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967A - 풍하중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한 리프팅 타입의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풍하중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한 리프팅 타입의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967A
KR20160018967A KR1020140102236A KR20140102236A KR20160018967A KR 20160018967 A KR20160018967 A KR 20160018967A KR 1020140102236 A KR1020140102236 A KR 1020140102236A KR 20140102236 A KR20140102236 A KR 20140102236A KR 20160018967 A KR20160018967 A KR 20160018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bar
wind
support member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마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마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마린테크
Priority to KR102014010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8967A/ko
Publication of KR20160018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하중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한 리프팅 타입의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태양전지판이 풍하중을 받게 되면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풍하중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설계하중을 최소화하고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면서 후면풍이 가해질 때 상기 후면풍의 풍하중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단부가 들리도록 허용하여 그 들려진 공간으로 후면풍이 지나가도록 유도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풍하중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한 리프팅 타입의 태양광 발전장치{LIFTING TYPE SOLAR POWER PLAN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태양전지판이 풍하중을 받게 되면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풍하중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설계하중을 최소화하고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리프팅 타입의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장치는 사용되는 에너지원에 따라 석유나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화력발전과, 태양광, 원자력, 수력, 조력, 풍력을 이용하는 발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발전장치 중 원자력을 이용하는 발전장치는 화력발전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방사능으로 인한 환경오염 및 인체의 유해성으로 인해 설치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전기를 생산한 후 발생하는 핵폐기물의 처리 문제 등으로 인해 시설 투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또한, 화력발전의 경우, 석탄,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발전용 연료는 전기의 발생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물질을 배출할 뿐만 아니라 연료의 비용이 크다. 더욱이, 최근에는 자원매장량이 감소 등으로 인해 유가가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발전비용이 증가하는 바 이를 대체할 수 있으며, 환경을 오염시키는 물질을 발생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억제하고자 하는 규제가 시행되고 있는바,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없는 새로운 발전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없으며, 청정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장치로는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장치가 대표적이며, 최근 들어 기술의 개발 및 설치비용이 저렴해지면서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수상에 설치되는 경우 태양전지판(12)과, 부력체의 도움을 받아 상기 태양전지판(12)을 수면 위에서 경사진 상태로 지지해주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의 경우 태양전지판을 지면에 간단히 지지하면 되는 육상의 태양광 발전장치와는 달리 파랑하중과 계류로부터 오는 하중을 고려해야 하는데 특히 저수지의 만수와 갈수시의 수심 차이에서 오는 계류 조건으로 인해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견고하게 구성되어야 하였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횡방향 수평프레임(11), 종방향 수평프레임(12), 제1경사프레임(13a), 제2경사프레임(13b)이 브래킷(14,15a,15b)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인 형태인데, 여기서 횡방향 수평프레임(11)이나 종방향 수평프레임(12)은 육상에서는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태양광 발전장치의 경우 프레임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소재의 양이 많아지면서 설치비용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비용적인 부담이 불가피하였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들어가는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만 하였다.
또한, 육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경우에도 수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보다는 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용이 많지는 않다 하더라도 태양전지판의 전면과 후면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같은 영향력을 감안하여 그 하부를 지지하는 구조물들의 설계에 반영하다보니 설치비용이 증가될 수밖에 없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998337호(2010.11.2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전지판이 풍하중을 받게 되면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풍하중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설계하중을 최소화하고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능동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면서 후면풍이 가해질 때 상기 후면풍의 풍하중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단부가 들리도록 허용하여 그 들려진 공간으로 후면풍이 지나가도록 유도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단부를 지지하면서 후면풍이 가해질 때 상기 후면풍의 풍하중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단부가 들리도록 허용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태양전지판을 상기 제1지지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서 지지하면서 전면풍이 가해질 때 태양전지판이 경사각을 낮추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하는 제2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에 힌지결합된 제1바아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제1바아가 눕혀져 있다가 후면풍이 가해지면 상기 제1바아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단부가 들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태양전지판에 힌지결합되는 제2바아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바아의 타단부를 진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태양전지판의 경사각을 높이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바아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바아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바아의 타단부를 진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재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제1바아가 눕혀져 있다가 후면풍이 가해지면 상기 제1바아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단부가 들리도록 허용하며, 전면풍이 가해지면 상기 제1바아가 후퇴하면서 상기 태양전지판 하단부의 후퇴를 허용하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태양전지판에 힌지결합되는 제2바아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2바아의 타단부를 진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태양전지판의 경사각을 높이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바아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수상에서 부력체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육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판이 풍하중을 받게 되면 에너지 소모 없이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경사각을 줄임으로써 풍하중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전체 설계하중을 최소화하여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장치의 사용수명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판의 하단부를 들어주는 구성에 의하여 특히 후면풍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판을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가 매우 간단한 스프링을 이용하는 간단한 구성의 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스쇼바와 같이 압축성 유체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초기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후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일련의 동작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일련의 동작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후면사시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판이 풍하중을 받게 되면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풍하중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자세, 즉 태양전지판의 경사각이 낮춰진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풍하중을 감안한 설계하중을 최소화하고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후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판(110), 베이스(120)와, 제1지지부재(130)와, 제2지지부재(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부재(130)와 제2지지부재(140)가 베이스(120)에 대하여 상기 태양전지판(110)을 발전효율이 가장 높은 최적화 경사각(통상 30~35도)으로 지지하되, 상기 태양전지판(110)의 전면 및 후면 어느 방향에서든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태양전지판(110)의 경사각이 낮아지도록 허용하다가 상기 태양전지판(110)에 가해지던 풍하중이 사라지면 상기 태양전지판(110)이 원래의 경사각으로 회복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주목할 점은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경우 후면풍이 가해질 때 후면풍의 풍하중에 의해 태양전지판(110)의 하단부가 들리도록 허용하여 그 들려진 공간으로 후면풍이 지나가도록 유도함으로써 후면풍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 하였다는 점이다.
