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028A - 디지털 무선 통신 - Google Patents

디지털 무선 통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028A
KR20160017028A KR1020167000021A KR20167000021A KR20160017028A KR 20160017028 A KR20160017028 A KR 20160017028A KR 1020167000021 A KR1020167000021 A KR 1020167000021A KR 20167000021 A KR20167000021 A KR 20167000021A KR 20160017028 A KR20160017028 A KR 20160017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ing schem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digital wireless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알렉산드레 엥겔리엔-로페즈
스베레 위치런드
필 코비슐리
Original Assignee
노르딕 세미컨덕터 에이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르딕 세미컨덕터 에이에스에이 filed Critical 노르딕 세미컨덕터 에이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6001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무선 송신기(4, 10)와 무선 수신기(6, 12)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2)와 제 2 디바이스(8) 사이의 디지털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a) 제 1 디바이스(2)와 제 2 디바이스(8)가 적어도 하나의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을 갖는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접속을 수립하는 단계와, b) 제 1 디바이스(2)와 제 2 디바이스(8)가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에서 특정된 적어도 일부의 비트가 송신된 복수의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재접속이 수립될 수 있는 것을 합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무선 통신{DIGITAL RADIO COMMUNICATION}
본 명세서는 단거리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블루투스(TM) 또는 보다 최신의 블루투스 저에너지(TM) 프로토콜과 같은 애드 혹(ad hoc) 단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코어 스펙 버전 4.0은 1 MBps의 고정된 데이터율 뿐만 아니라 0.1%의 비트 에러율(BER)에서 10 mW의 최대 송신기 출력과 -70dB의 최소 수신기 감도를 특정한다. 이들의 결합된 효과는 BLE-지원 디바이스가 통신할 수 있는 최대 유효 범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달성할 수 있는 범위는 노이즈 및 장애물과 같은 환경적 요소에 따라 결정되지만, 10 내지 100 미터 정도일 수 있다.
제 1 양태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간의 디지털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방법은: a)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을 갖는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접속을 수립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접속이 절단(broken)된 경우에 상기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에서 특정된 적어도 일부의 비트가 복수의 송신된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재접속이 수립될 수 있는 것을 합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확장되며, a)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을 갖는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접속을 수립하도록 구성되고, b)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상기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에서 특정된 적어도 일부의 비트가 복수의 송신된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재접속을 수립할 수 있는 것을 합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로 확장하며, 상기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는 a) 적어도 하나의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을 갖는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 2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와 접속을 수립하고, b)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상기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에서 특정된 적어도 일부의 비트가 복수의 송신된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재접속이 수립될 수 있는 것을 상기 제 2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와 합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라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을 작동하는 두 개의 디바이스는 비트가 복수의 송신된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코딩 스킴을 적용하도록 합의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의 이점은 송신된 실제 비트의 일부가 안정적으로 수신되거나 복구되지 않는 경우에도 표현된 비트를 복구하기 용이하다는 것이다. 이는 프로토콜에 특정된 BER이 표현된 비트에 대해 달성될 수 있고, 송신된 비트(이하 "칩(chips)"으로 지칭됨)에 대한 BER이 훨씬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용적인 측면에서, 이는 주어진 송신 전력 및 수신기 이득에 대해서 프로토콜에 따른 접속이 코딩 스킴이 적용되지 않은 것보다 더 먼 거리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러한 동작은 프로토콜의 장거리 모드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합의함으로써, 코딩 스킴이 임의의 필요한 재접속에 적용되는 초기 접속 동안에, 두 개의 디바이스가 종래의 프로토콜에 따라 접속을 수립하기에 너무 멀리 떨어진 경우에도 재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블루투스 저에너지에서, 상기 설명된 구성은 장거리 모드의 도입을 지원하는 코어 스펙에 대한 확장을 나타낸다. 이는 BLE의 유용성을 잠재적으로 확장한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칩에 의해 각 데이터 비트를 표현하는 것은 달성될 수 있는 효율적인 데이터율을 감소시킨다. 보다 상세히, 각 데이터 비트가 고정된 길이의 시퀀스에 의해 표현되는 경우, 칩 속도(chip rate)를 시퀀스 길이로 나눈 값이 효율적인 데이터율이 된다. 따라서, 시퀀스 길이와 데이터율 간에 트레이드-오프가 존재한다. 반면에 더 긴 시퀀스가 사용되는 경우에, 더 긴 시퀀스가 강하된 칩에 더 큰 내성을 부여하므로 주어진 데이터 BER에 대해 달성될 수 있는 범위는 더 커진다. 수신된 데이터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적용된 코딩 시퀀스는 코딩 이득으로서 지칭된다. 따라서, 시퀀스 길이와 코딩 이득의 정도 사이에 직접적인 정적 관계(direct positive relationship)가 존재한다.
