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993A -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고정시키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고정시키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993A
KR20160013993A KR1020157036533A KR20157036533A KR20160013993A KR 20160013993 A KR20160013993 A KR 20160013993A KR 1020157036533 A KR1020157036533 A KR 1020157036533A KR 20157036533 A KR20157036533 A KR 20157036533A KR 20160013993 A KR20160013993 A KR 20160013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ard
card container
contain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 첸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1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5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terconnection devices, e.g. bus-connected or in-lin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8Detecting or preventing theft or lo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5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insert a coded card, e.g. a smart card carrying an integrated circuit c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단말 장치는 카드 컨테이너, 잠금 장치, 그리고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카드 컨테이너를 기능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소켓이 카드 컨테이너에 배치되며; 잠금 장치는 신장부를 포함하고, 신장부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에 따라서 인증 정보가 올바른지 확인하고,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잠금 장치의 신장부가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도록,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현예에서, 기능 카드는 입력된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에만 분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능 카드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고정시키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OR UNLOCKING FUNCTIONAL CARD OF TERMINAL DEVICE}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단말 장치에는 예를 들어, 스마트 카드 및 메모리 카드와 같은 기능 카드가 일반적으로 설치된다. 스마트 카드는 디지털 이동 전화(digital mobile phone) 사용자, 암호 키(cipher key), 사용자의 주소록에 관한 정보와 같은 콘텐트를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리 카드는 사용자의 데이터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저장한다. 오늘날에는, 기능 카드는 일반적으로 임의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 사용자의 단말이 도난 당한 후, 도둑이 임의로 스마트 카드를 바꿀 수 있다면, 도둑이 임의로 도난 전화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손실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능 카드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할 수 있는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기능 카드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출원의 제1 측면은 단말 장치로서, 카드 컨테이너, 잠금 장치, 그리고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카드 컨테이너는, 기능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소켓이 카드 컨테이너에 배치되며, 잠금 장치는 신장부를 포함하고, 신장부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에 따라서 인증 정보가 올바른지 확인하고,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잠금 장치의 신장부가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관해, 본 출원의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서, 잠금 장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제한부는, 신장부가 소켓 쪽 방향을 따라 움직이고,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신장부가,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신장부의 자유도를 제한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 관해, 본 출원의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한부는 너트이고, 신장부는 모터 및 스크류 막대를 포함하며, 스크류 막대의 일단부는 모터에 연결되고, 모터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스크류 막대가,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스크류 막대가 너트를 통과하여 움직이도록 구동시킨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 관해, 본 출원의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한부는 제한 고리이고, 신장부는 전자기 코일 및 마그네틱 막대를 포함하며, 마그네틱 막대의 일단부는 전자기 코일에 연결되고, 전자기 코일은,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마그네틱 막대가,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소켓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마그네틱 막대가 제한 고리를 통과하여 움직이도록 구동시킨다.
제1 측면에 관해, 본 출원의 제1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예에서, 잠금 장치는 스프링 및 전자기 코일을 더 포함하고, 신장부는 잠금 설부이고, 잠금 설부의 일단부는 베벨을 가지며, 잠금 설부의 타단부는 전자기 코일을 통과하여 스프링에 연결되고, 카드 컨테이너가 이동할 때, 카드 컨테이너는, 스프링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잠금 설부의 베벨을 밀고, 소켓이 잠금 설부 쪽을 향할 때, 잠금 설부는 스프링의 작용 하에 소켓 안으로 삽입되어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며, 그리고 프로세서가, 잠금 장치의 신장부가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전자기 코일이, 잠금 설부가 자기력의 작용 하에 소켓으로부터 이탈되어서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도록,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자기력을 생성하기 위해 잠금 설부를 자화하는 것이다.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4 가능한 구현예에 관해, 본 출원의 제1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문 정보,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홍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5 가능한 구현예에 관해, 본 출원의 제1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예에서, 기능 카드는 SIM 카드, USIM 카드, SD 카드, 그리고 TF 카드 중 어떤 것이다.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6 가능한 구현예에 관해, 본 출원의 제1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예에서, 단말 장치는, 이동 전화,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이다.
