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826A - 맞춤형 부조 사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맞춤형 부조 사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826A
KR20160013826A KR1020150106378A KR20150106378A KR20160013826A KR 20160013826 A KR20160013826 A KR 20160013826A KR 1020150106378 A KR1020150106378 A KR 1020150106378A KR 20150106378 A KR20150106378 A KR 20150106378A KR 20160013826 A KR20160013826 A KR 20160013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bstrate
real image
model
model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1289B1 (ko
Inventor
정주화
정승조
Original Assignee
정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화 filed Critical 정주화
Publication of KR20160013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6Sculp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으로 실사 이미지가 돌출되어 입체적인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맞춤형 부조 사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사진과 같이 쉽게 벽에 걸거나 바닥에 배치할 수 있고, 보관이 불편한 입체 모형과 달리 보관이 편리하다. 또한, 실사 이미지의 입체 모형은 상업적으로 구현하는데 있어서 비교적 저렴한 CNC 또는 신속 조형기와 다양한 소재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입체 모형과 대비할 때 상대적으로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제조가 쉬우며, 후가공 및 유통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다양한 기판과 추가적인 액자 및 받침대의 적용을 통해 소비자에게 다양한 제품의 선택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부조 사진 및 그의 제조방법{CUSTOMIZED ENGRAVING PHOTO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맞춤형 부조 사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평면적인 사진과 같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표면으로 실사 이미지가 돌출되어 입체적인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맞춤형 부조 사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고기능을 갖춘 디지털 카메라가 제공되면서 고품질의 사진촬영이 일반화되고 있다. 그리고, 백일 사진, 첫돌 사진, 결혼식 사진, 가족 사진 및 영정 사진 등 특별한 행사시에 남기게 되는 기념 사진은 액자로 남겨 벽에 걸어둠으로써 추억을 되새기게 하고, 실내 장식 효과를 갖도록 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03678호 "입체부조판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입체부조판"은 내부에 일정공간을 형성하고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개방된 면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전등과; 상기 전등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받아 외부 면에 영상이 구현되도록 상기 전등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방 면에 설치된 반투명 재질의 입체부조판과; 상기 입체부조판을 상기 케이스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입체부조판과 조명을 이용 이미지의 형상화를 구현함으로써 밝고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상기의 입체부조 등에 이용되는 입체부조판을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입체부조등으로부터 구현되는 영상 또한 사진과 거의 흡사한 정도로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14405호 "3D 모듈의 접합구조"는 영상 패널의 전방에 투명 슬릿과 불투명 슬릿이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배리어 패널(barrier panel)을 얼라인 및 접합함으로써 3차원 입체 영상을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73583호 "무안경 3D 액자와 이를 위한 3D 인쇄물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은 액자 프레임; 상기 액자 프레임에 설치되고, 전면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에 시차 발생부를 형성한 투명부; 및 상기 투명부의 후측에 설치되어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가 정의된 3D 이미지가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3D 이미지와 투명부의 시차 발생부가 중첩되도록 상기 3D 이미지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진 고정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3D 이미지, 2D 이미지로부터 변환된 3D 이미지 또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합성한 3D 이미지로 출력된 인쇄물을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사진이 입체적인 효과를 내도록 하는 점에 