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472A -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472A
KR20160015472A KR1020140097319A KR20140097319A KR20160015472A KR 20160015472 A KR20160015472 A KR 20160015472A KR 1020140097319 A KR1020140097319 A KR 1020140097319A KR 20140097319 A KR20140097319 A KR 20140097319A KR 20160015472 A KR20160015472 A KR 20160015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ombination
user
value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749B1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이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환 filed Critical 이정환
Priority to KR102014009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7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열기구, 다리미, 헤어드라이기와 같은 화재의 위험이 있는 전자제품 디바이스의 사용 시간을 측정하여 미리 정해놓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려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오프하게 하거나, 사용자가 오프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디바이스를 오프시킴으로써, 능동적으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DEVICES FROM BEING FIRED}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열기구, 다리미, 헤어드라이기와 같은 화재의 위험이 있는 전자제품 디바이스의 사용 시간을 측정하여 미리 정해놓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려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오프하게 하거나, 사용자가 오프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디바이스를 오프시킴으로써, 능동적으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방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사용하는 전열기구, 다리미, 헤어드라이기 등과 같은 기존의 가전제품은 화재의 위험성에 자주 노출된다. 사용자가 화재 위험이 있는 전자 제품을 켜놓은 상태로 이를 기억하지 못하고 계속 전원을 켜두게 되거나 전기 누전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할 경우 재산 및 인명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최근 전 산업분야에서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앞 다투어 IT(Information Technology)에 통신기술을 융합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를 접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추세로 인해 가정 및 사무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자기기에도 ICT를 접목하여 사용자가 원격 단말을 통해 각 전자기기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및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ICT를 이용한 센서 디바이스 통해 전자기기와 사용자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바로 센서이다. 상기 센서는 특정 전자기기의 특정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 및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각 센서가 수집한 정보는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정보가 필요한 곳으로 전송된다. 이때 센서 디바이스는 수집된 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서 상기 센서에서 센싱된 신호를 수치화하고, 이를 다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술의 융합으로 인해 최근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기기의 전원을 근거리 무선통신 및 원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온, 오프 할 수 있는 기술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의 가전기기 등은 주기적으로 화재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으며, 전자기기와 원거리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화재나 생각지 못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들이 있다.
다음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자기기 및 전기기기의 디바이스간의 통신을 작업을 수행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435991호 (2004.06.03.)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인터넷이나 전화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의 모든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외부의 인터넷망, 공중전화망, 전력망과 내부의 홈네트워크를 연결하여 가정 내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0-0009293호(2010.09.27.)는 가전제품제어 및 화재, 방범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장치에 형성된 리모콘 코드 입력부를 통해 다양한 제조회사나 가전제품의 종류에 따라 가전제품의 제어코드를 메인장치에 입력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제품의 제어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코드를 수신 받은 보조장치가 해당 가전제품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기술문헌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바는 유사하나, 본 발명이 제시하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재를 방지하고 가전제품의 전원 강제로 오프 함으로써, 해당 가전기기로 인해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대해서는 그 착상이나 시사가 없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따라, 본 발명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 중에 전열기구, 다리미, 헤어드라이기와 같은 화재의 위험성이 있는 디바이스들에 센서를 부착하거나 간단한 전류 측정수단만을 부착하여 각 디바이스의 사용 패턴을 파악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요소 발생 시 사용자단말기로 위험성을 출력하고, 위험요소가 제거되지 않으면 능동적으로 화재에 대처하는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사용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 및 전기기기에 부착된 센서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해당 전자기기 및 전기기기의 작동 상태 및 사용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화재 방지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기 및 전자기기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여부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화재의 