실시예의 세트에서, 제 1 디바이스는 마스터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제 2 디바이스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코딩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접속을 수립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로 확장한다.
코딩 스킴은 복수의 상이한 형태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세트에서, 예를 들어, 메시지 또는 메시지의 일부 내의 각 비트를 특정 횟수로 단순히 반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일부를 형성하는 스트링을 특정 횟수로 반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의 세트에서, 제각기 고정된 칩의 시퀀스는 각 데이터 비트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는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코딩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방법(및 다른 방법)의 임의의 조합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채택되는 코딩 스킴은 사전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실시예의 세트에서, 코딩 스킴은 접속 동안 또는 접속의 수립 동안에 두 개의 디바이스 사이에 합의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TM) 또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TM)에 따라 작동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본딩 절차에서 교환되는 정보의 일부일 수 있다. 디바이스들은 복수의 가능한 사전결정된 스킴 중 하나를 채택하도록 합의할 수 있거나, 하나의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적용될 코딩 스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스킴의 유형(예컨대, 반복된 비트, 반복된 스트링, DSSS 등) 및/또는 시퀀스 길이(및 그에 따른 코딩 이득)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 또는 접속의 수립 동안에, 재접속이 필요한 경우에서 코딩 스킴을 채택하도록 합의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모두가 재접속을 위해 코딩 스킴을 적용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에 기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예컨대 접속 동안에 코딩 스킴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만 합의될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는 여러 방식으로 코딩 스킴을 채택하는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 실시예의 세트에서, 디바이스는 초기 페어링(initial pairing) 이후에 협상단계 동안 코딩 스킴을 적용하도록 합의할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가 코딩 스킴을 지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의 메시지 내의 플래그 또는 다른 필드를 세팅하는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 중 하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가 그 역시 코딩 스킴을 지원한다는 확인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의 선호되는 세트에서, 코딩 스킴은 블루투스 또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스펙 코어 스펙 버전 4.0에 따른 페어링 단계 이후에 본딩 단계 동안 합의된다.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절단되면,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재접속을 수립하도록 시도할 것이다.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재접속하기 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블루투스 코어 스펙 버전 4.0에 정의된 광고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광고 상태에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가 재접속을 수립하도록 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청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블루투스 코어 스펙 버전 4.0에 정의된 스캐닝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디바이스가 스캐닝 상태에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의 세트에서, 디바이스들 중 하나, 예컨대,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재접속하기 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메시지는 코딩 스킴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되는 것이 선호된다. 유사하게, 다른 디바이스, 예컨대, 마스터 디바이스가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된 메시지를 청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이러한 구성은 본질적으로 신규하고 진보한 것으로 간주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서 살펴볼 때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디지털 무선 접속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접속을 수립하는 단계와, b)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중 하나가 재접속을 수립하기를 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을 갖는 광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광고 메시지는 상기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에서 특정된 적어도 일부의 비트가 복수의 송신된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됨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확장하고, a)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접속을 수립하도록 구성되고, b)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중 하나는 재접속을 수립하기를 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상기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을 갖는 광고 메시지를 송신 - 상기 광고 메시지는 상기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에서 특정된 적어도 일부의 비트가 복수의 송신된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됨 -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또한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로 