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368A -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 Google Patents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368A
KR20160017368A KR1020140100568A KR20140100568A KR20160017368A KR 20160017368 A KR20160017368 A KR 20160017368A KR 1020140100568 A KR1020140100568 A KR 1020140100568A KR 20140100568 A KR20140100568 A KR 20140100568A KR 20160017368 A KR20160017368 A KR 20160017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
flame
microvoids
building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수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수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수지
Priority to KR1020140100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368A/ko
Publication of KR2016001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벽이나 천장 부위 또는 바닥 부위와 같이 단열이 요구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내에 습기를 머금은 공기(습한공기)는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하면서 외부의 찬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5mm 미만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하여 단열 성능을 유지하면서 실내의 습한공기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FIRE RETARDANT INSULAT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HAVING MULTIPLE MICRO VENT FOR DEW CONDENSATION PREVEN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벽이나 천장 부위 또는 바닥 부위와 같이 단열이 요구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내에 습기를 머금은 공기(습한공기)는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하면서 외부의 찬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5mm 미만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하여 단열 성능을 유지하면서 실내의 습한공기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열을 차단하거나 내부의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다. 단열재는 열의 이동을 감소시켜 열의 손실이나 열 획득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표면 온도 강화로 나타나는 표면 결로를 방지하고, 냉난방이 필요 없거나 불가능할 때 실내 온도의 변동을 줄여준다. 또한 수분이 유입되는 침윤과 습기가 스며드는 투습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건축물 단열재로는 통상적으로 가공 및 가격 측면에서 다른 단열재에 비해 우수한 스티로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스티로폼은 발포성 합성수지로서 건축물의 내·외벽 또는 천장이나 바닥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방음과 단열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단열재로 사용되는 기존의 스티로폼은 방음 및 단열 측면에서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내·외기의 온도차에 기인한 결로를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스티로폼 단열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복합 단열재가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18758호(등록일: 2006. 06. 07.),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09418호(등록일: 2006. 02. 15.),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39817호(공개일: 2014. 04. 02.),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29648호(등록일: 2006. 10. 19.)외 다수의 문헌이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 문헌들을 포함하여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따른 단열재들은 발포성 합성수지의 표면에 방습 기능을 갖는 재료, 예를 들면 몰탈, 투습 필름층 등을 도포(또는 부착)하는 방식을 취하거나, 단열재 간의 결합 부위를 견고하게 하여 외부의 습기가 결합부위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단열재들은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성 합성수지의 표면에 방습재료를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번거롭고, 단가가 상승하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실내에서 생성되는 습기를 머금은 공기, 즉 습한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마감재에 부착되는 벽지에 결로가 발생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14511호(등록일: 2006. 08. 14.)에서는 내·외기의 온도차를 줄이기 위해 고분자 섬유로 성형하여 전체에 걸쳐 통기구조가 형성된 단열재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고분자 섬유제 통기구조 단열재는 제조가 어렵고, 제품 단가가 비싸 가격 경쟁력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재질 특성상 습기가 단열재 내부로 쉽게 침투하여 오히려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제품 단가의 상승을 최소화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시공이 용이하고,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또는, 단열 성능의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실내에 존재하는 습한공기만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단열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KR 20-0418758 Y1, 2006. 06. 07. KR 20-0409418 Y1, 2006. 02. 15. KR 10-2014-0039817 A, 2014. 04. 02. KR 20-0429648 U, 2006. 10. 19. KR 10-0614511 B1, 2006. 08. 14.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시공이 용이하고, 단열 성능을 동일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실내에 존재하는 습한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실내의 습한공기로 인한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의 습한공기를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동시에 외부의 찬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5mm 미만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하여 단열 성능을 유지하면서 실내의 습한공기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벽이나 천장 또는 바닥 부위에 부착되고 난연성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구조체로서, 다수의 미세 통기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은 각각 0.5mm 내지 5mm에서 선택된 크기를 가지고, 이웃하는 미세 통기공들 간의 간격은 1cm 내지 15cm에서 선택된 이격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벽이나 천장 또는 바닥 부위에 부착되고 난연성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된 접착몰탈 또는 부직포; 를 포함하되, 상기 구조체는 다수의 미세 통기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은 각각 2mm 내지 15mm에서 선택된 크기를 가지고, 이웃하는 미세 통기공들 간의 간격은 1cm 내지 15cm에서 선택된 이격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 각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특정 패턴 중 선택된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 