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885B1 -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885B1
KR101841885B1 KR1020170154364A KR20170154364A KR101841885B1 KR 101841885 B1 KR101841885 B1 KR 101841885B1 KR 1020170154364 A KR1020170154364 A KR 1020170154364A KR 20170154364 A KR20170154364 A KR 20170154364A KR 101841885 B1 KR101841885 B1 KR 101841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
pipe
tube
ventilatio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래
Original Assignee
이명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래 filed Critical 이명래
Priority to KR102017015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5Details of the adhesive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45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with ventilation means for the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내에 습기를 머금은 습한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된 미세 통기공의 내부에 미세 통기관을 삽입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항상 상기 미세 통기공의 직경을 균일하게 유지시켜 건축물 외벽체에 설치된 후 장기간 사용하여도 안정적으로 습한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곰팡이 및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EXTERIOR INSULATION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OUTSIDE INSULAT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HAVING MULTIPLE MICRO VENT PIPE FOR PREVENTING MOLD AND DEW CONDENSA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내에 습기를 머금은 습한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된 미세 통기공의 내부에 미세 통기관을 삽입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항상 상기 미세 통기공의 직경을 균일하게 유지시켜 건축물 외벽체에 설치된 후 장기간 사용하여도 안정적으로 습한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곰팡이 및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열을 차단하거나 내부의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다. 단열재는 열의 이동을 감소시켜 열의 손실이나 열 획득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표면 온도 강화로 나타나는 표면 결로를 방지하고, 냉난방이 필요 없거나 불가능할 때 실내 온도의 변동을 줄여준다. 또한 수분이 유입되는 침윤과 습기가 스며드는 투습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건축물 단열재로는 통상적으로 가공 및 가격 측면에서 다른 단열재에 비해 우수한 스티로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스티로폼은 발포성 합성수지로서 건축물의 내·외벽 또는 천장이나 바닥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방음과 단열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단열재로 사용되는 기존의 스티로폼은 방음 및 단열 측면에서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내·외기의 온도차에 기인한 곰팡이 및 결로를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스티로폼 단열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복합 단열재가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18758호(등록일: 2006.06.07.),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09418호(등록일: 2006.02.15.),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39817호(공개일: 2014.04.02.),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29648호(등록일: 2006.10.19.)외 다수의 선행문헌들이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 선행문헌들을 포함하여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기존의 건축용 외단열재들은 발포성 합성수지의 표면에 방습 기능을 갖는 재료, 예를 들면 몰탈, 투습 필름층 등을 도포(또는 부착)하는 방식을 취하거나, 외단열재 간의 결합 부위를 견고하게 하여 외부의 습기가 결합부위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존의 건축용 외단열재들은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성 합성수지의 표면에 방습재료를 부착하는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에서는 외부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할 수는 있으나, 상기 방습재료에 의해 외벽체 내부의 잔존수 및 습기, 외벽체와 단열재 사이의 결로수 등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구조벽체 안과 밖으로 곰팡이 및 결로 발생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14511호(등록일: 2006.08.14.), 일본 공개특허 2005-105792호(공개일: 2005.04.2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8475호(등록일: 2008. 02. 1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08072호(공개일: 2016.01.21.), 대한민국 10-1494708호(등록일: 2015.02.12.)에서는 단열재를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통공/환기공/투습공)을 구비한 단열재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미세 통기공이 형성된 단열재를 제안한 종래기술에 따른 선행문헌들에서는 외단열재를 관통하도록 다수의 미세 통기공이 형성됨에 따라 실내의 습한공기는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찬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동일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습한공기에 의한 곰팡이 및 결로를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들에서는 미세 통기공을 외단열재에 형성하는 과정에서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외단열재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해 미세 통기공의 직경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거나, 혹은 장기간 사용 중에 일부 미세 통기공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실내의 습기를 머금은 습한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지 못해 곰팡이 및 결로가 여전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KR 20-0438475 Y1(등록일: 2008. 