위험성이 높은 전열기구, 다리미, 헤어드라이기와 같은 전자제품이 장시간 동작할 경우 사용자에게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해당 가전기기의 경고를 출력하여, 화재 위험성을 인지시켜 화재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 부착된 센서 디바이스가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위험성을 감지하고 사용자 단말에 알람을 보낸 후에도 사용자가 해당 가전기기를 오프시키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해당 가전기기를 오프시킴으로서 화재의 위험성을 차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 별도의 센서가 들어가지 않아도 간단하게 전력 데이터 측정만을 통해서 사용시에 위험한 디바이스인지 아닌지를 식별하거나, 사용자가 위험한 디바이스인지 아닌지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에서 마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험한 디바이스로 인식된 장치들이거나 사용자가 위험한 디바이스로 마크한 장치들은 디바이스 사용자의 사용 패턴 분석에 의해서 평상시 사용자의 디바이스 사용시간이나 사용자의 사용 패턴, 즉,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를 통한 디바이스 온도 또는 동작을 예측하여, 일반적인 사용시간 또는 사용 패턴이 아닌 경우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한 임계치(사용시간)를 넘어서게 되면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보해서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오프하도록 유도하여 디바이스의 화재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나 상태 감지 수단을 구비한 디바이스에 대해서 상기 디바이스의 온도, 연속동작 시간에 대한 평균, 최대, 최소 또는 이들의 조합, 전류에 대한 평균, 최대, 최소 또는 이들의 조합, 소비전력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설정값을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화재방지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설정값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상태를 측정한 측정값을 수신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디바이스별로 저장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설정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비교하거나, 상기 측정값으로부터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화재의 가능성을 미리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및 상기 화재의 가능성이 미리 감지된 경우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화재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장치에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상기 설정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비교하거나, 상기 측정값으로부터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차이나 분석결과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사용자에게 송신되며, 경고 메시지의 전송 후에도 사용자의 조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해당 디바이스의 전원을 강제로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장치에서, 각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은, NFC, 블루투스, RFID, 지그비, 와이파이, PLC, SUN, 6LoWPAN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넷북, 노트북 PC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장치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온도, 습도, 소비전력, 전류, 가스 누출, 조명세기, 가스 사용량, 물사용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나 상태 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센서나 상태 감지 수단은, 독립적인 상기 측정을 수행하거나, 가전기기, 조명기기, 전열기기, 가스기기, 수도기기 또는 이들이 조합을 포함한 기기에 내장되거나 부착되어 상기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온도, 습도, 전력소모, 가스 누출, 조명세기, 가스 사용량, 물사용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센서는, 독립적인 상기 측정을 수행하거나, 가전기기, 조명기기, 전열기기, 가스기기, 수도기기 또는 이들이 조합을 포함한 기기에 내장되거나 부착되어 상기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장치에서, 상기 설정값은, 사용자가 해당 디바이스에 대해서 기준값을 입력하여 설정하거나, 디바이스의 제조업자가 상기 디바이스에 기준값으로 설정해 놓은 것을 자동으로 로딩하여 설정하거나, 화재방지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자동으로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기준값을 수집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나 상태 감지 수단을 구비한 디바이스에 대해서 상기 디바이스의 온도, 연속동작 시간에 대한 평균, 최대, 최소 또는 이들의 조합, 전류에 대한 평균, 최대, 최소 또는 이들의 조합, 소비전력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설정값을 지정하는 제어 단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설정값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상태를 측정한 측정값을 수신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디바이스별로 저장하는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설정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비교하거나, 상기 측정값으로부터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화재의 가능성을 미리 감지하는 화재 감지 단계; 및 상기 화재의 가능성이 미리 감지된 경우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화재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 방법에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상기 설정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비교하거나, 상기 측정값으로부터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차이나 분석결과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사용자에게 송신되며, 경고 메시지의 전송 후에도 사용자의 조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해당 디바이스의 전원을 강제로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 방법에서, 각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은, NFC, 블루투스, RFID, 지그비, 와이파이, PLC, SUN, 6LoWPAN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넷북, 노트북 PC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 방법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온도, 습도, 소비전력, 전류, 가스 누출, 조명세기, 가스 