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063A -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 Google Patents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063A
KR20160015063A KR1020140097523A KR20140097523A KR20160015063A KR 20160015063 A KR20160015063 A KR 20160015063A KR 1020140097523 A KR1020140097523 A KR 1020140097523A KR 20140097523 A KR20140097523 A KR 20140097523A KR 20160015063 A KR20160015063 A KR 20160015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s
housing
notch
radio frequency
frequenc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석
Original Assignee
(주)알에프타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에프타임 filed Critical (주)알에프타임
Priority to KR1020140097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5063A/ko
Publication of KR20160015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공동과 복수의 공동을 복수 열로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과, 복수의 공동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공진기를 포함하며, 삼각을 이루는 3개의 공진기를 구비하는 공진기 그룹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공진기 그룹의 중심 부분에 L노치 또는 윈도우 형성에 따라 기둥 격벽이 형성되고, 기둥 격벽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Radio Frequency Filter Having Notch Structure}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노치를 이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는 무선통신 기지국 및 RF(Radio frequency)대역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 통과시키고 나머지 주파수 신호는 차단하는 특성을 가지는 소자이다. 무선 주파수 필터의 물성 중 통과 대역에서의 삽입 손실과 차단 대역에서의 감쇠 특성은 필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무선 주파수 필터의 핵심 부품인 공진기는 높이, 폭, 요철부의 깊이, 굴곡 정도 등의 형상에 따라 대역폭, 중심 주파수, 대역 간의 간격 등이 변하지만, 통상 컬럼형의 공진기가 많이 채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3-0015933호는 컬럼형의 금속 공진기간의 크로스 커플링을 통하여 노치 특성을 주는 노치 구조를 개시한다. 도 1의 3단형 공진기에서는, 하우징(10')의 각 공동(cavity:C1',C2',C3')에 공진기(L1',L2',L3')를 설치하여 공진기를 차례대로(L1'-> L2'-> L3')자기 결합하고, 공진기(L1',L3')사이에 크로스 커플링을 형성하고 있다. 크로스 커플링을 이루는 L노치 구조(1')는 크로스 커플링을 하려는 두 공진기의 수용 공간들 사이의 격벽에 형성되는 윈도우의 형태로 구성되어 양 공진기(L1',L3')간의 인덕턴스 커플링을 발생시킨다. 유전체로 덮여진 금속막대(2')는 C노치 구조로서, 공동(C1',C3')간을 나누는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05-036522호는 8단형의 공진기를 포함하는 하우징에 윈도우의 형태로 L노치 구조를 형성하고, 금속 연결봉으로 C노치 구조를 형성하는 내용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은 L노치를 주는 인덕턴스 성분을 조절하여 기구적 형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특히 협대역의 필터 성능이 우수한 무선 주파수 필터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또한 광대역에서는 기구적인 한계로 인해서 L노치를 주는 것이 쉽지 않다. 즉 광대역에서 L노치를 형성할 경우, 볼트가 체결되는 격벽에 볼트가 체결되는 자리만 남기 때문에, 제작 및 가능이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덕턴스 성분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대역 필터 성능을 향상시킨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대역에서도 L노치를 줄 수 있는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공동과 상기 복수의 공동을 복수 열로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복수의 공동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공진기;를 포함하며, 삼각을 이루는 3개의 공진기를 구비하는 공진기 그룹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공진기 그룹의 중심 부분에 L노치 또는 윈도우 형성에 따라 기둥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 격벽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으 또한, 복수 열의 공진기 배열을 갖는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삼각을 이루는 3개의 공진기를 구비하는 공진기 그룹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공진기 그룹의 중심 부분에 L노치 또는 윈도우 형성에 따라 기둥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 격벽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 열의 공진기 배열을 갖는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삼각을 이루는 3개의 공진기의 중심 부분에는 L노치 또는 윈도우 형성에 따라 격벽이 존재하지 않고, 3개의 공진기의 외곽에만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공진기 사이의 격벽의 길이 조절을 통해서 스커트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3개의 공진기의 중심 부분은 격벽이 없이 오픈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필터의 하우징의 제1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제1 공진기배열; 상기 하우징의 제2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제2 공진기배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공진기배열은 상기 제1 공진기배열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중앙 길이방향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서부터 공진기가 차례로 교대하여 양편으로 나뉘어 배열되고, 상기 제1 공진기배열을 수용하는 공동을 규정하는 제1격벽은 각각의 공진기에 대하여 반원형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곡선으로 형성된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무선 주파수 필터의 상기 하우징의 중앙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서부터 양쪽으로 나뉘어 차례대로 배열된 공진기들; 상기 공진기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일부를 점유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바닥을 향하여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노치조절부; 상기 노치조절부를 사이에 두고 개재하지 않은 공진기들을 수용하는 공동이 형성되며, 상기 공동은 공진기 각각에 대하여 반원형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노치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체 높이의 1/2 내지 2/3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노치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덕턴스 성분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대역 필터 성능을 향상시킨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협대역의 통과 성능이 우수한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필터의 설계 자유도가 높은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종래기술의 공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무선 주파수 필터의 하우징의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 이다.
