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330A - Fermentation Equipment For Organic Waste - Google Patents

Fermentation Equipment For Organic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330A
KR20160013330A KR1020140094087A KR20140094087A KR20160013330A KR 20160013330 A KR20160013330 A KR 20160013330A KR 1020140094087 A KR1020140094087 A KR 1020140094087A KR 20140094087 A KR20140094087 A KR 20140094087A KR 20160013330 A KR20160013330 A KR 20160013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ermenter
rail
transfer line
ferment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37222B1 (en
Inventor
유진상
Original Assignee
유진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상 filed Critical 유진상
Priority to KR102014009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222B1/en
Publication of KR20160013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3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2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ectangular aerobic fermentation equipment used when producing compost by fermenting organic waste such as livestock manure or food waste. The composition comprises: a fermenter (1) having a rectangular area with a predetermined depth and having the upper part opened; a movement rail (3) installed along the longer edge direction of the fermenter (1); a main movement stand (7) installed to be moved along the movement rail (3) by being mounted on the movement rail (3); a pair of stirrers (9, 11) scooping an object (P) on the front and delivering to the rear side, while being moved along the main movement stand (7), and mount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movement stand (7); and an object supply part (29) putting the object (p) to one side of the fermenter (1).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rpose of providing the rectangular aerobic fermentation equipment increasing productivity by enabling continuous work for automation.

Description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Fermentation Equipment For Organic Waste}[0001] Fermentation Equipment For Organic Waste [0002]

본 발명은 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유기성폐기물을 발효시켜 퇴비 등을 생산해낼 때 사용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rment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ermentation apparatus for organic matter to be used for producing compost and the like by fermenting organic wastes such as food wastes.

본 발명은 축분 또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유기성소재를 이용하여 퇴비 또는 사료 등을 재생산하기 위한 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발효장치에 설치되는 교반장치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설치되는 피처리물 공급장치에 대한 개선을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rmentation apparatus for regenerating compost, feed or the like by using an organic material such as animal fats or food wastes.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proposes an improvement to the object to be treated which is provided around the stirring device installed in the fermentation device.

종래의 발효장치에서 피처리물을 교반하는 교반장치는 발효조를 따라 이동하는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고 있는데(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76282호 참조), 종래에는 이 에스컬레이터가 한 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발효조에 공급되는 유기성소재는 로다 작업 또는 스크류 컨베이어식에 의해 발효조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 투입 다음 배출하게 된다. In the conventional fermentation apparatus, the stirring device for stirr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uses an escalator moving along the fermentation tank (refer to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76282). In the past, a configuration in which this escalator is installed . Further, the organic material supplied to the fermentation tank is f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fermentation tank by a ladder operation or a screw conveyor type, and then discharged.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발효장치는 연속적 작업을 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자동화라인을 구축할 수 없다. 왜냐하면 발효조의 일측에 공급되어 쌓여있는 유기성소재를 후방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새로 받을 수 있는 빈 공간을 마련하는 동안에는 유기성소재의 공급을 멈추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fermentation apparatus has a structure in which continuous operation can not be performed. In other words, you can not build an automated line.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stop the supply of the organic material while providing the empty space by transferring the organic material supplied to the one 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to the rear side.

이와 같이 작업인 단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Since the work must be performed intermittently 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efficiency is lowered.

한편 유기성소재를 공급하기 위한 종래의 소재공급부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이용한 방식을 널리 사용하는데 이는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소재의 공급속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material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organic material widely uses a method using a screw conveyor, which increases the installation cost and lowers the supply speed of the material.

한편, 모래, 곡물 등 입자상의 물질을 관체를 이용하여 압송하여 공급하는 산업상 설비에 있어서 입자의 충격력에 의해 이송라인이 손상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종래의 이송라인은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관체로 되어 있으며, 변곡부분도 동일한 단면 형태를 가진 연결관(엘보우 형태의 관체)이 사용된다. 이 연결관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이 부분만을 분리하여 교체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이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이 너무 컸다. 연결관의 가격도 적지 않은데다가 교체작업이 쉽지 않은 것이 그 이유이다.
On the other hand, in an industrial facility in which particulate matter such as sand, grains, etc. is fed by pressure using a tubular body, the conveying line is often damaged by the impact force of the particles. A conventional transfer line is a tubular body having a circular section, and a connecting tube (tubular body of an elbow type) having the same sectional shape at the bent portions is used. If this connector is damaged, it is necessary to separate and replace this part, which is too expensive. The reason is that the price of the connector is not too low and the replacement work is not easy.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0005588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0-0005588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76282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76282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축분 또는 음식물쓰레기로 된 유기성소재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자동화를 위한 연속적 작업이 가능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방형 호기성 발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재공급장치의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소재의 연속적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며, 구성부품의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유지관리에 소되는 제반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stirring device used in a process of fermenting an organic material made of a shaft or food waste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stirring device for continuous operation for autom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tangular aerobic fermentation devic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supply device so as to enable the continuous supply of the material, and to improve the wear resistance of the component parts,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cost required for mainten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자상 물질을 공기압으로써 압송하는 이송라인에 있어서 변곡 부분에 발생되는 손상에 대하여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and economically cope with damages occurring in an inflection portion in a transfer line that pressurizes and transports particulate matter by air pressure.