각각은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에서 상기 타측면으로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거나,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에서 상기 타측면으로 사선으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 각각은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거나,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는 경사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 각각은 상기 구조체 내에서 서로 동일 크기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 각각은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은 상기 구조체 내에서 다행 다열로 배치되어 있거나, 상기 구조체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거나, 상기 구조체 내에서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난연성 스티로폼은 유기질 또는 무기질의 난연성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혼합 또는 코팅된 스티로폼으로서, 상기 유기질 난연성 재료로는 에폭시수지, 아미노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우레탄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이고, 상기 무기질 난연성 재료로는 카본 블랙,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난연성 단열재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하는 5mm 미만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실내의 습한공기는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하면서 외부의 찬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동일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습한공기에 의한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내·외벽이나 천장 또는 바닥 부위에 부착되고 난연성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구조체와, 상기 구조체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된 접착몰탈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는 다수의 미세 통기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은 각각 2mm 내지 15mm에서 선택된 크기를 가지고, 이웃하는 미세 통기공들 간의 간격은 1cm 내지 15cm에서 선택된 이격거리를 갖는 단열재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하는 11mm 미만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실내의 습한공기는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하면서 외부의 찬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동일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습한공기에 의한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의 미세 통기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미세 통기공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통기공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가 건축물의 내벽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의 미세 통기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미세 통기공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는 건축물의 내·외벽이나 천장 또는 바닥 부위에 부착되는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에는 실내에 존재하는 습한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된 다수의 미세 통기공(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미세 통기공(11)이 형성된 구조체는 육면체 또는 다면체로 규격화되어 제작된 후 건축물의 내·외벽이나 천장 부위, 또는 바닥 부위와 같이 부착(설치)되는 장소의 구조 및 형상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는 난연성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난연성 스티로폼은 유기질 또는 무기질의 난연성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혼합 또는 코팅된 스티로폼을 의미한다.
상기 유기질 난연성 재료로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예를 들면, 에폭시수지, 아미노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우레탄수지 등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열경화성 수지는 난연성을 갖는 공지된 열경화성 수지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질 난연성 재료로는 카본 블랙,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난연성을 갖는 공지된 무기질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스티로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스티로폼의 원료를 발포 믹서기에 주입한 후 상기 발포 믹서기를 통해 스티로폼의 원료를 발포하여 발포체를 제조한다. 그런 다음, 상기 발포체를 건조기로 투입시켜 건조한 후 일정시간 숙성한다. 그런 다음, 숙성된 발포체가 채워진 코팅 믹서기에 상기 난연성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투입하여 혼합한 다음 건조기를 통해 건조한다. 그런 다음, 다시 일정시간 숙성시킨 후 성형한 다음,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제조를 완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는 일측면 및/또는 타측면이 평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구조체가 평면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다양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결 형상, 사다리 형상, 사각 형상, 마름모 형상, 반구 형상 또는 삼각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미세 통기공(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미세 통기공(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실내에 존재하는 습한공기는 미세 통기공(1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면서 외부의 찬공기가 미세 통기공(11)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5mm 미만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미세 통기공(11) 각각의 크기(d)는 0.5mm 내지 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mm 내지 3mm에서 선택된 크기로 형성한다.
미세 통기공(11)이 원형인 경우 미세 통기공(11)의 크기(d)는 지름에 해당하고, 이때, 미세 통기공(11)의 지름을 5m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외부의 찬공기가 미세 통기공(11)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어 단열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실질적으로, 미세 통기공(11)을 5m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단열재의 단열 특성을 확인한 결과 미세 통기공(11)이 5mm 미만으로 형성할 때보다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통기공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 통기공(11)은 원형 이외에, 타원형,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또는 특정 패턴(별 형상, 십자가 형상 등)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세 통기공(11)을 다각형 또는 특정 패턴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다각형 또는 상기 특정 패턴은 다각형 또는 특정 패턴이 5mm 미만의 지름을 갖는 원안에 내접하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미세 통기공(11)은 이웃하는 미세 통기공(11) 간의 간격이 1cm 미만으로 간격이 좁은 경우 구조체에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천공하는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미세 통기공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이웃한 것끼리 서로 연통되어 통기공의 크기가 5mm 이상으로 확장되어 외부의 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미세 통기공(11) 간의 간격을 15cm 이상으로 넓게 형성하는 경우 규격화되어 제조되는 구조체에서 형성되는 미세 통기공(11)의 밀도(개수)가 낮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공기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결로를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미세 통기공(11) 간의 간격(L1, L2)은 이웃하는 것끼리 1cm 내지 15cm로 이격되도록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2cm 내지 10cm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미세 통기공(11) 각각은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수평으로 관통 형성한다. 