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458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458A
KR20160014458A KR1020140096730A KR20140096730A KR20160014458A KR 20160014458 A KR20160014458 A KR 20160014458A KR 1020140096730 A KR1020140096730 A KR 1020140096730A KR 20140096730 A KR20140096730 A KR 20140096730A KR 20160014458 A KR20160014458 A KR 20160014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display device
content
pre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민
김승원
신용욱
이용훈
최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4458A/ko
Priority to US14/619,191 priority patent/US20160037195A1/en
Publication of KR20160014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Neuro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 있는 사용자의 특징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고,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DISPLAY APPAR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점차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특히, TV를 포함하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컨텐츠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연결되어 각종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거나, 각종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여 그 전자 기기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등 다양한 소스로부터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아 이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종류나 주변 환경에 따라 최적의 환경으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화면이나 음향에 관한 각종 설정값들을 변경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는 리모컨과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채널을 변경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이나 해상도를 조정하는 등으로 직접 의도하는 바를 명시적으로 입력하여, 수많은 컨텐츠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자신이 원하는 환경에서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일이 컨텐츠를 탐색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운 작업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의도를 표현하지 않더라도 미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컨텐츠를 변경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을 변경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에 따라, 최근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게 기정의된 추천 패턴에 따라 컨텐츠를 추천하는 등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단순히 카메라를 통한 영상 정보나 음성 정보만을 활용하기 때문에 부정확한 인식률로 인해 잘못된 추천을 하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입력 수단을 통해 명시적으로 의도를 표현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 있는 사용자의 특징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기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등록하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정보를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선호 설정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와 상기 선호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주변 환경 정보에 대응되는 선호 컨텐츠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와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채널 재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채널 재핑 후 특정 채널을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특정 채널에 대한 선호도를 증가시켜 상기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환경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잡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주변 잡음 중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잡음 크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대역 주파수의 음량 크기를 증가시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가 인식되면, 각 사용자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각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애플리케이션 및 선호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선호 애플리케이션 및 선호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프리 로딩(pre-loading)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각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선호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호 인물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선호 인물이 포함된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 있는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명령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기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기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는 입력 수단을 통해 명시적으로 자신의 의도를 표현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채널 재핑 후 특정 채널을 시청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를 추천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감지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감지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환경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에 있는 사용자의 특징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특징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 자세, 수, 음성 톤, 음성 크기, 사용자의 존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변 환경 정보는 디스플레이 주변의 조도, 잡음, 현재 시각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있는 사용자의 특징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이미지 센서, 음향 센서 및 조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다양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 다양한 소스로부터 획득된 다양한 컨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을 변경을 추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 이력 정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한 이력에 관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을 변경한 설정 변경 이력 정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시청한 컨텐츠들에 관한 시청 컨텐츠 이력 정보, 사용자가 채널을 재핑(zapping)한 채널 재핑 이력 정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사용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들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선호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이나 컨텐츠, 애플리케이션, 인물 등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선호 설정 정보, 선호 컨텐츠 정보, 선호 애플리케이션 정보, 선호 인물 정보 등을 포함한다. 