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935A - 텍스트 셀렉션 단락 스냅핑 - Google Patents

텍스트 셀렉션 단락 스냅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935A
KR20160016935A KR1020157037003A KR20157037003A KR20160016935A KR 20160016935 A KR20160016935 A KR 20160016935A KR 1020157037003 A KR1020157037003 A KR 1020157037003A KR 20157037003 A KR20157037003 A KR 20157037003A KR 20160016935 A KR20160016935 A KR 20160016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paragraph
input
snapping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7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 루이스 반 질
알렉산드르 더글라스 페레이라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016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은 단락 스냅핑에 관한 것이다. 양태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텍스트의 셀렉션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이 확장 입력이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단락 스냅핑 조건들의 세트가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하나 이상의 단락 스냅핑 조건들의 세트가 충족된 경우, 해당 단락에 대한 셀렉션이 스냅핑된다. 사용자 입력이 수축 입력이면, 해당 셀렉션은 축소되고, 셀렉션 활동이 종료될 때까지 또는 단락 스냅핑 행위가 재 인에이블될 것이라는 것을 사용자 입력이 표시할 때까지, 단락 스냅핑 행위는 해당 단락에 대해 턴오프된다.

Description

텍스트 셀렉션 단락 스냅핑{TEXT SELECTION PARAGRAPH SNAPPING}
본 발명은 텍스트 셀렉션 단락 스냅핑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터치 민감 스크린 또는 다른 입력 디바이스로, 텍스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텍스트를 선택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불행하게도, 몇몇의 유형들의 입력 디바이스들은 매우 정교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희망하는 텍스트의 정확한 시작점과 종료점을 선택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것은 다른 희망하는 피처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사용자 불만을 야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청구된 본 발명내용은 어떠한 단점들을 해결하거나 또는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환경들 내에서만 동작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보다는, 이러한 배경기술은 단지 여기서 설명된 몇몇의 실시예들이 실시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기술 영역을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이다.
간략하게,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은 단락 스냅핑(paragraph snapping)에 관한 것이다. 양태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텍스트의 셀렉션(selection)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이 확장(expansion) 입력이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단락 스냅핑 조건들의 세트가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하나 이상의 단락 스냅핑 조건들의 세트가 충족된 경우, 해당 단락에 대한 셀렉션이 스냅핑된다. 사용자 입력이 수축(contraction) 입력이면, 해당 셀렉션은 축소되고, 셀렉션 활동이 종료될 때까지 또는 단락 스냅핑 행위가 재 인에이블될 것이라는 것을 사용자 입력이 표시할 때까지, 해당 단락에 대한 단락 스냅핑 행위는 턴오프된다.
본 요약은 아래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본 발명내용의 몇몇의 양태들을 간략하게 식별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본 요약은 청구된 발명내용의 중요한 특징들 또는 필수적인 특징들을 식별시키려는 의도는 없으며, 또한 청구된 발명내용의 범위를 제한시키려는 의도도 없다.
“여기서 설명된 발명내용(subject matter)”의 어구는 문맥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 발명내용을 가리킨다. “양태들”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양태”로서 읽혀져야 한다.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을 식별하는 것은 청구된 본 발명내용의 중요한 특징들 또는 필수적인 특징들을 식별시키려는 의도는 없다.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상술된 양태들 및 다른 양태들은 일례로서 예시된 것이며, 첨부 도면들 내의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가리킨다.
도 1은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이 병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블록도들이다.
도 5 및 도 6은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에 따라 행해질 수 있는 예시적인 액션들을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들이다.
정의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포함한다”의 용어와 그 변형체들은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를 의미하는 개방적 형태의 용어로서 읽혀져야 한다. “또는”의 용어는 문맥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및/또는”으로서 읽혀져야 한다. “에 기초하여”의 용어는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로서 읽혀져야 한다. “하나의 실시예”와 “실시예”의 용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읽혀져야 한다. “다른 실시예”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로서 읽혀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단수 표현들은 표시된 항목 또는 액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특히, 청구범위에서, 어떤 항목에 대한 언급은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항목이 존재한다는 것을 일반적으로 의미하며, 어떤 액션에 대한 언급은 이러한 액션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가 수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때때로, 여기서는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말이 없으면, 청구범위에서의 이러한 용어들의 이용은 순서를 암시하기 위해 의도되었다기 보다는 식별 목적으로 이용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버전”과 “제2 버전”의 어구들은 제1 버전이 바로 그 첫번째 버전이라는 것이거나 또는 제2 버전에 앞서 생성되었다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고, 또는 제1 버전이 제2 버전에 앞서 요청되거나 또는 동작된다는 것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보다는, 이러한 어구들은 상이한 버전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용된 것이다.