02. 11.), P3~P4, 도2~ 도4 KR 10-2016-0008072 A(공개일: 2016. 01. 21.), P6, 도1~도2 KR 10-1494708 B1(등록일: 2015. 02. 12.), P6~P7, 도1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건축용 외단열재 설치 후 장기간 사용시에도 외단열재에 형성된 미세 통기공의 직경을 균일하게 유지시켜 안정적으로 실내에 습기를 머금은 습한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곰팡이 및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외단열재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a) 건축물 외벽체에 건축용 외단열재를 부착하는 단계; (b) 상기 건축용 외단열재의 타측면에 1차 실리콘 접착 몰탈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건축용 외단열재의 타측면에 메쉬를 부착하는 동시에 2차 실리콘 접착 몰탈을 도포하는 단계; 및 (d) 도포된 2차 실리콘 접착 몰탈에 실리콘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용 외단열재는 건축물의 외벽체에 부착되고,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미세 통기공이 형성된 구조체; 및 금속관 또는 합성 수지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세 통기공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미세 통기공의 직경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미세 통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미세 통기관은 상기 건축물의 외벽체에 접하고 금속관으로 이루어진 선단관; 상기 실외측에 접하고 금속관으로 이루어진 후단관; 및 상기 선단관과 상기 후단관을 상호 연결하고 금속관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 수지관으로 이루어진 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은 상기 선단관의 후단부로 삽입되는 선단 끼움부와 상기 후단관의 선단부로 삽입되는 후단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관과 상기 후단관에는 각각 상기 미세 통기관의 직경을 조정하기 위해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직경 조정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단관과 상기 후단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직경 조정편을 상기 미세 통기관의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선단관과 상기 후단관의 외면에는 정렬눈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통기관이 길이는 상기 구조체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미세 통기관이 상기 구조체의 미세 통기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미세 통기관의 일측부가 상기 구조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구조체는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세 통기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부착되고 금속분말이 함유된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 형성된 미세 통기공과 정렬되도록 미세 통기공이 형성된 부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실리콘 접착 몰탈은 상기 구조체의 부착판과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성체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에 습기를 머금은 습한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된 미세 통기공의 내부에 미세 통기관을 삽입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항상 상기 미세 통기공의 직경을 균일하게 유지시켜 건축물 외벽체에 설치된 후 장기간 사용하여도 안정적으로 습한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곰팡이 및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단열재에 금속분말을 함유시키고, 상기 외단열재의 타측면(배면)에 부착되는 실리콘 몰탈에 자성분말을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외단열재와 상기 실리콘 몰탈 간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단열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세 통기관이 분리된 상태에서 구조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미세 통기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미세 통기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미세 통기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건축물 외단열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공정 흐름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건축물 외단열 시공방법을 통해 제조된 건축물 외단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단열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세 통기관이 분리된 상태에서 구조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단열재(10)는다수의 미세 통기공(11a)이 형성된 구조체(11)와, 미세 통기공(11a)의 내부에 삽입되어 미세 통기공(11a)의 직경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미세 통기관(12)을 포함한다.
구조체(11)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로 규격화되어 제조되고,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크기, 예를 들면, 900×600mm로 절단하여 건축물의 외벽체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체(11)는 일측면 및/또는 타측면이 평면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건축물의 외벽체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기 위해 물결 형상, 사다리 형상, 사각 형상, 마름모 형상, 반구 형상 또는 삼각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조체(11)는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구조체(11)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발포폴리스티렌(EPS)(비드법보호판 포함), 압출발포폴리스티렌(압출법보호판 포함), 발포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폴리에틸렌(PE) 또는 발포폴리우레탄(PU)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1)는 가공이 쉽고 가격이 저렴한 비드법 발포폴리스티렌 또는 압출발포폴리스티렌을 사용한다.