확장하고, 디바이스는 a)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른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와 접속을 수립하고, b)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재접속을 수립하기를 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을 갖는 광고 메시지를 송신 - 상기 광고 메시지는 상기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에서 특정된 적어도 일부의 비트가 복수의 송신된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됨 -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양태에서, 코딩 스킴은 적어도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 재접속을 수립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코딩 스킴은, 예컨대, 블루투스 광고 패킷과 같은 재접속 광고 패킷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코딩 스킴은 재접속이 수립된 이후에 후속하는 통신 패킷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코딩 스킴은 재접속 동안에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모든 후속하는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선호되는 실시예의 세트에서, 코딩 스킴은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변경될 수 있다. 코딩 스킴은 단순히 중단하는 것, 즉, 더이상 어떠한 코딩도 적용하지 않는 것에 의해서 또는 예컨대, 상이한 코딩 이득 중 하나 상에서 상이한 코딩 스킴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코딩 스킴을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데 사용하는 조건은 두 개의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품질의 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임계 비트 에러율 또는 노이즈 또는 간섭의 예측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의 분리의 예측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의 세트에서, 조건은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의 예측을 포함한다. 따라서 실시예의 세트에서, 코딩 스킴은 하나의 디바이스의 수신된 신호 세기가 임계치 레벨의 초과 또는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변경된다.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는 사전결정된 코딩 스킴을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를 판정하도록 각각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중 오직 하나만이, 예컨대, 마스터 디바이스가 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은, 예를 들어, 수신된 신호 세기가 높은 경우에 감소된 코딩 이득(및 그에 따른 증가된 잠재적인 데이터율)이 적용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그 반대 역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세트에서,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은 예컨대, 블루투스 저에너지 코어 스펙 버전 4.0에 정의된 바와 같은 블루투스 SIG(Bluetooth Special Interest Group)에 의해 발행된 블루투스 (TM) 프로토콜과 호환된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저에너지 코어 스펙 버전 4.0의 변형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징을 수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서로 통신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일반화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절차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딩 프로세스의 더욱 상세한 개략도이다.
도 4는 접속 동안에 비트율을 변경하는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패킷 스트럭처와 적용될 수 있는 가능한 코딩 스킴의 표현이다.
도 1은 무선 송신기 섹션(4)과 무선 수신기 섹션(6)을 갖는 마스터 디바이스(2)(또한 중앙 디바이스로도 알려진)와 또한 무선 송신기 섹션(10)과 무선 수신기 섹션(12)을 갖는 슬레이브 디바이스(8)(또한 주변 디바이스로도 알려진)를 도시한다. 하기에서 특정되는 바와 달리, 마스터 디바이스(2)와 슬레이브 디바이스(8)는 블루투스 저에너지(BTLE) 코어 스펙 버전 4.0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실시예의 동작의 개략적인 개요를 도시한다. 제 1 단계(14)에서, 마스터(2)와 슬레이브(8)는 도 3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종래의 본딩 절차(Bonding procedure)를 경험한다. 절차는 마스터(2)가 본딩을 위한 본딩_플래그(Bonding_Flags)를 설정함으로써 시작한다. 슬레이브(8) 또한 본딩 모드에 있음이 가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스터 디바이스(2)는 슬레이브 디바이스(8)에 페어링 요청(Pairing request)(16)을 송신하고, 슬레이브 디바이스(8)는, 예를 들어, 입출력(I/O) 능력 및 협상 과정 동안에 송신을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STK(Short Term Key)를 포함하는 다양한 능력 및 보안 정보를 포함한다.
페어링 동작의 단계 2에서, 데이터는 STK를 사용하여 두 개의 디바이스들 간에 교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점에서, 두 개의 디바이스(2, 8) 간의 페어링된 접속은 1회에 한정(one-off one)되기 때문에, 접속이 절단되면 절차를 새로이 반복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페어링 접속이 본딩 접속으로 변환되는 단계 3을 나타내는 통신의 추가적인 라운드에서, 마스터 디바이스(2)는 STK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추가적인 신원(identity)과 보안 정보(20)를 송신한다. 추가적인 정보는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의 후속하는 통신의 암호화를 위해 사용되는 LTK(Long Term Key)를 포함한다. 더 중요하게는, 추가적인 정보는 마스터 디바이스(2)가 장거리 모드를 지원한다는 표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는, 예를 들어, 서로 간의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재접속을 수립하도록 시도하는 때에 디바이스들 간에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율 또는 코딩 이득의 상세(specification)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는 마스터(2)와 슬레이브(8) 모두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되어 다음에 재접속된 경우에 서로를 '인지'한다.
