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651B1 - 풍하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한 다단 오픈 타입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풍하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한 다단 오픈 타입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651B1
KR101531651B1 KR1020140129436A KR20140129436A KR101531651B1 KR 101531651 B1 KR101531651 B1 KR 101531651B1 KR 1020140129436 A KR1020140129436 A KR 1020140129436A KR 20140129436 A KR20140129436 A KR 20140129436A KR 101531651 B1 KR101531651 B1 KR 101531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open
vibration
dead center
open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곤
Original Assignee
한국산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전(주) filed Critical 한국산전(주)
Priority to KR1020140129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하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한 다단 오픈 타입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강력한 풍하중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운용이 가능하고 구조적인 안정성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풍하중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의 태양전지판이 다행 다열로 배치되어 태양전지판 어레이를 이루고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판 어레이의 하측 1열에 배치된 태양전지판 중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고 후면풍으로 인해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가해지면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단부가 상측으로 들리면서 후면풍이 통과하도록 개방되는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과;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되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회전하도록 허용하고,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사라지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풍하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한 다단 오픈 타입 태양광 발전장치{MULTISTAGE OPEN TYPE SOLAR POWER PLAN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력한 풍하중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운용이 가능하고 구조적인 안정성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풍하중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다단 오픈 타입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장치는 사용되는 에너지원에 따라 석유나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화력발전과, 태양광, 원자력, 수력, 조력, 풍력을 이용하는 발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발전장치 중 원자력을 이용하는 발전장치는 화력발전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방사능으로 인한 환경오염 및 인체의 유해성으로 인해 설치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전기를 생산한 후 발생하는 핵폐기물의 처리 문제 등으로 인해 시설 투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또한, 화력발전의 경우, 석탄,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발전용 연료는 전기의 발생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물질을 배출할 뿐만 아니라 연료의 비용이 크다. 더욱이, 최근에는 자원매장량이 감소 등으로 인해 유가가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발전비용이 증가하는 바 이를 대체할 수 있으며, 환경을 오염시키는 물질을 발생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억제하고자 하는 규제가 시행되고 있는바,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없는 새로운 발전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없으며, 청정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장치로는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장치가 대표적이며, 최근 들어 기술의 개발 및 설치비용이 저렴해지면서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경우 통상 다수의 태양전지판이 군집화되어 하나의 커다란 평판 형태를 이루고 있는 관계로 태풍과 같이 강력한 바람이 부는 경우 풍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해마다 시설물 피해와 더불어 주변의 다른 시설이나 인사사고까지 유발하는 등의 2차 피해까지 빈번히 발생하였다.
따라서, 풍하중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정적인 시설의 개발과 함께 이들 시설에 대하여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관리체계의 개발이 절실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21510호(2013.03.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력한 풍하중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운용이 가능하고 구조적인 안정성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풍하중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다수의 태양전지판이 다행 다열로 배치되어 태양전지판 어레이를 이루고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판 어레이의 하측 1열에 배치된 태양전지판 중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고 후면풍으로 인해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가해지면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단부가 상측으로 들리면서 후면풍이 통과하도록 개방되는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과;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되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회전하도록 허용하고,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사라지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태양전지판 어레이의 하측 1열보다 상측 열에 배치된 태양전지판 중 일부는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단부가 들리면서 후면풍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 제공부재와; 상기 태양전지판 어레이를 지지하고 있는 포스트 프레임에 설치되어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진동센서에서 일정 이상의 진동수치를 측정하면 상기 구동력 제공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태양전지판 어레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종방향 프레임에 고정되고 선단부에 상사점과 하사점 및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둘레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프로파일을 갖는 고정캠과; 선단부에 상사점과 하사점 및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둘레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캠의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프로파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의 회전축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도록 구속된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의 후단부를 탄성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가해져서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이 회전할 때, 상기 고정캠 프로파일의 