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176A - 척추 보호용 의자 - Google Patents

척추 보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176A
KR20160018176A KR1020140102385A KR20140102385A KR20160018176A KR 20160018176 A KR20160018176 A KR 20160018176A KR 1020140102385 A KR1020140102385 A KR 1020140102385A KR 20140102385 A KR20140102385 A KR 20140102385A KR 20160018176 A KR20160018176 A KR 20160018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ist
waist support
sea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계훈
Original Assignee
장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계훈 filed Critical 장계훈
Priority to KR1020140102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8176A/ko
Publication of KR20160018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47C9/005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with forwardly inclined seat, e.g. with a knee-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7High stools, e.g. bar stool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보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된 좌판을 구비하는 시트부(120); 상기 시트부의 아래에서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다리부(110); 및 착석자의 허리를 받치는 허리 받침부(140)를 구비하는 상체 받침(130)을 포함하며, 상기 허리 받침부(140)는 상기 시트부와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141)과, 상기 연결 프레임(141)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허리 지지 프레임(142)과, 상기 연결 프레임(141)에 대한 상기 허리 지지 프레임(142)의 높이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143)과, 상기 허리 지지 프레임(142)에 결합되어서 착석자의 허리와 접하는 허리 받침부재(14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척추 보호용 의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척추 보호용 의자 {CHAIR FOR PROTECTING VERTEBRAL COLUMN}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척추 보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무용 의자에서는 일반적으로 휴식을 취할 때 엉덩이를 앞 쪽으로 빼고 등판에 기대는 자세를 취하게 되는데, 이는 척추 후만의 원인이 되는 가장 해로운 자세이다. 학생, 운전, 사무직 등 직업 상 의자에 오래 앉아 있는 경우 척추가 후만되어 천장관절에 상습적이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 허리, 옆구리, 등 부분의 근육이 경직되어 집중력이 저하되고 어깨 부위의 근육이 경직되며, 두통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신체를 주기적으로 움직여서 근육을 풀어줄 필요가 있다. 종래의 의자는 바닥 시트 하부에서 등판이 통째로 움직이는 구성이므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운동이 쉽지 않고 요추 부분에서 회전이 되지 않아 운동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또한, 엉덩이 부분과 고관절을 중심으로 등받이 전체가 움직이기 때문에 자세가 불안정하여 근육의 긴장이 잘 풀리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의자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석자의 척추를 보호하기 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된 좌판을 구비하는 시트부(120); 상기 시트부의 아래에서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다리부(110); 및 착석자의 허리를 받치는 허리 받침부(140)를 구비하는 상체 받침(130)을 포함하며, 상기 허리 받침부(140)는 상기 시트부와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141)과, 상기 연결 프레임(141)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허리 지지 프레임(142)과, 상기 연결 프레임(141)에 대한 상기 허리 지지 프레임(142)의 높이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143)과, 상기 허리 지지 프레임(142)에 결합되어서 착석자의 허리와 접하는 허리 받침부재(14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척추 보호용 의자가 제공된다.
상기 높이 조절 수단(143)은 상기 허리 지지 프레임(142)에 형성되는 래크 기어(143a)와, 상기 래크 기어와 상호작용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1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14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척추 보호용 의자는 상기 허리 받침부의 위에 위치하여 착석자의 등을 받치는 등 받침부(150)와, 상기 허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를 연결하는 등 받침 연결구조(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 받침 연결구조는, 상기 허리 받침부에 대하여 상기 등 받침부가 후방 및 폭방향 양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허리 받침부에 상기 등받침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 결합부(171)와, 상기 허리 받침부에 대해 상기 등 받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180)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허리 받침부에 고정되는 제1 결합부재(181)와, 상기 등 받침부에 고정되는 제2 결합부재(185)와,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를 결합하는 2개의 탄성 연결 수단(180a)을 구비하며, 상기 두 탄성 연결 수단은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는 판상의 제1 결합부(184)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위에 겹쳐서 위치하는 제2 결합부(186)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 연결 수단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서로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83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척추 보호용 의자는 상기 시트부에 상기 허리 받침부를 결합시키는 상체 받침 연결구조(1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체 받침 연결구조는, 상기 시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허리 받침부에 고정되는 회전 연결 