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244A - 펄프 조절부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Google Patents
펄프 조절부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9244A KR20160019244A KR1020140103724A KR20140103724A KR20160019244A KR 20160019244 A KR20160019244 A KR 20160019244A KR 1020140103724 A KR1020140103724 A KR 1020140103724A KR 20140103724 A KR20140103724 A KR 20140103724A KR 20160019244 A KR20160019244 A KR 201600192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p
- discharge pipe
- screw assembly
- juice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프의 배출을 조절하는 펄프 조절부를 구비한 주서기로서, 착즙시 대상물에 따른 편차를 줄이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착즙을 위하여 펄프 조절부의 패킹부의 열림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착즙 대상물의 단단함 정도 또는 기호에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펄프 배출 조절 장치가 포함된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하우징에 형성된 펄프 배출공; 상기 펄프 배출공에 연통된 펄프 배출관; 및 상기 펄프 배출관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펄프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펄프 조절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펄프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펄프량이 조절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펄프의 배출을 조절하는 펄프 조절부를 구비한 주서기로서, 구체적으로 착즙시 대상물에 따른 편차를 줄이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착즙을 위하여 펄프 조절부의 패킹부의 열림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착즙 대상물의 단단함 정도 또는 기호에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펄프 배출 조절 장치가 포함된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가정에서 녹즙이나 주스를 직접 만들어 먹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야채나 과일을 이용하여 즙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많이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 중 하나가 주서기이다. 종래의 주서기는 덮개와 덮개 하부에 배치되는 드럼,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착즙망이 구비된 망드럼, 망드럼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스크류, 망드럼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브러쉬 회전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크류 조립체가 스크류 및 스크류와 분리된 착즙망을 포함한 것으로서, 스크류와 착즙망이 분리된 형식의 주서기이다. 이에 따라, 스크류가 회전함으로써 망드럼과의 사이에서 착즙이 이루어지고, 발생한 착즙물은 망드럼을 통과하여 배출된다.
또 다른 주서기로서, 드럼, 드럼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류 조립체, 드럼에서 배출되는 착즙물 및 펄프를 수용하는 본체, 스크류 조립체 하단의 착즙망을 포함하는 주서기가 있다. 스크류 조립체가 스크류 및 스크류와 일치된 착즙망을 포함한 것으로서, 스크류와 착즙망이 일체인 형식의 주서기이다.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에 의해 드럼과의 사이에서 착즙이 이루어지고, 생성된 착즙은 착즙망을 통하여 착즙망 내측으로 유동하여 착즙물과 펄프가 분리된다.
한편, 착즙 대상물이 스크류 구조체를 통과하면서 분쇄되어 착즙이 종료되고 남은 펄프는 하우징의 하단 또는 측면으로 모아지게 되고, 이렇게 모아진 채소나 과일의 펄프는 펄프 배출관을 통해서 밖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펄프가 바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면, 착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인 배출 초기에는 사용자가 음용하여야 하는 착즙물도 펄프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착즙 대상물에 따라 소정 시간 동안 착즙된 이후에도 펄프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착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 펄프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기 전에 하우징에서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할 필요가 있다. 즉, 하우징으로부터의 펄프의 배출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3504호에 개시된 어느 정도의 하중이 걸려야 개방되는 패킹부재의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킹부재의 경우에도 착즙 대상물이 무른 경우와 단단한 경우에 따라 패킹부재의 개방 정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착즙 대상물에 따른 착즙 및 배출 편차가 존재하여 사용자의 효과적인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는 펄프가 많은 좀 더 풍부한 착즙물을 원하거나, 그 반대로 순수한 착즙물을 원할 수 있는데, 패킹부재의 개폐정도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없다면,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맞춤형 착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 1013504 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착즙되는 대상물에 따라 펄프 배출공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펄프 조절부를 구비한 주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배출되는 펄프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펄프 조절부를 구비한 주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가 펄프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펄프량을 조절함에 있어서, 펄프 배출공의 개폐정도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주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주서기 