제목들은 편의상 제공된 것일 뿐이며, 주어진 주제에 관한 정보는 해당 주제를 표시하는 제목을 갖는 섹션 밖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다른 명시적 및 암시적 정의들이 아래에서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동작 환경
도 1은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이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컴퓨팅 시스템 환경(100)의 예시를 나타낸다. 컴퓨팅 시스템 환경(100)은 단지 적절한 컴퓨팅 환경의 일례에 불과하며, 이것은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의 이용 또는 기능성의 범위에 대한 어떠한 제한을 제안하려고 의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컴퓨팅 환경(100)은 예시적인 동작 환경(100) 내에서 예시된 임의의 하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들의 조합과 관련하여 임의의 의존성 또는 요건을 갖는 것으로서도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은 수많은 다른 범용 또는 특수목적용 컴퓨팅 시스템 환경들 또는 구성들로 동작가능하다.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과의 이용에 적절할 수 있는 공지된 컴퓨팅 시스템들, 환경들, 또는 구성들의 예시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 베어 금속 상에 있든 가상 머신으로서든 상관없음 -,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들,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제어기 기반 시스템, 셋탑 박스, 프로그램가능 및 비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개인 보조 단말기(PDA), 게이밍 디바이스, 프린터, 셋탑, 미디어 센터, 또는 다른 기기를 비롯한 기기들, 자동 임베딩 또는 부착 컴퓨팅 디바이스,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셀 폰, 무선 폰, 및 유선 폰을 비롯한 폰 디바이스들, 위의 임의의 시스템들 또는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하는 분산형 컴퓨팅 환경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로 한정될 수 있지만, 컴퓨터의 용어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위의 디바이스들을 커버하는 것을 의도한다.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은 프로그램 모듈들과 같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의 일반적 환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한 태스크들을 수행하거나 또는 특정한 추상적 데이터 유형들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오브젝트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은 또한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된 원격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형 컴퓨팅 환경들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형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들은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들을 비롯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저장 매체 둘 다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여기서 설명된 기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유형들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Program-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SP(Program-specific Standard Product), SOC(System-on-a-chip system),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등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은 컴퓨터(110)의 형태의 범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컴퓨터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싱 유닛(120), 시스템 메모리(130), 및 시스템 메모리를 비롯한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프로세싱 유닛(120)에 결합시켜주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 버스들(시스템 버스(121)라고 표현됨)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21)는 임의의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들을 이용하는,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제어기, 주변 버스, 및 로컬 버스를 비롯한 임의의 여러가지 유형들의 버스 구조들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이러한 아키텍처들은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MCA(Micro Channel Architecture) 버스, EISA(Enhanced ISA) 버스,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로컬 버스, 및 메자닌(Mezzanine) 버스로서도 알려진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 PCI-X(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tended) 버스, AGP(Advanced Graphics Port), 및 PCIe(PCI express)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120)은 하드웨어 보안 디바이스(122)에 연결될 수 있다. 보안 디바이스(122)는 다양한 양태들의 컴퓨터(110)를 보안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암호 키들을 저장할 수 있고 이 암호 키들을 생성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보안 디바이스(122)는 TPM(Trusted Platform Module) 칩, TPM 보안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110)에 의해 액세싱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와, 탈착가능 및 탈착불가능 매체 둘 다를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와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명령어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다른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의, 탈착가능 및 탈착불가능 매체 둘 다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고체 상태 저장장치,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잎,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희망하는 정보를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컴퓨터(11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통신 매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통신 매체는 일반적으로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내에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명령어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다른 데이터를 수록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해당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변경된 하나 이상의 특성들을 갖는 신호를 의미한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적 유선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향, 무선 주파수(RF), 적외선 및 다른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임의의 상기 사항들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시스템 메모리(130)는 ROM(read only memory)(131) 및 RAM(random access memory)(132)과 같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형태의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시동시 동안과 같이, 컴퓨터(110) 내의 엘리먼트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도와주는 기본 루틴들을 포함하는, BIOS(basic input/output system)(133)은 일반적으로 ROM(131) 내에 저장된다. RAM(132)은 일반적으로 프로세싱 유닛(120) 상에 즉시적으로 액세스가능하고/액세스가능하거나 프로세싱 유닛(120)에 의해 현재 작동중에 있는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도 1은 운영체제(134),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135), 다른 프로그램 모듈들(136), 및 프로그램 데이터(137)를 나타낸다.