사용량, 물사용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나 상태 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센서나 상태 감지수단은, 독립적인 상기 측정을 수행하거나, 가전기기, 조명기기, 전열기기, 가스기기, 수도기기 또는 이들이 조합을 포함한 기기에 내장되거나 부착되어 상기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 방법에서, 상기 설정값은, 사용자가 해당 디바이스에 대해서 기준값을 입력하여 설정하거나, 디바이스의 제조업자가 상기 디바이스에 기준값으로 설정해 놓은 것을 자동으로 로딩하여 설정하거나, 화재방지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자동으로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기준값을 수집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화재방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 전기, 수도, 가스를 포함한 각종 기기에 부착된 센서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해당 기기의 작동 상태 및 정보를 어디서든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 전기, 수도, 가스를 포함한 각종 기기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여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화재의 위험성이 높은 전열기구, 다리미, 헤어드라이기와 같은 전자제품이 장시간 동작할 경우 사용자에게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해당 기기의 경고를 출력하여, 화재 위험성을 인지시켜 화재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효과로서, 가전제품에 부착된 센서 디바이스가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위험성을 감지하고 사용자 단말에 알람을 보낸 후에도 사용자가 해당 가전기기를 오프시키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해당 가전기기를 오프 시킴으로서 화재의 위험성을 차단하여, 화재의 발생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기준값과 측정값을 비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과열 시 사용자 단말기로 위험을 통지하고 디바이스의 전원을 오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과열 시 사용자 단말기로 위험을 통지하고 디바이스의 전원을 리셋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방지장치와 센서 디바이스간의 통신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디바이스의 화재방지장치(100)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기기 및 전자기기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디바이스(20), 디바이스(20)에 부착되어 해당 디바이스(20)의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디바이스(21), 센서 디바이스(21)와 근거리 무선통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로 연결되어 인터넷(40)으로 통신되도록 하는 게이트웨이(30), 상기 게이트웨이(30)를 지나 인터넷(40)을 통해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고, 발생할 수도 있는 화재의 위험요소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화재방지장치(100)는 각 가정의 디바이스 별로 기준값에 대한 설정을 저장하고, 매 주기마다 측정된 측정값을 저장하여, 해당 디바이스의 고장이력이나 가동 시간에 대한 이력을 데이터베이스(105)를 통해서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각 디바이스(20)는 가전제품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 전기, 수도, 가스와 관련한 기기로서, 본 발명에서는 전열기구, 다리미, 헤어드라이기와 같은 화재의 위험이 있는 전자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가스기기나 수도기기도 본 발명의 화재방지장치에 대한 감시 대상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방지장치이지만 수도에 대한 동파나 누수의 감시도 가능하고, 가스 누출이나 가스레인지의 오랜 사용에 대한 감시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디바이스(20)는 전열기구, 다리미, 헤어드라이기와 같은 전자제품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디바이스(20)에 부착되어 구동되는 센서 디바이스(21)는 상기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기기 및 전자기기인 디바이스(20)에 부착되어 디바이스(20)의 동작상태, 설정상태 및 화재여부를 판단하고 이러한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원거리 무선 통신인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제공되는 장치이다.
다음은 센서 디바이스(21)와 게이트웨이(30)와 통신하는 방법인 NFC, 블루투스, 지그비에 대해 설명한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전자태그(RFID)의 하나로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사용자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NFC는 결제뿐만 아니라 슈퍼마켓이나 일상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 출입통제 잠금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이러한 NFC의 특징으로는 기존 RFID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태그가 내장된 단말기를 능동형 모드로도 작동할 수 있어 태그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태그를 읽는 리더, 태그가 정보를 입력하는 라이터(writer)의 기능까지 수행하며, 단말기와 단말기간의 P2P(Pear-to-Pear)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센서 디바이스(21)와 사용자 단말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기능 중 하나인 NFC는 사용자 단말기와 10cm 이내의 거리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또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인 블루투스(Bluetooth)는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의 하나로서 2.45GHz 주파수를 이용하여 반경 10m 범위 안에서 각종 전자, 정보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ㆍ제어하는 기술규격을 말한다.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 있는 컴퓨터, 프린터, 휴대폰, PDA 등 정보통신기기는 물론 각종 디지털 가전제품 간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센서 디바이스(21)와 사용자 단말기(10)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기능 중 하나인 블루투스는 사용자 단말기(10)와 10m 이내의 거리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지그비(Zigbee)의 경우 868 MHz, 902-928 MHz 및 2.4 GHz에서 동작하는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 규격으로서,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이란 주변장치 접속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개인영역 통신망을 말한다. 