부재(191)와, 상기 허리 받침부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전 연결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제공부(194)와, 상기 시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 연결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96)과, 상기 고정 부재의 회전 위치를 전환시키는 전환 부재(198)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 연결 부재는 외주에 기어(192a)가 형성된 기어부(19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는 고정 기어부(196a)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기어(192a)와 상기 고정 기어부(196a)의 결합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에는 걸림 홈(196b)이 마련되고, 상기 전환 부재(198)는 상기 걸림 홈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 돌기(198a)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허리부분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체를 요추를 중심으로 상체를 전후좌우 및 비트는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직접 요추, 늑골, 견갑 및 복부 부위의 근육을 자극함으로써 굳어 있는 상체를 효과적으로 풀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보호용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척추 보호용 의자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허리 받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3의 허리 받침부의 내부 결합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등 받침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회전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탄성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 연결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2 연결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와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경사 조절 구조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11은 고정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풀림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보호용 의자를 구성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보호용 의자의 측면도와 배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보호용 의자(100)는 다리부(110)와, 다리부(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시트부(120)와, 시트부(120)의 후방에 결합되어서 위로 연장되는 상체 받침(130)과, 시트부(120)와 상체 받침(130)을 연결하는 상체 받침 연결구조(19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착석자를 기준으로 착석자의 상하방향을 의자(100)의 높이방향으로, 착석자의 전후방향을 의자(100)의 길이방향으로, 착석자의 좌우방향을 의자(100)의 폭방향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방향 정의는 특허청구범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리부(110)는 다리 몸체(111)와, 이동 휠(113)과, 지지 기둥(115)를 구비한다. 다리 몸체(111)는 중심부로부터 방사상 형태로 바깥으로 연장된 다수의 개별 다리(112)를 구비한다. 이동 휠(113)은 다수의 개별 다리(112) 각각의 반경방향 끝단부에 설치되어서, 의자(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지지 기둥(115)은 다리 몸체(111)의 중심부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서 위로 연장된다. 지지 기둥(115)은 다리 몸체(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 기둥(115)는 통상의 사무용 의자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서, 시트부(1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시트부(120)는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도록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며, 다리부(110)의 지지 기둥(115)의 상단에 결합된다. 시트부(120)는 시트 지지 프레임(121)과, 시트 지지 프레임(121)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판(128)과, 시트 지지 프레임(121)에 고정되어서 폭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두 팔걸이부(129)를 구비한다. 시트부(120)는 지지 기둥(115)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며, 지지 기둥(115)의 길이 조절 기능에 의해 그 높이가 조절된다. 시트 지지 프레임(121)은 지지 기둥(115)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시트 지지 프레임(121)에는 상체 받침 연결구조(190)가 설치된다. 좌판(122)은 지지 프레임(121)의 상부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좌판(122)의 상면에는 착석자의 궁둥이 부분이 접하게 된다. 두 팔걸이부(129)는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시트 지지 프레임(121)에 고정된다.
상체 받침(130)는 허리 받침부(140)와, 등 받침부(150)와, 목 받침부(160)와, 등 받침 연결구조(170)를 구비한다. 상체 받침(130)은 상체 받침 연결구조(190)에 의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조절이 가능하게 시트부(120)에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허리 받침부(140)는 연결 프레임(141)과, 허리 지지 프레임(142)과, 높이 조절 수단(143)과, 높이 고정 수단(147)과, 이동 제한 수단(148)과, 허리 받침부재(149)를 구비한다.
연결 프레임(141)은 2개의 연결 막대(141a)와, 두 연결 막대(141a)를 연결하는 지지 막대(141b)를 구비한다. 연결 프레임(141)은 상체 받침 연결구조(190)에 의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조절이 가능하게 시트 지지 프레임(121)에 결합된다.
두 연결 막대(141a)는 폭방향으로 이격되어서 병렬로 배치되는데, 두 연결 막대(141a)의 구성은 동일하다. 두 연결 막대(141a)는 대체로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41c)와, 제1 연장부(141c)의 하단으로부터 대체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141d)를 구비한다. 제1 연장부(141c)는 중공형으로서, 제1 연장부(141c)의 상단은 개방된다. 제2 연장부(141d)의 전방부는 상체 받침 연결구조(190)에 결합된다.
지지 막대(141b)는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그 연장 방향 양 끝단 각각이 두 연결 막대(141a) 각각의 제1 연장부(141c)에 고정된다.