한편, 선호 정보는 예를 들어, '주변 조도가 어두울 경우, 공포 장르의 컨텐츠'와 같이 특정 주변 환경에서의 선호 정보나 복수의 컨텐츠 또는 인물 각각에 대한 선호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장르, 타입, 제목, 방송 시간, 등장 인물 등과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컨텐츠에 관한 각종 부가 정보를 독출하여 분석하거나 EPG(Electric Program Guide) 정보 등을 이용하는 등 잘 알려진 방법을 통해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색온도, 밝기, 대조, 선명도, 해상도, 화면 비율 등과 같은 화면 설정에 관한 정보나, 이퀄라이저, 볼륨, 웨이브, 밸런스 등과 같은 음향 설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읽어 각종 설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120)는 감지부(11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직접 획득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감지부(11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중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직접 획득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얼굴, 음성 톤, 음성 크기 등과 같은 사용자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이나 음성 톤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공지의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식별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중에서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현재 획득된 사용자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의 행위에 관한 정보,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 현재 주변 환경 정보 등의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둘러싼 각종 상황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저장부(140)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프로필 정보 및 상술한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둘러싼 각종 상황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와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둘러싼 각종 상황에 관한 정보를 조합하여 미리 매칭시켜 놓은 테이블을 이용하거나 공지의 온톨로지(Ontology) 방법 또는 룰트리(Rule-Tree)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시간 이전의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로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시간은 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턴-온 된 이후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시간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특정 사용자가 식별된 시점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시간 또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10분, 20 분 등과 같이 달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감지부(11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탐색하여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식별된 사용자가 기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기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용에 관한 각종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제어부(12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용에 관한 각종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판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후,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정보를 통해 판단된 사용자의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등록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로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별된 사용자가 처음에는 기등록된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다시 그 사용자를 식별할 때에는 기등록된 사용자로서 사용자 프로필 정보가 이미 저장부(140)에 존재하게 되므로,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획득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식별된 사용자가 기등록된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저장부(140)에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가 존재하므로, 제어부(120)는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에 기반하여 획득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식별된 사용자가 기등록된 사용자라고 판단되더라도,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된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업데이트 한 후, 업데이트된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획득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명령이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판단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가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및 음향 설정을 의미한다. 이에 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미도시)는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미도시)는 터치 스크린, 리모컨, 키보드, 소프트 키보드, 포인터, 마우스, 버튼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어 명령이 판단되면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을 추천하는 추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의 변경 명령이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된 추천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즉, 사용자가 추천 메시지에 따라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했는지 여부를 사용자의 반응 정보로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사용자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할 때,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추천 메시지에 따라 변경 명령을 입력한 경우, 판단된 제어 명령에 대한 가중치를 높이고, 사용자가 추천 메시지에 따라 변경 명령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판단된 제어 명령에 대한 가중치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 및 현재 획득된 정보들이 동일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다른 제어 명령을 사용자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다 자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을 통해 이미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이나 구성의 동작에 관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감지부(210), 제어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저장부(240), 방송 신호 처리부(250), 통신부(260), 비디오 처리부(270), 오디오 처리부(280), 오디오 출력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10)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에 있는 사용자의 특징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이미지 센서(211), 음향 센서(213) 및 조도 센서(2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11)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이미지 센서(211)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에 있는 사용자의 얼굴, 자세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소자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음향 센서(213)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의 음향을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음향 센서(213)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에 있는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의 잡음을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향 센서(213)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조도 센서(215)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도 센서(215)는 황화 카듀뮴(CdS)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감지부(210)는 이와 같이 이미지 센서(211)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영상 및 음향 센서(213)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자세, 사용자의 음성 톤 및 음성 크기 등과 같은 사용자의 특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10)는 음향 센서(213)를 통해 획득된 주변 잡음을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별 잡음의 크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의 잡음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조도 센서(215)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주변 조도에 과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특징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210)가 이미지 센서(211), 음향 센서(213) 및 조도 센서(215)를 통해 획득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도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20)가 센서들(211, 213, 215)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방송 신호 처리부(25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방송 신호 처리부(250)는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에 대해 복조, 등화, 디멀티플렉싱, 디인터리빙, 디코딩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처리부(270)로 제공되고,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처리부(280)로 제공된다.