아래에서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130)는 태양전지판(110)의 하단부를 지지하면서 주로 후면풍이 가해질 때 후면풍의 풍하중에 의해 태양전지판(110)의 하단부가 들리도록 허용하여 그 들려진 공간으로 후면풍이 지나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지지부재(130)는 일단부가 태양전지판(110)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120)에 힌지결합된 제1바아(131)를 구비한다. 이로써, 평상시에는 상기 제1바아(131)가 눕혀져 있다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후면풍이 가해지면 상기 제1바아(131)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태양전지판(110)의 하단부가 들려지게 된다. 여기서 제1바아(131)의 일단부는 태양전지판(110)의 후측면 하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하부 지지프레임(111)을 통하여 태양전지판(11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바아(131)의 타단부는 베이스(120)에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 지지대(121)에 대하여 회전(틸팅)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가이드부재(132)에 결합됨으로써 베이스(120)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힌지결합된 구성을 구현한다.
상기 제2지지부재(140)는 태양전지판(110)을 제1지지부재(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서 지지하면서 주로 전면풍이 가해질 때 태양전지판(110)이 경사각을 낮추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지지부재(140)는 일단부(141a)가 상기 태양전지판(110)에 힌지결합되는 제2바아(141)와, 상기 베이스(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바아(141)의 타단부(141b)를 관통시킨 상태로 진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재(142)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142) 내부에 설치되어 태양전지판(110)의 경사각을 높이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바아(141)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43)(압축스프링)을 구비한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제2부재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전면풍이 부는 경우에 제2가이드부재(142)가 태양전지판(110)의 경사각을 낮추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제2바아(141)가 제2가이드부재(142)를 따라 후퇴함으로써 태양전지판(110)의 경사각을 낮추어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면풍이 사라지면 상기 스프링(1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바아(141)가 제2가이드부재(142)를 따라 전진하여 원위치를 회복함에 따라 태양전지판(110)의 경사각은 원래대로 높여진다. 여기서 상기 제2바아(141)의 일단부(141a)는 태양전지판(110)의 후측면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상부 지지프레임(112)을 통하여 태양전지판(11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바아(131)의 타단부(141b)는 베이스(120)에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 지지대(122)에 대하여 회전(틸팅)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가이드부재(142)에 진퇴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베이스(120)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힌지결합된 구성을 구현한다. 또한, 상기 제2바아(141)에는 복수의 핀공(141c)이 구비된다. 이로써 태양전지판(110)의 적정 경사각을 고정적으로 유지하고 싶은 경우에 간단히 핀을 사용하여 상기 제2가이드부재(142)에 대해 제2바아(141)가 진퇴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참고로,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면풍이 부는 경우에는 제2지지부재(140)가 작용하고 후면풍이 부는 경우에는 제1지지부재(130)가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5와 도 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전면풍과 후면풍이 부는 각각의 경우에 주로 제2지지부재(140)와 제1지지부재(130)가 작용하기는 하지만 이 둘이 함께 협력작용을 함으로써 보아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판(110)이 전면풍이나 후면풍으로 인한 풍하중을 받게 되면 그에 맞게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풍하중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설계하중을 최소화하고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일련의 동작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지지부재(130)가 태양전지판(110) 하단부의 진퇴동작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반면, 제2지지부재(140)의 타단부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제1지지부재(130)는, 제1바아(131)와, 상기 베이스(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제1가이드부재(132)를 구비하는 구성은 변형 전과 다르지 않으나 상기 제1가이드부재(132)가 제1바아(131)의 타단부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진퇴 가능하도록 안내한다는 점에서 변형 전 구성과 차이가 있다. 또한, 제2지지부재(140)는 제2바아(141)와, 제2가이드부재(142)와, 스프링(143)을 구비하는 구성에서 변형 전과 다르지 않으나 상기 제2가이드부재(142)가 베이스(1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변형 전 구성과 차이가 있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동작을 도 8 및 도 9를 통해 살펴보면 전면풍과 후면풍에 대해 변형 전 구성과 대동소이한 움직임을 갖고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후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베이스(120)가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대신 콘트리트 기초, 혹은 이에 상응하는 중량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2변형실시예의 구성은 태양광 발전장치를 육상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변형 전 실시예에서 베이스(120)가 수상의 부력체 위에 설치하기 용이한 형태인 것과는 일부 차이가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단지 베이스(120)를 변형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장치를 육상이나 수상 어느 곳에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후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제1변형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태양광 발전장치를 육상에 설치하기 위한 형태이지만 베이스(120)를 프레임(120a)과 콘크리트 기초(120b) 등의 중량물로 구성함으로써 태양전지판(110)의 설치위치를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베이스를 포함한 일부 구성을 간단히 변경함으로써 설치환경에 최적화된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태양전지판 120 : 베이스