본 출원의 제2 측면은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 장치는 카드 컨테이너(card container) 및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카드 컨테이너는 기능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소켓이 카드 컨테이너에 배치되며, 잠금 장치는 신장부를 포함하고, 신장부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가 올바른지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잠금 장치의 신장부를,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관해, 본 출원의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서, 잠금 장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제한부는 신장부가 소켓 쪽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신장부의 자유도를 제한하고, 제한부는 너트이고, 신장부는 모터 및 스크류 막대를 포함하며, 스크류 막대의 일단부는 모터에 연결되고, 잠금 장치의 신장부를,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스크류 막대가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스크류 막대가 너트를 통과하여 움직이도록 모터가 스크류 막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제2 측면에 관해, 본 출원의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잠금 장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제한부는 신장부가 소켓 쪽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신장부의 자유도를 제한하고, 제한부는 제한 고리이고, 신장부는 전자기 코일 및 마그네틱 막대를 포함하며, 마그네틱 막대의 일단부는 전자기 코일에 연결되고, 잠금 장치의 신장부를,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도록,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마그네틱 막대가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마그네틱 막대가 제한 고리를 통과하여 움직이도록 전자기 코일이 마그네틱 막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제2 측면에 관해, 본 출원의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잠금 장치는 스프링 및 전자기 코일을 더 포함하고, 신장부는 잠금 설부이고, 잠금 설부의 일단부는 베벨이고, 잠금 설부의 타단부는 전자기 코일을 통과하여 스프링에 연결되며, 카드 컨테이너가 이동할 때, 카드 컨테이너는, 스프링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잠금 설부의 베벨을 밀고, 소켓이 잠금 설부 쪽을 향할 때, 잠금 설부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스프링의 작용 하에 소켓 안으로 삽입되며, 잠금 장치의 신장부를,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도록,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잠금 설부가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자기력의 작용 하에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자기력을 생성하기 위해 전자기 코일이 잠금 설부를 자화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앞서 설명한 해결 방안에서, 소켓은 카드 컨테이너에 배치되고,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잠금 장치의 신장부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된다. 이 구현예에서, 기능 카드는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에만 분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능 카드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현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구체적 구현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다른 구체적 구현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 장치의 다른 구현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 장치의 다른 구현예의 잠금 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에 대한 구현예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현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단말 장치는 이동 전화(mobile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일 수 있다. 이 구현예의 단말 장치는, 카드 컨테이너(card container)(110), 잠금 장치(fastening apparatus)(120), 그리고 프로세서(processor)(130)를 포함한다.
카드 컨테이너(110)는 기능 카드(functional card)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소켓(111)이 카드 컨테이너(110)에 배치된다. 기능 카드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카드, 보안 디지털(Secure Digital, SD) 카드, 그리고 트랜스플래시(Transflash, TF) 카드 중 어떤 것도 될 수 있다.
잠금 장치(120)는 신장부(extensible part)(123)를 포함하고, 신장부(123)는 카드 컨테이너(110)를 잠그기 위해 소켓(111)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컨테이너(110)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111)으로부터 이탈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authentication information)에 따라서 인증 정보가 올바른지 확인하고,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잠금 장치(120)의 신장부(123)가 카드 컨테이너(110)를 잠그기 위해 소켓(111)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신장부(123)가 카드 컨테이너(110)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11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해결 방안에서, 소켓(111)은 카드 컨테이너(110)에 배치되고, 그리고 인정 정보가 올바른 경우, 프로세서(130)는 잠금 장치(120)의 신장부(123)가 카드 컨테이너(110)를 잠그기 위해 소켓(111)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컨테이너(110)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111)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한다. 이 구현예에서, 기능 카드는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에만 분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능 카드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게다가, 잠금 장치(120)은 제한부(restricting part)(121)를 더 포함하고, 제한부(121)는, 신장부(123)가 소켓(111) 쪽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신장부(123)의 자유도(degree of freedom)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30)는 일반 목적의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애플리케이션 중심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transistor logic device), 또는 분산 하드웨어 컴포넌트(discrete hardware component)일 수 있다.
