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114A - 등산용 아이젠 - Google Patents

등산용 아이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114A
KR20160018114A KR1020140102232A KR20140102232A KR20160018114A KR 20160018114 A KR20160018114 A KR 20160018114A KR 1020140102232 A KR1020140102232 A KR 1020140102232A KR 20140102232 A KR20140102232 A KR 20140102232A KR 20160018114 A KR20160018114 A KR 20160018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loop
connection
eisen
p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4062B1 (ko
Inventor
백순자
Original Assignee
백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순자 filed Critical 백순자
Priority to KR1020140102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0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0Non-skid attachments made of wire, chain, or other meshed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산용 아이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등산용 아이젠의 구성은 아이젠 착용 밴드(10); 상기 아이젠 착용 밴드(10)에 연결된 밴드 고리(12); 상기 등산화(2)의 아웃솔(2b) 바닥면에 장착되는 아이젠 바디(20); 상기 아이젠 바디(20)에 연결된 아이젠 고리(21); 내부에 양면으로 연통된 고리 결합 지지홀(36)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에 상기 밴드 고리(12)와 상기 아이젠 고리(21)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을 기준으로 상기 밴드 고리(12)와 상기 아이젠 고리(21)가 일정 각도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피크 연결링(30); 상기 아이젠 고리(21)를 구성하는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에 연결되어 있는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연결 고리(44)와 상기 제2연결 고리(44)가 일정 각도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피크 연결링(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등산용 아이젠{Crampons}
본 발명은 등산용 아이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겨울철에 눈과 얼음이 쌓인 산악로를 등반할 때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와 보행시 등산화의 형태 변화에 따라 안전한 자세로 아이젠의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구조 등을 구현하면서도 상기 미끄러짐 방지 구조와 안전한 자세로의 변형 등을 달성하는 구조는 기존에 비하여 보다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해지는 만큼 생산성 향상과 제작 코스트 절감 등의 유용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등산용 아이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젠(Crampons)은 등산화의 아웃솔 바닥면에 착용하여 미끄러짐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눈과 얼음이 많이 쌓이게 되는 동계 산악지역의 등반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장비중의 하나이다. 등산은 건전한 여가활용 및 심신단련의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레저 스포츠이므로 그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겨울철 산행을 즐기려는 동호인들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안전성을 고려한 아이젠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종래 아이젠 중에서 등산화의 외피 상부에 결합되는 아이젠 밴드에 아웃솔 후방쪽에 배치되는 리어 아이젠 바디와 아웃솔의 전방쪽에 배치되는 프론트 아이젠 바디 바디와 아웃솔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미들 아이젠 바디가 복수개의 고리로 연결된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와 프론트 아이젠 바디 및 미들 아이젠 바디도 상기 복수개의 고리가 연결된 체인을 매개로 연결된 것이 있다.
그런데, 상기 아이젠 바디들을 체인으로 연결한 아이젠의 경우 특히 겨울에 각각의 고리 내부에 형성된 고리 공간부에 얼음이 들어차서 추운 날씨로 인하여 얼음이 얼어버리는 아이스 패킹 현상이 생기는데, 등산로의 지면을 아이젠으로 디딜 때에 상기와 같이 체인의 각 고리 내부에 얼어있는 아이스 패킹으로 인하여 아이젠이 지면에서 미끄러지면서 등반자가 넘어지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아이젠의 경우 체인의 각 고리의 내부 고리 공간부에 눈이 끼어서 얼어버리고, 이처럼 고리에 끼어서 얼어버린 얼음으로 인하여 아이젠이 등산로 노면에서 쉽게 미끄러지게 되고, 아이젠이 고리에 끼어서 얼어버린 얼음으로 인하여 미끄러져서 넘어지는 것과 같이 등반자의 안전을 위한 아이젠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때가 많은 것이다.
또한, 상기한 아이젠의 경우 양단부에 환형 고리부가 있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각각의 리어 아이젠 바디와 미들 아이젠 바디 및 프론트 아이젠 바디 사이를 상기 체인과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한 부분이 많이 생기는데, 이러한 연결부재의 각 고리부는 등반자가 아이젠을 등산로 바닥에 디디고 자세를 바꾸는 등의 외부 요인이 작용하면 그 길이 방향에 대해 각도가 틀어진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연결부재의 고리부가 제위치에서 벌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게 되어서 상기 고리부가 벌어져 버리는 일이 생기게 되며, 이처럼 상기 아이젠들을 연결한 금속재의 연결부재의 고리부가 벌어지게 되면,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와 미들 아이젠 바디 및 프론트 아이젠 바디들 사이의 연결 부분이 결속되어 있지 못하고 이탈되기 때문에, 등반시 등반자가 넘어지거나 하는 등의 위험 요인이 많게 되며, 나아가 아이젠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여 결국 폐기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즉, 등반자가 아이젠을 등산화에 신고 등반을 하다보면 등반로의 지형 조건 등에 따라 등반자의 발의 각도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고, 이처럼 등반자의 발의 각도가 다방면으로 변화되는 순간에 상기 아이젠들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가 천차만별의 각도로 힘이 작용하는데, 이러한 연결부재 자체에 가해지는 다방면 각도의 힘에 의해 연결부재의 양단에 있는 고리부가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하고, 이러한 벌어지려는 힘에 의해 실제로 연결부재의 양단 고리부가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와 같이 등반시 등반자가 넘어지거나 하는 등의 위험 요인이 상당히 많게 되는 것이며, 아이젠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도 생기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아이젠 중에서 금속재에 의해 결합 와이어부에 한 쌍의 연결 고리부가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고리부에는 환형의 벤딩 고리부를 구비한 복수개의 고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리부재의 상기 벤딩 고리부를 다른 고리부재의 결합 와이어부에 끼워지도록 결합함으로써, 복수개의 고리부재가 이어진 연결 스트랩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스트랩의 양쪽 끝단 고리부재 중에서 하나의 고리부재의 결합 와이어부와 연결 고리부를 등산화의 외피 상부에 결합되는 아이젠 밴드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고리부재의 한 쌍의 벤딩 고리부는 등산화의 아웃솔 후방쪽에 배치되는 리어 아이젠 바디와 아웃솔의 전방쪽에 배치되는 프론트 아이젠 바디와 아웃솔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미들 아이젠 바디의 두 개의 결합공에 끼워지는 한편,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와 미들 아이젠 바디 및 프론트 아이젠 바디에 각각 형성된 다른 결합공에는 금속재 와이어 형태의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있는 환형 고리부를 끼워서 결합한 구조의 아이젠도 제공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복수개의 금속재 고리부재가 연결된 연결 스트랩과 상기 금속재 연결부재를 매개로 아이젠 밴드와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와 미들 아이젠 바디 및 프론트 아이젠 바디를 연결한 제품의 경우에도 등반자가 발로 디디는 등반 노면과의 각도 등에 의해 상기 아이젠들을 연결한 금속재의 연결 스트랩의 각 고리부재에 형성된 벤딩 고리부가 벌어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의 고리부도 역시 벌어지게 되므로, 등반시 등반자가 넘어지거나 하는 등의 위험요인이 많게 되고 이에 더하여 아이젠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여 얼마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해야 하는 등의 문제를 역시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젠의 경우에도 연결 스트랩의 각 고리부재 내부 공간부에도 역시 눈이 끼어서 얼어버리는 아이스 패킹 현상이 발생되어, 이러한 고리에 끼어서 얼어버린 얼음으로 인하여 아이젠이 등산로 노면에서 쉽게 미끄러지게 되어서 등반자가 미끄러져서 넘어지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여지가 역시 많다는 데에도 문제가 있다. 기존의 등산용 아이젠은 산악로를 등반할 때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와 보행시 등산화의 형태 변화에 따라 안전한 자세로 아이젠의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구현하기에는 미흡하다는 점이 문제이다.
