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883A - 토사 유실 방지 블록 - Google Patents

토사 유실 방지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883A
KR20160017883A KR1020140101428A KR20140101428A KR20160017883A KR 20160017883 A KR20160017883 A KR 20160017883A KR 1020140101428 A KR1020140101428 A KR 1020140101428A KR 20140101428 A KR20140101428 A KR 20140101428A KR 20160017883 A KR20160017883 A KR 20160017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oil
block
discharge
in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열
Original Assignee
이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열 filed Critical 이진열
Priority to KR102014010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883A/ko
Publication of KR20160017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6Earth-fill dams; Rock-fill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은 해안가 등에 다수 개가 결합 설치되는 토사 유실 방지 볼록에 있어서, 상기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전면에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전면 중 상기 유입공과 떨어진 상기 유입공의 아래쪽 부분에는 전방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내부 중에서 상기 유입공과 상기 전방 배출공 사이 부분에는 좌우 방향으로 뻗는 분리대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공과 상기 전방 배출공 모두와 통하고 상기 분리대의 상면과 하면 및 후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진 수로공간이 상기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후면의 하부에는 토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로공간의 후방 내측면의 하부에는 후방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토사 구멍과 상기 후방 배출공 사이에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사 유실 방지 블록 {BLOCK FOR PREVENTING CARRYING AWAY SANDS}
본 발명은 토사 유실 방지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안가에 설치되어 방파제 및 해안 침식 방지 구조물 역할을 수행하는 토사 유실 방지 블록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인 지구 온난화와 이상 기후로 인한 남극과 북극의 해빙으로 인해 해수면이 증가함으로써 토사가 파도에 쓸려가서 유실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해안이 침식되어 국토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현존하고 있다.
해안 침식으로 인해 해수욕장의 백사장이 사라지기도 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해안가 도로마저 유실되고 있는 실정이며, 공동주택까지도 피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해안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토사 유실 방지 효과가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세워 침식을 막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토사 유실 방지에 유용한 구조물로서 사용할 만한 것이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종래에도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럭"이 개발되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49984호로서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블럭의 전면 선단 영역으로부터 타단을 향한 일정한 구간에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밀려오는 파도를 안내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블럭의 타단 영역구간에서 내측을 향한 일정한 깊이의 제 1 원호와, 상기 제 1 원호로부터 상측을 향한 제 1 경사벽으로 이루어져 밀려 들어왔다 상승되어 돌아나가는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력감쇠부와,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 1 경사벽을 포함한 상기 파력감쇠부의 표면에서 일정한 두께로 고착되어 상기 경사면과 제 1 경사벽과 상기 파력감쇠부의 표면이 파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소섬유와 아라미드섬유와 유리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표면경도강화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럭은 해안가의 옹벽에 시공되어 옹벽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으나, 너울성 파도를 직접 감쇄시킬 수 없어서 해안가의 모래가 반출되는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해안가에 설치되어 방파제 및 해안 침식 방지 구조물 역할을 수행하는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은 해안가 등에 다수 개가 결합 설치되는 토사 유실 방지 볼록에 있어서, 상기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전면에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전면 중 상기 유입공과 떨어진 상기 유입공의 아래쪽 부분에는 전방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내부 중에서 상기 유입공과 상기 전방 배출공 사이 부분에는 좌우 방향으로 뻗는 분리대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공과 상기 전방 배출공 모두와 통하고 상기 분리대의 상면과 하면 및 후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진 수로공간이 상기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후면의 하부에는 토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로공간의 후방 내측면의 하부에는 후방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토사 구멍과 상기 후방 배출공 사이에는 배출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로공간의 후면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뒤쪽으로 더 들어갔다가 다시 나오는 곡면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공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전방 배출공의 상하 길이의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공과 상기 전방 배출공은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토사 구멍과 상기 후방 배출공 및 상기 배출통로는 좌우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통로는 뒤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대의 전면과 상면 사이의 모퉁이부와 상면과 후면 사이의 모퉁이부 및 후면과 하면 사이의 모퉁이부는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안가의 일정 위치에 수직 및 수평으로 다수 개를 이어붙이고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하여 구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토사가 해수면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쓰나미와 같은 해일도 방어할 수 있다.