게다가, 단말 장치는 메모리(1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140)는 정전 상황에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컴포넌트일 수 있고, 메모리(140)는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30)에게 지시(instruction)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의 한 부분은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글 때, 사용자는 먼저 카드 컨테이너(110)에 기능 카드를 삽입하고, 이후 카드 컨테이너(110)를 단말 장치로 삽입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인증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130)는 인증 정보가 올바른지 결정하기 위하여, 인증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한다.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프로세서(130)는 카드 컨테이너(110)를 잠그기 위해 잠금 장치(120)의 신장부(123)가 소켓(111) 안으로 삽입되도록 제어하고, 그럼으로써, 카드 컨테이너(110) 및 기능 카드는 분리될 수 없다.
잠금해제할 때, 사용자는 인증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130)는 입력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인증 정보가 올바른지 결정하기 위하여 인증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한다.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카드 컨테이너(110)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잠금 장치(120)의 신장부(123)를 소켓(11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고, 그럼으로써, 카드 컨테이너(110) 및 기능 카드는 분리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해결 방안에서, 소켓은 카드 컨테이너에 배치되고,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잠금 장치의 신장부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된다. 이 구현예에서, 기능 카드는 입력된 패스워드가 올바른 경우에만 분리될 수 있고, 그러므로, 기능 카드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구체적 구현예의 개략도이고, 제한부(121)는 너트(nut)(221)이고, 신장부(123)는 모터(motor)(223) 및 스크류 막대(screw rod)(225)를 포함하며, 스크류 막대(225)의 일단부는 모터(223)에 연결된다.
잠글 때, 사용자는 먼저 카드 컨테이너(110)에 기능 카드를 삽입하고, 이후 카드 컨테이너(110)를 단말 장치로 삽입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인증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130)는 인증 정보가 올바른지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한다.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모터(223)는 프로세서(130)의 제어 하에, 스크류 막대(225)가 너트(221)를 통과하여 움직이도록 구동시키고, 그럼으로써 스크류 막대(225)는 소켓(111) 안으로 삽입된다.
잠금해제할 때, 사용자는 인증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130)는 입력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인증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한다.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모터(223)는 프로세서(130)의 제어 하에, 스크류 막대(225)가 너트(221)를 통과하여 움직이도록 구동시키고, 그럼으로써, 스크류 막대(225)는 소켓(111)으로부터 이탈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다른 구체적 구현예의 개략도이다. 제한부(121)는 제한 고리(restricting ring)(321)이고, 신장부(123)는 전자기 코일(electromagnetic coil)(323) 및 마그네틱 막대(magnetic rod)(325)를 포함하며, 마그네틱 막대(325)의 일단부는 전자기 코일(323)에 연결된다.
잠글 때, 사용자는 먼저 카드 컨테이너(110)에 기능 카드를 삽입하고, 이후 카드 컨테이너(110)를 단말 장치로 삽입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인증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130)는 인증 정보가 올바른지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한다.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전자기 코일(323)은 프로세서(130)의 제어 하에, 마그네틱 막대(325)가 제한 고리(321)를 통과하여 움직이도록 구동시키고, 그럼으로써 마그네틱 막대(325)는 소켓(111) 안으로 삽입된다.
잠금해제할 때, 사용자는 인증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130)는 입력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인증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한다.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전자기 코일(323)은 프로세서(130)의 제어 하에, 마그네틱 막대(325)가 제한 고리(321)를 통과하여 움직이도록 구동시키고, 그럼으로써, 마그네틱 막대(325)는 소켓(111)으로부터 이탈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 장치의 다른 구현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 장치의 다른 구현예의 잠금 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 구현예의 단말 장치는, 카드 컨테이너(410), 잠금 장치(420), 그리고 프로세서(430)를 포함한다.