통신부(2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외부의 각종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260)는 각종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 또는 외부 단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60)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카드, 무선 LAN 카드, 블루투스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무선 통신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카드 및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모듈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통신부(260)는 외부의 광 디스크 재생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60)는 제어부(220)의 제어를 받아 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각종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을 전송하고, 광 디스크 재생 장치로부터 광 디스크에 기록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60)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해 리모컨을 통해 사용자 조작을 입력하면, 리모컨은 해당 제어 조작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고, 통신부(260)는 리모컨으로부터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입력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60)는 적외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리모컨과의 통신 방식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저장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저장부(240)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제어부(220)가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판단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사용자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통신부(26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된 각종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되거나 방송 신호의 부가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EPG 정보 등과 같은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처리부(270)는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처리부(270)는 방송 신호 처리부(250)이나 통신부(260) 또는 저장부(240)와 같은 다양한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의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처리부(2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비디오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80)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처리부(280)는 방송 신호 처리부(250)이나 통신부(260) 또는 저장부(240)와 같은 다양한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28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주파수 대역별 크기 조정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를 수행하여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290)를 통해 음성이나 기타 소리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다양한 컨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는 비디오 처리부(270)로부터 제공된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를 받아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을 변경을 추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변경된 컨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2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90)는 오디오 처리부(280)로부터 제공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290)는 제어부(220)의 제어를 받아 변경된 컨텐츠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주파수 대역별로 크기가 조정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출력부(290)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 삽입 단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입력부(미도시)는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을 추천하는 추천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미도시)는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사용자 조작을 입력하는 경우 통신부(260)를 통해 수신된 리모컨 신호를 통해 사용자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통한 제어부(120)의 설명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해 제어부(220)의 동작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220)는, 도 1 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고, 판단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0)는 판단된 제어 명령이 컨텐츠의 변경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 서버 또는 외부 단말 장치로부터 변경할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통신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부(210)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선호 설정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선호 설정 정보와 획득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감지부(21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저장부(24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획득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는 컨텐츠, 컨텐츠 장르 및 컨텐츠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설정에 관한 선호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제목, 장르, 타입과 같은 컨텐츠에 관한 정보 및 영상 설정 및 음향 설정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2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 및 획득된 선호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선호 설정 정보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선호 설정 정보와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장르의 영화가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영화를 시청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선호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선호 설정 정보 확인 결과, 식별된 사용자는 A 장르 영화 시청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밝기 설정을 어둡게 하여 시청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밝기가 밝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밝기 설정을 어둡게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0)는 밝기 설정을 어둡게 변경할 것을 추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추천 메시지 상에서 밝기 설정을 어둡게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밝기 설정을 어둡게 변경하는 실시 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 정보에 대응되는 선호 컨텐츠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선호 컨텐츠 정보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구제적으로, 제어부(220)는 감지부(21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저장부(24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획득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는 주변 환경 정보에 대응되는 선호 컨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감지부(210)를 통해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획득된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획득된 주변 환경 정보에 대응되는 선호 컨텐츠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선호 컨텐츠 정보를 비교하고, 서로 상이한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선호 컨텐츠 정보에 따른 컨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사용자는 주변 조도가 어둡고 새벽 시간인 경우 공포 장르의 컨텐츠 시청을 선호한다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가 확인되고, 조도 센서(215)를 통해 획득된 현재 주변 조도가 기설정된 밝기 이하이며 현재 시각이 새벽 2시인 것으로 주변 환경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공포 장르의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닌 경우 공포 장르의 컨텐츠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0)는 공포 장르의 컨텐츠를 추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 후, 입력부(미도시)를 통한 사용자의 컨텐츠 변경 명령이 있는 경우에 컨텐츠를 변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는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사용자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연령대 및 성별에 관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연령대 및 성별에 관한 정보를 판단하는 방법에는 공지의 기술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예를 들어, 식별된 사용자가 30대 남성이고, 현재 주변 조도가 어둡고 새벽 시간인 것으로 판단되면, 공포 장르의 컨텐츠를 추천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채널 