도 3은 도 2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를 하우징의 중앙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바라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무선 주파수 필터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이득손실과 주파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비교예의 이득손실과 주파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는 복수의 공동과 상기 복수의 공동을 복수 열로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복수의 공동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공진기를 포함한다. 삼각을 이루는 3개의 공진기를 구비하는 공진기 그룹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공진기 그룹의 중심 부분에 L노치 또는 윈도우 형성에 따라 기둥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 격벽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다.
삼각을 이루는 3개의 공진기 중 이웃하는 2개의 공진기 사이의 격벽의 길이 조절을 통해서 스커트 특성을 조절한다.
삼각을 이루는 3개의 공진의 중심 부분은 격벽이 없이 오픈되어 있다. 즉 기존에 삼각을 이루는 3개의 공진기 사이에 각각 볼트가 체결되는 기둥 격벽이 존재하기 때문에, 광대역에서 L노치를 주는 데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른 기둥 격벽을 제거함으로써, 광대역에서 L노치를 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는 삼각을 이루는 3개의 공진기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길이 조절을 통해서 L노치 튜닝을 수행하는 노치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좌측 외면을 절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은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길이방향 중심선(A)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바라 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동시에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는 길이가 긴 장방형으로 네 구석이 라운딩 된 하우징(1)을 포함한다. 하우징(1)에는 각각의 공진기(11,12,13,14,15,16)가, 공진기의 설치 영역을 규정하는 각각의 독립한 공동(C1,C2,C3,C4,C5,C6)내에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6단의 공진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8단 이상의 공진기도 채용할 수 있다. 각각의 공진기와 공동은 LC 공진 엘리먼트로 동작한다.
공진기는 기본적으로는, 순차적으로(11 -> 12,…, 15 -> 16) 공진기 사이의 개방 공간을 통하여 커플링 된다. 도시되지 않은 입력커넥터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는 상기 공진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도시되지 않은 출력커넥터로 출력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1 공진기배열(11,13,15)은 좌측의 길이방향 중심선(A1)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각각의 공진기(11,13,15)는 공진기의 설치 영역을 규정하는 각각의 독립한 공동(C1,C3,C5)에 설치되어 있다. 공동(C1,C3,C5)을 규정하는 제1격벽(2)은, 도 4에 잘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공동(C1,C3,C5)이 공진기(11,13,15)에 대하여 반원형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우징(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진기(11,13)사이 및 공진기(13,15)사이에는 동일한 형상의 분리벽(122)이 형성된다. 분리벽(122)은 공동(C1,C3)의 반원형 형상을 이루도록, 하우징(1)의 중심을 향하여 피크가 돌출한 곡선형의 벽이다. 분리벽(122)에 의하여, 공진기(11,13) 및 공진기(13,15) 각각은 완전히 개방되지도 차단되지도 않은 반개방형의 공간을 통하여 자기 결합, 즉 크로스 커플링을 이룬다. 그리고, 반 개방형의 공간은 크로스 커플링을 통하여 L 노치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21)은 반원형을 형성하는 제1격벽(2)의 부분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2 공진기배열(12,14,16)은 우측의 길이방향 중심선(A2)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각각의 공진기(12,14,16)는 공진기의 설치 영역을 규정하는 각각의 독립한 공동(C2,C4,C6)에 설치되어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볼 때 제2 공진기배열(12,14,16)은 제1 공진기배열(11,13,15)에 비하여 뒤에 위치하고, 각 배열 내의 공진기 간의 이격 거리는 동일하다. 따라서, 하우징(1)의 중앙 길이방향중심선(A)을 기준으로 하우징(1)의 전방에서부터 공진기(11), 공진기(12),…,공진기(16)가 차례로 교대하여 양편으로 나뉘어 배열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공동(C2,C4,C6)을 규정하는 제2 격벽(3)은, 도 4에 잘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공동(C2,C4,C6)이 공진기(12,14,16)에 대하여 설치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우징(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격벽(2) 및 제2 격벽(3)은 구조상 별개로 구분하였을 뿐, 하우징(1) 내에서는 연속하여 형성된 하나의 격벽을 형성함은 당연하다.