하사점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던 상기 회전캠 프로파일의 상사점이 상기 고정캠 프로파일의 하사점을 벗어나서 경사라인을 따라 상기 고정캠 프로파일의 상사점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캠이 후퇴하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점진적인 저항을 받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캠의 프로파일과 회전캠의 프로파일은 각각 상사점과 하사점이 180도 주기로 교번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의 회전시 그 회전각도에 비례하여 저항도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단부가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의 후면 또는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의 후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 또는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이 회전할 때 반력을 제공하여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완충용 쇼바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지면에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고감쇠고무를 소재로 하는 큐브형의 완충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완충용 쇼바는 일단부는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의 후면 하단부 또는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의 후면 하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완충블록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 또는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이 회전할 때 충격완화를 위한 반력을 제공하는 봉형의 쇼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력 제공부재는,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종방향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의 상단부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상부 진동센서와 하부 진동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상부 진동센서에서 측정한 진동수치를 근거로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을 회전시켜 개방할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하부 진동센서에서 측정한 진동수치는 포스트 프레임의 이탈 위험단계를 경고하는 근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하단부 플랜지는 복수의 앵커에 의해 지면에 돌출된 형태로 시공된 베이스블록에 고정되며, 상기 앵커는 꺾임동작이 가능하도록 서로 간에 링크 형태로 핀 결합된 복수의 몸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베이스블록을 관통한 후 지면에 대해서는 더 넓게 확장된 형태로 매립되어 상기 베이스블록 및 지면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 프레임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블록에 매립된 앵커의 상단부에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볼트 몸체에 관통되어진 상태로 상기 볼트의 헤드부 하부를 수용하여 감싸면서 상기 포스트 프레임을 통해 상기 볼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중간 차단하는 진동 차단부재가 더 설치되며, 상기 진동 차단부재는 진동감쇠를 위한 고감쇠고무를 소재로 하여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상기 볼트의 헤드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되, 그 수용부의 내주면은 그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삼각돌기들로 이루어져 상기 볼트 헤드부와의 접촉력을 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판이 후면풍에 의한 풍하중을 받게 되면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후면풍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으므로 태양전지판이나 포스트 프레임이 이탈되는 치명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이상의 풍하중에 의해 능동적으로 개방되는 태양전지판에 더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개방되는 태양전지판을 구비함으로써 후면풍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다 다양한 운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꺾임형 앵커에 의해 베이스블록보다도 더 넓게 확장된 상태로 매립되는 독창적인 구성에 의해 풍하중에 의해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포스트 프레임의 하단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후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과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의 개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후측 저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과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의 개방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탄성지지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탄성지지부재의 고정캠과 회전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탄성지지부재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꺾임형 앵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꺾임형 앵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꺾임형 앵커용 진동 차단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꺾임형 앵커의 시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강력한 태풍과 같이 강력한 바람이 불어 일정 이상의 풍하중을 받게 되면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풍하중에 대한 저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길목이라 할 수 있는 어레이의 하단부를 개방하여 바람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력한 바람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피해를 차단하는 한편, 풍하중을 감안한 설계하중까지도 최소화하여 궁극적으로 설치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후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과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의 개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후측 저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과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의 개방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판 어레이(110)와, 상기 태양전지판 어레이(110)를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120a,120b,120c)와, 탄성지지부재(130)와, 구동력 제공부재(140)와, 진동센서(S1,S2)와, 제어기(미도시됨)와, 완충용 쇼바(150)와, 꺾임형 앵커(162)를 구비한 앵커모듈(160)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태양전지판 어레이(110)에 고정형 태양전지판(110a)뿐만 아니라 후면에서 부는 바람에 의해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별도의 에너지원 없이 능동적으로 하단부가 들리면서 유로를 확보하여 바람이 빠져나가도록 유도하는 능동식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과,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의 개방으로도 부족한 경우 구동력을 제공받아 개방되면서 추가적으로 유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식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이 조합되어 있는 독특한 구성을 갖는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며, 강력한 풍하중이 후방에서 가해지는 경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과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이 도 6, 도 7과 