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830A -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 - Google Patents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830A
KR20180134830A KR1020180160672A KR20180160672A KR20180134830A KR 20180134830 A KR20180134830 A KR 20180134830A KR 1020180160672 A KR1020180160672 A KR 1020180160672A KR 20180160672 A KR20180160672 A KR 20180160672A KR 20180134830 A KR20180134830 A KR 20180134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ch structure
cavity
filter
notch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180160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4830A/ko
Publication of KR20180134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248Filter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requency response or filtering method
    • H03H17/025Notch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크로스 커플링을 하려는 두 공동 사이의 격벽에서 미리 설정된 부위에 형성되는 C 노치 구조와; 두 공동 사이의 상기 격벽의 미리 설정된 부위에서 C 노치 구조와 공동으로 형성되는 L 노치 구조를 포함하는 이중 노치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RADIO FREQUENCY FILTER WITH NOTCH STRUCTUR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치(notch)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에 관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 필터(이하 '필터'로 약칭함)는 미리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서, 필터링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로우 패스 필터, 밴드 패스 필터, 하이 패스 필터 및 밴드 스탑 필터 등으로 구분된다.
필터의 중요한 특성으로는 삽입 손실과 스커트 특성이 있다. 삽입 손실이란 신호가 필터를 통과하면서 손실되는 전력을 의미하며, 스커트 특성은 필터의 통과 대역과 저지 대역이 가파른 정도를 의미한다.
삽입 손실과 스커트 특성은 필터의 단수(차수)에 따라 서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다. 필터의 단수가 높아질수록 스커트 특성은 좋아지나 삽입 손실은 나빠지는 관계가 성립한다.
필터의 단수를 높이지 않으면서 필터의 스커트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노치(감쇠 극)를 형성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이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필터의 단수를 높이지 않으면서 필터의 스커트 특성을 강화하는 방법이다.
노치를 형성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크로스 커플링 방법이 있다. 크로스 커플링 방법을 이용한 노치 형성에 관한 기술로는, 'K & L Microwave'사의 미국 특허번호 제6,342,825호(명칭: Bandpass filter having tri-section, 발명자: Hershtig; Rafi, 특허일: 2002년 1월 29일)에 개시된 바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인 구조로 무선 주파수 필터에 멀티 노치 특성을 줄 수 있는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단 필터 및 4단 필터에 양단 노치 특성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크로스 커플링을 하려는 두 공동 사이의 격벽에서 미리 설정된 부위에 형성되는 C 노치 구조와; 상기 두 공동 사이의 상기 격벽의 미리 설정된 부위에서 상기 C 노치 구조와 공동으로 형성되는 L 노치 구조를 포함하는 이중 노치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 막대는 상기 두 공동 사이의 격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상기 격벽과 전기적으로 격리되고, 상기 L 노치 구조는 상기 C 노치 구조의 하단에 연장되어 상기 격벽에 형성되며, 상기 C 노치 구조를 중심으로 어느 한쪽 측의 격벽에 다른 L 노치 구조가 더 형성되며, 상기 다른 L 노치 구조는 상기 C 노치 구조보다 상기 무선 주파수 필터의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다른 L 노치 구조는 상기 L 노치 구조에 비해 상기 두 공동에 공진기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해 더 하단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의 처리대역의 양단에 각각 노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는 보다 효율적인 구조로 무선 주파수 필터에 멀티 노치 특성을 줄 수 있으며, 특히, 3단 필터 및 4단 필터에서 양단 노치 특성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3단 필터의 구조도
도 2는 도 1의 3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일반적인 노치 구조를 채용한 3단 필터의 구조도
도 4는 도 3의 3단 필터의 등가 회로도
도 5는 도 3의 3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3단 필터의 구조도
도 7은 도 6의 3단 필터의 등가 회로도
도 8은 도 3의 3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4단 필터의 구조도
도 10은 도 9의 4단 필터의 등가 회로도
도 11은 도 9의 4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4단 필터의 구조도
도 13은 도 12의 4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일반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는 4단 필터의 구조도
도 15는 도 14의 4단 필터의 등가 회로도
도 16은 도 14의 4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6단 필터의 구조도
도 18은 도 17의 6단 필터의 등가 회로도