국내특허등록 제10-0263584호(2000.05.18 등록) 국내특허등록 제10-0432591호(2004.05.12 등록) 국내특허등록 제10-0394918호(2003.08.04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겨울철에 눈과 얼음이 쌓인 산악로를 등반할 때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와 보행시 등산화의 형태 변화에 따라 안전한 자세로 아이젠의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구조 등을 충실히 구현하면서도 상기 미끄러짐 방지 구조와 안전한 자세로의 변형 등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는 기존에 비하여 보다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등산용 아이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요부인 피크 연결링이 와이어 파트(체인, 고리 등)에 비하여 강도(인장, 비틀림에 대한 특성)가 우수하고, 관절 역할을 할 수 있어서 수납성과 착용감이 우수하며, 상기 주요부인 피크 연결링들을 단일 금형에서 제작할 수 있어서 생산 비용(금형 제작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의 향상 등에도 많은 도움이 되는 새로운 등산용 아이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젠 착용 밴드; 상기 아이젠 착용 밴드에 연결된 밴드 고리; 상기 등산화의 아웃솔 바닥면에 장착되는 아이젠 바디; 상기 아이젠 바디에 연결된 아이젠 고리; 내부에 양면으로 연통된 고리 결합 지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에 상기 밴드 고리와 상기 아이젠 고리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을 기준으로 상기 밴드 고리와 상기 아이젠 고리가 일정 각도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피크 연결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아이젠이 제공된다.
상기 아이젠 바디는, 상기 등산화의 상기 아웃솔 전면 바닥부에 배치되는 프론트 아이젠 바디와 상기 아웃솔 후면 바닥부에 배치되는 리어 아이젠 바디 및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와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 사이에서 상기 아웃솔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미들 아이젠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와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 및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는 상기 피크 연결링과 상기 아이젠 고리 및 상기 밴드 고리에 의해 상기 아이젠 착용 밴드에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와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 및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 사이는 메탈 와이어 형태의 연결 고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과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 및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 고리 중에서 적어도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과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고리는 일단부의 고리부가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에 연결된 제1연결 고리와 일단부의 고리부가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에 연결된 제2연결 고리를 포함하며, 내부에 양면으로 연통된 고리 결합 지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에 상기 제1연결 고리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부와 상기 제2연결 고리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부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결 고리와 상기 제2연결 고리가 일정 각도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피크 연결링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정 두께와 면적의 금속판을 마련하고, 상기 금속판에 프론트 아이젠 바디과 리어 아이젠 바디 및 미들 아이젠 바디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할 때에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과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 및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의 영역을 벗어난 영역을 프레스 가공하여 피크 연결링을 동시에 형성하며, 상기 피크 연결링은 일정 두께의 상기 금속판을 따내는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한 쌍의 마주하는 사이드 링편과 한 쌍의 마주하는 양단 링편이 일체형으로 이어진 폐루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과 리어 아이젠 바디 및 미들 아이젠 바디를 상기 피크 연결링과 동시에 형성하는 아이젠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과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 및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에 스파이크가 측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스파이크를 절곡시켜서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과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 및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를 각각 스파이크가 아래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등산화의 상부 외피에 결합되는 아이젠 착용 밴드측의 밴드 고리와 아이젠 바디측의 아이젠 연결 고리를 피크 연결링을 매개로 연결하고, 등산화의 아웃솔 바닥에 배치되는 아이젠 바디들을 중에서 적어도 프론트 아이젠 바디와 미들 아이젠 바디 사이를 피크 연결링으로 연결하며, 상기 피크 연결링은 내부에 양면으로 연통된 고리 결합 지지홀이 형성되어, 고리 결합 지지홀에 밴드 고리와 아이젠 고리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고리 결합 지지홀을 기준으로 상기 밴드 고리와 아이젠 고리가 일정 각도 가변될 수 있으며 동시에 프론트 아이젠 바디와 미들 아이젠 바디 사이의 연결 부분인 연결 고리들도 피크 연결링에 의해 일정 각도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겨울철에 눈과 얼음이 쌓인 산악로를 등반할 때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와 보행시 등산화의 형태 변화에 따라 안전한 자세로 아이젠의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구조 등을 구현한 것에 주요 특징을 가진 것으로, 주요부인 피크 연결링(프레스 plate parts)이 기존의 와이어 파트(wire parts : 체인,고리 등)에 비해 강도(인장,비틀림)가 우수하고, 관절 역할을 할수있어서 수납성과 착용감이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피크 연결링을 단일의 금형(프레스 금형)에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생산(금형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등산용 아이젠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아이젠 바디와 아이젠 착용 밴드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와 아이젠 착용 밴드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아이젠 바디와 피크 연결링을 제작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등산용 아이젠의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주요부인 아이젠 바디와 아이젠 착용 밴드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주요부와 아이젠 착용 밴드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아이젠 바디와 피크 연결링을 제작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등산용 아이젠은 등산화(2)의 상부 외피(2a)에 결합되는 아이젠 착용 밴드(10)와, 이 아이젠 착용 밴드(10)에 연결된 밴드 고리(12)와, 등산화(2)의 아웃솔(2b) 바닥면에 장착되는 아이젠 바디(20)와, 이 아이젠 바디(20)에 연결된 아이젠 고리(21) 및 내부에 양면으로 연통된 고리 결합 지지홀(36)이 형성되어 고리 결합 지지홀(36)에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을 기준으로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가 일정 각도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피크 연결링(30)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또한,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를 연결하는 연결 고리(40) 중에서 적어도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고리(40)는 일단부의 고리부(CP)가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에 연결된 제1연결 고리(42)와 일단부의 고리부(CP)가 미들 아이젠 바디(24)에 연결된 제2연결 고리(44)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를 연결하는 피크 연결링(30)과는 다른 피크 연결링(30)은 내부에 양면으로 연통된 고리 결합 지지홀(36)이 형성되어 고리 결합 지지홀(36)에 제1연결 고리(42)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부(CP)와 제2연결 고리(44)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부(CP)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한 다른 피크 연결링(30)의 고리 결합 지지홀(36)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가 일정 각도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와 피크 연결링(30) 및 아이젠 바디(20)는 금속재로 구성된다.
