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536A -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536A
KR20160013536A KR1020140094971A KR20140094971A KR20160013536A KR 20160013536 A KR20160013536 A KR 20160013536A KR 1020140094971 A KR1020140094971 A KR 1020140094971A KR 20140094971 A KR20140094971 A KR 20140094971A KR 20160013536 A KR20160013536 A KR 20160013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content
user
image
advertiseme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현선
최해명
최병호
박지성
Original Assignee
(주) 프람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람트 filed Critical (주) 프람트
Priority to KR1020140094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3536A/ko
Publication of KR20160013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이나 특징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을 이용하여 기 생성된 콘텐츠를 수정한 자신만의 콘텐츠를 생성한 후, SNS나 MIM 서비스를 통해 타인에게 전송하고, 타인이 다시 콘텐츠를 수정하여 또 다른 타인에게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간에 자발적으로 브랜드 노출과 공유 과정이 진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감소시키고, 사용자가 광고에 직접 참여함으로서, 광고주의 추가 광고 집행이나 활동 없이 사용자의 자발적인 바이럴 광고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 광고 시스템 및 그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THROUGH VOLUNTARY PRODUCTION AND SPREAD OF VIRAL CONTENTS}
본 발명은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이나 특징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을 이용하여 기 생성된 콘텐츠를 수정한 자신만의 콘텐츠를 생성한 후, SNS나 MIM 서비스를 통해 타인에게 전송하고, 타인이 다시 콘텐츠를 수정하여 또 다른 타인에게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간에 자발적으로 브랜드 노출과 공유 과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광고 시스템 및 그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로 통신기기 이용자들은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불특정 다수와 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및 MIM(Mobile instant messenger)등과 같은 온라인상의 커뮤니티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상대방에게 자신의 감정이나 의사표현을 좀 더 명확하고 적극적으로 수행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자들은 이모티콘과 같은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및 의사표현을 나타낼 수 있도록 서비스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커뮤니티 서비스에서는 텍스트 작성 중 기본으로 제공되는 이모티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이모티콘들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실감나게 전달하지 못하고, 사용자가 임의로 이미지를 변경할 수 없어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종래의 PC를 이용한 온라인 마케팅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와 마케팅 방법으로 콘텐츠 이용 행태가 스마트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환경의 발전에 따라 핸드폰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회사의 광고를 접하는 횟수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모바일 온라인 마케팅은 대부분 디스플레이 광고(Display Advertisement, DA)나 검색 광고(Search Advertisement, SA) 방식을 사용하거나, 리워드 앱(Reward App)을 배포하여 특정 클릭수에 따라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는 등의 방식을 방식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방식은 전체 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SNS 바이럴(viral)에 대한 추가적으로 광고를 집행하거나 광고 활동을 펼칠 경우 광고주가 별도로 비용을 지불해야 함으로 중소기업의 경우 비용적인 부담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스팸(Spam)광고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하면서, 사용자의 경우 단말기 동작 시 원하지 않게 특정광고의 팝업 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광고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어 본래 광고의 목적과 다른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 간에 부정적인 인식의 확대나 광고의 역효과를 최소화하고 광고의 생성 및 전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광고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브랜드나 제품의 광고에 대한 프로덕션(생산)에 참여하고, 이를 SNS나 MIM을 통해서 전파하여 확신시키는, 이른바 새로운 개념의 바이럴(viral) 광고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종래의 광고 시스템에 대한 선행기술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8311호(2011. 02. 22)는 바이럴 마케팅 서버를 포함하는 바이럴 마케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들이 지역별, 매장별, 기념일별, 고객층별 등 다양한 기준으로 생성된 바이럴 아이디 중 어느 하나를 단 한번만 입력하고 구독 신청함으로써, 그 바이럴 아이디를 구독 신청한 사용자들이 입력한 상품평 등의 바이럴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바이럴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12-0052298호(2012.05.23.)호는 호스팅이나 분배 서비스의 중개 개입을 이용함이 없이 다수의 이동 장치에 바이럴 광고 콘텐츠를 전파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동 장치 상에 바이럴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고, 바이럴 광고 콘텐츠를 상이한 이동 장치로부터 이전에 수신된 바이럴 광고 콘텐츠를 이용해서 변경하고, 변경된 바이럴 광고 콘텐츠가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것으로 인지될 수 있는 수신인의 세트를 결정하고, 변경된 바이럴 광고 콘텐츠를 각각이 상이한 이동 장치와 관련될 수 있는 수신인의 세트에 전파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들은 바이럴 광고나 광고 콘텐츠의 메시업만 제시할 뿐, 본 발명과 같이 실제로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들 자신의 모습이나 특정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수정하여 사용자들 간에 전파되면서 광고 콘텐츠가 변화해 가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제 특정 앱이나 웹페이지의 특정 페이지를 통해서 광고가 자연스럽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제거하여 