도 19는 도 17의 6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6단 필터의 구조도
도 21은 도 20의 6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6단 필터의 구조도
도 23은 도 22의 6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크로스 커플링을 이용한 노치 형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3단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투과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3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노치 구조를 채용한 3단 필터의 구조도를 나타낸 투과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3단 필터의 등가회로도이며, 도 5는 도 3의 3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통상적으로, 필터는 금속 하우징(및 덮개)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는 다수의 공동(cavity)( 내에 유전체 또는 금속성 공진기를 다단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도 1 및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금속 하우징의 구조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3단 구조의 필터는 제1공동(11), 제2공동(12), 제3공동(13)이 서로 커플링된 구조를 가지며, 각 공동들에는 제1공진기(21), 제2공진기(22), 제3공진기(23)가 각각 구비된다. 제1공동(11)의 제1공진기(21)는 입력 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입력 커넥터(31)와 연결되며, 제3공동(13)의 제3공진기(13)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 커넥터(32)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입력 커넥터(31)로 입력된 신호는 도 1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공진기(21), 제2공진기(22), 제3공진기(23)를 순차적으로 거쳐, 출력 커넥터(32)로 출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치 구조가 없는 필터에서는 기본적으로 인접한 공진기간 순차적인 커플링만 일어남에 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C(커패시터) 노치 구조(41) 등을 채용할 경우에는 이를 통해서 서로 인접하지 않는 공진기간에 크로스 커플링이 일어난다.
C 노치 구조(41)는 제1공진기(21)와 제3공진기(23)간의 커패시턴스 커플링을 형상하는 금속 막대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금속 막대는 제1, 제3공동(11, 13)간을 나누는 내벽에 관통되어 설치된다. 이때 금속 막대를 내벽과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해 금속 막대의 외부는 테플론과 같은 유전체 재질(미도시)의 지지물로 싸여진 후 내벽에 결합된다. 이때, 내벽에서 금속 막대가 설치되는 부위는 관통 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하단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관통 홀을 내벽에 형성하는 것은 작업 공정상 용이하지 않으므로, 내벽의 상단을 일부 깎아내어, 해당 깎아낸 부위에 상기 지지물로 싸여진 금속 막대를 설치함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지지물은 금속 막대의 절연 역할 뿐만 아니라, 상기 내벽에서 깎여진 부위의 형상과 맞물리는 형태를 가져서, 해당 설치되는 부위에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금속 막대를 고정되게 지지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3단 필터에 비해, 도 3에 도시된 C 노치 구조(41)가 형성된 3단 필터가 처리대역의 하단(처리대역 대비 저주파 대역)에서 노치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C 노치 구조(41)외에도, 특히 4단 이상의 필터에서는 L(인덕터) 노치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는데, L 노치 구조는 크로스 커플링을 하려는 두 공진기의 수용공간들 사이의 격벽에 형성되는 윈도우의 형태로 구성되어, 양 공진기간의 인덕턴스 커플링을 발생시킨다.
도 1에 도시된 3단 필터에서는 별도의 노치 구조가 구비되지 않으나, 제1단의 제1공진기(21)와 제3단의 제3공진기(23) 사이에도 제2단의 제2공진기(22)를 통해서 미약한 커플링이 발생함에 따라, 도 2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필터링 특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미약한 L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특히 3단 필터에서는 제1단과 제3단 사이에만 노치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다중 노치를 구현하는 것이나, 처리대역의 양단, 즉 처리 대역의 하단 및 상단(처리대역 대비 고주파 대역)에서 모두에서 노치를 발생시키는 것은 특수한 구조물을 필터 내부 또는 외부에 추가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왔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3단 필터의 구조도를 나타낸 투과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3단 필터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8은 도 3의 3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서는 도 1 및 도 3과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금속 하우징의 구조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3단 구조의 필터는, 상기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마찬가지로, 제1공동(11), 제2공동(12), 제3공동(13)이 서로 삼각형으로 배치되면서, 순차적으로 커플링된 구조를 가지며, 각 공동들에는 제1공진기(21), 제2공진기(22), 제3공진기(23)가 각각 구비된다. 제1공동(11)의 제1공진기(21)는 입력 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입력 커넥터(31)와 연결되며, 제3공동(13)의 제3공진기(13)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 커넥터(32)와 연결된다.