상기 아이젠 착용 밴드(10)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착용홀을 구비한 폐루프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아이젠 착용 밴드(10)는 탄성있게 늘어났다가 원래대로 복귀하는 탄성 재질로 구성된다. 아이젠 착용 밴드(10)를 고무 재질이나 실리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아이젠 착용 밴드(10)의 둘레부에는 고리 연결 지지편(10a)이 구비되고, 고리 연결 지지편(20a)에는 밴드 고리(12)를 끼우기 위한 고리홀(10h)이 구비된다.
상기 밴드 고리(12)는 아이젠 착용 밴드(10)의 고리 연결 지지편(20a)에 형성된 고리홀(10h)에 끼워진다. 밴드 고리(12)는 폐루프형 고리 구조로서 밴드 고리(12)의 한쪽 단부가 상기 고리 연결 지지편(10a)의 고리홀(10h)에 끼워져 있다.
본 발명에서 아이젠 바디(20)는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로 구성된다. 미들 아이젠 바디(24)는 앞쪽의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와 뒤쪽의 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는 위에서 볼 때에 대략 유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프론트 아이젠 바디(22)는 연결 바디편의 양단부에 전방으로 연장(아이젠 착용 밴드(10)의 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 바디편을 구비하여 대략 유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의 둘레부에는 하부로 연장된 스파이크(28)가 구비된다. 스파이크(28)는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에서 아래로 절곡시켜서 형성된다. 또한,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고리 연결홀(CH)이 구비된다.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24)는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에 연결되는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와,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와 리어 아이젠 바디(26)에 연결되는 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는 위에서 볼 때에 대략 브이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는 전후단을 잇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 위치에 대칭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브이 형상편에 의해 브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의 둘레부에 하부로 연장된 스파이크(28)가 구비된다. 스파이크(28)는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에서 아래로 절곡시켜서 형성된다. 또한,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에도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고리 연결홀(CH)이 구비된다.
상기 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는 위에서 볼 때에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에 비하여 좌우 길이가 더 짧은 대략 브이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 역시 전후단을 잇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 위치에 대칭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브이 형상편에 의해 브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의 둘레부에도 하부로 연장된 스파이크(28)가 구비된다. 스파이크(28)는 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에서 아래로 절곡시켜서 형성된다. 또한, 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에도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고리 연결홀(CH)이 구비된다.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26)는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의 구조와 동일하다. 즉, 리어 아이젠 바디(26)는 전후단을 잇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 위치에 대칭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브이 형상편에 의해 브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리어 미들 아이젠 바디(24)에도 스파이크(28)와 고리 연결홀(CH)이 구비된다.
상기 아이젠 고리(21)의 한쪽 단부는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에 연결된다. 아이젠 고리(21)의 한쪽 단부에 구비된 환형의 고리부(CP)가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에 구비된 고리 연결홀(CH)에 끼워진다. 이때, 아이젠 고리(21)는 일정 길이의 리니어 와이어부(LP)와, 이 리니어 와이어부(LP)의 양단부에 이어진 환형의 고리부(CP)를 포함한다. 즉, 아이젠 고리(21)가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와이어 형태의 리니어 와이어부(LP) 양단부에 한 쌍의 환형 고리부(CP)가 구비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고리부(CP) 중에서 한쪽 고리부(CP)가 상기 아이젠 바디(20)의 고리 연결홀(CH)에 끼워진다.