같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면서 바람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유로를 확보하여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꺾임동작이 가능한 꺾임형 앵커(162)가 지면에 대해 더 깊고 더 넓게 확장된 형태로 매립되는 독창적인 구성에 의해 포스트 프레임(120c)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풍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취약부분인 포스트 프레임(120c)의 하단부 고정지점이 구조적으로 강화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라 태양전지판이 풍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프레임 어셈블리로부터 이탈하거나 포스트 프레임(120c)이 지면에서 뽑히면서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태양전지판 어레이(110)는 전술된 것처럼 고정형 태양전지판(110a)과 더불어,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과,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은 후면풍에 의해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스스로 능동적으로 개방되어 바람에 대한 저항을 일차적으로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은 태양전지판 어레이(110)의 하측 1열에 배치된 태양전지판 중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규칙적으로 거의 대부분 혹은 전부를 차지하면서 상단부 후면에 설치된 회전축(134)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탄성지지부재(130)에 의해 지지되면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부재(130)는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에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작용하면 상단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하였다가 풍하중이 사라지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같은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은 후면풍에 의해 일정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스스로 능동적으로 회전하여 개방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후면풍이 전방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태양전지판 어레이(110)의 최하단부에 유로를 형성하여 준다. 이처럼 태양전지판 어레이(110)의 최하단부에 유로가 형성되면 태양전지판 어레이(110) 후면에 작용하던 바람 전량이 그 유로를 통해 빠져나가면서 바람으로 인한 저항력도 줄어들게 된다.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은 상기 태양전지판 어레이(110)의 하측 1열보다 상측 열에 배치된 태양전지판 중 일부를 차지하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과는 달리 스스로 회전하여 개방되지 않고 구동력 제공부재(14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개방된다.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의 개방형태는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과 마찬가지로 상단부 후면에 설치된 회전축(14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단부가 들리면서 후면풍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 형태이다. 이같은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은 도 7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후방에서 작용하는 풍하중이 강하여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의 개방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에 추가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은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이 개방된 상태에서 진동센서(S1,S2)에 의해 측정된 진동수치가 일정 이상인 경우에 미도시된 제어기의 제어를 받는 구동력 제공부재(140)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개방되도록 상기 진동센서(S1,S2) 및 제어기와 연계하여 동작된다.
상기 탄성지지부재(130)는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되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회전을 허용하여 개방되도록 하고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사라지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래에서는 이같은 탄성지지부재(13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탄성지지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탄성지지부재의 고정캠과 회전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탄성지지부재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재(130)는 종방향 프레임(120b)에 대하여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그 회전하는 각도에 비례하여 점진적으로 저항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이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지지부재(130)는, 고정캠(131), 회전캠(132), 가이드봉(133) 및 압축스프링(1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캠(131)은 종방향 프레임(120b)에 고정되고 선단부에 상사점(131a)과 하사점(131d), 그 사이에 경사라인(131c)이 둘레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캠(131)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봉(133)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131d)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회전캠(132)은, 상기 고정캠(131)에 대응하여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캠(131)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력을 직선력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캠(132)은 선단부에 상사점(132a)과 하사점(132b), 그 사이에 경사라인(132c)이 둘레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캠(131)의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회전캠(132)은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에 진퇴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도록 구속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캠(132)은 가이드봉(133)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홀(132d)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봉(133)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딩 홈(133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 돌기(132e)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134)은 상기 회전캠(132)의 후단부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회전캠(132)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봉(133)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압축스프링(134)에 가이드봉(133)에 의해 관통된 상태가 되면 상기 압축스프링(134)이 크게 과도하게 변곡되어 옆쪽으로 돌출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133)은 상기 고정캠(131), 회전캠(132) 및 압축스프링(134)을 축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133)은 상기 고정캠(131)에 대하여는 서로 간섭하지 않고 아이들링 되지만, 상기 회전캠(132)에 대하여는 상기 슬라이딩 홈(133a)과 슬라이딩 돌기(132d) 간 결합으로 회전캠(132)의 상대적인 진퇴동작은 허용하나 상대적인 회전동작은 허용하지 않고 구속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봉(133)은 상기 회전캠(132)의 진퇴동작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참고로 언급되지 않은 도면부호 136은 상기 가이드봉(133)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의 회전축에 접합되는 가이드봉(133)의 고정부이다.