이러한 ZigBee를 사용하면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 내에서 통상 50m 이내의 거리에 떨어져 있는 주변장치들 간에 최고 250 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고, IEEE-SA에 의해 승인된 802.15 규격에 기반을 두고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지그비는 충격계수가 낮은 환경에서 높은 데이터 처리 효율을 제공한다. 따라서 지그비는 가정과 기업 그리고 제어기기와 센서가 주로 사용되는 산업자동화 등의 분야에 이상적이다. 이러한 주변장치들은 낮은 전력에서도 동작하며, 이러한 특성은 통상 0.1% 이하로 매우 낮은 충격계수와 더불어 배터리를 보다 오랫동안 쓸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그비에 잘 맞는 활용 예로는 HVAC, 조명 시스템, 침입탐지, 화재 감지, 그리고 비정상 사태의 감지 및 통보 등의 분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센서 디바이스(21)와 사용자 단말기(10)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기능 중 하나인 지그비(Zigbee)는 사용자 단말기(10)와 50m 이내의 거리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도 1에 기재된 센서 디바이스(21)는 전술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30)와 연결된다(도 1의 ①). 이렇게 센서 디바이스(21)와 연결된 게이트웨이(30)는 이더넷(Ethernet)이나 와이파이를 통하여 인터넷(40)과 연결되며(도 1의 ②), 화재방지장치(100)는 인터넷(40)에 이더넷이나 와이파이로 연결(도 1의 ③)되어 있어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디바이스(20)에 부착된 센서 디바이스(21)를 통해 해당 각각의 디바이스(20)의 설정정보, 사용정보, 사용시간 등의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은 NFC,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30)와 통신한다. 이때 게이트웨이(30)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 과정을 수행하며, 와이파이와 LAN선을 사용한 이더넷을 통해 인터넷(40)과 원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넷(40)은 와이파이, 이더넷을 이용하여 화재방지장치(100)와 송수신하여 상기 디바이스(20)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지하고, 상기 디바이스(20)가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거나 화재 발생 시 해당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하고, 디바이스(20)의 전원을 오프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디바이스에 별도의 센서가 들어가지 않아도 간단하게 전력 데이터 측정만을 통해서 사용시에 위험한 디바이스인지 아닌지를 식별하거나, 사용자가 위험한 디바이스인지 아닌지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에서 마크를 할 수 있다. 또한 위험한 디바이스로 인식된 장치들이거나 사용자가 위험한 디바이스로 마크한 장치들은 디바이스 사용자의 사용 패턴 분석에 의해서 평상시 사용자의 디바이스 사용시간이나 사용자의 사용 패턴이 체크된다. 즉,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를 통한 디바이스 온도 또는 동작을 예측하여, 일반적인 사용시간 또는 사용 패턴이 아닌 경우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한 임계치(예: 사용시간)를 넘어서게 되면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보해서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오프하도록 유도하여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사용 패턴에 대한 예시를 통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Figure pat00001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패턴은 지속적으로 화재방지장치(서버)에 업데이트될 것이고, 해당 사용 패턴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이나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물론 상기 [표 1]에서 최소 동작 시간과 최소 전류는 비교 대상이 아닐 구 있으며, 주요 비교 항목은 평균 동작시간과 최대 동작 시간, 평균 전류, 최대 전류가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 최대 전류를 넘게 되면,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가 전송되며 사용자는 상기 메시지를 받고 디바이스를 끄거나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만약 계속해서 사용하는 경우 최대 전류는 다시 갱신되며, 디바이스를 끄는 경우 이상동작으로 인식되므로 사용 패턴에 최대 전류값은 갱신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과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와 인터넷, 혹은 화재방지장치와 사용자 단말 사이에는 NFC, 블루투스, RFID, 지그비, 와이파이, PLC, SUN, 6LoWPAN 등의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넷북, 노트북 PC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6LoWPAN은 IoT(Internet of Things)에 참여할 수 있는 제한된 처리능력을 가진 작은 크기의 디바이스와 저전력 디바이스에 인터넷 프로토콜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IPV6 패킷이 IEEE 802.14.4를 통해서 송수신될 수 있도록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및 헤더 압축을 정의한 것이다. 따라서 저전력 무선통신을 위한 IP 네트워킹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SUN은 최종 전기 소비자와 유틸리티 간의 통신을 위해서 IEEE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통신거리가 수 미터에서 수십 km까지 커버하며, 40kbps 내지 1Mbps 정도의 데이터 전송속도로 저전력 소모를 위해 아웃도어에서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홈 게이트웨이와 유무선 인터넷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거나, 홈 게이트웨이와 겸용으로 사용되어 유무선의 광역 인터넷망으로 접속하는 구성을 통해서, 에너지 절감시스템, 무선 원격검침, IHD(In Home Display), 원격 누전감지 시스템, 전기자동차의 스마트그리드 응용, 아파트 위치기반 서비스, 재난방지용 감시 시스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40)을 통해 통신되고 설정 디바이스(20)의 정보를 수집하며, 화재의 여부를 감시하는 화재방지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화재방지장치(100)는 통신인터페이스(110), 정보 수집부(120), 화재 감지부(130), 화재 처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전술한 센서 디바이스(2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인터넷(40)을 통해 화재방지장치(100)로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렇게 수신 받은 데이터는 정보 수집부(12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화재 처리부(140)에서 처리된 결과를 인터넷을 통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정보 수집부(102)는 전술한 센서 디바이스(21)가 수집한 가정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전기기기 및 전자기기인 디바이스(20)의 상태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101)로 전송받아, 디바이스(20)의 온 상태, 사용시간, 디바이스의 온도 등을 수집하고 화재 감지부(103)로 전송한다.
