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665A - 이탈방지용 배액관 - Google Patents

이탈방지용 배액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665A
KR20160012665A KR1020140094543A KR20140094543A KR20160012665A KR 20160012665 A KR20160012665 A KR 20160012665A KR 1020140094543 A KR1020140094543 A KR 1020140094543A KR 20140094543 A KR20140094543 A KR 20140094543A KR 20160012665 A KR20160012665 A KR 20160012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evice
drainage
connecting unit
tube
m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465B1 (ko
Inventor
최주석
Original Assignee
아이엠 바이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엠 바이오(주) filed Critical 아이엠 바이오(주)
Priority to KR1020140094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465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탈방지용 배액관에 관한 것으로, 일단이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흡인 배액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환부에서 발생된 혈액 및 체액을 상기 흡입 배액 장치로 배출하도록 중공의 원통을 형성하는 본관; 및 상기 본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고정장치가 결합되는 결합구멍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고정장치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 연결부는 상기 본관과 비교하여 연성이 큰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고정장치 연결부의 형태가 용이하게 변형됨으로써 상기 본관의 직경 변화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 연결부는 표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고정장치 연결부에 결합될 시, 결합부분의 고정력을 높임으로써 고정장치 연결부로부터 상기 고정장치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이탈방지용 배액관은 본관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결합구멍을 가지는 고정장치 연결부와 고정장치가 결합되어, 고정장치에 의해 배액관의 직경을 변화 및 피부조직의 손상 없이 용이하게 배액관의 설치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탈방지용 배액관 {Drainage tube for separation}
본 발명은 이탈방지용 배액관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배액관은 환자의 환부에 설치되어 수술과정 및 수술 후 발생하는 분비물 및 혈액 등을 배출하는 장치로서, 환부에 설치된 후 배액이 완료될 때까지 관을 고정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봉합사 등의 실을 이용하여 배액관이 설치된 환부의 주변 피부조직을 관통한 뒤 배액관에 매듭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배액관에 외력이 가해져도 환부와 배액관을 연결하고 있는 봉합사에 의해 배액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배액관 고정법은 직접적으로 봉합사 등을 이용해 배액관의 본관에 매듭을 형성하여 고정함으로써, 시술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매듭의 강도에 따라 결과적으로 매듭을 강하게 하여 배액관의 직경이 줄어들 경우 배액관 내부를 이동하는 물질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고, 배액관의 직경을 줄어들지 않게 하기 위해 매듭을 느슨하게 할 경우 배액관의 고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르게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4105호의 "의료용 배액관 고정장치"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완충시트와 고정끈을 이용하여 배액관을 고정함으로써, 환자의 피부조직에 전달되는 외부압력을 최소화 하고 배액관의 유동을 억제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 또한 배액관을 설치한 후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련되었지만 완충시트에 마련된 고정장치는 배액관의 이동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는 없고, 완충시트 자체가 피부와 표면적을 형성하여 접촉함으로써 완충시트 자체의 이탈이 배액관 전체의 이탈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액관 직경 변화를 통한 관내 이동성 저해를 유발하지 않고 배액관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탈방지용 배액관은, 일단이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흡인 배액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환부에서 발생된 혈액 및 체액을 상기 흡입 배액 장치로 배출하도록 중공의 원통을 형성하는 본관; 및 상기 본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고정장치가 결합되는 결합구멍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고정장치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 연결부는 상기 본관에 비해 연성이 큰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작용된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장치 연결부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 연결부에는 표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이탈방지용 배액관의 본관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결합구멍을 가지는 고정장치 연결부와 고정장치가 결합되어, 고정장치에 의해 배액관의 직경을 변화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배액관의 설치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액관 고정을 위해 일정한 연결부가 마련되어 시술자로 하여금 고정장치를 좀 더 빠르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고정장치가 연결된 후에도 배액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배액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배액관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3은 종래 배액관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배액관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경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이탈방지용 배액관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이탈방지용 배액관(100)은 본관(110); 및 하나 이상의 고정장치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본관(110)는 일단이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흡인 배액 장치에 연결되어 환부에서 발생하는 혈액 및 체액을 흡인 배액 장치로 배출하도록 중공의 원통을 형성한다.
고정장치 연결부(120)는 본관(1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고정장치(200)가 결합되도록 기능하는 결합구멍을 가진다.