즉, 다수의 미세 통기공(11) 각각은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수평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다수의 미세 통기공(11) 각각은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사선으로 관통 형성하여 미세 통기공(11)이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동일 구조체 내에서 다수의 미세 통기공(11)은 서로 동일 크기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미세 통기공(11) 각각은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거나,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는 경사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미세 통기공(11)은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서 다른 부위에 비해 크기가 감소되어 대략 뾰족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미세 통기공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구조체 내에서 다행다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조체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체 내에서 불규칙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는 적어도 일면, 바람직에는 콘크리트 벽면에 부착되는 일면의 전면을 덮도록 접착몰탈 또는 부직포가 부착되어 하나의 단일 제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의 일면에 부착되는 접착몰탈 또는 부직포는 재질 및 구조적인 특성상 다수의 숨구멍이 존재함에 따라 접착몰탈 또는 부직포를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하는 경우에도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의 미세 통기공(11)을 통해 습한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면서 외부의 찬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몰탈 또는 부직포가 부착되는 경우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에 형성된 미세 통기공(11)이 일부 매립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의 일면에 접착몰탈 또는 부직포가 부착되는 경우, 접착몰탈 또는 부직포가 부착되지 않은 단열재보다 미세 통기공(11)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의 일면에 접착몰탈 또는 부직포가 부착되어 단일 제품으로 제작되는 경우 2mm 내지 15mm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접착몰탈 또는 부직포는 통기성과 친수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몰탈은 스티로폼 전용 시멘트 혼합용 접착몰탈, 타일 전용 시멘트 혼합용 접착몰탈, 단열 시멘트 혼합용 접착몰탈, 시멘트 무함유 접착몰탈, 시멘트 무함유 단열 접착몰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의 사용예를 도 7 및 도 8을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가 건축물의 내벽에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례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의 일측면은 건축물의 내벽(W)에 접착제(2), 예를 들면 G2 본드를 통해 부착된다.
그리고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의 타측면에는 마감재(1), 예를 들면 석고보드가 접착제(2)를 통해 부착된다. 이때,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은 접착제(2)에 의해 내벽(W)과 마감재(1)와 대략 2cm 내지 5cm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접착제(2)는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접착될 때 다수의 미세 통기공(11)이 매립되지 않도록 미세 통기공(1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구조체에 접착된다.
도 8과 같이, 건축물 내벽(W) 측은 외부에서 차가운 외기가 전달되어 기온이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건축물의 실내에 해당하는 마감재(1)의 내측에는 기온이 올라가 건축용 단열재(10)를 사이에 두고 건축물의 내벽(W)과 실내에는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차에 의해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를 중심으로 실내와 건축물 내벽(W) 사이에는 기압차가 발생되고, 이러한 기압차로 인해 대류작용이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실내의 습기를 머금은 따뜻한 공기, 즉 습한공기는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의 다수의 미세 통기공(11)을 통해 건축물 내벽(W)으로 배출된다. 이때,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는 그 재료적인 특성상 실내에서 발생된 열이 내부에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미세한 크기로 형성된 미세 통기공(11)의 내부는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의 내부에 머금은 열에 대응하는 온도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난연성 건축물 내벽(W) 측에서 존재하는 찬공기가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에 충진된 열에 대응하는 온도를 갖는 미세 통기공(11)을 통해 실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차단되어 단열 성능은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의 다수의 미세 통기공(11)을 통해 실내의 습한공기는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결로는 방지하면서, 건축물 내벽(W)의 찬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자연적으로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동일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10)는 건축물 내벽용 단열재뿐만 아니라, 외벽용 단열재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외벽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몰탈이 전면에 도포됨에 따라 미세 통기공(11)이 일부 매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용 단열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공시 다수의 미세 통기공(11)이 일부 매립되는 것을 감안하여 내벽에 부착되는 단열재에 비해 미세 통기공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 : 건축물 내벽
1 : 석고보드(마감재)
2 : 접착제
10 :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11 : 미세 통기공

Claims (9)

  1. 건축물의 내·외벽이나 천장 또는 바닥 부위에 부착되고 난연성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구조체로서, 다수의 미세 통기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은 각각 0.5mm 내지 5mm에서 선택된 크기를 가지고, 이웃하는 미세 통기공들 간의 간격은 1cm 내지 15cm에서 선택된 이격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2. 건축물의 내·외벽이나 천장 또는 바닥 부위에 부착되고 난연성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된 접착몰탈 또는 부직포; 를 포함하되,