카드 컨테이너(410)는 기능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소켓(411)이 기능 카드(410)에 배치된다.
잠금 장치(420)는 스프링(421), 전자기 코일(422), 그리고 잠금 설부(lock tongue)(423)을 포함하고, 잠금 설부(423)가 신장부며, 잠금 설부(423)의 일단부는 베벨(bevel)(424)를 가지며, 잠금 설부(423)의 타단부는 전자기 코일(422)를 통과하여 스프링(421)과 연결된다.
프로세서(430)는 일반 목적의 프로세서, DSP, ASIC,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또는 분산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잠글 때, 사용자는 먼저 기능 카드를 카드 컨테이너(410)에 삽입하고, 이후 카드 컨테이너(410)를 단말 장치로 삽입한다. 도 4에 나타난 대로, 카드 컨테이너(410)가 단말 장치로 삽입되는 단계에서, 카드 컨테이너(410)의 가장자리의, 소켓과 다른, 부분이 잠금 설부(423)의 일단부의 베벨(424)를 민다. 카드 컨테이너(410)는 베벨(424)의 위로 가해지는 아래 방향 추력을 생성한다. 추력의 작용 하에, 잠금 설부(423)의 일단부는 스프링(421)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하고, 카드 컨테이너(410)가 소켓(411)이 잠금 설부(423)의 끝부분 쪽으로 향하는 위치로 움직이면, 잠금 설부(423)는 카드 컨테이너(410)에 대한 힘을 잃는다. 스프링(421)의 작용 하에, 잠금 설부(423)는 소켓(411) 안으로 삽입되고, 그럼으로써, 카드 컨테이너(410) 및 카드 컨테이너(410) 안의 기능 카드는 분리될 수 없다.
잠금해제할 때, 사용자는 인증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430)는 입력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인증 정보가 올바른지 결정하기 위하여 인증 정보를 메모리(440)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한다.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전자기 코일(422)은 프로세서(430)의 제어 하에 자기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잠금 설부를 자화하고,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잠금 설부(423)가 자기력의 작용 하에 소켓(411)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카드 컨테이너(410)가 잠금해제된다. 전자기 코일(422)는 전자석 코일(electromagnet coil)일 수 있다.
메모리(440)는 정전 상황에서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메모리(44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430)에게 지시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440)의 한 부분은 NVRA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해결 방안에서, 소켓(411)은 카드 컨테이너(410)에 배치된다.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프로세서(430)는 자기력을 생성하기 위해 전자기 코일이 잠금 설부를 자화하도록 제어하고, 그럼으로써, 잠금 설부는 자기력의 작용 하에 소켓으로부터 이탈되어서, 카드 컨테이너가 잠금해제된다. 이 구현예에서, 기능 카드는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에만 분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능 카드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인증 정보는 패스워드,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 될 수 있고, 패스워드는 글자, 숫자, 그리고 식별자(identifier)의 임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에 대한 구현예의 흐름도이다. 이 구현예에서,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S601: 단말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 장치는 이동 전화, 태블릿, 웨어러블 장치 또는 디지털 카메라일 수 있다.
잠글 때, 사용자는 먼저 카드 컨테이너에 기능 카드를 삽입하고, 이후 카드 컨테이너를 단말 장치에 삽입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인증 정보를 입력하고, 단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기능 카드는 SIM 카드, USIM 카드, SD 카드, 그리고 TF 카드 중 어떤 것도 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문 정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홍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패스워드는 글자, 숫자, 그리고 식별자의 어떤 조합도 될 수 있다.
S602: 단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가 올바른지 결정한다.
프로세서는 입력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인증 정보가 올바른지 결정하기 위하여, 인증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한다.