이같은 탄성지지부재(130)의 구성에 의하면 후방으로부터 바람이 불어와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에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작용하면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그 하단부가 전방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도 10에서 도 11의 형태로 변화되는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과 함께 그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캠(132) 및 가이드봉(133)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캠(132)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회전캠(132)의 상사점(132a)이 고정캠(131)의 하사점(131b)과 접촉된 상태에서 벗어나 고정캠(131)의 경사라인(131c)을 타고 상기 고정캠(131)의 상사점(131a)을 향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회전캠(132)이 자연스럽게 뒤로 밀려 후퇴하게 되는데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의 회전하는 각도가 커질수록 그 후퇴하는 정도도 커지며 상기 압축스프링(134)이 압축되는 정도도 커진다. 이로써, 상기 압축스프링(134)이 더 큰 탄성지지력을 갖고 상기 회전캠(132)이 후퇴하지 못하도록 강하게 저항하게 되며, 그 저항력은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이 전측 상방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이후, 풍하중이 사라지면 상기 압축스프링(134)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상기 회전캠(132) 및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탄성지지부재(130)는 고정캠(131)의 하사점에 요입된 트리거 홈(131f)이 형성되고, 회전캠(132)의 상사점에는 상기 트리거 홈(131f)에 대응하여 안착되도록 돌출된 트리거 돌기(132f)가 형성된다. 이로써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한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을 갖게 되어 약한 풍하중에 의해 자주 열리거나 불안정하게 흔들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 홈(131f)은 상기 고정캠(131)의 하사점에만 제한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프로파일 어느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트리거 돌기(132f)의 경우에도 상기 회전캠(132)의 상사점에만 형성되지 않고 프로파일 어느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력 제공부재(140)는 전술된 것처럼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력 제공부재(140)는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종방향 프레임(120b)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의 상단부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41)와, 상기 구동모터(141)와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41)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어 조립체(142)로 간단히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감속기어 조립체(142)의 출력축은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의 회전축(144)과 연결된다. 상기 구동력 제공부재(140)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를 받고 동작한다.
상기 진동센서는 포스트 프레임(120c)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상부 진동센서(S2)와 하부 진동센서(S1)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진동센서(S2)는 풍하중의 영향으로 태양전지판에 가해지는 진동수치를 주로 측정하는데 유용하며, 하부 진동센서(S1)는 포스트 프레임(120c)의 하단부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포스트 프레임(120c)의 이탈 위험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상부 진동센서(S2)에서 측정한 진동수치를 근거로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을 회전시켜 개방할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하부 진동센서(S1)에서 측정한 진동수치는 포스트 프레임(120c)의 이탈 위험단계를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태양전지판 어레이(110)로 이루어지는 설치영역을 다수의 감시영역으로 설정하여 모니터링하는데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완충용 쇼바(150)는 도 4,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과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을 각각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완충용 쇼바(150)는 일단부가 태양전지판에, 타단부는 지면에 설치된 완충블록(151)에 힌지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쇼바(150)는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 및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이 대하여 과도할 정도로 전방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 및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이 급격하게 회전하려는 경우 순간적으로 반력을 제공함으로써 급격한 회전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충격 및 파손에 대비할 수 있다. 상기 완충용 쇼바(150)는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과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110c)이 전방으로 열릴 때와, 열려 있다가 원 상태로 닫히는 모든 경우에 양방향으로 작용하면서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완충용 쇼바(150)는 지면에 고착되어 지지 받는 형태를 주로 염두하고 있으나, 완충용 쇼바(150)를 작은 것으로 구비하고 횡방향 프레임(120a)이나 종방향 프레임(120b)에 지지를 받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쇼바(150)의 타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완충블록(151)은 지면에 설치되고 고감쇠고무를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쇼바(15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상기 쇼바(150)를 통해 전달되는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110b)의 진동을 감쇠하게 된다.
