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748A - 인증 및 광고수단을 함께 구비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인증 및 광고수단을 함께 구비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748A
KR20160012748A KR1020140094848A KR20140094848A KR20160012748A KR 20160012748 A KR20160012748 A KR 20160012748A KR 1020140094848 A KR1020140094848 A KR 1020140094848A KR 20140094848 A KR20140094848 A KR 20140094848A KR 20160012748 A KR20160012748 A KR 20160012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advertisement
advertising
mobile phone
authentica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제인
Original Assignee
허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제인 filed Critical 허제인
Priority to KR1020140094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748A/ko
Publication of KR2016001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G06K19/1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the marking being sensed by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2Advertising 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광고 및 인증수단이 구비되어 인증이 된 후 광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가 개시된다. 본체에는 휴대전화와 마주하는 내측면에 RFID 태그와 같은 인증수단 및 광고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홈이나 홀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여, 인증수단 및 광고수단의 전기 단자와 접촉될 수 있는 도전 패턴이 설치되어, 홈이나 홀에 인증수단 및 광고수단이 설치되면 도전 패턴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상 휴대하고 쉽게 확인하고 제시할 수 있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를 이용하여 인증시에 지갑에서 회원카드나 기타 인증수단을 꺼내어 제시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으며, 아울러 효과적인 시간에 홍보, 광고를 제공하여 의식, 무의식적으로 홍보,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인증 및 광고수단을 함께 구비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protecting case for mobilephone having method of certification and advertisement}
본 발명은 휴대전화 보호케이스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증 및 광고수단을 함께 가지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이하 휴대전화 보호케이스를 '보호케이스'와 혼용하기로 한다)에 대한 것이다.
대화면의 휴대전화가 제작되면서 추락에 의한 휴대전화 보호, 스크래치로부터의 보호 등을 위해 휴대전화 보호케이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휴대전화 보호케이스는 휴대전화의 전면과 후면을 모두 보호하기 위해 케이스를 펼치고 접을 수 있도록 한 것과 간단히 휴대전화의 후면을 커버하고 화면이 있는 휴대전화 전면을 노출되도록 한 것이 있다.
특히 터치패드 스크린을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경우, 고가의 스마트폰 자체와 스마트폰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화면 표시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휴대전화 보호케이스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휴대전화 보호케이스는 미감을 높이기 위해 노출되는 면에 그림이나 사진을 넣는 등의 장식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스티커나 액세서리가 휴대전화 보호케이스에 부착되기도 하고, 액세서리 가운데에는 휴대전화의 사용에서 도움 기능을 줄 수도 있다.
그림이나 사진, 스티카나 액세서리는 광고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도 있으며, 휴대전화 보호케이스에 이런 광고수단이 사용되면서 휴대전화 보호케이스는 하나의 판촉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대화면화에 따라 휴대전화의 크기가 커지면서 지갑과 휴대전화를 별도로 소지하는 것이 부담스러운 일이 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가운데 일부는 회원카드나 신용카드 등을 끼워 휴대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지갑과 비슷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휴대전화 보호케이스를 지갑과 비슷하게 사용하는 것은 휴대전화를 사용할 때 함께 끼워진 카드나 기타 물건이 번잡스러워 사용감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의 스마트폰 등 휴대전화는 저장장치 내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인증수단을 기록하여 전자지갑의 기능을 구비하여 자체가 결제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전자지갑 기능은 스마트폰을 통한 바이러스 프로그램, 해킹 등의 문제에 노출될 수 있어서 보안의 취약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런 논란에 따라 사용자들의 전자지갑 이용율은 제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6235호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형 RFID 태그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RFID 태그 정보 처리 시스템"