위와 같은 목적은, 축분 또는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을 교반하면서 발효시키기 위한 발효장치에 있어서;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a fermentation apparatus for fermenting an organic material to be treated including a raw material of a shaft or food waste while agitating the same;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의 넓이를 가지는 발효조; 상기 발효조의 장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이동대; 상기 주이동대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방에 있는 피처리물을 퍼서 후방으로 넘기는 것으로서, 상기 주이동대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교반기; 상기 피처리물을 상기 발효조의 일측에 투여하기 위한 피처리물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A fermenter having a rectangular width with an open upper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 moving rail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ermenter; A main moving table mounted on the movable rail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movable rail; A pair of agitators which are dispos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moving table, respectively, while moving along the main moving table and pouring back the objects to be processed forward; And a to-be-treated water supply unit for applying the to-be-treated to one 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교반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agitators may be independently driven.

상기 교반기는 에스컬레이터식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The stirrer may be of an escalator typ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대 상면에는 상기 이동레일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횡방향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횡방향레일에는 보조이동대가 안착되어 횡방향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verse rail is installed on the moving bas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rail; An auxiliary mover is seated in the lateral rail and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ateral rail;

상기 교반기는 상기 보조이동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발효조의 단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The stirrer may be installed on the auxiliary moving table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one direction of the ferment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교반기는;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gitator further includes:

상기 주이동대 상부에 안착되며 바퀴를 통해 상기 이동레일과 연결되는 차대;An undercarriage mounted on the main moving frame and connected to the moving rail through a wheel;

일단이 상기 차대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발효조의 바닥을 향해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A pair of conveyor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ndercarriag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bottom of the fermenter;

상기 컨베이어의 타단을 들어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상기 컨베이어의 타단이 상기 발효조의 바닥에 인접하거나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컨베이어 리프팅수단;Conveyor lifting means for lifting or lowering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is adjacent to or spaced from the bottom of the fermenter;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피처리물공급부는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피처리물 저장조; 일단은 상기 피처리물 저장조에 연결되고 타단은 발효조 상측에 연장되는 이송라인; 상기 이송라인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저장조에 담긴 피처리물을 압송하는 로타리펌프; 상기 이송라인으로 공급되는 피처리물을 상기 발효조의 내부의 몇 곳에 분산 공급하기 위한 분배조정수단; 을 포함하되;A treated water storage tank; A transfer lin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bject water storage tank and the other end extending on the upper 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A rotary pump installed on the transfer line for feed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contained in the reservoir; Dispensing adjusting means for dispersing and supply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supplied to the transfer line in several places inside the fermenter; ≪ / RTI >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발효조의 일단 상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관; 상기 횡관을 따라 이격간격을 두고 상기 발효조의 개구부를 향해 분기 연장되는 복수 개의 토출관; 상기 토출관이 설치된 지점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횡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횡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밸브기구; 상기 토출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관마다 설치되는 복수의 제2밸브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transfer line is a transverse pipe disposed laterally on one side of the one end of the fermentation tank; A plurality of discharge tubes extending diagonally toward the openings of the fermentation tank at spaced intervals along the transverse tube; A plurality of first valve mechanisms installed on the transverse pipe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transverse pipe in a state of being located behind the point where the discharge pipe is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second valve mechanisms provided for each discharge pip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송라인은 단면이 사각형인 제1각관; 상기 제1각관에 45 ~ 135˚의 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단면이 사각형인 제2각관; 상기 제1,2각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연결관체를 포함하되;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line may include: a first rectangular pi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 second square pipe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square pipe at an angle of 45 to 135 degrees; And a connection pipe install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pes;

상기 연결관체는 상기 제1각관과 관이음되는 제1연결관과 상기 제2각관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의 변곡지점의 등부위는 관로에 대하여 30 ~60˚의 경사도로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호커버가 상기 제1각관의 관로에 대하여 30 ~60˚의 경사를 갖도록 상기 플랜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구부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connection tube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ipe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pipe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at a right angle, The back part of the inflection point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is opened at an inclination of 30 to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ipeline; A flange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And the opening is closed by being coupled to the flange so that the protective cover has an inclination of 30 to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hannel of the first square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래, 곡물 기타 입자상 물질을 이송시키기 위한 입자상 물질의 이송장치에 있어서, 관로를 제공하는 이송라인은;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ter for transferring sand, grain or other particulate matter, wherein the transfer line for providing the pipeline comprises:

단면이 사각형인 제1각관; 상기 제1각관에 45 ~ 135˚의 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단면이 사각형인 제2각관; 상기 제1,2각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연결관체를 포함하되; A first rectangular pipe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A second square pipe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square pipe at an angle of 45 to 135 degrees; And a connection pipe install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pes;