상기 앵커모듈(160)은 포스트 프레임 하단에 접합되는 플랜지(161)와 꺾임형 앵커(162)와 볼트(163)와 진동형 차단부재(164)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꺾임형 앵커(162)는 상기 포스트 프레임(120c) 각각의 하단부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꺾임형 앵커(162)는 도 1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꺾임동작이 가능하여 베이스블록(175)의 너비보다 확장된 너비로 더 깊게 매립되는 독특한 구성을 갖는다. 아래에서는 이같은 꺾임형 앵커(162)의 독창적인 구성에 대해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꺾임형 앵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꺾임형 앵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꺾임형 앵커용 진동 차단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꺾임형 앵커(162)는 꺾임동작이 가능하도록 서로 간에 링크 형태로 핀 결합된 복수의 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꺾임형 앵커(162)는 볼트에 의해 포스트 프레임(120c) 하단의 플랜지에 체결되는 제1몸체(162a)와 상기 제1몸체(162a)의 하단부에 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제2몸체(162b)와, 상기 제2몸체(162b)의 하단부에 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제3몸체(162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앵커(162)는 몸체의 연결개수나 형태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 하게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앵커(162)는 원기둥이 아니라 사각기둥 형태를 갖는 다섯 개의 링크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이같은 꺾임형 앵커(162)의 구성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블록(175)을 관통한 후 지면에 대해서는 상기 베이스블록(175)보다도 더 넓게 확장된 형태로 매립되어 상기 베이스블록(175) 및 지면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포스트 프레임(120c)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풍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취약부분이라 할 수 있는 포스트 프레임(120c)의 하단부 고정지점이 구조적으로 대폭 강화된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판이 풍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프레임 어셈블리로부터 이탈하거나 포스트 프레임(120c)이 지면에서 뽑히면서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꺾임형 앵커(162)는 지면(통상 건물과 같은 하부구조물의 상부 바닥)에 마련되는 베드부에 시공될 때 간섭되는 철근(171,172)을 꺾임동작에 의해 간단히 회피할 수 있고,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에 더해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몸체(162b)는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간에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꺾어주고, 가장 하단에 위치한 제3몸체(162c)를 제2몸체(162b)와는 반대로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혀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꺾어주면 부반력 발생시 제3몸체(162c)가 콘크리트를 확실하게 잡아주면서 보다 강력하게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판이 풍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프레임 어셈블리로부터 이탈하거나 포스트 프레임(120c)이 지면에서 뽑히면서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꺾임형 앵커(162)는 지면(통상 건물과 같은 하부구조물의 상부 바닥)에 마련되는 베드부에 시공될 때 간섭되는 철근(171,172)을 꺾임동작에 의해 간단히 회피할 수 있고,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 프레임(120c) 하단부는 베이스블록(175)에 매립된 앵커(162)의 상단부에 볼트(163)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포스트 프레임(120c)을 통해 볼트(163)로 전달되는 진동을 중간 차단하기 위한 진동 차단부재(164)가 설치된다. 상기 진동 차단부재(164)는 진동을 감쇠하는데 효과적인 고감쇠 고무를 소재로 몸체(164a)가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163) 몸체에 관통되어진 상태로 상기 볼트(163)의 헤드부 하부를 수용하여 감싸는 수용부(164b)를 구비한다. 그리고 그 수용부(164b)의 내주면은 그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삼각돌기(164c)들로 이루어져 상기 볼트(163) 헤드부의 접촉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구성의 진동 차단부재는 포스트 프레임(120c)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으로 인해 볼트(163)가 풀어지는 문제와 지면에 대한 앵커(162)의 고착력을 약화시키는 문제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계속해서 상기 꺾임형 앵커(162)를 시공하기 위한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 도 1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꺾임형 앵커의 시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 참조도이다.