상기 화재 감지부(130)는 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사용자가 각각의 디바이스 별로 설정한 값과 비교하여 화재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등,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거나,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또는 사용자가 각각의 디바이스(20)를 설정한 설정 값과 비교하여 설정치 이상으로 디바이스(20)가 사용될 경우 화재 처리부(14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화재 처리부(140)는 전술한 화재 감지부(130)에서 받은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화재위험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디바이스(20)의 전원을 오프 시키는 신호를 전송한다. 즉, 사용자의 설정치보다 장시간 디바이스(20)가 구동될 경우 화재 처리부(140)는 화재 감지부(130)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고 통신 인터페이스(110)로 화재 위험경고를 사용자에게 송신한다. 또한 위험 메시지를 화재 처리부(140)로부터 송신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디바이스(20)의 전원이 오프되지 않으면 디바이스(20)의 전원을 강제로 오프하도록 하는 신호를 송신하여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거한다.
물론 상기 화재 감지부(130)는 화재가 실제로 발생하였음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화재의 발생 가능성을 미리 감지하는 것으로, 특정 디바이스의 미리 설정된 온도, 전류, 동작시간에 대한 기준값에 대해서 실제 측정된 온도, 전류, 동작시간이 어느 정도인지 미리 정해두고, 예컨대 측정값이 기준값의 80%일 경우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 90%이상일 경우에는 전원 차단 예고 메시지를 보내고, 100%가 되면 실제로 전원을 차단하도록 해당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을 보내게 된다. 상기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 보내는 것은 상기 화재 처리부(140)에서 수행하며, 또한 그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디바이스 설정/측정값 저장부(2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하거나 각각의 디바이스(20)를 통해 설정한 설정값과 실제로 측정한 측정값을 저장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대표적인 전열기구인 다리미의 경우 해당 온도가 몇도 이상 올라가거나, 다리미의 구동 시간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이상으로 사용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10)로 화재위험 경고 신호를 수신 받을 번호 및 몇 회 이상 경고할 것인지 등의 값을 설정하고 저장한다. 따라서 각각의 전열기구의 값을 모두 저장해둠으로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 시 화재 위험을 제거할 수 있도록 능동적으로 대처한다.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값과 측정값을 저장하는 것은, 향 후 상기 기준값과 측정값에 대한 히스토리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의 운용이나 수명 및 화재 가능성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으므로, 매우 중요한 데이터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재방지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한 디바이스에 대해서 상기 디바이스의 허용온도, 연속동작 시간, 허용전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설정값을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제어부는 화재방지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의 역할은 화재방지장치의 설정, 동작, 운영 및 사용자 유지보수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방지장치가 네트워크상의 서버에 구축된다면, 상기 서버에 구비된 유무선 네트워크(예: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각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제어부를 통해서 각 디바이스의 기준값을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설정은 사용자가 해당 디바이스에 대해서 기준값을 입력하여 설정하거나, 디바이스의 제조업자가 상기 디바이스에 기준값으로 설정해 놓은 것을 자동으로 로딩하여 설정하거나, 화재방지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자동으로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기준값을 수집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기준값과 측정값을 비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20)의 기준값과 디바이스(20)의 상태를 측정한 값을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디바이스(20)의 상태를 전술한 화재방지장치(100)가 파악한다. 이때 기준값은 해당 디바이스(20)를 제조한 회사에서 제공하는 기본 정보이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설정값이 될 수 있으며, 측정값은 해당 디바이스(20)들의 현재 상태를 화재방지장치(100)를 통해 측정하여 나타낸 값이다.