상기 연결관체는 상기 제1각관과 관이음되는 제1연결관과 상기 제2각관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의 변곡지점의 등부위는 관로에 대하여 30 ~60˚의 경사도로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호커버가 상기 제1각관의 관로에 대하여 30 ~60˚의 경사를 갖도록 상기 플랜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구부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의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Wherein the connection tube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ipe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pipe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at a right angle, The back part of the inflection point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is opened at an inclination of 30 to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ipeline; A flange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Wherein the opening is closed by being coupled to the flange such that the protective cover has an inclination of 30 to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hannel of the first square pipe.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발효조 위를 기동하는 이동대 상에 2대의 교반기가 좌우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교반능력이 배가되게 되고, 따라서 발효조 내부에 피처리물을 쏟아 부울 수 있는 공간에 여우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피처리물 공급부는 발효조 내부에 피처리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결국 연속공정이 이루어지는 자동화설비가 갖추어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two agitators are arranged on the moving table on the moving table on the fermentation tank, the stirring ability is doubled, and thus the fox is formed in the space in which the object to be poured can be poured into the fermenter . Thus, the to-be-treated water supply unit is capable of continuously supply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into the fermentation tank, so that an automatic facility in which a continuous process can be performed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발효조 내부에 여러 곳에 피처리물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밸브장치를 조작함으로써 간편하게 원하는 곳으로 피처리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to be treated is provided at various places in the fermenter, so that the object to be processed can be easily supplied to a desired place by operating the valve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강한 압력으로 이송되는 피이송물에 의해 이송라인의 곡관부위에 타격이 가해져 해당 부위가 손상되어도, 해당부위된 보호커만을 교체함으로써 용이하면서도 경제적으로 파손부위를 복구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blow is applied to a curved portion of a conveying line by a conveyed object conveyed with a strong pressure to thereby damage the correspond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conomically It can be resto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효장치의 정면 구성도이며, 도 2는 측면 구성도이며, 도 3은 교반기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효장치의 피처리물 공급부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효장치의 피처리물 공급부의 이송라인의 변곡부분에 설치되는 연결관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FIG. 1 is a front view of a ferm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and FIG. 3 is a side view of an agitator.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object to be treated of the fermen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tube installed at a bent portion of a transfer line of a to-be-processed water supply portion of a fermen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발효장치는 축분 또는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을 교반하면서 발효시킴으로써 퇴비나 사료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피처리물(P)에는 각종의 부자재가 혼입될 수 있는데, 이는 공지사항이므로 여기서는 단지 피처리물(P)이라 칭하기로 한다. The ferment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roducing a compost or a feed by fermenting an organic subject matter containing a fodder or food waste while stirring. Various kinds of subsidiary materials may be mixed into the to-be-processed product P, which will be referred to as a to-be-processed product P here because it is a known matter.

발효가 이루어지게 되는 발효조(1)는 일정한 깊이를 가지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장방형으로 된 사각 통체이다. 발효조(1)는 통상 시멘트벽돌로 축조 형성되며, 폭은 6 ~10m, 길이는 수십미터에 달한다. 피처리물(P)은 발효조(1)의 일측에 투입되며 수십일 간 타측까지 천천히 이송되면서 발효가 완결된다. 발효조(1)의 깊이는 1 ~2m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는 아니한다. The fermentation tank 1 to be fermented is a rectangular rectangular tub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an open top. The fermentation tank 1 is usually formed of cement bricks and has a width of 6 to 10 m and a length of several tens of meters. The to-be-processed product P is introduced into one 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 and is slowly transferred to the other side for several days to complete fermentation. The depth of the fermentation tank 1 may be 1 to 2 m. However, these numerical values are only examples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레일(3)이 발효조(1)의 장방향(W1)을 따라 설치된다. 이동레일(3)은 측벽(5) 위에 안착 설치될 수 있다. 주이동대(7)는 이동레일(3) 위에 안착됨으로써 이동레일(3)을 따라 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movable rail 3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1 of the fermentation tank 1. [ The movable rail 3 can be seated on the side wall 5. The main moving table 7 is installed on the movable rail 3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movable rail 3. [

한 쌍의 교반기(9,11)가 주이동대(7)의 상부에 나란히 안착 설치된다. 교반기(9,11)는 주이동대(7)와 함께 화살표(A1)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발효조(1)를 이동하면서 전방에 있는 피처리물(P)을 퍼서 후방으로 넘기는 작용을 한다. 교반기(9,11)는 발효조 위에서 장방향(W1)을 따라 왕복운동을 하게 되어 있다. A pair of stirrers (9, 11) is seated side by side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moving table (7). The stirrers 9 and 11 work to move the fermentation tank 1 along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A1 together with the main moving table 7 and to pour the material to be pushed forward and move it backward. The stirrers 9 and 11 reciproc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1 on the fermentation tank.

교반기(9,11)는 에스컬레이터식으로서, 공지된 사항이므로 그 구성에 대하여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Since the stirrers 9 and 11 are of the escalator type and are known matters, the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briefly described.

