하는 대장균 검출부; 및
상기 대장균 검출부에서 대장균이 검출되면, 상기 정수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세정액 생성부에 상기 필터링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세정액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세정액이 상기 정수 저장부 또는 대장균 검출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장균 검출부는,
상기 정수 저장부로부터 상기 정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대장균 반응기;
상기 정수에 포함되는 대장균과 반응하는 반응시약을 공급하는 시약 공급부; 및
상기 대장균과 상기 반응시약의 반응을 감지하는 대장균 감지 센서;
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약은,
MUG, ONPG, Lactose, Sodium Chloride, XGlc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장균 감지 센서는,
상기 발색 또는 형광 반응을 감지하는 광도계 또는 형광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장균이 검출되면, 상기 대장균 반응기에 저장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 하며, 상기 대장균 반응기로 세정액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수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여 원수를 필터링하는 수처리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여과부의 복수의 필터 중 어느 하나로부터 필터링된 물을 상기 세정액 생성부로 공급하도록 하는 수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는 대장균 경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장균 검출부로부터 대장균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장균 경고 장치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수처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3181A KR102312009B1 (ko) | 2014-08-11 | 2014-08-11 | 수처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3181A KR102312009B1 (ko) | 2014-08-11 | 2014-08-11 | 수처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9566A true KR20160019566A (ko) | 2016-02-22 |
KR102312009B1 KR102312009B1 (ko) | 2021-10-14 |
Family
ID=5544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3181A KR102312009B1 (ko) | 2014-08-11 | 2014-08-11 | 수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200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07651A (ko) * | 2010-03-25 | 2011-10-04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오염검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
KR20120106223A (ko) * | 2011-03-18 | 2012-09-26 | 주식회사 비.엘.아이 | 세정수단이 결합된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세정방법 |
KR20140055417A (ko) | 2012-10-31 | 2014-05-09 | 코웨이 주식회사 | 수처리 기기 |
-
2014
- 2014-08-11 KR KR1020140103181A patent/KR1023120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07651A (ko) * | 2010-03-25 | 2011-10-04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오염검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
KR20120106223A (ko) * | 2011-03-18 | 2012-09-26 | 주식회사 비.엘.아이 | 세정수단이 결합된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세정방법 |
KR20140055417A (ko) | 2012-10-31 | 2014-05-09 | 코웨이 주식회사 | 수처리 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2009B1 (ko) | 2021-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89810B2 (ja) | 携帯式紫外線水浄化システム | |
CN101796410B (zh) | 监测水中的微生物细菌的装置 | |
KR102639274B1 (ko) | 자가 관리형 정수기 | |
JP2007130512A (ja) | 水質管理システム、水質管理方法 | |
KR20150121610A (ko) |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 |
MX2021015046A (es) | Dispositivos y sistemas de limpieza y calibracion de sensor. | |
KR20160019566A (ko) | 수처리 장치 | |
JP6058262B2 (ja) | 紫外線処理装置 | |
KR20170011384A (ko) | 해양구조물용 자외선램프타입 청수 살균장치 | |
WO2012153923A2 (ko) | 클린 워터 배출장치 | |
KR101754740B1 (ko) | 유량유속 측정 신뢰성 향상을 위한 ict기술융합 기반 선박 평형수의 잔류염소 측정모듈 | |
KR101349172B1 (ko) | 생태독성 측정장치 | |
KR101521937B1 (ko) | 정수기용 위생키트 | |
KR102462653B1 (ko) | 탄산수를 이용한 살균 정수기 | |
US7767978B1 (en) | Ultraviolet water treatment device | |
JP2009077936A (ja) | 内視鏡洗浄消毒装置 | |
KR101082555B1 (ko) | 정수기기 | |
KR101907736B1 (ko) | 정수기 살균 장치 | |
US20240343548A1 (en) | An automatic or semi-automatic clean-in-place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 |
JP2008253907A (ja) | 水処理装置、水質管理システム | |
CN102342818A (zh) | 带水运行的家用器具、特别是洗碗机 | |
US20230020461A1 (en) |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190011439A (ko) | 자외선 소독장치의 석영관 오염도 측정장치 | |
KR102564442B1 (ko) | 양어장용 자외선 살균부의 성능 모니터링 시스템 | |
CN103459325B (zh) | 净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