한편, 이러한 기준값과 측정값은 화재방지장치(100)의 화재 감지부(130)를 통해 주기적으로 온도, 동작시간, 전류의 양 및 전압 등을 비교하여 설정된 값보다 측정값이 일정 값 이상이 되어 화재 위험요소가 발생할 경우, 화재처리부(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메시지를 송출하고, 메시지 송출 후에도 위험요소가 제거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기의 전원을 강제로 오프시킨다.
예컨대 도 3에서 특정 디바이스에 대해서 동작조건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해 둔다. 다리미의 경우 온도를 300도, 연속동작시간을 60분, 전류를 20A로 기준값을 설정하였다면, 연속동작시간이 60분에 다다를 경우, 미리 경고 메시지를 경고의 단계에 따라 복수회 송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치결과에 따라 화재방지장치에서는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정보를 수집하여 경고 상황이 해제될 경우 경고를 해제와 경고가 지속될 경우 해당 디바이스의 전원을 차단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알려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과열 시 사용자 단말기로 위험을 통지하고 디바이스의 전원을 오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전열기구인 다리미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열기구인 다리미를 설정한 시간 이상 장시간이용할 경우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30)와 인터넷(40)을 지나 화재 방지 장치(100)에서 다리미의 화재 위험 여부를 감지하고 위험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면 와이파이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10)에 다리미의 사용시간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이상으로 초과했음을 사용자 단말기(10)로 통지한다. 이후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하였거나 다리미의 전원을 오프하지 않았을 경우 화재 방지 장치(100)는 다리미의 전원을 강제로 오프시키는 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와이파이를 통해 다리미의 전원을 오프하겠다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출력하고, 송출된 신호를 게이트웨이(30)를 통해 전달되어 다리미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이때 1차 메시지 출력 후 사용자가 화재 위험 요소인 다리미의 전원을 오프시킨다면, 화재 방지 장치(100)에서 이를 인지하고 더 이상 메시지를 보내거나 다리미를 강제로 오프 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과열 시 사용자 단말기로 위험을 통지하고 디바이스의 전원을 리셋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전열기구인 다리미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열기구인 다리미를 설정한 시간 이상 장시간 사용할 경우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30)와 인터넷(40)을 지나 화재 방지 장치(100)에서 다리미의 화재 위험 여부를 감지하고 위험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면 와이파이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10)에 다리미의 사용시간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이상으로 초과했음을 사용자 단말기(10)로 통지한다. 이후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하고 화재의 위험요소가 없다고 판단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위험요소가 없음을 송신하면, 전술한 기준값 및 측정값의 내용을 리셋하여 사용자에게 리셋한 내용을 통보하고 사용자는 다리미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디바이스에 센서를 부착하여 센서로부터 디바이스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하고 있으나, 실제 상기 센서는 간단하게 전력소비패턴을 감지하기 위한 수동소자로 된 회로를 포함한 모듈이 될 수도 있고, 한편으로 전력이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IC를 포함한 모듈이 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전력소모 패턴을 감지하는 것은 디바이스에서 소모하는 전력이 유도성인지 용량성인지를 검사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으며, 또한 디바이스의 동작 주기를 체크하는 간단한 회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소비전력이나 전류에 대한 아날로그 측정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방지장치(100)와 디바이스(21)간의 통신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와 화재 방지 장치(100)의 무선통신 과정으로서 먼저, 디바이스(20) 제조회사가 설정해두거나, 사용자가 각각의 디바이스(20)에 대해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온도 및 시간 등을 개별적으로 화재방지장치(100)에 각 디바이스(20)의 설정값을 저장한다(S110). 그 후 화재방지장치(100)가 디바이스(20)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와 비교한다(S120). 이때 특정 디바이스(20)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가 발생하면, 화재 방지 장치(100)는 화재의 위험요소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단말기(10)로 1차 메시지를 전송한다(S130). 그 후 위험요소가 제거되지 않았을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2차 메시지를 전송한다(S140). 그리고 2차 메시지 출력 후에는 위험요소가 발생한 해당 디바이스의 전원을 강제로 오프 시킨다(S150). 여기서 디바이스는, 온도, 습도, 전력소모, 가스 누출, 조명세기, 가스 사용량, 물사용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센서는, 독립적인 상기 측정을 수행하거나, 가전기기, 조명기기, 전열기기, 가스기기, 수도기기 또는 이들이 조합을 포함한 기기에 내장되거나 부착되어 상기 측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은 전열기구, 다리미, 헤어드라이기와 같은 화재의 위험이 있는 전자제품 디바이스(20)의 시간을 기록하여 기록된 시간을 기반으로 이 시간동안 디바이스(20)가 온되게 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단말기(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려 사용자가 디바이스(20)를 오프하게 하거나, 사용자가 오프 하지 않더라도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디바이스(20)를 오프 시키는 등 능동적으로 해당 상황을 대처한다. 따라서 화재의 위험성이 있는 전기기구 및 전자기기가 장시간 동작할 경우 사용자에게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하여 해당 가전기기의 경고를 출력하여, 화재 위험성을 인지시켜 화재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사용자 단말기(10)에 알람을 보낸 후에도 사용자가 해당 가전기기를 오프시키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해당 가전기기를 오프 시킴으로서 화재의 위험성을 차단하여, 화재의 발생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서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10 : 사용자 단말기 20 : 디바이스
