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879A -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879A
KR20160015879A KR1020140098795A KR20140098795A KR20160015879A KR 20160015879 A KR20160015879 A KR 20160015879A KR 1020140098795 A KR1020140098795 A KR 1020140098795A KR 20140098795 A KR20140098795 A KR 20140098795A KR 20160015879 A KR20160015879 A KR 20160015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ressure
pressure
damper clutch
line
engine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8845B1 (ko
Inventor
김기왕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8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845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01Infinitely variable gearings
    • B60W10/103Infinitely variable gearings of flui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출력 속도, 터빈 토크 및 엔진 토크를 검출하는 검출부; 변속단별 최소 라인압이 포함된 제1 맵 테이블 및 엔진 토크별 최소 라인압이 포함된 제2 맵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1 및 제2 맵 테이블로부터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라인압을 각각 산출하고, 댐퍼 클러치의 제어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댐퍼 클러치가 미제어 상태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1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고, 상기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1 및 제2 라인압 중에서 높은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기초 라인압에 따라 상기 댐퍼 클러치에 라인압을 공급하는 라인압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NE PRESSURE OF VEHICLE TRANSMISSION}
본 명세서는 차량의 라인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댐퍼 클러치의 동작 여부에 따라 기초 라인압을 결정하기 위한 차량의 라인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자동변속기에는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와, 이 토크 컨버터에 연결되어 있는 다단 변속기어 메커니즘인 파워 트레인(power train)과, 파워 트레인의 작동요소들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시스템(hydraulic system)과, 유압시스템을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유닛(transmission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유압시스템은 오일펌프에 의해 토출되는 오일을 이용하여 파워 트레인의 작동요소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여러 밸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압시스템은 오일펌프에서 배출되는 오일의 압력을 조절하여 소정의 압력(라인압)이 되도록 하는 레귤레이터 밸브(regulator valve)를 포함한다.
레귤레이터 밸브는 복수의 포트(port)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valve housing)과, 이 밸브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랜드(land)가 구비되는 밸브 스풀(valve spool)과, 밸브 스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을 포함한다. 제어압의 유입에 의해 레귤레이터 밸브의 밸브 스풀의 위치가 변환되고, 그 결과 소정의 라인압이 형성되게 된다.
레귤레이터 밸브에 의해 형성된 라인압은 다른 여러 밸브로 공급되게 된다. 레귤레이터 밸브로 오일을 공급하는 솔레노이드(variable force solenoid; VFS) 밸브를 이용하여 라인압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라인압 가변 제어 기술이 도입되었다. 즉, 변속기 제어유닛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의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함으로써, 라인압이 가변적으로 제어되는 것이다.
이러한 라인압 가변 제어의 목표는 기어 치합된 상태에서 라인압을 최대한 낮춤으로써 변속기의 효율 및 연비를 향상함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라인압 가변 제어에서는, 솔레노이드 듀티비가 특정 변속단으로 주행 시 클러치의 슬립이 일어나지 아니하는 최소 라인압이 형성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최소 라인압은 터빈 입력토크에 따라 안전율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자동변속기에서, 댐퍼 클러치(damper clutch)의 동작시에는 비동작시보다 댐퍼 클러치에 공급되는 압만큼 더 큰 라인압을 필요로 한다. 즉, 댐퍼 클러치의 제어가 진행되는 상태에서는 댐퍼 클러치로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어 다른 클러치로 공급되는 라인압이 줄어들 수다.