본 발명은 항상 휴대하고 쉽게 확인하고 제시할 수 있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아울러 효과적인 홍보, 광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편리한 인증수단을 제공하면서 인증과 동시에 인증의 확인으로서 광고수단이 동작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도 증대시킬 수 있는 인증 및 광고수단으로 휴대전화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 보호케이스에 광고 및 인증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광고 및 인증수단은 별도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증수단으로는 인증정보를 내장하고 있는 FRID 태그와 같이 무선으로 동작하는 비접촉식 집적회로 칩(CHIP)이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더 적합하지만 , 인증수단은 넓게는 바코드나 QR코드와 같이 스캐닝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시각적 수단일 수 있고, 이런 경우, 인증수단은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표면에 인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고수단으로 광원(광모듈)과 결합된 로고, 상표와 같이 시각적 수단이나 광고 음악이나 음성 광고 문구(캐치프레이즈)가 저장되어 스피커를 통해 소리가 나는 스피커모듈을 포함하는 청각적 수단 가운데 어느 하나 혹은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고수단과 인증수단은 상호 회로적으로 결합되어 인증이 이루어질 때 인증이 이루어졌다는 인증 확인 신호로서 광고수단이 내부 혹은 외부의 신호를 받아 동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본체에는 휴대전화와 마주하는 내측면에 RFID 태그와 같은 인증수단 및 광고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홈이나 홀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여, 인증수단 및 광고수단의 전기 단자와 접촉될 수 있는 인쇄 도전 패턴이 설치되어, 홈이나 홀에 인증수단 및 광고수단이 설치되면 인쇄 도전 패턴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인쇄 도전 패턴, 인증수단 및 광고수단이 설치된 위로 내측면을 덮는 커버가 영구적으로 접착되어 인증수단 및 광고수단과 인쇄 도전 패턴 사이의 전기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증수단 및 광고수단의 구동을 위한 충전용 배터리를 구비하고, 인증수단의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며, 충전용 배터리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무선 충전방식으로 충전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광고수단으로 스피커 모듈을 구비하고, 인증수단 및 광고수단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며, 배터리와 스피커 모듈을 연결하는 도전 경로 상에 감압 센서를 이용한 스위치를 구비하여, 스위치를 누르면 스피커 모듈을 통해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상 휴대하고 쉽게 확인하고 제시할 수 있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를 이용하여 인증시에 지갑에서 회원카드나 기타 인증수단을 꺼내어 제시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으며, 아울러 효과적인 시간에 홍보, 광고를 제공하여 의식, 무의식적으로 홍보,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리한 인증수단을 제공하면서 인증과 동시에 인증의 확인으로서 광고수단이 동작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도 증대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개념도,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개념도,
도3은 본 발명에 액세서리 구성이 결합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능동형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11)가 내장된 휴대전화 보호케이스(10)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일반적인 보호케이스와 같이 보호케이스 본체에는 대화면 스마트폰의 전면을 제외한 후면과 측면을 탄성 있고 신축성 있는 연질 합성수지가 감싸고, 후면과 측면의 스위치나 기능부에는 구멍이 뚫려 창(window)을 이루고 있다.
후면을 감싸는 커버 부분에는 RFID 태그(11)와 함께 RFID의 정상 구동을 위해 내부 배터리(13)가 구비된다. RFID의 비접촉 구동 거리를 확장시키기 위해 보호케이스 전체를 넓게 둘러싸는 안테나(19)가 형성되어 RFID 태그(11)에 결합되어 있다. 휴대전화 충전 및 정보 교환을 위한 단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보호케이스의 창에는 배터리 충전용 단자(보호케이스 외곽선과 접하여 도1에서 도트로 표시되는 부분)가 노출되어 있다. 이 충전단자에는 별도의 전용 충전기가 결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휴대전화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함께 접속이 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상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지만 회로에 간단한 컨버터나 정류 수단을 구비하여 무선으로 충전을 진행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즉, 전자파를 방출하는 후프형 안테나를 평면에 설치한 충전기를 준비하고, 그 평면에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의 내부 안테나가 충전기의 후프형 안테나와 상하로 인접하게 겹치도록 놓고 충전기를 가동한다. 그러면, 충전기의 안테나에 의해 유기되어 보호케이스 내부 안테나와 커플링되는 자속 혹은 전자장의 변화가 보호케이스 내부 안테나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고, 이 기전력을 컨버터나 기타 정류 수단으로 정류하여 보호케이스 내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런 무선 충전 방식은 보호케이스에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 단자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무선 충전 방식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충전기의 안테나와 보호케이스의 내부 안테나를 공통으로 지나는 커플링 자속이 최대한 커지도록 충전기 및 안테나를 설계하고, 보호케이스나 충전기 평면의 재질이 전자장(자속)의 통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재질을 선택하도록 한다.