구조체(11)에 형성된 다수의 미세 통기공(11a)은 건축물의 실내에 존재하는 습한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외부의 찬공기가 미세 통기공(11a)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3mm~5mm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 통기관(12)은 구조체(11)에 형성된 미세 통기공(11a)의 내부에 삽입되어 미세 통기공(11a)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러한 미세 통기관(12)은 미세 통기공(11a)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는 구조체(1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하며, 미세 통기공(11a)에 삽입이 용이하면서, 미세 통기공(11a)의 형상 유지를 위해 금속관 또는 합성 수지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관으로 이루어진다.
미세 통기공(11a)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6452호(등록일: 2016.02.16.)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다수의 히터봉을 이용하여 형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히터봉에 가해지는 온도 차로 인해 미세 통기공(11a)의 직경이 서로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거나, 혹은 균일하게 형성되더라도 구조체(11)를 건축물의 외벽체에 설치한 후 장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구조체(11)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미세 통기공(11a)의 직경이 감소하거나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어 실내에 습기를 머금은 습한공기가 외부로 안정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단열재(10)는 도 2와 같이, 원형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미세 통기관(12)을 구조체(11)에 형성된 미세 통기공(11a)의 내부로 삽입시키고, 이를 통해 미세 통기공(11a)의 형상을 항상 일정(미세 통기관의 직경)하게 유지시켜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구조체(11)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해 미세 통기공(11a)의 직경이 축소되거나 막히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 통기관(12)은 미세 통기공(11a)의 내부로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미세 통기공(11a)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형상 유지를 위해 금속관 또는 강성을 갖는 합성 수지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관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미세 통기관(12)의 길이는 구조체(11)의 두께(t)보다 크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미세 통기관(12)을 구조체(11)의 미세 통기공(11a)에 삽입시키면 미세 통기관(12)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부가 구조체(11)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건축물의 외벽체에 부착시 돌출되는 일부가 건축물의 외벽체에 도포되는 실리콘 젤라몰탈 또는 스티로폼전용 젤라몰탈에 매립되어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미세 통기관(12)의 길이를 구조체(11)의 두께(t)보다 크게 형성함에 따라 일측부가 구조체(11)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건축물의 외벽체에 부착시 돌출되는 일부가 건축물의 외벽체에 도포되는 실리콘 젤라몰탈 또는 스티로폼전용 젤라몰탈에 매립되어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미세 통기관(12)의 돌출되는 길이는 구조체(11)가 건축물의 외벽체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건축물의 외벽체에 도포되는 실리콘 젤라몰탈 또는 스티로폼전용 젤라몰탈의 두께를 감안하여 결정한다. 예를 들어, 미세 통기관(12)의 돌출되는 길이는 실리콘 젤라몰탈 또는 스티로폼전용 젤라몰탈의 두께가 3mm~8mm인 경우 0.2mm~1mm로 한다. 물론, 미세 통기관(12)의 일측부가 구조체(11)의 타측면(건축물의 외벽체 반대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실리콘 접착 몰탈(2)의 두께를 감안하여 0.2mm~1mm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미세 통기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미세 통기관의 사시도이고, (b)는 미세 통기관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미세 통기관(12)은 미세 통기공(11a)의 내부로 삽입되고, 실내측(IN)과 실외측(OUT)이 균일한 직경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미세 통기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미세 통기관의 조립 사시도이고, (b)는 미세 통기관의 분해 사시도이고, (c)는 (a)에 도시된 미세 통기관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미세 통기관(22)은 건축물의 외벽체, 즉 실내측에 접하고 금속관으로 이루어진 선단관(221)과, 실외측에 접하고 금속관으로 이루어진 후단관(223)과, 선단관(221)과 후단관(223)을 상호 연결하고 금속관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 수지관, 예를 들면 PE(Polyethylene)관, PVC(Polyvinyl chloride)관 또는 PP(Polypropylene)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연결관(222)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미세 통기관(12)은 금속관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실외의 찬기가 미세 통기관(12)을 통해 실내로 그대로 전달되어 단열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미세 통기관(22)은 선단관(221)과 후단관(223)을 금속관으로 형성하여 미세 통기공(11a)의 내부로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 미세 통기공(11a)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연결관(222)을 합성 수지관으로 형성하여 실외측에 접하는 후단관(223)으로 전이되는 찬기가 연결관(222)에 의해 선단관(221)으로 전이되지 않고 차단되어 도 3에 도시된 금속관으로 이루어진 미세 통기관(12)에서 문제가 되는 열 전이에 따른 단열 성능 저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선단관(221)과 후단관(223)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관(222)은 선단관(221)의 후단부로 삽입되는 선단 끼움부(222a)와 후단관(223)의 선단부로 삽입되는 후단 끼움부(222b)가 형성되어 있고, 억지끼움방식으로 선단 끼움부(222a)가 선단관(221)의 후단부로 삽입 결합되고, 후단 끼움부(222b)가 후단관(223)의 선단부로 삽입 결합된다.