가능한 일 예시에서, 마스터는 원래 값의 25%의 데이터율에 대응하는 6 dB의 코딩 이득 - 즉, 블루투스 저에너지 시스템에서의 250 kBps를 특정할 수 있다. 이는 코딩 이득이 네 개의 칩에 의해 적용되는 패킷 또는 부분-패킷의 각 비트를 표현함으로써, 즉, 4의 시퀀스 길이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슬레이브 디바이스(8)는 그 후 요청된 코딩 이득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는 확인 메시지(22)를 마스터 디바이스(2)에 송신한다.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요청된 코딩 이득을 지원할 수 없는 경우에, 확인 메시지(22)는 대안적으로 제안된 코딩 이득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단계(24)에서, 마스터 디바이스(2)와 슬레이브 디바이스(8)는 LTK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표준적인 1MBps의 데이터율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속을 재수립하기 위해서 합의된 더 낮은 데이터율, 예컨대, 250 kbps 에서 통신할 수 있다. 이는 슬레이브로부터 수신하는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마스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도 4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전결정된 임계값 미만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단계(26)에서 마스터(2)와 슬레이브(8) 사이의 접속이, 예컨대, 디바이스들 중 하나가 특정된 타임-아웃 기간 동안에 기대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해서 절단된 경우를 가정한다. 슬레이브 디바이스(8)는 재접속을 수립하는 것을 원하는 마스터 디바이스(2)에 광고 패킷(Advertisement packets)(28)을 송신한다. 그러나, 광고 패킷이 표준적인 1MBps의 데이터율에서 송신되는 것이 아니라, 광고 패킷의 일부는 본딩 프로세스의 단계 3 동안 이전에 합의된 코딩 이득을 부여하기 위해서 더 낮은 데이터율에서 송신된다.
마스터 디바이스(2)는 광고 패킷(28) 중 하나를 수신하고, 본딩 프로세스 동안에 데이터율의 이전에 협상 및 합의 때문에 정확한 주소와 데이터율을 포함하는 패킷을 추출하기 위해서 정확한 코딩 시퀀스(coding sequence)가 복조기(demodulator)에 인가된다. 정확한 데이터율이 적용되지 않으면, 패킷은 자동적으로 거절될 수 있다. 광고 패킷(28)에 적용된 코딩 이득/ 감소된 데이터율의 결과로, 마스터(2)는 표준적인 데이터율의 패킷이 송신된 경우보다 더 먼 거리에서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갖는다.
이후, 추가적인 접속(30)이 마스터(2)와 슬레이브(8) 간의 계속된 통신을 허용하도록 수립된다. 이러한 통신은 코딩 이득이 교환되는 패킷에 적용되기 때문에 광고 패킷을 위해 사용된 더 낮은 데이터율로 초기에 이루어진다. 그러나, 마스터 디바이스(2)가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임계치 초과의 수신된 신호 세기를 검출하는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코딩 이득을 감소시키는 조건(criterion)에 부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2)와 슬레이브(8)는 접속된 상태(32)에서 시작한다. 마스터(2)에 의한 일반적인 확인이 수행된 후에,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었기 때문에 슬레이브(8)로부터의 신호의 수신된 신호 세기가 임계치 초과인지 판정된다. 증가된 신호 세기의 이점을 취하기 위해서, 마스터(2)는 데이터율의 증가를 개시하기 위해서 특별 패킷(34)을 송신한다. 패킷(34)은 적용될 새로운 데이터율을 특정하는 필드(field)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필드는 더 낮은 코딩 이득과 그에 따른 더 높은 데이터율에 대응하는 더 짧은 시퀀스 길이를 특정할 수 있다. 마스터(2)는 이전에 수행된 본딩 절차의 제 3 단계 동안에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의 교환으로부터 슬레이브(8)가 어떤 데이터율을 지원하는지 인지할 것이므로, 추가적인 협상은 불필요하다. 패킷(34)은 제어 절차를 개시할 수 있거나, 단순히 다음 패킷 또는 다음 경우로부터 데이터율을 프롬프팅할 수 있다.
특정 개수의 경우(38)(개수는 개시 패킷(34)에 특정될 수 있음) 이후에, 마스터(2)와 슬레이브(8)는 단계(40)에서 새로운 데이터율에서 통신하기 시작한다. 이는 디바이스들이 송신되는 패킷의 모두 또는 일부에 새로운 시퀀스 길이를 각각 적용하고 복조기가 수신된 패킷을 위한 새로운 시퀀스 길이에 응답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절차는 신호 세기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경우에 코딩 이득을 낮추기 위해서 또는 디바이스들이 서로 멀어져서 신호 세기가 강하하는 경우에 코딩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접속 동안에 임의 횟수로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절차가 수신된 신호 세기에 기초하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차는 임계 비트 에러율 또는 디바이스들의 분리 또는 접속의 품질과 관련된 다른 파라미터에 기초할 수 있다.