세척시 펄프 배출공이 개방된 상태에서 손가락 등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에 형성된 펄프 배출공(120); 상기 펄프 배출공(120)에 연통된 펄프 배출관(140); 및 상기 펄프 배출관(14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펄프 조절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펄프 조절부(200)는, 상기 펄프 배출관(1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부(220); 및 상기 회동부(22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펄프 배출공(120)을 개폐하는 배출공 개폐부(26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펄프 조절부(200)는, 상기 회동부(220)의 일측에 연결된 레버(240)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공 개폐부(260)는, 상기 회동부(220)와 연결되는 회동 조절부(262); 및 상기 회동 조절부(262)에 연결된 패킹부(26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공 개폐부(260)의 일측면은 곡선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펄프 배출공(120)의 외측면은 상기 배출공 개폐부(260)의 일측면에 상응하는 곡선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킹부(264)는 말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 조절부(262)의 단면적은 상기 패킹부(264)의 단면적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 조절부(262)에는 다수의 회동조절 돌출부(266)가 형성되며, 상기 펄프 배출관(140)의 내측면에는 배출관 걸림턱(144)이 형성되며, 상기 펄프 조절부(200)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회동조절 돌출부(266)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배출관 걸림턱(144)이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펄프 조절부(200)는, 상기 레버(240)를 기준으로 상기 배출공 개폐부(260)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회동부(220)에 돌출되어 형성된 구조체(2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버(240)가 상기 구조체(280) 쪽으로 회동하면 상기 구조체(280)의 말단과 상기 펄프 배출관(140)의 내측 하부면과의 간격이 좁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펄프 배출관(140)은 상부가 개방된 홈 형태이며, 상기 레버(240)의 말단은 상기 펄프 배출관(140)의 높이보다 높게 상부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펄프 배출관(140)의 양측면에는 홀(142)이 형성되며, 상기 펄프 조절부(200)는 상기 홀(142)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부(220)에 연결되는 결합부(290)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펄프 배출관(140)의 외측면에는 상기 홀(14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배출관 돌출부(146)가 위치하며, 상기 배출관 돌출부(146)는 상기 결합부(290)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290)의 회동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관 돌출부(146)는 상기 홀(142)의 둘레 중 일부만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90)의 내측에는 회동 걸림턱(292)이 위치하며, 상기 회동 걸림턱(292)은 상기 펄프 배출관(140)의 외측면 중 상기 배출관 돌출부(146)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서 회동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으로, 사용자는 착즙되는 대상물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주서기의 펄프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펄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펄프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펄프량을 조절함에 따라 착즙물에 포함될 수 있는 펄프량을 조절하거나 착즙율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에 있어서 주서기의 기능성이 증대된다.
또한, 배출되는 펄프량을 조절함에 있어서 펄프 조절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펄프 배출공의 개폐정도를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주서기의 사용 편리성이 증대된다.
또한, 세척시 펄프 배출공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손가락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조체가 구비되어 있어 주서기의 사용 안정성도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서 펄프 조절부가 장착된 하우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서 펄프 조절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서 펄프 배출공을 개방하기 위하여 펄프 조절부가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서 펄프 조절부의 회동에 따라 펄프 배출공이 전체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서 펄프 조절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서 펄프 배출공을 개방하기 위하여 펄프 조절부가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서 펄프 조절부의 회동에 따라 펄프 배출공이 전체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즙물 양을 조절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착즙'의 용어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주입된 재료를 절단, 분쇄, 압착 및/또는 착즙물 추출의 모든 단계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재료가 착즙되면 '착즙물'과 '펄프'가 생성되는 것으로 기술된다. '착즙물'은 사용자가 재료를 착즙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펄프'는 착즙물이 착즙되고 남은 것으로 일반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는 덮개(미도시), 덮개(미도시)와 체결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스크류 조립체(미도시) 및 하우징(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본체(미도시)를 포함한다.