물론, 연결관(222)은 억지끼움방식이 아닌 나사 체결방식으로 선단관(221)과 후단관(223)을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단 끼움부(222a)와 후단 끼움부(222b)의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선단관(221)과 후단관(223)의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들이 나사산을 통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미세 통기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미세 통기관의 조립 사시도이고, (b)는 미세 통기관의 분해 사시도이고, (c)는 (b)에 도시된 미세 통기관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d)는 (a)에 도시된 미세 통기관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미세 통기관(32)은 도 4에 도시된 미세 통기관(22)과 마찬가지로 선단관(321), 연결관(322) 및 후단관(323)을 포함한다.
선단관(321)과 후단관(323)에는 도 5의 (b) 내지 (d)와 같이, 미세 통기관(32)의 직경을 조정하기 위해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직경 조정편(321a, 323a)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관(321)에 형성되는 직경 조정편(321a)은 실내측으로 선단관(321)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후단관(323)에 형성되는 직경 조정편(323a)은 실외측으로 후단관(323)의 타측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직경 조정편(321a, 323a)을 정렬시키기 위해 선단관(321)과 후단관(323)의 외면에는 정렬눈금(321b, 323b)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선단관(321)과 후단관(323)에 각각 형성된 정렬눈금(321b, 323b)을 통해 직경 조정편(321a, 323a)의 위치를 인지한다. 예를 들어, 후단관(323)의 정렬눈금(323b)과 선단관(321)의 정렬눈금(321b)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정렬된 경우 직경 조정편(321a, 323a)은 서로 정렬되어 미세 통기관(32)의 직경은 최대치가 된다.
이와 같이, 직경 조정편(321a, 323a)이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후단관(323)을 연결관(322)을 축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직경 조정편(323a)이 직경 조정편(321a)와 오정렬되면서 미세 통기관(32)의 직경은 가변된다. 즉, 직경 조정편(321a, 323a)이 상호 오정렬되는 면적만큼 직경은 감소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구조체(21)는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본체(211)와, 본체(211)의 배면에 접착몰탈을 통해 부착되고 금속분말이 함유된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부착판(212)을 포함한다. 이때, 부착판(212)은 발포성 합성수지 제조시 부착판(212)의 전체 중량%에서 대략 20중량%~30중량% 정도의 금속분말을 투입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체(21)의 타측면에 부착되는 실리콘 몰탈(2)에 함유된 자성체 분말과 상호 접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21)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미세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미세 통기관(12, 22, 32)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된다. 즉, 본체(211)와 부착판(212)에는 각각 서로 대응(정렬) 되도록 다수의 미세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미세 통기공에는 미세 통기관(12, 22, 32)이 삽입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건축물 외단열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건축물 외단열 시공방법을 통해 제조된 건축물 외단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건축물 외벽체(1)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외벽체(1)에 실리콘 프라이머워터맥스를 스프레이 또는 롤러로 1회 시공한다(ST1).