21 : 센서 디바이스 30 : 게이트웨이
40 : 인터넷 100 : 화재방지장치
110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정보 수집부
130 : 화재 감지부 140 : 화재 처리부
150 : 제어부
200 : 디바이스별 설정/측정값 저장부

Claims (1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나 상태 감지 수단을 구비한 디바이스에 대해서 상기 디바이스의 온도, 연속동작 시간에 대한 평균, 최대, 최소 또는 이들의 조합, 전류에 대한 평균, 최대, 최소 또는 이들의 조합, 소비전력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설정값을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화재방지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설정값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상태를 측정한 측정값을 수신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디바이스별로 저장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설정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비교하거나, 상기 측정값으로부터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화재의 가능성을 미리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및
    상기 화재의 가능성이 미리 감지된 경우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화재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상기 설정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비교하거나, 상기 측정값으로부터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차이나 분석한 결과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사용자에게 송신되며, 경고 메시지의 전송 후에도 사용자의 조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해당 디바이스의 전원을 강제로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은,
    NFC, 블루투스, RFID, 지그비, 와이파이, PLC, SUN, 6LoWPAN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넷북, 노트북 PC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온도, 습도, 소비전력, 전류, 가스 누출, 조명세기, 가스 사용량, 물사용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나 상태 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센서나 상태 감지 수단은,
    독립적인 상기 측정을 수행하거나, 가전기기, 조명기기, 전열기기, 가스기기, 수도기기 또는 이들이 조합을 포함한 기기에 내장되거나 부착되어 상기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사용자가 해당 디바이스에 대해서 기준값을 입력하여 설정하거나,
    디바이스의 제조업자가 상기 디바이스에 기준값으로 설정해 놓은 것을 자동으로 로딩하여 설정하거나,
    화재방지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자동으로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기준값을 수집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 장치.
  6.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나 상태 감지 수단을 구비한 디바이스에 대해서 상기 디바이스의 온도, 연속동작 시간에 대한 평균, 최대, 최소 또는 이들의 조합, 전류에 대한 평균, 최대, 최소 또는 이들의 조합, 소비전력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설정값을 지정하는 제어 단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설정값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상태를 측정한 측정값을 수신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디바이스별로 저장하는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설정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비교하거나, 상기 측정값으로부터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화재의 가능성을 미리 감지하는 화재 감지 단계; 및
    상기 화재의 가능성이 미리 감지된 경우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화재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상기 설정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비교하거나, 상기 측정값으로부터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차이나 분석한 결과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사용자에게 송신되며, 경고 메시지의 전송 후에도 사용자의 조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해당 디바이스의 전원을 강제로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은,
    NFC, 블루투스, RFID, 지그비, 와이파이, PLC, SUN, 6LoWPAN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넷북, 노트북 PC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온도, 습도, 소비전력, 전류, 가스 누출, 조명세기, 가스 사용량, 물사용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나 상태 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센서나 상태 감지 수단은,
    독립적인 상기 측정을 수행하거나, 가전기기, 조명기기, 전열기기, 가스기기, 수도기기 또는 이들이 조합을 포함한 기기에 내장되거나 부착되어 상기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사용자가 해당 디바이스에 대해서 기준값을 입력하여 설정하거나,
    디바이스의 제조업자가 상기 디바이스에 기준값으로 설정해 놓은 것을 자동으로 로딩하여 설정하거나,
    화재방지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자동으로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기준값을 수집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방지 방법.