상기 피크 연결링(30)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으로서, 피크 연결링(30)에 의해 아이젠 착용 밴드(10)측의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바디(20)측의 아이젠 고리(21)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 피크 연결링(30)은 한 쌍의 마주하는 양단 링편(32)과 한 쌍의 마주하는 사이드 링편(34)이 일체형으로 이어진 폐루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양단 링편(32)과 상기 사이드 링편(34)의 내측면 안쪽에 고리 결합 지지홀(36)이 확보된다. 이때, 상기 피크 연결링(30) 내부의 고리 결합 지지홀(36) 내측면에는 돌기(37)가 구비된다.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를 연결하는 피크 연결링(30)의 경우 돌기(37)가 한 군데에 구비되며, 이러한 돌기(37)에 의해 피크 연결링(30)의 고리 결합 지지홀(36)이 두 개의 고리 가변 수용홀(36H)을 구비한 구조를 취한다. 즉, 상기 피크 연결링(30) 내부의 고리 결합 지지홀(36)의 내측면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양단 내측면과 서로 마주하는 사이드 내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내측면에 하나의 돌기(37)가 각각 형성되어 두 개의 서로 마주하는 돌기(37)에 의해 두 개의 고리 가변 수용홀(36H)이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37) 사이에 확보된 연결홀(36C)의 폭은 아이젠과 착용 밴드(10) 사이를 연결하도록 고리 가변 수용홀(36H)에 끼워지는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의 외경보다 더 작게 구성된다. 상기 돌기(37)로 인하여 연결홀(36C)이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의 외경보다 작게 구성된 것이다. 밴드 고리(12)는 단면 원형의 금속재 와이어를 절곡하여 구성되고 아이젠 고리(21)의 고리부(CP)도 단면 원형의 금속재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한 쌍의 마주하는 돌기(37) 사이에 확보된 폭이 밴드 고리(12)의 외경보다 더 작고 상기 아이젠 고리(21)의 외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밴드 고리(12)가 피크 연결링(30)의 한쪽 고리 가변 수용홀(36H)에서 다른 쪽으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각도 변경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한편 상기 아이젠 고리(21)의 고리부(CP)는 피크 연결링(30)의 다른 쪽 고리 가변 수용홀(36H)에서 다른 쪽으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각도 변경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상기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가 피크 연결링(30)의 각각의 고리 가변 수용홀(36H)에 결합되어 제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상대방측의 고리 가변 수용홀(36H)을 침범하지 않도록 안정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구조이다. 상기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가 제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적절하게 피크 연결링(30)을 기준으로 각도가 틀어지는 가변 작용이 일어나므로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가 서로 꼬이는 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이젠 바디(20)는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와 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로 구성되고, 상기 아이젠 고리(21)는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와 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마다 각각 좌우 두 개씩 연결되며, 각각의 아이젠 고리(21)들과 밴드 고리(12)들을 상기 피크 연결링(30)에 의해 연결한다. 따라서, 피크 연결링(30)에 의해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의 연결 지점의 총 8군데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피크 연결링(30)에 의해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의 연결 지점이 가감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26)의 고리 연결홀(CH)에는 하측 아이젠 고리(21)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고리부(CP)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하측 아이젠 고리(21)의 다른 쪽 단부에 형성된 고리부(CP)는 다른 피크 연결링(30) 내부의 고리 결합 지지홀(36)에 확보된 한쪽의 고리 가변 수용홀(36H)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피크 연결링(30)의 다른 쪽 고리 가변 수용홀(36H)에는 상측 아이젠 연결 고리(40)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고리부(CP)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상측 아이젠 연결 고리(40)의 다른 쪽 단부의 고리부(CP)에는 상측 피크 연결링(30) 내부의 고리 결합 지지홀(36)에 확보된 한쪽의 고리 가변 수용홀(36H)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밴드 고리(12)에 상기 상측 피크 연결링(30)의 다른 쪽 고리 가변 수용홀(36H)이 끼워져 결합된다. 즉,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26)는 두 개의 상하측 아이젠 고리(21)와 두 개의 상하측 피크 연결링(30)을 통해서 상기 아이젠 착용 밴드(10)에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 고리(40) 중에서 적어도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고리(40)는 일단부의 고리부(CP)가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에 연결된 제1연결 고리(42)와 일단부의 고리부(CP)가 미들 아이젠 바디(24)에 연결된 제2연결 고리(4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연결 고리(42)의 한쪽 단부의 고리부(CP)는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의 고리 연결홀(CH)에 끼워져 결합되고, 제2연결 고리(44)의 한쪽 단부의 고리부(CP)는 상기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의 고리 연결홀(CH)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는 다른 피크 연결링(30BT)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 사이의 연결 매개체인 상기 피크 연결링(30BT)은 한 쌍의 마주하는 양단 링편(32)과 한 쌍의 마주하는 사이드 링편(34)이 일체형으로 이어진 폐루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 사이에 연결 매개체인 피크 연결링(30BT)은 아이젠 착용 밴드(10)와 아이젠 바디(20)를 연결하는 피크 연결링(30)(편의상, 상부쪽 피크 연결링(30)이라 함)과 달리 바닥의 연결링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바닥 피크 연결링(30BT)은 상부쪽 피크 연결링(30)과 사이즈와 모양이 다르다. 바닥 피크 연결링(30BT)은 상부쪽 피크 연결링(30)보다 사이즈가 더 크고 모양에 있어서도 내부에 복수개의 돌기(37)가 구비된 점에서 상부쪽 피크 연결링(30)과 다르다. 바닥 피크 연결링(30BT)은 서로 마주하는 양단 링편(32)의 내측면에 세 개씩 형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6에 상부쪽 피크 연결링(30)과 바닥 피크 연결링(30BT)이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중요한 것은 바닥 피크 연결링(30BT)도 상부쪽 피크 연결링(30)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즉, 바닥 피크 연결링(30BT)은 상부쪽 피크 연결링(30)과 사이즈와 모양이 다소 차이가 있을 뿐이고 그 기능은 동일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 바닥 피크 연결링(30BT)의 양단 링편(32)과 상기 사이드 링편(34)의 내측면 안쪽에 고리 결합 지지홀(36)이 확보된다. 한편, 바닥 피크 연결링(30BT)의 기능은 상부쪽 피크 연결링(30)의 기능과 동일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바닥 피크 연결링(30BT)과 상부쪽 피크 연결링(30)을 피크 연결링(30)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피크 연결링(30) 내부의 고리 결합 지지홀(36)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37)가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 사이를 연결하는 피크 연결링(30)의 경우 돌기(37)가 세 군데에 구비되며, 이러한 세 군데의 돌기(37)에 의해 피크 연결링(30)의 고리 결합홀이 양쪽 끝에 두 개의 고리 가변 수용홀(36H)을 구비하고 각각의 서로 마주하는 돌기(37) 사이에는 일정 폭의 공간이 확보된 구조를 취한다. 즉, 상기 피크 연결링(30) 내부의 고리 결합 지지홀(36)의 내측면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양단 내측면과 서로 마주하는 사이드 내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내측면에 세 개의 돌기(37)가 각각 형성되어 양쪽 끝의 두 개의 서로 마주하는 돌기(37)에 의해 두 개의 고리 가변 수용홀(36H)이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에 형성되고, 중간의 서로 마주하는 돌기(37) 사이에는 일정 폭이 확보된다.