이후, 상기 실리콘 프라이머 워터맥스가 완전히 스며들어 건조가 완료되면, 외단열재(10)의 일측면(건축물 외벽체에 부착되는 면)에 실리콘 젤라몰탈 또는 스티로폼전용 젤라몰탈(시멘트와 접착몰탈을 1:1, 2:1 또는 3:1로 혼합)을 떠붙임한다(ST2).
이때, 실리콘 젤라몰탈 또는 스티로폼전용 젤라몰탈을 외단열재(10)에 부착시키는 공정은 입면 테두리 공법, 입면 떠붙임 공법 또는 입면 화스너 공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입면 테두리 공법은 외단열재(10)의 일측면 테두리에 젤라몰탈을 도포한 후 중앙부에 원형으로 3~8개 정도를 부착하여 시공한다.
상기 입면 떠붙임 공법은 젤라몰탈을 외단열재(10)의 중앙부에 원형으로 6~8개를 부착하여 시공한다. 상기 입면 화스너 공법은 젤라몰탈을 외단열재(10)에 원형으로 3~8개 정도 부착한 후 화스너를 1개에서 20개까지 타격공법으로 설치시공한다.
이후, 규격화된 외단열재(10)를 다단으로 건축물 외벽체(1)에 부착시킨다(ST3).
이후, 건축물 외벽체(1)에 부착된 외단열재(10)의 타측면에 2mm~10mm의 두께로 실리콘 접착 몰탈(2)을 1차 도포한 후 건조한다(ST4). 이때, 실리콘 접착 몰탈(2)은 금속분말이 함유된 외단열재(10)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성체 분말(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1차 실리콘 접착 몰탈(2)의 조성비는 계면 활성제 0.1~0.3중량%, 유리섬유 촙 0.1~0.5중량%, 아미노 작용성 폴리실록산 3~7중량%, 왁스파라핀 1~4중량%, 분산제 0.1~0.5중량%, 부틸셀루솔브 0.2~0.5중량%, 증점제 0.5~1.2중량%, 아크릴 에스테르 15~23중량%, 암모니아수(ph 조절제) 0.1~0.4중량%, 마이크로실리카 40~50중량%, 자성체 분말 10~20중량%, 거품 방지제 0.1~0.4중량%, 항균제 0.1~0.3중량%, 에틸렌 글리콜 0.1~1중량%, 그리고 나머지는 물을 포함한다.
이후, 실리콘 접착 몰탈(2)에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메쉬(3)를 부착시킨 후 실리콘 접착 몰탈(4)을 그 상면에 고르게 펴서 2차 도포한 후 건조한다(ST4, ST5). 이때, 메쉬(3)는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특정 부위에는 하이메쉬 형태로 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쉬(3)와 동시에 2차 도포되는 실리콘 접착 몰탈(4)은 1차 도포되는 실리콘 접착 몰탈(2)과 동일한 조성비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계면 활성제 0.1~0.3중량%, 유리섬유 촙 0.1~0.5중량%, 아미노 작용성 폴리실록산 3~7중량%, 왁스파라핀 1~4중량%, 분산제 0.1~0.5중량%, 부틸셀루솔브 0.2~0.5중량%, 증점제 0.5~1.2중량%, 아크릴 에스테르 15~23중량%, 암모니아수(ph 조절제) 0.1~0.4중량%, 마이크로실리카 45~57중량%, 거품 방지제 0.1~0.4중량%, 항균제 0.1~0.3중량%, 에틸렌 글리콜 0.1~1중량%, 그리고 나머지는 물을 포함하는 조성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실리콘 마감재(4)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건조 한다(ST6).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건축용 외단열재
11, 21 : 구조체
11a : 미세 통기공
12, 22, 32 : 미세 통기관
211 : 본체
212 : 부착판

Claims (3)

  1. (a) 건축물 외벽체에 건축용 외단열재를 부착하는 단계;
    (b) 상기 건축용 외단열재의 타측면에 1차 실리콘 접착 몰탈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건축용 외단열재의 타측면에 메쉬를 부착하는 동시에 2차 실리콘 접착 몰탈을 도포하는 단계; 및
    (d) 도포된 2차 실리콘 접착 몰탈에 실리콘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용 외단열재는,
    건축물의 외벽체에 부착되고,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미세 통기공이 형성된 구조체; 및
    금속관 또는 합성 수지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세 통기공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미세 통기공의 직경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미세 통기관; 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 통기관은,
    상기 건축물의 외벽체에 접하고 금속관으로 이루어진 선단관;
    실외측에 접하고 금속관으로 이루어진 후단관; 및