특징이 있으나, 인공적으로 입체 이미지를 만들도록 하거나, 전자적인 구성의 비중이 커져 일반 사진과 같이 쉽게 벽에 걸거나 바닥에 배치할 수 없고, 사진의 본래 이미지 효과를 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1은 입체 실사 기술로 제작되는 입체 모형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피규어(figure)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평면 사진을 탈피하여 입체적인 실사 이미지의 모형(1000)을 제공하는 기술이 선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에 따른 실사 이미지를 갖는 모형(1000)은 제작 의뢰한 실제 인물의 실사 이미지를 첨삭가공(AM; Additive Manufacturing)을 통한 신속조형기술(RP; Rapid Prototyping, 최근에는 3차원 프린팅(3D Printing) 기술로 언급되고 있다)을 이용해 제작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실사 이미지 모형은 색(color)을 구현해야 하는 필요성에 따라 적용재료의 한계를 가지고 있고, 고가의 신속 조형기(3D 프린터)를 적용해야 하는 문제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실사 이미지를 입체 효과를 내면서도 일반적인 사진과 같이 쉽게 벽에 걸거나 바닥에 배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맞춤형 부조 사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사 이미지를 적용하여 일반적인 사진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조 사진을 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저렴한 가공 방법으로 제조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맞춤형 부조 사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실사 대상을 스캔하여 실사 이미지의 입체 모형을 제작하는 기술을 개선하여 제조비용과 시간을 줄이면서 신규 소비자의 구매 영역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맞춤형 부조 사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은 정해진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면(22)과 하면(24)을 갖는 기판(20) 및; 상기 기판(20)의 상면(22)에 실사 대상과 대응되는 실사 이미지(42)가 음각과 양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기판(20)에 설치되는 모형부(40)를 포함하되; 상기 모형부(40)는 상기 실사 대상을 스캔하여 형성되는 실사 이미지(42)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실사 이미지(42)는 실사 대상을 스캔하여 획득되는 전체 이미지에서 상기 기판(20)의 상면(22)과 경계로 형성되는 경계선(44)에 의해 분할된 형태로 상기 기판(20)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실사 이미지(42)가 입체적인 부조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에서 상기 모형부(40)는 도자기 형성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도자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에서 상기 모형부(40)는 상기 기판(20)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부(41)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실사 이미지(42)는 상기 공간부(41) 둘레로 정해진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에서 상기 모형부(40)를 앞에서 볼 수 있도록 창(61)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20)을 수용하여 벽면에 걸 수 있도록 하는 액자(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에서 상기 기판(20)은 상기 모형부(4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인서트부(I)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판(20)의 인서트부(I)가 삽입되는 리세스(73)가 상면(72)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받침대(7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모형부(40)가 세워진 상태로 바닥에 놓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은 스캔 장비를 사용하여 실사 대상에 대한 전체 실사 이미지(40a)의 초기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컴퓨터의 모델링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획득된 초기 모델링 데이터에서 절단선(44")을 지정하여 상기 전체 실사 이미지(40a)로부터 분할시켜 가공하기 위한 실사 이미지(40b)의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사 이미지(42)로 이루어지는 모형부(40)를 제작함으로써, 부조 사진(10)을 제조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부조 사진(10)을 제조하는 단계는 가공기를 사용하여 상기 가공 모델링 데이터에 따른 실사 이미지(42)의 모형부(40)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를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된 몰드에 이형제를 도포하여 반죽된 도자기 재료를 적층시킨 후 건조시켜 초벌용 모형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초벌용 모형부를 초벌구이한 후, 도색하고, 재벌구이하여 도자기로 형성되는 모형부(40)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상기 