교반기(9,11)는 주이동대(7) 상부에 안착되며, 바퀴(13)를 통해 이동레일(3)과 연결되는 차대(15)와, 일단이 주이동대(7) 상의 차대(15)에 연결되며, 타단이 발효조(1)의 바닥을 향해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컨베이어(17,17')와, 컨베이어(17,17')의 타단을 들어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컨베이어(17,17')의 타단이 발효조(1)의 바닥에 인접하거나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컨베이어 리프팅수단을 포함한다. 컨베이어 리프팅수단은 유압실린더(19,19')가 될 수 있다. 컨베이어(17,17')는 이송면(21)을 제공하는 리프터(22)와 리프터의 양측에 설치된 스프로킷(24)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이송면(21)을 따라 기동하는 체인(26) 및 다수의 버킷(23)을 포함한다. 버킷(23)이 발효조(1)에 쌓인 피처리물(P)을 경사진 이송면(21)을 따라 퍼올려 후방으로 보내게 된다(도 2 참조). The agitators 9 and 11 are mounted on the main moving table 7 and include a chassis 15 connected to the moving rail 3 through a wheel 13 and a chassis 15 And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17 or 17 'is lifted or lowered by the conveyor 17 or 17', and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17 or 17 ' ')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tank (1) or spaced therefrom. The conveyor lifting means can be hydraulic cylinders 19, 19 '. The conveyors 17 and 17 'are provided with a chain 26 that runs along the feed surface 21 in an endless track manner by a lifter 22 that provides a feed surface 21 and sprockets 24 that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fter, And a bucket (23). The bucket 23 feeds the object P piled up in the fermentation tank 1 along the inclined transport surface 21 and sends it backward (see FIG. 2).

교반기(9,11)가 화살표(A2)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상복귀될 때는 컨베이어(17,17')는 피처리물(P)에 닿지 않도록 들려져 있게 된다(도 2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 참조).
When the agitators 9 and 11 ar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2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the conveyors 17 and 17 'are held so as not to touch the article P (see the one-dot chain line in FIG. 2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교반기(9,11)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동시에 구동시킬 수도 있고 어느 하나만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각 교반기(9,11)를 발효조(1)의 단방향(W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agitators 9 and 11 can b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at is, it may be driven at the same time or only one of them may be driven. Further, each of the agitators 9 and 11 may be movable along the unidirectional W2 of the fermenter 1.

이를 위해 주이동대(7)의 상면에는 이동레일(3)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횡방향레일(25)이 설치되고, 횡방향레일(25)에는 보조이동대(27)가 안착되어 횡방향레일(25)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교반기(9,11)는 보조이동대(27)에 설치됨으로써 발효조(1)의 단방향(W2)을 따라, 즉 좌우방향으로 함께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교반기(9,11)는 좌우로 움직이면서 피처리물(P)이 발효조(1) 내부 어디에 공급되더라도 이를 발효조(1)의 타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a transverse rail 2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moving table 7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able rail 3, an auxiliary moving table 27 is seated on the transverse rail 25, And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ail 25. Further, the agitators 9 and 11 may be provided on the auxiliary moving table 27 to be movable along the unidirection W2 of the fermenter 1, that is,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refore, the agitators 9 and 11 move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y can be transferred to the other 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 even if the object P is supplied anywhere in the fermentation tank 1.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교반기(9,11)는 발효조(1)의 일측에 공급된 피처리물을 컨베이어(17,17')를 이용하여 퍼서 후방으로 넘기면서 발효조(1)의 타측을 향해 조금씩 이동된다. 그리고 교반기(9,11) 2대의 컨베이어(17,17')가 동시에 기동하므로 피처리물(P)을 이송시킴으로써 비어 있게 되는 공간의 면적을 2배로 늘일 수 있게 된다. 피처리물 공급부(29)는 교반기(9,11)가 발효조(1)의 타측까지 왕복하는 시간 동안 넓어진 공간(K, 도 3 참조)에 연속적으로 피처리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피처리물 공급부(29)를 멈추지 않고 계속 가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ith the above arrangement, the stirrers 9 and 11 pierce the object to be processed, which is supplied to one side of the fermenter 1, with the conveyors 17 and 17 ' . Since the two conveyors 17 and 17 'of the agitators 9 and 11 start simultaneously, the area of the empty space can be doubled by transporting the article P to be processed. The object to be treated 29 can continuously supply the object to be processed to the expanded space K (see FIG. 3) during the time when the stirrer 9 or 11 reciprocates to the other side of the fermenter 1. That is, the object to be processed 29 can be continuously operated without stopping.

발효조(1)의 타측에는 이송되어 온 피처리물(P)을 후속공정으로 보내기 위한 배출수단이 마련된다. 통상의 배출수단은 발효조의 바닥에 마련되는 배출공(31)이 될 수 있다. 피처리물(P)은 배출공(31)으로 낙하되어 발효조(1)를 빠져나가게 된다. 이하에서는 피처리물 공급부(29)에 대해 설명한다. A discharging means for sending the object P transferred to the subsequent step to the other 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 is provided. The conventional discharge means may be the discharge hole 31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tank. The object P falls into the discharge hole 31 and exits the fermenter 1. [ Hereinafter, the object to be processed 29 will be described.