130 : 제1지지부재 131 : 제1바아
132 : 제1가이드부재 140 : 제2지지부재
141 : 제2바아 141c : 핀공
142 : 제2가이드부재 143 : 스프링

Claims (9)

  1.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전지판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면서 후면풍이 가해질 때 상기 후면풍의 풍하중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단부가 들리도록 허용하여 그 들려진 공간으로 후면풍이 지나가도록 유도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단부를 지지하면서 후면풍이 가해질 때 상기 후면풍의 풍하중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단부가 들리도록 허용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태양전지판을 상기 제1지지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서 지지하면서 전면풍이 가해질 때 태양전지판이 경사각을 낮추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하는 제2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에 힌지결합된 제1바아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제1바아가 눕혀져 있다가 후면풍이 가해지면 상기 제1바아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단부가 들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태양전지판에 힌지결합되는 제2바아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바아의 타단부를 진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태양전지판의 경사각을 높이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바아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아에는 복수의 핀공이 형성되어 핀을 사용하여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바아의 진퇴동작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바아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바아의 타단부를 진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재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제1바아가 눕혀져 있다가 후면풍이 가해지면 상기 제1바아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단부가 들리도록 허용하며, 전면풍이 가해지면 상기 제1바아가 후퇴하면서 상기 태양전지판 하단부의 후퇴를 허용하는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태양전지판에 힌지결합되는 제2바아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2바아의 타단부를 관통시킨 형태로 진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태양전지판의 경사각을 높이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바아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수상에서 부력체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육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140102236A 2014-08-08 2014-08-08 풍하중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한 리프팅 타입의 태양광 발전장치 KR20160018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36A KR20160018967A (ko) 2014-08-08 2014-08-08 풍하중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한 리프팅 타입의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36A KR20160018967A (ko) 2014-08-08 2014-08-08 풍하중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한 리프팅 타입의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967A true KR20160018967A (ko) 2016-02-18

Family

ID=5545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236A KR20160018967A (ko) 2014-08-08 2014-08-08 풍하중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한 리프팅 타입의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89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337B1 (ko) 2008-04-03 2010-12-03 공종현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337B1 (ko) 2008-04-03 2010-12-03 공종현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217B1 (ko) 풍하중에 의해 태양전지판의 경사각이 조절되는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20150058827A (ko) 풍하중에 의해 태양전지판의 경사각이 조절되는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92742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부력체유닛 계류장치
WO2017125071A1 (zh) 一种光伏支架
KR100760043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JP2010205762A (ja) 追尾型太陽光発電装置
JP2013194365A (ja) 杭基礎構造
KR20080015897A (ko) 대용량 태양광 에너지 집적 장치
CN105337565A (zh) 支架角度可调式水上漂浮发电装置
KR102193960B1 (ko) 가변형 태양광 패널 설치 구조
CN204947991U (zh) 一种可调整角度的光伏支架
KR20160018967A (ko) 풍하중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한 리프팅 타입의 태양광 발전장치
KR101556877B1 (ko) 고정가변형 태양광 패널의 각도 조절 장치
KR200462612Y1 (ko) 태양전지판 고정 프레임 지주 고정 구조
CN203911851U (zh) 自锁型倾角可调的光伏支架及光伏发电系统
CN103207623A (zh) 双轴跟踪光伏发电装置
KR101241451B1 (ko) Gps 수신기를 이용한 방향각 감시 기능을 갖는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CN102062282A (zh) 光伏组件支架
CN102638194A (zh) 一种太阳能三轴并联跟踪器
KR10149372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2195243B1 (ko) 가변형 태양광 모듈지지 수상태양광 발전장치
KR101531651B1 (ko) 풍하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한 다단 오픈 타입 태양광 발전장치
JP2016124402A (ja) 水上設置用太陽光発電装置
KR101136342B1 (ko) 회전 링크모듈 및 이를 갖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CN204836061U (zh) 免调平迷你太阳追踪支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