컴퓨터(110)는 또한 다른 탈착가능/탈착불가능의, 휘발성/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탈착불가능의 비휘발성 자기 매체에 기록하거나 이로부터 판독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41), 탈착가능의 비휘발성 자기 디스크(152)에 기록하거나 이로부터 판독하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51), 및 CD ROM, DVD, 또는 다른 광학 매체와 같은 탈착가능의 비휘발성 광학 디스크(156)에 기록하거나 또는 이로부터 판독하는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155)를 나타낸다. 예시적인 동작 환경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탈착가능/비탈착가능의, 휘발성/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는 자기 테잎 카세트, 플래시 메모리 카드 및 다른 고체 상태 저장 디바이스들,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들, 다른 광학 디스크들,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고체 상태 RAM, 고체 상태 ROM 등을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41)는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시스템 버스(121)에 연결될 수 있고,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51)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155)는 인터페이스(150)와 같은 탈착불가능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위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시스템 버스(12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 예시되고 상술된, 드라이버들 및 이들 각자와 관련된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명령어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및 컴퓨터(110)를 위한 다른 데이터의 저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41)는, 운영체제(144),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145), 다른 프로그램 모듈들(146), 및 프로그램 데이터(147)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예시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운영체제(134),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135), 다른 프로그램 모듈들(136), 및 프로그램 데이터(137)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것일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한다. 여기서는, 운영체제(144),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145), 다른 프로그램 모듈들(146), 및 프로그램 데이터(147)가 상이한 번호들로 주어지고 있는데, 이는 이들이 최소한, 상이한 복사본들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키보드(162)와 포인팅 디바이스(161)(이것은 통상적으로 마우스, 트랙볼, 또는 터치 패드로 불리운다)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들을 통해 커맨드와 정보를 컴퓨터(110) 내에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입력 디바이스들(미도시됨)은 (예컨대, 음성 또는 다른 오디오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게임 패드, 위성 안테나, 스캐너, 터치 민감 스크린, 기록 태블릿, (예컨대, 제스처 또는 다른 시각적 입력을 입력하기 위한)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디바이스들 및 다른 입력 디바이스들은 종종, 시스템 버스에 결합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프로세싱 유닛(120)에 연결되지만, 병렬 포트, 게임 포트 또는 범용 직렬 버스(USB)와 같은, 다른 인터페이스 및 버스 구조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위에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의 이용을 통해, 내추럴 사용자 인터페이스(Natural User Interface; NUI)가 구축될 수 있다. NUI는 음성 인식, 터치 및 스타일러스 인식, 스크린 상과 스크린에 인접한 곳에서의 제스처 인식, 에어 제스처, 머리와 안구 추적, 음성 및 스피치, 시각, 터치, 제스처들, 및 머신 지능 등에 의존할 수 있다.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몇가지 예시적인 NUI 기술은 터치 민감 디스플레이, 음성 및 스피치 인식, 의도 및 목표 이해, (입체 카메라 시스템, 적외선 카메라 시스템, RGB 카메라 시스템, 및 이들의 조합들과 같은) 깊이 카메라들을 이용한 모션 제스처 검출, 가속도계/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모션 제스처 검출, 안면 인식, 3D 디스플레이, 머리, 안구, 및 시선 추적, 몰입형 증강 현실 및 가상 현실 시스템 뿐만이 아니라, 전기장 감지 전극들(EEG 및 관련 방법들)을 이용한 두뇌 활동을 감지하기 위한 기술들을 포함한다.