아울러, RFID 태그(11)에는 소형 스피커(15)를 포함하는 스피커모듈과 광모듈의 하나로서 LED 모듈(17)이 결합되어 있다. LED 모듈(17)은 RFID 태그(11)로부터 전기신호를 받아 점멸하며, LED 모듈(17) 위쪽으로 겹치게 로고나 상표가 표시되어 LED가 점멸할 때마다 상표나 로고를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RFID 태그(11)는 기성형, 개방형으로 소지자의 개인적 신상정보 없이 태그의 고유 정보만을 구비한다. 인증을 받기 위해 휴대전화 보호케이스(10) 소지자가 RFID 리더(20)와 통신을 주고받을 수 있는 영역에 진입하면 RFID 태그(11)와 RFID 리더(20) 사이의 통신 및 정보 교환, FRID 리더(20)와 서버(S) 사이의 통신 및 정보교환이 이루어지고, 해당 RFID 태그(11)가 인증된다. 인증이 이루어지면 태그에 포함된 기억장치의 정보에 따른 전기 신호가 스피커(15)에 인가되어 스피커(15)를 통해 광고음악이나 광고용 캐치프레이즈를 들을 수 있고, LED 모듈(17)의 LED가 점등 혹은 점멸되면서 로고나 상표를 비추어 로고나 상표가 외부에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경우, 광고음악이나 LED에 의해 비추어지는 로고는 인증이 이루어졌음을 확인시키는 확인 수단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도2는 도1과 유사하지만 수동형 RFID 태그(11)를 사용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10)가 개시된다. 여기서는 별도의 배터리는 구비되지 않고, 광원 장치도 구비되지 않는다. RFID 태그(11)의 동작, RFID 리더(20)와의 정보교환, 스피커(15) 동작이 모두 외부에서 유입되는 에너지, 가령, FRID 리더(20)의 안테나(29)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신호 혹은 휴대전화(휴대전화가 함께 동작하도록 이루어지는 경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런 구성에서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10)를 소지한 사용자가 RFID 리더(20)와의 통신 가능 영역으로 진입하면 RFID 리더(20)의 안테나(29)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에 의한 신호를 내부 안테나(19)를 통해 보호케이스 내의 RFID 태그(11)가 감지하게 되고, 이에 반응하여 동작을 하면서 자체 내에 저장된 정보를 RFID 리더(20)에 보내게 된다. RFID 리더(20)는 정보를 받아 인증 대상인 경우, 인증을 하고, 인증에 대응하는 전자파 신호를 다시 보낸다. 이런 인증 신호를 받으면 RFID 태그(11)는 자체에 결합된 내부 안테나(19)에는 전자파 신호에 따라 변화하는 전자장에서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고, 이를 통해 전자파 신호에 포함된 전자기 에너지를 받아들이고, 이 전자기 에너지를 동력으로 RFID 태그(11)에 결합된 스피커(15)를 통해 인증 확인용 신호음을 내게 된다. 물론 인증 확인용 신호음으로 인증과 관련된 영업회사의 광고음악이나 캐치프레이즈가 스피커(15)를 통해 나올 수 있다.
여기는 도시되지 않지만 도1의 실시예에서 배터리(13)가 없이 휴대전화 보호케이스에 형성된 RFID 태그(11)의 전원 단자가 미도시된 스마트폰의 충전 단자에 삽입되어 스마트폰의 전원과 항시적으로 연결되는 형태, 도1의 실시예에서 보호케이스의 RFID 태그용 배터리(13)의 충전 단자가 역시 스마트폰의 충전 단자에 삽입되어 스마트폰 충전 단자를 통해 스마트폰 배터리(13)와 연결되고, 스마트폰 배터리를 통해 충전될 수 있는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수동형 RFID 태그(11)를 사용하는 도2의 실시예에서, 인증을 위한 RFID 리더(20)는 통상의 RFID 리더에 비해 본 발명의 RFID 태그(11)에 특화된 것을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RFID 태그(11) 인증과 함께 보호케이스의 내부 안테나(19)를 통해 충분한 전자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리더의 안테나(29)에서 에너지를 제공하는 방향을 보호케이스 내부 안테나(19)의 설치 방향과 조화되도록 특화할 필요가 있고, 리더의 신호 제공도 상시적 가동 방식이 아니고 일시적 가동 방식으로 하여, 작업자가 리더를 조작하여 일시적으로 신호 및 에너지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비슷한 개념이지만 또 다른 방식의 실시예에서는, 가령, RFID 태그 대신에 인증수단을 보호케이스 표면에 인쇄된 QR코드나 바코드라고 하고, RFID 리더 대신에 코드 리더기가 코드를 스캔하고, 적합한 코드로 인증이 되면 코드 리더기에 결합된 신호 발생기가 전자파신호를 주고, 보호케이스의 안테나와 이를 통해 전자파 에너지를 받는 스피커 모듈, 광원 모듈에서 광고용 음악, 문구를 들려주거나 전등을 점멸시키는 동작을 할 수도 있다.