덮개(미도시)의 상부면에는 재료를 넣을 수 있는 주입구(미도시)가 하부면까지 관통형성된다. 상기 주입구(미도시)에는 가압봉(미도시)이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주입구(미도시)에 투입된 음식물을 편리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0)은 중공 원통형의 용기 구조로서, 그 내부에 스크류 조립체(미도시)가 배치된다.
스크류 조립체(미도시)는 착즙 스크류(미도시)와 착즙망(미도시)을 포함한다. 착즙 스크류(미도시)는 회전축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몸체(미도시) 및 착즙날(미도시)을 포함하며, 회전하면서 투입되는 대상물을 착즙하게 된다. 착즙망(미도시)은 착즙된 착즙물이 착즙망(미도시)에 포함되어 있는 착즙홀(미도시)을 통과하도록 하고 펄프는 착즙홀(미도시)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여 착즙물과 펄프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스크류 조립체(미도시)와 착즙망(미도시)은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우징(100)과 스크류 조립체(미도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착즙 스크류 조립체'로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펄프 조절부를 구비한 주서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착즙 대상물이 착즙된 이후 생성된 펄프가 배출되도록 하우징(100)에 형성된 펄프 배출공(120), 및 펄프 배출공(120)으로 배출된 펄프를 외부로 안내하는 펄프 배출관(140)을 포함한다.
펄프 조절부(200)는 펄프 배출관(14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에 따라, 펄프 조절부(200)가 회동함에 따라 펄프 배출공(120)의 개폐가 조절되고, 이러한 개폐 조절에 따라 펄프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펄프량이 조절될 수 있다.
펄프 조절부(200)는 펄프 배출관(140)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회동부(220), 회동부(220)의 일측에 연결된 돌출된 형태의 레버(240), 및 회동부(220)의 타측에 연결되어 펄프 배출공(120)을 개폐하는 배출공 개폐부(26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레버(240)를 작동시킴으로써 레버(240)에 연결된 회동부(220)를 회동시키고, 회동부(220)의 회동에 의해 배출공 개폐부(260)가 회동부(220)를 축으로 하여 회동함으로써 펄프 배출공(120)의 개폐정도가 조절될 수 있고, 이로써 펄프 배출공(120)에서 배출되는 펄프량이 조절될 수 있다(도 3 참조).
배출공 개폐부(260)는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회동부(220)와 연결되어 배출공 개폐부(260)의 회동을 조절하는 회동 조절부(262)와 회동 조절부(262)에 연결되어 회동에 따라 펄프 배출공(260)을 개폐하는 패킹부(264)이다.
회동 조절부(262)의 측면에는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다수의 회동조절 돌출부(266)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공 개폐부(260)가 회동하면서 접촉하는 펄프 배출관(140)의 내측에는 회동조절 돌출부(266)의 회동을 제한하는 배출관 걸림턱(14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동부(220)의 회동으로 배출공 개폐부(260)가 회동하는 경우 회동조절 돌출부(266)가 배출관 걸림턱(144)에 걸려 회동이 제한된다. 다만, 이러한 제한은 일정 이하의 힘이 가해진 경우 발생하며, 사용자가 다시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걸려있던 회동조절 돌출부(266)가 배출관 걸림턱(144)에서 벗어나 다시 회동하지만 다시 이어지는 회동조절 돌출부(266)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써, 사용자는 이러한 회동조절 돌출부(266)와 배출관 걸림턱(144) 간의 접촉으로 인하여 펄프 배출공(120)의 개폐정도를 인식할 수 있다.