모니터(191)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또한 비디오 인터페이스(190)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21)에 연결된다. 모니터 이외에도, 컴퓨터들은 또한 스피커들(197) 및 프린터(196)와 같은 다른 주변 출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들은 출력 주변 인터페이스(19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컴퓨터(110)는 원격 컴퓨터(18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들에 대한 논리적 연결들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180)는 개인 컴퓨터, 서버, 라우터, 네트워크 PC, 피어 디바이스 또는 다른 일반적인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컴퓨터(110)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많은 수의 엘리먼트들 또는 그 모두를 포함하지만, 도 1에서는 단지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181)만이 예시되었다. 도 1에서 도시된 논리 연결들은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171) 및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173)를 포함하지만, 이것들은 또한 전화 네트워크, 근거리 네트워크, 및 다른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킹 환경들은 사무소, 전사적(enterprise-wide) 컴퓨터 네트워크, 인트라넷, 및 인터넷에서 흔한 것들이다.
컴퓨터(110)는,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이용될 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아답터(170)를 통해 LAN(171)에 연결된다. 컴퓨터(110)는,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이용될 때, 인터넷과 같은 WAN(173)을 통한 통신들을 구축하기 위한 모뎀(172) 또는 다른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에 있거나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는 모뎀(172)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60) 또는 다른 적절한 메카니즘을 통해 시스템 버스(121)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컴퓨터(110)에 대해 도시된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그 일부분들은 원격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도 1은 메모리 디바이스(181) 상에 상주하는 원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185)을 예시한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다른 수단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단락 스냅핑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정확한 텍스트 셀렉션은 어떠한 유형들의 디바이스들에서는 힘들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블록도들이다.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엘리먼트(때때로 이것은 제어부로서 칭해진다)는 0개 이상의 다른 엘리먼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멘트는 0개 이상의 다른 엘리먼트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0개 이상의 다른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방식들로 배열될 수 있는 더 많은 수의, 더 적은 수의, 또는 다른 엘리먼트들을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시에서, 윈도우(200)는 메뉴(205)와 페인(pane)(2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각각의 엘리먼트들이다. 윈도우(200)는 또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205)는 파일, 편집, 보기, 및 희망하는 다른 메뉴 항목들과 같은 메뉴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것은 선택할 추가적인 메뉴 항목들을 제공하는 서브메뉴가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서브메뉴 내의 메뉴 항목들은 추가적인 서브메뉴들이 나타나게 하는 것 등등을 야기시킬 수 있다.
페인(215)은 하나 이상의 텍스트 단락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페인(215)은 2개의 텍스트 단락들(예컨대, 단락(220)과 단락(225))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통상적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또는 이전에 설명한 임의의 유형의 내추럴 사용자 인터페이스(NUI)를 이용하여 윈도우(200)로부터 텍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200)가 터치 민감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때, 사용자는, 하나의 실시예에서, 셀렉션(230)에 대응하는 영역 상에 손가락을 탭핑(tapping)함으로써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는 때때로, 터치 민감 스크린 및 터치와 관련한 사용자 상호작용을 언급하지만, 사용자 입력을 이러한 유형들의 상호작용들로 제한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없다. 이러한 유형들의 상호작용들을 설명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설명된 사용자 상호작용들과 기능적으로 등가적인 다른 사용자 입력 상호작용들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터치 민감 스크린을 터치하고 이 스크린을 따라 손가락을 드래깅하는 것을 수반하는 사용자 입력이 통상적인 입력 디바이스들의 이용을 통해 및/또는 NUI의 사용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단어를 선택한 후(또는 셀렉션의 시작점을 표시한 후), 사용자는 확장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셀렉션(230)을 확장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민감 스크린으로, 사용자는 셀렉션(230)의 우측 상의 핸들(미도시됨) 근처를 손가락으로 터치할 수 있고, 터치 민감 스크린 상에서 손가락을 우측으로 및/또는 아래로 드래깅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드래깅함에 따라, 셀렉션(230)은 확장되어 이제 셀렉션(230)의 일부분인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터치 민감 스크린으로, 사용자는 셀렉션(230)의 좌측 상의 핸들(미도시됨) 근처를 손가락으로 터치할 수 있고, 터치 민감 스크린 상에서 손가락을 좌측으로 및/또는 위로 드래깅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드래깅함에 따라, 셀렉션(230)은 확장되어 이제 셀렉션(230)의 일부분인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단락 스냅핑 액션들은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행해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에 따라 행해질 수 있는 예시적인 액션들을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들이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방법은 일련의 동작들로서 도시되고 설명된다.