이때, 상기 피크 연결링(30)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사이드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부(CP)들의 내주면이 피크 연결링(30BT)의 고리 결합 지지홀(36)의 사이드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당겨지는 힘이나 상기 사이드 내측면에서 이격되도록 밀리는 힘이 작용할 때에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의 고리부(CP)들이 일정 거리 중첩부가 확보될 수 있는 폭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제1연결 고리(42)의 각 고리부(CP)는 피크 연결링(30)의 고리 결합홀에 확보된 좌우 양쪽 끝의 한 쌍의 고리 가변 수용홀(36H)에 결합되어 있고, 한 쌍의 제2연결 고리(44)의 각 고리부(CP)는 피크 연결링(30)의 고리 결합홀에 확보된 중간의 한 쌍의 고리 가변 수용홀(36H)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의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제1연결 고리(42)의 고리부(CP)와 제2연결 고리(44)의 고리부(CP)들이 일정 거리만큼 겹쳐진 중첩부가 확보된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의 각각의 고리부(CP)들의 내주면이 피크 연결링(30)의 고리 결합 지지홀(36)의 사이드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당겨지는 힘이나 상기 사이드 내측면에서 이격되도록 밀리는 힘이 작용할 때에도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의 고리부(CP)들의 중첩된 부분이 사라지지 않고 일정 거리만큼 겹쳐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 고리(42)의 고리부(CP)와 제2연결 고리(44)의 고리부(CP)가 제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각도 변경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상기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가 피크 연결링(30)의 각각의 고리 가변 수용홀(36H)에 결합되어 제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상대방측의 고리 가변 수용홀(36H)을 침범하지 않도록 안정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구조이다.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가 제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적절하게 피크 연결링(30)을 기준으로 각도가 틀어지는 가변 작용이 일어나므로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가 서로 꼬이는 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와 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 사이는 연결 고리(4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 고리(40)는 리니어 와이어부(LP) 양단부에 한 쌍의 환형 고리부(CP)가 구비된 메탈 와이어 고리 구조인데,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의 후방에 형성된 한 쌍의 고리 연결홀(CH)에는 보조 연결 고리(40)의 한 쌍의 고리부(CP)가 각각 끼워지고, 상기 보조 연결 고리(40)와 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에 형성된 고리 연결홀(CH)에 각각 연결 고리(40) 양단부의 고리부(CP)가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26)와 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 사이도 연결 고리(40)에 의해 연결된다. 리어 아이젠 바디(26)에 형성된 고리 연결홀(CH)과 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에 형성된 고리 연결홀(CH)에 메탈 와이어 고리 구조의 연결 고리(40) 양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고리부(CP)가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결국, 본 발명에서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고리(40)는 리니어 와이어부(LP) 양단부에 한 쌍의 환형 고리부(CP)가 구비된 메탈 와이어 고리 구조이며,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를 아이젠 착용 밴드(10)측의 밴드 고리(12)에 연결하는 아이젠 고리(21)도 리니어 와이어부(LP) 양단부에 한 쌍의 환형 고리부(CP)가 구비된 메탈 와이어 고리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 고리(40)와 아이젠 고리(21)에 눈이 끼어서 얼어버리는 아이스 패킹 현상은 생기지 않게 되며, 연결 고리(40)와 아이젠 고리(21)에 눈이 끼어서 얼어버리는 일이 생기지 않는 만큼 등반자가 등산로의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안전 사고는 생기지 않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금속판(52)에서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와 리어 아이젠 바디(26) 및 복수개의 피크 연결링(30)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는 데의 특징이 있다. 즉, 일정한 두께와 면적으로 이루어진 금속판(52)을 마련하고, 상기 금속판(52)에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리어 아이젠 바디(26) 및 미들 아이젠 바디(24)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하는데, 이러한 프레싱 작업시에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리어 아이젠 바디(26) 및 미들 아이젠 바디(24)의 영역을 벗어난 영역을 프레스 가공하여 피크 연결링(30)을 동시에 형성한다. 즉, 금속판(52)에서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버리지 않고 피크 연결링(30)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처럼 피크 연결링(30)을 금속판(52)의 나머지 영역을 따내서 형성하면, 상기 피크 연결링(30)은 한 쌍의 마주하는 사이드 링편(34)과 한 쌍의 마주하는 양단 링편(32)이 일체형으로 이어진 폐루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동시에 피크 연결링(30)의 두께는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의 두께와 동일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리어 아이젠 바디(26) 및 미들 아이젠 바디(24)를 금속판(52)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할 때에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리어 아이젠 바디(26) 및 미들 아이젠 바디(24)에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고리 연결홀(CH)을 동시에 형성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이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밴드 고리(12)를 더블 체인으로 구성하고, 더블 체인형 밴드 고리(12)에 다른 구조의 피크 연결링(130)을 연결하며, 상기 피크 연결링(130)에 아이젠 고리(21)를 매개로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를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를 연결한 구조를 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등산용 아이젠은 피크 연결링(30)이 땅콩 모양의 고리 구조로서 싱글 밴드 고리(12)를 매개로 아이젠 착용 밴드(10)에 연결되어 싱글형이라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더블 체인형 밴드 고리(12)에 의해 연결되므로 더블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더블 체인형 밴드 고리(12)는 한쪽이 밴드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다른 쪽은 링연결부로 구성된다. 