꺾임형 앵커(162)를 시공하기 위해서 먼저,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치핑단계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지면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꺾임형 앵커(162)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베드부(B2)에 대하여 그 내측면을 치핑(chipping)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이 작업을 통해 차후 타설되는 모르타르와 결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후, 전산볼트(172) 설치단계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포스트 프레임(120c) 하단에 접합된 플랜지(161)를 적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높이조절용 전산볼트(173) 복수개를 안정적으로 세워 설치한다. 단, 본 발명에서는 상기 꺾임형 앵커(162)가 자립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갖고 있으므로 반드시 전산볼트(172) 없이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상기 전산볼트(173) 위에 도 17과 같이 이미 볼트(163)에 의해 꺾임형 앵커(162))가 플랜지(161)에 이미 설치된 상태로 포스트 프레임(120c)을 올려놓아 위치시킨다. 이때 정밀측량을 실시하여 적정 위치를 잡아주고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 과정에서 이미 지면에 배근되어 있는 철근(171, 172) 중 앵커(162)와 간섭되는 철근이 있는 경우 제1몸체(162a)로부터 제2몸체(162b)와 제3몸체(162c)를 간단히 꺾어주는 방법으로 회피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후, 도 18과 같이 거푸집 가설단계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도 18과 같이 상기 베드부(B2) 주변에 거푸집(M1)을 가설하며 모르타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위 등은 실리콘 등으로 틈새를 차단한다.
이후, 도 19와 같이 모르타르 타설단계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거푸집(M1)으로 둘러싸인 베드부(B2) 영역에 모르타르(M2)를 타설한다.
이후, 모르타르 양생단계가 진행되며, 이 단계에서는 타설된 모르타르(M2)가 양생될 때까지 시간을 두고 기다리다가 모르타르(M2)의 양생이 완료되는 시점을 고려하여 거푸집(M1)을 철거하여 준다. 그러면 꺾임형 앵커(162)를 포함한 앵커모듈(160)의 시공 및 포스트 프레임(120c)에 대한 시공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태양전지판 어레이 110a : 고정형 태양전지판
110b :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 110c :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
120a : 횡방향 프레임 120b : 종방향 프레임
120c : 포스트 프레임 130 : 탄성지지부재
140 : 구동력 제공부재 150 : 쇼바
160 : 앵커모듈 162 : 꺾임형 앵커

Claims (10)

  1. 다수의 태양전지판이 다행 다열로 배치되어 태양전지판 어레이를 이루고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판 어레이의 하측 1열에 배치된 태양전지판 중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고 후면풍으로 인해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가해지면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단부가 상측으로 들리면서 후면풍이 통과하도록 개방되는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과;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되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회전하도록 허용하고,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사라지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태양전지판 어레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종방향 프레임에 고정되고 선단부에 상사점과 하사점 및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둘레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프로파일을 갖는 고정캠과; 선단부에 상사점과 하사점 및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둘레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캠의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프로파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의 회전축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도록 구속된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의 후단부를 탄성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일정 이상의 풍하중이 가해져서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이 회전할 때, 상기 고정캠 프로파일의 하사점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던 상기 회전캠 프로파일의 상사점이 상기 고정캠 프로파일의 하사점을 벗어나서 경사라인을 따라 상기 고정캠 프로파일의 상사점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캠이 후퇴하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점진적인 저항을 받도록 하며,
    상기 태양전지판 어레이를 지지하고 있는 포스트 프레임의 하단부 플랜지는 복수의 앵커에 의해 지면에 돌출된 형태로 시공된 베이스블록에 고정되며, 상기 앵커는 꺾임동작이 가능하도록 서로 간에 링크 형태로 핀 결합된 복수의 몸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베이스블록을 관통한 후 지면에 대해서는 더 넓게 확장된 형태로 매립되어 상기 베이스블록 및 지면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판 어레이의 하측 1열보다 상측 열에 배치된 태양전지판 중 일부는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단부가 들리면서 후면풍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 제공부재와;