광고와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나 효과에 대해서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종래기술로는 본 발명과 같은 기술적 사상이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페이스콘을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기업의 광고를 자연스럽게 노출시켜 해당 기업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 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페이스콘을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광고에 직접 참여함으로서, 광고주의 추가 광고 집행이나 활동 없이 사용자의 자발적인 바이럴 마케팅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해당 UGC(User Generated Contents)를 공유 및 배포하여 사용자가 기업의 브랜드 앱이나 랜딩 페이지와 같은 특정 앱이나 웹페이지의 특정 페이지로 접근하도록 하고, 특정 앱의 배포 또는 판매가 가능하도록 하여 기업간의 상호 홍보 효과를 창출하고 유로 콘텐츠의 수익 배분 협약 등 다양한 형태의 제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광고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광고 수신부; 사용자로부터 광고에 특징을 부여할 수 있는 특정 이미지를 수집하는 이미지 수집부; 사용자가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에 상기 수집한 이미지를 통합하여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자발적인 콘텐츠 생성부; 상기 생성한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SNS, MIM, 이메일, MMS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배포하는 광고 배포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콘텐츠 혹은 새로운 광고 콘텐츠가 사용자간에서 자발적으로 생산되고 배포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광고 시스템은, 상기 자발적으로 배포된 광고 콘텐츠가 선택될 경우, 상기 광고 수신부에서 수신된 광고의 브랜드 앱이나 랜딩 페이지와 같은 특정 앱이나 웹페이지의 특정 페이지에 자동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광고 시스템에서, 상기 자발적인 콘텐츠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는 자신과 관련한 이미지는 물론이고 타인과 관련한 이미지도 포함되며, 상기 이미지는 광고 콘텐츠에 특징을 부여하여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광고 시스템에서, 상기 자발적인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수집한 이미지에서 선택한 부분을 캡처하고, 상기 캡처한 부분에 필터를 적용하여 캐리커쳐화하며, 상기 캐리커쳐화한 부분을 사용자가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에서 삽입할 부분에 대치함으로써,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상기 수집한 이미지에서 하나 혹은 두 개의 부분만 선택하여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의 전체에 자동으로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광고 시스템에서, 상기 자발적인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수집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델에 적용한 후 그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상기 수집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에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하나의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광고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를 수신, 저장, 로딩 혹은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는 광고 수신 단계; 상기 수신, 저장, 로딩 혹은 이들의 조합을 수행한 광고 콘텐츠와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상기 광고 콘텐츠에 특징을 부여할 수 있는 특정 이미지를 결합하여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자발적으로 광고 콘텐츠를 생산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SNS, MIM, 이메일, 메신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거나 공유하여 광고 콘텐츠를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콘텐츠 혹은 새로운 광고 콘텐츠가 사용자간에서 자발적으로 생산되고 배포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광고 방법은, 상기 광고 콘텐츠에 대한 아이콘이 선택되면, 특정 앱이나 웹페이지의 특정 페이지로 연결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광고 방법은, 타 사용자에 의해서 전송되어온 광고 콘텐츠에 대해서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상기 광고 콘텐츠에 특징을 부여할 수 있는 특정 이미지를 결합하여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여 배포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계속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광고 방법에서, 상기 자발적으로 광고 콘텐츠를 생산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는 자신과 관련한 이미지는 물론이고 타인과 관련한 이미지도 포함되며, 상기 이미지는 광고 콘텐츠에 특징을 부여하여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광고 방법에서, 상기 자발적으로 광고 콘텐츠를 생산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한 이미지에서 선택한 부분을 캡처하고, 상기 캡처한 부분에 필터를 적용하여 캐리커쳐화하며, 상기 캐리커쳐화한 부분을 사용자가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에서 삽입할 부분에 대치함으로써,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상기 수집한 이미지에서 하나 혹은 두 개의 부분만 선택하여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의 전체에 자동으로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광고 방법에서, 상기 자발적으로 광고 콘텐츠를 생산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델에 적용한 후 그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상기 수집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에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하나의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이나 특징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을 이용하여 기 생성된 콘텐츠를 수정한 자신만의 콘텐츠를 생성한 후, SNS나 MIM 서비스를 통해 타인에게 전송하고, 타인이 다시 콘텐츠를 수정하여 또 다른 타인에게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간에 자발적으로 브랜드 노출과 공유 과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광고 시스템 및 그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광고가 스마트폰의 앱, SNS 또는 MIM을 통해 사용자간에 배포되어지고, 배포 받은 사용자는 다시 자신이 촬영한 사진이나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과 합성하여 생산된 새로운 광고를 재배포함으로써, 사용자가 광고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광고에 