밴드 고리(12)의 밴드 연결부는 걸림 와이어부(12a)의 양단부에 한 쌍의 나란한 연결 와이어부(12b)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대략 디귿자 와이어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밴드 고리(12)의 링연결부는 기단부가 상기 걸림 와이어부(12b)의 타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나란한 연장 와이어부(12c)와, 이 연장 와이어부(12c)의 선단부에 구비된 링고리부(12d)를 포함한다. 연장 와이어부(12c)는 걸림 와이어부(12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도 상기 더블 체인형 연결 고리가 사용된다. 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A)의 구멍에 밴드 고리(12)의 한 쌍의 링고리부(12d)를 끼우고, 밴드 고리(12)의 밴드 연결부에는 한 쌍의 연결 고리(40)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끼우고, 상기 연결 고리(40)의 타단부에 구비된 고리부는 후방 미들 아이젠 바디(24B)의 구멍에 연결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피크 연결링(130)은 고리 결합 지지홀(136)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세 개가 구비된다. 피크 연결링(130)은 링바디가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세 개가 분기된다. 각각의 고리 결합 지지홀(136)이 세 개로 분기된 연결홀에 이어져 있다. 따라서, 피크 연결링(130)이 대략 원숭이 얼굴 모양으로 구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피크 연결링(130)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세 방향으로 링바디가 분기되고, 각각의 링바디에 하나씩 고리 결합 지지홀(136)이 구비되며, 각 고리 결합 지지홀(136)은 세 방향으로 분기된 연결홀(136C)에 의해 연결된 구조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 기재된 것과 동일한 기능의 돌기(137)가 상기 피크 연결링(130)에도 구비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더블 체인형 밴드 고리(12)의 밴드 연결부는 아이젠 착용 밴드(10)에 연결되고, 상기 링연결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링고리부(12d)는 상기 피크 연결링(130)의 두 개의 고리 결합 지지홀(136)에 연결되고, 상기 피크 연결링(130)의 나머지 하나의 고리 결합 지지홀(136)에는 아이젠 고리(21)가 연결된 구조를 취한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땅콩 모양의 피크 연결링(30)을 두 개의 아이젠 고리(21) 사이에 연결하고, 두 개의 아이젠 고리(21) 중에서 하나는 상기 원숭이 얼굴 모양의 피크 연결링(130)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아이젠 바디(20)(특히, 리어 아이젠 바디(26) 부분)에 연결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더블 체인형 밴드 고리(12)를 매개로 아이젠 착용 밴드(10)와 아이젠 바디(20)를 연결할 수 있다는 구성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등산용 아이젠을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착용 벤드가 고무와 같이 탄성있게 늘어날 수 있는 재질이고 착용홀이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등산화(2)에 착용 밴드(10)를 상기 착용홀을 통해 등산화(2)에 신발을 신듯이 결합하면, 상기 착용 밴드(10)는 등산화(2)의 상부 외피(2a) 상면에 밀착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가 각각 등산화(2)의 아웃솔(2b) 전방 바닥면과 중간 바닥면 및 후방 바닥면에 견실하게 밀착되도록 착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등산용 아이젠을 등산화(2)에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하게 되는 경우 스파이크(28)(130)가 등판 노면에서 일정 깊이 파고들어가서 등반자의 발이 등판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은 기본으로 가지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능 내지 효과가 있다.
1. 주요부인 피크 연결링(30)(프레스 plate parts)이 기존의 와이어 파트(wire parts: 체인,고리 등)에 비해 강도(인장,비틀림)가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강도가 우수하다는 것은 피크 연결링(30) 자체가 등반시에 등반자의 발의 각도가 달라지는 등의 외력 작용에 의해 벌어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등반시 기존에 비하여 안전성을 상당히 높여주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2. 관절 역할을 할 수 있어서 수납성과 착용감이 우수하다. 주요부인 피크 연결링(30)에 의해 체결 밴드와 밴드 고리(12) 및 아이젠 고리(21) 사이를 연결하여 이러한 피크 연결링(30) 부분이 관절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동시에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를 연결하는 연결 고리(40) 중에서 적어도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고리(40)는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로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 사이는 다른 피크 연결링(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 사이의 피크 연결링(30) 부분에서도 관절 역할을 하게 되므로, 기존에 비하여 보다 콤팩트하게 접혀짐으로써 보다 수납성이 우수하며 기존에 비하여 착용감도 우수하다.
3. 상기 착용감이 우수한 원리는 다음과 같다. 등반자가 아이젠을 등산화(2)에 신고 등반을 하다보면 등반로의 지형 조건 등에 따라 등반자의 발의 각도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고, 이처럼 등반자의 발의 각도가 다방면으로 변화되는 순간에 상기 아이젠 바디(20), 다시 말해,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를 체결 밴드에 연결하고 있는 피크 연결링(30)을 기준으로 상기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가 관절처럼 일정 각도 자연스럽게 가변되는 작용(각도가 틀어지는 작용)을 하는 한편,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의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를 사이를 연결하는 다른 피크 연결링(30)을 기준으로 각각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도 관절처럼 일정 각도 자연스럽게 가변되는 작용(각도가 틀어지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피크 연결링(30) 부분과 상기 밴드 고리(12) 및 아이젠 고리(21), 상기 피크 연결링(30) 부분과 제1연결 고리(42) 및 제2연결 고리(44)의 고리부(CP)들이 등반시 등산화(2)를 노면에 디딜 때에 생기는 다방면 각도의 힘에 의해 벌어지려는 힘이 생기는 것을 차단하고, 이러한 벌어지려는 힘을 차단함으로써 실제로 밴드 고리(12) 및 아이젠 고리(21), 상기 피크 연결링(30) 부분과 제1연결 고리(42) 및 제2연결 고리(44)의 고리부(CP)들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등반시 등반자가 넘어지거나 하는 등의 위험 요인이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안전성이 높은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를 테면, 상기 피크 연결링(30) 부분이 등반자의 발의 각도가 달라질 때에 관절 기능을 하면서 연결 고리(40)에 구비된 고리부(CP)가 무리하게 꺾여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동시에 상기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의 고리부(CP)가 무리하게 꺾여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관절 기능을 하게 되므로,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의 벌어지는 현상뿐만 아니라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를 연결하는 제1연결 고리(42) 및 제2연결 고리(44)의 고리부(CP)들도 무리하게 꺾여지는 힘에 의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결과적으로 기존에 비하여 착용감이 아주 우수하면서도 안전 사고 예방 기능이 한층 높은 것이라 하겠다.