    상기 구조체는 다수의 미세 통기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은 각각 2mm 내지 15mm에서 선택된 크기를 가지고, 이웃하는 미세 통기공들 간의 간격은 1cm 내지 15cm에서 선택된 이격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 각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특정 패턴 중 선택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 각각은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에서 상기 타측면으로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거나,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에서 상기 타측면으로 사선으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 각각은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거나,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는 경사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 각각은 상기 구조체 내에서 서로 동일 크기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 각각은 상기 구조체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미세 통기공은 상기 구조체 내에서 다행 다열로 배치되어 있거나, 상기 구조체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거나, 상기 구조체 내에서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스티로폼은 유기질 또는 무기질 난연성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혼합 또는 코팅된 스티로폼으로서, 상기 유기질 난연성 재료로는 에폭시수지, 아미노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우레탄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이고, 상기 무기질 난연성 재료로는 카본 블랙,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KR1020140100568A 2014-08-05 2014-08-05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KR20160017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568A KR20160017368A (ko) 2014-08-05 2014-08-05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568A KR20160017368A (ko) 2014-08-05 2014-08-05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368A true KR20160017368A (ko) 2016-02-16

Family

ID=5544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568A KR20160017368A (ko) 2014-08-05 2014-08-05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3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0287A (zh) * 2017-06-02 2017-08-29 安徽瑞联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内墙用岩棉保温板
KR20220164138A (ko) 2021-06-04 2022-12-13 (주) 제로하우스 오버랩 결합방식 준불연성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418Y1 (ko) 2005-12-01 2006-02-22 주식회사 삼양수지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
KR200418758Y1 (ko) 2006-04-03 2006-06-13 주식회사 삼양수지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KR100614511B1 (ko) 2004-10-13 2006-08-25 고두헌 고분자섬유제 통기구조단열재와 관통공을 갖는 고정부재가결합된 현장 시공 구조체와, 대벽면 순간고정과 동시영구접착 시작을 위한 시공 방법
KR200429648Y1 (ko) 2006-07-21 2006-10-25 이원호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
KR20140039817A (ko) 2012-09-25 2014-04-02 주식회사 에스앤피 투습 및 결로 제어 성능을 갖는 벽지용 단열재 그리고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511B1 (ko) 2004-10-13 2006-08-25 고두헌 고분자섬유제 통기구조단열재와 관통공을 갖는 고정부재가결합된 현장 시공 구조체와, 대벽면 순간고정과 동시영구접착 시작을 위한 시공 방법
KR200409418Y1 (ko) 2005-12-01 2006-02-22 주식회사 삼양수지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
KR200418758Y1 (ko) 2006-04-03 2006-06-13 주식회사 삼양수지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KR200429648Y1 (ko) 2006-07-21 2006-10-25 이원호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
KR20140039817A (ko) 2012-09-25 2014-04-02 주식회사 에스앤피 투습 및 결로 제어 성능을 갖는 벽지용 단열재 그리고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0287A (zh) * 2017-06-02 2017-08-29 安徽瑞联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内墙用岩棉保温板
CN107100287B (zh) * 2017-06-02 2020-04-24 安徽瑞联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内墙用岩棉保温板
KR20220164138A (ko) 2021-06-04 2022-12-13 (주) 제로하우스 오버랩 결합방식 준불연성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9107B2 (en) Building membrane with porou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11893970B2 (en) Acoustic panel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m
KR101494707B1 (ko) 다수의 투습공을 구비한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ES2598304T3 (es) Estructura multifuncional y método para su fabricación
KR20160017368A (ko)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US20120210665A1 (en) Fireproof Panel Equipped with Coupling Ho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ld for the Fireproof Panel
KR20160125930A (ko) 단열과 방습 특성을 가진 발포 초배지
KR101515565B1 (ko) 건축패널
JP2021516735A (ja) 裏面換気建物ファサード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556012B1 (ko) 단열보드
KR101218326B1 (ko) 열반사 단열재
CA2887481A1 (en) Building membrane with porou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KR20160000365U (ko)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건축용 단열재
KR20160008072A (ko)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건축용 단열재
KR102038686B1 (ko)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WO2014205502A1 (en) Building membranes
KR101482020B1 (ko) 통기성을 갖는 건축물 외벽 단열용 실리콘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외단열 시공방법
KR100973169B1 (ko) 건축용 단열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96452B1 (ko) 건축용 단열재의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공 가공장치
KR101841884B1 (ko)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
JPH0248696B2 (ja) Jutakunosotobaridannetsukoho
KR101841885B1 (ko)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PL233158B1 (pl) Warstwowa płyta izolacyjna
KR200394319Y1 (ko) 건축용 스티로폼 패널
KR102142863B1 (ko) 건축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