이때,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크로스 커플링을 하려는 제1공동(11)과 제3공동(13) 사이의 격벽에는 C 노치 구조(41)가 설치됨과 아울러, C 노치 구조(41)의 하단에 연장되어 격벽에 형성되는 윈도우 구조의 L 노치 구조(51)가 형성된다. 도 6에서는 L 노치 구조(51)거 C 노치 구조(41)를 설치하기 위해 격벽에서 깎여지는 부위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C 노치 구조(41)를 설치하기 위한 부위와 얼마간 더 좁게, 즉 단차지게 구성되어, C 노치 구조(41)를 설치하는 지지물이 보다 더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는 C 노치 구조(41)와 L 노치 구조(51)가 복합되게 구성된, 이중 노치 구조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단 필터에서 본 발명의 이중 노치 구조를 채용할 경우에, 도 8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필터의 처리대역의 양단에 모두 노치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처리대역의 하단에는 2개의 노치가 발생되며, 처리대역의 상단에는 하나의 노치가 발생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4단 필터의 구조도를 나타낸 투과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4단 필터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4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4단 구조의 필터는, 제1공동(11), 제2공동(12), 제3공동(13) 및 제4공동(14)이 2개씩 짝을 지어 2열로 배치되면서, 순차적으로 서로 커플링된 구조를 가진다. 각 공동들에는 제1공진기(21), 제2공진기(22), 제3공진기(23), 제4공진기(24)가 각각 구비된다. 제1공동(11)의 제1공진기(21)는 입력 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입력 커넥터(31)와 연결되며, 제4공동(14)의 제4공진기(14)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 커넥터(32)와 연결된다.
이때,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1공동(11)과 제4공동(14) 사이의 격벽에는 C 노치 구조(41)가 설치됨과 아울러, C 노치 구조(41)의 하단에 연장되면서 격벽에 윈도우 구조로 형성되는 L 노치 구조(51)가 형성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노치 구조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이중 노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4단 필터에서 본 발명의 이중 노치 구조를 채용할 경우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의 처리대역의 양단에 모두 노치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처리대역의 하단 및 상단에는 각각 2개의 노치가 발생되어, 좌우 대칭형의 이중 노치가 구현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4단 필터의 구조도를 나타낸 투과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4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의 등가 회로는 상기 도 10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등가 회로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4단 구조의 필터는, 상기 도 9에 도시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공동(11), 제2공동(12), 제3공동(13) 및 제4공동(14)이 순차적으로 서로 커플링된 구조를 가진다. 각 공동들에는 제1공진기(21), 제2공진기(22), 제3공진기(23), 제4공진기(24)가 각각 구비된다. 제1공동(11)의 제1공진기(21)는 입력 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입력 커넥터(31)와 연결되며, 제4공동(14)의 제4공진기(14)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 커넥터(32)와 연결된다.
이때,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1공동(11)과 제4공동(14) 사이의 격벽에는 C 노치 구조(41)가 설치되는데, C 노치 구조(41)와는 별도로, 상기 격벽의 다른 위치에 윈도우 구조의 L 노치 구조(51)가 형성된다. 이때 평면을 기준으로 격벽의 중심 위치에 C 노치 구조(41)가 형성되며, C 노치 구조(41)를 중심으로 어느 한쪽 측의 격벽에 L 노치 구조(5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L 노치 구조(51)와 C 노치 구조(41)를 격벽에서 별도로 각각 설치할 경우에는 L 노치와 C 노치를 각각 별도로 튜닝하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노치 구조를 채용할 경우에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특성은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 특성과 거의 유사한 특성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는, L 노치 구조(51)가 입력 커넥터(31) 및 출력 커넥터(32)와 보다 가까운 측에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도 12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L 노치 구조(51)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거의 유사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노치 특성이 약해진다.