배출공 개폐부(260)의 일측면, 즉 펄프 배출공(120)과 맞닿는 부분은 완곡하게 된 곡선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펄프 배출공(120)의 외측면도 배출공 개폐부(260)의 일측면과 상응하도록 곡선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부(220)의 회동에 따라 배출공 개폐부(260)가 자연스럽게 회동하면서 펄프 배출공(120)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패킹부(264)는 일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즉, 패킹부(264)에서 회동 조절부(262)에 인접한 부분의 단면적보다 말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펄프 배출공(120)에서 배출되는 펄프량을 지지하는 힘도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착즙 대상물의 단단함 정도에 따라 배출되는 펄프의 배출 부하가 달리짐을 고려하여 사용자는 회동부(220)의 회동을 조절하여 펄프 배출공(120)과 맞닿은 패킹부(264)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패킹부(264)의 단면적은 회동 조절부(262)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회동 조절부(262)는, 배출되는 펄프를 지지하기도 하지만, 회동부(220)에 연결되어 배출공 개폐부(260)의 회동을 조절한다는 점에서 배출되는 펄프를 지지하는 것보다 더 강한 강성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펄프 조절부(200)는 구조체(280)를 더 포함한다. 세척시 펄프 배출공(120)이 오픈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스크류 조립체(미도시)가 회전하기 때문에 손가락 등이 유입되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서 펄프 배출관(140)은 펄프 조절부(200)의 작동을 위해 상부가 개방된 홈 형태이기 때문에 손가락 등이 펄프 배출공(120)에 유입될 우려가 크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체(280)가 레버(240)를 기준으로 배출공 개폐부(260)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펄프 배출공(120)을 오픈하는 경우, 레버(240)가 구조체(280) 쪽으로 회동함으로써 구조체(280)가 펄프 배출관(140)의 바닥면 쪽으로 회동하고, 구조체(280)가 회동함으로써 구조체(280)와 펄프 배출관(140)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손가락 등이 유입될 수 없도록 한다(도 4 참조).
사용자가 편리하게 펄프 조절부(200)를 회동시키기 위해 레버(240)의 말단은 펄프 배출관(140)의 높이보다 높게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펄프 조절부(200)를 펄프 배출관(14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290) 및 이러한 결합부의 회동 조절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펄프 조절부(200)와 펄프 배출관(140)의 결합은 결합부(290)에 의해 결합된다. 펄프 배출관(140)의 양측면에는 홀(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290)는 홀(142)에 삽입되어 펄프 배출관(140)의 내측에 위치하는 회동부(220)와 결합한다. 즉, 결합부(290)의 일단의 직경은 홀(142)의 직경보다 작고 결합부(290)의 타단의 직경은 홀(142)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결합부(290)의 일단이 홀(142)에 삽입된 후 타단에 의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홀(142)에 삽입된 결합부(290)의 일단과 회동부(220)가 결합되어 결국 펄프 배출관(140)과 펄프 조절부(200)가 결합된다. 회동부(220)와 결합부(290)의 결합은 어떠한 결합 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회동부(220)와 결합된 결합부(290)는 회동부(220)의 회동에 의해 회동한다. 회동부(220)의 회동으로 배출공 개폐부(260)가 회동하는데, 배출공 개폐부(260)가 펄프 배출공(120)을 벗어난 상태에서는 더 이상 회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회동부(22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회동 제한은 회동부(220)와 결합된 결합부(290)와 펄프 배출관(140)의 양측면에서 형성된 배출관 돌출부(146)와의 결합관계에서 이루어진다.