S603: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잠금 장치의 신장부가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도록,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일 구현예에서, 잠금 장치가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신장부가 소켓 쪽 방향을 따라 움직이도록 제한부가 신장부의 자유도를 제한할 수 있다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신장부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소켓 안으로 삽입되도록, 또는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된다.
다른 구체적 구현예에서, 제한부가 너트이고, 신장부는 모터 및 스크류 막대를 포함하며, 스크류 막대의 일단부가 모터에 연결되면, 사용자에 의해 수신된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모터는 스크류 막대가 너트를 통과하여 움직이게 구동하도록 제어되고, 그럼으로써 스크류 막대가 소켓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소켓으로부터 이탈되어진다. 제한부가 제한 고리이고, 신장부는 전자기 코일 및 마그네틱 막대를 포함하며, 마그네틱 막대의 일단부가 전자기 코일에 연결되면, 사용자에 의해 수신된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전자기 코일은 마그네틱 막대가 제한 고리를 통과하여 움직이게 구동하도록 제어되고, 그럼으로써 마그네틱 막대는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소켓으로부터 이탈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잠금 장치가 스프링, 전자기 코일, 그리고 잠금 설부를 포함하고, 잠금 설부는 신장부고, 잠금 설부의 일단부는 베벨을 가지며, 잠금 설부의 타단부는 전자기 코일을 통과하여 스프링에 연결되면, 카드 컨테이너가 움직이는 경우, 카드 컨테이너는 잠금 설부의 베벨을 밀고, 그럼으로써 스프링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소켓이 잠금 설부 쪽을 향할 때, 잠금 설부는 스프링의 작용 하에 소켓 안으로 삽입되어서 카드 컨테이너를 잠근다. 잠금해제할 때, 입력된 인증 정보가 올바르면, 전자기 코일은 자기력을 생성하기 위해 잠금 설부를 자화하도록 제어되고, 그럼으로써 잠금 설부가 자기력의 작용 하에 소켓으로부터 이탈되어서, 카드 컨테이너가 잠금해제된다.
앞에서 설명한 해결 방안에서, 소켓은 카드 컨테이너에 배치되고, 입력된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잠금 장치는 소켓을 사용함으로써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도록 제어된다. 이 구현예에서, 기능 카드는 입력된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에만 분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능 카드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몇 가지 구현예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은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구현예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모듈 또는 유닛 분할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분할이고, 실제 구현에서 다른 분할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시스템으로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고, 또는 몇몇 특징은 생략되거나 또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통합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어 독립된 상품으로 팔리거나 또는 사용되는 경우, 통합된 유닛은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이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한 부분적 기여로, 또는 기술적 해결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상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상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본 출원의 실시에서 설명된 방법의 단계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 또는 프로세서에게 지시하는 몇 가지 지시를 포함한다. 앞에서 설명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제거 가능한 하드 디스크(removable hard disk), ROM, RAM, 마그네틱 디스크, 또는 광학적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매체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명심해야 할 것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의도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더라도,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해결 방안에 변형을 가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 방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은, 일부 기술적 특징에 대한 동등한 대체물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2)

  1. 단말 장치로서,
    카드 컨테이너(card container), 잠금 장치, 그리고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컨테이너는, 기능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소켓이 상기 카드 컨테이너에 배치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신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장부는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상기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에 따라서 상기 인증 정보가 올바른지 확인하고, 상기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상기 잠금 장치의 상기 신장부가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상기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신장부가 상기 소켓 쪽 방향을 따라 움직이고,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상기 신장부가,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상기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신장부의 자유도를 제한하는,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너트이고, 상기 신장부는 모터 및 스크류 막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막대의 일단부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상기 스크류 막대가,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상기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 막대가 상기 너트를 통과하여 움직이도록 구동시키는, 단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제한 고리이고, 상기 신장부는 전자기 코일 및 마그네틱 막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틱 막대의 일단부는 상기 전자기 코일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기 코일은,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상기 마그네틱 막대가, 상기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네틱 막대가 상기 제한 고리를 통과하여 움직이도록 구동시키는,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스프링 및 전자기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장부는 잠금 설부이고, 상기 잠금 설부의 일단부는 베벨을 가지며, 상기 잠금 설부의 타단부는 상기 전자기 코일을 통과하여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고;
    상기 카드 컨테이너가 이동할 때, 상기 카드 컨테이너는, 상기 스프링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잠금 설부의 상기 베벨을 밀고, 상기 소켓이 상기 잠금 설부 쪽을 향할 때, 상기 잠금 설부는 상기 스프링의 작용 하에 상기 소켓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며;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잠금 장치의 신장부가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상기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기 코일이, 상기 잠금 설부가 자기력의 작용 하에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되어서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상기 자기력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잠금 설부를 자화하는 것인, 단말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문 정보,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홍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단말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카드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카드, 보안 디지털(Secure Digital, SD) 카드, 그리고 트랜스플래시(Transflash, TF) 카드 중 어떤 것인, 단말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이동 전화,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인, 단말 장치.