직접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감소시키고 광고주의 추가적인 광고 집행이나 활동이 없이도 사용자의 자발적인 바이럴 광고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로모션 페이지의 직접 노출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발적인 브랜드 노출의 효과가 크며, 각 기업이나 광고주가 원하는 제품을 무의식중에 사용자에게 노출시켜 해당 기업이나 광고주의 제품에 대한 특정 이미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을 이용하면, 특정 앱이나 웹페이지의 특정 페이지와의 자동 연결을 통한 기업의 홍보, 제품의 광고, 콘텐츠(영화 등)의 홍보가 가능하며, 유로 콘텐츠의 수익 배분 협약 등 다양한 형태의 제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모바일 광고 시스템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에서 스티커를 포함한 콘텐츠를 전송하고 공유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광고효과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해당 기업의 네이티브 광고앱을 다운받아 자발적인 콘텐츠를 생산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에서 사용자 생성 콘텐츠의 생성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에서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SNS나 MIM을 통해 타인에게 전송하거나 공유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의 장치 구성을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모바일 광고 시스템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모바일 광고 시스템(10)은 검색 광고(SA), 디스플레이 광고(DA), 베너 광고, 네이티브 광고, 리워드 앱 등을 수신(11)하고, 해당 광고나 앱을 실행하면 상기 광고나 앱에 의해서 특정 회사, 제품, 혹은 영화 등의 광고나 앱이 실행되어 특정 앱이나 웹페이지의 특정 페이지(12)로 연결되거나 직접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광고의 특정 앱이나 웹페이지의 특정 페이지(12)와 연결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존방식에 의한 모바일 광고 시스템(10)은 검색 광고, 디스플레이 광고, 리워드 앱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품 및 브랜드의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여기서, 검색 광고(search-based advertising, SA)란 인터넷 검색 사이트를 통해 광고하는 방법으로서, 검색 서비스를 통해 광고주의 웹 사이트에 대한 연결 고리를 보여주는 방식의 광고이다. 인터넷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검색 사이트에서 특정 기업에게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업 입장에서는 자사 제품 또는 서비스에 관심 있는 잠재 고객에게 광고하는 수단이다. 광고 방법은 월 단위의 일정 계약기간 동안 기간 기준으로 광고비용을 지불하는 정액제 광고(Cost per Mille, CPM)와 소비자가 검색이나 배너 광고를 클릭한 횟수를 근거로 지불하는 종량제 광고(Cost Per Click, CPC) 방식이 있으며, 검색 광고가 진화하면서 키워드를 통한 브랜딩과 검색 광고를 텔레비전 등 타 매체와 함께 진행하는 크로스 미디어 광고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으며, 좀 더 지능화된 기능을 추가해 광고 효과의 투자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광고는 인터넷 미디어 광고의 하나로서 인터넷의 서비스 창에서 배너, 동영상, 스폰서 등의 방법으로 노출시킴으로서 브랜드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는 광고 방법으로, 다이렉트 메일(Direct Mail, DM), 키워드 광고(Keyword AD)과 함께 온라인광고 상품의 일종이다. 특히, 디스플레이 광고는 온라인 사이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반 배너광고와 동영상 광고, 바이럴 마케팅, SNS, 스폰서십 광고 등이 있다. 주로 노출당 단가로 집행된다. 상기 다이렉트 메일 광고는 관심 타깃에게 메일을 발송하는 형태로, 수신허용 소비자에게 발송이 되므로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발송당 혹은 메일 오픈당 단가로 집행된다. 또한 키워드 광고는 포털 사이트 검색 상단의 스폰서링크, 파워링크처럼 검색 결과에 따라 노출되는 광고 형태로 클릭당 단가로 집행된다. 이 외 대표적인 온라인광고 종류는 동영상 광고, 제휴입점 광고, 네트워크 광고를 들 수 있다.
또한 리워드 앱은 스마트폰으로 광고를 시청하거나 미션을 수행하면 포인트나 현금으로 보상해주는 앱으로서 광고주의 입장에서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통해 자사 제품이나 이벤트를 쉽게 홍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네이티브 광고는 쉽게 말해 광고인지 콘텐츠인지 알 수 없게 만든 광고를 말하고, 배너광고의 진화형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종래의 광고 시스템은 이러한 사용자의 스마트폰 또는 기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광고, 검색 광고 방식을 사용하거나, 리워드 앱을 배포하여 특정 클릭수에 따라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는 등의 방식으로 기존의 온라인 광고의 노출, 유입, 유출, 사용자 액션에 기반한 광고의 방식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방식은 전체 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SNS 바이럴에 대한 추가적으로 광고를 집행하거나 광고 활동을 펼칠 경우 광고주가 별도로 비용을 지불해야 함으로 중소기업의 경우 비용적인 부담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스팸(Spam)광고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하면서, 사용자의 경우 단말기 동작 시 원하지 않게 특정광고의 팝업 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광고에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어 본래 광고의 목적과 다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한편, 브랜드 앱(105)이란 스마트폰으로 실행하는 앱으로서, 상기 광고회사에서 제공하는 해당 제품의 광고를 위한 특정 앱을 나타내며, 랜딩 페이지(106)는 상기 광고회사에서 제공하는 해당 회사나 제품의 광고 홈페이지의 첫 화면을 뜻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광고를 자발적으로 생산하여 배포하도록 함으로써, 광고에 대한 거부반응을 없애고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시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로 인터넷을 통해서 기존 광고를 수신하고(110), 상기 수신한 광고에 자신의 얼굴을 촬영한 사진으로 상기 광고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새로운 광고 이미지를 생성하는 광고 편집 수단(예: 페이스콘(facecon))(120)을 사용하여 사용자 생성 콘텐츠(User Generated Contents, UGC)(120)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UGC를 SNS나 MIM을 통해서 온라인 친구(SNS에서의 친구 등)에게 전송하면(130), 상기 콘텐츠를 수신한 친구들은 본 발명에 의한 광고 시스템을 통해서 다시 새롭게 자신의 얼굴을 상기 수신한 콘텐츠와 합성하여 재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들은 상기 콘텐츠를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사용자들은 브랜드 앱(140)이나 상기 해당 광고의 홈페이지로 유입되는 랜딩 페이지(150)로 연결하게 되는 구조이다. 