도 5는 일반적인 패킷 구성을 도시한다. 패킷은 상이한 길이의 네 개의 분리된 필드로 구분된다. 제 1 필드는 프리앰블(42)이다. 프리앰블은 주파수 복원, 타이밍 복원 등을 위해 수신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교번하는 비트(alternating bits)의 단일 옥텟(octet)으로 구성된다. 표 아래에는 코딩 이득이 프리앰블 '10101010'에 어떻게 네 번 적용되는지에 대한 몇몇 예시가 제시된다. 상부의 예시에서, 최초 시퀀스는 단순히 네 번 반복된다. 따라서, 최초 스트링(original string)의 n 번째 위치의 비트는 확장된 시퀀스의 4 비트(또는 '칩') - 즉, 확장된 스트링의 n, n+8, n+16 및 n+24 번째 위치에 있는 것 - 에 의해 표현된다.
중앙의 예시에서, 각각의 비트는 네 번 반복된다. 즉, 최초 스트링 내의 각 비트는 확장된 스트링에서 네 개의 칩에 의해 표현된다.
하부의 예시에서, 직접-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irect-sequence spread spectrum)이 사용된다. 이러한 예시에서, 각 '1' 비트는 시퀀스 '1101'로 표현되고, 각 '0' 비트는 시퀀스 '0010'으로 표현된다. 물론 상이한 시퀀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상이한 길이의 시퀀스가 필요한 코딩 이득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각 비트에 대해 사용되는 실제 시퀀스는 본딩 프로세스의 제 3 단계 동안에 합의될 수 있다.
비록 도 5에서 코딩 이득이 적용될 수 있는 단순한 예시로서 프리앰블이 사용되었으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코딩 이득이 수신기에서 초기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코딩 이득이 프리앰블에 적용되지 않는다.
패킷 내의 필드는 패킷이 지향되는 디바이스의 주소를 특정하는 액세스 주소(44), 패킷에 의해 송신되는 메시지의 실제 컨텐츠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46) 및 에러 체킹에 사용하기 위해서 PDU(46)으로부터 사전결정된 공식에 의해 생성된 필드인 CRC(Cyclic Redundancy Check)(48)이다.
일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액세스 주소(44), PCU(46) 및 CRC(48)은 모두 DSSS를 사용하여 인코딩된다. CRC(38)은 DSSS 코딩이 적용되기 전에 PDU(46)으로부터 계산된다.

Claims (60)

  1.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디지털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a)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을 갖는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접속을 수립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상기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에서 특정된 적어도 일부의 비트가 복수의 송신된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재접속이 수립될 수 있는 것을 합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마스터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스킴은 각 데이터 비트를 표현하기 위한 제각기 고정된 칩의 시퀀스(sequence of chips)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접속 동안에 또는 접속의 수립 동안에 상기 코딩 스킴을 합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초기 페어링(initial pairing) 이후에 협상단계(negotiation phase) 동안 상기 코딩 스킴을 적용하도록 합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TM) 또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TM) 스펙에 따라 페어링 단계(Pairing phase) 이후에 본딩 단계(Bonding phase) 동안 상기 코딩 스킴을 적용하도록 합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재접속하기를 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코딩 스킴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상기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된 메시지를 청취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재접속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이 수립된 이후에 후속하는 통신 패킷에 대해 상기 코딩 스킴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조건(criterion)이 부합하는 경우에 상기 코딩 스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간의 신호 품질의 측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은 상기 디바이스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디바이스로 수신된 신호 세기의 예측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디바이스의 상기 수신된 신호 세기가 임계치 레벨의 초과 또는 미만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코딩 스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TM) 또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TM) 프로토콜과 호환되는
    무선 통신 방법.