모형부(40)를 도자기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절단선(44")은 상기 전체 실사 이미지(40a)의 앞과 뒤 사이에서 앞부분이 정해진 높이를 갖도록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상기 전체 실사 이미지(40a)를 절단하도록 하여 지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공하기 위한 실사 이미지(40b)는 상기 전체 실사 이미지(40a)의 앞부분의 이미지가 되도록 하되, 상기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절단선(44")에 의해 분할된 뒷부분에서 상기 앞부분의 실사 이미지(40b)보다 외측으로 형성되는 외부 실사 이미지(46')의 서브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몰드()를 가공하는 단계는 가공기를 통해 상기 모형부(40)가 설치되는 기판(20)상에 상기 모형부(40)의 외측으로 상기 서브 가공 모델링 데이터에 따른 외부 실사 이미지(46')의 서브 모형부(46)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 및 그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일반사진과 다르게 실사 이미지가 입체 효과를 내는 부조 사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조 사진은 일반적인 사진과 같이 쉽게 벽에 걸거나 바닥에 배치할 수 있고, 보관이 불편한 입체 모형과 달리 보관이 편리하다. 또한, 실사 이미지의 입체 모형은 상업적으로 구현함에 있어 CNC 조각기 또는 신속 조형기로 제작되는 몰드를 도기 제작 공법에 적용하여 입체적인 부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고가 소재 및 장비를 사용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다양한 기판과 추가적인 액자 및 받침대의 적용을 통해 소비자에게 다양한 제품의 선택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실사 이미지를 적용한 입체 모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에서 모형부와 기판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보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에서 가공 모델링 데이터 획득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에서 가공 모델링 데이터 획득 방법의 다른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는 맞춤형 부조 사진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10)은 기판(20)과 모형부(40)로 이루어진다. 이때, 기판(20)은 정해진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면(22)과 하면(24)을 갖는다. 모형부(40)는 기판(20)에 설치{기판(20)에 모형부(4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기판(20)과 모형부(40)가 별도로 가공되어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되고, 기판(20)의 상면(22)으로 돌출되어 위치된다. 여기서, 기판(20)과 모형부(40)는 서로 동일한 재질을 적용하거나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기판(20)은 여러 조각(도 6 참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각 기판(20)에는 모형부(40)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기판(20)이 여러 조각으로 형성되는 경우 모형부(40)가 형성되지 않는 장식용 기판이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이와 같은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 아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기판(20)은 투명하게 형성하여 뒷 배경이 앞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뒷 배경을 적용하도록 하거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도 7)와 같이 조명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10)의 모형부(40)는 실사 이미지(42)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 모형부(40)는 사람, 물건, 동물, 식물, 배경, 건물 등 다양한 실사 대상의 이미지를 스캔 또는 디자인 작업하여 3D 모델링(3D-modeling)한 실사 이미지를 CNC 조형기 또는 신속 조형기(3D 프린터) 등의 가공기를 통해 가공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모형부(40)는 가공기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고, 이에 따른 기판(20)의 소재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모형부(40)의 실사 이미지(42)는 실사 대상의 전체 이미지에서 기판(20)의 상면(22)과 경계로 형성되는 경계선(44)에 의해 분할된 실사 이미지로 기판(20)에 설치됨으로써, 기존 실사 이미지를 적용하는 입체 모형과 차이점을 갖는다. 