여기서, 돌출 형성된 고정장치 연결부(120)는 본관(11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고정장치(200)는 봉합사, 고정시트, 고정테이프 등의 배액관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고정장치 연결부(120)는 상기 본관(110)과 비교하여 연성이 큰 재질로 마련되어, 고정장치로(200)부터 외력이 작용하면 고정장치 연결부(120)의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변형됨으로써 본관(110)의 직경 변화를 방지한다.
예를 들어, 본관(110)과 고정장치 연결부(120)의 재질이 비슷한 연성 정도로 마련될 경우, 고정장치(200)에 의해 본관의 외주면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은 고정장치 연결부(120)뿐만 아니라 본관(110)의 형태를 변화시켜 직경 변화를 유발한다.
하지만, 고정장치 연결부(120)가 상기 본관(110)과 비교하여 연성이 큰 재질로 마련될 경우, 고정장치 연결부(120)에 고정장치(200)가 결합되어 이탈방지용 배액관(10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력을 높이는 과정에서 고정장치(200)에 의해 발생하는 외력은 고정장치 연결부(120)의 형태를 변화시킬 뿐 본관(110)의 형태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아 직경 변화를 방지한다.
이로 인해, 이탈방지용 배액관(100)은 고정장치(200)의 결합 시, 본관(110)의 직경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본관(110)통해 배출되는 물질의 이동양이 줄어들거나 이동속도가 느려지지 않는다.
또한, 고정장치 연결부(120)가 상기 본관(110)과 비교하여 연성이 큰 재질로 마련되어, 이탈방지용 배액관(100)이 체내를 관통하거나, 이동하는 과정에서 쉽게 형태가 변형됨으로써, 고정장치 연결부(120)에 의한 조직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정장치 연결부(120)는 표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122)를 형성하여 고정장치(200)가 고정장치 연결부(120)에 결합될 시, 결합부분의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고정정치 연결부(120)로부터 고정장치(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여기서 고정장치 연결부(120) 표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돌기(122)는 도3의 확대된 영역에 도시된 봐와 같이 내측과 외측 양쪽에 병렬적으로 위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는 형태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돌기(122)는 고정장치 연결부(120)의 표면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고정장치(200)와 고정장치 연결부(120)간의 결합을 보조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봉합사(200) 등이 결합구멍을 통해 고정장치 연결부(120)의 돌기(122)사이에 매듭을 형성하여 결합하게 되면, 이탈방지용 배액관(100)이 수술과정에서 외력을 받더라도 돌기(122)사이에 위치한 매듭은 고정장치 연결부(120) 표면과 강한 결합력을 유지하여 쉽게 이탈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고정장치(200)가 결합된 이탈방지용 배액관(100) 고정력을 더 높이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2.이탈방지용 배액관의 실시 형태
도3,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이탈방지용 배액관(100)은 본관(110); 및 고정장치 연결부(120);를 포함하며, 고정장치(200)는 환자의 환부(300)에 시술된 이탈방지용 배액관(100)과 결합되어 이탈방지용 배액관(1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종래 배액관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환부에 배액관(10)을 설치하는 시술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배액관(10)의 이탈을 방지기 위해 봉합사(20)를 통해 피부조직 내로 봉합사(20)를 이동시켜 고정을 위한 지지부분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다시 봉합사(20)를 배액관의 본관에 두 번 이상의 매듭지어 고정력을 높인다.
예를 들어 같은 환자의 환부에 연결된 배액관의 경우여도, 시술자가 매듭의 강도를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두 배액관(10)과 같이 D1 및 D2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D1과 같이 직경이 줄어들어든 배액관(10)의 물질 이동성은 D2와 같은 직경을 가진 배액관(10)에 비해 현저히 감소한다.
또한, 배액관(10)의 본관에 두 번 이상의 매듭을 형성하는 과정은 수술시 배액관 고정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매듭의 강도에도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배액관(10)의 본관에 지어진 매듭의 강도는 시술자에 따라 달리 형성되며, 일정 강도를 넘어서서 봉합사(20)에 의해 매듭지어진 배액관(10)은 본관의 직경에 변화가 유발되어 이동성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시술 시간 또한 길어지게 된다.
이에 비해,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탈방지용 배액관(100)은 본관(11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고정장치 연결부(120)를 마련하여, 봉합사 등을 비롯한 다양한 고정장치(200)들이 쉽고 빠른 시간 내에 연결되어 고정력을 향상 시킨다.
여기서, 고정장치 연결부(120)가 마련되어, 도4와 같이 고정장치 연결부(120) 양쪽에 결합구멍이 마련되어 쉽게 매듭을 형성하고, 본관을 봉합사를 통해 휘감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강도의 매듭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빠른 시간 내 고정장치의 연결이 이루어지며, 시술자에 따른 매듭의 강도에 편차가 발생하지 않고, 이탈방지용 배액관(100)의 직경은 더 이상 고정장치(200)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일정하게 유지가 가능하다.
즉, 고정장치 연결부(120)가 가지는 결합구멍의 영역은 시술자의 경험 정도와 무관하게 쉽고 빠르게 고정장치(200)를 연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아울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용 배액관(100)의 본관(110)에 고정장치 연결부(120)의 결합구멍을 관통하여 본관(110)의 외주면에 매듭을 형성함으로써, 본관(110)의 직경에 영향을 줄 정도의 강도로 매듭을 형성할 필요 없이도 형성된 매듭의 이동 범위를 결합구멍 내로 제한함으로써, 이탈방지용 배액관(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시술 시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고정장치 연결부(120)에 결합된 봉합사(200)는 고정장치 연결부(120)에 마련된 결합구멍을 통해 일단에 매듭을 형성하고 타단은 이탈방지용 배액관(100)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의 환부(300)에 연결된다.
여기서, 봉합사(200)의 타단은 환자의 환부 외에도 경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고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환자의 환부(300) 외 영역에 연결 가능하다.
예를들어, 봉합사(200)의 타단을 이탈방지을 배액관(100)의 고정을 위해 환자의 환부(300) 외 영역에 연결하는 형태는 고정된 기둥에 매듭을 형성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이탈방지용 배액관
110 : 본관
120 : 고정장치 연결부
122 : 돌기
200 : 고정장치
300 : 배액관 시술 환부