    상기 선단관과 상기 후단관을 상호 연결하고 금속관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 수지관으로 이루어진 연결관; 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은 상기 선단관의 후단부로 삽입되는 선단 끼움부와 상기 후단관의 선단부로 삽입되는 후단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관과 상기 후단관에는 각각 상기 미세 통기관의 직경을 조정하기 위해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직경 조정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단관과 상기 후단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직경 조정편을 상기 미세 통기관의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선단관과 상기 후단관의 외면에는 정렬눈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통기관이 길이는 상기 구조체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미세 통기관이 상기 구조체의 미세 통기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미세 통기관의 일측부가 상기 구조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구조체는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세 통기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부착되고 금속분말이 함유된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 형성된 미세 통기공과 정렬되도록 미세 통기공이 형성된 부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실리콘 접착 몰탈은 상기 구조체의 부착판과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성체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1020170154364A 2017-11-19 2017-11-19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101841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364A KR101841885B1 (ko) 2017-11-19 2017-11-19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364A KR101841885B1 (ko) 2017-11-19 2017-11-19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885B1 true KR101841885B1 (ko) 2018-03-23

Family

ID=6191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364A KR101841885B1 (ko) 2017-11-19 2017-11-19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88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3287B2 (en) Methods and materials to universally fit duct liner insulation for oval HVAC duct systems
US11326341B2 (en) Exterior insulated finish wall assembly
KR101494707B1 (ko) 다수의 투습공을 구비한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101841887B1 (ko)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101841885B1 (ko)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101841884B1 (ko)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
KR101841886B1 (ko) 곰팡이 및 결로 방지용 미세 통기관이 구비된 건축용 외단열재
CN215563526U (zh) 一种具有防水金属涂料的保温墙面
KR20160125930A (ko) 단열과 방습 특성을 가진 발포 초배지
KR101841888B1 (ko) 사면 쐐기형 건축용 단열재 시공방법
KR101841889B1 (ko) 사면 쐐기형 건축용 단열재 시공방법
WO2014194873A1 (en) External contact thermal insulation system for walls
WO2014205502A1 (en) Building membranes
CN211949324U (zh) 一种建筑节能外墙保温装饰板结构
KR20140085020A (ko) 건축물의 내단열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복합기능 단열재
JP2007138443A (ja) 壁用板状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外壁構造
KR20200018882A (ko) 건축용 단열 및 결로 방지 벽체 시공방법.
CN209837446U (zh) 一种适合冬夏季使用的陶粒自保温砌块
GB2544618A (en) Insulating sandwich panel
CN105239682A (zh) 一种防辐射保温板
KR101770961B1 (ko) 단열성과 통기성을 조절할 수 있는 황토벽체 및 그 시공 방법
JP3031287U (ja) 壁の通気止め
KR20160017368A (ko) 결로 방지용 다수의 미세 통기공을 구비한 난연성 건축용 단열재
CN213449005U (zh) 一种轻质保温内隔墙板
EP2844807A1 (en) External thermal insulation composite facade system (e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