제2 공진기배열(12,14,16) 사이에는 분리벽(122)이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공진기(12,14) 사이에는 제1노치조절부(20)가 설치되며, 공진기(14,16)사이에는 제2노치조절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제1노치조절부(20)는 공진기(12,14) 사이 개방 공간의 일부를 차단하고, 제2노치조절부(22)는 공진기(14,16) 사이 개방 공간의 일부를 차단한다. 따라서, 공진기(12,14)들은, 제1노치조절부(20)가 차지하는 공간 점유 부분을 제외한 개방 공간을 통하여 크로스 커플링되고, 공진기(14,16)들은, 제2노치조절부(22)가 차지하는 공간 점유 부분을 제외한 개방 공간을 통하여 크로스 커플링된다. 제1 및 제2 노치조절부(20,22)는 공진기간의 인덕턴스, 즉 유도성 결합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노치조절부(20,22)는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하우징(1)의 상면으로부터 바닥을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그 높이는 하우징(1) 전체 높이의 1/2 ~ 2/3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한 볼트 또는 스크류를 설치하고, 예컨데 볼트의 구멍에 제1 및 제2 노치조절부(20,22)의 상단을 결합하여 볼트를 회전시킴으로써 노치조절부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 또는 튜닝할 수 있다. 이 경우 볼트 또는 스크류는 높이조절부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특징은, 공진기간의 공간이 예컨데 분리벽으로 폐쇄된 공진기 배열을 제공함과 동시에, 공진기간의 공간이 개방된 다른 공진기 배열에서는 공진기 사이에 용량성 결합량을 조절할 수 있는 노치 조절부를 형성함으로써, 무선 주파수 필터 전체적인 관점에서 인덕턴스 값을 조율 또는 튜닝하도록 한 점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상술한 본 실시예의 노치 구조의 등가 회로도이다.
입력부의 회로(I)는 입력커넥터(미도시)에, 출력부의 회로(0)는 출력커넥터(미도시)에 대응한다. 각각의 RLC회로(Lc1,Lc2,…,Lc6)는 각각의 공진기에 수용된 공진기(11,12,…,16)에 대응한다. 각각의 인덕턴스 회로(l1,l2,…,l7)는 입력커넥터와 공진기(11), 공진기(11,…,16) 사이 및 공진기(16)와 출력커넥터의 각각의 공간이 제공하는 L 노치 구조에 대응한다. 인덕턴스 회로(10L,12L)는 각각 제1노치조절부(20) 및 제2노치조절부(22)에 의해 조절된 인덕턴스 회로에 대응한다.
외부의 고주파 신호가 입력커넥터에 입력되면, 전류는 전자계를 형성하게 되고 이 전자계가 인덕턴스 회로(11)가 제공하는 유도성 결합에 의해 RLC회로(Lc1)에 전달되면, 공진이 발생되고 에너지가 축적된다. 이어서, 개방 공간이 제공하는 인덕턴스 회로(12,…,l6)의 유도성 결합을 통해 에너지가 공진기(16)까지 전달되어 공진을 일으키고, 인덕턴스 회로(l7)가 제공하는 유도성 결합을 거쳐 출력커넥터에서 출력된다.
출원인은 도 6의 회로에 있어 공진기는 기존의 상용 제품을 사용하여 각각의 저항과 인덕턴스 값을 측정하였다.