Claims (3)

  1. 일단이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흡인 배액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환부에서 발생된 혈액 및 체액을 상기 흡입 배액 장치로 배출하도록 중공의 원통을 형성하는 본관; 및
    상기 본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고정장치가 결합되는 결합구멍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고정장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배액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 연결부는 상기 본관에 비해 연성이 큰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작용된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장치 연결부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배액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 연결부에는 표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배액관.
KR1020140094543A 2014-07-25 2014-07-25 이탈방지용 배액관 KR101638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543A KR101638465B1 (ko) 2014-07-25 2014-07-25 이탈방지용 배액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543A KR101638465B1 (ko) 2014-07-25 2014-07-25 이탈방지용 배액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665A true KR20160012665A (ko) 2016-02-03
KR101638465B1 KR101638465B1 (ko) 2016-07-22

Family

ID=5535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543A KR101638465B1 (ko) 2014-07-25 2014-07-25 이탈방지용 배액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4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597A1 (ko) * 2017-03-22 2018-09-27 주식회사 아모센스 복합형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비행장치용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WO2019172514A1 (ko) * 2018-03-06 2019-09-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수성 재료를 이용한 체제형 배액관
KR20190106654A (ko) * 2018-03-06 2019-09-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수성 재료를 이용한 체제형 배액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611Y1 (ko) * 2005-09-06 2005-11-21 신지훈 배액관 고정기구
US20120016310A1 (en) * 2010-07-16 2012-01-19 Holliday Barbara R Medical tubing stabilizer
KR101133854B1 (ko) * 2011-06-29 2012-04-06 김재홍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US20130338599A1 (en) * 2012-06-18 2013-12-19 Jordan Price Kaylor Grooved chest tub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611Y1 (ko) * 2005-09-06 2005-11-21 신지훈 배액관 고정기구
US20120016310A1 (en) * 2010-07-16 2012-01-19 Holliday Barbara R Medical tubing stabilizer
KR101133854B1 (ko) * 2011-06-29 2012-04-06 김재홍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US20130338599A1 (en) * 2012-06-18 2013-12-19 Jordan Price Kaylor Grooved chest tub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597A1 (ko) * 2017-03-22 2018-09-27 주식회사 아모센스 복합형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비행장치용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WO2019172514A1 (ko) * 2018-03-06 2019-09-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수성 재료를 이용한 체제형 배액관
KR20190106654A (ko) * 2018-03-06 2019-09-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수성 재료를 이용한 체제형 배액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465B1 (ko) 201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7531B2 (ja) 陰圧治療装置および陰圧治療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フィルム
KR101638465B1 (ko) 이탈방지용 배액관
JP2014500083A5 (ko)
JP2009504209A (ja) 直腸挿入可能な外科システム
US20150182239A1 (en) Endoscopic fixation of a medical device using mucosal capture
KR102346089B1 (ko) 배액관
ITTO20111231A1 (it) Sistema di drenaggio di fluidi corporei
KR200480828Y1 (ko) 이탈방지용 배액관
KR102599677B1 (ko) 멀티 채널 작업 슬리브관
JP2015181511A (ja) 医療用ドレーンチューブ
KR101064844B1 (ko) 의료용 튜브의 고정장치
WO2012128820A3 (en) Medical devices for clearing a surgical site
KR200489503Y1 (ko) 배액관 고정부재
CN101889884A (zh) 一种肠瘘ⅰ期修复的磁性装置
US9999412B2 (en) Fistula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NZ553662A (en) Medical tube set
CN104857621A (zh) 直肠冲水通气负压引流管
KR102317978B1 (ko) 음압을 유지하는 역행성 경피적 담즙 배액술용 담즙 배액 기구
KR20160035309A (ko) 배액관 고정장치
KR101651601B1 (ko)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CN107376097A (zh) 一种减压灌洗装置
KR20170018858A (ko) 배액관 고정장치
CN202478384U (zh) 一种双腔y形胆道冲洗引流管
RU2539900C2 (ru) Отсасыватель
US20140088568A1 (en) Drainage cannula with anchor t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