이때, 모형부(40)는 작업의 필요에 따라 가공기에서 기판(20)상에 바로 형성(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성형)된 후, 미리 마련된 기판(20)에 결합되어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부조 사진이라는 용어는 판화와 같이 판상에 이미지를 부여한다는 의미와, 실사 이미지가 입체적인 효과를 갖도록 하는 점에서 합성된 조어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기판(20)의 상면(22)과 하면(24)은 평편한 상태로 도시하고, 기판(20)이 사각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기판(20)의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아래, 배경의 적용, 다른 부가 이미지의 적용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 방법은 스캔 장비를 사용하여 실사 대상에 대한 전체 실사 이미지의 초기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컴퓨터의 모델링 프로그램(RHINO, 3D MAX, INVENTOR, CADian 3D 등)을 사용하여 획득된 초기 모델링 데이터에서 절단선(44")을 지정하여 전체 실사 이미지로부터 분할시켜 가공하기 위한 실사 이미지의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사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모형부를 제작함으로써, 부조 사진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모형부의 제작은 다양한 가공방법과 제조공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모형부를 직접가공하는 방식인 경우 CNC 조형기나 신속 조형기(3D 프린터)를 가공기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출성형공법을 통해 형성하는 경우 가공기로 몰드(Mold)를 가공하여 사출성형을 통해 모형부를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가공기로 몰드(Mold)를 가공하여 도자기 형성 공법을 적용함으로써 장식 제품의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신속 조형기술(3D 프린팅 기술) 또는 CNC 조형기 등의 가공기와 관련된 기술, 부조를 형성하기 위한 소재 및 후가공과 관련된 기술, 3D 스캐너를 사용하여 모델링 데이터를 얻는 방법 및 처리기술, LED 조명을 위한 기술, 도자기를 제조하기 위한 관련 기술 등에 대하여 통상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에서 모형부와 기판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10)은 기판(20)의 상면(22)에 실사 이미지(42)의 모형부(40)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의 (a)에서 보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10)은 모형부(40)가 사출성형 또는 도자기 성형되는 경우 두께 편차에 따른 변형을 줄이기 위한 형태이다. 이와 같은 맞춤형 부조 사진(10)에서 기판(20)은 모형부(40)의 하측에서 상면(22)으로부터 하면(24)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오프닝(25)을 갖는다. 그리고, 모형부(40)는 오프닝(25)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부(41)를 갖는다. 이때, 기판(20)을 별도로 제작하여 모형부(40)와 결합시켜 맞춤형 부조 사진(10)을 제조하는 경우 기판(20)에 오프닝(25)을 형성시킬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실사 이미지(42)는 공간부(41) 둘레로 정해진 두께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도 4의 (b)에서 보인 바와 같이, 내부가 찬 형태보다 사용되는 재료량을 줄이면서도 성형시 두께 편차로 인한 변형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4의 (a)와 같이 모형부(40)의 속이 비는 경우, 실사 이미지(42)의 하측으로부터 기판(20)의 하면(24)까지 보강 보스(46)가 공간부(41)를 가로질러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강도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서 보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10)은 기판(20)과 모형부(40)의 분리가 염려되는 경우 적용하기 위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즉, 기판(20)과 모형부(40)의 재질이 달라 부착력이 저하되는 경우 등 접착제의 사용을 줄이면서 기판(20)과 모형부(4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기판(20)은 모형부(40)의 하측에서 상면(22)으로부터 하면(24) 방향으로 형성되는 리세스(26)을 갖는다. 그리고, 모형부(40)는 리세스(26)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백 돌기(44a)를 갖는다. 이때, 리세스(26)의 바닥면에는 널링(knurling; 28)을 형성하여 부착력을 높이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널링(28)은 실사 이미지(42)가 형성되는 경계선(44) 내측의 기판(20)의 상면에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본 실시예는 기판(20)상에 모형부(40)를 바로 성형하는 하는 경우를 위해 제안되었으나, 별개로 형성된 기판(20)과 모형부(40)를 고정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기판(24)의 하면(24) 방향에서 결합되는 별도의 체결구(나사 등)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10)은 액자(60)나 받침대(70)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사진과 같이 벽에 걸거나 바닥면에 놓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액자(6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형부(40)를 앞에서 볼 수 있도록 창(61)이 형성되고, 기판(20)을 수용하여 벽면에 걸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액자(60)는 프레임(62)과 지지판(66)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62)은 뒷방향으로 개구되는 수용홈(63)이 형성되어 기판(20)이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용홈(63)의 앞측에 창(61) 둘레로 걸림턱(64)이 형성되어 기판(20)을 앞측에서 지지하고, 지지판(66)에 의해 기판(20)이 프레임(62)에 지지되도록 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와 같은 액자(60)에는 일반적인 사진의 액자와 같이 지지판(66)을 프레임(62)에 고정하는 핀이나 프레임(62)을 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리 등이 설치될 것이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대(70)가 적용되어 모형부(40)가 세워진 상태로 바닥에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경우, 기판(20)은 모형부(4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인서트부(I)를 갖는다. 