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은 예시된 동작들 및/또는 이러한 동작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식해야 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후술하는 순서대로 행해진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두 개 이상의 동작들은 병렬로 또는 다른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하나 이상의 동작들이 여기서 제시되지도 않고 설명되지도 않은 다른 동작들과 함께 행해질 있다. 뿐만 아니라,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에 따라 본 방법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예시된 동작들 모두가 필요한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분야의 당업자는 본 방법이 대안적으로, 상태도를 통해 일련의 상관된 상태들로서 또는 이벤트들로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알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록(505)에서, 액션들은 시작한다. 블록(510)에서, 셀렉션의 표시가 수신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셀렉션(230)에 대응하는 영역 내의 단어 근처에서 터치 민감 디바이스를 터치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이러한 영역을 터치하는 것은 단어(예컨대, 셀렉션(230) 내의 단어)가 선택되게 해줄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해당 영역 근처에서 터치 민감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것은 셀렉션의 시작 또는 종료를 표시하는 라인, 포인터, 핸들, 반전된 텍스트, 또는 몇몇의 다른 표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블록(515)에서, 셀렉션과 관련하여 확장 입력이 수신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셀렉션(230)으로부터 우측으로 및/또는 아래로 드래깅함으로써 확장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영어의 경우, 사람은 보통, 페이지의 좌측에서 페이지의 우측으로 위에서 바닥쪽으로 읽어나간다. 다른 언어들의 경우, 사람은 페이지의 우측에서 페이지의 좌측으로 위에서 바닥쪽으로 읽어나갈 수 있다. 이것을 때때로, 텍스트 흐름의 방향으로의 읽기로서 칭하며, 이것은 위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다른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확장 입력은 텍스트 흐름의 방향으로의 입력을 포함하며, 이것은 텍스트가 쓰여지는 언어에 의존할 수 있다.
확장 입력은 또한 텍스트 흐름의 반대 방향으로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셀렉션(230)의 시작점 상에 위치시키고 손가락을 셀렉션(230)으로부터 좌측으로 및/또는 위로 드래깅함으로써 확장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록(520)에서, 확장 입력에 따라 셀렉션이 리사이징(resize)된다. 예를 들어,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을 아래방향으로 드래깅한 것에 응답하여, 셀렉션(230)은 셀렉션(330)으로 리사이징될 수 있다.
블록(525)에서, 리사이징된 셀렉션이 하나 이상의 단락 스냅핑 조건들의 세트를 충족시키면, 액션들은 블록(530)으로 이어지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액션들은 블록(540)으로 이어진다. 아래는 몇몇의 예시적인 단락 스냅핑 조건들을 나타낸다. 아래의 예시들은 망라적이거나 또는 포괄적인 것임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본 발명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서의 교시내용들에 기초하여,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의 사상과 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예시들을 인식할 수 있다. 예시적인 단락 스냅핑 조건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셀렉션은 적어도 N개의 텍스트 라인들을 포함하며, 단락은 2N개의 텍스트 라인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셀렉션이 3개의 텍스트 라인들을 포함하고, 단락이 6개의 텍스트 라인들을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스냅핑 조건은 충족될 수 있다.
셀렉션은 적어도 X개의 텍스트 라인들을 포함하며, 단락은 Y개의 텍스트 라인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Y는 X보다 크며, X와 Y는 하드 코딩되거나 또는 구성가능하다. 예를 들어, X = 3이고 Y = 5이며, 5개 라인 길이의 단락 중에서 3개의 텍스트 라인들이 선택되면, 이러한 스냅핑 조건은 충족될 수 있다.
셀렉션은 단락의 미리정의된 퍼센티지보다 크다. 예를 들어, 하나의 구현예에서, 스냅핑 퍼센티지는 50%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스냅핑 퍼센티지는 75%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스냅핑 퍼센티지는 X일 수 있으며, X는 0과 100사이의 임의의 퍼센티지이다.
단락의 미리정의된 퍼센티지는 하드 코딩되거나 또는 구성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정의된 퍼센티지를 정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구현예에서, 사용자는 세 개의 유형들의 스냅핑 행위, 즉 공격적(aggressive), 비공격적, 및 스냅핑 없음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격적 스냅핑 행위를 표시하면, 미리정의된 퍼센티지는 50%(또는 다른 퍼센티지)로서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비공격적 스냅핑 행위를 표시하면, 미리정의된 퍼센티지는 75%(또는 다른 퍼센티지)로서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냅핑 없음을 표시하면, 단락 스냅핑은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사용자는 실제 퍼센티지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락 스냅핑이 인에이블될 때,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될 퍼센티지를 입력하도록 해줄 수 있다.