피처리물공급부(29)는 피처리물(P)을 발효조(1)의 일측에 투여하기 위한 일련의 장치이다.
The object to be treated 29 is a series of devices for administering the object P to one 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

이하, 도 4를 주로 참조하여 피처리물공급부(29)를 설명한다. 피처리물공급부(29)는 피처리물(P)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33)와 여기에 저장된 피처리물(P)을 발효조에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클론 원리로써 피처리물을 공급하는데, 이를 위해 외기와 차단된 이송라인(35)이 필요하게 된다. 이송라인(35)은 일단은 저장조(33)에 연결되고 타단은 발효조(1) 상측까지 연장된다. Hereinafter, the object to be processed 29 is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object to be treated 29 includes a storage tank 33 for storing the object P and a supply device for supplying the object P to be stored therein to the ferment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to be treated is supplied by the cyclone principle, and the transfer line (35) blocked with the outside air is required for this purpose. The transfer line 35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reservoir 33 and at the other end to the upper side of the fermenter 1.

로타리펌프(37)는 이송라인(35) 상에 설치되어 저장조(33)에 담긴 피처리물(P)을 압송한다. 이송라인(35)은 하나의 직관으로 구성될 수 없으며 불가피하게 절곡된 부분(B)을 포함한다. 분배조정수단은 이송라인(35)으로 공급되는 피처리물(P)을 발효조(1)의 내부 몇 곳에 분산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The rotary pump 37 is installed on the transfer line 35 and press-feeds the object P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33. The transfer line 35 can not consist of one straight line and inevitably includes a bent portion B. The distribution adjustment means is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the object P supplied to the transfer line 35 to several places inside the fermentation tank 1.

이송라인(35)은 발효조(1)의 일단 상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관(39)과 횡관(39)을 따라 이격간격을 두고 발효조(1)의 개구부를 향해 분기 연장되는 복수 개의 토출관(41)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저장조(33)와 횡관(39)을 연결하는 수직관(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fer line 35 has a horizontal pipe 39 provided transversely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ermentation tank 1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34 extending diagonally toward the opening of the fermentation tank 1 41 and may include a vertical tube 43 connecting the storage tank 33 and the lateral tube 39.

복수개의 제1밸브기구(45)가 횡관에 설치된다. 제1밸브기구(45)는 토출관(41)이 설치된 지점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횡관(39)의 관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토출관(41)의 관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토출관(41)마다 제2밸브기구(47)가 설치된다. A plurality of first valve mechanisms (45) are provided in the transverse pipe. The first valve mechanism 45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channel of the lateral pipe 39 in a state where it is located behind the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pipe 41 is installed. In addition, a second valve mechanism (47) is provided for each discharge pipe (41) so as to open and close the pipe of the discharge pipe (41).

제1,2 밸브기구(45,47)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실린더(49)와 밸브실린더(49)에 연결되어 기동하면서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판(51)을 포함한다. 밸브판(51)은 게이트 밸브와 같이 관로를 가로질러 기동하게 되며, 밸브판(51)이 기동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해 밸브판 가이드(미도시됨)가 횡관(39)과 토출관(41)에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valve mechanisms 45 and 47 include a valve cylinder 49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or air pressure and a valve plate 51 connected to the valve cylinder 49 to open and close the conduit while being operated. The valve plate 51 is actuated across the conduit like a gate valve and a valve plate guid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lateral pipe 39 and the discharge pipe 41 to guide the start of the valve plate 51 .

특히 제1밸브기구(45)는 관로에 대하여 45˚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는 피처리물(P)이 횡관(39)으로 유입된 제1밸브기구(45)의 밸브판(51)에 부딪힌 다음 방향을 바꿔 토출관(41)으로 빠져나가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기구(45)의 제1-1밸브판(45-1)이 개방되고 제2밸브기구(47)의 제2-1밸브판(47-2)이 닫히게 되면, 피처리물(P)은 제1밸브기구(45)의 제1-2밸브판(45-2)에 부딪혀 방향이 전환된다. 도시된 것처럼 제2밸브기구(47)의 2-2밸브판(47-2)이 개방되어 있다면, 피처리물(P)은 제2토출관(41)을 통해서 하방으로 분출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떤 토출관(41)을 통해 피처리물(P)이 토출되도록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first valve mechanism 45 is install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hannel. This is to make it easier for the to-be-processed object P to strike against the valve plate 51 of the first valve mechanism 45 flowing into the lateral pipe 39 and then to change direction to escape to the discharge pipe 41. As shown, when the 1-1 valve plate 45-1 of the first valve mechanism 45 is opened and the 2-1 valve plate 47-2 of the second valve mechanism 47 is closed, The object P is struck by the first-second valve plate 45-2 of the first valve mechanism 45 and the direction is switched. When the 2-2 valve plate 47-2 of the second valve mechanism 47 is open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object P is sprayed downwar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ipe 41. [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rough which discharge pipe (s) 41 the object P to be discharged is to be discharged.