I: Z = 50 Ohm
l1: L = 56.55 nH
l2: L = 1034.75 nH
l3: L = 1548.19 nH
l4: L = 1682.17 nH
l5: L = 1611.42 nH
l6: L = 7.3655 nH
l7: L = 57.00 nH
O: Z = 50 Ohm
10L: L = 109441 nH
12L: L = 178261 nH
이에 따른 이득손실 대 주파수의 그래프는 도 7과 같다.
당업자가 주지하는 것과 같이, 세로축 dB(S(2,1))은 입력전압 대 출력전압의 손실비를 나타내며, 그 최대값은 0이다. 가로축은 주파수이다(단위: GHz). 도 6은 전형적인 협대역 밴드 필터를 보이고 있다.
협대역 밴드의 최저 경계(m1)의 주파수는 1.935 GHz, 최대 경계(m2)의 주파수는 1.945 GHz이며, 따라서, 대역폭은 10 MHz, 중심 주파수는 1.940 GHz이다. 대역폭 비(10 Mhz/1940 MHz)는 약 0.5% 이다. 최저 경계(m1)의 손실비 dB(S(2,1)) = -5.404, 최대 경계(m2)의 손실비 dB(S(2,1))는 -5.516으로서 매우 우수한 통과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상기 대역폭에서의 dB(S(1,1)), 즉 입력단에서의 자기 손실이 약 -300 으로서, 역으로 출력부로 전달되는 에너지가 많다는 사실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비교예로서 이상 기술한 무선 주파수 필터와 동일한 구조로서, 다만 제1 및 제2 노치조절부(20,22)가 하우징의 상면에서 바닥까지 연결된 고정형으로 변경하여 실험하였다. 여기서, 밴드의 중심주파수는 도 6과 일치하는 1.940 Ghz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노치조절부(20,22)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짐에 따라 인덕턴스 결합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측정 결과, 인덕턴스 회로(l1,l2,…,l7)의 값은 7 ~ 30 nH로 대폭 감소하였다. 또, 인덕턴스 회로(10L,12L)의 값은 각각 47.758 nH 및 62.5373 nH이었다.
비교예에 따른 이득손실 대 주파수의 그래프는 도 8과 같다.
중심 주파수가 1.940 GHz가 되도록 세로축 dB(S(2,1))을 기준으로 손실비가 작은 최저 경계(m1')와 최대 경계(m2')를 정하고, 손실비를 측정하면 최저 경계(m1')에서는 -0.047, 최대 경계(m2')에서는 -0.141이고, 최저 경계(m1')의 주파수는 1.710 GHz, 최대 경계(m2')에서의 주파수는 2.170 GHz이다. 따라서, 대역폭은 0.46 Ghz, 중심 주파수는 1.940 GHz이다.대역폭 비(0.46 GHz/1.940 GHz)는 약 23.7%이다.
그러나, 비교예에 의하는 경우, 도 8에서와 같이 대역폭 범위의 주파수 구간(1,710 GHz ~ 2.170 Ghz)에서 정상적인 밴드 패스 곡선이 형성되지 않아 대역폭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제1 및 제2 노치조절부(20,22)를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대역폭 비가 10%인 경우까지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노치조절부(20,22)높이는 하우징(1) 전체 높이의 1/2 ~ 2/3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는 밴드 대역이 협대역이 되고, 노치를 제공하는 인덕턴스 성분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대역 통과 특성이 우수한 필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하우징 2,3 : 격벽
11,12,13,14,15,16 : 공진기 20,22 : 노치조절부
122 : 분리벽

Claims (14)

  1. 복수의 공동과 상기 복수의 공동을 복수 열로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복수의 공동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공진기;를 포함하며,
    삼각을 이루는 3개의 공진기를 구비하는 공진기 그룹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공진기 그룹의 중심 부분에 L노치 또는 윈도우 형성에 따라 기둥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 격벽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2. 복수 열의 공진기 배열을 갖는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삼각을 이루는 3개의 공진기의 중심 부분에는 L노치 또는 윈도우 형성에 따라 격벽이 존재하지 않고, 3개의 공진기의 외곽에만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을 이루는 3개의 공진기 중 이웃하는 2개의 공진기 사이의 격벽의 길이 조절을 통해서 스커트 특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을 이루는 3개의 공진기의 중심 부분은 격벽이 없이 오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을 이루는 3개의 공진기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길이 조절을 통해서 L노치 튜닝을 수행하는 노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6.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필터의 하우징의 제1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제1 공진기배열;
    상기 하우징의 제2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제2 공진기배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공진기배열은 상기 제1 공진기배열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중앙 길이방향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서부터 공진기가 차례로 교대하여 양편으로 나뉘어 배열되고,
    상기 제1 공진기배열을 수용하는 공동을 규정하는 제1격벽은 각각의 공진기에 대하여 반원형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곡선으로 형성된 무선 주파수 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기배열은 적어도 3개의 공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진기배열은 적어도 3개의 공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공진기배열의 공진기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조절부가 형성되는 무선 주파수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바닥을 향하여 연장된 원통형의 부재인 무선 주파수 필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체 높이의 1/2 내지 2/3의 길이인 무선 주파수 필터.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노치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볼트 또는 스크류인 무선 주파수 필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기배열의 각각의 공진기 사이에 중앙을 향하여 돌출한 분리벽을 형성하여, 각각의 공진기에 대하여 반원형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한 무선 주파수 필터.