    상기 태양전지판 어레이를 지지하고 있는 포스트 프레임에 설치되어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진동센서에서 일정 이상의 진동수치를 측정하면 상기 구동력 제공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의 프로파일과 회전캠의 프로파일은 각각 상사점과 하사점이 180도 주기로 교번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의 회전시 그 회전각도에 비례하여 저항도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의 후면 또는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의 후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 또는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이 회전할 때 반력을 제공하여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완충용 쇼바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지면에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고감쇠고무를 소재로 하는 큐브형의 완충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완충용 쇼바는 일단부는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의 후면 하단부 또는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의 후면 하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완충블록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개방형 태양전지판 또는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이 회전할 때 충격완화를 위한 반력을 제공하는 봉형의 쇼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제공부재는,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종방향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의 상단부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상부 진동센서와 하부 진동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상부 진동센서에서 측정한 진동수치를 근거로 상기 제2개방형 태양전지판을 회전시켜 개방할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하부 진동센서에서 측정한 진동수치는 포스트 프레임의 이탈 위험단계를 경고하는 근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프레임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블록에 매립된 앵커의 상단부에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볼트 몸체에 관통되어진 상태로 상기 볼트의 헤드부 하부를 수용하여 감싸면서 상기 포스트 프레임을 통해 상기 볼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중간 차단하는 진동 차단부재가 더 설치되며,
    상기 진동 차단부재는 진동감쇠를 위한 고감쇠고무를 소재로 하여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상기 볼트의 헤드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되, 그 수용부의 내주면은 그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삼각돌기들로 이루어져 상기 볼트 헤드부와의 접촉력을 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140129436A 2014-09-26 2014-09-26 풍하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한 다단 오픈 타입 태양광 발전장치 KR101531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436A KR101531651B1 (ko) 2014-09-26 2014-09-26 풍하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한 다단 오픈 타입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436A KR101531651B1 (ko) 2014-09-26 2014-09-26 풍하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한 다단 오픈 타입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651B1 true KR101531651B1 (ko) 2015-06-26

Family

ID=5351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436A KR101531651B1 (ko) 2014-09-26 2014-09-26 풍하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한 다단 오픈 타입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6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424A (ko) * 2019-02-18 2020-08-26 염기훈 각도조절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200100425A (ko) * 2019-02-18 2020-08-26 염기훈 이동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9318A (ja) * 2009-03-17 2010-09-30 Masanori Kobayashi 折畳み可能な太陽追従太陽電池
JP2013157504A (ja) * 2012-01-31 2013-08-15 Taisei Corp 太陽光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9318A (ja) * 2009-03-17 2010-09-30 Masanori Kobayashi 折畳み可能な太陽追従太陽電池
JP2013157504A (ja) * 2012-01-31 2013-08-15 Taisei Corp 太陽光発電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424A (ko) * 2019-02-18 2020-08-26 염기훈 각도조절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200100425A (ko) * 2019-02-18 2020-08-26 염기훈 이동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188442B1 (ko) * 2019-02-18 2020-12-08 염기훈 각도조절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228981B1 (ko) * 2019-02-18 2021-03-17 염기훈 이동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98253B (zh) 建筑物结构保护系统
KR101420981B1 (ko) 링크형 풍력발전기의 내진장치
KR101426204B1 (ko) 볼조인트를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내진장치
KR101530968B1 (ko) 태양광 발전장치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15560B1 (ko) 태양광 발전 기능이 구비된 방음벽
JP5365937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取付装置
KR101531651B1 (ko) 풍하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한 다단 오픈 타입 태양광 발전장치
CN105756214A (zh) 预制装配式悬臂框架水平、竖向多维隔震耗能系统
CN102912723B (zh) 具有限位功能的环形粘弹性阻尼装置
CN113653076B (zh) 一种带有阻尼颗粒的装配式智能框架节点及施工方法
CN110512761A (zh) 一种粘滞摩擦复合阻尼墙
JP2005330675A (ja) 塔状構造物
CN105297616A (zh) 一种震损可原位快速修复的箱形钢桥墩
CN112695611A (zh) 一种震后易替换的桥梁延性抗震结构
CN208890103U (zh) 等离子阻雷装置
KR102115993B1 (ko) 풍력저감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CN203129677U (zh) 一种减震房屋
CN203545527U (zh) 塔机及其转换基座
KR102353950B1 (ko) 태양광 발전설비의 내진 구조물
CN109301700A (zh) 等离子阻雷装置
KR101716662B1 (ko) 프레임리스 태양광 모듈 및 이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
CN211286882U (zh) 一种耗能减震阻尼器
JP2014163140A (ja) 太陽光発電パネル用架台
JP2009197398A (ja) 制震構造物
CN103508332A (zh) 塔机及其转换基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