KR1020140097319A 2014-07-30 2014-07-30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48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319A KR101648749B1 (ko) 2014-07-30 2014-07-30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319A KR101648749B1 (ko) 2014-07-30 2014-07-30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472A true KR20160015472A (ko) 2016-02-15
KR101648749B1 KR101648749B1 (ko) 2016-08-18

Family

ID=5535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319A KR101648749B1 (ko) 2014-07-30 2014-07-30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7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8238A (en) * 2018-07-16 2020-04-22 Canare I Innovations Ltd Electrical safety device and system
KR102372947B1 (ko) * 2021-05-04 2022-03-10 송혜선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발열부를 구비한 전열 시스템의 경보 및 제어 방법 과 이를 이용한 경보 및 제어 시스템
KR102543796B1 (ko) * 2022-12-13 2023-06-16 주식회사 엔에스로보텍 무인환경측정소에 설치되는 대기측정 및 분석장비의 화재 감시 및 소화시스템
KR20240015501A (ko) 2022-07-27 2024-02-05 코웨이 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가전 장치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527B1 (ko) * 2016-09-12 2018-02-01 이앤엠 주식회사 위험요소 감지 비상벨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555A (ko) * 2011-06-27 2013-01-04 (주)이지정보기술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KR101255843B1 (ko) * 2012-01-09 2013-04-17 자바무선기술(주) 전력량 관리 제어 시스템
KR20140014776A (ko) * 2012-07-26 2014-02-06 주식회사 케이티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555A (ko) * 2011-06-27 2013-01-04 (주)이지정보기술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KR101255843B1 (ko) * 2012-01-09 2013-04-17 자바무선기술(주) 전력량 관리 제어 시스템
KR20140014776A (ko) * 2012-07-26 2014-02-06 주식회사 케이티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8238A (en) * 2018-07-16 2020-04-22 Canare I Innovations Ltd Electrical safety device and system
GB2578238B (en) * 2018-07-16 2020-12-30 Connected Innovations Ltd Electrical safety device and system
KR102372947B1 (ko) * 2021-05-04 2022-03-10 송혜선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발열부를 구비한 전열 시스템의 경보 및 제어 방법 과 이를 이용한 경보 및 제어 시스템
KR20240015501A (ko) 2022-07-27 2024-02-05 코웨이 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가전 장치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43796B1 (ko) * 2022-12-13 2023-06-16 주식회사 엔에스로보텍 무인환경측정소에 설치되는 대기측정 및 분석장비의 화재 감시 및 소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749B1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749B1 (ko)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9070B1 (ko) 대규모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2119476B (zh) 用于监测电池的剩余使用寿命的方法
KR101232276B1 (ko)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CA2944424C (en) Monitoring power consumption by electrical devices using monitored operational parameters
KR102167569B1 (ko) 스마트 팩토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76433B1 (ko) 타 디바이스에 비해서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100927337B1 (ko) Rfid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
WO20071352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building
KR20100105871A (ko)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 유틸리티 단절 모니터 노드
CN110793653A (zh) 温度监控方法及装置
TW201445847A (zh) 電氣活性感測器機件和監驗裝置及其閘口系統
KR101167585B1 (ko)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24544A (ko) 전자제품의 전력 정보 수집 시스템
CN103237052A (zh) 一种用于变电站在线监测的无线测温系统
CN215526388U (zh) 指针式智能消防设备监控装置
KR101708762B1 (ko) 파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KR101099819B1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에너지 관리 장치, 에너지 관리 방법
CN203151559U (zh) 一种用于变电站在线监测的无线测温系统
CN204880963U (zh) 冰箱运行环境监控装置
KR20160107692A (ko) 실시간 전력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70085818A (ko)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28253A (ko) 전력선 원격 감시 시스템
CN108134277A (zh) 一种智能防盗插座系统及控制方法
KR102092522B1 (ko) 스마트 전력사용 모니터링 장치 및 스마트 전력사용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