그리고, 받침대(70)는 기판(20)의 인서트부(I)가 삽입되는 리세스(73)가 상면(72)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인서트부(I)와 리세스(73)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부(I)는 기판(20)의 하측으로 적용하고, 여기에 리세스(73)의 구조가 대응되도록 하였으나, 인서트부(I)는 기판(20)과 별개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체결구(일예로 핀)를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10)은 기판(20)이 분할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할형은 맞춤형 부조 사진(10)의 적용성과 활용성을 높이도록 한다. 즉, 장소와 시간을 달리해서 제작한 맞춤형 부조 사진(10)을 서로 모아서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거나, 세트의 구성을 달리하여 사진에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6에서 보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10)은 조명을 통한 장식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맞춤형 부조 사진(10)에서 받침대(70)는 리세스(73) 방향으로 조명이 비추도록 하는 엘이디 모듈(80)을 갖는다. 이때, 엘이디 모듈(80)은 기판(84)상에 LED(82)를 설치하여 이루어져, LED(82)가 리세스(73) 방향으로 빛을 비추도록 받침대(70)에 설치된 홈에 설치되고, 고정판(74) 등에 의해 지지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에서 가공 모델링 데이터의 획득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은 실사 대상을 스캔하여 얻은 전체 실시 이미지를 분할하여 기판(20)상에 형성되는 모형부(40)의 실사 이미지(42)를 형성함으로써, 입체적인 사진을 제조하도록 하여, 최근 급속히 발전되어 보급되고 있는 소형 CNC 조형기나 신속 조형기(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은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절단선(44")이 전체 실사 이미지(40a)의 앞과 뒤 사이에서 앞부분이 정해진 높이를 갖도록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전체 실사 이미지(40a)를 절단하도록 하여 지정되도록 함으로써, 가공하기 위한 실사 이미지(40b)가 전체 실사 이미지(40a)의 앞부분의 이미지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가공 모델링 데이터의 획득을 통해 일반 사진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은 비접촉식 광학레이저 방식 등의 스캔 장비(능동형 비접촉 방식, 수동형 비접촉방식 등 효과적인 모델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를 사용하여 실사 대상에 대한 전체 실사 이미지(40a)의 초기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초기 모델링 데이터에서 절단선(44")을 지정하여 전체 실사 이미지(40a)로부터 분할시켜 가공하기 위한 실사 이미지(40b)의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 단계에서 얻어진 가공 모델링 데이터의 가공하기 위한 실사 이미지(40b)의 절단선(44')은 기판(20) 상에 나타나는 경계선(44)과 대응된다.
이와 같이 가공 모델링 데이터가 준비되면, 가공기를 통해 가공 모델링 데이터에 따른 실사 이미지(42)의 모형부(40)를 형기성한다. 이때, 모형부(40)는 기판(20)상에서 바로 성형되거나, 기판(20)과 별도로 성형되어 조립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신속 조형기를 통해 가공된 1차적인 모형부(40c)의 실사 이미지(42')는 신속 조형기의 종류에 따라 가공면의 표면조도가 떨어지는데, 이는 샌딩작업 등의 후가공을 통해 매끄럽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에서 가공 모델링 데이터 획득 방법의 다른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는 맞춤형 부조 사진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은 경계선(44)의 뒤에 더 넓은 실사 이미지가 있는 경우에도 일반 사진과 같이 뒤의 실사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한다. 예컨대, 도 9에서 (a)의 경우 전체 실사 이미지(40a)에서 절단선(44")을 경계로 분할되는 앞부분에 넓은 영역들이 포함되어 전술한 방법에 따라 모형부(40)를 성형하면 모든 실사 이미지가 구현되지만, (b)의 경우 실사 대상의 팔이 절단선(44")의 뒤쪽에 위치되어 앞부분만 모형부(40)로 가공하는 경우 뒷부분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 절단선(44")을 뒤쪽의 넓은 실사 이미지를 따라 설정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뒤쪽의 실사 이미지를 성형한 모형 부분이 기판(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가공 높이가 높아져 신속조형이 어려워지고 추후 파손의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은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절단선(44")에 의해 분할된 뒷부분에서 앞부분의 실사 이미지(40b)보다 외측으로 형성되는 외부 실사 이미지(46')의 서브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리고, 가공기를 통해 모형부(40)가 설치되는 기판(20)상에 모형부(40)의 외측으로 서브 가공 모델링 데이터에 따른 외부 실사 이미지(46')의 서브 모형부(46)를 형성한다. 