이때, 댐퍼 클러치 동작시 적절한 라인압이 형성되지 않으면 클러치의 슬립(slip)이 발생한다. 라인압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자동변속기 내부의 클러치나 댐퍼 클러치에서 슬립이 발생할 수 있다. 결국 클러치 소손이 발생되거나 변속충격을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적절한 라인압이 형성되지 못하면 클러치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클러치의 내구성이 떨어져 고장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7217호(2005.05.20. 공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댐퍼 클러치의 동작시 클러치압에 공급되어야 할 최소의 기초 라인압을 엔진 토크에 따른 맵 테이블을 이용하여 결정하고 그 결정된 기초 라인압을 기초로 라인압을 공급함으로써, 클러치의 내구성과 동작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댐퍼 클러치의 체결유무와 엔진토크의 크기에 따라 최소의 라인압을 형성하여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인 클러치 동작과 클러치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연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출력 속도, 터빈 토크 및 엔진 토크를 검출하는 검출부; 변속단별 최소 라인압이 포함된 제1 맵 테이블 및 엔진 토크별 최소 라인압이 포함된 제2 맵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1 및 제2 맵 테이블로부터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라인압을 각각 산출하고, 댐퍼 클러치의 제어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댐퍼 클러치가 미제어 상태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1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고, 상기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1 및 제2 라인압 중에서 높은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기초 라인압에 따라 상기 댐퍼 클러치에 라인압을 공급하는 라인압 공급부를 포함하는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맵 테이블로부터 상기 검출된 출력 속도 및 터빈 토크에 대응하는 최소 라인압을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라인압으로 산출하고, 상기 제2 맵 테이블로부터 상기 검출된 엔진 토크에 대응하는 최소 라인압을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라인압으로 산출하는 라인압 산출부; 및 상기 댐퍼 클러치의 제어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댐퍼 클러치가 미제어 상태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1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고, 상기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1 및 제2 라인압 중에서 높은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는 라인압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인압 결정부는 상기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이고 상기 검출된 엔진 토크가 기 설정된 엔진 토크 이상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2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결정된 기초 라인압을 보상하는 라인압 보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인압 공급부는 상기 보상된 라인압에 따라 상기 댐퍼 클러치에 라인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라인압 보상부는 유압 온도, 스로틀(throttle) 값, 락업 클러치(Lock-up) 오픈 여부 및 클러치 슬립(clutch slip)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보상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결정된 기초 라인압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출력 속도, 터빈 토크 및 엔진 토크를 검출하는 단계; 변속단별 최소 라인압이 포함된 제1 맵 테이블 및 엔진 토크별 최소 라인압이 포함된 제2 맵 테이블로부터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라인압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댐퍼 클러치의 제어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댐퍼 클러치가 미제어 상태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1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고, 상기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1 및 제2 라인압 중에서 높은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기초 라인압에 따라 상기 댐퍼 클러치에 라인압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라인압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맵 테이블로부터 상기 검출된 출력 속도 및 터빈 토크에 대응하는 최소 라인압을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라인압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맵 테이블로부터 상기 검출된 엔진 토크에 대응하는 최소 라인압을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라인압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이고 상기 검출된 엔진 토크가 기 설정된 엔진 토크 이상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2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정된 기초 라인압을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인압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된 라인압에 따라 상기 댐퍼 클러치에 라인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기초 라인압을 보상하는 단계는 유압 온도, 스로틀 값, 락업 클러치 오픈 여부 및 클러치 슬립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보상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결정된 기초 라인압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댐퍼 클러치의 동작시 클러치압에 공급되어야 할 최소의 기초 라인압을 엔진 토크에 따른 맵 테이블을 이용하여 결정하고 그 결정된 기초 라인압을 기초로 라인압을 공급함으로써, 클러치의 내구성과 동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댐퍼 클러치의 체결유무와 엔진토크의 크기에 따라 최소의 라인압을 형성하여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인 클러치 동작과 클러치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되는 제1 및 제2 맵 테이블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100)는 검출부(110), 제어부(120), 라인압 공급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의 라인압 제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검출부(110)는 출력 속도(output speed), 터빈 토크(turbine torque) 및 엔진 토크(Engine torque)를 검출한다.
저장부(140)는 변속단별 최소 라인압이 포함된 제1 맵 테이블(hlpt_Base_X) 및 엔진 토크별 최소 라인압이 포함된 제2 맵 테이블(hlpt_Base_LUP)을 저장한다. 제1 맵 테이블 및 제2 맵 테이블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20)는 제1 및 제2 맵 테이블로부터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라인압을 각각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댐퍼 클러치의 제어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댐퍼 클러치가 미제어 상태인 경우에 그 산출된 제1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hlp_Stat)으로 결정하고,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인 경우에 그 산출된 제1 및 제2 라인압 중에서 높은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한다.
라인압 공급부(130)는 제어부에서 결정된 기초 라인압에 따라 댐퍼 클러치에 라인압을 공급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라인압 산출부(121), 라인압 결정부(122) 및 라인압 보상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압 산출부(121)는 제1 맵 테이블로부터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출력 속도 및 터빈 토크에 대응하는 최소 라인압을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라인압으로 산출한다. 그리고 라인압 산출부(121)는 제2 맵 테이블로부터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엔진 토크에 대응하는 최소 라인압을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라인압으로 산출한다.
라인압 결정부(122)는 댐퍼 클러치의 제어 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라인압 결정부(122)는 댐퍼 클러치가 미제어 상태인 경우에 라인압 산출부(121)에서 산출된 제1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한다.