펄프 배출관(140)의 양측면에는 홀(14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배출관 돌출부(146)가 위치한다. 이러한 배출관 돌출부(146)는 홀(142)의 둘레 전체에 따라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을 따라 위치한다. 이에 따라, 홀(142)의 둘레에 따라 배출관 돌출부(146)가 형성된 부분과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구분되며, 결합부(290)는 배출관 돌출부(146)가 형성되지 않는 범위에서만 회동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배출관 돌출부(146)는 결합부(290)가 홀(142)에 삽입될 때 결합부(29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삽입 후 결합부(290)의 내측에 위치하는 회동 걸림턱(292)은 배출관 돌출부(146)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따라 회동할 수 있다. 즉, 회동부(220)의 회전에 의해 결합부(220)가 회전하는데, 결합부(220)의 내측에는 회동 걸림턱(292)이 위치하고 있어 배출관 돌출부(146)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서만 회동하게 되며, 회동 걸림턱(292)이 회동하는 도중에 배출관 돌출부(146)의 일말단과 접촉하는 경우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레버(240)를 작동시켜 결국 결합부(290)를 회동시키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출공 개폐부(260)가 회동하는 범위도 제한된다. 즉, 배출공 개폐부(260)가 펄프 배출공(120)과 맞닿는 범위에서만 회동할 수 있도록 제한할 있다. 펄프 조절부(2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한바, 사용자가 레버(240)를 임의적으로 이동시키더라도 배출공 개폐부(260)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어 필요 이상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이 증대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20: 펄프 배출공
140: 펄프 배출관
142: 홀
146: 배출관 돌출부
200: 펄프 조절부
220: 회동부
240: 레버
260: 배출공 개폐부
262: 회동 조절부
264: 패킹부
266: 회동조절 돌출부
280: 구조체
290: 결합부
292: 회동 걸림턱
120: 펄프 배출공
140: 펄프 배출관
142: 홀
146: 배출관 돌출부
200: 펄프 조절부
220: 회동부
240: 레버
260: 배출공 개폐부
262: 회동 조절부
264: 패킹부
266: 회동조절 돌출부
280: 구조체
290: 결합부
292: 회동 걸림턱
Claims (14)
- 하우징(100);
하우징(100)에 형성된 펄프 배출공(120);
상기 펄프 배출공(120)에 연통된 펄프 배출관(140); 및
상기 펄프 배출관(14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펄프 조절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펄프 조절부(200)는,
상기 펄프 배출관(1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부(220); 및
상기 회동부(22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펄프 배출공(120)을 개폐하는 배출공 개폐부(260);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조절부(200)는,
상기 회동부(220)의 일측에 연결된 레버(240)를 더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 개폐부(260)는,
상기 회동부(220)와 연결되는 회동 조절부(262); 및
상기 회동 조절부(262)에 연결된 패킹부(264);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 개폐부(260)의 일측면은 곡선 형태인,
착즙 스크류 조립체.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배출공(120)의 외측면은 상기 배출공 개폐부(260)의 일측면에 상응하는 곡선 형태인,
착즙 스크류 조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264)는 말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조절부(262)의 단면적은 상기 패킹부(264)의 단면적보다 큰,
착즙 스크류 조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조절부(262)에는 다수의 회동조절 돌출부(266)가 형성되며, 상기 펄프 배출관(140)의 내측면에는 배출관 걸림턱(144)이 형성되며,
상기 펄프 조절부(200)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회동조절 돌출부(266)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배출관 걸림턱(144)이 접촉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조절부(200)는,
상기 레버(240)를 기준으로 상기 배출공 개폐부(260)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회동부(220)에 돌출되어 형성된 구조체(2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버(240)가 상기 구조체(280) 쪽으로 회동하면 상기 구조체(280)의 말단과 상기 펄프 배출관(140)의 내측 하부면과의 간격이 좁혀지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배출관(140)은 상부가 개방된 홈 형태이며,
상기 레버(240)의 말단은 상기 펄프 배출관(140)의 높이보다 높게 상부로 돌출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배출관(140)의 양측면에는 홀(142)이 형성되며,
상기 펄프 조절부(200)는 상기 홀(142)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부(220)에 연결되는 결합부(290)를 더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배출관(140)의 외측면에는 상기 홀(14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배출관 돌출부(146)가 위치하며,
상기 배출관 돌출부(146)는 상기 결합부(290)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290)의 회동을 제어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 돌출부(146)는 상기 홀(142)의 둘레 중 일부만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90)의 내측에는 회동 걸림턱(292)이 위치하며, 상기 회동 걸림턱(292)은 상기 펄프 배출관(140)의 외측면 중 상기 배출관 돌출부(146)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서 회동 가능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3724A KR102291028B1 (ko) | 2014-08-11 | 2014-08-11 | 펄프 조절부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PCT/KR2015/006889 WO2016017949A1 (ko) | 2014-07-30 | 2015-07-03 | 펄프배출 조절장치를 구비한 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JP2017520850A JP6363295B2 (ja) | 2014-07-30 | 2015-07-03 | パルプ排出調節装置を備えたドラム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ジューサー |