재핑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채널 재핑 후 특정 채널을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특정 채널에 대한 선호도를 증가시켜 상기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채널 전환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특히, 채널 재핑은 사용자가 광고 등을 시청하지 않기 위해 채널을 회피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부(220)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채널이 전환된 경우 채널 재핑 명령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식별된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채널 재핑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채널 재핑 후 특정 채널을 시청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채널 재핑 후 특정 채널을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20)는 해당 특정 채널에 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증가시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로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추후에 사용자에게 채널을 추천하는 경우, 제어부(220)는 해당 특정 채널에 대한 가중치를 높게 두고 추천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사용자가 채널 재핑 후 특정 채널을 시청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따르면, 사용자는 5, 6, 7, 8 채널을 재핑 후 현재 9번 채널을 시청하고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9번 채널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증가시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재핑된 5, 6, 7, 8번 채널에 대한 선호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로 저장하는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30)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음향 센서(213)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의 잡음이 획득되면, 감지부(210)는 획득된 잡음 정보를 분석하여 주파수 대역별 잡음 크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210)가 주파수 대역별로 잡음의 크기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공지의 것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잡음 크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에 관한 설정 중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량 크기를 증가시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음향 센서(210)를 통해 주변의 잡음이 획득되면, 제어부(220)가 획득된 잡음을 분석하여 주파수 대역별 잡음 크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실시 예도 가능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감지부(210)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가 인식되면, 각 사용자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각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센서(211) 및 음향 센서(213)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 및 음성이 획득되면, 감지부(210)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특징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각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A, B, C, D와 같은 4명의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각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조합하여 공통의 선호 컨텐츠를 판단하고, 판단된 공통의 선호 컨텐츠의 시청을 추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사용가 식별되면,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 애플리케이션 및 선호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판단하며, 판단된 선호 애플리케이션 및 선호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프리 로딩(pre-loading)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용 이력 정보를 포함하므로,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자주 보는 채널 또는 컨텐츠의 장르에 관한 정보를 선호 정보로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 사용자 프로필 정보 확인 결과 식별된 사용자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 해당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로딩하여 사용자가 해당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자 할 때 빠른 실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예를 들어, 사용자 프로필 정보 확인 결과 식별된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가 있으며, 해당 선호 컨텐츠가 외부 서버에 존재하는 경우, 미리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선호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상요자가 해당 선호 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할 때 빠른 재생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현재 시각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판단하며, 판단된 선호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현재 시각 및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해당 컨텐츠가 종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22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종료되는 경우,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도 6의 (a)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추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부(230)에는 야구 경기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으며, 9회 말이 진행 중이므로, 종료까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축구 경기를 선호한다는 내용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고, X 팀과 Y 팀이 대결하는 축구 경기를 시청할 것을 추천하는 메시지(6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 인물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선호 인물이 포함된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식별된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시청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사용자가 주로 시청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물에 관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식별된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물이 포함된 컨텐츠를 추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청 이력을 분석한 결과 '김철수'라는 인물이 등장하는 컨텐츠를 주로 시청한 경우, 제어부(220)는 '김철수'라는 인물을 사용자의 선호 인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철수 주연의 XXX라는 컨텐츠의 시청을 추천하는 메시지(6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이미지 센서(211)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영상이 획득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백라이트 유닛의 디밍(Dimming)을 조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230)의 휘도를 감소시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5의 (b)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즉, 도 5의 (b)경우, 디스플레이부(230)의 휘도가 감소된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감지부(210)는 사용자의 몰입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10)는 이미지 센서(211)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자세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몰입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중 눈동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 쪽으로 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의 눈이 디스플레이 장치(200) 쪽으로 향하고 있는 시간이 길수록 사용자의 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몰입도를 판단하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다른 방법으로 몰입도가 판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감지부(210)가 아닌 제어부(220)가 몰입도를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몰입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몰입도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여 컨텐츠나 디스플레이 장치(200) 설정의 변경을 추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저장부(22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저장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의 별도의 DB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식별 엔진(121), 상황 엔진(123) 및 의도 분석 엔진(125)를 포함한다.
식별 엔진(121)은 감지부(11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얼굴, 자세, 몰입도, 사용자의 음성 톤, 음성 크기 등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을 판단하며,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현재 수행 중인 행위를 판단할 수 있다.