  13.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무선 주파수 필터의 상기 하우징의 중앙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서부터 양쪽으로 나뉘어 차례대로 배열된 공진기들;
    상기 공진기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일부를 점유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바닥을 향하여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노치조절부;
    상기 노치조절부를 사이에 두고 개재하지 않은 공진기들을 수용하는 공동이 형성되며, 상기 공동은 공진기 각각에 대하여 반원형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체 높이의 1/2 내지 2/3의 길이인 무선 주파수 필터.
KR1020140097523A 2014-07-30 2014-07-30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KR20160015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523A KR20160015063A (ko) 2014-07-30 2014-07-30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523A KR20160015063A (ko) 2014-07-30 2014-07-30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063A true KR20160015063A (ko) 2016-02-12

Family

ID=5535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523A KR20160015063A (ko) 2014-07-30 2014-07-30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506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590A1 (ko)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도파관 필터
WO2021167357A1 (ko) * 2020-02-20 2021-08-2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06368A (ko) *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WO2021215780A1 (ko) * 2020-04-22 2021-10-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도파관 필터
EP3910731A4 (en) * 2019-01-08 2023-01-25 KMW Inc. WAVE GUIDE FILT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590A1 (ko)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도파관 필터
EP3910731A4 (en) * 2019-01-08 2023-01-25 KMW Inc. WAVE GUIDE FILTER
US11955680B2 (en) 2019-01-08 2024-04-09 Kmw Inc. Waveguide filter
WO2021167357A1 (ko) * 2020-02-20 2021-08-2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06368A (ko) *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WO2021215780A1 (ko) * 2020-04-22 2021-10-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도파관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8195B2 (en) Radio frequency filter employing notch structure
JP4178264B2 (ja) チューナブルフィルタ
US9608303B2 (en) Multi-layer digital elliptic filter and method
KR20160015063A (ko) 노치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US11056755B2 (en) Microwave resonator
CN101317299B (zh) 波导带阻滤波器
KR101191751B1 (ko) 입출력 포트를 이용하여 너치를 구현하는 rf캐비티 필터
KR20200062006A (ko)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68161B1 (ko) 무선 주파수 필터의 공진기
US20220173487A1 (en) Waveguide filter
KR101115323B1 (ko) 대역 저지 필터 및 그에 의한 대역 저지 필터 회로
US6965283B2 (en) Dielectric resonator device, communication filter, and communication unit for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KR102662455B1 (ko) 안테나용 세라믹 도파관 필터
KR101290904B1 (ko) 용량성 커플링 및 유도성 커플링을 이용하여 광대역을 실현하는 다중 모드 필터
KR101274031B1 (ko) 통과 대역의 반사 손실을 제어하기 위한 대역 저지 필터
KR102116271B1 (ko)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
US6525625B1 (en)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180134830A (ko)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
EP1191626B1 (en) Resonator filter
CN111987394A (zh) 滤波器和通信基站
KR101238258B1 (ko) 메타물질 씨알엘에이치 동축선 공동 공진기
CN217215039U (zh) 天线用陶瓷波导滤波器
KR102550815B1 (ko) 5세대 이동통신용 6 GHz 이하 통과하면서 28 GHz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
CN212461993U (zh) 微波谐振器和滤波器
KR100557305B1 (ko)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