허리 지지 프레임(142)은 지지부(142a)와, 지지부(142a)로부터 대체로 높이방향을 따라서 아래로 연장된 두 삽입 기둥(142b)을 구비한다. 지지부(142a)의 전방에는 허리 받침부재(149)가 결합된다. 두 삽입 기둥(142b) 각각은 지지부(142a)의 하부로부터 높이방향 아래로 연장된다. 두 삽입 기둥(142b)은 폭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위치하며, 각각이 연결 프레임(141)의 제1 연장부(141c)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제1 연장부(141c)로 출몰이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 연장부(141c)에 대한 삽입 기둥(142b)의 삽입 깊이는 높이 조절 수단(143)에 의해 조절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 수단(143)은 허리 받침부재(149)의 높이를 조절한다. 높이 조절 수단(143)은 허리 지지 프레임(142)의 두 삽입 기둥(142b) 각각에 형성된 두 래크 기어(143a)와, 두 래크 기어(143a)와 각각 상호작용하고 연결 프레임(141)의 제1 연장부(141c)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두 피니언 기어(143b)와, 두 피니언 기어(143b)을 연결하는 회전 샤프트(143c)와, 회전 샤프트(143c)의 일 단부에 고정된 손잡이부(143d)를 구비한다. 착석자는 손잡이부(143d)를 이용하여 래크 기어(143a)와 상호작용하는 두 피니언 기어(143b)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니언 기어(143b)의 회전에 삽입 기둥(142b)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두 삽입 기둥(142b)의 제1 연장부(141c)에 대한 삽입 깊이가 조절된다.
높이 고정 수단(147)은 허리 받침부재(149)의 높이방향 위치를 고정시킨다. 높이 조절 수단(147)은 허리 지지 프레임(142)의 두 삽입 기둥(142b) 중 하나의 측면에 삽입 기둥(142b)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는 다수의 걸림 홈(147a)과, 연결 프레임(141)의 제1 연장부(141c)에 결합되는 걸림 나사(147b)를 구비한다. 걸림 나사(147b)의 끝단이 다수의 걸림 홈(147a) 중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연결 프레임(141)에 대한 허리 지지 프레임(142)의 높이방향 위치가 고정된다.
이동 제한 수단(148)은 연결 프레임(141)에 대한 허리 지지 프레임(14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이동 제한 수단(148)은 두 삽입 기둥(142b) 중 하나의 측면에 삽입 기둥(142b)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연장 홈(148a)과, 연결 프레임(141)에 고정되고 연장 홈(148a)에 삽입되는 돌기부(148b)를 구비한다. 돌기부(148b)가 연장 홈(148a)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장 홈(148a)의 양 끝단에 걸리면 연결 프레임(141)에 대한 허리 지지 프레임(142)의 이동이 제한된다.
허리 받침부재(149)는 허리 지지 프레임(142)의 지지부(142a)의 전방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허리 받침부재(149)의 전면에 착석자의 허리 부분이 접하게 된다. 허리 받침부재(149)의 전면은 폭방향을 따라서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높이방향을 따라서는 끝단이 30mm 정도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서, 착석자의 허리와 요추를 후방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등 받침부(150)는 허리 받침부(140)의 위에 착석자의 등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등 받침부(150)는 등 지지 프레임(151)과, 등 받침부재(159)를 구비한다. 등 받침부(150)는 착석자의 등을 후방에서 지지하며, 허리 받침부(140)에 대하여 후방 및 폭방향 양쪽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등 받침 연결구조(170)에 의해 허리 받침부(140)에 결합된다. 등 지지 프레임(151)은 폭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위치하고 대체로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두 삽입관(152)을 구비한다. 두 삽입관(152)에 형성된 삽입 통로에 목 받침부(160)가 삽입되어서 결합된다. 등 받침 부재(159)는 등 지지 프레임(151)의 전방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등 받침부재(159)의 전면에 착석자의 등 부분이 접하게 된다.
목 받침부(160)는 목 받침부재(161)와, 목 받침 연결부(162)를 구비한다. 목 받침 부재(161)는 착석자의 목 부분에 대응하도록 등 받침부재(159)의 위에 위치한다. 목 받침 부재(161)의 전면에 착석자의 목 부분이 접하게 된다. 목 받침 연결부(162)는 목 받침부재(161)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두 연결 막대(163)를 구비한다. 두 연결 막대(163)는 등 지지 프레임(151)의 두 삽입관(152)에 각각 삽입된다. 삽입관(152)에 대한 연결 막대(163)의 삽입 깊이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조절되어서 목 받침부재(161)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등 받침 연결구조(170)는 허리 받침부(140)에 대하여 등 받침부(150)가 후방 및 폭방향 양쪽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등 받침부(150)를 허리 받침부(140)에 결합시킨다. 등 받침 연결구조(170)는 회전 결합부(171)와, 탄성 지지부(180)를 구비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회전 결합부(171)는 결합몸체(172)와, 하부 결합부재(173)와, 상부 결합부재(177)를 구비한다. 회전 결합부(171)는 허리 지지 프레임(142)과 등 지지 프레임(151)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킨다.