또한, 파도를 효과적으로 잠재울 뿐 아니라 해안에서 파도를 타고 밀려오는 모래 등은 뒤쪽으로 빠져서 쌓이게 하고 물은 앞쪽으로 방출시킴으로써 해안 침식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구조물은 해안 방파제와 강 하구 및 축대 등 토사 유실이 심한 곳 어디에나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길이와 넓이에 사용 제한이 없으며, 마루리 상단부와 블록 사이에 흙을 채워서 자연 친화적인 화분과 같은 효과를 창출할 수 있고, 해안에서 밀려오는 해사가 블록과 블록 사이와 해안가에 채워지게 하여 넓은 백사장을 만들며, 30∼80m 정도 떨어진 해안 멀리 수중에 설치 시 수중보 역할을 톡톡히 하며 해안 저지대에는 해일 등을 맞받아치는 역할을 하여 큰 파도를 잠재우는 역할을 하여 자연 재해로부터 인명 및 국민의 소중한 재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A-A'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사 유실 방지 블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유실 방지 블록(100)은 콘트리트 블록으로서, 전후 길이, 좌우 너비 및 높이가 각각 1m인 정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블록의 크기는 현지에 맞게 적당한 수치로 변경할 수 있다.
토사 유실 방지 블록(100)과 토사 유실 방지 블록(100)의 연결은 토사 유실 방지 블록(100)의 외측면 귀퉁이에 볼트 구멍이 있어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볼트로 고정할 수 있게 하여 한 면 당 4개의 볼트를 이용한 고정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토사 유실 방지 블록(100)의 전면의 상부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유입공(110)이 형성되고, 토사 유실 방지 블록(100)의 전면의 하부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전방 배출공(120)이 형성된다.
유입공(100)의 가장자리는 토사 유실 방지 블록(100)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10cm, 좌우측단 가장자리로부터 10cm 떨어져 있고, 유입공(100)은 좌우 폭 80cm, 높이 40cm의 크기를 가진다.
전방 배출공(120)의 가장자리는 토사 유실 방지 블록(100)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10cm, 좌우측단 가장자리로부터 10cm 떨어져 있고, 전방 배출공(120)은 좌우 폭은 유입공(100)과 동일한 80cm, 높이는 유입공(100)의 절반에 못미치는 15cm의 크기를 가진다.
유입공(100)과 전방 배출공(120) 사이에는 분리대(130)가 위치한다.
유입공(100)의 높이는 전방 배출공(120)의 높이의 2.5배가 넘기 때문에 파도를 치며 밀려오는 바닷물의 대부분은 전방 배출공(120)이 아닌 유입공(100)을 통해 수로공간(140)에 유입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로공간(140)은 전면이 유입공(100)과 전방 배출공(120)과 직접적으로 통하고, 분리대(130)는 토사 유실 방지 블록(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토사 유실 방지 블록(100)의 내부 중에서 맨 앞쪽 부분의 유입공(100)과 전방 배출공(120) 사이에 위치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는 형태의 부재인데, 수로공간(140)이 분리대(130)을 위, 아래 및 뒤쪽에서 감싸는 형태를 가진다.
수로공간(140)을 타고 흐르는 해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분리대(130)의 전면과 상면 사이의 모퉁이부와 상면과 후면 사이의 모퉁이부 및 후면과 하면 사이의 모퉁이부는 둥글게 처리된다.
수로공간(140)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면이 곡면을 형성하여 상하 높이의 중간 부분이 뒤쪽으로 제일 밀려나있도록 볼록하게 튀어나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유입공(100)으로부터 유입된 해수가 수로공간(140)과 접하고 있는 곡면 형태의 벽체를 타고 안내되어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꺾어져서 흐르다가 다시 곡면 형태의 벽체에 부딪혀서 앞쪽으로 꺾어져 흘러서 전방 배출공(120)을 통해 앞쪽으로 빠져나오도록 구성된다.
수로공간(140)에 들어온 해수에 포함된 토사는 해수가 수로공간(140) 내에서 가라앉다가 토사구멍(150)에 유입되어 배출통로(170)을 통해 후방 배출공(160)을 통해 토사 유실 방지 블록(100)의 뒤쪽으로 빠져나가 토사 유실 방지 블록(100)의 뒤에 쌓이게 된다. 토사는 해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해수와 함께 전방 배출공(120)까지 이동되는 토사는 극히 일부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토사는 토사구멍(150)으로 유입되어 후방 배출공(160)을 통해 토사 유실 방지 블록(100)의 뒤쪽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토사 구멍(15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로공간(140)의 하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 개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토사 구멍(150)과 직접 통하는 배출통로(170) 및 배출통로(170)의 후단 구멍인 후방 배출공(160)도 세 개가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토사 구멍(150)은 수로공간(140)의 하단부와 직접 통하는 구멍이며, 배출통로(170)는 토사구멍(150)에서 후방배출공(160)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구조물은 육지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비교적 수심이 얕은 해저면 위에 설치한다.
파도가 유입공(110)을 통해 수로공간(140)에 들어가면 유속과 중력, 회전력에 의해 전방 배출공(120)을 통해 앞쪽으로 빠져나오게 되며, 몰려드는 파도를 파쇄, 분산 및 회류하게 하여 계속 몰려오는 파도에 대해 맞대응하는 방파제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후방부의 세 개의 배출통로(170)는 파도물과 함께 실려온 모래를 뒤쪽의 후방 배출공(160)을 통해 블록의 뒤로 배출시키도록 하여 해안가와 블록, 블록과 블록 사이로 토사가 축적되게 함으로써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더 견고해지고 토사 유실에 따른 해안 침식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설치 시 파도를 분산 및 파쇄하여 바다로 회류시키며 회류 시 모래는 구조물 안으로 들어와 구조물 뒤편의 해안으로 축적된다.
또한, 해일, 쓰나미와 같이 크고 거대한 파도는 회류하는 파도가 몰려오는 파도를 파쇄, 분산 및 회류시켜 맞받아침으로써 해일, 쓰나미의 발목을 잡는 수중보 역할을 하여 해안과 육지의 피해를 최소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은 파도를 유속과 중력, 회전력으로 2노트의 유속을 4∼5노트의 유속으로 배가시켜 몰려오는 파도를 파쇄, 분산, 회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토사 유실 방지 블록 110 : 유입공
120 : 전방 배출공 130 : 분리대
140 : 수로공간 150 : 토사구멍
160 : 후방배출공 170 : 배출통로