EP15827591.7A EP3175743B1 (en) | 2014-07-30 | 2015-07-03 | Drum assembly having pulp discharge control device, and juicer including same |
TW104124523A TWI689259B (zh) | 2014-07-30 | 2015-07-29 | 具有漿料排出調整設備之鼓輪組件 |
CN201520565295.7U CN205053704U (zh) | 2014-07-30 | 2015-07-30 | 用于榨汁机的筒组件 |
CN201510459059.1A CN105310456B (zh) | 2014-07-30 | 2015-07-30 | 具有果肉排出调节装置的筒组件和包括筒组件的榨汁机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3724A KR102291028B1 (ko) | 2014-08-11 | 2014-08-11 | 펄프 조절부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9244A true KR20160019244A (ko) | 2016-02-19 |
KR102291028B1 KR102291028B1 (ko) | 2021-08-18 |
Family
ID=5544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3724A KR102291028B1 (ko) | 2014-07-30 | 2014-08-11 | 펄프 조절부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102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9538A (ko) * | 2016-07-19 | 2018-01-29 | 코웨이 주식회사 | 별도의 배출 조립체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CN109907638A (zh) * | 2019-04-18 | 2019-06-21 | 宁波格丽思电器有限公司 | 一种榨汁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0327A (ko) * | 2010-07-26 | 2012-02-03 | 김영기 |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
KR20120029640A (ko) * | 2010-09-17 | 2012-03-27 | 김영기 |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
KR101406467B1 (ko) * | 2013-02-01 | 2014-06-16 | 주식회사 동양매직 | 착즙기 |
-
2014
- 2014-08-11 KR KR1020140103724A patent/KR1022910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0327A (ko) * | 2010-07-26 | 2012-02-03 | 김영기 |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
KR20120029640A (ko) * | 2010-09-17 | 2012-03-27 | 김영기 |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
KR101406467B1 (ko) * | 2013-02-01 | 2014-06-16 | 주식회사 동양매직 | 착즙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9538A (ko) * | 2016-07-19 | 2018-01-29 | 코웨이 주식회사 | 별도의 배출 조립체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CN109907638A (zh) * | 2019-04-18 | 2019-06-21 | 宁波格丽思电器有限公司 | 一种榨汁机 |
CN109907638B (zh) * | 2019-04-18 | 2024-05-03 | 宁波格丽思电器有限公司 | 一种榨汁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1028B1 (ko) | 2021-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80949B2 (ja) | ジューサー用搾汁モジュール | |
GB2442562A (en) | Citrus press with arm operated safety switch | |
CA2885341A1 (en) | Improvements in food processor appliances | |
US10470485B2 (en) | Juice extraction devices with hollow juice extraction screw | |
KR200494286Y1 (ko) | 착즙기 | |
KR101858127B1 (ko) | 분리형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
KR102223429B1 (ko) |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 |
WO2016091182A1 (zh) | 一种螺杆挤压榨汁机 | |
KR20150022643A (ko) | 찌꺼기 배출 조절이 가능한 주서기 | |
KR20160019244A (ko) | 펄프 조절부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
KR20150051576A (ko) |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 |
KR20240118201A (ko) | 분리 스크류 및 분리 스크류를 사용한 착즙기 | |
KR20150066949A (ko) |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 |
KR20240138134A (ko) | 착즙 드럼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 |
KR20140001804A (ko) |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 |
RU2640268C1 (ru) | Насадка, препятствующая капанию,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 |
KR200476073Y1 (ko) | 좌우 클릭형 단 조작수단을 갖는 수도밸브 카트리지 | |
KR102413688B1 (ko) | 이중 메쉬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
KR102452432B1 (ko) |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
KR102369159B1 (ko) |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 |
KR102358627B1 (ko) | 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
JP6159882B2 (ja) | パルプ量調節可能なジューサー | |
KR102257333B1 (ko) | 회전가능한 일체형 구조를 가진 커버 | |
KR102407008B1 (ko) | 펄프 조절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 |
KR20150016812A (ko) | 상부 부착식 착즙 원통을 포함하는 주서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