도3은 도1과 같은 실시예에서 휴대전화 보호케이스(10)의 표면에 야광으로 처리된 광고용 상표나 로고(101)가 나타나고, 휴대전화를 기울여서 세울 수 있는 흔히 '벙커링'으로 불리는 액세서리(103)가 부착된 것을 나타낸다.
야광 처리는 휴대전화를 빛이 매우 적은 어두운 곳에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여, 가령, 밤에 백에서 휴대전화를 찾을 때 백 내의 여러 소지품 가운데 휴대전화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벙커링과 같은 부가 액세서리(103)에는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스프링 줄자 방식으로 길게 잡아 빼고 다시 감아들일 수 있는 형태의 걸이 끈이 더 설치되어, 걸이 끈이 필요할 때에는 잡아 빼서 사용하고,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감아넣어서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는 다른 보호케이스와 외관상의 큰 차이점은 없으므로 다른 보호케이스와 같이 걸이 끈이나, 고리, 별도로 소지하기는 불편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비상용 경보기와 같은 액세서리가 더 부가된 것일 수 있다.
이런 부가 액세서리는 보호케이스 표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과 같은 내부 회로 구성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가령, 도 1의 배터리와 스피커를 이용하는 경보기를 생각할 수 있는데, 이런 경보기를 위해서는 도1의 기존 회로 구성에서 배터리와 스피커를 연결하는 도전 패턴을 설치하고, 도전 패턴 경로 상의 일부에 감압 센서형 스위치를 설치한다. 감압 센서형 스위치는 외부에서 볼 때 위치가 명확히 드러나는 부분, 가령, 보호케이스 외부에 QR 코드가 인쇄된 부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위급 상황에서 사용자가 QR 코드를 세게 누르면 감압 센서가 작용하여 배터리와 스피커를 연결하여 큰 전류가 흐르게 하고, 스피커에서는 큰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RFID 태그(111)가 인증을 위한 소지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도2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인증 및 광고수단으로 RFID 태그(111) 및 스피커(117)를 구비한다. 단, 이 실시예에서는 RFID 태그(111)가 인증을 위한 개인정보를 포함한다. 이 개인정보는 인증수단을 배포하고 관리하는 주체, 가령 회원 관리를 하는 사업체에서 RFID 태그(111)를 만들어 배포할 때, RFID 태그 내의 기억장치에 회원들로부터 얻은 정보를 전용기록기 등에서 전자적인 방법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런 정보는 외부에서 RFID 리더의 특정 신호를 받으면 RFID 태그(111)가 자체 내의 기록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전자파 발신의 형태로 방출하게 된다. RFID 리더는 RFID 태그(111)에서 방출된 정보를 받아들여 회원정보가 기록된 서버와 통신하고, 서버의 정보와 RFID 태그(111)의 정보가 서로 대응하면 인증이 완성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런 개개의 인증 기록은 서버에만 저장되거나, 혹은 서버 및 RFID 태그(111)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인증이 완성된 시점에서 RFID 리더에서는 미리 정해진 광고 신호를 보호케이스로 전송하고, 보호케이스(110)에서는 내부 안테나(119)를 통해 이 신호를 받아 스피커(117))를 통해 광고음악이나 광고용 캐치프레이즈가 들리게 된다. 이 광고신호는 RFID 리더에서 바로 보호케이스 내부 안테나(119), 내부 안테나(1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RFID 태그(111) 및 스피커(117)의 경로로 전달될 수 있고, 단순히 보호케이스(110)의 RFID 태그(111)에 트리거 신호만을 주어 RFID 태그(111)가 스스로 동작하면서 스피커(117)를 통해 음성이나 음악을 밖으로 보내게 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보호케이스(110)는 보호케이스 본체와 RFID 태그(111)를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가령, 보호케이스 본체를 몰딩을 통해 제작할 때 보호케이스 본체에서 휴대전화를 향하는 내측면에 RFID 태그(111) 및 스피커 모듈이 들어갈 공간을 오목한 홈(111a)이나 홀(117a)을 미리 만들고, 후막 인쇄 방식으로 도전 패턴(119')을 형성한다. 도전 패턴(119')은 홈(111a)이나 홀(117a)을 이루는 측벽과 바닥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미리 형성된 홈(111a)에 RFID 태그(111)를, 홀(117a)에는 스피커 모듈을 삽입한다. 이때, RFID 태그(111)의 전기 단자(111d) 및 스피커 모듈의 전기 단자(117d)가 인쇄된 도전 패턴(119')과 접속되면서 함께 전체적으로 회로를 구성하여 보호케이스 내의 인증 및 광고수단이 일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이런 구성에 더하여 드러난 RFID 태그(111), 스피커(117), 도전 패턴(119')을 덮어주는 커버(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커버(130)는 RFID 태그(111), 스피커(117), 도전 패턴(119')을 외력에 의한 파손이나 긁힘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RFID 태그 및 스피커 모듈을 보다 안정적으로 본체에 결합시켜 기계적 결합 및 전기접속을 안정시키고,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130)의 부착은 안정성과 별도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와 같은 영구적인 접착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안테나(119)를 이루는 도전 패턴도 다른 도전 패턴(119')과 함께 인쇄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물론, 도전 패턴을, 실제 도선을 보호케이스 본체의 홈에 삽입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인쇄방식은 제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면에서 장점이 있다.