  17.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로서,
    a) 적어도 하나의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을 갖는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 2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와 접속을 수립하고,
    b)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상기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에서 특정된 적어도 일부의 비트가 복수의 송신된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재접속이 수립될 수 있는 것을 상기 제 2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와 합의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스킴은 각각의 데이터 비트를 표현하는 제각기 고정된 칩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접속 동안에 또는 접속의 수립 동안에 상기 제 2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코딩 스킴을 합의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초기 페어링 이후에 협상단계 동안 상기 제 2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코딩 스킴을 합의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21.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루투스 (TM)또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TM) 프로토콜에 따라 페어링 단계 이후에 본딩 단계 동안 상기 코딩 스킴을 적용하도록 상기 제 2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와 합의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22.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재접속하기를 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스킴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상기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된 메시지를 청취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25. 제 17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접속이 수립된 이후에 후속하는 통신 패킷에 대해 상기 코딩 스킴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상기 코딩 스킴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제 2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 품질의 측정을 포함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디바이스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디바이스로 수신된 신호 세기의 예측을 포함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29. 제 25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가 임계치 레벨의 초과 또는 미만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코딩 스킴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30. 제 1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TM) 프로토콜과 호환되는
    제 1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31.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a)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을 갖는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접속을 수립하도록 구성되고,
    b)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상기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에서 특정된 적어도 일부의 비트가 복수의 송신된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재접속을 수립할 수 있는 것을 합의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제 17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3.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간의 디지털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a)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접속을 수립하는 단계와,
    b)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중 하나가 재접속을 수립하기를 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을 갖는 광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광고 메시지는 상기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에서 특정된 적어도 일부의 비트가 복수의 송신된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됨 -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마스터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5.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스킴은 각 데이터 비트를 표현하는 제각기 고정된 칩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6. 제 33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접속 동안에 또는 접속의 수립 동안에 상기 코딩 스킴을 합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초기 페어링 이후에 협상단계 동안 상기 코딩 스킴을 적용하도록 합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8. 제 33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TM) 또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TM) 프로토콜에 따라 페어링 단계 이후에 본딩 단계 동안 상기 광고 메시지에 상기 코딩 스킴을 적용하도록 합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9. 제 33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상기 광고 메시지를 청취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방법.
  40. 제 33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재접속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이 수립된 이후에 후속하는 통신 패킷에 대해 상기 코딩 스킴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2. 제 40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상기 코딩 스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품질의 측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4. 제 42 항 또는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디바이스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디바이스로 수신된 신호 세기의 예측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5. 제 41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디바이스의 상기 수신된 신호 세기가 임계치 레벨의 초과 또는 미만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코딩 스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6. 제 33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TM) 또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TM) 프로토콜과 호환되는
    무선 통신 방법.
  47.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로서,
    a)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른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와 접속을 수립하고,
    b)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재접속을 수립하기를 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을 갖는 광고 메시지를 송신 - 상기 광고 메시지는 상기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에서 특정된 적어도 일부의 비트가 복수의 송신된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됨 - 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스킴은 각 데이터 비트를 표현하는 제각기 고정된 칩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49. 제 47 항 또는 제 48 항에 있어서,
    접속 동안에 또는 접속의 수립 동안에 상기 다른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코딩 스킴을 합의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50. 제 49 항에 있어서,
    초기 페어링 이후에 협상단계 동안 상기 다른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코딩 스킴을 합의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51. 제 47 항 내지 제 50 항에 있어서,
    블루투스 (TM) 또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TM) 프로토콜에 따라 페어링 단계 이후에 본딩 단계 동안 상기 코딩 스킴을 적용하도록 상기 다른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와 합의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52.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로서,
    a)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른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와 접속을 수립하고,
    b)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재접속을 수립하기를 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을 갖는 광고 메시지를 청취 - 상기 광고 메시지는 상기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에서 특정된 적어도 일부의 비트가 복수의 송신된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됨 - 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53. 제 47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접속이 수립된 이후에 후속하는 통신 패킷에 대해 상기 코딩 스킴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54. 제 53 항에 있어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상기 코딩 스킴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다른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 품질의 측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56. 제 54 항 또는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디바이스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디바이스로 수신된 신호 세기의 예측을 포함하는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57. 제 53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가 임계치 레벨의 초과 또는 미만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코딩 스킴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58. 제 47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TM) 또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TM) 프로토콜과 호환되는
    디지털 무선 디바이스.