스냅핑 퍼센티지는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라인들, 문장들, 문자들, 단어들, 영역 등에 기초할 수 있다.
이전의 단락이 이미 선택되었고, 사용자는 셀렉션을 다음 단락으로 확장시킨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단락(220)이 이미 (단락 스냅핑을 통해 또는 다른 셀렉션을 경유하여) 선택되었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단락(225)의 첫번째 라인 위로 드래깅함으로써 셀렉션을 확장시키는 경우, 이것은 단락(225)을 스냅핑하는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셀렉션은 단락의 시작점에서 시작하며, 문턱값 위의 양 만큼의 단락 텍스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셀렉션이 단락(225)의 시작점에서 시작하고 단락(225)의 처음 2개의 라인들을 포함한 경우, 이러한 스냅핑 조건은 충족될 수 있다. “텍스트의 양”은 예컨대, 이전에 표시한 수치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상기 내용들의 조합.
블록(530)에서, 셀렉션이 단락에 대해 스냅핑된다. 예를 들어,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120)은, 해당 셀렉션(230)이 이제 (도 4에서의 셀렉션(43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단락(220) 전체를 커버한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RAM(132) 내의 데이터 구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블록(535)에서, 단락의 스냅핑이 출력 디바이스 상에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단락(220)을 에워싸며, 셀렉션(430)이 해당 단락에 대해 스냅핑되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라인이 그려질 수 있다.
도 4에서 예시된 시각적 표시는 일례일 뿐이다. 다른 유형들의 표시들은, 예컨대 하이라이트표시된 텍스트, 상이한 색상의 텍스트, 반전된 텍스트, 선택된 단락을 에워싸는 마커들, 다른 그래픽 표시들, 다른 비그래픽 표시들(예컨대, 음성 또는 다른 음향, 점자표시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540)에서, 다른 액션들이 (존재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락 스냅핑 조건들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일부분으로서 추가적인 액션들이 블록(525)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액션들은 예컨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확장 입력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락 스냅핑 행위를 디스에이블시킨다.
리사이징된 셀렉션이 백색 공간(예컨대, 단락들 사이의 빈 공간) 내로 확장한다는 것을 탐지하며, 셀렉션이 단락 전체를 포함하되 백색 공간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셀렉션 입력이 텍스트의 흐름 방향으로 존재하면 셀렉션 입력이 확장 입력이라고 결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블록(605)에서, 액션들은 시작한다. 블록(610)에서, 수축 입력이 수신된다. 수축 입력은 셀렉션 크기를 보다 작게 하는 입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셀렉션(430)의 종료점 상에 위치시키고 손가락을 단락(220) 내에서 좌측으로 또는 위로 드래깅함으로써 수축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크기의 셀렉션에 대해 수축 입력이 수신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축 입력은 단락들 전체의 셀렉션들로 제약되지 않는다.
블록(615)에서, 단락 스냅핑은 취소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120)은, 단락 스냅핑이 셀렉션 활동에 대해서 디스에이블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RAM(132) 내의 데이터 구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블록(620)에서, 수축 입력에 따라 셀렉션은 좀 더 작아진다. 예를 들어,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셀렉션(330)이 확장되었던 단락 스냅핑으로부터 셀렉션(430)이 초래된 경우, 단락 스냅핑이 단락(220)에 대해서 취소되면, 셀렉션의 시작은 도 3의 셀렉션(330)의 시작점으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단락 스냅핑이 취소된 후, 단락 스냅핑 규칙들은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디스에이블시, 사용자는 셀렉션에 대한 확장 입력 또는 수축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단락의 특정 부분들을 선택할 수 있다.
블록(625)에서, 다른 액션들이 (존재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렉션이 두번째 단락으로 확장될 것이라는 것을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이 나타내면, 단락 스냅핑 행위가 재인에이블될 수 있다.