도 14는 일반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는 4단 필터의 구조도를 나타낸 투과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4단 필터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4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일반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는 노치 구조를 채용한 4단 필터를 살펴봄으로써,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4단 필터와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도 14에 도시된 4단 필터에는 제1공동(11)과 제3공동(13) 사이의 격벽에는 C 노치 구조(41)가 설치되며, 제1공동(11)과 제4공동(14)의 사이에 통상적인 L 노치 구조(4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치 구조를 채용한 4단 필터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의 처리대역의 하단에 2개의 노치만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6단 필터의 구조도를 나타낸 투과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6단 필터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6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6단 구조의 필터는, 제1공동(11), 제2공동(12), 제3공동(13), 제4공동(14), 제5공동(15) 및 제6공동(16)이 3개씩 짝을 지어 2열로 배치되면서, 순차적으로 서로 커플링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2공동(12)과 제4공동(15) 사이의 격벽에는 C 노치 구조(41)가 설치됨과 아울러, C 노치 구조(41)의 하단에 연장되면서 격벽에 윈도우 구조로 형성되는 L 노치 구조(51)가 형성된다. 즉,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노치 구조는 상기 도 9에 도시된 이중 노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6단 필터에서 본 발명의 이중 노치 구조를 채용할 경우에, 도 19에서 화살표도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의 처리대역의 하단에 추가 노치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6단 필터의 구조도를 나타낸 투과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6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에 도시된 제5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의 등가 회로는 상기 도 18에 도시된 제4 실시예의 등가 회로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6단 구조의 필터는, 상기 도 17과 마찬가지로, 제2공동(12)과 제4공동(15) 사이의 격벽에는 C 노치 구조(41)가 설치되는데, C 노치 구조(41)와는 별도로, 상기 격벽의 다른 위치에 윈도우 구조의 L 노치 구조(51)가 형성된다. 즉, 도 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노치 구조는 상기 도 12에 도시된 이중 노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중 노치 구조를 채용할 경우에도,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특성은 상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필터 특성과 거의 유사한 특성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6단 필터의 구조도를 나타낸 투과 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6단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6단 구조의 필터는, 상기 도 17 및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C 노치 구조(41) 및 C 노치 구조(41)의 하단에 연장되는 L 노치 구조(51)가 초단 즉, 제1공동(11)과 제6공동(16)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필터의 필터링 특성을 살펴보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의 처리대역의 하단 및 상단에는 각각 2개의 노치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가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노치 구조는 상기한 실시예들 외에도, 6단보다 큰 다단의 필터들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L, C 조합된 이중의 노치 구조를 두 개 이상 다수 개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중의 노치 구조와 더불어 일반적인 L 노치 구조 또는 C 노치 구조를 적절히 병합하여 채용할 수도 있다.