교반기(9,11)와 제1,2 밸브기구(45,47)는 자동화를 위하여 서로 연동하여 기동되도록 할 수 있다. 피처리물(P)은 반드시 한 토출관을 통해서만 배출되지 않고 복수 개의 토출관(41)을 통해서 동시에 분출될 수도 있다. The agitators 9 and 11 and the first and second valve mechanisms 45 and 47 may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for automation. The object P to be processed may be eject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tubes 41 without necessarily being discharged through only one discharge tub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토출관(41)의 하단에는 발효조(1)를 향한 방향으로 개구된 팽창관(53)이 연결된다. 팽창관(53)은 타공망체로 형성되며, 토출관(41) 말단의 압력을 저하시켜 피처리물(P)이 강하게 분출되지 않고 저속으로, 즉 정숙하게 발효조(1) 내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ansion tube 53 open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ermentation tank 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tube 41. The expansion pipe 53 is formed of a perforated pipe so as to lower the pressure at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41 so that the to-be-processed product P can be dropped at a low speed, that is, quietly into the fermentation tank 1 without being strongly je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이송라인(35)에 대한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the transfer line 35. 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made mainly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라인(35)은 단면이 사각형인 제1각관(35a)과; 제1각관(35a)에 45 ~ 135˚의 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단면이 사각형인 제2각관(35b)과, 제1,2각관(35a,35b)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연결관체(55)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fer line 35 includes: a first rectangular pipe 35a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 second tubular section 35b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tubular section 35a at an angle of 45 to 135 ° and a tubular body section 55 provided at a connecting s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ubular sections 35a and 35b, .

본 실시예는 피처리물(P)에 의해 이송라인의 절곡 부분(B, 도 3 참조)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피처리물(P)은 비록 굳기가 약할지라도 연속적으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을 받는 부분은 마모 또는 손상되기 마련이다. 본 실시예는 충격이 크게 가해지는 절곡 부분(B)에 보호커버(57)를 설치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for coping with the impact applied to the bent portion B (see Fig. 3) of the transfer line by the object P to be processed. Even if the object P is weak in hardness, the impacted portion is worn or damaged when a continuous impact is applied. In this embodiment, the protective cover 57 is provided on the bent portion B where a large impact is applied.

보호커버(57)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송라인(35)은 언급한 것처럼 단면이 사각형으로 된 관체로 구성한다. 그리고 절곡 부분(B)에는 관로에 대하여 45 ~ 135˚의 각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로 플랜지(59)를 부착하고, 이 플랜지(59)를 통해 보호커버(57)가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the protective cover 57, the transfer line 35 is formed of a tubular body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s mentioned above. The flange 59 is attached to the bent portion B at an angle of 45 to 1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hannel and more preferably at an angle of 45 degrees so that the protective cover 57 is installed through the flange 59 have.

한편 제1각관(35a)과 제2각관(35b)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플랜지(59)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이들 사이에 미리 만들어진 연결관체(55)를 개입시킴으로써 시공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flange 59 may be install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first and second pipes 35a and 35b, but the construction may be made more convenient by interposing the connection pipe body 55 formed beforehand between the flanges 59.

연결관체(55)는 제1각관(35a)과 관이음되는 제1연결관(61)과 제2각관(35b)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관(63)을 포함한다. 이들의 각 연결부위는 도시된 것처럼 플랜지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플랜지에 의한 연결방식 이외에 용접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connection pipe body 55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ipe 61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63 which ar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35a and the second pipe 35b at right angles. Each of these connecting portions can be provided with flanges as shown. However,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welding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connection method by the flange.

그리고 제1연결관(61)과 제2연결관(63)의 변곡지점의 등(back)부위는 관로에 대하여 30 ~ 60˚의 경사도(b)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59)가 설치되어 있다. 가장자리에 볼트끼움공(65)이 마련되어 있는 보호커버(57)가 제1각관(35a)의 관로에 대하여 30 ~60˚의 경사를 갖도록 플랜지(59)에 결합된다. The back portion of the inflection point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61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63 is opened at an inclination (b) of 30 to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ipeline. A flange 59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A protective cover 57 provided with a bolt fitting hole 65 at the edge is coupled to the flange 59 so as to have an inclination of 30 to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hannel of the first angle pipe 35a.

보호커버(57)는 수명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교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떠한 소재인지의 여부에 따라 교체 주기가 결정될 것이다. 보호커버(57)는 단순한 형태의 평판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지 않고 교체작업도 매우 용이하다. Since the protective cover 57 has a life span, it should be replaced periodically. The replacement period will be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the material is any. Since the protective cover 57 is made of a flat plate material in a simple form, it is not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the replacement work is very easy.