이때, 서브 모형부(46)의 높이는 모형부(40)의 높이와 대응시켜 선택적으로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은 실사 대상을 스캔하여 얻은 전체 실시 이미지를 분할하여 기판(20)상에 형성되는 모형부(40)의 실사 이미지(42)를 형성함으로써, 입체적인 사진을 제조하도록 하여, 도자기 제조공법을 통해 장식품으로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은 먼저, 스캔 장비를 사용하여 실사 대상에 대한 전체 실사 이미지(40a)의 초기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리고, 컴퓨터의 모델링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획득된 초기 모델링 데이터에서 절단선(44")을 지정하여 전체 실사 이미지(40a)로부터 분할시켜 가공하기 위한 실사 이미지(40b)의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와 같이 획득된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사 이미지(42)로 이루어지는 모형부(40)를 제작함으로써, 부조 사진(10)을 제조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은 도자기 제조공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가공기를 사용하여 가공 모델링 데이터에 따른 실사 이미지(42)의 모형부(40)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를 가공한다. 그리고, 가공된 몰드에 이형제를 도포하여 반죽된 도자기 재료를 적층시킨 후 건조시켜 초벌용 모형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초벌용 모형부를 초벌구이한 후, 도색하고, 재벌구이하여 도자기로 형성되는 모형부(40)를 형성함으로써, 모형부(40)를 도자기 소재로 제작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부조 사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 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맞춤형 부조 사진 20 : 기판
22 : 상면 24 : 하면
25 : 오프닝 26 : 리세스
40 : 모형부 40a : 전체 실사 이미지
40b : 가공하기 위한 실사 이미지, 앞부분의 실사 이미지
41 : 공간부 42 : 실사 이미지
44 : 경계선 44" : 절단선
44a : 백 돌기 46 : 서브 모형부
46' : 외부 실사 이미지 60 : 액자
61 : 창 70 : 받침대
72 : 상면 73 : 리세스
80 : 엘이디 모듈 I : 인서트부

Claims (8)

  1. 정해진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면(22)과 하면(24)을 갖는 기판(20) 및;
    상기 기판(20)의 상면(22)에 실사 대상과 대응되는 실사 이미지(42)가 음각과 양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기판(20)에 설치되는 모형부(40)를 포함하되;
    상기 모형부(40)는 상기 실사 대상을 스캔하여 형성되는 실사 이미지(42)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실사 이미지(42)는 실사 대상을 스캔하여 획득되는 전체 이미지에서 상기 기판(20)의 상면(22)과 경계로 형성되는 경계선(44)에 의해 분할된 형태로 상기 기판(20)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실사 이미지(42)가 입체적인 부조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맞춤형 부조 사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부(40)는 도자기 형성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도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부조 사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부(40)는 상기 기판(20)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부(41)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실사 이미지(42)는 상기 공간부(41) 둘레로 정해진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부조 사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부(40)를 앞에서 볼 수 있도록 창(61)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20)을 수용하여 벽면에 걸 수 있도록 하는 액자(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부조 사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20)은 상기 모형부(4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인서트부(I)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판(20)의 인서트부(I)가 삽입되는 리세스(73)가 상면(72)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받침대(7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모형부(40)가 세워진 상태로 바닥에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부조 사진.