Claims (4)

  1.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크로스 커플링을 하려는 두 공동 사이의 격벽에서 미리 설정된 부위에 형성되는 금속 막대로 형성되는 C 노치 구조와,
    상기 두 공동 사이의 상기 격벽의 미리 설정된 부위에서 상기 C 노치 구조와 공동으로 형성되는 윈도우 구조로 형성되는 L 노치 구조를 포함하는 이중 노치 구조를 가지며,
    상기 금속 막대는 상기 두 공동 사이의 격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상기 격벽과 전기적으로 격리되고,
    상기 L 노치 구조는 상기 C 노치 구조의 하단에 연장되어 상기 격벽에 형성되며,
    상기 C 노치 구조를 중심으로 어느 한쪽 측의 격벽에 다른 L 노치 구조가 더 형성되며, 상기 다른 L 노치 구조는 상기 C 노치 구조보다 상기 무선 주파수 필터의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다른 L 노치 구조는 상기 L 노치 구조에 비해 상기 두 공동에 공진기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해 더 하단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의 처리대역의 양단에 각각 노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필터는 제1공동, 제2공동 및 제3공동이 서로 삼각형으로 배치되면서, 순차적으로 커플링된 구조를 가지는 3단 필터이며,
    상기 C 노치 구조와 상기 L 노치 구조를 공동으로 포함하는 상기 이중 노치 구조는 상기 제1공동 및 상기 제3공동 사이의 격벽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의 처리대역의 하단에는 2개의 노치가 발생되며, 상기 필터의 처리대역의 상단에는 하나의 노치가 발생되어, 양단 노치를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필터는 제1공동, 제2공동, 제3공동 및 제4공동이 2개씩 짝을 지어 2열로 배치되면서, 순차적으로 서로 커플링된 구조를 가지는 4단 필터이며,
    상기 C 노치 구조와 상기 L 노치 구조를 공동으로 포함하는 상기 이중 노치 구조는 상기 제1공동 및 상기 제4공동 사이의 격벽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의 처리대역의 하단 및 상단에는 각각 2개의 노치가 발생되어, 좌우 대칭형의 이중 노치가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필터는 제1공동, 제2공동, 제3공동, 제4공동, 제5공동 및 제6공동이 3개씩 짝을 지어 2열로 배치되면서, 순차적으로 서로 커플링된 구조를 가지는 6단 필터이며,
    상기 C 노치 구조와 상기 L 노치 구조를 공동으로 포함하는 상기 이중 노치 구조는 상기 제1공동 및 상기 제6공동 사이의 격벽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KR1020180160672A 2018-12-13 2018-12-13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 KR20180134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72A KR20180134830A (ko) 2018-12-13 2018-12-13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72A KR20180134830A (ko) 2018-12-13 2018-12-13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711A Division KR102116271B1 (ko) 2018-04-16 2018-04-16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830A true KR20180134830A (ko) 2018-12-19

Family

ID=6500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672A KR20180134830A (ko) 2018-12-13 2018-12-13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48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792A1 (ko) * 2020-10-29 2022-05-0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세라믹 도파관 필터
JP2022545122A (ja) * 2019-08-30 2022-10-25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導波管フィル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45122A (ja) * 2019-08-30 2022-10-25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導波管フィルタ
WO2022092792A1 (ko) * 2020-10-29 2022-05-0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세라믹 도파관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8195B2 (en) Radio frequency filter employing notch structure
US10116026B2 (en) Coaxial filter having first to fifth resonators, where the fourth resonator is an elongated resonator
KR20180134830A (ko)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
KR20180042190A (ko)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
CA1295382C (en) Mode selective band pass filter
KR101028459B1 (ko) 커플링 금속을 구비한 노치 필터
JP2000068711A (ja) アンテナ共用器及び通信機装置
CN219226582U (zh) 一种腔体滤波器
US5705965A (en) Cavity type band-pass filter with comb-line structure
KR101422722B1 (ko) 노치 커플링 rf 필터
EP3968452A1 (en) Multi-type filter assembly
JPS6311802B2 (ko)
JPS59223003A (ja) 同軸型帯域ろ波器
JPS60236501A (ja) 帯域通過型ろ波器
KR100864222B1 (ko) 저역통과필터 공진봉
JP5523209B2 (ja) 帯域阻止フィルタ
KR100557305B1 (ko)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필터
CN113451724A (zh) 一种腔体滤波器
KR200215837Y1 (ko) 광대역의 평탄한 군지연 특성을 갖는 여파기
JPH0328562Y2 (ko)
JP2003304101A (ja) 多重モード誘電体共振器を用いた帯域通過フィルタおよび送受信共用器
KR20240060565A (ko) 안테나용 세라믹 도파관 필터
JP2019208154A (ja) バンドパス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575312B2 (ja) マイクロ波帯域通過フィルタ
JPH0837402A (ja) 誘電体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