즉, 사용자들은 특정 앱이나 웹페이지의 특정 페이지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먼저, 단말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단말기로서, 핸드폰, PMP, 태블릿PC 등 네트워킹이 가능한 전자기기이며, 통상의 스마트폰만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해서 네이티브 광고, PPL 광고(Product in Placement Advertisement), 리워드 앱 등을 포함한 광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광고는 사용자에 의해서 가공되어 SNS나 MIM을 통해서 재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전파되는 광고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브랜드 앱이나 랜딩 페이지와 같은 특정 앱이나 웹페이지의 특정 페이지로 연결된다. 여기서 네이티브 광고란 광고가 콘텐츠 스트림 중간에 위치하여 광고인지 콘텐츠인지 구분하기 힘들도록 만들어진 광고를 말하며,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와 인터넷 미디어를 통해 콘텐츠 광고를 수행한다. PPL 광고란 특정 콘텐츠에 제품 및 소품을 특정 회사의 제품으로 대체함으로서 무의식중에 사용자에게 접근할수록 하는 광고 방법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고 편집수단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100)은 네이티브 광고나 PPL 광고 등의 방법으로 구성된 앱을 활용하여 특정 제품에 대한 광고를 사용자가 거부감이나 이질감을 최소한으로 느끼도록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NS나 MIM으로 전송하거나 공유된 자발적인 콘텐츠는 다시 타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자발적인 광고 콘텐츠로 생성되어, SMS나 MIM을 통해서 공유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처리 과정은 계속하여 반복적으로 생성되어 사용자간에 자발적으로 배포되어 가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앱 스토어나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각각의 회사 및 제품을 광고하는 앱을 다운 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앱은 해당 기업의 제품이나 브랜드가 도시되어 있는 광고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자신의 사진이나 샘플 이미지를 사용하여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에서 스티커를 포함한 콘텐츠를 전송하고 공유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광고효과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각 사용자가 생성한 스티커를 포함한 광고 콘텐츠는 1) MIM을 통해서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되거나 2) SNS를 통해서 다른 사용자와 공유되거나 3) 저장수단에 저장되거나 4) 스스로 또 다른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될 것이다. 상기 전송되거나 공유된 광고 콘텐츠는 새로운 콘텐츠로 재생산되거나 수신한 광고 콘텐츠 그대로 또 다시 다른 사용자에게 재전송되거나 공유되거나 저장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콘텐츠의 전송과 공유는 종래 기술에 의한 광고에서 단지 1) 광고 노출, 2) 광고 클릭, 3) 유입으로 이루어진 과정에 비해서 1) 광고 노출, 2) 재미 및 사용자의 자발적 콘텐츠 생산, 3) 공유/전송, 4) 확산, 5) 유입, 6) 재생산의 과정을 통해서 광고효과를 극대화한다.
이러한 광고 방법은 기존의 CPC, CPM 또는 CPA 기반의 운영자 중심 광고 집행에서 탈피하여, 스티커를 포함한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생산한 광고 콘텐츠의 특성상 2차 광고 콘텐츠(스티커)의 전송(1차 전송 이후 재전송 및 다운로드 등 포함) 및 저장과 다운로드를 위한 프로모션 페이지 재진입 등의 추가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SNS 상에서 프로필 이미지에 반영하여, 타임라인 포스팅이나 대화방 전송 등의 이용자 주도의 추가적인 브랜드 노출이 가능하다. 아울러 광고 콘텐츠의 재전송, 저장, 포스팅 등의 2차 바이럴의 경우 고객의 자발적 브랜드 노출 및 공유라는 긍정적인 파급효과 및 확산 효과가 기대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해당 기업의 네이티브 광고 앱을 다운받아 자발적인 콘텐츠를 생산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거나 특정 객체를 마련한 다음, 인터넷에서 수신한 광고 콘텐츠와 자동으로 합성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먼저 사용자가 수집한 이미지에서 임의의 선택한 부분을 캡처하고, 상기 캡처한 부분에 필터를 적용하여 캐리커쳐화하며, 상기 캐리커쳐화한 부분을 사용자가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에서 삽입할 부분에 대치함으로써,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캐리커처는 인물이나 사건 또는 대상물의 부정적인 면을 강조하거나 일부러 과장시켜 우스꽝스럽게 묘사한 것으로, 희극풍자소설에서 쓰이는 표현방법의 하나이며, 특히 한 인물의 특정적 모습을 재미있게 포착하여 그의 인물성격사상 등을 잘 표현한 그림을 가리킬 때 사용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모습을 카메라로 사진으로 촬영하여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사진에서 얼굴 부분만을 크롭하여 사용자 자신의 감정 상태를 묘사한 이미지로 캐리커쳐화하며, 이렇게 사용자의 감정을 묘사한 캐리커쳐화된 얼굴 부분의 영상을 입력받은 광고 콘텐츠의 특정 캐릭터의 얼굴에 대치하여 합성을 하여, 입력받은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자신이 참여한 새로운 광고 콘텐츠로 재생산하여 배포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은 스마트폰을 포함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앱의 형태로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앱에는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서 사용자의 모습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유무선 인터넷 수단을 통해서 원하는 사용자 이미지나 광고 콘텐츠 및 SNS나 MIM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에 마련된 자발적인 광고 콘텐츠 생성을 위한 수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카메라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다운받은 광고 콘텐츠를 카메라로 촬영한 사용자의 이미지와 편집하여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배포하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제품을 광고하는 네이티브 광고를 터치하여 다운받은 후, 상기 광고를 본 발명에 의한 자발적으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촬영한 본인의 얼굴 중 일 부분을 크롭하여 캐리커처화한 후 상기 다운로드 받은 광고 콘텐츠와 합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하거나 SNS나 MIM을 통해서 전송하거나 공유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 간에 반복적이고 자발적으로 수행되어 광고주의 개입이 없어도 새로운 광고가 연속적으로 사용자 간에 전파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해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에서 사용자 생성 콘텐츠의 생성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이티브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나 리워드 앱을 다운받은 후 해당 광고를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하고, 또한 사용자로부터 관련 이미지(얼굴 등)를 입력받아 눈과 입의 위치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다양한 감정 표현을 가미한 이미지를 얻고, 해당 감정을 표현하는 얼굴 이미지를 여러 개의 광고 템플릿에 합성한다.