  6. 스캔 장비를 사용하여 실사 대상에 대한 전체 실사 이미지(40a)의 초기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컴퓨터의 모델링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획득된 초기 모델링 데이터에서 절단선(44")을 지정하여 상기 전체 실사 이미지(40a)로부터 분할시켜 가공하기 위한 실사 이미지(40b)의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사 이미지(42)로 이루어지는 모형부(40)를 제작함으로써, 부조 사진(10)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조 사진(10)을 제조하는 단계는 가공기를 사용하여 상기 가공 모델링 데이터에 따른 실사 이미지(42)의 모형부(40)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를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된 몰드에 이형제를 도포하여 반죽된 도자기 재료를 적층시킨 후 건조시켜 초벌용 모형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초벌용 모형부를 초벌구이한 후, 도색하고, 재벌구이하여 도자기로 형성되는 모형부(40)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상기 모형부(40)를 도자기 소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절단선(44")은 상기 전체 실사 이미지(40a)의 앞과 뒤 사이에서 앞부분이 정해진 높이를 갖도록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상기 전체 실사 이미지(40a)를 절단하도록 하여 지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공하기 위한 실사 이미지(40b)는 상기 전체 실사 이미지(40a)의 앞부분의 이미지가 되도록 하되,
    상기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절단선(44")에 의해 분할된 뒷부분에서 상기 앞부분의 실사 이미지(40b)보다 외측으로 형성되는 외부 실사 이미지(46')의 서브 가공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몰드를 가공하는 단계는 가공기를 통해 상기 모형부(40)가 설치되는 기판(20)상에 상기 모형부(40)의 외측으로 상기 서브 가공 모델링 데이터에 따른 외부 실사 이미지(46')의 서브 모형부(46)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
KR1020150106378A 2014-07-28 2015-07-28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 KR101711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5249 2014-07-28
KR1020140095249 2014-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826A true KR20160013826A (ko) 2016-02-05
KR101711289B1 KR101711289B1 (ko) 2017-03-02

Family

ID=5535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378A KR101711289B1 (ko) 2014-07-28 2015-07-28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2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007A (ko) * 2017-10-25 2019-05-07 김석칠 3d프린팅을 활용한 기념품 제조방법
KR20190046006A (ko) * 2017-10-25 2019-05-07 김석칠 3d프린팅을 활용한 입체간판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145Y1 (ko) * 2002-10-01 2003-02-25 고태복 액자
KR20030072131A (ko) * 2002-03-05 2003-09-13 김수진 레이어 기법을 이용한 기념품 및 그의 제작방법
KR100941872B1 (ko) * 2009-05-12 2010-02-11 이용인 3차원 모델링을 이용한 대형 조형물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131A (ko) * 2002-03-05 2003-09-13 김수진 레이어 기법을 이용한 기념품 및 그의 제작방법
KR200305145Y1 (ko) * 2002-10-01 2003-02-25 고태복 액자
KR100941872B1 (ko) * 2009-05-12 2010-02-11 이용인 3차원 모델링을 이용한 대형 조형물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007A (ko) * 2017-10-25 2019-05-07 김석칠 3d프린팅을 활용한 기념품 제조방법
KR20190046006A (ko) * 2017-10-25 2019-05-07 김석칠 3d프린팅을 활용한 입체간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289B1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3603B1 (en) Picture frame providing a depth image
WO2005101908A3 (en) Data processing for three-dimensional displays
KR101711289B1 (ko) 맞춤형 부조 사진의 제조방법
US20150057780A1 (en)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EP2603116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mage display apparatus
WO2018141671A1 (fr) Procede de simulation de l'amenagement d'un espace
CN1814459A (zh) 三维人像的制作方法及其装置
US20070153138A1 (en) Video screen panel apparatus and system
KR102012560B1 (ko) 3d프린팅을 활용한 기념품 제조방법
Arnheim Film and reality
KR101588653B1 (ko) 고급질감을 가진 디지털 스마트 인쇄물의 제조방법 및 그 인쇄물
KR20160078214A (ko) 부조 제품 및 그를 위한 모델링 데이터 형성방법
JP2007206659A (ja) 複合画像プリント、その形成方法及びその表示方法
KR20170104197A (ko) 장식용 기념품
GB2495781A (en) Apparatus for mounting an image
KR20010071198A (ko) 3차원 입체영상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101613891B1 (ko) 디지털 스마트 사진 액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9118100A1 (en) Backlit 3d lamp
US2014024844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2580468Y (zh) 可随视觉角度而变换显影效果的装置
US20110002128A1 (en) Lighting fixture and method for creating visual effects and method for creating a distorted image
KR20170045766A (ko) 입체 사진의 제조방법
JP3904862B2 (ja) 三次元表示装置
Yanaka et al. Integral Photography Using 2D Printer Output and Fly's Eye Lens Made with 3D Printer
TW201506866A (zh) 產生表現於2d圖像表面之圖像資訊項目的空間深度效應的裝置以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