보호커버(57)를 가지는 이송라인의 구조(즉, 각관을 사용하며 변곡부분의 등 부위에 보호커버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구조)는 본 발명의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이외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래, 목분, 곡물 등을 이송시키기 위한 각종의 입자상 물질 이송장치의 이송라인에 적용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transfer line having the protective cover 57 (that is, the structure in which the protective cover is inclinedly provided on the back portion of the bent portion using each tube)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fermentation apparatus of the organic object to be processe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ransfer line of various particulate matter transfer devices for transferring, for example, sand, wood powder, grain and the like.

경우에 따라 보호커버(57)는 플랜지와 접합하는 가장자리는 평편한 판재로 되어 있으되, 피이송물과 부딪히게 되는 중간 부분은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하여 반구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In some cases, the edge of the protective cover 57 which is joined to the flange is made of a flat plate material, and an intermediate portion which is to be collided with the conveyed object may be hemispherical in order to attenuate the impact.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The configuration shown and described above is merely a preferred embodiment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발효조 3 : 이동레일
5 : 측벽 7 : 주이동대
9 ,11 : 교반기 15 : 차대
17,17' : 컨베이어 19,19' : 유압실린더
21 : 이송면 23 : 버킷
25 : 횡방향레일 27 : 보조이동대
29 : 피처리물공급부 31 : 배출공
33 : 저장조 35 : 이송라인
35a, 35b : 제1,2각관 37 : 로타리펌프
39 : 횡관 41 : 토출관
43 : 수직관 45,47 : 제1,2밸브기구
49 : 밸브실린더 51 : 밸브판
53 : 팽창관 55 : 연결관체
57 : 보호커버 59 : 플랜지
61,63 : 제1,2연결관 65 : 볼트끼움공
P : 피처리물
1: fermentation tank 3: moving rail
5: side wall 7:
9, 11: Stirrer 15: Chassis
17, 17 ': Conveyor 19, 19': Hydraulic cylinder
21: Feed surface 23: Bucket
25: transverse rail 27:
29: material to be treated 31: discharge hole
33: storage tank 35: transfer line
35a, 35b: first and second pipes 37: rotary pump
39: lateral pipe 41: discharge pipe
43: vertical tube 45, 47: first and second valve mechanism
49: valve cylinder 51: valve plate
53: expansion pipe 55: connection pipe
57: protective cover 59: flange
61, 63: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65: bolt-
P: the object to be processed

Claims (6)

축분 또는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을 교반하면서 발효시키기 위한 발효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의 넓이를 가지는 발효조; 상기 발효조의 장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이동대;
상기 주이동대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방에 있는 피처리물을 퍼서 후방으로 넘기는 것으로서, 상기 주이동대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에스컬레이터식 교반기;
상기 피처리물을 상기 발효조의 일측에 투여하기 위한 피처리물 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1. A fermentation apparatus for fermenting an organic material to be treated containing a raw material or food wastes with stirring, comprising:
A fermenter having a rectangular width with an open upper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 moving rail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ermenter;
A main moving table mounted on the movable rail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movable rail;
A pair of escalator-type agitators which are dispos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moving table, respectively, while being moved along the main moving table and pouring back the objects to be processed in the front side;
A to-be-treated water supply unit for applying the to-be-treated object to one 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Wherein the organic fermented product is a fermented pro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교반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The fermentation apparatus for organic matter to be treate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agitators can b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 상면에는 상기 이동레일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횡방향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횡방향레일에는 보조이동대가 안착되어 횡방향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보조이동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발효조의 단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ransverse rail is provided on the moving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rail;
An auxiliary mover is seated in the lateral rail and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ateral rail;
Wherein the agitator is installed in the auxiliary moving table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one direction of the fermen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기 주이동대 상부에 안착되며 바퀴를 통해 상기 이동레일과 연결되는 차대;
일단이 상기 차대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발효조의 바닥을 향해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타단을 들어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상기 컨베이어의 타단이 상기 발효조의 바닥에 인접하거나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컨베이어 리프팅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The agit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gitator comprises:
An undercarriage mounted on the main moving frame and connected to the moving rail through a wheel;
A pair of conveyor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ndercarriag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bottom of the fermenter;
Conveyor lifting means for lifting or lowering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is adjacent to or spaced from the bottom of the fermenter;
Wherein the organic fermented product is ferme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 공급부는;
피처리물 저장조; 일단은 상기 피처리물 저장조에 연결되고 타단은 발효조 상측에 연장되는 이송라인; 상기 이송라인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저장조에 담긴 피처리물을 압송하는 로타리펌프; 상기 이송라인으로 공급되는 피처리물을 상기 발효조의 내부의 몇 곳에 분산 공급하기 위한 분배조정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발효조의 일단 상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관; 상기 횡관을 따라 이격간격을 두고 상기 발효조의 개구부를 향해 분기 연장되는 복수 개의 토출관; 상기 토출관이 설치된 지점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횡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횡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밸브기구; 상기 토출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관마다 설치되는 복수의 제2밸브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be-processed water supply unit comprises:
A treated water storage tank; A transfer lin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bject water storage tank and the other end extending on the upper 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A rotary pump installed on the transfer line for feed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contained in the reservoir; Dispensing adjusting means for dispersing and supply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supplied to the transfer line in several places inside the fermenter; ≪ / RTI >
Wherein the transfer line is a transverse pipe disposed laterally on one side of the one end of the fermentation tank; A plurality of discharge tubes extending diagonally toward the openings of the fermentation tank at spaced intervals along the transverse tube; A plurality of first valve mechanisms installed on the transverse pipe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transverse pipe in a state of being located behind the point where the discharge pipe is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second valve mechanisms provided for each discharge pip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단면이 사각형인 제1각관; 상기 제1각관에 45 ~ 135˚의 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단면이 사각형인 제2각관; 상기 제1,2각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연결관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체는 상기 제1각관과 관이음되는 제1연결관과 상기 제2각관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의 변곡지점의 등부위는 관로에 대하여 30 ~60˚의 경사도로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호커버가 상기 제1각관의 관로에 대하여 30 ~60˚의 경사를 갖도록 상기 플랜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구부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line comprises:
A first rectangular pipe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A second square pipe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square pipe at an angle of 45 to 135 degrees; And a connection pipe install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pes;
Wherein the connection tube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ipe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pipe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at a right angle, The back part of the inflection point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is opened at an inclination of 30 to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ipeline; A flange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Wherein the opening is closed by being coupled to the flange such that the protective cover has an inclination of 30 to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hannel of the first pipe.
KR1020140094087A 2014-07-24 2014-07-24 Fermentation Equipment For Organic Waste KR1016372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087A KR101637222B1 (en) 2014-07-24 2014-07-24 Fermentation Equipment For Organic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087A KR101637222B1 (en) 2014-07-24 2014-07-24 Fermentation Equipment For Organic Wast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785A Division KR20160013514A (en) 2015-10-08 2015-10-08 Fermentation Equipment For Organic Was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330A true KR20160013330A (en) 2016-02-04
KR101637222B1 KR101637222B1 (en) 2016-07-08