반면, 상기 확인 결과, 라인압 결정부(122)는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인 경우에 라인압 산출부(121)에서 산출된 제1 및 제2 라인압 중에서 높은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라인압 결정부(122)는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이고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엔진 토크가 기 설정된 엔진 토크 이상인 경우에 라인압 산출부(121)에서 산출된 제2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라인압 보상부(123)는 라인압 결정부(122)에서 결정된 기초 라인압을 보상한다. 여기서, 라인압 보상부(123)는 유압 온도, 스로틀 값, 락업 클러치 오픈 여부 및 클러치 슬립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보상 파라미터에 따라 라인압 결정부(122)에서 결정된 기초 라인압을 보상할 수 있다.
한편, 라인압 공급부(130)는 라인압 보상부(123)에서 보상된 라인압에 따라 댐퍼 클러치에 라인압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되는 제1 및 제2 맵 테이블에 대한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되는 제1 맵 테이블은 변속단별 소요되는 최소 라인압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제2 맵 테이블은 엔진 토크별 최소 라인압이 포함되어 있다. 저장부(140)는 제1 맵 테이블 및 제2 맵 테이블을 저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맵 테이블은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터빈 토크 및 출력 속도를 축으로 갖는다. 터빈 토크는 기 설정된 토크를 100%로 정했을 때 0% 내지 100%의 비율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출력 속도는 분당 회전수(RPM)를 단위로 기설정된 범위(예컨대, 1000rpm 내지 5000rpm) 내에서 검출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각각의 터빈 토크 및 출력 속도에 해당하는 변속단별 최소 라인압을 제1 맵 테이블로부터 산출한다. 예를 들어, 기어가 5단이고 터빈 토크 및 출력 속도가 각각 40% 및 2500rpm인 경우, 제어부(120)는 제1 맵 테이블에 포함된 21%의 변속단별 최소 라인압을 제1 라인압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맵 테이블은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엔진 토크를 축으로 갖는다. 엔진 토크는 Nm 단위로 검출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엔진 토크에 해당하는 엔진 토크별 소요되는 라인압을 제2 맵 테이블로부터 산출한다. 예를 들어, 기어가 5단이고 터빈 토크 및 출력 속도가 각각 40% 및 2500rpm이면서 엔진 토크가 168 Nm인 경우, 제어부(120)는 제2 맵 테이블에 포함된 51.6%의 엔진 토크별로 소요되는 라인압을 제2 라인압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차량 상태가 5단 주행 상태에서, 댐퍼 클러치의 제어가 이루어지면 제1 및 제2 맵 테이블에서 더 큰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댐퍼 클러치가 제어가 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엔진 토크가 클 수록 더 큰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로직이 적용되기 전에 5단 주행 중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이고 터빈 토크 및 출력 속도가 40% 및 2500rpm이면, 제어부(120)는 21%의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로직이 적용된 후, 제어부(120)는 엔진 토크(예컨대, 168 Nm)를 고려하여 21%보다 더 큰 라인압인 51.6%를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402 단계에서, 검출부(110)는 출력 속도, 터빈 토크 및 엔진 토크를 검출한다.
S404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제1 맵 테이블로부터 제1 라인압 산출한다. 제어부(120)는 제1 맵 테이블로부터 출력 속도 및 터빈 토크에 대응하는 최소 라인압을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라인압으로 산출한다.
S406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제2 맵 테이블로부터 제2 라인압 산출한다. 제어부(120)는 제2 맵 테이블로부터 엔진 토크에 대응하는 최소 라인압을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라인압으로 산출한다.
S408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S41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상기 S408 단계의 확인 결과가 댐퍼 클러치 미제어 상태이면 제1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한다.
S412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상기 S408 단계의 확인 결과가 댐퍼 클러치 제어 상태이면 제1 라인압 및 제2 라인압을 비교하여 제1 및 제2 라인압 중에서 높은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이고 엔진 토크가 기 설정된 엔진 토크 이상인 경우에 제2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S414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결정된 베이스 라인압을 유온 값에 따라 보상한다.
S416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결정된 베이스 라인압을 스로틀 값 변경에 따라 보상한다.
S418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결정된 베이스 라인압을 락업 클러치 오픈시 보상한다.
S42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결정된 베이스 라인압을 클러치 슬립시 보상한다.
S422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댐퍼 클러치로 공급되는 라인압을 보상된 라인압으로 제어한다. 그러면, 라인압 공급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보상된 라인압을 댐퍼 클러치로 공급한다.