사용자는 이렇게 생성된 사용자의 얼굴이 적용된 캐리커쳐 아이템을 선택하여 SNS나 MIM을 통해서 전송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얼굴 등 이미지를 광고 콘텐츠에 삽입하여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은, 스마트폰에서 간단하게 사용자의 얼굴로 개성 넘치는 스티커를 만들 수 있는 것이 기본적인 기능이며, 이는 간단한 클릭 몇 번으로 사용자의 얼굴이 들어간 캐리커처 스티커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사진이나 기 촬영된 앨범의 사진을 선택하여, 눈과 입의 위치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사용자의 얼굴이 들어갈 복수의 아이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얼굴이 적용된 아이템을 생성한 후, 복수개의 아이템 중에서 선택하여 SNS나 MIM을 통해서 전송하여 광고를 배포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생산된 상기 광고 콘텐츠는 보관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먼저, 1) 수정(modify) 과정에서, 사용자의 머리 색깔을 변경하거나, 머리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얼굴 모양도 선택할 수 있으며, 머리와 턱선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2) 저장(storage) 과정에서, 감정 표현에 따른 스티커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며, 상기 보관함에 저장된 스티커는 언제든지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으로 3) 쇼핑과정에서, 톡톡 튀는 아이템이 계속 업데이트되는 샵(shop)을 유료 혹은 무료로 운영할 수 있다.
4) 다운로드 아이템 관리 과정에서는, 샵에서 다운로드 받은 아이템 패키지를 관리하는 과정이다.
또한 5) 프로파일 제작 과정에서, 의상과 배경을 선택하여 나만의 프로파일용 이미지를 제작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광고 콘텐츠는 수정(modify), 저장(storage), 샵(shop) 및 나의 프로파일(my profile) 과정을 통해서 더 재미있게 더 다양한 아이템으로 즐거움을 더 해주는 부가기능을 간단하고 쉽게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에 출력되는 화면을 보고 눈과 입의 위치를 맞추고 사진을 촬영을 실시하면 촬영된 영상이 해당 이모티콘에 삽입된다. 따라서 해당 앱은 상품, 캐릭터, 서비스 등의 요소를 자발적으로 생성한 광고 콘텐츠를 이용하여, 패러디, 실사 적용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모티콘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제작된 이모티콘에는 해당 회사의 브랜드 및 제품이 추가로 삽입됨으로서, 자연스럽게 각 기업이 원하는 소품 또는 제품을 사용자에게 노출시켜 사용자에게 무의식중에 해당 업체의 제품에 대해 호의적인 이미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다운받은 본 발명에 따른 자발적인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구현한 앱을 이용하여 UGC를 생성한 후, 해당 UGC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 제품의 광고 콘텐츠가 저장된 브랜드 앱이나 랜딩 페이지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생산된 광고 콘텐츠의 전송이나 공유와 관련해서는, 통상의 SNS나 MIM을 통해서, 먼저 SNS는 온라인상에서 이용자들이 인맥을 새롭게 쌓거나 기존 인맥과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로서, 미국에서는 트위터, 페이스북 등과 같은 SNS 사이트가 마케팅 활동의 새로운 총아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MIM은 핸드폰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인스턴트 메신저로서 핸드폰 단말기를 통해 쪽지, 파일 자료, 이모티콘 등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로 채팅이나 전화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PC에서 모바일로 넘어가는 현재의 기술 추세에 맞춰 핸드폰 앱을 이용한 메신저인 카카오톡, 마이피플 등의 모바일 메신저 앱이 대표적인 MIM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에서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SNS나 MIM을 통해 타인에게 전송하거나 공유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작한 다양한 UGC를 단말기에 저장한 후, 통상의 모바일 메신저나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SNS상에서는 프로필 이미지 반영, 타임라인 포스팅, 대화방 전송 등의 과정을 수행하고, MIM상에서는 사용자와 타인간의 대화 시 전술한 특정 브랜드가 도시되어 있는 UGC를 전송하여 브랜드 광고를 제 3자에게 노출시키도록 한다.
즉,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모바일 메신저(카카오톡, 라인 등)를 통해 사용자는 다수의 이용자들과 대화 도중 상기 UGC의 아이콘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기업의 제품 및 브랜드가 포함된 이미지를 타인에게 전송하여 사용자 자신의 상기 기업에 대한 호의적이거나 평소의 느낌 등 감정을 표현하여 전송하거나 공유한다. 이렇게 전송한 UGC 아이콘에는 기업의 제품이나 브랜드가 포함되어 대화의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해당 광고를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SNS(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등)를 통해 사용자는 프로필 이미지 반영, 타임라인 포스팅 등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주도로 추가적인 브랜드 노출이 가능하다.