  9.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카드 컨테이너(card container) 및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컨테이너는 상기 기능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소켓이 상기 카드 컨테이너에 배치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신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장부는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상기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인증 정보가 올바른지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인증 정보가 올바른 경우, 상기 잠금 장치의 신장부를,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상기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신장부가 상기 소켓 쪽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신장부의 자유도를 제한하고, 상기 제한부는 너트이고, 상기 신장부는 모터 및 스크류 막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막대의 일단부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잠금 장치의 신장부를,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상기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류 막대가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상기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스크류 막대가 상기 너트를 통과하여 움직이도록 상기 모터가 상기 스크류 막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인,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신장부가 상기 소켓 쪽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신장부의 자유도를 제한하고, 상기 제한부는 제한 고리이고, 상기 신장부는 전자기 코일 및 마그네틱 막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틱 막대의 일단부는 상기 전자기 코일에 연결되고;
    상기 잠금 장치의 신장부를,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상기 소켓 안으로 삽입되도록, 또는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마그네틱 막대가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상기 소켓 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마그네틱 막대가 상기 제한 고리를 통과하여 움직이도록 상기 전자기 코일이 상기 마그네틱 막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인,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스프링 및 전자기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장부는 잠금 설부이고, 상기 잠금 설부의 일단부는 베벨이고, 상기 잠금 설부의 타단부는 상기 전자기 코일을 통과하여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며, 상기 카드 컨테이너가 이동할 때, 상기 카드 컨테이너는, 상기 스프링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잠금 설부의 상기 베벨을 밀고, 상기 소켓이 상기 잠금 설부 쪽을 향할 때, 상기 잠금 설부는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상기 스프링의 작용 하에 상기 소켓 안으로 삽입되며;
    상기 잠금 장치의 신장부를,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그기 위해 상기 소켓 안으로 삽입되도록, 또는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 설부가 상기 카드 컨테이너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자기력의 작용 하에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자기력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전자기 코일이 상기 잠금 설부를 자화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인,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
KR1020157036533A 2014-05-30 2014-05-30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고정시키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 KR201600139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78889 WO2015180118A1 (zh) 2014-05-30 2014-05-30 终端设备及终端设备的功能卡的固定或解锁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993A true KR20160013993A (ko) 2016-02-05

Family

ID=5255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533A KR20160013993A (ko) 2014-05-30 2014-05-30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고정시키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98065A1 (ko)
EP (1) EP2993869A4 (ko)
JP (1) JP2016529600A (ko)
KR (1) KR20160013993A (ko)
CN (1) CN104380304A (ko)
AU (1) AU2014395976A1 (ko)
WO (1) WO2015180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8434B (zh) * 2015-08-26 2021-02-05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一种手机防盗方法、装置、系统及手机
EP3364332B1 (en) * 2015-11-23 2020-10-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device
CN105872142A (zh) * 2016-04-29 2016-08-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卡托弹出结构及控制方法、移动终端