한편, S414 단계 내지 S420 단계에서의 보상 단계들은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유압 온도, 스로틀 값, 락업 클러치 오픈 여부 및 클러치 슬립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보상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결정된 기초 라인압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S414 단계 내지 S420 단계에서의 보상 단계들은 서로 간의 보상 순서가 변경되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라인압 제어 장치 110: 검출부
120: 제어부 121: 라인압 산출부
122: 라인압 결정부 123: 라인압 보상부
130: 라인압 공급부 140: 저장부

Claims (10)

  1. 출력 속도, 터빈 토크 및 엔진 토크를 검출하는 검출부;
    변속단별 최소 라인압이 포함된 제1 맵 테이블 및 엔진 토크별 최소 라인압이 포함된 제2 맵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1 및 제2 맵 테이블로부터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라인압을 각각 산출하고, 댐퍼 클러치의 제어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댐퍼 클러치가 미제어 상태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1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고, 상기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1 및 제2 라인압 중에서 높은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기초 라인압에 따라 상기 댐퍼 클러치에 라인압을 공급하는 라인압 공급부
    를 포함하는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맵 테이블로부터 상기 검출된 출력 속도 및 터빈 토크에 대응하는 최소 라인압을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라인압으로 산출하고, 상기 제2 맵 테이블로부터 상기 검출된 엔진 토크에 대응하는 최소 라인압을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라인압으로 산출하는 라인압 산출부; 및
    상기 댐퍼 클러치의 제어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댐퍼 클러치가 미제어 상태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1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고, 상기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1 및 제2 라인압 중에서 높은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는 라인압 결정부
    를 포함하는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압 결정부는
    상기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이고 상기 검출된 엔진 토크가 기 설정된 엔진 토크 이상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2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는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기초 라인압을 보상하는 라인압 보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인압 공급부는 상기 보상된 라인압에 따라 상기 댐퍼 클러치에 라인압을 공급하는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압 보상부는
    유압 온도, 스로틀 값, 락업 클러치 오픈 여부 및 클러치 슬립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보상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결정된 기초 라인압을 보상하는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
  6. 출력 속도, 터빈 토크 및 엔진 토크를 검출하는 단계;
    변속단별 최소 라인압이 포함된 제1 맵 테이블 및 엔진 토크별 최소 라인압이 포함된 제2 맵 테이블로부터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라인압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댐퍼 클러치의 제어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댐퍼 클러치가 미제어 상태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1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고, 상기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1 및 제2 라인압 중에서 높은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기초 라인압에 따라 상기 댐퍼 클러치에 라인압을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라인압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맵 테이블로부터 상기 검출된 출력 속도 및 터빈 토크에 대응하는 최소 라인압을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라인압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맵 테이블로부터 상기 검출된 엔진 토크에 대응하는 최소 라인압을 댐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라인압으로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댐퍼 클러치가 제어 상태이고 상기 검출된 엔진 토크가 기 설정된 엔진 토크 이상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제2 라인압을 기초 라인압으로 결정하는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기초 라인압을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인압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된 라인압에 따라 상기 댐퍼 클러치에 라인압을 공급하는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라인압을 보상하는 단계는
    유압 온도, 스로틀 값, 락업 클러치 오픈 여부 및 클러치 슬립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보상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결정된 기초 라인압을 보상하는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방법.
KR1020140098795A 2014-08-01 2014-08-01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28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795A KR101628845B1 (ko) 2014-08-01 2014-08-01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795A KR101628845B1 (ko) 2014-08-01 2014-08-01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879A true KR20160015879A (ko) 2016-02-15
KR101628845B1 KR101628845B1 (ko) 2016-06-09

Family

ID=5535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795A KR101628845B1 (ko) 2014-08-01 2014-08-01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8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904A (ja) * 1995-03-31 1996-12-10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20050047217A (ko) 2003-11-17 2005-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라인압 가변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53414A (ko) * 2003-12-02 2005-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3019428A (ja) * 2011-07-07 2013-01-31 Toyota Motor Corp 油圧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904A (ja) * 1995-03-31 1996-12-10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20050047217A (ko) 2003-11-17 2005-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라인압 가변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53414A (ko) * 2003-12-02 2005-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3019428A (ja) * 2011-07-07 2013-01-31 Toyota Motor Corp 油圧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845B1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8698B2 (en) Main modulation calibration using control main valve
US934126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6102353B2 (ja) クラッチの制御装置
KR20140044673A (ko) 댐퍼클러치 유압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5477608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1628845B1 (ko) 차량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9642666B (zh) 无级变速器的控制方法
US10989301B2 (en)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10871224B2 (en)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13148110A (ja) 変速機の異常判定装置
US11137071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6918126B2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11067172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7232160A (ja) 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JP5790564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の制御装置およびその異常判定方法
US11067171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6887734B2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6896343B2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WO2012105507A1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6847537B2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6799580B2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及び無段変速機の制御方法
KR101654999B1 (ko) 차량 변속기 라인압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WO2019176417A1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3185617A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