Claims (6)

  1. 해안가 등에 다수 개가 결합 설치되는 토사 유실 방지 볼록에 있어서,
    상기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전면에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전면 중 상기 유입공과 떨어진 상기 유입공의 아래쪽 부분에는 전방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내부 중에서 상기 유입공과 상기 전방 배출공 사이 부분에는 좌우 방향으로 뻗는 분리대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공과 상기 전방 배출공 모두와 통하고 상기 분리대의 상면과 하면 및 후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진 수로공간이 상기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사 유실 방지 블록의 후면의 하부에는 토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로공간의 후방 내측면의 하부에는 후방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토사 구멍과 상기 후방 배출공 사이에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유실 방지 블록.
  2. 제1항에서,
    상기 수로공간의 후면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뒤쪽으로 더 들어갔다가 다시 나오는 곡면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유실 방지 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유입공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전방 배출공의 상하 길이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유실 방지 블록.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유입공과 상기 전방 배출공은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토사 구멍과 상기 후방 배출공 및 상기 배출통로는 좌우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유실 방지 블록.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배출통로는 뒤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유실 방지 블록.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분리대의 전면과 상면 사이의 모퉁이부와 상면과 후면 사이의 모퉁이부 및 후면과 하면 사이의 모퉁이부는 라운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유실 방지 블록.
KR1020140101428A 2014-08-07 2014-08-07 토사 유실 방지 블록 KR20160017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428A KR20160017883A (ko) 2014-08-07 2014-08-07 토사 유실 방지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428A KR20160017883A (ko) 2014-08-07 2014-08-07 토사 유실 방지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883A true KR20160017883A (ko) 2016-02-17

Family

ID=5545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428A KR20160017883A (ko) 2014-08-07 2014-08-07 토사 유실 방지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8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8805A (en) Breakwater module and means for protecting a shoreline therewith
US6059490A (en) Hydraulic energy dissipating offset stepped spillway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sing the same
JP2008531878A (ja) 環境親和型親水護岸ブロック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266152B1 (ko) 어집 기능을 갖는 투과성 잠제블럭
US4834578A (en) Energy-dissipating overflow-type protection system on dikes and/or jetties
KR100870034B1 (ko) 라운드 개비온
KR100570921B1 (ko) 교각기초부분의 세굴방지구조
KR20160017883A (ko) 토사 유실 방지 블록
KR101713170B1 (ko) 복합형 파랑에너지 저감 연안 시설물
KR101170789B1 (ko) 친환경 복합 사방댐
JP2005220610A (ja) 連流型スリット砂防ダム
KR20210141134A (ko) 파도의 파력을 해저로 분산시키는 방파제 설치기술
RU2528191C1 (ru) Модульная берегозащит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101797950B1 (ko) 파괴식 파랑에너지 저감 연안 시설물
JP5427867B2 (ja) 津波対策用岸辺構造
KR100603498B1 (ko) 택지에 인접하는 비탈면용 제방의 하천에서 유수 보호구조물
KR101529176B1 (ko) 원형의 마이크로 블록형 사방댐
US3890790A (en) Anti-heave protective system
KR101855856B1 (ko) 쇄파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049984A (ko) 파력 감쇠를 통한 해안침식방지 블록
JP2022062432A (ja) 潜堤構造物
SU1172982A1 (ru) Берегозащи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KR20090076290A (ko) 홍수의 유속 방향을 변환하는 하천 만곡부의 급류를유도하기 위한 제방
KR101857602B1 (ko) 다기능 소파블록 구조
KR100645315B1 (ko) 하천 제방블록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