4. 상기 피크 연결링(30)은 일정 두께의 금속판(52)을 따내는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한 쌍의 마주하는 사이드 링편(34)과 한 쌍의 마주하는 양단 링편(32)이 일체형으로 이어진 폐루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피크 연결링(30)이 중간에 용접으로 연결하는 부분이 생기지 않고 일체형 링 구조이므로, 상기와 같이 피크 연결링(30) 자체에 벌어지려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피크 연결링(30) 자체가 벌어져 버리는 일은 생기지 않으므로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해지며, 이처럼 피크 연결링(30) 자체가 벌어질 여지가 없는 구조로 인하여 등산용 아이젠의 안전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피크 연결링(30)의 두께가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리어 아이젠 바디(26) 및 미들 아이젠 바디(24)의 두께와 동일하게 되므로 강도 자체도 상당히 높다.
5. 피크 연결링(30)을 단일의 금형(프레스 금형)에서 제작할 수 있어서 생산(금형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정 두께의 금속판(52)을 마련하여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를 프레스 금형으로 따내는 가공을 통해 형성할 때에 프론트 아이젠 바디(22) 영역을 벗어난 영역도 프레스 금형으로 따내는 가공을 실시하여 피크 연결링(30)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으며,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26)과 미들 아이젠 바디(24)를 형성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피크 연결링(30)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단일의 금형에서 피크 연결링(30)의 생산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생산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리어 아이젠 바디(26) 및 미들 아이젠 바디(24)를 형성할 때에 동시에 금속판(52)의 남기는 부분이 없이 상기 피크 연결링(30)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생산 비용을 절감이라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6.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리어 아이젠 바디(26) 및 미들 아이젠 바디(24)를 형성할 때에 금속판(52)의 남은 부분을 그대로 활용하여 피크 연결링(30)을 형성하므로, 재료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7. 등산화(2)의 아웃솔(2b) 바닥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는 메탈 와이어 형상의 연결 고리(40)를 매개로 연결되고, 특히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사이의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는 상기 피크 연결링(30)을 매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기존에 아이젠들을 복수개의 고리가 연결된 구조의 체인으로 연결한 경우와 달리 특히 겨울에 연결 고리(40)에 얼음이 들어차서 추운 날씨로 인하여 얼음이 얼어버리는 아이스 패킹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데, 등산로의 지면을 아이젠으로 디딜 때에 상기와 같이 연결 고리(40)에 아이스 패킹 현상이 생기지 않음으로 인하여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리어 아이젠 바디(26) 및 상기 연결 고리(40)가 등산로의 지면에서 미끄러지면서 등반자가 넘어지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우려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 고리(40)에 눈이 끼어서 얼어버리는 일이 생기지 않고, 이처럼 연결 고리(40)에 끼어서 얼어버린 얼음으로 인하여 아이젠이 등산로 노면에서 쉽게 미끄러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아이젠이 연결 고리(40)에서 얼어버린 얼음으로 인하여 미끄러져서 넘어지는 것과 같은 등반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아이젠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기존에 아이젠들을 복수개의 고리가 연결된 구조의 체인으로 연결한 경우에는 각 고리에 눈이 끼어서 얼어버리고 이러한 체인에 끼어서 얼어버린 얼음으로 인하여 등반자가 등산로 노면을 지나가다가 넘어지는 안전 사고 위험이 높았으나 본 발명은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리어 아이젠 바디(26)를 연결하는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가 일자형의 메탈 와이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연결 고리(42)와 제2연결 고리(44)는 피크 연결링(30)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눈이 끼어서 등산로 노면에서 등반자가 미끄러져 넘어지는 위험 요인을 근절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등산화 2a. 외피
2b. 아웃솔 10. 아이젠 착용 밴드
10a. 고리 연결 지지편 10h. 고리홀
12. 밴드 고리 20. 아이젠 바디
21. 아이젠 고리 CP. 고리부
22. 프론트 아이젠 바디 24. 미들 아이젠 바디
26. 리어 아이젠 바디 28. 스파이크
CH. 고리 연결홀 30. 피크 연결링
32. 양단 링편 34. 사이드 링편
36. 고리 결합 지지홀 36H. 고리 가변 수용홀
40. 연결 고리 42. 제1연결 고리
44. 제2연결 고리 50. 금속판
130. 피크 연결링 136. 고리 결합 지지홀

Claims (10)

  1. 밴드 고리(12);
    상기 등산화(2)의 아웃솔(2b) 바닥면에 장착되는 아이젠 바디(20);
    상기 아이젠 바디(20)에 연결된 아이젠 고리(21);
    양면으로 연통된 고리 결합 지지홀(36)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에 상기 밴드 고리(12)와 상기 아이젠 고리(21)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을 기준으로 상기 밴드 고리(12)와 상기 아이젠 고리(21)가 일정 각도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피크 연결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아이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고리(12)가 연결된 아이젠 착용 밴드(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이젠 바디(20)는,
    상기 등산화(2)의 상기 아웃솔(2b) 전면 바닥부에 배치되는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상기 아웃솔(2b) 후면 바닥부에 배치되는 리어 아이젠 바디(26) 및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26) 사이에서 상기 아웃솔(2b)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미들 아이젠 바디(24)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26)는 상기 피크 연결링(30)과 상기 아이젠 고리(21) 및 상기 밴드 고리(12)에 의해 상기 아이젠 착용 밴드(10)에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26) 사이는 메탈 와이어 형태의 연결 고리(4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아이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24) 및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26)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 고리(40) 중에서 적어도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2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고리(40)는 일단부의 고리부(CP)가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에 연결된 제1연결 고리(42)와 일단부의 고리부(CP)가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24)에 연결된 제2연결 고리(44)를 포함하며, 내부에 양면으로 연통된 고리 결합 지지홀(36)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에 상기 제1연결 고리(42)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부(CP)와 상기 제2연결 고리(44)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부(CP)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결 고리(42)와 상기 제2연결 고리(44)가 일정 각도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피크 연결링(30BT);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아이젠.