상황 엔진(123)은 감지부(110)를 통해 획득된 현재 시각, 주변 조도, 주변 잡음,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에 관한 정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및 음향 설정에 관한 정보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가 현재 처해 있는 상황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시청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의도 분석 엔진(125)는 식별 엔진(121), 상황 엔진(123)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및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요청하지 않은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71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S720), 획득된 사용자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한다(S73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된 사용자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사용자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판단된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한다(S740).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S810),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S82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S830), 식별된 사용자가 기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40).
판단 결과 기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S840, 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S870).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사용자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880).
한편, 식별된 사용자가 기등록된 사용자인 경우(S840, 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저장된 사용자 프로필 정보들 중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획득된 사용자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사용자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고(S850), 판단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S86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는 입력 수단을 통해 명시적으로 자신의 의도를 표현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별도로 로그인을 하는 등의 행위가 없더라도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의 동작이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들은 소프트웨어로 생성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 있는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 감지부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저장부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 있는 사용자의 특징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기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등록하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정보를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선호 설정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와 상기 선호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주변 환경 정보에 대응되는 선호 컨텐츠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와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채널 재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채널 재핑 후 특정 채널을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특정 채널에 대한 선호도를 증가시켜 상기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경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잡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주변 잡음 중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잡음 크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대역 주파수의 음량 크기를 증가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가 인식되면, 각 사용자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각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호 애플리케이션 및 선호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선호 애플리케이션 및 선호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프리 로딩(pre-loa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각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선호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호 인물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선호 인물이 포함된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 있는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명령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기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기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특징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사용 이력 정보 및 선호 정보를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40096730A 2014-07-29 2014-07-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60014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730A KR20160014458A (ko) 2014-07-29 2014-07-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4/619,191 US20160037195A1 (en) 2014-07-29 2015-02-1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based on user's i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730A KR20160014458A (ko) 2014-07-29 2014-07-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458A true KR20160014458A (ko) 2016-02-11

Family

ID=5518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730A KR20160014458A (ko) 2014-07-29 2014-07-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037195A1 (ko)
KR (1) KR201600144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8239A1 (ko) * 2016-09-12 2018-03-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6642A (ja) * 2014-08-21 2016-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32106B1 (en) * 2015-07-27 2016-12-27 Adobe Systems Incorporated Video character-based content targeting
US10425247B2 (en) * 2017-12-12 2019-09-24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playback of a media asset in response to a verbal command unrelated to playback of the media asset
CN110300218A (zh) * 2018-03-23 2019-10-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性能调整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电子装置
US10769203B1 (en) 2019-10-17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KR20210053080A (ko) * 2019-11-01 2021-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8239A1 (ko) * 2016-09-12 2018-03-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17003B2 (en) 2016-09-12 2023-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37195A1 (en)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44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9215507B2 (en) Volume customization
KR102279600B1 (ko) 휴대 기기에서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휴대 기기 및 컨텐츠 재생 장치
CN107801096B (zh) 视频播放的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EP2894629B1 (en) Picture display device, and setting modification method and setting modification program therefor
US8384828B2 (en) Video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method and system
CN102845057B (zh) 显示装置、电视接收机及显示装置的控制方法
WO2017049799A1 (zh) 音频播放控制方法和装置
US11451868B2 (en) Intelligent routing of notifications related to media programming
US2014020112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2845076B (zh) 显示装置、控制装置、电视接收机、显示装置的控制方法、程序及记录介质
EP2728859B1 (en)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of-users' interest when video call is made,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95382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enabling subtitles based on user activity
US20160063894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voice guidance function, a system having the same, and a corresponding voice guidance method
CN113950687A (zh) 基于经训练的网络模型的媒体呈现设备控制
US9075431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202002612A (zh) 視頻字幕顯示方法及裝置
US201901912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a file
US20160227280A1 (en) Content that reacts to viewers
US20170214981A1 (en) Function upgrade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US201501352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30362454A1 (en) Mode Configuration Method and Mode Configuration Apparatus
US95259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user preferences for enabling subtitles
US20170186440A1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playing audio
US20130135176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the emotional state of a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