아울러 MIM, SNS를 통해 타인에게 전송이나 공유된 특정 제품의 광고가 포함된 UGC를 사용자 자신이나 타인(제 3자)이 클릭할 경우, 해당 광고와 관련된 앱을 실행할 수 있는 브랜드 앱 다운로드나 실행 화면으로 이동(링크)하거나, 해당 제품의 랜딩 페이지로 링크되어 해당 브랜드나 제품의 광고를 직접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모바일 광고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가 원치 않게 광고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며, 해당 광고를 클릭할 경우 광고의 내용이 유입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거부감을 발생시켰지만, 본 발명의 자발적 광고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UGC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이모티콘을 제작하거나 광고 콘텐츠를 재생산함으로서 사용자나 상기 사용자의 친구(타인)에게 재미를 주고 해당 광고의 자연스러운 공유를 통해 확산 및 재생산됨으로서 타인으로 하여금 해당 브랜드에 노출 시 받는 거부감을 최소화시키며, 광고주로 하여금 추가적인 광고비 집행이나 활동이 불필요하여 비용적인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의 장치 구성을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발적인 광고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 광고 수신부(220), 카메라 인터페이스(230), 사용자 인터페이스(240), 광고 배포부(250), 자발적인 광고 콘텐츠 생성부(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 카메라 인터페이스(230)는 각각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네트워크 및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는 별도로 스마트폰의 앱으로 구성하거나 소프트웨어로 사용자가 광고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것이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UI나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의 요구를 광고 시스템에 전달하고 광고 시스템으로부터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광고 수신부(22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인터넷이 존재하는 각종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렇게 수신한 각종 광고 콘텐츠는 자발적인 광고 콘텐츠 생성부(250)으로 전달된다.
자발적인 광고 콘텐츠 생성부(250)는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이나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카메라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하며, 이를 저장부(300)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마다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획득한 이미지는 메모리에 임시로 자장 하였다가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이미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받아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수신한 광고 콘텐츠와 사용자 이미지를 활용하여, 자발적인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거나 특정 객체를 마련한 다음, 인터넷에서 수신한 광고 콘텐츠와 자동으로 합성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먼저 사용자가 수집한 이미지에서 임의의 선택한 부분을 캡처하고, 상기 캡처한 부분에 필터를 적용하여 캐리커쳐화하며, 상기 캐리커쳐화한 부분을 사용자가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에서 삽입할 부분에 대치함으로써,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모습을 카메라로 사진으로 촬영하여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사진에서 얼굴 부분만을 크롭하여 사용자 자신의 감정 상태를 묘사한 이미지로 캐리커쳐화하며, 이렇게 사용자의 감정을 묘사한 캐리커쳐화된 얼굴 부분의 영상을 입력받은 광고 콘텐츠의 특정 캐릭터의 얼굴에 대치함으로써, 입력받은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자신이 참여한 새로운 광고 콘텐츠로 재생산하여 배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크롭은 사진을 편집할 때 원하는 크기에 맞도록 그 사이즈를 트리밍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자발적인 광고 콘텐츠 생성부(250)는 사용자의 얼굴이나 원하는 이미지 부분을 크롭하여, 캐리커쳐화 함으로써,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캐리커쳐화 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1) 카메라 인터페이스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미지를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의 머리 색깔을 변경하거나 머리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얼굴 모양도 선택할 수 있으며, 머리와 턱선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2) 또한 저장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의 감정 표현에 따른 스티커를 분류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스티커를 추출하여 광고 콘텐츠 생성에 활용한다.
다음으로 3) 쇼핑과정을 통해서, 사용자는 유료 혹은 무료의 아이템을 인출하여 자신의 광고 콘텐츠를 생성한다. 상기 아이템은 유로 혹은 무료가 있으며 계속 업데이트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4) 다운로드 아이템 관리 과정을 통해서, 샵에서 다운로드 받은 아이템 패키지를 관리하는 과정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5) 프로파일 제작 과정을 통해서, 의상과 배경을 선택하여 사용자 자신만의 프로파일용 이미지를 제작하는 것을 지원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발적인 광고 콘텐츠 생성부(250)는 광고 콘텐츠를 수정(modify), 저장(storage), 샵(shop) 및 나의 프로파일(my profile) 과정을 통해서 더 재미있게 더 다양한 아이템으로 즐거움을 더 해주는 부가기능을 간단하고 쉽게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자발적인 광고 콘텐츠는 광고 배포부(260)를 통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SNS나 MIM을 통해 공유되거나 전송된다. 따라서 광고 배포부(26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SNS를 통해서 자발적으로 생산된 광고 콘텐츠를 공유하거나, MIM을 통해서 타인에게 상기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해 준다.
상기 가발적인 광고 콘텐츠의 생산 과정에서 생긴 사용자의 이미지를 포함하여 사용된 광고 콘텐츠도 저장부(300)에 저장되었다가 나중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타인에게 전송되거나 공유된 광고 콘텐츠는 광고 수신부(220)를 통해 입력 광고 콘텐츠로서 수신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신된 광고 콘텐츠는 자발적인 고아고 콘텐츠 생성부(250)에서 재편집되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의 광고 수행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PPL 광고, 네이티브 광고, 네이티브 앱 등의 기존 광고 콘텐츠를 수신, 저장 추출(로딩),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이미지도 수신, 저장, 로딩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한다(S110).