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연결링(30,30BT)은 한 쌍의 마주하는 양단 링편(32)과 한 쌍의 마주하는 사이드 링편(34)이 일체형으로 이어진 폐루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이 상기 양단 링편(32)과 상기 사이드 링편(34)의 내측면 안쪽에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아이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는 전후단 사이를 잇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에 한 쌍의 고리 연결홀(CH)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 고리(42)는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의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일단부의 고리부(CP)가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의 상기 고리 연결홀(CH)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연결 고리(42)의 타단부에 형성된 상기 고리부(CP)는 상기 피크 연결링(30BT)의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24)는 전후단 사이를 잇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에 한 쌍의 고리 연결홀(CH)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 고리(44)는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24)의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일단부의 고리부(CP)가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24)의 상기 고리 연결홀(CH)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연결 고리(44)의 타단부에 형성된 상기 고리부(CP)는 상기 제1연결 고리(42)부의 상기 고리부(CP)를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피크 연결링(30BT)의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에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아이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연결링(30BT)의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의 내측면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양단 내측면과 서로 마주하는 사이드 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연결 고리(42)와 상기 제2연결 고리(44)의 상기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부(CP)들의 내주면이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의 상기 사이드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당겨지는 힘이나 상기 사이드 내측면에서 이격되도록 밀리는 힘이 작용할 때에 상기 제1연결 고리(42)와 상기 제2연결 고리(44)의 상기 고리부(CP)들이 일정 거리 중첩부가 확보될 수 있는 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아이젠.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연결링(30,30BT) 내부의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37)가 구비되어, 상기 돌기(37)에 의해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리 가변 수용홀(36H)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아이젠.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연결링(30,30BT) 내부의 고리 결합 지지홀(36)의 내측면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양단 내측면과 서로 마주하는 사이드 내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내측면에 돌기(37)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37)에 의해 적어도 한 쌍의 고리 가변 수용홀(36H)이 상기 고리 결합 지지홀(36)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37) 사이에 확보된 폭은 상기 아이젠 바디(20)와 상기 착용 밴드(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고리 가변 수용홀(36H)에 끼워지는 밴드 고리(12)와 아이젠 고리(21)의 외경보다 더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아이젠.
  9. 제2항에 있어서,
    일정 두께와 면적의 금속판(52)을 마련하고, 상기 금속판(52)에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리어 아이젠 바디(26) 및 미들 아이젠 바디(24)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할 때에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26) 및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24)의 영역을 벗어난 영역을 프레스 가공하여 피크 연결링(30,30BT)을 동시에 형성하며,
    상기 피크 연결링(30,30BT)은 일정 두께의 상기 금속판(52)을 따내는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한 쌍의 마주하는 사이드 링편(34)과 한 쌍의 마주하는 양단 링편(32)이 일체형으로 이어진 폐루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아이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26) 및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24)에 측방으로 스파이크(28)가 돌출되며, 상기 스파이크(28)를 절곡시켜서 상기 프론트 아이젠 바디(22)와 상기 리어 아이젠 바디(26) 및 상기 미들 아이젠 바디(24)를 각각 스파이크(28)가 아래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아이젠.
KR1020140102232A 2014-08-08 2014-08-08 등산용 아이젠 KR101744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32A KR101744062B1 (ko) 2014-08-08 2014-08-08 등산용 아이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32A KR101744062B1 (ko) 2014-08-08 2014-08-08 등산용 아이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14A true KR20160018114A (ko) 2016-02-17
KR101744062B1 KR101744062B1 (ko) 2017-06-07

Family

ID=5545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232A KR101744062B1 (ko) 2014-08-08 2014-08-08 등산용 아이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0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7378A3 (en) * 2016-08-26 2018-10-18 Snowline Co., Ltd. Crampons provided with spikes
KR20190123026A (ko) * 2018-04-23 2019-10-31 최진홍 아이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584B1 (ko) 1998-04-17 2000-08-01 윤시태 등산용 아이젠
KR100394918B1 (ko) 2001-07-12 2003-08-19 남경호 등산용 아이젠
KR100432591B1 (ko) 2001-06-11 2004-05-27 이영숙 등산용 아이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767Y1 (ko) * 2005-01-19 2005-04-18 최진홍 스파이크가 설치된 체인형 아이젠
WO2010085214A1 (en) 2009-01-26 2010-07-29 Veriga K.F., D.O.O. Cramp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584B1 (ko) 1998-04-17 2000-08-01 윤시태 등산용 아이젠
KR100432591B1 (ko) 2001-06-11 2004-05-27 이영숙 등산용 아이젠
KR100394918B1 (ko) 2001-07-12 2003-08-19 남경호 등산용 아이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7378A3 (en) * 2016-08-26 2018-10-18 Snowline Co., Ltd. Crampons provided with spikes
KR20190123026A (ko) * 2018-04-23 2019-10-31 최진홍 아이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062B1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6681E1 (en) Crampons provided with spikes
EP3503757B1 (en) Crampons provided with spikes
CA2812406C (en) Traction device for footwear
US9888745B2 (en) Ice crampon with improved longitudinal adjustment
KR101744062B1 (ko) 등산용 아이젠
KR101344975B1 (ko)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KR200467300Y1 (ko) 체인타입 아이젠
KR101860064B1 (ko) 신발 밑창의 형상대로 탈부착 가능한 아이젠
KR200419977Y1 (ko) 다용도 등산화
KR101541514B1 (ko) 체인형 아이젠
KR101922505B1 (ko) 체인용 아이젠
KR20160054220A (ko) 아이젠
KR100792132B1 (ko) 체인형 아이젠
KR101460877B1 (ko) 체인형 아이젠
KR101339863B1 (ko) 아이젠
KR200299027Y1 (ko) 아이젠
JP3983196B2 (ja) 簡易アイゼン
KR200242103Y1 (ko) 신발용 체결구
JP4104521B2 (ja) 軽アイゼン
JP3203527U (ja) アイゼン・カンジキの靴装着用取り付け具
JP2004121370A (ja) 簡易アイゼン
KR200484423Y1 (ko) 도시형 아이젠
KR200343137Y1 (ko) 휴대용 아이젠
KR20150080988A (ko) 미끄럼방지용 신발밑창제조방법의 구조형성
KR200440963Y1 (ko) 체인형 아이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