도 1의 프로세싱 유닛(120)은 위에서 표시한 액션들을 수행하도록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통해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단락 스냅핑이 수행되는 문서의 표현물을 제공하기 위해 모니터(191), 프린터(196), 스피커(197), 또는 다른 입력 디바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살명으로부터 살펴볼 수 있듯이, 단락 스냅핑에 관한 양태들이 서술되었다.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은 다양한 수정들과 대안적인 구성들이 가능하지만, 본 양태들의 일정한 예시된 실시예들이 도면들에서 도시되며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하지만, 청구된 본 발명내용의 양태들을 개시된 특정한 형태들로 한정시키려는 의도는 없으며, 이와는 반대로, 본 의도는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내용의 다양한 양태들의 사상과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들, 등가물들 및 대안구성들을 커버하고자 하는 바이다.

Claims (10)

  1.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에 의해 이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단락(paragraph)의 텍스트의 셀렉션(selection)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셀렉션과 관련한 확장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확장 입력에 따라 상기 셀렉션을 리사이징(resize)하는 단계;
    상기 리사이징된 셀렉션이 상기 단락의 텍스트 모두를 포함하지는 않되 하나 이상의 단락 스냅핑(snapping) 조건들의 세트를 충족시키는 경우, 단락 스냅핑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단락 스냅핑 액션은 출력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리사이징된 셀렉션이 상기 단락 전체를 포함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 것인, 컴퓨터에 의해 이행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입력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지 여부를 탐지하며, 그렇지 않고 상기 확장 입력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지 않은 경우, 상기 셀렉션에 대한 단락 스냅핑 행위를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이행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수축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단락에 대한 단락 스냅핑 행위를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이행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스냅핑 액션 이전에 상기 셀렉션이 시작되던 텍스트로 상기 셀렉션이 시작된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이행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션이 두번째 단락으로 확장될 것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추가적인 입력에 응답하여 스냅핑 행위를 재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이행되는 방법.
  6. 컴퓨팅 환경 내 시스템에 있어서,
    문서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상기 문서의 표현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출력 디바이스;
    상기 메모리와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결합되고, 액션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액션들은,
    상기 문서의 단락의 텍스트의 셀렉션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셀렉션과 관련한 확장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셀렉션이 상기 단락의 텍스트 모두를 포함하지는 않을정도로 확장될 것이되 하나 이상의 단락 스냅핑 조건들의 세트가 충족된다는 것을 상기 확장 입력이 표시하는 경우, 단락 스냅핑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단락 스냅핑 액션은 상기 셀렉션이 상기 단락 전체를 포함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출력 데이터를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 것인, 컴퓨팅 환경 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추가적인 액션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며, 상기 추가적인 액션들은, 상기 출력 디바이스가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며, 그렇지 않고 상기 출력 디바이스가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셀렉션에 대한 단락 스냅핑 행위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을 포함한 것인, 컴퓨팅 환경 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추가적인 액션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며, 상기 추가적인 액션들은, 수축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단락에 대한 스냅핑 행위를 취소하는 것을 포함한 것인, 컴퓨팅 환경 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에 대한 스냅핑 행위를 취소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락 스냅핑 액션 이전에 상기 셀렉션이 시작되던 텍스트로 상기 셀렉션이 시작된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게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를 포함한 것인, 컴퓨팅 환경 내 시스템.
  10. 실행될 때, 액션들을 수행하는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갖는 컴퓨터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액션들은,
    터치 민감 디바이스 상에서, 단락의 텍스트의 셀렉션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셀렉션과 관련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단락의 텍스트 흐름의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포함한 것인,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셀렉션을 리사이징하는 것이 상기 셀렉션을 상기 단락의 미리정의된 퍼센티지보다 크게 되도록 야기시키면, 상기 셀렉션이 상기 단락 전체를 포함한다는 것을 상기 터치 민감 디바이스의 출력 디바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 것인,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0157037003A 2013-06-04 2013-09-20 텍스트 셀렉션 단락 스냅핑 KR201600169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09,073 2013-06-04
US13/909,073 US20140359433A1 (en) 2013-06-04 2013-06-04 Text selection paragraph snapping
PCT/US2013/060765 WO2014196997A1 (en) 2013-06-04 2013-09-20 Text selection paragraph snapp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935A true KR20160016935A (ko) 2016-02-15

Family

ID=4929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7003A KR20160016935A (ko) 2013-06-04 2013-09-20 텍스트 셀렉션 단락 스냅핑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40359433A1 (ko)