다음으로, 상기 수신, 저장, 로딩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한 광고 콘텐츠는 상기 다운받은 네이티브 광고 앱을 실행하여 UGC 생성화면으로 이동한다(S120).
또한 상기 수신이나 공유한 광고 콘텐츠와 (타)사용자 이미지의 결합을 통한 자발적인 콘텐츠(UGC) 생성을 수행한다(S120). 이렇게 생성된 광고 콘텐츠를 SNS나 MIM을 통해서 타인에게 전송하거나 공유하게 된다(S130).
또한 생성된 UGC의 아이콘(이모티콘)을 클릭(선택)한 경우(S140), 해당 이모티콘의 브랜드 앱에 대한 위치에 대한 경로나 및 해당 광고의 랜딩 페이지로 연결된다(S160). 그러나 생성된 UGC의 아이콘(이모티콘)을 클릭(선택)하지 않은 경우(S140), 사용자가 생성한 광고 콘텐츠(UGC)를 SNS나 MIM을 통해서 타인에게 전송하거나 공유하는 과정을 계속해서 수행하게 된다(S130).
다음으로, 타 사용자가 UGC를 수신하거나 공유하는 경우(S160), 새로운 UGC의 생성여부에 따라(S170), 새로운 UGC를 생성하고자 하면, 상기 수신이나 공유한 광고 콘텐츠와 (타)사용자 이미지의 결합을 통한 자발적인 콘텐츠(UGC) 생성 과정을 수행한다(S120).
만약에 새로운 UGC를 생성하고자 하지 않으면(S170), 새로운 광고 콘텐츠의 생성을 하지 않고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기존에 생성하였던 UGC를 SNS나 MIM을 통해서 전송하거나 공유한다.
이상으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타인에게 제공할 UGC를 설정하여 전송하고 전송된 아이콘(이모티콘)이 광고효과를 제공하는 자발적인 광고 콘텐츠 생성을 통한 광고 시스템의 실행 절차를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서 본 발명은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이나 특징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을 이용하여 기 생성된 콘텐츠를 수정한 자신만의 콘텐츠를 생성한 후, SNS나 MIM 서비스를 통해 타인에게 전송하고, 타인이 다시 콘텐츠를 수정하여 또 다른 타인에게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간에 자발적으로 브랜드 노출과 공유 과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광고 시스템 및 그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광고가 스마트폰의 앱, SNS 또는 MIM을 통해 사용자간에 배포되어지고, 배포 받은 사용자는 다시 자신이 촬영한 사진이나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과 합성하여 생산된 새로운 광고를 재배포함으로써, 사용자가 광고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광고에 직접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감소시키고 광고주의 추가적인 광고 집행이나 활동이 없이도 사용자의 자발적인 바이럴 광고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로모션 페이지의 직접 노출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발적인 브랜드 노출의 효과가 크며, 각 기업이나 광고주가 원하는 제품을 무의식중에 사용자에게 노출시켜 해당 기업이나 광고주의 제품에 대한 특정 이미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을 이용하면, 특정 앱이나 웹페이지의 특정 페이지와의 자동 연결을 통한 기업의 홍보, 제품의 광고, 콘텐츠(영화 등)의 홍보가 가능하며, 유로 콘텐츠의 수익 배분 협약 등 다양한 형태의 제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서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10 : 종래기술에 의한 광고 시스템 11: 광고 및 앱
12, 140: 브랜드 앱 13, 150: 랜딩 페이지
100: 자발적인 콘텐츠 광고 시스템 110: 광고 및 앱
120: 자발적인 콘텐츠 생성기 130: SNS/MIM 공유 인터페이스
200: 자발적인 광고 콘텐츠 시스템 2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20: 광고 수신부 230: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2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50: 자발적인 광고 콘텐츠 생성부
260: 광고 배포부 300: 저장부

Claims (12)

  1.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광고 수신부;
    사용자로부터 광고에 특징을 부여할 수 있는 특정 이미지를 수집하는 이미지 수집부;
    사용자가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에 상기 수집한 이미지를 통합하여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자발적인 콘텐츠 생성부;
    상기 생성한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SNS, MIM, 이메일, MMS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배포하는 광고 배포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콘텐츠 혹은 새로운 광고 콘텐츠가 사용자간에서 자발적으로 생산되고 배포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적인 광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시스템은,
    상기 자발적으로 배포된 광고 콘텐츠가 선택될 경우, 상기 광고 수신부에서 수신된 광고의 특정 앱이나 웹페이지의 특정 페이지에 자동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적인 광고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발적인 콘텐츠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는 자신과 관련한 이미지는 물론이고 타인과 관련한 이미지도 포함되며, 상기 이미지는 광고 콘텐츠에 특징을 부여하여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적인 광고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발적인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수집한 이미지에서 선택한 부분을 캡처하고, 상기 캡처한 부분에 필터를 적용하여 캐리커쳐화하며, 상기 캐리커쳐화한 부분을 사용자가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에서 삽입할 부분에 대치함으로써,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적인 광고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발적인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수집한 이미지에서 하나 혹은 두 개의 부분만 선택하여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의 전체에 자동으로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적인 광고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발적인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수집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델에 적용한 후 그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상기 수집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에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하나의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적인 광고 시스템.