결합몸체(172)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하부 결합부재(173)는 결합몸체(172)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방향 회전축선(Y)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하부 결합부재(173)는 허리 지지 프레임(142)의 상단에 고정된다. 결합몸체(172)가 하부 결합부재(173)에 대하여 전후방향 회전축선(Y)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등 받침부(150)가 허리 받침부(140)에 대해 폭방향 양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부 결합부재(177)는 결합 몸체(172)와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폭방향 회전축선(Z)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부 결합부재(177)는 등 지지 프레임(151)의 하단에 고정된다. 상부 결합부재(177)가 결합몸체(172)에 대하여 폭방향 회전축선(Z)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등 받침부(150)가 허리 받침부(140)에 대해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 결합부재(173)가 허리 지지 프레임(142)에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높이방향 회전축선(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부 결합부재(177)가 등 지지 프레임(151)에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높이방향 회전축선(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에 따라, 등 받침부(150)가 허리 받침부(140)에 대해 비트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6과 도 8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180)는 제1 결합부재(181)와, 제2 결합부재(185)와, 2개의 탄성 연결 수단(180a)를 구비한다. 탄성 지지부(180)는 허리 지지 프레임(142)에 대해 등 지지 프레임(151)을 탄성 지지한다.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재(181)는 허리 지지 프레임(142)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182)와, 고정부(182)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위로 연장되는 지지판부(183)와, 지지판부(183)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184)를 구비한다. 고정부(182)의 편평한 판상으로서 허리 지지 프레임(142)의 상단에 고정된다. 지지판부(183)는 편평한 판상으로서 고정부(182)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가면서 위로 연장된다. 결합부(184)는 편평한 판상으로서 지지판부(183)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결합부(184)에는 폭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2개의 제1 관통 구멍(184a)이 마련된다.
도 6,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결합부재(185)는 결합부(186)와, 결합부(186)의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2개의 연결부(187)와, 두 연결부(187)의 상단에 형성되어서 등 지지 프레임(151)에 고정되는 고정부(188)를 구비한다. 결합부(186)는 편평한 판상으로서 제1 결합부재(181)의 결합부(184)의 아래에 겹쳐져서 위치한다. 결합부(186)에는 폭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2개의 제2 관통 구멍(186a)이 마련된다. 두 제2 관통 구멍(186a)은 제1 결합부재(181)에 형성된 두 제1 관통 구멍(184a)과 각각 대응하여 위치한다. 제2 관통 구멍(186a)은 제1 관통 구멍(184a)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이는 허리 받침부(140)에 대한 등 받침부(15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결합부(186)의 폭방향 양단은 제1 결합부재(181)의 결합부(184)의 바깥으로 더 확장된다. 두 연결부(187)는 결합부(186)의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상부 전방으로 호 형상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된다. 고정부(188)는 두 연결부(187)의 끝단으로부터 폭방향 바깥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며, 등 지지 프레임(151)에 고정된다.
2개의 탄성 연결 수단(180a)은 폭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위치하고, 겹쳐진 제1 결합부재(181)의 결합부(184)와 제2 결합부재(185)의 결합부(186)를 결합시킨다. 탄성 연결 수단(180a)은 결합 볼트(181a)와, 결합 너트(182a)와, 탄성부재(183a)와 와셔 부재(185a)를 구비한다.
결합 볼트(181a)는 동일 위치의 제1 관통구멍(184a)과 제2 관통구멍(186a)에 끼워진다. 결합 너트(182a)는 결합 볼트(181a)에 결합된다. 탄성부재(183a)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결합 볼트(181a)에 삽입된다. 탄성부재(183a)는 제1 결합부재(181)의 결합부(184)와 제2 결합부재(185)의 결합부(186)가 서로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와셔 부재(185a)는 결합 볼트(181a)에 삽입되어서 탄성부재(183a)의 일단과 접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체 받침 연결구조(190)는 상체 받침부(120)를 시트 지지 프레임(121)에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체 받침 연결구조(190)는 2개가 시트 지지 프레임(121)의 후방 하부 폭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한다. 두 상체 받침 연결구조(190)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체 받침 연결구조(190)는 회전 연결 부재(191)와, 탄성 제공부(194)와, 고정 부재(196)와, 전환 부재(198)를 구비한다.