한편, 위의 실시예에서 안테나선을 포함한 도전 패턴을 보호케이스 본체 내측면에 후막 인쇄를 통해 형성한다고 하였지만 후막 인쇄 대신에 일면에 도전 패턴을 형성한 테이프를 사용하여 보호케이스 내측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후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기층 합성수지 시트의 전면에 도전 패턴을 인쇄하여 도전 시트를 만들고, 양면을 커버로 덮은 상태로 유통하면서 사용할 때에는 커버를 벗겨 보호케이스 내측면에 도전 시트 후면 점착층을 이용하여 도전 시트를 부착함으로써 보호케이스에 도전 패턴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RFID 태그나 스피커 모듈을 보호케이스 내측면에 형성된 홈과 홀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커버로 덮어 고정하는 것이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방식은 기존의 보호케이스에도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가령, 위 실시예들에서는 주로 디스플레이 커버가 없는 보호케이스를 위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앞쪽의 디스플레이 커버를 함께 가지는 보호케이스일 수 있다. 즉,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110: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11, 111: RFID 태그
13: 배터리 15, 115: 스피커
17: LED 모듈 19, 119: 내부 안테나
20: RFID 리더(reader) 29: 안테나 (리더 안테나)
119': 도전 패턴 130: 커버

Claims (8)

  1. 광고수단 및 인증수단이 함께 구비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로서,
    상기 인증수단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광고수단이 동작하여 감각적으로 광고를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수단으로는 무선으로 정보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비접촉식 집적회로 칩(CHIP)이 사용되고, 무선의 정보 통신을 위해 내부 안테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수단으로는 광원과 결합된 시각적 수단이나 광고 음악이나 음성 광고 문구(캐치프레이즈)가 저장되어 스피커를 통해 소리가 나는 청각적 수단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수단과 상기 인증수단은 상호 회로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인증수단을 통해 인증이 이루어질 때 인증이 이루어졌다는 전기적인 신호가 상기 광고수단에 전달되어 인증 확인 신호로서 상기 광고수단이 동작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수단으로 RFID 태그가 구비되고, 상기 광고수단으로 스피커 모듈 혹은 광 모듈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며,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본체에는 휴대전화와 마주하는 내측면에 상기 인증수단 및 상기 광고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홈이나 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면에는 상기 인증수단 및 상기 광고수단의 전기 단자와 접촉될 수 있는 도전 패턴이 설치되어,
    상기 홈이나 홀에 상기 인증수단 및 상기 광고수단이 설치되면 상기 도전 패턴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 상기 인증수단 및 상기 광고수단이 설치된 위로 상기 내측면을 덮는 커버가 접착되어 상기 인증수단 및 상기 광고수단과 상기 도전 패턴 사이의 전기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수단 및 상기 광고수단의 구동을 위한 충전용 배터리가 설치되고,
    상기 인증수단의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구비되며,
    상기 충전용 배터리는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무선 충전방식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수단으로 RFID 태그가 구비되고, 상기 광고수단으로 스피커 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인증수단 및 상기 광고수단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와 상기 스피커 모듈을 연결하는 도전 경로 상에 감압 센서를 이용한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KR1020140094848A 2014-07-25 2014-07-25 인증 및 광고수단을 함께 구비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KR20160012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848A KR20160012748A (ko) 2014-07-25 2014-07-25 인증 및 광고수단을 함께 구비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848A KR20160012748A (ko) 2014-07-25 2014-07-25 인증 및 광고수단을 함께 구비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748A true KR20160012748A (ko) 2016-02-03