Family

ID=5535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087A KR101637222B1 (en) 2014-07-24 2014-07-24 Fermentation Equipment For Organic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2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708B1 (en) 2018-06-11 2019-08-27 엠코 주식회사 Organic Waste Treatment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588U (en) 1998-08-31 2000-03-25 이형도 Amateur of solenoid valve for hydraulic control
KR20060076282A (en) 2003-08-26 2006-07-04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Moving body
KR100799933B1 (en) * 2007-03-21 2008-01-31 (주)동광기업 Escalator a mixer
KR100828741B1 (en) * 2007-04-28 2008-05-16 김태환 Supply sprinkling device for a livestock excretions and saprophytic of a fermentation agitation equipment
KR101017719B1 (en) * 2008-04-30 2011-02-25 김경화 Agit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588U (en) 1998-08-31 2000-03-25 이형도 Amateur of solenoid valve for hydraulic control
KR20060076282A (en) 2003-08-26 2006-07-04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Moving body
KR100799933B1 (en) * 2007-03-21 2008-01-31 (주)동광기업 Escalator a mixer
KR100828741B1 (en) * 2007-04-28 2008-05-16 김태환 Supply sprinkling device for a livestock excretions and saprophytic of a fermentation agitation equipment
KR101017719B1 (en) * 2008-04-30 2011-02-25 김경화 Agit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222B1 (en)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411900U (en) Soil repairing device
KR100717718B1 (en) Mixing and transporting device for producing fermented fertilizer using organic waste
CN206552858U (en) Constant feeder
KR101637222B1 (en) Fermentation Equipment For Organic Waste
CN207076767U (en) A kind of equipment for industrial heavy metal pollution of soil fast deep stabilization processes
CN202286172U (en) Pretreatment production line for salted vegetables
CN203593404U (en) Belt conveyor device for adjusting material-falling points
CN210787002U (en) Ecological fertilizer preparation equipment
CN205857740U (en) A kind of appts. for transferring ready-mixed concrete
KR20160013514A (en) Fermentation Equipment For Organic Waste
CN216937547U (en) Feeding and cleaning device
KR101387307B1 (en) Apparatus for mixing and fermenting organic waste
CN106701529B (en) A kind of high-efficiency and continuous aerobe reactor system
CN210411901U (en) Soil remediation system
CN109866333A (en) A kind of defective material cleaning plant for Commercial Concrete agitator tank
CN216856543U (en) High-efficient low consumption production line of fertilizer
CN206842366U (en) A kind of device for transporting objects
CN219682637U (en) Nearby disposal device for construction waste
CN209078921U (en) A kind of domestic waste incineration residue regenerated aggregate brick making system
CN204624621U (en) Travelling apron thickness of feed layer stabilizing device
CN216234878U (en) Air conveying system for conveying steam brick powder raw materials
CN210795092U (en) Storage type loading bin
CN203568515U (en) Automatic sludge loading device for oil drilling
CN220008387U (en) Plastic granules compounding device
CN203947778U (en) A kind of concrete aggregate bu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