회전 연결 부재(191)는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선(도 2의 B)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시트 지지 프레임(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연결 부재(191)는 전방 하부의 외주에 기어(192a)가 형성된 기어부(192)와, 기어부(19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서 허리 받침 지지 프레임(141)과 결합되는 결합부(193)와, 결합부(193)에 형성된 판상의 지지판부(193a)를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판부(193a)에는 볼트 구멍이 마련된다.
탄성 제공부(194)는 볼트 결합판(194a)과, 결합 볼트(195a)와, 결합 너트(195b)와, 탄성부재(195c)와, 와셔 부재(195d)를 구비한다. 볼트 결합판(194a)은 시트 지지 프레임(121)에 고정되고 회전 연결 부재(191)의 지지판부(193a) 위에 겹쳐지게 위치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볼트 결합판(194a)에는 결합 볼트(195a)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된다. 결합 볼트(195a)는 볼트 결합판(194a)과 지지판부(193a) 각각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다. 결합 볼트(195a)의 머리부는 볼트 결합판(194a)의 상부에 위치한다. 결합 볼트(195a)는 머리부로부터 하부 후방으로 연장된다. 결합 너트(195b)는 결합 볼트(195a)에 결합된다. 탄성부재(195c)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결합 볼트(195a)에 삽입된다. 탄성부재(195c)는 지지판부(193a)와 볼트 결합판(194a)이 서로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와셔 부재(195d)는 결합 볼트(195a)에 삽입되어서 탄성부재(195c)의 일단과 접한다.
고정 부재(196)는 시트 지지 프레임(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연결 부재(191)를 고정시킨다. 고정 부재(196)는 회전 연결 부재(191)에 형성된 기어(192a)와 결합되는 고정 기어(196a)와, 고정 기어(196a)의 반대편에 형성된 걸림 홈(196b)을 구비한다. 고정 기어(196a)가 회전 연결 부재(191)의 기어(192a)에 결합되었을 때, 회전 연결 부재(191)는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고정 기어(196a)가 회전 연결 부재(191)의 기어(192a)와 분리되었을 때에는 회전 연결 부재(191)는 회전 가능하게 된다. 고정 부재(196)는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고정 기어(196a)가 회전 연결 부재(191)의 기어(192a)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환 부재(198)는 시트 지지 프레임(1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전환 부재(198)는 고정 부재(196)의 걸림 홈(196b)에 걸리는 걸림 돌기(198a)를 구비한다. 걸림 돌기(198a)의 위치는 전환 부재(198)의 회전 위치에 따라 바뀌며, 걸림 돌기(198a)가 걸림 홈(196b)에 걸린 상태에서는 고정 기어(196a)가 회전 연결 부재(191)의 기어(192a)와 결합되고, 걸림 돌기(198a)가 걸림 홈(196b)으로부터 빠진 상태(도 12의 상태)에서는 고정 기어(196a)가 회전 연결 부재(191)의 기어(192a)와 분리된다. 전환 부재(198)의 회전 위치는 조절 손잡이(199)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두 상체 받침 연결구조(190)의 각 전환 부재(198)는 샤프트에 의해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절 손잡이(199)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토션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상기 실시예의 척추 보호용 의자를 작용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 받침(130)이 똑바로 위로 세워진 상태에서 착석자는 허리부분을 허리 받침부(140)에 밀착시키고 등 부분을 등 받침부(15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체 운동을 통해 등 받침부(150)를 허리 받침부(140)에 대하여 뒤로 젖히거나, 좌우로 기울이고 비트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엉덩이와 허리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체를 전후좌우 방향 및 비트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체 받침 연결 구조(190)를 이용하여 상체 받침(130)을 뒤로 젖히고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2에는 상체 받침(130)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의 상태에서 착석자는 상체 받침(130)을 뒤로 기울여서 적절한 각도를 유지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척추 보호용 의자 110 : 다리부
120 : 시트부 130 : 상체 받침
140 : 허리 받침부 150 : 등 받침부
160 : 목 받침부 170 : 등 받침 연결구조
190 : 상체 받침 연결구조

Claims (6)

  1.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된 좌판을 구비하는 시트부(120);
    상기 시트부의 아래에서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다리부(110); 및
    착석자의 허리를 받치는 허리 받침부(140)를 구비하는 상체 받침(130)을 포함하며,
    상기 허리 받침부(140)는 상기 시트부와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141)과, 상기 연결 프레임(141)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허리 지지 프레임(142)과, 상기 연결 프레임(141)에 대한 상기 허리 지지 프레임(142)의 높이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143)과, 상기 허리 지지 프레임(142)에 결합되어서 착석자의 허리와 접하는 허리 받침부재(14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척추 보호용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수단(143)은 상기 허리 지지 프레임(142)에 형성되는 래크 기어(143a)와, 상기 래크 기어와 상호작용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1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143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보호용 의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리 받침부의 위에 위치하여 착석자의 등을 받치는 등 받침부(150)와, 상기 허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를 연결하는 등 받침 연결구조(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 