Family

ID=5535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848A KR20160012748A (ko) 2014-07-25 2014-07-25 인증 및 광고수단을 함께 구비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27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0838A (ja) * 2015-08-31 2017-03-09 株式会社電子技販 収納ケース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9172A (ja) * 2003-12-08 2005-06-30 Kansui Tomoe 付着物防止装置
JP2008199197A (ja) * 2007-02-09 2008-08-28 Sharp Corp コンテンツ出力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出力装置
KR20110126235A (ko) 2010-05-17 2011-11-23 주식회사 유타렉스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 케이스형 rfid 태그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rfid 태그 정보 처리 시스템
KR101191356B1 (ko) * 2012-08-01 2012-10-15 (주)에프원테크놀로지 Led 발광부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341779B1 (ko) * 2012-08-22 2013-12-13 박상준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140057126A (ko) * 2012-10-30 2014-05-12 백용승 발광 가독성이 향상된 발광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9172A (ja) * 2003-12-08 2005-06-30 Kansui Tomoe 付着物防止装置
JP2008199197A (ja) * 2007-02-09 2008-08-28 Sharp Corp コンテンツ出力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出力装置
KR20110126235A (ko) 2010-05-17 2011-11-23 주식회사 유타렉스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 케이스형 rfid 태그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rfid 태그 정보 처리 시스템
KR101191356B1 (ko) * 2012-08-01 2012-10-15 (주)에프원테크놀로지 Led 발광부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341779B1 (ko) * 2012-08-22 2013-12-13 박상준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140057126A (ko) * 2012-10-30 2014-05-12 백용승 발광 가독성이 향상된 발광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0838A (ja) * 2015-08-31 2017-03-09 株式会社電子技販 収納ケー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69428B (zh) 改进的连接器和用于可柔软连接的计算机系统的器件
US20100231353A1 (en) System and portable device for transmitting identification signals
US7598875B2 (en) RFID tag-reading notif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ontrol method
CN103609094A (zh) 适于供模块附接的用于便携式设备的盖
CN208690986U (zh) 具备无线充电功能的放置装置
KR101322205B1 (ko) 엔에프씨 유도전기를 이용한 발광수단을 갖는 휴대폰 가죽 보호케이스
KR101347271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발광 장치가 구비된 인조 손톱
US11962162B2 (en) Accessory device for electronic devices
JP5689520B1 (ja) 携帯電話機用背面カバー
US20100087183A1 (en) Device for controlling personal belongings
KR20160003402U (ko) 센서를 이용한 등신대 디스플레이 및 그 등신대의 통신시스템
KR101381291B1 (ko) 스마트기기 보호케이스를 이용한 물품 분실/도난 방지시스템
KR20160012748A (ko) 인증 및 광고수단을 함께 구비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JP2005244852A (ja) 電子機器
US20160301450A1 (en) Proximity Identification Device with Improved Orientation Features and User Feedback
KR10145236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된 인조 손톱
KR102072676B1 (ko) 영상 및 음악이 내장된 카드형태 앨범 장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JP2009182621A (ja) 携帯端末の収納ケース
KR20180046660A (ko) Rfid태그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WO2022088984A1 (zh) 可穿戴设备和可穿戴系统
KR101640975B1 (ko) 스마트 출입증
JP2009181815A (ja) 電池パックおよび携帯電子機器
CN218772177U (zh) 手机保护壳
KR101613261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된 손가락 밴드
KR102467914B1 (ko) 모바일 결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