CN106209137B (zh) * 2016-06-30 2019-08-3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sim卡安全手机及其控制方法和控制系统
CN106228058A (zh) * 2016-07-28 2016-12-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设备
CN106303027B (zh) * 2016-08-15 2019-08-0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卡托弹出方法及装置
WO2018166624A1 (en) * 2017-03-17 2018-09-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Tray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WO2019113928A1 (en) * 2017-12-15 2019-06-20 Orange Anti-theft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xtraction of memory card out from mobile terminal
CN108073838B (zh) * 2017-12-18 2020-10-27 温州大学瓯江学院 基于可信云计算的信息安全大数据管理系统
CN108915402B (zh) * 2018-07-27 2020-11-24 平阳县立胜印刷厂(普通合伙) 一种双重验证的指纹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0268A (ja) * 1989-10-26 1991-06-14 Mita Ind Co Ltd 文字発生装置
EP0810564B1 (en) * 1996-05-31 2003-04-23 Hitachi, Ltd. Electronic money storing apparatus and IC card control method
US6442986B1 (en) * 1998-04-07 2002-09-03 Best Lock Corporation Electronic token and lock core
GB2398706B (en) * 2003-02-21 200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ecurity
CN1458624A (zh) * 2003-05-15 2003-11-26 薛根 一种能发出自毁命令的用户识别卡卡座
JP2006190056A (ja) * 2005-01-06 2006-07-20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ード型情報媒体をロックする機能を備えた情報端末
TWI314604B (en) * 2006-09-19 2009-09-11 Asustek Comp Inc Electronic device
CN201066914Y (zh) * 2007-08-08 2008-05-28 何广文 能控制关机、取卸电池及手机卡的防盗手机
JP2012242949A (ja) * 2011-05-17 2012-12-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CN202488722U (zh) * 2012-02-24 2012-10-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存储设备及移动终端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395976A1 (en) 2016-01-07
CN104380304A (zh) 2015-02-25
EP2993869A1 (en) 2016-03-09
EP2993869A4 (en) 2016-07-27
US20160098065A1 (en) 2016-04-07
WO2015180118A1 (zh) 2015-12-03
JP2016529600A (ja) 2016-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3993A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기능 카드를 고정시키거나 잠금해제하는 방법
US9760504B2 (en) Nonvolatile memory data security
US10489612B2 (en) Memory controller to verify authenticity of data
KR20190015541A (ko) 신원 인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444792B2 (en) Unlocking control system, method and wearable device using the same
US11468719B2 (en) Matching an user taken image with access control apparatus references for physical access control
WO2011003304A1 (zh) 用于无线通信的机卡锁定方法及装置
US20170098336A1 (en) Storage door with alarm
CN111144520A (zh) 一种ic卡读写方法、装置、存储介质及智能锁
US9542547B2 (en) Identification to access portable computing device
KR101834181B1 (ko) 멀티 인증장치의 인증 스케쥴을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US20190034668A1 (en) Docking computing devices to a docking station
US8717154B2 (en) Computing device and method of automobile control
US9606939B2 (en) Memory data security
US20150326576A1 (en) Secure asset management system
CN103514390A (zh) 数据自销毁方法、装置和数码设备
US102191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flash memory based on unauthorized activity on smart device
JP2015233263A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US20200380322A1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sequence
CN113415254B (zh) 智能钥匙安全验证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9372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arming a security system monitoring a secured area using a two-dimensional scannable access code
US20170038994A1 (en) Storage device and data reading method
EP3051771B1 (de) Verfahren zum entsperren eines mobilen endgerätes
KR102442149B1 (ko) 외부 단말기기를 이용한 사용자인증 기반의 전자키 및 그 동작 방법
CN103490888A (zh) 绑定阅读器和终端安全控制模块的实现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