받침 연결구조는, 상기 허리 받침부에 대하여 상기 등 받침부가 후방 및 폭방향 양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허리 받침부에 상기 등받침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 결합부(171)와, 상기 허리 받침부에 대해 상기 등 받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180)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허리 받침부에 고정되는 제1 결합부재(181)와, 상기 등 받침부에 고정되는 제2 결합부재(185)와,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를 결합하는 2개의 탄성 연결 수단(180a)을 구비하며, 상기 두 탄성 연결 수단은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보호용 의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판상의 제1 결합부(184)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위에 겹쳐서 위치하는 제2 결합부(186)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 연결 수단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서로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83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보호용 의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 상기 허리 받침부를 결합시키는 상체 받침 연결구조(1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체 받침 연결구조는, 상기 시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허리 받침부에 고정되는 회전 연결 부재(191)와, 상기 허리 받침부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전 연결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제공부(194)와, 상기 시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 연결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96)과, 상기 고정 부재의 회전 위치를 전환시키는 전환 부재(198)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 연결 부재는 외주에 기어(192a)가 형성된 기어부(19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는 고정 기어부(196a)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기어(192a)와 상기 고정 기어부(196a)의 결합 상태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보호용 의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는 걸림 홈(196b)이 마련되고, 상기 전환 부재(198)는 상기 걸림 홈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 돌기(198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보호용 의자.
KR1020140102385A 2014-08-08 2014-08-08 척추 보호용 의자 KR20160018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385A KR20160018176A (ko) 2014-08-08 2014-08-08 척추 보호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385A KR20160018176A (ko) 2014-08-08 2014-08-08 척추 보호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76A true KR20160018176A (ko) 2016-02-17

Family

ID=5545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385A KR20160018176A (ko) 2014-08-08 2014-08-08 척추 보호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81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247B1 (ko) * 2016-02-19 2016-07-29 박진한 척추견인기
CN112389292A (zh) * 2020-11-25 2021-02-23 重庆延锋安道拓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座椅腰托及带该腰托的汽车座椅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247B1 (ko) * 2016-02-19 2016-07-29 박진한 척추견인기
CN112389292A (zh) * 2020-11-25 2021-02-23 重庆延锋安道拓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座椅腰托及带该腰托的汽车座椅
CN112389292B (zh) * 2020-11-25 2023-11-03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座椅腰托及带该腰托的汽车座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4093B2 (en) Chair riser assembly
JP2003153761A (ja) 椅 子
US10842272B2 (en) Office chair with synchronously movable backrest and seat
US9867472B2 (en) Active dynamic chair
KR20160018176A (ko) 척추 보호용 의자
KR101967182B1 (ko) 접이식 의자
KR20160141519A (ko) 척추 보호용 의자
KR20160112475A (ko) 골반 운동 및 앉은 허리자세 교정용 의자
KR101589829B1 (ko) 소형 접이식 의자
KR100428434B1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KR101785175B1 (ko) 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의자
US9888777B2 (en) Foldable bench
NZ529154A (en) Recline mechanism for seating furniture
BR112020007689A2 (pt) módulo de assento para uso em móveis para sentar, e, mecanismo de inclinação.
KR101465039B1 (ko) 대칭적으로 조절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KR101071058B1 (ko) 의자의 접철식 서포터 장치
JP5877880B2 (ja) 椅子
KR101345673B1 (ko) 척주 보호용 의자
KR200430620Y1 (ko)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 구조
KR101635091B1 (ko) 의자의 등받이 구조
KR101196317B1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KR101704640B1 (ko) 의자
KR20100079718A (ko) 높이조절 가능한 탈착식 발판이 구비된 의자
KR20160099134A (ko) 의자용 틸팅장치
KR101704544B1 (ko) 절첩 및 조립식 낚시대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