EP (1) EP3005146A1 (ko)
JP (1) JP6340420B2 (ko)
KR (1) KR20160016935A (ko)
CN (1) CN105408889B (ko)
AU (1) AU2013391468A1 (ko)
BR (1) BR112015030241A2 (ko)
CA (1) CA2913751A1 (ko)
MX (1) MX2015016739A (ko)
RU (1) RU2656988C2 (ko)
WO (1) WO2014196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1701A (ja) * 2013-04-17 2014-11-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19129B2 (en) * 2017-01-27 2019-06-11 Adobe Inc. Snapping line generation
CN109298819B (zh) * 2018-09-21 2021-03-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选择对象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4840A (en) * 1994-08-29 1996-11-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text utilizing a plurality of text using switchable minimum granularity of selection
JPH08241317A (ja) * 1995-03-02 1996-09-17 Canon Inc 文書処理装置
US6532081B1 (en) * 1999-07-23 2003-03-11 Xerox Corporation Weight calculation for blending color transformation lookup tables
US20120089499A1 (en) * 2000-06-29 2012-04-12 Balthaser Online, Inc. Methods, systems, and processes for the design and creation of rich-media applications via the internet
US6891551B2 (en) * 2000-11-10 2005-05-10 Microsoft Corporation Selection handles in editing electronic documents
US7703004B2 (en) * 2003-06-20 2010-04-20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web pages to structured shared web-writable pages
US7703036B2 (en) * 2004-08-16 2010-04-20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selectable software functionality controls that are relevant to a selected object
US7683889B2 (en) * 2004-12-21 2010-03-23 Microsoft Corporation Pressure based selection
US7619616B2 (en) * 2004-12-21 2009-11-17 Microsoft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controls
US8643605B2 (en) * 2005-11-21 2014-02-04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Gesture based document editor
US8656295B2 (en) * 2007-01-05 2014-02-18 Apple Inc. Selecting and manipulating web content
US8201109B2 (en) * 2008-03-04 2012-06-12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8370736B2 (en) * 2009-03-16 2013-02-05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US9244605B2 (en) * 2011-05-31 2016-01-2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ocument manipulation
CN105955617B (zh) * 2011-06-03 2019-07-12 谷歌有限责任公司 用于选择文本的手势
AU2012101185B4 (en) * 2011-08-19 2013-05-02 Apple Inc. Creating and viewing digital note cards
CA2821772C (en) * 2012-04-30 2016-12-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9354805B2 (en) * 2012-04-30 2016-05-3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08889A (zh) 2016-03-16
CN105408889B (zh) 2018-04-24
JP2016526235A (ja) 2016-09-01
RU2015151840A (ru) 2017-06-08
US20140359433A1 (en) 2014-12-04
RU2656988C2 (ru) 2018-06-07
EP3005146A1 (en) 2016-04-13
BR112015030241A2 (pt) 2017-07-25
WO2014196997A1 (en) 2014-12-11
AU2013391468A1 (en) 2015-12-10
JP6340420B2 (ja) 2018-06-06
MX2015016739A (es) 2016-08-08
CA2913751A1 (en)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4489B2 (en) Hover-based interaction with rendered content
US10108330B2 (en) Automatic highlighting of formula parameters for limited display devices
US8701050B1 (en) Gesture completion path display for gesture-based keyboards
KR20110109551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장치의 입력 처리 방법
CN109471692B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设备
KR20160094442A (ko) 플로팅 터치에 기초한 클릭 객체 확대 방법 및 장치
US90814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6095689A1 (zh) 基于终端界面多次触控操作进行识别搜索的方法及系统
US9430146B1 (en) Density-based filtering of gesture events associated with a user interface of a computing device
WO2012162895A1 (en) Gestures for selecting text
KR101474856B1 (ko) 음성인식을 통해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86842A (ko)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리사이징 기법
CN106201301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60016935A (ko) 텍스트 셀렉션 단락 스냅핑
US20140108982A1 (en) Object placement within interface
EP3043251A1 (en)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same
KR101447879B1 (ko) 음성인식을 통해 컨트롤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292187B (zh) 上下文命令栏
CN108052212A (zh) 一种输入文字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US20150310651A1 (en) Detecting a read line of text and displaying an indicator for a following line of text
EP3210101B1 (en) Hit-test to determine enablement of direct manipulations in response to user actions
JP5468640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5345609B2 (ja) タッチパネル式端末、語削除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87810B1 (ko) 저시력자를 위한 웹문서 제공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JP5744252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