  7.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를 수신, 저장, 로딩 혹은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는 광고 수신 단계;
    상기 수신, 저장, 로딩 혹은 이들의 조합을 수행한 광고 콘텐츠와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상기 광고 콘텐츠에 특징을 부여할 수 있는 특정 이미지를 결합하여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자발적으로 광고 콘텐츠를 생산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SNS, MIM, 이메일, 메신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거나 공유하여 광고 콘텐츠를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콘텐츠 혹은 새로운 광고 콘텐츠가 사용자간에서 자발적으로 생산되고 배포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적인 광고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광고 콘텐츠에 대한 아이콘이 선택되면, 특정 앱이나 웹페이지의 특정 페이지에 연결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적인 광고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타 사용자에 의해서 전송되어온 광고 콘텐츠에 대해서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상기 광고 콘텐츠에 특징을 부여할 수 있는 특정 이미지를 결합하여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여 배포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계속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는 자발적인 광고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자발적으로 광고 콘텐츠를 생산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는 자신과 관련한 이미지는 물론이고 타인과 관련한 이미지도 포함되며, 상기 이미지는 광고 콘텐츠에 특징을 부여하여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적인 광고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자발적으로 광고 콘텐츠를 생산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한 이미지에서 선택한 부분을 캡처하고, 상기 캡처한 부분에 필터를 적용하여 캐리커쳐화하며, 상기 캐리커쳐화한 부분을 사용자가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에서 삽입할 부분에 대치함으로써,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상기 수집한 이미지에서 하나 혹은 두 개의 부분만 선택하여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의 전체에 자동으로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적인 광고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자발적으로 광고 콘텐츠를 생산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델에 적용한 후 그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상기 수집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에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하나의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적인 광고 방법.
KR1020140094971A 2014-07-25 2014-07-25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3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71A KR20160013536A (ko) 2014-07-25 2014-07-25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71A KR20160013536A (ko) 2014-07-25 2014-07-25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536A true KR20160013536A (ko) 2016-02-05

Family

ID=5535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971A KR20160013536A (ko) 2014-07-25 2014-07-25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353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807B1 (ko) * 2016-02-16 2017-02-02 주식회사 윈드밀소프트 사용자 얼굴 합성을 통한 광고 시스템
WO2018117303A1 (ko) * 2016-12-22 2018-06-28 주식회사 큐버 비디오 클립간 중간영상 ppl 편집 플랫폼 제공 방법
KR20180098098A (ko) * 2017-02-24 2018-09-03 권오민 이미지광고 온라인 제공 방법
WO2019039682A1 (ko) * 2017-08-25 2019-02-28 주식회사 지니웍스 광고 이벤트 저작 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171291B1 (ko) * 2020-03-03 2020-10-28 최영락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서 표계산 서비스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807B1 (ko) * 2016-02-16 2017-02-02 주식회사 윈드밀소프트 사용자 얼굴 합성을 통한 광고 시스템
WO2018117303A1 (ko) * 2016-12-22 2018-06-28 주식회사 큐버 비디오 클립간 중간영상 ppl 편집 플랫폼 제공 방법
KR20180098098A (ko) * 2017-02-24 2018-09-03 권오민 이미지광고 온라인 제공 방법
WO2019039682A1 (ko) * 2017-08-25 2019-02-28 주식회사 지니웍스 광고 이벤트 저작 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171291B1 (ko) * 2020-03-03 2020-10-28 최영락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서 표계산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072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s with animation, game dynamics, and integrated brand advertising
KR101985283B1 (ko) 동적 홍보 배치 관리와 배포 규칙
JP6377608B2 (ja) ピア支援型ショッピング
CN105592150B (zh) 获取推送数据的方法、装置和系统
KR102588394B1 (ko) Reward 메신저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20851A1 (en) Method for sharing emotions through the creation of three-dimensional avatars and their interaction through a cloud-based platform
US20230318997A1 (en) Voice and video calling and recording within messaging session in message interface
KR20160067839A (ko) 동료 보조 전자 상거래 쇼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13536A (ko)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 및 확산을 통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03883B1 (ko) 이모티콘을 활용한 디지털콘텐츠 제작 전송 및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
JP2017514254A (ja) 閲覧者関与ツールを用いたソーシャルメディアプロフィールの収益化
JP2012502390A (ja) ウィジェットによる広告および商取引の同時配信
KR101185910B1 (ko) 스마트폰에서의 광고 수신에 따른 포인트 제공방법
KR20180089171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캠페인 중계 플랫폼 제공방법
Nummila Successful social media marketing on Instagram. Case@ minoshoes
US20190228433A1 (en) User Generated Mobile Advertisements Creation, Reaction and Distribution Method
US20180197206A1 (en) Real-time Mobile Multi-Media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marketing, Communication and Engagement
KR101302344B1 (ko) 에스엔에스 기반 광고 제공 방법, 서버, 단말, 및 기록 매체
KR20100111930A (ko) 패턴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ucc서비스 시스템
JP2013544405A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サービスの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197033A (zh) 电子商务中设置折扣的方法
KR101749966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온라인기부 관리 및 홍보시스템
Kärle et al. Multi-platform mobile service creation: increasing brand touch-points for hotels
KR102493912B1 (ko) 인플루언서 미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15068365A1 (ja) ユーザ参加型電子広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