  59.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a)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사전결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접속을 수립하도록 구성되고,
    b) 상기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중 하나는 재접속을 수립하기를 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상기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을 갖는 광고 메시지를 송신 - 상기 광고 메시지는 상기 사전결정된 메시지 포맷에서 특정된 적어도 일부의 비트가 복수의 송신된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코딩 스킴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됨 -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제 47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67000021A 2013-06-05 2014-06-04 디지털 무선 통신 KR201600170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310026.8A GB2514816A (en) 2013-06-05 2013-06-05 Digital radio communication
GB1310026.8 2013-06-05
PCT/GB2014/051719 WO2014195696A1 (en) 2013-06-05 2014-06-04 Digital radio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028A true KR20160017028A (ko) 2016-02-15

Family

ID=4880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021A KR20160017028A (ko) 2013-06-05 2014-06-04 디지털 무선 통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24558B2 (ko)
EP (1) EP3005596A1 (ko)
JP (1) JP2016526356A (ko)
KR (1) KR20160017028A (ko)
CN (1) CN105308893A (ko)
GB (1) GB2514816A (ko)
TW (1) TW201448646A (ko)
WO (1) WO2014195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7731B2 (ja) * 2015-02-04 2017-10-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6627492B2 (ja) * 2015-12-24 2020-01-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電子時計、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998849B2 (en) 2016-06-10 2018-06-12 Apple Inc. Adaptable schema based payloads
CN105978595B (zh) * 2016-07-27 2019-01-18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多模接收装置、多模发送装置和多模收发方法
GB2566324B (en) * 2017-09-11 2019-11-20 Dyson Technology Ltd Method of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between a mobile controller and a controllable device
US10805037B2 (en) * 2017-12-06 2020-10-13 Qualcomm Incorporated Modulation selection based on demodulation data
US20190239140A1 (en) * 2018-01-30 2019-08-01 Qualcomm Incorporated Wlan performance while coexisting with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s
DE102018202176A1 (de) * 2018-02-13 2019-08-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aster-Slave-System zur Kommunikation über eine Bluetooth-Low-Energy-Verbindung
JP6940429B2 (ja) * 2018-02-21 2021-09-29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携帯機器
CN109561467B (zh) * 2018-12-27 2023-02-28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无线数据处理方法和无线发送、接收设备
JP7309644B2 (ja) * 2020-03-19 2023-07-18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27616C (en) * 1993-07-16 1999-02-09 Osamu Kato Mobile communication unit
DE69940996D1 (de) * 1999-04-01 2009-07-30 Lucent Technologies Inc Verbesserte Datenratensteuerung zur drahtlosen Kommunikation
GB2350027B (en) * 1999-05-08 2001-07-18 3Com Corp Monitoring of connection between network devices in a packet-based communication system
US6839325B2 (en) * 2000-06-09 2005-01-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uses ARQ packets to ACK a plurality of packets from an 802.15 superpacket
US7505528B2 (en) * 2001-08-30 2009-03-1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ge extension of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links
US7181657B2 (en) 2003-09-25 2007-02-20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daptive to data quality on radio-transmission and a method of data transmission therefor
US7911950B2 (en) * 2006-07-03 2011-03-22 Cisco Technology, Inc. Adapter and method to support long distances on existing fiber
JP5275928B2 (ja) * 2009-07-07 2013-08-28 株式会社デンソー 近距離無線通信装置
JP5278506B2 (ja) * 2011-06-30 2013-09-04 株式会社デンソー 近距離無線通信装置
DK2783474T3 (en) * 2011-08-30 2018-06-18 Reseiwe As RATE-LES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ROTOCOL CO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5596A1 (en) 2016-04-13
GB201310026D0 (en) 2013-07-17
TW201448646A (zh) 2014-12-16
US9924558B2 (en) 2018-03-20
JP2016526356A (ja) 2016-09-01
GB2514816A (en) 2014-12-10
US20160128126A1 (en) 2016-05-05
WO2014195696A1 (en) 2014-12-11
CN105308893A (zh)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7028A (ko) 디지털 무선 통신
US9681477B2 (en) Digital radio communication
US9438332B2 (en) Low cost proximity pairing mechanism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CN106603400B (zh) 一种基于窄带物联网的数据传输方法及网关
DE102015208547A1 (de) Erweiterte bluetooth-kommunikationsmodi
JP2016526356A5 (ko)
JP2016524872A5 (ko)
JP2017511984A (ja) 無線通信
CN104581685B (zh) 发现信号的发送和接收方法、以及发送和接收装置
JP7136418B2 (ja) 送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425975B1 (en) V2x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170187487A1 (en) Method for rate indication
KR101868635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0091088B2 (en) Mode selection for a communications session
EP3854118B1 (en) Bluetooth connectionless slave broadcast burst mode
RU2014144988A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лучшения одноранговой связ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ежима активной связи
WO2014195704A1 (en) Digital radio communication
CN116170753A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